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790A -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 Google Patents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790A
KR20100123790A KR1020090042878A KR20090042878A KR20100123790A KR 20100123790 A KR20100123790 A KR 20100123790A KR 1020090042878 A KR1020090042878 A KR 1020090042878A KR 20090042878 A KR20090042878 A KR 20090042878A KR 20100123790 A KR20100123790 A KR 2010012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teokbokki
seaweed
fried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987B1 (ko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102009004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9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뻥튀기에 관한 것으로 쌀이나 보리,율무 같은 곡물을 이용해 열과 압력을 가한 뒤 이를 팽화시켜 간식용 과자를 만드는 것에 있어서,떡볶이 맛을 낼 수 있도록 양념이 된 펠릿을 쌀과 함께 팽화시켜 맛과 영양을 개선한 뻥튀기에 관한 것이다.
뻥튀기,떡볶이,쌀과자,쌀튀밥,곡물

Description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The mathod of product of hot taste rice cookie}
본 발명은 쌀이나 보리,율무 같은 곡물을 이용해 열과 압력을 가한 뒤 이를 팽화시켜 간식용 과자로 만드는 뻥튀기에 관한 것이다.
뻥튀기 제조법에는 밀폐한 원통형 용기 속에 다량의 옥수수 등의 곡물을 넣은 뒤 외부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용기 내부에 일정 범위의 온도와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였다가 순간적으로 용기를 개방하여 열과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곡물의 낱알을 팽화시켜 뻥튀기를 만드는 방법과,임의 개폐되는 원반상의 가열된 형틀에 쌀을 주로 한 곡물의 낱알들을 소량 넣은 뒤 형틀을 밀폐하여 이를 압착하였다가 순간적으로 형틀을 개방함으로써 곡물끼리 닿은 면이 융착해 원반형으로 팽창되는 쌀과자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중 후자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뻥튀기에 관한 것으로,그중에서도 떡볶이 맛을 내는 뻥튀기에 관한 것이다.
뻥튀기는 비교적 제조과정이 간단하고,천연 곡물을 재료로 하며,색소 등 별도의 인공 첨가물이 거의 들어가지 않고,가격이 저렴하고 열량도 높지않아 간식거리로 인기가 있다.
이러한 뻥튀기에 관련된 기술으로는,오징어를 분쇄하여 이를 압축팽창하는 방법('오징어 뻥튀기의 제조방법',국내 공개특허 제10-2001-0069468호),풋고추를 물미역 등과 함께 절단 후 혼합하여 소맥분·염분·생강 등과 혼합하여 고온으로 고형화시키는 방법('풋고추를 주제로 한 인스턴트식품 제조방법',국내 공개특허 제10-1986-0000026호),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쌀 이외의 재료를 단순 변경 내지는 혼합시켜 제조한 것으로 충분한 량의 쌀이 포함되지 않아 성형도 불완전할 수 있으며 맛에서도 뻥튀기라 하기에는 합당하지 않은 점이 있었다.
또,인조미와 흑미·코코넛 등을 혼합하고 숙성한 뒤 뻥튀기를 하는 방법('뻥튀기 제품의 제조방법',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98805호)이 있었으나,이는 인조미를 주성분(92%)으로 하고 흑미(3%) 및 코코넛(1%)을 소량 함유한 재료를 사용한 것으로 기존의 쌀 뻥튀기와 맛이나 식감이 별로 달라질 것 없는 것이었다.
또,쌀가루(현미가루와 백미가루의 혼합)에 뽕잎가루를 1~6% 혼합하여 압출한 뒤 건조하여 뻥튀기용 재료를 만드는 방법('뽕잎가루와 현미가루로 제조된 뻥튀기 제조용 펠릿',국내 등록특허 제10-0763244호)이 있었으나,이는 뽕잎과 현미의 영양성분을 함유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뻥튀기 맛의 개선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종래의 뻥튀기는 한결같이 쌀 위주로 만들어져 담백한 맛이 장점이기도 한 반면 금방 사라지는 별 특징 없는 맛이 단점이기도 하였다.또한 뻥튀기는 당연히 쌀이나 율무·옥수수 같은 곡물만으로 만들어진다는 고정관념 탓에 영양이나 맛에 변화를 주려는 시도도 부족하여,주소비층이 어린이나 다이어트를 위한 여성 등으로 국한된 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쌀을 주재료로 한 간식용 식품 중 가장 소비층이 넓고 선호도도 높은 식품인 떡볶이의 맛을 내는 뻥튀기 제품을 개시함으로써,떡볶이의 강한 맛을 강조한 뻥튀기로 새롭게 시장을 확대하고 판매 증진을 하려는 노력에서 시도되었다.
떡볶이 맛을 내는 뻥튀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쌀을 주재료로 하는 뻥튀기에 떡볶이 맛을 내도록 한 펠릿을 섞어 뻥튀기를 하고,나아가 땅콩이나 호두 같은 견과류의 분말이나 다시마나 미역 같은 해조류의 건조 분말,또는 시금치나 당근 같은 야채의 건조 분말을 포함하여 뻥튀기함으로써 맛과 영양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구매 욕구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뻥튀기는 맛은 물론 영양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특히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까지도 좋아하는 간식거리인 떡볶이 맛을 뻥튀기에 도입함으로써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서의 뻥튀기 판매량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뻥튀기의 색이 붉은 색과 흰색 등으로 선명하게 대비되어 시각적으로도 구매욕구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쌀을 주재료로 한 뻥튀기용 재료를 가열된 형틀 내에 넣고 이를 가압한 뒤 팽화시켜 뻥튀기를 만들되,상기 뻥튀기용 재료는 주재료인 쌀이 중량비로서 70~95%,부재료인 떡볶이맛용 펠릿이 5~30% 범위가 되도록 혼합 구성한 특징이 있다.이때 부재료인 상기 떡볶이맛용 펠릿의 제조과정은 쌀가루와 고추장 및 소금·감미제 같은 양념류를 혼합 반죽하여 이를 100℃ 이상의 증기로 찐 뒤 국수가닥 형태로 압출 및 건조하고 다시 이를 쌀알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영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뻥튀기용 재료에 주재료인 쌀과 부재료인 떡볶이맛 펠릿 외에 제2부재료를 3~10% 포함하는데,이때 제2부재료는 땅콩이나 호두 같은 견과류의 분말이나 다시마나 파래 같은 해조류의 분말,또는 시금치나 당근 같은 야채의 건조분말 중 어느 한 종류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뻥튀기(100)와 본 발명 뻥튀기(200)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도면에서 부호10은 주재료인 쌀알 부분이며,흑색으로 나타낸 부호20은 부재료인 떡볶이맛 팰릿 부분이다.
본 발명의 뻥튀기(200)는 종래의 뻥튀기(100)와 동일한 장비에서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된다.
단,재료 투입과정에서 본 발명의 뻥튀기는 주재료(10)와 부재료(20)를 혼합하여 투입하게 된다.
상기 주재료(10)는 백미,현미,흑미,인조미 등 통상 쌀의 범주에 드는 재료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즉,비율을 달리한 백미와 현미의 혼합물은 본 고안에서는 단일의 주재료(10)가 되는 것이다.그것은 뻥튀기 재료로서의 백미와 현미는 맛과 영양에서 서로 구분해야 할 만큼의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부재료(20)는 떡볶이 맛을 내기 위한 것인 바,본 발명의 요지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부재료(20)는 복수의 식품재료를 혼합 가공하여 떡볶이맛을 갖는 펠릿 형태로 만든 것으로,이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쌀가루와 고추장을 대략 동일 비율로 혼합한 뒤,소금·감미제 같은 양념류를 혼합 반죽한다.이때,쌀가루와 고추장의 혼합비는 제조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원하는 매운맛의 정도에 따라 함량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쌀가루 대신 밀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상기 양념류에는 마늘이나 생강·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감미제에는 설탕·꿀·올리고당 또는 스테비오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혼련 반죽된 상기 재료를 100℃ 이상의 증기로 찐 뒤(본 발명에서는 이를 증 숙과정이라 칭함),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고 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펠릿 형태로 만든다(본 발명에서는 이를 펠릿화과정이라 칭함).
그리고,상기 주재료(10)와 부재료(20)를 섞어 뻥튀기를 하는데,그 혼합비는 중량비로서 70~95%의 주재료,5~30%의 부재료가 되도록 한다.이때 혼합비의 비율은 생산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즉,전 공정에서 부재료(20)가 매운맛이 강하게 제조되었다면 뻥튀기할 때에는 부재료(20)의 비율을 다소 줄이는 것이 좋으며,또 매운맛을 높일 목적이라면 부재료(20)의 비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뻥튀기는 종래의 뻥튀기보다 매콤한 맛과 함께 눈에 띄는 색감의 차이를 갖게 된다.
또,본 발명 뻥튀기의 맛과 영양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2부재료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제2부재료로는 다양한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데,해조류인 다시마나 파래·미역·김,또는 견과류인 호두나 잣·땅콩·밤,또는 야채류인 당근·양파·감자·고구마 같은 식품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해 첨가한다.이때 상기 제2부재료의 식품재료들은 건조 후 분쇄된 것을 사용한다.또 재료의 종류에 따라 미리 찌거나 삶는 등 전처리가 필요한 재료들은 당연히 모두 전처리를 끝낸 것들을 사용한다.또 분쇄의 정도는 미세한 분말상태로 할 필요가 없으며,뻥튀기를 하기에 적당한 크기-쌀알 크기 범위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재료의 첨가량은 주재료(10)와 부재료(20)를 합친 양을 100으로 할 때 중량비로서 그 3~10%의 범위로 함이 적당하나,이는 반드시 지켜야 할 비율은 아니며 소비자 또는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10%를 초과한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1은 뻥튀기의 외형을 간단히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뻥튀기 과정을 설명한 공정도
*도면에 인용된 부호의 설명*
10;쌀알 부분 20;떡볶이맛 펠릿 부분
100;종래의 뻥튀기 200;본 발명의 뻥튀기

Claims (3)

  1. 쌀을 주재료로 한 뻥튀기용 재료를 가열된 형틀 내에 넣고 이를 가압한 뒤 팽화시켜 뻥튀기 과자를 만드는 뻥튀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뻥튀기용 재료로 주재료(10)인 쌀과 부재료(20)인 떡볶이맛 펠릿을 혼합 사용하되,
    상기 주재료(10)인 쌀은 백미·흑미·현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부재료(20)인 떡볶이맛 펠릿은,쌀가루와 고추장을 소금·감미제와 같은 양념류와 함께 혼합 반죽하는 과정,상기 반죽된 재료를 100℃ 이상의 증기로 찌는 증숙과정,상기 증숙된 재료를 압출 및 건조한 뒤 쌀알 크기로 절단하는 펠릿 형상화과정을 거쳐 제조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재료들의 혼합비를 중량비로서 주재료(10)인 쌀이 70~95%,부재료(20)인 떡볶이맛 펠릿이 5~30% 범위가 되게 하여 뻥튀기를 하는 특징이 있는,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뻥튀기 재료에 제2부재료를 더 첨가한 재료를 사용하여 뻥튀기를 하되,
    상기 제2부재료는;
    다시마나 파래·미역·김 같은 해조류,또는 호두나 잣·땅콩·밤 같은 견과류,또는 당근·양파·감자·고구마 같은 야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품재료를 건조 분쇄한 것이며,그 첨가량은 중량비로서 상기 주재료(10)와 부재료(20)의 합을 100%로 할 때 그 3~10% 범위로 더 첨가되는 특징이 있는,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의 뻥튀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떡볶이맛 뻥튀기.
KR1020090042878A 2009-05-16 2009-05-16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KR10115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78A KR101158987B1 (ko) 2009-05-16 2009-05-16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78A KR101158987B1 (ko) 2009-05-16 2009-05-16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790A true KR20100123790A (ko) 2010-11-25
KR101158987B1 KR101158987B1 (ko) 2012-06-21

Family

ID=4340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78A KR101158987B1 (ko) 2009-05-16 2009-05-16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261A (ko) * 2019-12-18 2021-06-28 농협경제지주 주식회사 인삼 분말을 포함하는 펠렛을 팽화하여 팽화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530B1 (ko) 2017-06-30 2018-10-16 한국식품연구원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
KR20190119283A (ko) 2018-04-12 2019-10-22 이문백 다겹의 뻥튀기 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186A (ja) 2000-06-21 2002-01-08 Sanko:Kk あられ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261A (ko) * 2019-12-18 2021-06-28 농협경제지주 주식회사 인삼 분말을 포함하는 펠렛을 팽화하여 팽화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987B1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71452B2 (ja) 米穀を主に含む油揚食品の製造方法
KR101119675B1 (ko) 과일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KR102144825B1 (ko) 고소애를 함유하는 떡갈비의 제조 방법
KR101158987B1 (ko) 떡볶이맛 뻥튀기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떡볶이맛 뻥튀기
JP2013252061A (ja) 肉粒及び/又は肉粉を含む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93124B (zh) 一种茶羹系列产品的生产方法
KR101733170B1 (ko)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5309A (ko) 즉석 떡볶이의 제조방법
KR102272515B1 (ko) 해조류를 이용한 간장 떡볶이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H01502476A (ja) サツマイモ、カサバ、食用アルム、アマランス、ヤマノイモ、ハスより製造される粉、パン、ミルクなどの製品類
KR101851984B1 (ko)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KR101418153B1 (ko) 찰떡을 내포하는 어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4342B1 (ko) 마늘 떡볶이의 제조방법
JP5879658B2 (ja) 錠剤状食品の製造方法
US2182175A (en) Method of preparation of leguminous foodstuffs
CN104054787A (zh) 一种坚果肉松夹心黑米酥及其制备方法
JP2008035755A (ja) 和菓子
JP2007195463A (ja) 加工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79424B1 (ko) 곡물 스낵 피이시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5643B1 (ko) 따개비 및 게가 첨가된 녹차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402B1 (ko) 요리용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9831A (ko) 마늘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KR101344865B1 (ko) 천연양념을 이용한 국내산 친환경 구운 나초스낵의 제조방법
KR101432968B1 (ko) 명아주나물을 이용한 메밀전병 제조방법 및 그 메밀전병
JPS608699Y2 (ja) スナツク菓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