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899A - 벽면 블록 - Google Patents

벽면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899A
KR20100106899A KR1020090096405A KR20090096405A KR20100106899A KR 20100106899 A KR20100106899 A KR 20100106899A KR 1020090096405 A KR1020090096405 A KR 1020090096405A KR 20090096405 A KR20090096405 A KR 20090096405A KR 20100106899 A KR20100106899 A KR 2010010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protrusion
founda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232B1 (ko
Inventor
야스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0010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4Removable barriers with permanently installed base members, e.g. to provide occasional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부분이나 곡선부분으로 된 장소를 불문하고 설치 가능한 벽면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상측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하측돌출부가 형성되며, 이들 양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기초 블록의 상면에, 이 기초블록의 길이방향의 직선부분의 길이 범위 내에 드는 횡폭 길이로 설정된 벽면부가 형성된 벽면 블록이다.

Description

벽면 블록{Wall surface block}
본 발명은, 도로나 부지 등의 구획에 사용 가능한 벽면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나 부지의 구획, 공사현장 등의 작업영역과 비작업영역을 구획함과 아울러, 그 구획된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가드레일의 대표적인 형태로서는, 파형단면의 빔과 지주(支柱)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 가드레일은,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기초블록을 매설하거나 하여 구축된 기초에 지주를 고정하여 설치되는 고정형 이외에,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가설형의 것이 있다.
가설형의 가드레일로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육면체형으로 형성된 기초블록을 지면에 놓아두고, 이것에 지주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대략 육면체형의 기초를 구비하는 가설형 가드레일로서는, 예컨대, 가드레일의 지주가 보유지지되는 기초를, 지주가 삽입되는 세로구멍을 지나는 수직단면에서 복수개로 절단한 형상의 복수개의 분할블록으로 구성하여, 각 분할블록을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구로 연결하여 조립하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 공개특허 제2007-291736호 공보 참조).
그러나, 대략 육면체형의 기초블록을 이용한 가설형 가드레일은, 설치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형태의 가설형 가드레일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블록 하나하나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므로, 기초블록 1개당 중량이 가볍고, 또한 지면에의 접지면적도 작아서, 예컨대 자전거나 보행자가 넘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기댈 경우나, 돌풍이 부는 경우 등에 용이하게 쓰러져 버리거나, 혹은 자동차가 충돌하였을 때 용이하게 튀어 날아가 버려서, 길 쪽의 영역이나 작업영역 등의 보호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자동차의 침입을 허용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설치작업시에는, 지주 하나하나마다 기초블록의 위치를 하나씩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설치안정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가드레일의 기초블록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제안하였다(일본 특허공보 제3814682호 참조). 이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은, 볼록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양단부 중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와,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하측 돌출부를 구비하며, 각각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와 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가드레일을 설치할 때의 기초블록으로서 사용하면, 종래의 대략 육면체형의 기초블록과는 달리, 기초블록들이 연결되어 일체화되므로, 우수한 설치안정성이 얻어짐과 동시에 위치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기초블록과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동하므로,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분도, 현장에서 그 곡률에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어서, 여러 형상의 기초블록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을 설치할 경우에도, 도로의 커브(곡선부분)에 따라 설치할 경우에는, 그 커브의 곡률에 따라 전용으로 형성된 가드레일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즉,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설치장소의 커브의 곡률을 계측하여 두고, 그 곡률에 맞는 굽힘가공을 실시한 전용 형상의 가드레일을 조달하여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는 도로에 설치할 경우 등에는, 직선부분용과 커브부분용과 같이, 여러 형상의 가드레일이 필요해지므로, 현장에서의 자재관리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용으로 굽힘가공된 가드레일이라고 하더라도, 그 굽힘 정밀도가 낮을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지주와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의 여러명의 작업자가 체중을 실어서 정지작업을 하면서 지주에 고정하여 대처하는 등, 설치작업도 번거롭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가설형뿐만 아니라 고정형의 것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가드레일이 내포하고 있는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직선부분과 곡선부분을 불문하고, 모든 장소에 대응할 수 있는 벽면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측돌출부와,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상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를 결합시켜서 연결설치되었을 때, 원호형으로 형성된 양단부에 의해 인접하는 기초블록과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기초블록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벽면 블록이다.
이 벽면 블록은, 바닥판부와, 벽면부를 가진다. 벽면부는, 종래의 가드레일에 있어서의 빔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그래서, 기초블록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설 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충분히 발생시키기 위하여,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 사이에 드는 길이, 즉, 기초블록의 양단부의 원호를 이루는 부분에 걸리지 않는 길이로 설정된다. 횡폭 길이가 상술한 길이 범위를 넘도록 설정되면, 인접하는 기초블록과의 사이에서 회동을 행할 때, 벽면부의 단부들이 접촉하여 회동 범위를 좁히게 되므로,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의 회동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 사이에 드는 길이 범위”로 하였다. 또한,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그 길이로 설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벽면 블록의 벽면부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앞쪽으로부터 벽면 블록의 맞은편 쪽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벽면 블록에는,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돌출부에,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를 결합시킨 후 서로를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때, 바닥판부에 상기 상측돌출부의 상기 볼트공을 노출시키는 절결창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기초블록 사이에서 결합되는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를 서로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기초블록들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가설형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기초블록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둘 필요가 있는데,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그 분리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기초블록에, 이러한 볼트에 의한 고정수단이 채용되는 경우,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는데, 벽면 블록을 기초블록의 상면에 놓아둔 상태에서 벽면 블록의 바닥판부가 상측돌출부의 볼트구멍을 막아버리면, 볼트의 체결 및 이완 조작을 행할 때 일부러 벽면 블록을 들어내거나, 위치를 옮기거나 하여 볼트구멍을 노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바닥판부가 볼트구멍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판부에 절결창을 마련하여 볼트구멍을 항상 노출시켜 두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상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벽면 블록으로 해도 좋다.
이 벽면블록은, 일측 단부에 형성된 상측돌출부가,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와 결합하여,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의 최단부(最端部)에 배치되는 기초블록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이다. 이 벽면 블록에 있어서는,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길이, 즉, 상측돌출부에 있어서의 원호에 걸리지 않는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볼트구멍을 노출시키는 절결창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가 원호형 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하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벽면 블록으로 해도 좋다.
이 벽면 블록은, 일측 단부에 형성된 하측돌출부가,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와 결합하여,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의 최단부에 배치되는 기초블록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이다. 이 벽면 블록에 있어서는,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일측 단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길이, 즉, 하측돌출부가 형성되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원호에 걸리지 않는 길이로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의 바닥판부의 저면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멍부와 결합하는 위치결정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기초블록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벽면 블록에 위치결정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초블록에 대한 벽면 블록의 고정위치를 일정하게 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 등에, 벽면 블록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블록의 고정수단으로서 볼트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볼트구멍의 위치맞춤 작업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에 의하면,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를 결합시켜서 연결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설치 가능한 기초블록에 고정하였을 때, 회동시에 인접하는 벽면 블록들이 간섭하지 않도록, 벽면 블록의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까지의 사이에 드는 길이, 혹은 일측 단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길이로 설정된다. 이처럼,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벽면 블록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회동을 행할 때 벽면 블록들이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 범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므로,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분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가드레일과 같이 전용 형상의 것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직선부분이나 곡선부분을 불문하고 한 종류의 벽면 블록으로 전체의 장소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자재관리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도로나 부지 등의 구획에 사용할 수 있는 벽면 블록이다. 이 벽면 블록이 설치되는 장소로서는, 예컨대, 도로에 있어서는 중앙분리대, 인도측 영역과 차량통행 영역 사이, 분기·합류차선과 주행차선 사이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부지에 있어서는 입장 가능 구역과 금지구역 사이, 공사구역과 비공사구역 사이, 주차장의 주차구역과 주행구역 사이 등이 고려될 수 있는데, 특정한 장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을 요하는 장소라면 어디라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은, 기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 중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측돌출부와, 타측의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는 기초블록에 고정되는 것이다. 우선은, 이 기초블록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기초블록은, 충분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는 중량으로 형성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제작되는 것이 좋으나, 자동차가 충돌하는 등의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상정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에 의해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물이나 모래 등을 충전하여 제작하여도 좋다. 이 기초블록은, 기링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측 단부에는, 그 상측부분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그 하측부분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가 형성된다. 상측돌출부는, 일측에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와 결합하는 부분이며, 하측돌출부는 타측에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즉, 기초블록이 연결설치될 때에는,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가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에 겹쳐지도록 하여 결합되고, 상측돌출부가 하측돌출부를 위로부터 누르는 듯한 형태가 된다. 이러한 결합형태를 채용함으로써, 기초블록들의 일체화가 도모되어 우수한 설치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양단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소위 “모따기”를 함으로서, 인접하는 기초블록과의 사이에서 넓은 회동범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동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상측돌출부는, 기초블록의 높이의 상측 대략 절반부분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돌출부는, 기초블록의 높이의 하측 대략 절반부분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 블록, 기초블록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은, 회동범위 및 회동 동작을 손상시키지 않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반원형상을 이루는 원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돌출부에는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를 마련하고, 하측돌출부에는 상측돌출부에 마련된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에 대응하는 결합홈부 또는 결합돌출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돌출부는,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는 것인데, 이 때, 결합돌출부와 결합홈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양자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와 결합홈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출부와 결합홈부를 원형으로 형성하면,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의 결합위치맞춤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초블록을 회동시킬 때에는 양자의 결합부분이 지지점이 되어 회동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에는, 인접하는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와 상측돌출부를 결합시킨 상태로 서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트를 이용하여도 좋다. 고정수단으로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정의 해제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초블록을 회동시킬 때에는, 볼트를 축으로 하여 회동을 행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는,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게 되는데, 원형의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결합돌출부와 결합홈부의 중앙 위치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기초블록은, 그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만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한 기초블록은, 연결설치되는 기초블록의 최단부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벽면 블록은, 상기의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된 장소에 벽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벽면 블록은 특히 그 재질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횡방향으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는 중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벽면 블록은, 바닥판부와, 벽면부를 가진다. 바닥판부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놓이는 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벽면 블록을 기초블록에 고정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초블록에의 착탈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측면 뿐만 아니라 운반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닥판부 및 기초블록에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이 형성된다.
바닥판부의 형상은, 기초블록의 상면 내에 드는 크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초블록에 고정되었을 때, 바닥판부가 이 볼트구멍을 막지 않도록 절결창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바닥판부가 볼트구멍을 막아버리면, 볼트의 체결이나 이완을 행할 때, 일부러 벽면 블록을 떼어내거나 위치를 옮기거나 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벽면 블록의 바닥판부에 절결창을 마련하여, 벽면 블록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볼트구멍이 항상 노출되도록 하면 좋다. 이 절결창의 형상은, 볼트구멍을 노출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바닥판부의 단부를 잘라낸 것 같은 형상으로 해도 좋고, 볼트구멍에 대응되는 부분을 잘라 빼낸 것 같은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바닥판부의 저면에는, 위치결정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위치결정돌출부는, 벽면 블록을 기초블록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벽면 블록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다. 위치결정돌출부의 형상이나 크기는,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에컨대 원형돌출부, 타원형돌출부, 사각형돌출부로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바닥판부에 위치결정돌출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이 위치결정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의 구멍부를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벽면부는, 벽면 블록에 있어서, 확실하게 벽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벽면부의 형상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벽면 블록의 단면이 대략 “L”자형상을 이루도록 바닥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올려지도록 형성해도 좋고, 벽면 블록의 단면이 대략 역“T”자 형상을 이루도록 바닥판부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올려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벽면부의 높이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횡폭 길이는,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기초블록의 양단부 중 회동에 따른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원호를 이루는 부분에 걸리지 않는 길이 범위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블록의 일측 단부에 상측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까지의 사이에 드는 길이로 설정된다. 횡폭 길이가 그 길이 범위를 초과하면, 인접하는 벽면 블록과의 사이에서 회동을 행할 때, 벽면부의 단부들이 접촉하여 회동범위를 좁혀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벽면 블록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예컨대, 도로의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진행방향의 시야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되는 장소가 벽면 블록에 의해 간극없이 둘러싸여버리면 압박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인접하는 벽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벽면부의 맞은편 쪽을 볼 수 있으므로 개방감을 얻을 수 있고, 벽면부가 가져다 주는 압박감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면 블록은 하나씩 기초블록에 고정되므로, 예컨대, 벽면이 필요한 구간과 필요하지 않은 구간을 짧은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하는 경우 등에는, 짤막짤막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면 블록은, 기초블록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로의 인도측과 차도 사이나, 고속도로 등의 자동차 전용도로에 있어서의 주행차선과 분기·합류차선 사이의 지면에 놓아두어 가설형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초블록을 지중에 매설하여 고정형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및 도 2에는, 본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10)을 기초블록(20)에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블록(10)은, 기초블록(20)의 상면에 고정된다. 기초블록(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20a, 20b)는, 각각 대략 반원형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블록(20)의 일측단부(20a)에는, 기초블록(20)의 높이의 상측 대략 절반 부분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돌출부(21)의 하면에는, 대략 반원형의 원호의 중심위치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홈부(22)의 중심에는 볼트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블록(20)의 타측단부(20b)에는, 기초블록(20)의 높이의 하측 대략 절반 부분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돌출부(24)의 상면에는, 대략 반원형의 원호의 중심위치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돌출부(25)의 중심에는 볼트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블록(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벽면 블록(1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하나의 기초블록(20A)과, 다른 기초블록(20B)을 연결설치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초블록(20A)과, 다른 기초블록(20B)을 연결설치하려면, 기초블록(20A)에서의 상측돌출부(21)를 다른 기초블 록(20B)에서의 하측돌출부(24)에 겹치도록 하여 결합시킴과 동시에, 기초블록(20B)의 하측돌출부(24)에 형성된 결합돌출부(25)를 기초블록(20A)의 상측돌출부(21)에 형성된 결합홈부(22)에 결합시킨다. 이 때, 결합돌출부(25)의 중심에 위치하는 볼트구멍(26)과 결합홈부(22)의 중심에 위치하는 볼트구멍(23)이 겹쳐져, 하나의 볼트구멍으로서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연통된 볼트구멍(23, 26)에 볼트(30)를 임시 고정한 후, 기초블록(20A)와 기초블록(20B)을 회동시켜서 원하는 각도로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볼트(30)를 체결함으로써 연결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상측돌출부(21)를 하측돌출부(24)에 결합시키고, 결합홈부(22)를 결합돌출부(25)와 결합시킴으로써 결합홈부(22)와 결합돌출부(25)의 결합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초블록(20A, 20B)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볼트(30)에 의해, 서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회동조작을 행할 때에는, 반드시 볼트의 임시고정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각도설정이 완료된 후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도 5에는,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10)이 도시되어 있다. 벽면 블록(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제작된 것이며, 바닥판부(11)와, 벽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부(11)는, 기초블록(20)의 상면에 놓이는 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이 평면에는, 기초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구멍(27)에 연통하는 볼트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벽면부(14)는, 바닥판부(11)의 길이방향 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올려지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부(11)이 위치하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벽면 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20)의 상면에 놓여지며, 도시되지 않은 볼트를 바닥판부의 볼트구멍(12) 및 기초블록의 볼트구멍(27)에 삽입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벽면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20)의 상면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20a)의 원호의 현과, 타측 단부(20b)의 원호형 현 사이에 드는 길이 범위 내, 즉, 기초블록(20)의 상면의 원호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직선부분(L-L)의 길이 범위 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된다. 이것은, 벽면 블록(10)을 연결설치하였을 때, 인접하는 벽면 블록(10)의 벽면부(14)와 간섭하여 기초블록(2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양자간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부(11)는 상측돌출부(21)에 형성된 볼트구멍(23)을 막지 않도록, 단부를 잘라낸 것처럼 형성한 절결창(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창(13)을 마련함으로써, 기초블록(20)에 벽면 블록(10)을 고정한 상태에서도, 볼트구멍(23)을 노출시켜 둘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블록(10)을 연결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블록(10A, 10B, 10C)는, 각각 기초블록(20A, 20B, 20C)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기초블록(20A, 20B, 20C)은 기초블록(20A)의 상측돌출부(21)가 기초블록(20B)의 하측돌출부(24)에 결합되고, 다시 기초블록(20B)의 상측돌출부(21)와 기초블록(20C)의 하측돌출부(24)가 결합하여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20A)과 기초블록(20B)의 사이 및 기초블록(20B)과 기초블록(20C)의 사이는 모두 결합홈 부(22)와 결합돌출부(25)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설치된 기초블록(20A, 20B, 20C)에, 벽면 블록(10A, 10B, 10C)이 각각 고정되었을 때, 벽면 블록(10A)과 벽면 블록(10B) 사이 및 벽면 블록(10B)과 벽면 블록(10C) 사이에는 공간(α)이 형성된다. 이 공간(α)에 의해, 기초블록(20A)과 기초블록(20B) 및 기초블록(20B)과 기초블록(20C)을 회동시킬 때, 벽면 블록(10A)과 벽면 블록(10B) 및 벽면 블록(10B)과 벽면 블록(10C)이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벽면 블록(10)은, 기초블록(20)과 조합시킴으로써,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놓여져 설치와 철거가 자유롭게 행해지는 소위 “가설형”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20)을 지중에 매설하여, 소위 “고정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10)에 의하면, 단부(20a, 20b)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20a)에 상측돌출부(21)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20b)에 하측돌출부(24)를 구비한 기초블록(20)의 상면에 고정되었을 때, 회동시에 인접하는 벽면 블록(10)과 간섭하지 않도록, 벽면 블록(10)의 벽면부(14)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20)의 길이방향의 직선부분의 길이 범위 내에 들도록 설정하였으므로, 인접하는 벽면 블록(20)과의 사이에서 회동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장소에 대응한 형태로 연결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벽면 블록(10)의 저면부(11)에, 절결창(13)을 형성함으로써, 벽면 블록(20)을 고정한 상태에서도 기초블록(20)의 볼트구멍(23)을 노출시켜 둘 수 있으므로, 벽면 블록(10)을 떼어내거나 하지 않더라도 볼트(30)의 체결·이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9에는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10)을 기초블록(20)에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그 기초블록(20)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10)은, 실시에1에 따른 벽면 블록을 개량한 것으로서, 벽면 블록(10)에 위치결정돌출부(16)가 마련되고, 이것이 고정되는 기초블록(20)의 상면에 구멍부(28)가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는데,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20)은, 그 상면의 대략 중앙위치에 구멍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블록(10)의 바닥판부(11)의 저면(11a)의 대략 중앙에는, 구멍부(28)와 대응하도록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는,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10)을 연결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위치결정돌출부(16)는, 벽면 블록(10)이 기초블록(20)의 상면에 고정될 때, 구멍부(28)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벽면 블록(10)을 기초블록(20)의 상면의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블록(10)에 자동차 등이 충돌한 경우 등, 횡방향으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는, 위치결정돌기부(16)와 구멍부(28)의 결합부분이 벽면 블록(1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횡방향으로의 위치 벗어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15에는 실시예3에 따른 벽면 블록(10)을 기초블록(20)에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기초블록(20)은, 실시예1에서의 기초블록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벽면 블록(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제작되어 있으며, 바닥판부(11)와, 벽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부(11)는, 기초블록(20)의 상면에 놓이는 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벽면부(14)는, 바닥판부(11)의 평면으로부터 세워올려지는 대략 세로로 긴 판형상의 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벽면부(14)의 횡폭 길이는, 기초블록(20)의 상면단부에 있어서의 원호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직선부분의 길이 범위 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된다. 이 벽면 블록(10)에는, 별면부(14)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판부(11)에 걸쳐서 연통하는 볼트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12)와, 기초블록(20)의 볼트구멍(27)에 볼트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벽면 블록(10)이 기초블록(20)에 고정된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에 적용되는 기초블록(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기초블록(20)은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도시된 기초블록과 다른 형태를 가진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기초블록은, 그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20a)에 상측돌출부(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20b)에 하측돌출부(24)가 형성된 것인데, 도 16에 도시된 기초블록(20)은, 일측 단부(20a)에 상측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20b)가 단순히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기초블록(20)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양단부에 각각 하측돌출부(24)와 상측돌출부(21)를 구비한 기초블록(20A, 20B, 20C)이 연결되었을 때, 그 최단부에 배치되는 기초블 록(20D)으로서 사용된다. 이 기초블록(20D)는, 상측돌출부(21)가, 인접하는 기초블록(20C)의 하측돌출부(24)와 결합함으로써 연결설치된다. 이 때, 기초블록(20D)의 상측돌출부(21)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쪽이 되는 단부(20b)는,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20A, 20B, 20C)의 말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기초블록(20D)은 하측돌출부가 불필요한 것이다. 또한, 이 기초블록(20)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에 관하여는,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20)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측돌출부(21)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20b)까지의 사이에 들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기초블록(20D)을 이용함으로써,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의 말단의 미관을 정돈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에 적용되며 도 16에 도시된 기초블록(20)의 반대쪽의 최단부에 배치되는 기초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이 기초블록(20)은,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에서, 도 18에 도시된 기초블록(20D)이 연결설치되는 측과 반대쪽의 최단부에 배치되는 기초블록(20)이다. 즉, 기초블록(20)의 일측 단부(20a)가 단순히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20b)에 하측돌출부(24)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이 기초블록(20)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에 관하여는, 벽면부의 횡폭 길이를, 기초블록(20)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일측 단부(20a)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20b)까지의 사이에 들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 기초블록(20)을 사용함으로써, 도 16에 도시된 기초블록(20)과 마찬가지로, 연결설치된 일련의 기초블록의 말단의 미관을 정돈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벽면 블록(10)의 설치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8에는, 벽면 블록(18)을, 소위 “가설형”으로서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초블록(20A, 20B, 20C, 20D)은, 곡선부분의 곡률에 따른 각도로 연결설치되며, 상측돌출부(21)와 하측돌출부(24)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 블록(10A, 10B, 10C, 10D)은, 각각 기초블록(20A, 20B, 20C, 20D)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설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벽면 블록(10)은, 기초블록(20)과 함께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철거를 행할 수 있다.
도 19에는, 벽면 블록(10)을 소위 “고정형”으로 하여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벽면 블록(10A, 10B, 10C, 10D)과 기초블록(20A, 20B, 20C, 20D)은, 상기의 “가설형”으로서 설치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연결설치되는데, 기초블록(10)이 지중에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벽면 블록(10)은, 기초블록(20)과 조합시킴으로써 “가설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고정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부분을 가지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곡선부분에 따라 연결설치할 수 있다. 즉, 직선부분에도 곡선부분에도, 한 종류의 벽면 블록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의 자재관리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 블록(10)의 벽면부(14)가, 기초블록(20)의 상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직선부분의 길이 범위 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벽면 블록(10)과의 사이에는 공간(α)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α)은, 벽면 블록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으로서의 구성 및 기능을 유지하면서, 그 맞은편쪽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의 인도측과 차도 사이에 설치한 경우에는, 인도측에 있는 보행자나 자전거가 쉽게 확인될 수 있게 되어, 차도의 곡선부분에서는 진행방향의 시야가 양호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공간(α)으로부터 벽면부의 맞은편쪽을 볼 수 있으므로 설치된 장소에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벽면부가 주는 압박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공간(α)은,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위의 상황에 대하여 주의를 주는 표시물을 설치하거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무를 심는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벽면 블록(10)은, 벽면부(14)에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부(15)에는, 예컨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유도표를 부착할 수 있다.
도 2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의 개량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벽면 블록(10)은, 2개의 기초블록(20A, 20B)에 대하여, 하나의 벽면부(14)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기초블록(20A, 20B)에 걸쳐지도록 벽면부(14)를 형성한 경우, 2개의 기초블록(20A, 20B)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는 않으나, 직선부분이 길게 연속되는 장소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자재관리가 용이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기초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기초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고정되는 기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고정되는 기초블록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벽면 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이, 기초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이 고정되는 기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을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 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벽면 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 9에 도시한 A-A선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벽면 블록이 기초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벽면 블록에 적용 가능한 기초블록으로서, 연결설치되는 기초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기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벽면 블록에 적용 가능한 기초블록으로서, 연결설치되는 기초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기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을 가설형으로서 이용한 경우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을 고정형으로서 이용한 경우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을 가설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벽면 블록 사이에 표시물을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 사이의 공간에 표시물을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 사이의 공간에 나무를 심은 상태를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블록에 개량을 행한 것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가드레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벽면 블록 11...바닥판부
13...절결창 14...벽면부
16...위치결정돌출부 20...기초블록
21...상측돌출부 22...결합홈부
23...볼트구멍 24...하측돌출부
25...결합돌출부 26...볼트구멍
28...구멍부 30...볼트

Claims (6)

  1.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측돌출부와, 타측의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측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상기 타측 단부의 원호의 현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돌출부에,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상측돌출부를 결합시킨 후에 서로를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을 때, 상기 바닥판부에 상기 상측돌출부의 상기 볼트공을 노출시키는 절결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3.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상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에,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하측돌출부를 결합시킨 후에 서로를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을 때, 상기 바닥판부에 상기 상측돌출부의 상기 볼트공을 노출시키는 절결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5.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하측돌출부가, 인접하는 다른 기초블록의 상측돌출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기초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벽면 블록으로서,
    바닥판부와,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 길이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들고 상기 상측돌출부의 원호의 현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는 횡폭 길이로 형성되는 벽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면 블록의 바닥판부의 저면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멍부와 결합하는 위치결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블록.
KR1020090096405A 2009-03-24 2009-10-09 벽면 블록 KR100990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2204A JP4714281B2 (ja) 2009-03-24 2009-03-24 壁面ブロック
JPJP-P-2009-072204 2009-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99A true KR20100106899A (ko) 2010-10-04
KR100990232B1 KR100990232B1 (ko) 2010-10-29

Family

ID=4304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05A KR100990232B1 (ko) 2009-03-24 2009-10-09 벽면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14281B2 (ko)
KR (1) KR100990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92A (ko) * 2019-04-11 2020-10-21 김동진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102616531B1 (ko) * 2022-08-23 2023-12-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332A (ja) * 2012-04-02 2013-10-17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自転車用道路形成用ブロック
JP6226908B2 (ja) * 2014-08-05 2017-11-08 株式会社ニュー・メソッド 重量構造物
JP5950173B1 (ja) * 2015-10-24 2016-07-13 草竹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ガードフェンス
KR101777787B1 (ko) * 2017-02-23 2017-09-27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인터로킹 방음벽 기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86591B1 (ko)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JP6804681B1 (ja) * 2020-05-14 2020-12-23 西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仮設防護柵
JP7306644B2 (ja) * 2021-04-15 2023-07-11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防護柵
JP7213502B2 (ja) * 2021-04-15 2023-01-27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防護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267Y2 (ko) * 1974-11-20 1979-05-30
JPH0745724B2 (ja) * 1993-02-23 1995-05-17 元之助 新井 道路用可動バリケード
JP3190271B2 (ja) * 1996-12-04 2001-07-23 辛一 山本 コンクリート製保護ブロック
JP2004011128A (ja) * 2002-06-03 2004-01-15 Yunimatekku Kk 車両規制用ブロック連結体、およびその構成方法
JP3814682B2 (ja) 2003-12-17 2006-08-30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4370472B2 (ja) 2005-02-17 2009-11-25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壁面形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589329B1 (ko) 2005-11-30 2006-06-14 김시범 건축단지 비탈면 옹벽의 조경블럭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92A (ko) * 2019-04-11 2020-10-21 김동진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102616531B1 (ko) * 2022-08-23 2023-12-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32B1 (ko) 2010-10-29
JP2010222865A (ja) 2010-10-07
JP4714281B2 (ja)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32B1 (ko) 벽면 블록
KR100952610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US2023034911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RU2509835C2 (ru) Опорная плита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JP489204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備えた防護柵
JP6178269B2 (ja) 壁高欄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JPH0258610A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101310006B1 (ko) 펜스용 브라켓 및 상기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200416629Y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KR200488459Y1 (ko) 조립식 도로
JP3188436B2 (ja) コンクリート製のプレキャストガードフェンスブロックを使用したガードフエンス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より施工されたプレキャストガードフエンスブロックを使用したガードフェンスの構造
KR100768778B1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가드
JP2634387B2 (ja) 誘導標識取付構造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JP4714282B2 (ja) 分岐用端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57116Y1 (ko) 보·차도 경계용 펜스
KR20100056086A (ko) 날개형 블록
JPS59114301A (ja) 組立歩道
KR200300003Y1 (ko) 조립식 콘크리이트 블럭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KR200450241Y1 (ko) 가로등 지주 결합장치
JP2010236278A (ja) 端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793222B1 (ko) 코아를 이용한 분리형 중앙분리대
KR20050102893A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