KR20100127517A -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517A
KR20100127517A KR1020090045993A KR20090045993A KR20100127517A KR 20100127517 A KR20100127517 A KR 20100127517A KR 1020090045993 A KR1020090045993 A KR 1020090045993A KR 20090045993 A KR20090045993 A KR 20090045993A KR 20100127517 A KR20100127517 A KR 2010012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microwave oven
resistant
roasting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602B1 (ko
Inventor
조찬정
Original Assignee
조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찬정 filed Critical 조찬정
Priority to KR102009004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6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용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와 구이 요리를 동시에 조리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벽 양측에 손잡이부(12)가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부에 일정 높이로 안착 구비되어지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지는 구이용 팬(30)과; 상기 구이용 팬(30) 상부에 안착 구비되는 상부뚜껑(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레인지, 내열용기, 찜, 구이, 조리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A HEAT-RESISTANT GRILL COOKER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내열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전자파 조리시 사용되는 내열용기가 동시에 2가지 조리가 가능하다록 다양한 조리 기능을 구비시킴으로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자파 또는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켜 이 발생된 전자파 또는 열풍에 의해 조리물을 가열하여 데우거나 끓이거나 굽거나 튀기거나 찌거나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이다.
이때, 상기 전자레인지는 내부에 구비된 트레이 등에 조리물을 직접 올려놓고 조리하거나, 조리물이 수용된 별도의 조리용기를 상기 트레이 등에 올려놓고 조리한다.
특히, 가열 증기로 조리물을 찜 조리할 경우에는 뚝배기 등과 같이 단열특성이 뛰어난 도자기 재료로 제작되어진 별도의 내열용기를 사용함으로서, 찜 요리가 용이하게 조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도자기 재질의 내열용기는 일반 뚝배기 등과 같이 단 순히 찜 조리 기능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타 구이 조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찜 조리를 마친 후에 별도의 구이 조리를 실시해야 함으로 조리시간 및 전기 에너지가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찜 요리를 위한 조리 용기의 기능과 동시에 구이 요리를 위한 팬 기능을 갖는 내열용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2가지 요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벽 양측에 손잡이부가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일정 높이로 안착 구비되어지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지는 구이용 팬과; 상기 구이용 팬 상부에 안착 구비되는 상부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는, 하나의 용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와 구이 요리를 동시에 조리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 전기 에너지의 절약 등 조리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조리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 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내열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내열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내열용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내열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손잡이 패드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내열용기를 이용한 찜 조리시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열용기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통상의 조리용 용기 본체를 이루는 외부용기(10)와, 외부용기(10) 내부에 일정 높이로 안착되어지며 바닥면에는 수증기 통과를 위한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용기(20)와, 내부용기(20) 상단부에 안착 지지되어지며 바닥면 상부에 다수의 요철부(33)가 형성되어져 있는 구이용 팬(30) 그리고 상부뚜껑(40)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
특히,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그리고 구이용 팬(3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안착턱(11,21,31)이 형성됨으로서 상호간의 일정 높이로 지지되어지게 되는데, 각 안착턱(11,21,31)의 위치가 동일 위치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내부용기(20) 또는 구이용 팬(30)을 빼더라도 상호 호환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이용 팬(30) 저면에는 걸림돌부(32)가 돌출 구비됨으로서 내부용기(20)의 내벽면과의 걸림작용에 의한 안정적인 위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뚜껑(40)의 테두리측에는 일정 곡률면(41)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곡률면(41)에 수증기홈(42)을 형성시킴으로서, 찜 요리를 위한 조리과정에서 내부 가열에 의해 용기 내부에서 상승되어진 수증기중 일부가 상부뚜껑(40) 내벽면에서 수증기홈(42) 주변의 경사면을 따라 다시 하강되어짐으로 조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손잡이부(12)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실리콘 재질의 손잡이 패드(5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전자레인지에서 본 발명의 내열용기를 꺼낼 때 화상의 위험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그리고 구이용 팬(30)의 내측면에는 발열 코팅층(14,24,34)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3은 뚜껑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내열용기를 이용한 조리과정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외부용기(10) 내부에 물을 일정량 투입한 후 그 위에 내부용기(20)를 안착시키고, 내부용기(20)에는 찜 조리를 위한 조리물(고구마, 호빵 등)을 올려놓은 후, 그 위에 다시 구이용 팬(30)을 올려놓고 구이 요리를 위한 생선 등의 조리물을 올려놓은 후 상부뚜껑(40)을 결합시킴으로서 도 3 및 도 4와 같은 용기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되어진 내열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조리를 실시하게 되면, 내부용기(20)에 있는 조리물은 통공(22)을 통해 상승되는 수증기에 의해 찜 조리가 이루어지며, 구이용 팬(30)에 올려져 있는 조리물은 별도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열용기를 사용함으로서 동시게 찜 요리와 구이 요리의 2가지 조리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내열용기를 일반적인 조리용기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내부용기(20)와 구이용 팬(30)을 분리시키고 상부뚜껑(40)을 외부용기(10) 위에 직접 안착시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열용기를 이용하여 단순 구이 요리만을 실시코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를 분리시키고, 구이용 팬(30)에 상부뚜껑(40) 만을 안착시킨 후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열용기를 이용하여 단순 찜 요리만을 실시코자 하는 경우에는 구이용 팬(30)을 분리시킨 후, 도 6에서와 같이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그리고 상부뚜껑(40)를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찜 요리 과정에서는 하부에서 상승된 수증기가 상부뚜껑(40)에 형성된 수증기홈(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수증기홈(42)은 일정 경사를 이루는 곡률면(41)에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일부 수증기는 도 7의 요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측 경사면에 부딪힌 후 다시 용기 내부로 떨어지게 됨으로 뜨거운 수증기에 의한 조리효과가 더욱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내열용기 구조 및 형상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내열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내열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내열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내열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손잡이 패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내열용기를 이용한 찜 조리시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용기 11,21,31 : 안착턱
12 : 손잡이부 14,24,34 : 발열코팅층
20 : 내부용기 22 : 통공
30 : 구이용 팬 32 : 걸림돌부
40 : 상부뚜껑 41 : 곡률면
42 : 수증기홈 50 : 손잡이 패드

Claims (6)

  1. 외측벽 양측에 손잡이부(12)가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부에 일정 높이로 안착 구비되어지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지는 구이용 팬(30)과;
    상기 구이용 팬(30) 상부에 안착 구비되는 상부뚜껑(4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뚜껑(40)의 테두리부는 일정 경사의 곡률면(4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곡률면(41)에는 수증기홈(4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에는 단열재질의 손잡이 패드(5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팬(30) 저면에는 내부용기(20) 내벽면과 걸림작용에 의해 위치 지지를 위한 걸림돌부(32)가 돌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그리고 구이용 팬(30) 각각의 상부에는 안착턱(11,21,3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각의 안착턱(11,21,31)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서 내부용기(20) 또는 구이용 팬(30) 중 어느 하나를 빼거나 또는 두 개모두를 빼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그리고 구이용 팬(30)의 내측면에는 각각 발열코팅층(14,24,34)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KR1020090045993A 2009-05-26 2009-05-26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KR10112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93A KR101129602B1 (ko) 2009-05-26 2009-05-26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93A KR101129602B1 (ko) 2009-05-26 2009-05-26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17A true KR20100127517A (ko) 2010-12-06
KR101129602B1 KR101129602B1 (ko) 2012-04-12

Family

ID=4350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993A KR101129602B1 (ko) 2009-05-26 2009-05-26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6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463A (ko) * 1993-12-16 1995-07-24 배순훈 전자렌지용 토스트용기
KR950016626A (ko) * 1993-12-30 1995-07-20 배순훈 전자렌지용 구이판을 겸한 찜용기
KR0124071Y1 (ko) * 1996-02-29 1998-09-15 배순훈 전자렌지용 튀김 조리용기
KR200300270Y1 (ko) * 2002-09-06 2003-01-14 김종현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602B1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JP5604383B2 (ja) 加熱調理器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1129602B1 (ko)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H0556965B2 (ko)
JP2887309B2 (ja) 調理器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CN201888718U (zh) 一种电饼铛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JP3212684U (ja) 卵焼き器用蓋及び卵焼き器
CN213282599U (zh) 多功能蒸烤炊具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JP2006129911A (ja) 炊飯器
CN214072871U (zh) 砂锅
CN207492562U (zh) 内锅、烹饪器具和笼屉组件
JP2009000184A (ja) 蒸し野菜料理併用の焼肉用鍋
JP3162378U (ja) 蒸し野菜料理併用の焼肉用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