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117A -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117A
KR20100112117A KR1020107013865A KR20107013865A KR20100112117A KR 20100112117 A KR20100112117 A KR 20100112117A KR 1020107013865 A KR1020107013865 A KR 1020107013865A KR 20107013865 A KR20107013865 A KR 20107013865A KR 20100112117 A KR20100112117 A KR 2010011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iner
adhesive
adhesive sheet
lin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스기노
게이지 다카노
다쿠야 오카다
도시유키 이바야시
Original Assignee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32B2037/1223Hot-melt adhesive film-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갖게 한 점착층 (3)과, 점착층 (3)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와,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의 노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마련된 시트 형상의 픽업 탭 (4)을 구비하고, 점착층 (3) 및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 (周端緣)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제1 박리 라이너 (1), 제2 박리 라이너 (2) 및 픽업 텝 (4)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이 점착 시트는 제조 공정이 간편하고 쉬우며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박리가 용이한 점착 시트이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접합재끼리를 접합하는 양면 점착 시트는 정밀 부품, 전기·전자기기 부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그것들에 요구되는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이나 전자파 흡수성과 같은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 동시에 첩합 작업의 적확성이라는 관점에서의 요구도 많아지고 있어, 박리 라이너에 특징을 덧붙임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고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양면 점착 시트를 끼우는 박리지의 단부 (端部)를 양면 점착 시트의 단부보다 외측에 돌출하도록 형성한 양면 접착 커트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평10-204387호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의 단부보다 외측에 돌출한 박리지끼리의 끝 테두리를 벗기는 것은 박리지끼리가 정전기나 박리지 자신의 유연성에 의해서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곤란하며, 벗길 수 있었다 하더라도 벗기고 싶은 측의 박리지만을 벗기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붙일 때에도 박리지의 단부가 양면 점착 시트의 단부보다 외측에 돌출해 있기 때문에 위치 맞춤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며, 첩합 (貼合) 작업시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점착 시트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상술한 점착 시트의 피착체로의 첩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 또는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갖게 한 점착층과, 점착층의 점착면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와, 박리 라이너의 노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마련된 시트 형상의 픽업 탭을 구비하고, 점착층 및 박리 라이너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 (周端緣)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점착층이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며, 박리 라이너가 상술한 점착층의 한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1 박리 라이너와, 점착층의 다른 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2 박리 라이너를 포함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고, 벗기고 싶은 박리 라이너만을 벗길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박리 라이너에 점착층을 도공하는 공정과, 점착층에 제1 박리 라이너를 첩합하는 공정과, 제1 박리 라이너의 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픽업 탭을 적층하는 공정과, 픽업 탭, 접합 부재, 제1 박리 라이너, 점착층 및 제2 박리 라이너를 함께 절단하고, 점착층 및 박리 라이너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와,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를 일치시키는 공정을 갖는 상술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며, 벗기고 싶은 박리 라이너만을 벗길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양면 점착 시트를 간편한 공정으로 치수 정밀도 및 생산성 좋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 시트의 측면 중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의 형상에 정합하는 정합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갖는 지그 (jig) 위에 있어서, 피착체를 가이드부의 정합면에 피착체의 한 끝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설치하는 공정과, 지그 위에 설치된 피착체 위에 있어서 한쪽의 점착층을 노출시킨 상술한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의 측면 중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가 가이드부의 정합면에 밀착하도록 압착하는 공정과, 점착 시트 위에 압착된 픽업 탭을 점착 시트의 박리 라이너째 끌어올려서 박리 라이너를 점착 시트의 점착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점착 시트의 첩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고, 벗기고 싶은 박리 라이너만을 벗길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점착 시트를 그 점착 시트의 형상에 적합한 지그를 이용하여 간편한 공정으로 위치 정밀도 및 생산성 있게 피착체에 첩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용어의 설명]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라고 하는 기호는 「이상」 및 「이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라고 하는 것은 A 이상이며 B 이하라고 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3: 양면 점착 시트>
도 1∼도 3은 실시형태 1∼3의 양면 점착 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 1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3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층의 쌍방의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가지는 점착 시트이며, 특히, 전자기기에 탑재된 발열 부위의 고정용 등에 사용되는 작업성이 양호한 양면 점착 시트이다.
실시형태 1∼3의 점착 시트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 (3)의 한쪽 면에 제1 박리 라이너 (1)를, 다른 쪽 면에 제2 박리 라이너 (2)를 적층한 것이다. 즉, 점착층 (3)이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 박리 라이너로서 점착층 (3)의 한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1 박리 라이너 (1)와, 점착층 (3)의 다른 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2 박리 라이너 (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1 박리 라이너 (1)에만,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박리 라이너 및 제2 박리 라이너 (2)에 픽업 탭 (4)을 접합 부재 (5)를 통하여 마련한 것이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3의 점착 시트에서는 픽업 탭 (4)의 끝 테두리가 제1 박리 라이너 (1)의 끝 테두리, 제2 박리 라이너 (2)의 끝 테두리 및 점착층 (3)의 끝 테두리와 일치하고 있어, 점착층 (3)의 끝 테두리보다 외측에 돌출해 있지 않다. 다른 표현을 하면, 점착층 (3),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제1 박리 라이너 (1) 및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픽업 탭 (4)의 끝 테두리가 점착층 (3)의 끝 테두리보다 외측에 돌출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픽업 탭 (4)이 점착층 (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픽업 탭 (4)의 자유단 (自由端)을 끌어올림으로써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를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픽업 탭 (4)의 자유단의 길이 (도 4 중의 A 방향의 길이)는 가공성이나 픽업성을 고려하면 3∼25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이다. 자유단의 길이가 3 ㎜ 이상 또는 5 ㎜ 이상이면 손가락이나 핀셋으로 잡기 쉽게 되어 픽업성이 뛰어나다. 또, 자유단의 길이가 25 ㎜ 이하 또는 15 ㎜ 이하이면 제품의 가공성이 저하되지 않고 완성된다. 또, 픽업 탭 (4)의 손가락이나 핀셋 등으로 잡는 부분의 폭 (도 4 중의 B 방향)에 대해서는, 양면 점착 시트의 면 방향의 형상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가공성이나 픽업성을 고려하면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폭이 3 ㎜ 이상이면 손가락이나 핀셋으로 잡기 쉽게 되어 픽업성이 뛰어나다.
접합 부재 (5)(도 4 중의 그물 모양 부분)는 각종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채용할 수 있고, 부재가 아닌 열 봉합 (heat seal), 초음파 용접 (welder) 등의 접합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픽업 탭 (4)은 작업성·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점착 시트의 끝 테두리의 한 개소뿐만 아니라 복수 개소 배치해도 된다. 특히 점착 시트의 면적이 큰 경우나 형상이 이형 (異形)인 경우에는 복수 개소를 픽업함으로써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취급이 더욱 용이해진다.
점착층 (3)·제1 박리 라이너 (1) 간의 점착력과, 점착층 (3)·제2 박리 라이너 (2) 간의 점착력의 간에 차이를 설정함으로써 박리하고 싶은 박리 라이너를 박리할 수 있다. 점착력의 구체적인 차이로는 1.5∼1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배이다. 점착력의 차이가 1.5배 이상 또는 2배 이상이면 박리하고 싶은 박리 라이너를 매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한편, 점착력의 차가 10배 이하 또는 5배 이하이면 약한 쪽의 점착력 설정의 박리 라이너가 제멋대로 점착층 (3)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점착력의 조정 방법은 제1 박리 라이너 (1)와 제2 박리 라이너 (2)의 재질을 바꾸는 방법, 점착층 (3)의 제1 박리 라이너 (1)에 대한 접촉측 점착력과 제2 박리 라이너에 대한 접촉측 점착력에 차이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실시형태 1∼3의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는 점착 시트의 첩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3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박리가 용이하고, 벗기고 싶은 박리 라이너(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만을 벗길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 (3)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점착 시트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하여 그 점착 시트의 형상에 적합한 지그를 이용하여 간편한 공정으로 위치 정밀도 및 생산성 좋게 피착체 (6)에 첩합시킬 수 있다.
(i) 피착체 설치 공정
우선 이 작업시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피착체 (6)를 스페이서 (7)에 싣고, 그 끝 테두리를 스페이서 (7)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한다. 즉, 점착 시트의 측면 중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 및 픽업 탭 (4)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의 형상에 정합하는 정합면을 가지는 가이드부 (돌출부)를 가지는 지그 (스페이서 (7)) 위에 있어서, 피착체 (6)를 가이드부 (돌출부)의 정합면에 그 피착체 (6)의 한 끝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설치한다.
(ⅱ) 점착 시트 압착 공정
다음으로, 이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 중 어느 한쪽을 점착층 (3)으로부터 벗기고, 이어서 점착층 (3)의 노출면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착체 (6)에 붙인다. 즉, 지그 (스페이서 (7)) 위에 설치된 피착체 (6) 위에 있어서 한쪽의 점착층 (3)을 노출시킨 실시형태 1∼3의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의 측면 중 박리 라이너(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 및 픽업 탭 (4)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가 가이드부의 정합면에 밀착하도록 압착한다.
(ⅲ) 박리 공정
그 후, 점착층 (3)으로부터 픽업 탭 (4)을 이용하여 박리 라이너 (2)를 벗긴다. 즉, 점착 시트 위에 압착된 픽업 탭 (4)을 점착 시트의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째로 끌어올려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를 점착 시트의 점착층 (3)으로부터 박리시킨다.
(ⅳ) 접착 부재의 첨부 공정
마지막으로, 점착층 (3)의 노출면에 도시 외의 접착 부재를 붙이고, 피착체 (6)와 접착 부재 (도시하지 않음)를 접착한다. 이 작업시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피착체 (6)를 스페이서 (7)에 싣고, 그 끝 테두리를 스페이서 (7)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층 (3)의 위치 결정을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 1∼3의 양면 점착 시트의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i) 픽업 탭
픽업 탭 (4)은 접합 부재 (5)를 통하여 박리 라이너 (1, 2)를 점착층 (3)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시트 형상인 것이면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박의 단체 또는 복합체가 있으며, 종이이면, 글라신지, 상질지, 크래프트지 또는 이것들에 폴리에틸렌으로 눈먹임 (wood filling) 처리된 것이 있다. 합성수지이면,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단체 또는 복합체, 혼합체, 다층체가 있다. 금속박으로는 알루미늄박, 구리박, 주석박이 있다.
픽업 탭 (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나,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서의 절단 가공 등을 고려하면, 25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절단 가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격 면 등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픽업 탭 (4)을 유색 또는 박리 라이너 (1, 2)와 다른 색으로 하는 것은 박리 라이너와 판별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PET 필름에 소정의 박리 처리를 가한 박리 라이너의 외측면에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실시한 것이나, PET 필름 자체에 안료를 첨가하여 착색한 것이 있다. 또, 제1 박리 라이너 (1)를 종이로, 제2 박리 라이너 (2)를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했을 경우, 픽업 탭 (4)을 PET 필름으로 하면 소재의 차이로 각각을 구별할 수도 있다. 또, 박리 라이너·픽업 탭 간의 접합력은 점착층·박리 라이너 간의 점착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ⅱ)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제2 박리 라이너 (2)는 점착층 (3)의 점착면을 보호하는 것이며,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박리지, 세퍼레이터, 이형지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박리 라이너가 사용되는 소재는 표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 불소계 박리 처리, 알키드계 지방산 박리 처리 등이 가해진 종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박 등이 있다. 종이이면, 글라신지, 상질지, 크래프트지 또는 이것들에 폴리에틸렌으로 눈먹임 처리된 것이 있다. 합성수지이면,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단체 또는 복합체, 혼합체, 다층체가 있다. 금속박으로는 알루미늄박, 구리박, 주석박이 있다.
박리 라이너 (1, 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나,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서의 절단 가공 등을 고려하면 25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절단 가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격 면 등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박리 라이너 (1)의 색·소재와 제2 박리 라이너 (2)의 색·소재를 다르게 함으로써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T 필름에 소정의 박리 처리를 가한 박리 라이너의 외측면에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실시한 것이나, PET 필름 자체에 안료를 첨가하여 착색한 것이 있다. 제1 박리 라이너 (1)를 종이로, 제2 박리 라이너 (2)를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하면 소재의 차이로 박리 라이너 (1, 2)를 구별할 수도 있다.
(ⅲ) 점착층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점착층 (3)으로는 자기 점착성을 갖는 수지 소재나,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자기 점착성을 갖는 수지 소재를 붙인 것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자기 점착성을 갖는 수지로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수지 소재를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액상의 감광성 수지 소재를 도포하고, 노광에 의해서 적당한 점착성을 나타내는 양면 점착층 (3)으로 하는 형태가 있다.
감광성 수지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한쪽에 도포하고, 다른 쪽의 박리 라이너로 덮고 나서 한쪽 혹은 양면으로부터 노광하면 되지만, 노광하는 측의 박리 라이너가 불투명한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 대신에 별도 투명 시트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나서 이 투명 시트를 벗기고 본래의 박리 라이너를 적층해도 된다. 또, 노광의 정도에 따라서 점착성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박리 라이너 (2)측의 점착력과 제1 박리 라이너(1) 측의 점착력에 차이가 생기도록 노광의 정도를 조정한다.
점착층 (3)으로서, 자기 점착성을 갖는 수지 소재에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시킴으로써 점착층 (3)에 양호한 열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탑재된 발열 부위의 고정용에 적합하다. 열전도성 필러로서 구체적으로는 산화알루미늄 분말이나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각종 실리카 분말, 질화알루미늄 분말, 질화붕소 분말, 탄화규소 분말,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각종 분말 등이 있다.
<실시형태 4: 제조 방법>
다음으로, 실시형태 1∼3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3의 점착 시트는, 제2 박리 라이너에 점착층을 도공하는 도공 공정과, 점착층에 제1 박리 라이너를 첩합시키는 첩합 공정과, 제1 박리 라이너의 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픽업 탭을 적층하는 적층 공정, 또한, 픽업 탭, 접합 부재, 제1 박리 라이너, 점착층 및 제2 박리 라이너를 모두 절단하여 끝 테두리를 일치시키는 절단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절단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된 점착 시트를 한꺼번에 절단함으로써 끝 테두리를 일치시킨다고 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즉, 제1 박리 라이너 (1), 점착층 (3) 및 제2 박리 라이너 (2)를 함께 절단하고, 점착층 (3) 및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와,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 및 픽업 탭 (4)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를 일치시킴으로써 끝 테두리를 일치시킨다고 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이 제조 방법은 공정이 간편하기 때문에 양산에 적합하여 염가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박리 라이너에 점착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액상의 점착층 조성물을 코터 가공법, 닥터 블레이드 가공법, 압출 가공법에 따라 적층하는 방법이 있다. 또, 프레스에 의한 2차 가공을 부가해도 된다.
픽업 탭 (4)의 첩합에 있어서는, 제1 박리 라이너 (1)와 양면 점착층 (3)과 제2 박리 라이너 (2)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임의의 형상으로 절단 가공한 후, 절단 단부에 맞추어 픽업 탭 (4)을 박리 라이너 (1, 2)에 첩합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것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의 평면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사각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실시형태 1∼3에서의 양면 점착 시트의 평면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이형, 원형, 타원형상 등 임의로 선택이 가능하다. 또, 픽업 탭의 위치는 끝 테두리만 일치해 있으면 후술하는 각종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편면 점착 시트라도, 한쪽 면에 점착성을 갖게 한 점착층과, 점착층의 점착면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와, 박리 라이너의 노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마련된 시트 형상의 픽업 탭을 구비하고 있고, 점착층 및 박리 라이너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으면 실시형태 1∼3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층 및 박리 라이너의 전체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박리 라이너 및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가 용이하고, 벗기고 싶은 박리 라이너만을 벗길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양면 점착 시트의 연속 제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양산에 적합하여 염가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첩합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로서 도 1,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박리 라이너: 두께 30 ㎛의 PE 필름의 편면에 박리 처리를 가한 것.
제2 박리 라이너: 두께 75 ㎛의 PET 필름의 편면에 박리 처리를 가한 것.
픽업 탭: 두께 38 ㎛의 PET 필름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의 크기: 10 ㎜ × 10 ㎜)
점착층의 수지 조성물
점착층 (3)의 수지 조성물은 점착 조성물과 열전도성 필러로 형성하였다.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 고무 (일본 제온 주식회사제 「AR-53L」) 10 중량%가 용해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2EHA」) 용액에 아크릴산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AA」) 10 중량%를 혼합하고, 광중합개시제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0.5 중량% (치바·스페셜티·케미컬스 주식회사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르캅탄 0.2 중량% (마루젠 케미컬 주식회사제), 2-부틸-2-에틸-1,3-프로판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0.2 중량% (쿄에이샤 화학 주식회사제)를 추가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얻은 것이다. 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열전도성 필러로서 산화알루미늄 (덴키카가쿠공업사제 「DAW―10」)을 400 중량부, 혼합, 분산하여, 진공 탈포 (0.08 MPa×60분) 처리하고, 이에 의해 점착층 (3)의 수지 조성물 (이 경우, 열전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제2 박리 라이너 (2)의 박리 처리 시공면에 점착층 (3)의 수지 조성물을 두께 1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도포면에 동일한 필름을 덮어씌우고, 365 nm의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 조사하여 점착층 (3)을 형성하였다.
도포면을 덮고 있는 필름을 벗기고, 제1 박리 라이너 (1)의 박리 처리 시공측을 점착층 (3)의 노출면을 향하여 라미네이트하고, 제1 박리 라이너 (1), 점착층 (3), 제2 박리 라이너 (2)로 이루어진 것을 얻었다. 이때의 총 두께는 205 ㎛이다. 다음으로,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임의의 위치에 픽업 탭 (4)을 두께 30 ㎛의 양면 접착테이프 (5)로 단부보다 외측에 돌출하지 않도록 접합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점착 시트를 펀칭기에 넣어 제2 박리 라이너 (2)를 아래쪽을 향하여 한 변이 100 ㎜인 정사각형이 되도록 펀칭기로 절단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였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형상의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층 (3) 및 제1 박리 라이너 (1) 간의 점착력):(점착층 (3) 및 제2 박리 라이너 (2) 간의 점착력)의 비율은 1:3이었다.
본 실시예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제1 박리 라이너 (1)측의 픽업 탭 (4)을 집어 제1 박리 라이너 (1)를 점착층 (3)· 제2 박리 라이너 (2)로부터 용이하게 벗길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벗겨 노출시킨 점착층 (3)을 박리 라이너 (2)와 함께 전자기기에 탑재된 발열 부위의 피착체 (도시 외)에 정밀도 좋게 붙일 수 있었다. 그 후, 제2 박리 라이너 (2)를 벗긴 후, 남은 점착층 (3)에 피착체 (도시 외)를 누름으로써 피착체 (도시 외)를 점착층 (3)에 붙일 수 있었다. 이 박리 라이너(2)를 벗길 때 픽업 탭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걸렸다.
<실시예 2>
다른 실시예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2 박리 라이너 (2)측에도 픽업 탭 (4)을 마련한 것이다. 그 외의 점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쌍방의 박리 라이너를 정확하게 벗길 수 있어 양호하였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한 다음에,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박리 처리를 조정하여, (점착층 (3) 및 제1 박리 라이너 (1) 간의 점착력):(점착층 (3) 및 제2 박리 라이너 (2) 간의 점착력)을 1:1.5가 되도록 조정한바, 제1 박리 라이너 (1)를 점착층 (3) 및 제2 박리 라이너 (2)로부터 벗길 때에, 제2 박리 라이너 (2)로부터 점착층 (3)의 일부가 떠 버렸다.
<실시예 4>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한 다음에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박리 처리를 조정하여, (점착층 (3) 및 제1 박리 라이너 (1) 간의 점착력):(점착층 (3) 및 제2 박리 라이너 (2) 간의 점착력)을 1:11이 되도록 조정한바,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점착층 (3) 간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약해서, 펀칭기로의 절단 가공시에 제1 박리 라이너 (1)가 일부 양면 점착층으로부터 떠 버렸다.
<실시예 5>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픽업 탭 (4)을 점착층 (3)의 쌍방향에 대치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를 박리할 때에 다른 쪽의 픽업 탭 (4)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는 희망하는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를 박리할 수 있었다.
<고찰>
상술한 실시예 1∼5에 의하면, 점착층 (3) 및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및 제2 박리 라이너 (2)) 및 픽업 탭 (4)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 (제1 박리 라이너 (1) 또는 제2 박리 라이너 (2))의 박리가 용이하며,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의 첩합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1 제1 박리 라이너
2 제2 박리 라이너
3 점착층
4 픽업 탭
5 접합 부재
6 피착체
7 스페이서

Claims (11)

  1. 한쪽 또는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갖게 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점착면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와, 상기 박리 라이너의 노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마련된 시트 형상의 픽업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상기 박리 라이너 및 상기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 점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쌍방의 면에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박리 라이너가 상기 점착층의 한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1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층의 다른 쪽의 점착면에 적층된 제2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1 박리 라이너 간의 점착력이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2 박리 라이너 간의 점착력의 1.5배 이상 10배 이하인 점착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 및 상기 픽업 탭 간의 접합력이 상기 점착층 및 상기 박리 라이너 간의 점착력보다 강한 점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 조성물과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점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감광성 수지 소재가 첨가되어 있는 점착 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에 적층된 점착제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복합 점착층인 점착 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 조성물층과 감광성 수지 소재층을 포함하는 복합 점착층인 점착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 탭의 색이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색과 다른 점착 시트.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 라이너에 상기 점착층을 도공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층에 상기 제1 박리 라이너를 첩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박리 라이너의 표면에 접합 부재를 통하여 픽업 탭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픽업 탭, 상기 접합 부재, 상기 제1 박리 라이너,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2 박리 라이너를 함께 절단하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전체 주위 끝 테두리와, 상기 박리 라이너 및 상기 픽업 탭의 적어도 일부의 끝 테두리를 일치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11. 상기 점착 시트의 측면 중 상기 박리 라이너 및 상기 픽업 탭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의 형상에 정합하는 정합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지그 위에 있어서, 피착체를 상기 가이드부의 정합면에 이 피착체의 한 끝 테두리가 밀착하도록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지그 위에 설치된 상기 피착체 위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점착층을 노출시킨 청구항 1 기재의 점착 시트를 상기 점착 시트의 측면 중 상기 박리 라이너 및 상기 픽업 탭의 끝 테두리가 일치하는 개소가 상기 가이드부의 정합면에 밀착하도록 압착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 시트 위에 압착된 상기 픽업 탭을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박리 라이너째로 끌어올려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점착 시트의 첩합 방법.
KR1020107013865A 2007-11-28 2008-11-25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 KR20100112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7766 2007-11-28
JP2007307766 200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117A true KR20100112117A (ko) 2010-10-18

Family

ID=4067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865A KR20100112117A (ko) 2007-11-28 2008-11-25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9069661A1 (ko)
KR (1) KR20100112117A (ko)
CN (1) CN101874088A (ko)
TW (1) TW200932868A (ko)
WO (2) WO2009069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13B1 (ko) * 2012-11-28 2014-06-02 (주)세기컨버텍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접착필름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0466A (zh) * 2011-06-14 2011-11-30 中山金利宝胶粘制品有限公司 一种绝缘导热双面胶带及其制备方法
CN103031073A (zh) * 2011-09-14 2013-04-10 苏州安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功能的离型膜
WO2013061896A1 (ja) * 2011-10-27 2013-05-02 シャープ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及び、表示モジュール
JP5938313B2 (ja) * 2012-09-14 2016-06-22 ホシデン株式会社 剥離テープ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パネル、液晶モジュール
CN104053542A (zh) * 2012-12-21 2014-09-17 祐平·菲利普·林 膜总成及贴附该膜总成的方法
CN104087197B (zh) * 2014-07-29 2016-07-13 苏州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布导热双面胶
DE102015016744A1 (de) * 2015-07-30 2017-02-02 Lohmann Gmbh & Co. Kg Release Liner
JP2018090655A (ja) * 2016-11-30 2018-06-14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剥離タブ付きディスプレイ用表面保護シート
JP7240806B2 (ja) * 2017-10-06 2023-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
JP7278069B2 (ja) * 2018-12-21 2023-05-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装飾シート
CN110226824A (zh) * 2019-05-17 2019-09-13 天津珍熙美容实业有限公司 美妆专用隔离胶黏保护贴花
CN111574936A (zh) * 2020-06-01 2020-08-25 东莞市兆科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导热胶片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820493Y1 (ko) * 1959-04-03 1963-10-03 Jirobee Taguchi
JPS3714611Y1 (ko) * 1960-05-04 1962-06-22 Shibata Seiichi
JPS5756739U (ko) * 1980-09-18 1982-04-02
JPH03115638U (ko) * 1990-03-07 1991-11-29
JP3754660B2 (ja) * 2002-06-11 2006-03-15 株式会社カトー精工 離型用タブ付き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13B1 (ko) * 2012-11-28 2014-06-02 (주)세기컨버텍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접착필름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9576A1 (ja) 2009-06-04
TW200932868A (en) 2009-08-01
WO2009069661A1 (ja) 2009-06-04
CN101874088A (zh) 2010-10-27
JPWO2009069661A1 (ja)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2117A (ko)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첩합 방법
JP5336050B2 (ja) 両面粘着性シート
CN101980255B (zh) 一种防伪电子标签及其制作方法
JP6454587B2 (ja) 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の個片化物の製造方法、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の個片化物封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封止粘着シートの個片化物の製造方法
JP2015174318A (ja) シート積層体
JP5394661B2 (ja) 粘着シート
TWM444273U (zh) 背膠以及具有背膠之線路板
JP2005223470A (ja) 転写式銅箔アンテナ
JP4902812B2 (ja) 粘接着剤層付き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5473283B2 (ja) 半導体加工用粘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加工用テープ
JP6607739B2 (ja) 貼付材、貼付材の積層体、貼付材の製造方法、および貼付材の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5140384A (ja) テープロール体およびテープロール体の製造方法
JP2013094974A (ja) 配送伝票
JP2007181526A (ja) 鑑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痕跡採取方法
WO2011067851A1 (ja) 圧着型金属製装飾プレート、金属製装飾プレー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06661391B (zh) 粘合片以及粘合片的制造方法
JP2008146553A (ja) Icタグ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89843A (ja) 熱伝導シート
CN218647561U (zh) 一种线缆组件及折叠型线缆标签
WO2015046069A1 (ja)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テープ及び粘接着剤層付き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7412850B2 (ja) Rfidタグ
KR101893279B1 (ko) 박리 시트
JP2562183B2 (ja) 離型シート仮接着フレキシブル回路の製法およびその離型シート仮接着フレキシブル回路
JP2010043285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テープ
CN117391120A (zh) Rfid电子标签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