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143A -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143A
KR20100120143A KR1020107017666A KR20107017666A KR20100120143A KR 20100120143 A KR20100120143 A KR 20100120143A KR 1020107017666 A KR1020107017666 A KR 1020107017666A KR 20107017666 A KR20107017666 A KR 20107017666A KR 20100120143 A KR20100120143 A KR 20100120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ule
module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560B1 (ko
Inventor
소라브 보서기
데이비드 랜달 노브
데이브 세일러
펠릭스 발러스테트
토마스 크리스프
Original Assignee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리아 엔터프라이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12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8Apparatus made of several modules independ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재구성 가능한 모듈화된 통신 장치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정보 제공 모듈과 정보 입력 모듈로 이루어진다. 정보 제공 모듈은 터치스크린 키패드 또는 다수의 모듈화된 키패드 혹은 다른 정보 입력 부속장치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단일의 베이스 유닛이다. 정보 입력 모듈은 사용자가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외관을 변경할 수 있게 해주며, 정확한 상황과 사용 모드에 들어맞는 그 기능성을 향상시켜준다. 정보 제공 모듈은 내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로서 자체적으로 동작하며, (스크린 터치 감지 키패드를 포함하는)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 메뉴 상에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카메라, 시계 및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모든 기능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허용한다. 강한 키 조작 혹은 부드러운 키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사용자 제어식의 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CUSTOMIZ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본 특허 출원은 2008년 1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US 61/020,299호, 2008년 4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US 61/047,711호, 및 2008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US 61/099,46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 및 희망하는 사용 모드에 따라 전적으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모듈화되고 재구성이 가능한 다기능 이동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휴대 전화(mobile or celluar phones)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 및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문화적인 풍경까지 바꿔놓고 있다. 수 천 가지에 이르는 휴대 전화의 모델과 스타일의 확산으로 인해 한 때는 과학기술의 경이(驚異)였던 것이 일상 용품이 되었다. 연간 5억대 이상의 세련되고 화려한 새 휴대 전화 단말기가 판매되고 있으며, 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 웹 브라우징, 비디오 게임 즐기기, 개인 정보의 관리, 사진 촬영, 및 다양한 상황, 모드 및 용량의 음악을 저장하고 재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휴대 전화기는 급속히 디지털 생활 방식의 중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패션 표출 방식이 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듈화된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교체에 의해 미적인 외관, 작동 기능, 또는 상기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customizable) 모듈화된 다기능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자극 신호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시되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 전자 회로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듈화된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교체에 의해 미적인 외관, 작동 기능, 또는 상기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customizable) 모듈화된 다기능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자극 신호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시되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 전자 회로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정보 제공 모듈 내의 전자 회로가 응답하는 신호를 반송(搬送)하는 도전체와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응답하는 사용자 생성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가능한 입력 장치를 갖는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대향의 주 표면들(major surfaces)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major surface)은 분리 가능한 전기 및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배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개구부에 배치될 때 이 정보 제공 모듈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내측 경계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개구부에 배치될 때 이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snap-fit)을 제공하도록 내측 경계부를 따라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위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 및 정보 제공 모듈과 연관된 결합 부재들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 부재들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개구부에 배치될 때 이들 결합 부재들이 공간적으로 정렬되고, 고정하는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대해 적소에 고정되는 결합 상태를 취하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인 양태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동 전화기 구성요소들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분리하고, 사용자의 보다 다양한 사용자 설정 욕구를 전적으로 그리고 저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POD"라고 불리는 다용성의. 기능적이며 재구성 가능한 모듈화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의 a, 1의 b, 1의 c 및 1의 d는 각각, 다양한 실시예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정보 입력 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있는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에 조립될 수 있고 그래서 결합 접속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람직한 정보 제공 모듈{혹은 "퍽(puck)"}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 입면도.
도 2의 a, 2의 b, 및 2의 c는 각각,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갖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 규격(form factor)의 키패드로 구현된 전화기 입력 모듈을 예시하기 위한 완전히 조립된 상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사용자의 오른손 손바닥에 쥔 상태를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3a, 3b, 및 3c는 각각,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갖는 손목 시계의 키패드로 구현된 전화기 입력 모듈을 예시하기 위한 완전히 조립된 상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찬 상태를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들.
도 4의 a, 4의 b, 및 4의 c는 각각, 접혀진 상태의 도 3a 내지 도 3c의 손목 시계의 평면도, 측면 입면도, 및 측면 윤곽 입면도이고, 도 4의 d와 도 4의 e는 각각, 펼쳐진 상태의 도 3a 내지 도 3c의 손목 시계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a, 5b, 및 5c는 각각, 목걸이 펜던트(pendant)로 구현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정보 제공 모듈의 사시도, 정면 입면도, 및 측면 입면도이고, 도 5d는 목 둘레에 목걸이 펜던트를 건 사용자의 정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아치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가지며 양손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된 키패드로 구현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문자 메시지 입력 모듈을 예시하기 위한 완전히 조립된 상태, 및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평면도들이고, 도 6c와 도 6d는 각각 도 6a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정면 입면도 및 좌측면 입면도이며, 도 6e는 양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키보드를 쥐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6a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아치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가지며 양손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된 게임 패드 입력 모듈을 예시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양손으로 조이스틱/내비게이션 키 및 게임용 버튼의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가 쥐고 있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a와 8b는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스피커를 구비한 차량용 도킹장치(dock)로 구현된 전화기 입력 모듈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차량용 대시보드(dashboard)에 고정되어 이로부터 연장된 관절형 부착 암(articulating attachment arm)에 의해 지지되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9a, 9b, 및 9c는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중앙 개구부를 갖는 환상(環狀: annular) 키패드 형태의 손에 쥐는 메달(medallion)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손목 둘레의 띠(strap)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바닥에 쥐여진 전화기 입력 모듈을 도시하기 위한 완전히 조립된 상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의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0a, 10b 및 10c는 도 1의 a 내지 도 1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형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부를 갖는 플렉시블(flexible) 키패드로 구현된 전화기 입력 모듈을 예시하기 위한 펼쳐진 상태로 완전히 조립된 상태, 펼쳐진 상태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그 내부 표면을 접는 방향으로 약간 접은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폴더형의(접힐 수 있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내부 표면의 사시도들이고, 도 10d 및 도 10e는 각각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의 입면도들이며, 도 10f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측면 윤곽 입면도이고, 도 10g와 도 10h는 그 내부 표면이 내부 표면 위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닫혀진 도 10e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외부 표면의 디자인 패턴 및 이미지 카메라 부분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된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휴대 전화기 키패드를 예시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2의 a, 12의 b, 12의 c, 및 12의 d는 각각, 도 11의 정보 제공 모듈의 정면도, 측면 입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
도 13은 분실 방지 특징부를 제공하도록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의 정보 제공 모듈과 함께 상호 작용하는 열쇠고리(key-fob)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PDA를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오디오 플레이어(multi-purpose audio player)를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는 이미지 카메라를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초슬림형 휴대 전화기 키패드를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18의 a와 도 18의 b는 각각, 장식용 덮개(accent cover)가 정보 제공 모듈의 측면 가장자리 및 배면 표면 위로 끼워 맞춰지는 방식을 예시하고, 사용자가 개인 설정 방식의 패션 액세서리로서 정보 제공 모듈을 착용할 수 있게 장식용 끈이 끼워진 개방형 고리가 설치된 장식용 덮개를 또한 별도로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정보 제공 모듈용의 장식용 덮개의 사시도.
도 19는 정보 입력 모듈과 퍽(puck)(204)이 서로 결합될 때 이들이 취하게 되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다른 양태의 전기 접촉 부재들을 도시하는, 도 11의 정보 입력 모듈과 퍽의 횡단면도.
도 20과 도 21은 각각, 정보 입력 모듈의 스프링 편향식 접촉 부재들과 퍽의 오목한 접촉 부재들을 도시하는, 도 19의 정보 입력 모듈 및 퍽의 부분 등각 투상도.
도 22는 도 20의 스프링 편향식 접촉 부재들 중 하나의 접촉 부재의 확대 등각 투상도.
도 23은 도 20의 접촉 부재들의 부분 등각 투상도.
도 24는 상기 퍽의 하단측 가장자리에 있는 홈에 끼워 넣어진 접촉 부재들의 단부를 도시하는, 도 19의 퍽의 내부의 부분 등각 투상도.
도 25는, 설치되었을 때 퍽에 대한 밀폐 용기 및 삽입된 숫자 패드에 대한 밀폐 환경을 제공하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제작된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6의 a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 안으로 삽입되기 위한 위치의 퍽을 도시하는, 도 25의 26A-26A 선을 따라 취해진 정보 입력 모듈의 단면도.
도 26의 b는 정보 입력 모듈과 밀착 관계로 바닥에 대해 퍽을 적소에 고정시키는 도 25의 정보 입력 모듈의 일부의 확대 부분 횡단면도.
도 27과 도 28은 이중 모드 작동식 스마트폰(bimodal operation "smart" telephone)으로 구성된 손에 쥐고 사용하는 폴더형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29는 PDA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풀펑션 키보드(full-function keyboar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사시도.
도 30과 도 31은 각각, 퍽이 정보 입력 모듈과 결합되고 키보드가 그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29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2와 도 33은 각각, 퍽이 정보 입력 모듈과 결합되고 키보드가 그 집어넣어진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29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4과 도 35는 각각, 퍽과 정보 입력 모듈이 서로 결합될 때 이 퍽을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locking mechanism)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그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서 도시됨)을 구비하여 구성된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의 부분 분해 등각 투상도.
도 36과 도 37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이 그 확장된 잠금 위치 및 그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4 및 도 35의 정보 입력 모듈의 하부 표면의 부분 등각 투상도.
도 38은 도 34의 38-38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8a는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을 확장시키고 또한 집어넣기 위한 슬라이더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 34 및 도 35의 정보 입력 모듈의 하부 표면의 등각 투상도.
도 39와 도 40은 각각, 인쇄 회로 기판이 그 확장된 잠금 위치 및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취해지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도시된 도 34 및 도 35의 정보 입력 모듈과 퍽의 횡단면도.
도 41은 다른 양태의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로 구현되고 이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가 그 확장된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정보 입력 모듈과 퍽이 취하게 되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도시된, 도 34와 도 35의 정보 입력 모듈과 퍽의 횡단면도.
도 42는 도 41의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의 슬라이드 가능한 부분인 플렉스 회로 홀더(flex circuit holder), 및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의 고정 부분인 주 회로 기판에 플렉스 회로 홀더를 상호 전기 접속시키는 플렉스 회로 리본(ribbon)의 부분 도면.
도 42a는 제2의 다른 양태의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로 구현된 정보 입력 모듈의 분해 등각 투상도.
도 42b와 도 42c는 잠금 위치의 슬라이더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 42a의 정보 입력 모듈의 횡단면도.
도 42d는 잠금 해제 위치의 슬라이더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 42a의 정보 입력 모듈의 횡단면도.
도 42e와 도 42f는 각각 잠금 해제 위치 및 잠금 위치의 슬라이더 스위치를 도시하기 위해 제1의 하우징부를 제거한 상태의 도 42a의 정보 입력 모듈의 정면도.
도 42g는 슬라이더 스위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42a의 정보 입력 모듈의 하부 표면의 부분 등각 투상도.
도 43은 충전기의 도킹장치 개구부에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충전기에 상주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solid state memory)에 저장할 수 있게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된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화기 송수화기(handset:핸드셋) 형태의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4는 하단 표면에는 퍽의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발생된 음을 전달하는 음 방출구(sound emission holes)를 구비하고 하단측 가장자리에는 충전기의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로의 정보 다운로드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IR 링크 창(link window)을 구비한 도 43의 정보 입력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45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의 전반적인 외관의 신속한 사용자 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색상 또는 외부 디자인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교체 가능한 전면 플레이트 및 도 43의 정보 입력 모듈의 분해도.
도 45a는 영상 통신(video telecommunicationi)을 위한 비디오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충전기의 도킹장치 개구부에 거치된 도 43 내지 도 45의 정보 입력 모듈의 사시도.
도 46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감상 장치(image viewing device: 영상을 보는 장치) 형태의 정보 입력 모듈의 부분 분해 배면 사시도.
도 47은 전면 표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도 46의 이미지 감상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48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비즈니스 폰 도킹장치(business phone dock) 형태의 정보 입력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9의 a와 도 49의 b는 각각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에 쥐고 사용하는 폴더형 혹은 플립형 전화기 형태의 정보 입력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및 측면 입면도.
도 50의 a, 50의 b 및 50의 c는 각각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헬쓰 모듈(health module) 형태의 정보 입력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50의 d는 사용자의 목 둘레에 걸린 헬쓰 모듈의 정면도.
도 51은, 정보 제공 모듈의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이 정보 제공 모듈이 결합되는 정보 입력 모듈의 기능들에 의해 규정되는, 모듈화된 범용 인터페이스 특징을 예시하기 위한,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의 정보 제공 모듈, 및 다양한 정보 입력 모듈의 다이어그램.
이동 통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최신의 통신 기술과 기정립된 인간의 행동 양식을 서로 융합시켜준다. 구체적으로 기재된 통신 장치의 몇몇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동 전화기의 실시예들이다. 급속도로 상품화되고 빠르게 분화되는 시장 환경 내에서 기회를 찾음으로써, 본 출원인은 또 다른 다기능 이동 전화기의 개발로부터 벗어나는 기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모듈화된 다기능 이동 전화기의 설계는, 익숙한 방식으로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려는 개인적인 요구로부터, 비즈니스 전문가들의 인터넷에 대한 수월한 접속 및 이메일 메시지의 용이한 송수신, 및 십대들의 즉석에서 그들의 전화기를 원하는 형태로 사용자 설정할 수 있는 요구에 이르는 잠재적인 사용 상황과 함께 여러 가지의 사용자 프로파일 지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인의 기술, 통신 및 인간 행동에 대한 개념적인 탐구는 몇 가지 재미있는 결과들을 보여주었다. 이동 전화기는 지속적으로 소형화되는데 반해, 인간의 손가락은 그렇지 않다. 실제로, 키패드는 이들 장치(전화기)의 가장 큰 구성요소로 남아있다. 키패드는 또한 전화기에서 가장 싼 구성요소이면서 가장 재구성 가능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키패드를 이동 전화기 구성요소들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분리하고, 사용자의 보다 다양한 사용자 설정 욕구를 전적으로 그리고 저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POD"라고 불리는 다용성의. 기능적이며 재구성 가능한 모듈화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POD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그 물리적인 외관(형태)으로 인해 "퍽(puck)"이라고 불리는 정보 제공 모듈과, 예컨대 키패드와 같은 정보 입력 모듈로 구성된다. 정보 제공 모듈과 정보 입력 모듈은 서로 결합된다. 퍽은 터치스크린 키패드 또는 다수의 모듈화된 키패드 혹은 다른 정보 입력 부속장치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단일의 베이스 유닛이다. 퍽은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서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퍽에 의해, POD는 그 사용자의 다양한 미적인 감각 및 다양한 사용 모드를 다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제품의 외관 형상을 변경할 수 있고 정확한 상황 및 사용 모드에 알맞도록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퍽은 바람직하게는 통신 및 디스플레이 신호 처리 회로, 및 반응식(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또는 비반응식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에너지 공급장치(배터리), 및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POD의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통신 신호 커넥터들 또는 다른 장치들은 퍽의 외측 환상부(ring) 또는 배면 표면에 배치된다. 퍽은 내비게이션 키로서 자체적으로 동작하며, {스크린 터치 감지 키패드(on-screen touch sensing keypad)를 포함하는} 그 스크린 메뉴 상에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 시계,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모든 기능들에 대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내비게이션 키 작동기는 기계식 키,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기능 작동 영역을 포함한다. 강한 키 조작 혹은 부드러운 키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혹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근방에서 사용자 제어식 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진다.
POD가 종래의 이동 전화기, PDA, MP3 플레이어, 및 게임기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모듈의 사용에 의해 기능들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플렉스 회로(flex circuit: 가요성을 갖는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많은 다양한 형상, 외관 처리, 및 가죽, 천,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및 금속과 같은 재료로 저렴하게 교체 가능한 키패드가 케이스 내에 넣어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정보 입력 모듈에서의 다른 기능 제어 또는 (키패드 모듈의 제거에 의한) 더 적은 기능 제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퍽에 있어서의 스크린 터치 감지 키패드 사용은 POD의 설계 다양성을 향상시켜준다. 또한, POD의 배면 표면 상의 장식용 덮개는 그 외관을 수월하게 사용자 설정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모듈화 설계 방식은, 상징적인 장치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사용상의 차이 및 사용자의 차이를 초월하는 소형이면서, 저렴하고, 사용자 설정 가능하며, 우수한 기능상의 해결책을 구현한다.
다양한 교체 가능한 부속장치들을 통해서 사용자의 정확한 요구 및 희망 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수월하고 저렴하게 사용자 설정할 수 있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POD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 전화, 문자 메시지,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의 촬영, 음악 감상, 비디오 보기, 또는 비디오 게임 경험을 바꾸어 놓는다. POD는 공유된 정보 제공 모듈 즉, 퍽(20)을 기초로 한 다양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그 매력적인 소형의 실시예가 도 1의 a, 1의 b, 1의 c 및 1의 d에 도시되어 있다. 퍽(20)은 바람직하게는 초소형의 세련된 형상(예들 들면,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현되며 손 안에 편하게 잘 들어맞으며, 목걸이(도 5a) 또는 손목시계(도 3a)와 같은 장신구를 통한 패션 표출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거나, 많은 다양한 형태, 재료, 외관 처리, 및 색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다른 정보 입력, 키패드, 혹은 도킹 모듈(도 2의 a, 6a, 7a, 8a, 9a, 10a, 11, 14, 15, 16, 17, 25, 27, 29, 34 및 43 참조)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a, 1의 b, 1의 c, 및 1의 d를 참조하면, 퍽(20)은 그 전면 측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2), 그 배면 측에 이미지 카메라(24), 및 그 내부에 예를 들면 배터리와 같은 전원(도시하지 않음)과, 사용자의 자극 없이, 사용자의 자극에 의해, 혹은 두 가지 방식 모두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관련 내부 전자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모듈이다. 내부 전자 회로는 하나 이상의 휴대 전화기, 이미지 카메라, FM 라디오, 호출, PDA, MP3, GPS 및 전자 메시지 신호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심벌 및 패턴, 캘린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이미지 혹은 가청 정보를 제공하는 기타 통신 신호들을 수신, 송신, 또는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 비디오 및 이메일 메시지 신호의 수신 및 이미지 패턴의 표시(예를 들면, 시간)는 부합하는 사용자 자극 없이 전형적으로 이루어진다. 퍽(20)의 외주(外周)(36)에 있는 상단 환상 림(top annular rim)(34) 상에 위치한 제어 버튼(30)은 디스플레이 모드(예를 들면, 시계 문자판 또는 장식 패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들(예를 들면, 이동 전화 통화의 음성 메시지로 전환)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enableing or disabling)할 수 있도록, 또는 특정 동작 상태들(예를 들면, 메뉴 구조를 통한 네비게이션의 제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사용자 제어식 동작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2)과 같은 (현재 이용 가능한 터치 감지 기술로 구현된)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고 원하는 동작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의 기능 작동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의 a, 1의 b, 및 1의 d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전면 표면(40)과 전체적으로 편형한 배면 표면(42)을 갖는 디스크 형태의 퍽(20)을 도시한다. 전면 표면(40)은 배면 표면(42)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전면 표면(40)과 배면 표면(42)을 잇는 둘레의 경사진 측면 가장자리(44)는, 다수의 정보 입력 모듈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상보(相補)적인 측면 표면과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2의 a, 2의 b 및 2의 c는 종래의 이동 전화기 규격(form factor)의 키패드(52) 형태로서 설계된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50)를 도시한다. 키패드(52)는 그 상부 표면(54) 상에 한 세트의 종래의 키패드 버튼(56)을 구비하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개구(58)에 퍽(20)을 수용한다.
도 3a, 3b, 및 3c는 손목시계 밴드(62)의 형태로서 키패드로 구현된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60)를 도시한다. 손목시계 밴드(62)는 듀퐁(Dupont)사에 의해 제조된 상표명 캡톤(KaptonTM)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플렉시블한, 탄성을 갖는 전자 회로 기판 재료로 제작되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성한 형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특성을 갖는다. 손목시계 밴드(62)는 그 외부 표면(64) 상에 한 세트의 종래의 키패드 버튼(66)을 구비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개구(68)에 퍽(20)을 수용한다. 도 4의 a, 4의 b, 및 4의 c는 사용자가 손목시계 형태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60)를 착용했을 때 취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접혀진 상태의 손목시계 밴드(62)를 도시한다. 도 4의 d와 도 4의 e는 각각 손목시계 밴드(62)의 내부 표면(70)과 퍽(20)의 이미지 카메라(24), 및 키패드 버튼(66)을 갖는 손목시계 밴드(62)의 외부 표면(64)과 퍽(20)의 디스플레이 표면(22)을 예시하는 펼쳐진 편평한 상태의 손목시계 밴드(62)를 도시한다.
도 2의 b와 도 3b를 참조하면, 키패드(52)의 원형 개구(58)와 손목시계 밴드(62)의 원형 개구(68) 각각은 퍽(20)의 둘레의 경사진 측면 가장자리(44)의 표면에 상보적인 경사진 형상의 내측 표면(74)을 갖는다. 내측 표면(74)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76)는 퍽(20)이 개구(58 또는 68)에 설치되었을 때 이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78)에 신호를 전달하고 또한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기 접촉부들(76, 78) 대신에 적외선(RF) 또는 블루투쓰 송신기 및 센서 장치들로 대체하면, 퍽(20)이 정보 입력 모듈에 설치되었을 때 퍽(20)에 신호를 전달하고 또한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른 양태의 통신 링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2의 a와 도 3a는 퍽(20)이 키패드(52)와 손목시계 밴드(62)에 설치되어, 각각 종래의 이동 전화기 규격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50) 및 손목시계 형태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60)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의 c와 도 3c는 각각,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종래의 이동 전화기 규격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50)와 사용자의 손목에 찬 손목시계 형태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60)를 도시한다.
도 5a, 5b, 5c 및 5d는 목걸이 펜던트(80)로서 목에 걸 수 있게 된 정보 제공 모듈을 도시한다. 목걸이 펜던트(80)는 장식용 연결대(ornamental stem)(84)를적소에 수용하여 잠글 수 있도록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에 형성된 홈(recess)(82)을 구비한 퍽(20)을 포함한다. 연결대(84)는 자유단(86)을 가지며, 이 자유단(86)에는 개구(88)가 형성되고 이 개구(88)는 목걸이(9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5a는 휴대 전화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퍽(20)에 걸려온 전화의 (송신자) 신원(ID)을 표시하도록 목걸이 펜던트(8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2) 상에 나타난 전화번호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이미지 카메라(24)의 개구가 위치한 퍽(2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한 가지 가능한 경우로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정상 상태(steady-state)의 디스플레이 패턴 및 시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목걸이 펜던트(8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2) 상에 나타난 시계 문자판을 도시하고 있다. 홈(82)으로부터 연결대(84)를 빼내는 것은, 선택된 키패드 모듈에 따라 사용자가 퍽(20)을 다른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예를 들면 키패드(52) 또는 손목시계 밴드(62)에 퍽(20)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 많은 방법 들 중 하나이다.
도 6a, 6b, 6c, 6d, 및 6e는 퍽(20)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에 위치한 아치형 절취부(104)를 상단측 가장자리에 구비하고 또한 한 세트의 키들(106)을 갖는 소규모의 풀펑션(full-function) 키보드(102)를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전기 접촉부들(78)은 개방 단부의 내측 표면(74) 상의 전기 접촉부들(76)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풀펑션 키보드(102)는 PDA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 같이 양손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퍽(20)과 함께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7a와 도 7b는 퍽(20)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에 배치된 아치형의 절취부(114)를 상단측 가장자리에 구비하고 또한 두 세트의 게임 제어 작동기들(116과 118)을 구비하는 게임 패드 모듈(112)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10)를 도시하고 있다. 게임 제어 작동기들(116과 118)은 각각 조이스틱/내비게이션 키 및 게임용 버튼들을 나타낸다. 게임 패드 모듈(112)은 그래픽 칩(graphics chip) 및 비디오 데이터 저장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전기 접촉부들(78)이 개방 단부의 내측 표면(74) 상의 전기 접촉부들(76)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는 점에서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0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게임 패드 모듈(112)에의 퍽(20)의 배치 및 퍽(20)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통신 장치(110)은 게임 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퍽(20)은 예를 들면 게임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에도 휴대 전화의 통화를 수신하는 등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 8a 8b는 퍽(20)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에 위치된 아치형의 절취부(134)를 상단측 가장자리에 구비한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로서 구현된 모듈화된 통신 장치(130)를 도시하고 있다.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전기 접촉부들(78)은 개방 단부의 내측 표면(74) 상의 전기 접촉부들(76)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은 키들(136)로 구성된 키패드 및 별도의 픽업(pickup:통화)/행업(hangup: 통화 종료) 버튼(138)을 포함하며, 이들 키 및 버튼 모두는 차량 운행 중에 사용자에 의한 수월한 작동 및 번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에는 처음에 전화를 걸거나 수신함에 따라 핸즈프리 동작이 가능하도록 스피커(140)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은 GPS(위성항법장치) 기능 및 음악 전송 및 및 저장 기능을 갖도록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의 배면 표면에 고정된 관절형 부착 암(articulating arrachment arm)(142)은 사용자가 통신 장치(130)의 위치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승용차의 대시보드 등과 같은 차량의 대시보드(144)로부터 연장되며 이에 고정되어 있다. 차량용 도킹장치 입력 모듈(132)은 또한 차량의 대시보드(144)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a, 9b, 및 9c는 사용자의 손바닥 안에 들어맞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목 둘레에 띠(strap)에 의해 고정되는 메달(medallion) 형태로 구성된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50)을 도시하고 있다. 환상(環狀)의 정보 입력 모듈(154)은 그 둘레(156)를 따라 분포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개별 숫자 키패드(158)를 포함한다. 환상의 정보 입력 모듈(154)은,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전기 접촉부들(78)이 개방 단부의 내측 표면(74) 상의 전기 접촉부들(76)과 정렬되게 위치되도록 퍽(20)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의 원형 개구(160)를 갖는다. 모듈화된 통신 장치(150)는 휴대 전화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는 지갑 형태로 접혀지며 퍽(2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개구(174)를 갖는 키패드 및 입력 모듈(172)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70)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 모듈(172)은 또한 직사각형 혹은 정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통신 장치(170)는 퍽(20)이 설치되었을 때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배치를 나타내지만, 입력 모듈(172)은 손목시계 밴드(62)를 만드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플렉시블한 탄성의 전자 회로 기판 재료로 제작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퍽(20)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44) 상의 전기 접촉부들(78)은 원형 개구(174)의 내측 표면(74) 상의 전기 접촉부들(76)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도 10d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70)의 내부 표면(176) 상의 퍽(2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을 도시하고, 도 10e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70)의 외부 표면(178) 상의 퍽(20)의 이미지 카메라를 도시한다.
도 10c는 내부 표면(176)을 그 내부 표면(176) 위로 완전히 포개어지도록 하여 모듈화된 통신 장치(170)가 도 10g와 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입력 모듈(172)의 접힘 방향을 나타내는 곡선 방향의 화살표(18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g는 외부 표면(178)의 디자인 패턴 부분(182)을 도시하고, 도 10h는 외부 표면(178)의 이미지 카메라 부분(184)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휴대 전화기, 플래쉬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오디오 스피커가 구비된 퍽(204)과 숫자 키패드를 갖는 정보 입력 모듈(202)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2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아래에 기재된) 도 12의 b와 도 12의 d도 또한 참조하여, 퍽(204)을 수용하는 직사각형 개구부(209)를 갖는 정보 입력 모듈(20)과 퍽(204)의 결합을 예시하기 위해 부분 분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퍽(204)은, 상단측 가장자리(206), 하단측 가장자리(226), 우측 가장자리(227) 및 좌측 가장자리(231)(도 12의 a에 도시됨)의 네 개의 측면 가장자리로 구분되는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개구부(209)는, 완전히 닫혀지고 퍽(204)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측벽들(237, 241, 242 및 243)에 의해 마련된) 내측 경계부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즉, 측벽들(237, 241, 242 및 243)은 퍽(204)이 개구부(209)에 배치되었을 때 퍽(204)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테를 두르게 된다.
도 12의 a, 12의 b, 12의 c, 및 12의 d는 전체적으로 평면인 대향의 주(主) 표면들을 갖는 박형의 직사각형 몸체를 구비한 퍽(204)의 다수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퍽(204)은 그 상단측 가장자리(206) 근처에 휴대 전화기 안테나(208)와 블루투쓰 근거리 무선 링크 안테나(210)를 구비한다. 퍽(204)은 그 전면 표면(212)에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Santa Clara, CA) 소재 시냅틱스사(Synaptics Inc.)의 상표명 터치패드 커패시티브 테크놀러지(TouchPadTM capacitive technology)와 같은 용량성 터치 감지 기술(capacitive touch sensing technology)로 구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16)을 구비한다. 미적인 이유 및 기능상의 이유로 인해, 디스플레이 표면(216)은 바람직하게는 퍽(204)의 전면 표면(212)의 가능한 최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퍽(204) 내에 격납된 신호 제어 및 처리 회로와 오퍼레이션 메모리(operational memory)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는, 퍽(204)의 상단측 가장자리(206) 근처의 배면 표면(222)에 있는 개구부에 노출되는 오디오 스피커(220) 및 안테나(208)와 연계되어 휴대 전화기의 작동을 가능케 한다. 마이크로폰(224)은 퍽(204)의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표면(216)과 오디오 스피커(220)는 디스플레이 표면(216)의 깔끔함을 도모하기 위해 각각 퍽(204)의 반대편 표면들(212 및 222)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표면(216)과 오디오 스피커(220)의 이러한 배치는 전면 표면(212) 또는 배면 표면(222)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따라 이들 디스플레이 표면(216)과 오디오 스피커(220)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퍽(204)의 전체적인 길이 또는 폭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퍽(204)의 길이 또는 폭을 줄임으로써, 퍽(204)을 보다 더 소형화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표면(216)이 퍽(204)의 전면 표면(212) 상에서 가능한 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퍽(204)의 전자 회로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오퍼레이션 기능 작동 영역을 제공한다. 전자 회로는 또한 원하는 경우에 정보 입력 모듈(202)과는 별도의 휴대 전화 사용을 가능케 하도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키패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퍽(204)은 전화 번호 및 개인 설정들 저장하기 위한 (SIM) 메모리 카드(228)와, 무음(silent) 전화 벨소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진동 알람장치(230)를 구비한다. 심 메모리 카드(228)는 배터리(232)의 뒤에 위치되어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있는 슬롯(229)을 통해 퍽(204)의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으며, 진동 알람장치(230)는 상단측 가장자리(206) 근처에 배치된다. 블루투쓰 무선 링크 안테나(210)의 존재는 원격의 사용자 착용식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통신 신호 장치 위치들을 갖도록 구성된 정보 입력 모듈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퍽(204)은 중복되는 두 세트의 동시 작동하는 적외선(IR) 통신 송신기(emitter) 및 검출기를 구비하며, 이들 두 세트 중 한 세트는 퍽(204)의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위치된 IR 리크 창(link window)(234)과 연관되고, 나머지 한 세트는 퍽(204)의 배면 표면(222)에 있는 IR 링크 창(236)과 연관된다. 중복된 IR 링크들은 퍽(204)과 다양한 정보 입력 모듈들 사이에 양립하는 통신 링크들을 보장하는데, 이는 중복된 IR 링크들 각각의 형상과 방식이, 정보 입력 모듈의 통신 링크 창이 복수의 기설정된 위치들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요하기 때문이다. 도 11의 정보 입력 모듈(202)의 경우에, 퍽(204)의 IR 링크 창(234)은 정보 입력 모듈(202)의 개구부(209)의 하단 측벽(237)에 있는 대응하는 IR 링크 창과 공간적으로 정렬된다. 퍽(204)과 결합되지만 그 하단측 가장자리(226)는 개방 상태로 남겨두도록 구성된 정보 입력 모듈의 경우에는, 배면 표면(222) 상에 있는 IR 링크 창(236)이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배면 표면의 IR 링크 창이 정보 입력 모듈의 편평한 표면 영역 상의 IR 링크 창과 공간적으로 정렬되게 되는 퍽 모듈의 예로는, 각각 도 5a와 도 10a에 도시된 유형의 장신구 및 지갑이 포함된다.
도 12의 b와 도 12의 d는 퍽(204)의 상단측 가장자리(206) 및 하단측 가장자리(226)에서 전체적으로 중앙에 위치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얕은 홈들(shallow grooves)(238)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홈(238) 각각은 그 하단 표면상에 직선 도전체를 지지한다. 각각의 퍽(204)의 두 개의 홈(238)에 지지되는 도전체들은 퍽(20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정보 입력 모듈(202) 내의 개구부(209)의 반대편 측벽들(237 및 242)을 따라 끼워 넣어진 도전성 로드들(rods, 240)(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퍽(204)에 전력이 공급된다. 로드들(240)은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202)에 결합될 때 퍽(204)의 대응하는 홈들(238) 안으로의 확실하고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snap-fit)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구부(209)의 측벽들(237 및 24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정보 입력 모듈(202)은 퍽(204) 내의 배터리(232)의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도관 또는 배터리 충전기로서 기능한다. 로드들(240)은 또한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202) 사이에서 다른 양태의 데이터 및 제어 통신 링크로서 기능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측벽(237)을 따라 위치된 로드(240)는 이 측벽(237)의 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벽(237)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로드(240)는 퍽(204)이 개구부(209) 내에 배치될 때 퍽(204)의 하단측 가장자리(226)로부터 이 로드(24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응답하여 측벽(237)에 대해서 움직인다. 예를 들면, 측벽(237)을 따라 위치된 로드(240)는 스프링 편향식(spring-biased)(즉, 스프링 장착)이거나 자체적으로 약간의 탄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측벽(237)을 따라 위치된 로드(240)는, 이 로드(240)와 그 대응하는 홈(238)이 공간적으로 정렬될 때 홈(238) 안으로 스냅 결합되도록 탄성을 갖는다. 측벽(242)을 따라 위치된 로드(240)는 측벽(242)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측벽(242)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2의 c는 퍽(204)의 배면 표면(222)에 있는 해당 개구부들을 통해서 작동할 수 있도록 적소에 수용된 카메라(246)와 그 관련 플래쉬 조립체(248)를 도시하고 있다.
퍽(204)에 있는 움푹 들어간 온-오프 버튼(250)은 정보 입력 모듈(202)의 개구부(209)에 결합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입력 모듈(202)은, 오디오 스피커(220)로부터의 음 방출 및 카메라(246)와 그 관련 플래쉬 조립체(248)에 의한 이미지의 획득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를 위한 개구부(254)를 갖는 바닥(floor, 252)을 구비한다. 당업자는 POD(또는 퍽, 204)가 정보 입력 모듈(202)과는 별도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16)이 작동 다이얼 터치패드를 제공하도록 퍽(204)이 프로그램되는 경우에는, 정보 입력 모듈(202)과는 별도로 특정의 휴대 전화 기능이 퍽(204)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실행 가능한 많은 작동 기능들 및 설계 형태들이 있다.
블루투쓰 무선 링크 안테나(210)는 퍽(204)의 분실 방지 특징부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퍽(204)의 전자 회로는, 사용자의 열쇠꾸러미, 지갑, 주머니 또는 다른 개인 용품에 부착된 블루투스 무선 링크가 인에이블된 열쇠고리(key-fob)(260)에 의해 수신되는 지속적인 신호를 송신한다. 도 13은 시각적인 표시장치 및 가청 알람장치로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262)가 구비된 배터리 동작식 장치인 열쇠고리(260)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전기 회로(264)는 사용자가 열쇠소리(26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게 하며, 퍽(204)으로부터의 설정 한계 거리에 대응하는 블루투쓰 신호의 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거리 제어기(266)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가청 음 볼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볼륨 제어기(268)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신호 강도 및 음 볼륨의 조절은 또한 퍽(204)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열쇠고리(260)와 퍽(204)(단독으로 또는 정보 입력 모듈(202)과 결합되었을 때 어느 경우이든) 사이의 거리가 사용자가 설정한 한계 거리를 넘어설 때마다, 열쇠고리(260)는 LED(262)에 의한 시각적인 신호 또는 알람에 의한 가청 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발생시킨다. 분실 방지 특징부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회로가 열쇠고리(260)에 설치되어 블루투쓰 무선 링크가 인에이블된 퍽(204)에 의해 수신되는 지속적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문자 및 숫자 키패드를 갖는 정보 입력 모듈(272)과 PDA로 동작하도록 프로그램된 퍽(204)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27)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정보 입력 모듈(272)은, 홈(238) 안으로의 스냅 결합에 의해 퍽(204)을 수용하여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 퍽(204)에 전력과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개구부(209)를 갖는다.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정보 입력 모듈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퍽(204)의 전자 회로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이미지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회전(기능)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이 구현된다. 이러한 이미지 회전 기능은, 퍽(204)이 결합되는 정보 입력 모듈의 기본적인 사용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퍽(204)이 수직 방향으로 더 긴 치수를 갖는 정보(예를 들면, 도 11) 및 수평 방향으로 더 긴 치수를 갖는 정보(예들 들면, 도 14)를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정보 입력 모듈(272)의 하단 측벽(237)에 있는 IR 링크 창으로부터 퍽(204)의 IR 링크 창(234)으로 전달된 신호는 이미지 배향을 설정하는 이미지 회전 명령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서도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다용도 오디오 플레이어로서 기능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28)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오디오 플레이어(28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86)을 갖는 퍽(204)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퍽(284)을 수용하도록 되고 휴대 전화기 또는 뮤직 플레이어(음악 재생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정보 입력 모듈(282)을 포함한다. 정보 입력 모듈(282)은, 홈(238) 안으로의 스냅 결합에 의해 퍽(284)을 수용하여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 퍽(284)에 데이터 및 제어 정보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개구부(209)를 갖는다. 퍽(284)은, 적절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오디오 스피커들(288)을 수용하는 정보 입력 모듈(282)에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음악 선택 및 사용자가 행하는 다른 동작 제어의 작동을 위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286)을 터치한다. 정보 입력 모듈(282)은 통신 장치(280)가 스피커폰(speaker phone)으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290), 볼륨 제어기(292) 및 디지털 터치패드(292)와 같은 일종의 사용자 제어식 명령 입력부들을 포함한다.
도 16은 획득된 이미지의 전송 기능을 갖는 이미지 카메라로서 기능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3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미지 카메라 장치(300)는 퍽(204)의 길이 및 폭 치수와 동일한 길이 및 폭 치수를 갖는 퍽(304)을 수용하도록 된 정보 입력 모듈(302)을 포함한다. 정보 입력 모듈(302)은 그 배면 표면(306) 상에 조립된 렌즈 조립체(308)를 구비하며, 퍽(304)은 획득되고 저장될 이미지를 그 디스플레이 표면(310) 상에 보여주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입력 모듈(3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홈(238) 안으로의 스냅 결합에 의해 퍽(304)을 수용하여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 퍽(28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개구부(209)를 갖는다. 정보 입력 모듈(302)은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312), 카메라 셔터 작동기(314) 및 렌즈 조절 제어기(316)와 같은 일종의 사용자 제어식 명령 입력부들을 포함한다. 퍽(304)에 사용자 제어식 명령들을 전달하고 저장 또는 기타 장소로의 전송을 위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정보 입력 모듈(302)에 전달할 수 있도록 퍽(304)의 IR 링크 창(234)은 대응하는 정보 입력 모듈(302)의 IR 링크 창과 공간적으로 정렬된다. 명령의 전달 및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의 전달은 또한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도 17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하도록 구성된 퍽(204)이 키패드 형태의 초슬림 정보 입력 모듈(322)과 결합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32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초슬림 키패드(322)는 그 외관을 사용자 설정할 수 있도록 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퍽(204) 두께의 절반 정도임에도, 초슬림 키패드(322)는 홈(238) 안으로의 스냅 결합에 의해 퍽(204)을 수용하여 도전성 로드(240)에 의해 퍽(204)에 데이터 및 제어 정보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개구부(209)를 갖는다. 개구부(209)의 하단 부분을 막는 바닥은 (이 경우에) 존재하지 않는다. 키패드(322)는 퍽(204)의 전면 및 배면 모두에 제공된 기능들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퍽(204)의 전면 표면(212)과 배면 표면(222)이 키패드(322)의 주 표면들 너머로 돌출하도록 퍽(204)을 수용하여 유지시킨다.
도 18의 a는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과 별도로 사용될 때에, 퍽(204)의 외관을 사용자 설정할 수 있는 또 다른 경우를 예시하기 위한 퍽(204) 및 천 또는 다른 재료로 제작된 장식용 덮개(33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장식용 덮개(330)는 퍽(204)의 4개의 측면 가장자리들과, 오디오 스피커(220)로부터의 음 방출 및 카메라(246)와 그 관련 플래쉬 조립체(248)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가능케 하는 개구부(332)를 제외한 배면 표면(222)이 덮이는 상태로 퍽(204)이 삽입되는 상단이 개구된 얇은 용기 형태를 이룬다. 도 18의 b는 개인 설정 방식의 패션 액세서리로서 POD(204)를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끈(336)이 끼워지는 개방형 고리 또는 탄성 중합체 유형의 고리장식(loop: 334)이 조립된 장식용 덮개(330)를 도시한다.
도 19, 20, 21, 22, 23, 및 24는 정보 입력 모듈(202)의 로드(240)의 다른 양태로서, 퍽(204)에 전력과 데이터 및 제어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세분화된(segmented) 스프링 편향식의 전기 접촉부 세트들(400)을 도시하고 있다. 접촉부 세트들(400)은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202)에 결합될 때 퍽(204)의 대응하는 홈들(238) 안으로의 확실하고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또한 제공한다. 도 19는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이 서로 결합될 때 이들이 취하게 되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도시된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의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각각 정보 입력 모듈(202)의 전기 접촉 부재(406)와 퍽(204)의 전기 접촉 부재(408)로 이루어진 공간적으로 정렬된 한 쌍의 전기 접촉 부재들(406, 408)의 접촉 표면들(402, 404)의 상보(相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19에서 접촉 표면들(402, 404)은 단지 도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서로 떨어져 있다(즉, 접촉하지 않음)) 도 20과 도 21은, 각각의 접촉 세트(400)는 6개의 자체적으로 스프링 편향된 접촉 부재(406)를 포함하고 각각의 홈(238)은 6개의 오목한 접촉 부재들(408)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는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의 부분 등각 투상도들이다. 각각의 접촉 부재(406 및 408)의 접촉 표면들(402 및 404)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접촉 부재들(406과 408)은,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이 서로 스냅 결합될 때 대응하는 한 쌍의 접촉 부재들(406과 408)의 접촉 표면들(402와 404)이 공간적으로 정렬되고 정확한 대응 관계로 결합되도록, 각각 측벽(237)과 홈(238)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접촉 부재들(406과 408)은 바람직하게는 표준 USB(universal serial bus) 신호를 반송(搬送)한다.
정보 입력 모듈(202)의 각 측면 표면에 위치된 움푹 들어간 슬라이더 스위치(410)(도 20에는 하나만 도시됨)는, 측벽(237)에 있는 개구(416)를 통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잠금 핀(locking pin)(414)이 장착되는 안쪽으로 뻗은 탭부(tap portion)(412)(도 19)를 구비한다. 정보 입력 모듈(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행해지는 슬라이더 스위치(410)의 양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잠금 핀(414)이 개구부(209) 안으로 들어가도록 그리고 개구부(209)로부터 나오도록 이 잠금 핀(414)을 밀게 된다. 퍽(204)에는,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202)이 서로 결합될 때 정보 입력 모듈(202)의 측벽(237)에 마주하는 홈(238) 내에 잠금 구멍(locking hole)(418)이 마련된다. 잠금 구멍(418)은 홈(238)의 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이 서로 결합될 때 슬라이더 스위치들(410)이 잠금 핀들(locking pins)(414)을 그 각각의 정렬된 잠금 구멍들(418) 안으로 밀어넣도록, 잠금 핀들(414)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치된다. 잠금 구멍들(418) 안으로 결합된 잠금 핀들(414)은 사용자가 조립체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조립체에 다른 기계적인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에 퍽(204)이 뜻하지 않게 정보 입력 모듈(202)의 개구부(209)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정보 입력 모듈(202)은, 조립되었을 때 인쇄 회로 기판(426)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424)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하우징부(housing section)(420과 422)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426)은 구체화된 기능에 따라 키패드 또는 다른 정보 입력부의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접촉 부재(406)는, 접촉 표면(402)이 배치된 핑거부(finger portion)(430)가 측벽(237)의 개구(432)를 통과하여 정보 입력 모듈(202)의 개구부(209) 안으로 들어가도록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측면 가장자리(428)에서 회로 기판(426)에 고정된다. 도 20은 전기 접촉부(400)의 접촉 부재(406)들이, 측벽(237)의 2개의 개구(432) 중 서로 다른 개구를 통하여 각각 돌출한 3개의 접촉 부재들(406)로 이루어진 2개의 서브세트(subset)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개구들(432)은, 보조적인 데이터 및 제어 링크로서의 표준의 소형 USB 커넥터의 배치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만큼 측벽(237)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22는 스프링 편향식 접촉 부재들(406) 중 하나의 접촉 부재의 확대 등각 투상도이고, 도 23은 측면 가장자리(428)에서 인쇄 회로 기판(426)에 장착된 3개의 접촉 부재들(406)의 부분 등각 투상도이다. 내부 공간(424)에 설치된 회로 기판(426)은 정보 입력 모듈(202)의 하우징부(42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9, 22, 및 23을 참조하면, 각각의 접촉 부재(406)는 바람직하게는, 니켈과 팔라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같은 배리어 메탈(barrier metal) 위에 금으로 도금된, 인청동(phosphor bronze) 또는 베릴륨구리(beryllium copper)와 같은 구리합금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부품이다. 각각의 접촉 부재(406)는 핑거부(430), 스프링부(spring portion)(440), 및 표면 실장부(surface mount portion)(442)를 포함하는 3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표면 실장부(442)는, 회로 기판(426)의 정렬된 구멍(446)을 관통하여 납땜 이음(solder joint)(448)에 의해 적소에 고정되는 3개의 레그(leg)(444)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426)이 내부 공간(424) 내에서 적소에 고정되기 때문에, 핑거부(430)는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이 서로 결합될 때 접촉 부재(408)와의 접촉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424) 쪽으로 안쪽으로 가압된다. 스프링부(440)는 이 상태에서 접촉 표면들(402와 404) 사이에 압축력을 가하도록 핑거부(430)를 편향시킨다. 하우징부(420)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보스(boss)(450)는 핑거부(430)의 슬롯(452)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각각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202)에 결합되지 않았을 때와 결합되었을 때에 핑거부(430)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고 확장 및 수축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도 24는 하단측 가장자리(226)의 홈(238)에 조립된 접촉 부재들(408)의 단부를 도시하는 퍽(204)의 내부의 부분 등각 투상도이다. 도 19, 21 및 24를 참조하면, 각각의 접촉 부재(408)는 (위에서) 접촉 부재(406)와 관련하여 설명한 재료로 제작되며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조립되는 실장 탭부들(mounting tab portion)(462와 464)의 사이에 위치된 오목 접촉부(460)를 포함하는 3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일체형 부품이다. 실장 탭부(464)는, 이 실장 탭부(464)의 말단부(466)가 퍽(204)에 수용된 인쇄 회로 기판(468)의 하단 표면상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 핑거(spring finger)를 형성하도록 하단측 가장자리(226)를 관통하여 뻗어있다. 각각, 회로 기판(468)이 퍽(204)에 장착되었을 때(실선)와 회로 기판(468)이 퍽(204)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가상선)의 말단부(468)의 탄성 상태를 비교 관계로 도시하기 위해, 실장 탭부(464)는 도 19에 실선 및 가상선으로 예시되어 있다.
홈(238)의 말단부 둘레에 가능한 밀폐식 실(hermetic seal)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촉 부재들(408)은 바람직하게는 하단측 가장자리(226)의 홈(238) 안으로 인서트 몰딩(insert moding)된다. 퍽(204)에 "역행 기능(backward capability)"을 부여하도록, 즉 정보 입력 모듈(202)의 부재시에 충전뿐만 아니라 이용 가능한 다른 단독 작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소형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러한 크기로 이루어진 개구(470)가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형성된다.
도 25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500)가 삽입 숫자 키패드(504)에 밀폐 환경을 제공하고 퍽(204)이 설치되었을 때 퍽(204)에 대해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제작된 정보 입력 모듈(502)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200)와 유사한 유형의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5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의 a는 도 25의 26A-26A 선을 따라 취해진 정보 입력 모듈(502)의 단면도로서, 정보 입력 모듈(502) 안으로의 퍽(204)의 확실한 스냅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로드(540)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개구(509)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위치의 퍽(204)을 도시하고 있다. 퍽(204)은 그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예들 들면 퍽(204)의 단독 작동시에 이어폰 잭(earpiece jack)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256)를 구비한다. 퍽(204)의 하단 가장자리(226)에서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502)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해,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의 전기 접촉부 세트(400)가 측면 가장자리(537)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의 b는 정보 입력 모듈(502) 내에서 밀폐 관계로 또한 바닥(552)에 대해 적소에서 퍽(204)을 유지시키고 있는 정보 입력 모듈(502)의 일부분의 확대 부분 횡단면도이다. 바닥(552)은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502) 내에 설치되었을 때 퍽(204)의 오디오 스피커(220)와 공간적으로 정렬되는 오목부(depressioin)(554)를 포함한다.
도 25, 26a 및 26b를 참조하면, 정보 입력 모듈(502)용으로 바람직한 탄성 중합체 물질로는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이 포함된다. 탄성 중합체 물질은 숫자 키패드(504) 전체를 완전히 덮으며, 그에 따라 숫자 키패드(502)를 정보 입력 모듈(502) 내에 삽입시키게 된다. 탄성 중합체 물질은 커넥터(560)(예를 들면, 이어폰 잭) 주위에 밀폐용 실(seal)을 또한 제공하는데, 이 커넥터(56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정보 입력 모듈(502)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도시하지 않음)이 끼워진다. 정보 입력 모듈(502)의 상단 표면에서 직사각형 개구부(564)의 둘레에 안쪽으로 돌출한 유연한 오버랩 릿지(overlap ridge) 또는 립 실(lip seal)(562)은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502)과 결합됨에 따라 퍽(204)을 고정 및 밀착시키도록 디스플레이 표면(216)의 외주(外周)와 접촉한다. 결합 후에는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만이 노출되게 된다. 모듈화된 통신 장치(200)의 개구(2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바닥(552)의 오목부(554)의 얇은 혹은 인서트 몰딩된 부분(566)은, 퍽(204)의 둘레에 밀폐용 실이 본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퍽(204)의 오디오 스피커(220)로부터의 나온 음(音)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27과 도 28은 이중 모드(mode) 작동식 "스마트" 폰으로 구성된, 손에 쥐고 사용하는 폴더형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600)의 사시도들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600)의 이중 모드 사용은 펼친 상태에서의 풀 PDA 기능 및 닫은 상태에서의 간단한 휴대 전화 기능을 포함한다.
스마트폰(600)은 힌지(606)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모듈부(602)와 제2의 모듈부(604)를 포함한다. 도 27은 펼친 상태의 스마트폰(600)을 예시하며, 모듈부(602)의 직사각형 개구부(609)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한다. 개구부(609)는 바람직하게는 모듈부(602)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형성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모듈부(602)에 있는 개구부(609)의 반대편 측벽들(637과 642)을 따라 끼워 넣어진 도전성 로드들(640)(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퍽(204)에 전력이 공급된다. 로드들(640)은 퍽(204)이 모듈부(602)에 결합될 때 퍽(204)의 대응하는 홈들(238) 안으로의 확실하고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구부(609)의 측벽들(637 및 642) 상에 배치된다. 퍽(204)의 하단 가장자리(206)에서 퍽(204)과 모듈부(602)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해 측벽(637)에 조립된 로드(640)에 대한 다른 방안으로서,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의 전기 접촉부 세트(4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부 세트(400)를 사용하게 되면, 도전성 부여를 위해 측벽(642)을 따라 조립되는 로드(640)가 필요치 않게 된다.
재구성 가능한 소프트 키들(soft keys) 또는 전용의 특수 키들(658)이 개구부(609)의 측벽들(637과 642)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퍽(204)이 결합되었을 때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과 함께 모듈부(602)의 내측 표면(652)을 형성하게 된다. 모듈부(604)는 풀 PDA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프트 키들 또는 특수 키들(658) 및 퍽(204)과 함께 기능하는 풀펑션(full-function 혹은 쿼티(QWERTY)) 키보드(660)를 지원한다. 키보드(660)는 모듈부(604)의 내측 표면(662)을 형성한다.
도 28은 닫혀진 상태의 스마트폰(600)을 예시하며, 이 닫혀진 상태에서 모듈부들(602와 604)은 그 각각의 내측 표면들(652와 662)이 서로 마주하는 관계가 되도록 힌지(606)를 중심으로 서로 포개어진다. 모듈부(604)는 전화기 키패드(672)와 메사추세츠 캠브리지(Cambridge, MA) 소재의 E 잉크 코포레이션(E Ink Corporation)에 의해 제작된 초슬림의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표면(674)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측 표면(670)을 구비한다. 전화기 키패드(672)와 디스플레이 표면(674)은 스마트폰(600)이 그 닫혀진 상태로 휴대될 때 전화 기능을 위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함께 기능한다. 전화 신호 전송 및 수신을 제공하는 전자 회로는, 퍽(204)이 결합되었을 때에는 퍽(204)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또는 부가적으로 독립적인 전화 동작이 가능하도록 모듈부(604)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필요시에 퍽(204)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퍽(204)이 일상적으로 스마트폰(600)에 구비되는 것도 구상해 볼 수 있다.
도 29, 30, 31, 32, 및 33은 PDA 기능이 가능하도록 확장될 수 있는 풀펑션 키보드(7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정보 입력 모듈(702)을 포함하는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700)의 사시도들이다. 도 29는 정보 입력 모듈(702)의 직사각형 개구부(709)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한다. 정보 입력 모듈(702)에 있는 개구부(709)의 반대편 측벽들(737과 742)을 따라 끼워 넣어진 도전성 로드들(740)(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퍽(204)에 전력이 공급된다. 로드들(740)은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602)에 결합될 때 퍽(204)의 대응하는 홈들(238) 안으로의 확실하고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구부(709)의 측벽들(737 및 742) 상에 배치된다. 퍽(204)의 하단 가장자리(206)에서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702)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해 측벽(737)에 끼워 넣어진 로드(740)에 대한 다른 방안으로서,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의 전기 접촉부 세트(4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부 세트(400)를 사용하게 되면, 도전성 부여를 위해 측벽(742)을 따라 끼워 넣어지는 로드(740)가 필요치 않게 된다.
정보 입력 모듈(702)의 개구부(709)는, 집어 넣어진 위치의 키보드(704)와 퍽(204) 및 정보 입력 모듈(7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756)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752)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이어폰 잭으로서 커넥터(760)가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702)의 상부 표면(764)에 위치된 소프트 키들(762)은, 키보드(704)가 집어 넣어져서 정보 입력 모듈(702) 내에 감춰져 있을 때 퍽(204)의 선택된 특징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가능케 한다.
도 30과 도 31은 각각,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702)과 결합되고 키보드(704)가 그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700)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한다. 키보드(704)가 그 확장된 작동 위치와 그 집어 넣어진 감춰진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키보드(704)의 측면 가장자리들(770과 772)은 정보 입력 모듈(702)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들(776과 778)에 배치된 슬롯(774) 안으로 끼워 넣어진다. 키보드(704)의 배면 표면은 정보 입력 모듈(702)의 하부 표면(780)으로 기능하여, 키보드(704)가 그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카메라(246)의 렌즈를 덮는다. 마이크로폰(도시하지 않음)과 오디오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키보드(704)의 하우징 내에 격납된다. 하부 표면(78)의 구멍들(782와 784)은 각각, 키보드(704)가 그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마이크로폰으로의 음성의 전송 및 오디오 스피커로부터의 음의 방출을 가능케 한다. 키보드(704)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 기판이 퍽(204)으로부터 하부 표면(780)으로의 음의 이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통신 장치(700)에 부가적으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보 입력 모듈(702)의 측면 가장자리(788) 상에 배치된 푸쉬버튼 스위치(786)는, 키보드(704)가 그 집어 넣어진 위치 및 그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온-오프 스위치와 카메라 셔터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도 32와 도 33은 각각,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702)과 결합되고 키보드(704)가 그 집어 넣어진 위치에 있는 상태의 모듈화된 통신 장치(70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4와 도 35는 각각,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202)이 서로 결합될 때 퍽(204)을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로서 기능하는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서 도시된)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802)을 구비하여 구성된 모듈화된 통신 장치(800)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의 부분 분해 등각 투상도들이다. 도 36과 도 37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802)이 그 확장된 잠금 위치 및 그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4와 도 35에 도시된 정보 입력 모듈(202)의 하부 표면의 부분 등각 투상도이다. 도 34, 35, 36 및 37을 참조하면, 정보 입력 모듈(202)에는 그 내부 벽(237)을 따라, 인쇄 회로 기판(802)의 전극 구비 단부(806)가 개구부(209) 안으로 확장되고 또한 도로 집어 넣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러한 크기를 갖는 개구(804)에 의해 분리된 로드 단편(斷片)들(240a와 240b)이 설치된다. 로드 단편들(240a와 240b)은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802)이 그 확장된 잠금 위치를 취할 때까지 퍽(204)을 물고서 적소에 유지시키는 스프링으로 기능한다. 개구(804)의 양측에 로드 단편들(240a와 240b)을 배치함으로써, 정보 입력 모듈(202)은 얇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퍽(204)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통신 동작들(communication operations)을 수행하도록, 로드 단편들(240a와 240b)은 도전성을 지닐 수도 있고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 또는 상이한 극성의 신호들을 반송할 수도 있다. 개구(804)의 위 또는 아래에 하나의 연속적인 로드를 사용하는 다른 양태는 (결과적으로) 더 두꺼운 단면 형상의 정보 입력 모듈(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802)의 표면(810)(도 38 참조)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표면(812)과 동일 높이로 장착된 포스트(post)(808)는, 슬롯(814)의 단부들에 의해 한정되는 확장된 잠금 위치와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인쇄 회로 기판(802)이 움직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한다. 포스트(808)는 그 상부 표면에, 사용자가 퍽(204)을 잠그고 또한 잠금 해제하는 것에 도움을 주도록 동전 혹은 다른 공구가 들어맞는 크기로 된 오목부(816)를 갖는다. 이와 달리, 포스트(808) 대신에, 인쇄 회로 기판(802)을 움직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스위치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표면(812)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된 탭(811)을 구비한 슬라이드 가능한 스위치(809)가 사용될 수도 있다.
퍽(204)의 하단측 가장자리(226)에 형성된 개구(470)는, 확장된 잠금 위치의 인쇄 회로 기판(802)의 단부(80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러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202)과 결합되는 확장된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접촉 부재들(830)은 퍽(204)의 개구(470)에 위치되며 이에 정렬된 접촉 전극 소켓(832)(도 39 참조)의 대응하는 접촉 부재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한다. 소켓(832)의 접촉 부재들은 도 21의 접촉 표면들(404)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소켓(832) 내에 단부(806)가 꽉 끼워짐으로써, 정보 입력 모듈(202) 내에서의 퍽(204)의 확실한 잠금 상태를 제공한다.
도 38은 정보 입력 모듈(202)의 내부에 인쇄 회로 기판(802)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인쇄 회로 기판(802)은 조립된 하우징부(420과 422)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일체형 가이드 레일들(836)에 걸쳐진다. 슬롯(814) 내의 선택적인 함몰부(well, 838)(도 38에만 도시됨)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숫자 키패드(840)는 정보 입력 모듈(202)의 상부 표면(842)에 끼워진다.
도 39와 도 40은 인쇄 회로 기판(802)이 그 확장된 잠금 위치 및 집어 넣어진 잠금 해제 위치에 각각 있을 때 취해지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도시된 도 34와 도 35의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의 횡단면도이다.
도 41은 다른 양태의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로 구현되고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가 그 확장된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이 취하게 되는 서로 마주하는 관계로 도시된 정보 입력 모듈(202)과 퍽(204)의 횡단면도이다. 도 42는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의 슬라이드 가능부인 플렉스 회로 홀더(852)와, 플렉스 회로 홀더(852)를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의 고정부인 주 회로 기판(856)(도 41 참조)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플렉스 회로 리본(854)의 부분 사시도이다. 플렉스 회로 리본(854)은 상표명 캡톤(KaptonTM)과 같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1과 도 42를 참조하면, 주 회로 기판(856)은 하우징부(420)에 의해 숫자 키패드(840) 아래에서 키패드(840) 근처에 지지된다. 플렉스 회로 홀더(852)는, 인쇄 회로 기판(802)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의 일체형 가이드 레일들(836)에 걸쳐지며 이에 의해 지지된다. 플렉스 회로 리본(854)은 플렉스 회로 홀더(852)와 주 회로 기판(856)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서 플렉스 회로 홀더(852)의 일단(一端) 및 주 회로 기판(856)의 일단에 부착된다. 포스트(808)는 하우징부(422)의 슬롯(814)을 관통하도록 플렉스 회로 홀더(852)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스 회로 홀더(852)는 부착된 포스트(808)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응답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들(836) 사이에서 플렉스 회로(854)를 유지시키는 방법 및 견고한 구성을 제공하도록 플렉스 회로 리본(854)의 둘레에 물려진다. 플렉스 회로 홀더(852)의 단부(806)의 접촉 부재들(830)은 소켓(832)의 대응하는 접촉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인홰 회로 기판(802)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 입력 모듈(202)에 퍽(204)을 잠그고 또한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단부(806)가 개구(804) 안으로 및 개구(804)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드되게 포스트(808)를 조작한다.
도 42a 내지 도 42g를 참조하여 제2의 다른 양태의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가 설명된다. 도 42a는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로 구현된 정보 입력 모듈(202)의 분해 등각 투상도이고, 도 42b 내지 도 42d는 그 횡단면도이다.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는 슬라이딩 인쇄 회로 기판(857) 상에 장착된 전극 구비 단부(806)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인쇄 회로 기판(857) 상에는 전극 구비 단부(806)에 전기 접속된 플렉스 회로 홀더(852)가 또한 장착된다. 주 회로 기판(856)과 전극 구비 단부(806)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플렉스 회로 리본(854)의 일단은 플렉스 회로 홀더(852)에 부착되고 그 타단은 커넥터(856')를 통해서 주 회로 기판(856)에 부착된다. 주 회로 기판(856)은 정보 입력 모듈(202)에 대해 고정되며, 용량성 터치 패드들(858)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는 슬라이딩 인쇄 회로 기판(857)이 부착되는 슬라이더 스위치(859)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스위치(859)는 제2의 하우징부(422')의 모서리(860) 근방에 마련된다. 슬라이더 스위치(859)가 도 42b 및 도 4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 스위치(859)의 제1의 모서리(859')는 제2의 하우징부(422')의 모서리(860)에 인접하고 슬라이더 스위치(859)의 제2의 모서리(859")는 제1의 하우징부(420)의 모서리(861)와 공간적으로 정렬되도록, 제2의 하우징부(422')의 길이는 제1의 하우징부(420)의 길이보다 짧다. 슬라이더 스위치(859)가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 스위치(859)의 제2의 모서리(859")는 제1의 하우징부(420)의 모서리(861) 너머로 돌출한다. 도 42c 및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스위치(859)는, 슬라이딩 인쇄 회로 기판(857)(도 42a에 도시됨)에 있는 구멍(863)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제2의 하우징부(42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864)의 내부에 걸쳐지는 탭부(862)를 포함한다.
도 42e와 도 42f는 제1의 하우징부(420), 주 회로 기판(856, 및 플렉스 회로 리본(854)을 제거한 상태로 정보 입력 모듈(202)을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859)는, 제2의 하우징부(422')의 내부 벽(868)의 상보적인 둥근 부분(866과 867)과 맞물려지는 노브(knob)(865')를 갖는 2개의 핑거부(865)를 포함한다. 노브(865')는 슬라이더 스위치(859)를 잠금 해제 위치(도 42e에 도시됨)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도록 둥근 부분(866)과 맞물려지고, 노브(865')는 슬라이더 스위치(859)를 잠금 위치(도 42f에 도시됨)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도록 둥근 부분(866)과 맞물려진다.
도 42g는 슬라이더 스위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정보 입력 모듈(202)의 하부 표면의 부분 등각 투상도이다. 도 42g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더 스위치(859)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경사부(869)(즉, 손가락에 걸리는 영역: finger grip area)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802)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 입력 모듈(202)에 퍽(204)을 잠그고 또한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단부(806)가 개구(804) 안으로 및 개구(804)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드되게 슬라이더 스위치(859)를 조작한다.
인쇄 회로 기판(802)을 소켓(832) 내의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다른 방안으로서,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802)을 이동시키기 위한 측면 캠 동작 또는 회전 캠 동작을 이용한 평행 배열(측면 표면)의 슬라이더 포스트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스위치(410)와 잠금 핀(414) 조립체 및 슬라이드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850)는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202)을 서로 고정시키는 많은 방법들 중 두 개의 예임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2a, 42e, 및 42f는 또한 로드(240a와 240b)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로드(240a와 240b)는 가이드 핀(240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슬롯(2400)을 포함한다. 가이드 핀(2402)은 제1 및 제2의 하우징부(420과 422')에 고정되며, 로드(240a와 240b)가 공동부(cavity)(2404) 내에서 제1 및 제2의 하우징부(420과 422')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로드(240a와 240b)가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도록, 로드(240a와 240b)의 돌기부(2408)에 맞물려지는 판스프링(leaf spring)(2406)이 구비된다. 판스프링(2406)은 강철, 고무, 폼(foam)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스프링(2406)의 단부는 공동부(2404)의 바닥 벽에 접한다. 퍽(204)이 개구부(209)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로드(240a와 240b)가 판스프링(2406)에 대해 눌려져서 판스프링(2406)을 중심쪽으로 휘어지게 한다. 판스프링(2406)은, 홈(238)이 로드(240a와 240b)와 공간적으로 정렬되었을 때 로드(240a와 240b)가 홈(238) 안으로 끼워 넣어지도록 하는 저항력(resistive force)을 제공한다. 로드(240a와 240b)의 반대편 측벽(242) 상에 구비된 로드(240)는 하우징부(420과 422')에 대해 고정되거나, 또는 로드(240a와 240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도 43은 모듈화된 통신 장치(870)가, 충전기(876)의 도킹장치 개구부(874)에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충전기(876)에 상주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solid state memory)(878)에 저장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된 정보 입력 모듈(872)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200)와 유사한 전화기 송수화기 형태의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87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충전기(876)에 배치된 정보 입력 모듈(872)과 퍽(204)의 조립된 송수화기는, 충전 외에, 송수화기(870)가 마지막으로 충전기(876)에 거치되었던 시간 이후 동안에 퍽(204)에 의해 획득되고 이에 저장된 정보를 메모리(878)에 다운로드한다. 도 44는 하단 표면에는 퍽(204)의 오디오 스피커(220)로부터 발생된 음을 전달하는 음 방출구(sound emission holes)(880)를 구비하고 하단측 가장자리에는 메모리(878)로의 정보 다운로드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접속 링크 창(882)을 구비한 정보 입력 모듈(872)의 배면 사시도이다. 링크 창(882)의 바람직한 구현예로는, 예를 들면 6개 내지 8개의 한 세트의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도킹장치 개구부(874)에 있는 동일한 개수의 한 세트의 공간적으로 정렬된 전기 접촉부들에 대응된다. 송수화기(870)가 도킹장치의 개구부(874)에 배치될 때, 이 전기 접촉부 세트들은 통상적인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서 행해지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된 송수화기(870), 충전기(876), 및 메모리(878) 사이에 충전 및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한다. 링크 창(882)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는, 메모리(878)로의 정보 다운로드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및 충전용의 IR 링크와 금속 접촉부의 조합형이 있다.
충전기(876)에 거치되었을 때, 송수화기(870)는 전형적으로 전화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그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7자리의 시간 및 기타 유사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계 겸용 전화기로서 기능한다. 충전기(876)는 시계가 달린 라디오(clock-radio)에서 찾을 수 있는 스누즈(snooze) 버튼과 유사한 스누즈 기능 버튼(884)을 포함하는데, 이 스누즈 버튼은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알람 기능을 작동 중지시킬 수 있게 해준다.
도 45는 공간적으로 정렬된 키패드 버튼들(892) 위로 끼워지는 구멍들(890)과 퍽(204)을 수용하는 개구부(896) 위로 끼워지는 프레임부(894)를 갖는 교체 가능한 전면 플레이트(888)와 정보 입력 모듈(872)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교체 가능한 전면 플레이트(888)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870)의 전반적인 외관의 신속한 사용자 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색상 또는 외부 디자인의 변경을 수월하게 한다.
도 45a는 영상 통신(video communication)을 가능케 하는 충전기(876')의 도킹장치 개구부(874)에 거치된 정보 입력 모듈(872)의 사시도이다. 충전기(876')는 상술한 충전기(876)의 특징부들을 모두 포함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스크린(897)과 비디오 카메라(89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897)은 LCD(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872)이 도킹장치 개구부(874)에 거치될 때 충전기(876')와 정보 입력 모듈(872) 사이에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도킹장치 개구부(874)의 전기 접촉부들은 정보 입력 모듈(872)의 전기 접촉부들과 공간적으로 정렬된다. 비디오 카메라(898)는 사용자의 비디오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3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이 비디오 이미지를 담은 정보를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870)에 의해 성립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제3자에게 전송한다. 비디오 카메라(898)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이미지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도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제3자의 비디오 이미지를 담은 정보도 통신 링크를 통해서 손에 쥐고 사용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87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제3자의 비디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897)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3자의 비디오 이미지 이외의 정보도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897)에 표시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서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및 제어 통신 링크 및 전력 공급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도전성 로드에 대한 다른 양태로서,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 세트(400)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재된 각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 모듈은 퍽이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삽입되고 또한 퍽이 분리되는 프레임 구조(개방형 또는 폐쇄형)를 제공함을 당업자는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퍽과 정보 입력 모듈은 IR, 블루투쓰, 전기-기계식 접속,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퍽은, 이 퍽이 거치되거나 부착되는 임의의 정보 또는 미디어 장치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음성 명령에 응답하거나, 핸즈-프리 통신을 가능케 하기 위해, 혹은 이 두 가지 기능 모두를 위해, 정보 제공 모듈의 실시예에는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의 실시예에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가 원하는 방식으로 기능하거나 동작하도록 추가적인 전원 및 처리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입력 모듈에 추가적인 시뮬레이션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입력 모듈이 멀티-태스킹(다중 작업)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예들 들면, 게임 모드와 문자 메시지 전송 모드).
모듈화된 다기능 장치 또는 POD의 다양하며, 무한한 개수의 실현 가능한 실시예의 시각적인 외관들은 기술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 작용을 보다 인간적으로 만들어준다. 이동 전화기 및 다른 휴대용 통신 장치들이 점점 더 유행 성향에 영향받음을 인식함으로써, 본 출원인은 사용자들이 개인적 스타일들을 표출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일상 환경에 적합한 범위의 형상, 색상, 재료, 및 마감 선택으로 이루어진 POD 모듈을 만들어냈다. POD는 사용자가 기술의 한계 또는 매력없는 스타일에 맞추도록 요구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생활방식에 맞춘다. 모듈화 설계 방식은 사용자의 개인 설정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스타일 및 특징을 만들어낸다.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는 인간 관계가 급속하게 기술로 대체되는 세상에서, 매력적이며 흥미로운 개인 경험을 가능케 하는 모듈화된 다기능의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POD는 정확히 그러한 큰 변화를 이루게 해준다. 고객을 하나의 외관, 한정된 형상, 및 유한한 기능들에 묶어두는 그러한 이동 전화기와 달리, POD의 사용자 설정성은 다양한 사용자 및 사용 상황에 대한 최적의 개인 전용화, 재구성, 및 기능화를 가능케 해준다. 사용자는 헬쓰 클럽부터, 정장 파티, 집, 직장 등에 이르기까지 어느 곳이든 자신의 POD를 가지고 갈 수 있으며, POD를 쉽게 각각의 환경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전화, PDA, 카메라, 음악파일, 시계 및 게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든 기술적 요구사항들을 하나의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일관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광범위한 기술 선택사항들을 단순화한다. 이와 동시에, POD는 사용자가 고유한 패션 표출 방식을 만들고 개인의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게 해주는 착용 가능한 기술이 된다.
POD의 설계 해법은 현재 이용 가능한 다른 어떤 사용자 설정 해법보다도 더 다용도이고 더 저렴하기에, 사용자 개개인의 요구사항, 욕구, 및 미적 감각에 들어맞는 적정 가격의, 다기능 이동 전화 또는 다른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도 46과 도 47은 정보 입력 모듈로서의 이미지 감상 장치(902)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900)의 사시도들이다.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그 정면 표면(904)에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은 LCD(액정표시장치) 또는 당해 업계에 알려진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은 또한 용량성 터치 감지 기술(capacitive touch sensing technology)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도 46은 이미지 감상 장치(902)의 배면 표면(910)에 있는 직사각형 개구부(908)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하고 있다. 직사각형 개구부(908)에서,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퍽(204)이 개구부(908)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을 덮는 바닥(91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도전성 로드 또는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퍽(204)은 대응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퍽(204)에 대한 잠금 장치 또는 잠금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볼륨 제어, 밝기 및 대비(contrast) 조절, 및 이미지들 사이의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징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버튼(914)과, 버튼 세트들(916과 918)을 포함한다.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또한 그 배면 표면(910) 상에 사용자가 다루는데 사용하는 그립(grip) 표면을 제공하는 패드(920)를 포함한다.
동작시,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에 나타나도록 퍽(204)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미지 감상 장치(902)에 전달한다. 예들 들면, 정지 사진(이미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에 나타나도록 퍽(204)은 사진 또는 비디오 정보를 이미지 감상 장치(902)에 전달한다. 퍽(204)이 개구부(908)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906) 상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퍽(204)은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하게 되는 신호를 이미지 감상 장치(902)에 전달한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은 퍽(204)이 이미지 감상 장치(902)에 결합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 표면(216) 대신에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906) 상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더 크도록, 그래서 디스플레이 표면(216)에 표시되었을 때보다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906)은 디스플레이 표면(216)보다 (그 크기가) 더 크다. 이미지 감상 장치(902)는 그래서, 사진이나 비디오 같은 화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감상 체험을 더 향상시켜줄 수 있다.
도 48은 정보 입력 모듈로서의 비즈니스 폰 도킹장치(1002)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0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은 전면 표면(1006) 상의 개구부(1004)와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한다. 비즈니스 폰 도킹장치(1002)는, 사용자가 전화걸기(number dialing), 착신전환(call forward),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회의를 위한) 다자간 통화), 통화대기(hold)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유선 비즈니스 폰에 전형적인 다수의 기능들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종래의 한 세트의 버튼들(1012)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1010)과 송수화기(1008)을 포함한다. 전화 코드선(도시하지 않음)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수화기(1008)와 베이스 유닛(1010) 사이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동작시,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은 발신 전화번호 또는 이름 및 착신 전화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퍽(204)이 개구부(1004) 내에 배치될 때, 퍽(204)의 휴대 전화 기능은 통신 장치(1000)와 바깥 세상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성립시킨다 - 통신에 유선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퍽(204)이 비즈니스 폰 도킹장치(1002)에 결합될 때, 통신 장치(1000)는 전형적인 유선 통신 대신에 휴대 전화 통신을 이용하는 풀펑션 비즈니스 폰이 된다. 비즈니스 폰 도킹장치(1002)는 종래의 비즈니스 폰 송수화기 및 그와 관련된 다수의 중계선들을 대체할 수 있다.
도 49의 a와 도 49의 b는 정보 입력 모듈로서 폴더형, 또는 플립형 전화기(1102)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100)를 도시한다. 전화기(1102)는 힌지(1108)에 의해 그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부분(1102)과 제2 부분(1104)을 포함한다. 도 49의 a와 도 49의 b의 윗부분은 열린 상태의 전화기(1102)를 도시한다. 도 49의 a는 제2 부분(1106)의 개구부(11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게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한다. 퍽(204)이 개구부(1110) 안으로 삽입되고 전화기(1102)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도 49의 b의 아랫부분), 버튼들(1112)이 퍽(204)의 디스플레이 표면(216)과 서로 마주하는 관계가 되도록 한 세트의 버튼들(1112)이 제1 부분(1104)의 내측 표면(1114)에 마련된다. 전화기(1102)가 닫혀진 상태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 표면(216)은 전원이 꺼질 수 있으며, 전화기(1102)가 화살표(1116)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때, 디스플레이 표면(216)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1102)는 도전성 로드 또는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퍽(204)은 대응하는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기(1102)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퍽(204)에 대한 잠금 장치 또는 잠금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0의 a, 50의 b, 50의 c 및 50의 d는 정보 입력 모듈로서의 헬쓰 모듈(health module)(1202)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통신 장치(1200)를 도시하고 있다. 헬쓰 모듈(1202)은 도 5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둘레에 걸 수 있는 끈(1206)이 끼워진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헬쓰 모듈(1202)은 또한 그 전면 표면(1208) 상에 퍽(204)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개구부(1210)를 포함한다. 도 50의 a는 개구부(12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정렬된 퍽(204)을 도시한다. 통신 장치(1200)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121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모니터(1212)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블루투쓰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 모니터(1212)는 심박동수(heart rate) 및 호흡속도(breathing rate)와 같은 사용자의 다양한 바이털 사인(vital sign)을 측정하며,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와 같은 다른 수치들을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1212)는 통신 장치(1200)에 정보를 전달하며, 이 통신 장치(1200)에서 정보가 처리되고,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휴대 전화 통신을 통하여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헬쓰 모듈(1202)은 도전성 로드 또는 세분화된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퍽(204)은 대응하는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헬쓰 모듈(1202)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퍽(204)에 대한 잠금 장치 또는 잠금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1은 퍽(204)이 다양한 정보 입력 모듈들과 결합될 때 퍽(204)의 모듈화된 범용 인터페이스 특징을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다른 유형의 정보 입력 모듈들(1302, 1304, 1306, 및 1308)과 결합된 퍽(204)을 예시한다. 각 정보 입력 모듈들(1302, 1304, 1306, 및 1308)은 그 고유 기능과 관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 안으로 삽입될 때, 퍽(204)이 결합되는 정보 입력 모듈의 유형을 퍽(204)이 인식할 수 있도록 퍽(204)과 정보 입력 모듈 사이에는 정보 전달이 이루어진다. 퍽(204)이 정보 입력 모듈의 유형을 인식하고 나면, 퍽(204)은 이 퍽(204)이 설치된 정보 입력 모듈의 핵심 기능들에 의해 규정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표면(216)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퍽(204)은 정보 입력 모듈(1302, 1306 및 1308)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표시 화상을 자동으로 방향 전환하고, 정보 입력 모듈(1304)에 대해서는 세로방향으로 표시 화상을 자동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퍽(204)은 정보 입력 모듈의 기능에 고유한 화상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퍽(204)은 메뉴 항목들을 나타내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들보다 더 크게 보이도록 하는 렌즈 특징(lensing feature)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을 선택된 아이콘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아이콘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를 통해, 다른 유형의 정보 입력 모듈들을 대해 새로운 인터페이스들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정보 입력 모듈의 기능들에 고유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군더더기 없는 통합적인 사용자 경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의 상세 사항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0: 퍽(puck) 22: 디스플레이 스크린
24: 이미지 카메라 30: 제어 버튼
34: 환상 림 36: 외주
40: 전면 표면 42: 배면 표면
50: 통신 장치 52: 키패드
54: 통신 장치의 상부 표면 56: 키패드 버튼
58: 원형 개구 60: 통신 장치

Claims (37)

  1. 모듈화된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교체에 의해 미적인 외관, 작동 기능, 또는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customizable)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자극 신호(use stimulus signal)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시되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의 정보 제공 모듈로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 내의 상기 전자 회로가 응답하는 신호를 반송(搬送)하는 도전체 및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구비한, 정보 제공 모듈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응답하는 사용자 생성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가능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모듈로서,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대향의 주 표면들(major surfaces)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은 분리 가능한 전기 및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배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내측 경계부에 의해 형성되는,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snap-fit)을 제공하도록 내측 경계부를 따라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위치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정보 입력 모듈 및 상기 정보 제공 모듈과 연관된 결합 부재들로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결합 부재들이 공간적으로 정렬되고, 고정하는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대해 적소에 고정되는 결합 상태를 취하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들은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있는 확장 가능 및 후퇴 가능한 고정 부재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있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상태는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개구 안으로의 확장에 의해서 달성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가능 및 후퇴 가능한 고정 부재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슬라이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확장되고 또한 후퇴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가능 및 후퇴 가능한 고정 부재는 접촉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접촉 전극 소켓(receptacle)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상태는 상기 접촉 전극들의 상기 접촉 전극 소켓 안으로의 확장에 의해 달성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전극 소켓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 내의 상기 전자 회로가 응답하는 신호를 반송(carry)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접촉 전극들은 상기 접촉 전극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및 상기 접촉 전극 소켓과의 데이터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상기 하우징 내의 주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 회로 기판은 플렉스 회로(flex circuit: 가요성을 갖는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접촉 전극들과 전기 접촉 상태가 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가능 및 후퇴 가능한 고정 부재는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의 일부분인,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상기 도전체와 전기 접촉을 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편향식(spring-biased) 도전성 로드(rod)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로드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도전체와 접촉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로드와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성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에 상기 사용자 생성 명령 신호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그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따라 홈(groove)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서 상기 도전성 로드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1 부분을 따라 제1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그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2 부분을 따라 상기 제1의 홈의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제1의 로드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그 내측 경계부를 따라 상기 제1의 도전성 로드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의 로드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의 홈 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로드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제공 입력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제2의 로드와 전기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의 도전체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상기 도전체는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접촉 부재는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 세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세트로 이루어진 전기 접촉부들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 중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들과 전기 접촉하도록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내측 경계부를 따라 배치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로 이루어진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로 이루어진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에 상기 사용자 생성 명령 신호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그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따라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서 상기 세트로 이루어진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전촉부들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1 부분을 따라 제1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그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2 부분을 따라 상기 제1의 홈의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그 내측 경계부를 따라 상기 세트로 이루어진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부들의 반대편 위치에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의 홈 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제공 입력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 중 하나의 접촉부와 전기 접촉하는,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21. 휴대용의 정보 제공 모듈과 결합되어 일체형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정보 입력 모듈로서,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의 정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대향의 주(主) 표면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배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내측 경계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된 연결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전자 회로와 통신 상태에 있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전송되는 사용자 생성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입력 장치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개구와 결합될 수 있는 고정 부재(securing member)로서,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개구와 공간적으로 정렬되고, 고정하는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대해 적소에 고정되는 상기 개구와의 결합 상태를 취하도록 상기 개구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슬라이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확장 가능하고 또한 후되 가능한, 정보 입력 모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된 접촉 전극 소켓 내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상태를 취할 때 상기 접촉 전극 소켓과 전기 접촉하는 접촉 전극들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전극들은 상기 접촉 전극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및 상기 접촉 전극 소켓과의 데이터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하는, 정보 입력 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상기 하우징 내의 주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 회로 기판은 플렉스 회로를 통하여 접촉 전극들과 접속되는, 정보 입력 모듈.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의 일부분인, 정보 입력 모듈.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의 도전체와 전기 접촉하는, 정보 입력 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로의 전력 공급 및 상기 정보 제공 모듈과의 데이터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하는, 정보 입력 모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로드인, 정보 입력 모듈.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도전체의 복수의 접촉부들과 전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경계부를 따라 이격(離隔)된 스프링 편향식 전기 접촉 세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 모듈.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의 연결 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은 상기 제1의 연결 부재의 반대편 위치에 상기 내측 경계부를 따라 위치된 제2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모듈.
  32. 정보 입력 모듈과 결합되어 일체형의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휴대용의 정보 제공 모듈로서,
    전체적으로 평면인 대향의 주 표면들과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개구부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그러한 크기를 갖는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몸체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자극 신호 없이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기 대향의 주 표면들 중 하나의 표면 상에 지지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회로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몸체의 상기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제공 모듈에 대해 분리 가능한 스냅 결합을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연결 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홈과,
    상기 전자 회로가 응답하는 신호를 반송하는 도전체로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정보 제공 모듈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도전체, 및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고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로서,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개구가 상기 고정 부재와 공간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가해지는 고정하는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에 대해 적소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취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모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된 접촉 전극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전극 소켓은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결합 상태가 취해질 때 상기 고정 부재의 접촉 전극들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전극 소켓은 상기 전자 회로가 응답하는 신호를 반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정보 제공 모듈.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연결 부재와 전기 접촉을 하는, 정보 제공 모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연결 부재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과 전기 접촉하기 위해 상기 홈 내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모듈.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1 부분을 따라 제1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둘레의 측면 가장자리의 제2 부분을 따라 상기 제1의 홈의 반대편 위치에 배치된 제2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의 홈은 상기 정보 제공 모듈이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정보 입력 모듈의 제2의 접촉 부재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되는, 정보 제공 모듈.
KR1020107017666A 2008-01-10 2009-01-08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KR10158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9908P 2008-01-10 2008-01-10
US61/020,299 2008-01-10
US4771108P 2008-04-24 2008-04-24
US61/047,711 2008-04-24
US9946708P 2008-09-23 2008-09-23
US61/099,467 2008-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143A true KR20100120143A (ko) 2010-11-12
KR101580560B1 KR101580560B1 (ko) 2015-12-28

Family

ID=4085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666A KR101580560B1 (ko) 2008-01-10 2009-01-08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118750B2 (ko)
EP (1) EP2241092A4 (ko)
JP (1) JP5496111B2 (ko)
KR (1) KR101580560B1 (ko)
CN (2) CN104038585A (ko)
AU (1) AU2009204054A1 (ko)
CA (1) CA2712252A1 (ko)
TW (1) TWI532356B (ko)
WO (1) WO20090893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610A (ko) *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51958B2 (en) 2016-03-15 2020-02-0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KR102098646B1 (ko) * 2018-12-04 2020-04-08 주식회사 아트뷰 제어보드에서 터치 패널이 부착된 lcd 패널 인식 시스템
WO2022103047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합 가능한 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883B2 (en) * 2008-02-22 2012-04-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Navigation tool socket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319192A1 (en) * 2008-06-19 2009-12-24 Frank Bergner Measurement Facility, Sensor Unit and Further Processing Unit
US8624836B1 (en) 2008-10-24 2014-01-07 Google Inc. Gesture-based small device input
JP5343718B2 (ja) * 2009-06-11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1507941B2 (en) 2011-05-13 2022-11-22 Thomas W Heeter Methods for conducting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with scannable codes
JP5372803B2 (ja) * 2010-02-24 2013-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568313B2 (en) 2010-03-12 2013-10-29 Rajendra Padma Sadhu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physiological data
DE102011051633A1 (de) * 2010-07-16 2012-01-19 Birgit Jahn Beziehungsanalysesystem
DE102010042527A1 (de) * 2010-10-15 2012-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rät mit einer Anzeige- und Bedieneinheit
US20120256929A1 (en) * 2011-04-11 2012-10-11 Eric Koenig Expandable multi-core tele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8966408B2 (en) 2011-07-11 2015-02-24 Apple Inc. Removable clip with user interface
DE102011111488A1 (de) * 2011-08-30 2013-02-28 Schoeller-Electronics Gmbh Leiterplattensystem
CN103167062A (zh) * 2011-12-15 2013-06-19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手机控制组件及使用该手机控制组件的手机
JP5845875B2 (ja) * 2011-12-19 2016-01-20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機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92875B2 (en) 2012-03-14 2024-02-06 Popsockets Llc Magnetic docking platform and detachable docking accessories
US9804636B2 (en) 2012-03-14 2017-10-31 David B. Barnett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10019034B2 (en) * 2012-03-14 2018-07-10 Popsockets Llc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WO2013145516A1 (ja) * 2012-03-27 2013-10-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48899A1 (en) * 2012-03-28 2013-10-03 Charm Alarm Llc Smart charm anti-theft alarm system
CN102835794A (zh) * 2012-07-31 2012-12-26 苏州苏鼎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思念对方可以产生震动的项链
US9386932B2 (en) 2012-10-29 2016-07-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personal information system
US9974444B2 (en) * 2012-12-31 2018-05-22 Tosense, Inc. Body-worn sensor for characterizi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US8858335B2 (en) * 2013-01-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042846B2 (en) * 2013-02-27 2015-05-26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having accessory interface
TWI507847B (zh) * 2013-04-29 2015-11-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50029647A1 (en) * 2013-07-24 2015-01-2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JP6345782B2 (ja) 2013-08-09 2018-06-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用のタクタイルスイッチ
US9802118B2 (en) * 2013-12-19 2017-10-31 Activision Publishing, Inc. Game controller with clamp for portable device
US20150229812A1 (en) * 2014-02-10 2015-08-13 Matt Sandy Clothing Accessory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331449A1 (en) * 2014-05-14 2015-11-19 Gowin Technology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Attachable computer
US10412208B1 (en) 2014-05-30 2019-09-10 Apple Inc. Notification systems for smart band and methods of operation
US9563234B2 (en) * 2014-05-30 2017-02-07 Arrow Technologies Inc. Modular wearable computing device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9407313B2 (en) * 2014-07-31 2016-08-02 Motorola Solutions, Inc. Radio housing having through-hole connector for coupling accessories
US9301047B2 (en) 2014-08-29 2016-03-29 Motorola Solutions, Inc. Loudspeaker audio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2340088B1 (ko) 2014-09-02 2021-12-15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US9553625B2 (en) * 2014-09-27 2017-01-24 Apple Inc. Modular functional band links for wearable devices
DE102014016328B3 (de) * 2014-11-03 2016-03-17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und Kraftwagen mit einer Anzeigenvorrichtung
WO2016114487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CN105988564B (zh) * 2015-02-09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544696B1 (ko) * 2015-02-16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0943B1 (ko) 2015-03-05 2019-01-21 애플 인크. 방향 종속 광학 특성을 갖는 광학 인코더
KR102163612B1 (ko) 2015-03-08 2020-10-08 애플 인크. 회전 및 병진 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시계
CN104618545A (zh) * 2015-03-11 2015-05-13 颜琦 一种手机组件、主件及分离式手机
WO2016174835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D773561S1 (en) 2015-06-12 2016-12-0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able thumbstick attachment
USD766374S1 (en) * 2015-06-12 2016-09-13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pad for a controller
USD767684S1 (en) 2015-06-12 2016-09-2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a removable directional pad
USD772988S1 (en) 2015-06-12 2016-11-2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72987S1 (en) 2015-06-12 2016-11-2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74143S1 (en) 2015-06-12 2016-12-13 Microsoft Corporation Thumbstick attachment for a controller
USD766376S1 (en) 2015-06-12 2016-09-13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able directional pad
USD767038S1 (en) 2015-06-12 2016-09-2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able thumbstick attachment
USD774596S1 (en) 2015-06-15 2016-12-2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9892715B2 (en) * 2015-06-26 2018-02-13 Polar Electro Oy Rotating display
US10345869B2 (en) * 2015-06-30 2019-07-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 least one interchangeable touch user interface
USD794024S1 (en) 2015-10-29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pad for a controller
USD784986S1 (en)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Thumbstick for a controller
USD785624S1 (en) 2015-10-29 2017-05-02 Microsoft Corporation Battery compartment for a controller
USD794026S1 (en) 2015-10-29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Set of paddles for a controller
USD784989S1 (en)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84988S1 (en)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eable thumbstick attachment
USD784335S1 (en) 2015-10-29 2017-04-1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eable paddles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D868061S1 (en) * 2016-03-24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025636B2 (en) 2016-04-15 2018-07-17 Google Llc Modular electronic devices with contextual task management and performance
US10127052B2 (en) 2016-04-15 2018-11-13 Google Llc Connection device for a modular computing system
US9977697B2 (en) 2016-04-15 2018-05-22 Google Llc Task management system for a modular electronic device
US10282233B2 (en) 2016-04-15 2019-05-07 Google Llc Modular electronic devices with prediction of future tasks and capabilities
US9990235B2 (en) 2016-04-15 2018-06-05 Google Llc Determining tasks to be performed by a modular entity
US10129085B2 (en) 2016-04-15 2018-11-13 Google Llc Determining network configurations for a modular computing entity
USD794717S1 (en) 2016-05-13 2017-08-1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9599S1 (en) 2016-05-13 2017-10-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4129S1 (en) 2016-05-13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95350S1 (en) 2016-06-09 2017-08-2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5351S1 (en) 2016-06-09 2017-08-2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JP6843530B2 (ja) * 2016-06-15 2021-03-1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GB2551779A (en) 2016-06-30 2018-01-0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dio module use in an electronic device
US10097959B2 (en) 2016-07-13 2018-10-09 Play Impossible Corporation Capturing smart playable device and gestures
USD795960S1 (en) 2016-07-14 2017-08-2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KR101811613B1 (ko) * 2016-08-18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514822B2 (en) * 2016-08-24 2019-12-2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entry for multi-user text-based communication
US10154335B1 (en) * 2016-09-06 2018-12-11 Minh Dung Hoang Interchangeable speak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80029770A (ko) * 2016-09-13 2018-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GB2554815B (en) 2016-10-03 2021-03-31 Google Llc Voice-activated electronic device assembly with separable base
US10535966B2 (en) * 2016-10-03 2020-01-14 Google Llc Planar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JP1580264S (ko) * 2016-10-03 2020-06-29
US10226693B2 (en) * 2017-03-02 2019-03-1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Smart trigger-stops for videogame controllers
JP2018152041A (ja) * 2017-03-13 2018-09-27 ウィキパッ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を備え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ゲームコントローラの組み合わせ体
JP2018152042A (ja) * 2017-03-13 2018-09-27 ウィキパッ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ッチスクリーンを支持する可撓性のブリッジを備える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D816170S1 (en) 2017-04-06 2018-04-24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816773S1 (en) 2017-04-06 2018-05-01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825005S1 (en) 2017-04-06 2018-08-0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JP6837921B2 (ja) 2017-06-02 2021-03-0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613267B2 (ja) 2017-06-02 2019-11-2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653293B2 (ja) 2017-06-05 2020-02-2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20190137947A1 (en) 2017-11-05 2019-05-09 Karim Jean Yaghmour Module-Driven Smartwatch
CN208399941U (zh) * 2017-12-15 2019-01-18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载智能控制器的防过损装置
US11188122B2 (en) 2017-12-21 2021-11-30 Datalogic Usa Inc. Low-profile wearable scanning device
JP7060910B2 (ja) * 2018-02-27 2022-04-2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11140814B2 (en) * 2018-05-21 2021-10-1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display unit
USD872183S1 (en) 2018-06-08 2020-01-0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D867911S1 (en) 2018-10-10 2019-11-26 Adel J M S Alabdin Combination gas leak sens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D928771S1 (en) 2019-01-07 2021-08-24 Popsockets Llc Grip and stand accessory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KR102337272B1 (ko) * 2019-06-21 2021-12-08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서비스 시스템
CN210156587U (zh) * 2019-07-11 2020-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和可穿戴设备
TWI731453B (zh) * 2019-10-29 2021-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鍵盤模式切換系統與方法
US11260297B2 (en) * 2020-05-01 2022-03-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heel input device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298610B2 (en) 2020-06-23 2022-04-1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Adjustable trigger-stops for videogame controllers
US11509754B1 (en) 2020-12-01 2022-11-22 Gerald Kess, Jr. Mobile communication and gaming device
US11940841B2 (en) * 2021-06-18 2024-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of flexible display device dividable into separate uni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441A (ja) * 1997-02-26 1998-09-11 Motorola Inc モジュラ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より通信を行う方法
JP2003058278A (ja) * 2001-08-10 2003-02-28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子機器用入力機能付き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647A (en) * 1989-06-02 1990-11-13 Atari Corporation Invertible hand-held electronic game apparatus
JP2856263B2 (ja) 1990-09-07 1999-02-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H07143550A (ja) 1993-11-16 1995-06-0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JPH08335968A (ja) 1995-06-06 1996-12-17 Sony Corp 携帯用情報端末装置
JP2842308B2 (ja) * 1995-06-30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バッテリケース実装構造
US5848152A (en) * 1995-09-26 1998-12-08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faceplates and active keypad cover
US5854984A (en) 1995-12-21 1998-12-29 At&T Wireless Services Inc Radio telephone with detachable pager
GB2317300B (en) 1996-09-12 2000-08-16 Nokia Mobile Phones Ltd A handset
US6035035A (en) 1996-12-19 2000-03-07 Classicom, Llc Wrist mounted telephone device
CN1194561A (zh) * 1997-02-26 1998-09-30 摩托罗拉公司 模块式通信装置
AR011161A1 (es) 1997-02-28 2000-08-02 Kyocera Corp Unidad de comunicacion satelital movil de modalidad dual
JP3048964B2 (ja) 1997-06-24 2000-06-05 邦彦 小池 電話送受信ユニッ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US6077164A (en) * 1997-08-18 2000-06-20 Liu; Da-Ming Method of using speech to control a game program, and game machine controller therefor
JPH11215217A (ja) 1998-01-23 1999-08-06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US6158884A (en) * 1998-06-26 2000-12-12 Motorola, Inc. Integrated communicative watch
US6188917B1 (en) * 1998-09-16 2001-02-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telecommunications assembly having user hand-hold, and associated method
US6528203B1 (en) * 1999-04-15 2003-03-04 Seiko Instruments Inc. Structure for a strap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6259769B1 (en) 1999-05-04 2001-07-10 Cubic Corporation Portable smart card communication device
US6341218B1 (en) * 1999-12-06 2002-01-22 Cellport Systems, Inc. Supporting and connecting a portable phone
JP2001309027A (ja) 2000-04-18 2001-11-02 Nec Corp 移動体通信端末
US6744890B1 (en) * 2000-07-31 2004-06-01 Motorola Inc. Keypa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pad module
US6798391B2 (en) * 2001-01-02 2004-09-28 Xybernaut Corporation Wearable computer system
US7162282B2 (en) * 2001-01-22 2007-01-09 Wildseed, Ltd. Interchangeable covering addition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display and key reorientation
US7110789B1 (en) * 2001-03-07 2006-09-19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docking system and method
US6768899B2 (en) * 2001-04-04 2004-07-27 Motorola, Inc.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530838B2 (en) * 2001-04-18 2003-03-11 Mobilink Telecom Co., Ltd. Game pad connectable to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7095986B2 (en) * 2001-07-17 2006-08-22 Wildseed Ltd. Interchangeable covering with keys for personalizing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JP2003032344A (ja) 2001-07-17 2003-01-31 Kyocera Corp 携帯端末
US7692667B2 (en) 2001-08-17 2010-04-06 Palm, Inc.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JP2003087368A (ja) 2001-09-11 2003-03-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通信装置
US20030068034A1 (en) 2001-10-09 2003-04-10 Silvester Kelan C. Upgrading cellular telephones
US7280100B2 (en) 2001-10-11 2007-10-09 Palm, Inc. Accessory module for handheld devices
JP2003209603A (ja) 2001-11-06 2003-07-25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話
AU2002350969A1 (en) 2001-12-17 2003-06-3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od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US6742685B2 (en) 2002-01-04 2004-06-01 Thomas Williams Clip and holder for portable devices
WO2004006548A1 (en) 2002-07-09 2004-01-15 Fossil, Inc. Wearable phone and wristwatch having a detachable phone module and a separate phone carriage
US20040097276A1 (en) 2002-11-14 2004-05-20 Harmon Roger Wright Replaceable hous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066789B2 (ja) 2002-11-15 2008-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背面パネル装着方法
US20040137983A1 (en) * 2003-01-13 2004-07-15 Gaming Accessory For Wireless Devices Gaming accessory for wireless devices
US7627343B2 (en) 2003-04-25 2009-12-01 Apple Inc. Media player system
US20040259587A1 (en) 2003-06-18 2004-12-2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Modular wireless telephone
TWM245688U (en) 2003-09-19 2004-10-01 Hon Hai Prec Ind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29364B2 (en) * 2003-11-19 2009-05-05 Imbibo, Inc.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JP3844472B2 (ja) 2003-11-20 2006-11-15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TWM258507U (en) * 2004-06-02 2005-03-01 Fih Co Ltd The replaceable pane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394364B2 (en) 2004-08-25 2008-07-01 Robert Odell Elliott Wireless item lo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678226B1 (ko) 2004-11-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착탈 표시창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WO2006072968A1 (en) 2005-01-04 2006-07-13 Global Watch Industries Srl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US7627843B2 (en) * 2005-03-23 2009-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interleaving randomly generated test-cases for functional verification
US8531402B2 (en) * 2005-04-29 2013-09-1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te cover having user interface
US7509094B2 (en) 2005-06-30 2009-03-24 Modu Ltd.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uses thereof
DE102006012763B3 (de) * 2006-03-17 2007-10-18 Bury Gmbh & Co. Kg Gerätehalter mit einem beweglichen Kontaktstecker
FR2903514B1 (fr) * 2006-07-04 2008-10-17 Oberthur Card Syst Sa Boitier pour clef electronique et systeme comportant un tel boitier
EP2044507B8 (en) 2006-07-10 2013-07-24 Ziba Labs LLC Configur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2008024712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Retractab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441A (ja) * 1997-02-26 1998-09-11 Motorola Inc モジュラ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より通信を行う方法
JP2003058278A (ja) * 2001-08-10 2003-02-28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子機器用入力機能付きケース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610A (ko) *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949064B2 (en) 2015-12-30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551958B2 (en) 2016-03-15 2020-02-0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DE102016219845B4 (de) 2016-03-15 2023-01-05 Hyundai Motor Company Berühreingabeeinrichtung und Fahrzeug, welches die Berühreingabeeinrichtung beinhaltet
KR102098646B1 (ko) * 2018-12-04 2020-04-08 주식회사 아트뷰 제어보드에서 터치 패널이 부착된 lcd 패널 인식 시스템
WO2022103047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합 가능한 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2770A1 (en) 2017-10-19
TWI532356B (zh) 2016-05-01
US20100321899A1 (en) 2010-12-23
CN104038585A (zh) 2014-09-10
TW200948020A (en) 2009-11-16
WO2009089393A1 (en) 2009-07-16
CN101971601A (zh) 2011-02-09
AU2009204054A1 (en) 2009-07-16
CA2712252A1 (en) 2009-07-16
EP2241092A1 (en) 2010-10-20
EP2241092A4 (en) 2014-01-15
US20160241688A1 (en) 2016-08-18
CN101971601B (zh) 2014-03-12
US9118750B2 (en) 2015-08-25
US9325817B2 (en) 2016-04-26
US20150358440A1 (en) 2015-12-10
JP5496111B2 (ja) 2014-05-21
KR101580560B1 (ko) 2015-12-28
JP2011509643A (ja)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560B1 (ko)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EP2044507B1 (en) Configur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KR101595384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8050716B2 (en) Mobile terminal
KR101587092B1 (ko) 이동 단말기
US20090143117A1 (en) Mobile terminal
KR20100050028A (ko) 와치형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4638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65B1 (ko) 휴대 단말기
KR20060073105A (ko) 분리형 이동단말기
KR20100039741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9467A (ko) 휴대 단말기
KR20130053618A (ko) 이동 단말기
KR20100132382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