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830A - 개스킷 - Google Patents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830A
KR20100105830A KR1020107010108A KR20107010108A KR20100105830A KR 20100105830 A KR20100105830 A KR 20100105830A KR 1020107010108 A KR1020107010108 A KR 1020107010108A KR 20107010108 A KR20107010108 A KR 20107010108A KR 20100105830 A KR20100105830 A KR 2010010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mounting groove
height
proj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16J15/1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homogene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sket Se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2 부재 중 일방에 설치된 장착홈(13)에 장착되고, 장착홈(13)의 바닥면(13a) 및 2 부재 중 타방의 대향면(12a)에 밀착접촉하는 개스킷(1)으로서, 개스킷(1)이 장착홈(13) 내에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충전율이 그다지 상승하지 않고 반력이 증대하지도 않는 개스킷(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개스킷(1)이 장착홈(13) 내에서 쓰러지려고 했을 때에 장착홈(13)의 측면(13b)에 간섭하여 쓰러짐을 억제하는 돌기(3)를 개스킷(1)의 측면에 가진다. 돌기(3) 상부의 높이 위치는 홈 높이의 80%를 초과하고 또한 개스킷 높이의 70% 이상 95% 이하의 높이 위치로 하며, 또한 돌기(3) 하부의 높이 위치는 개스킷 높이의 40% 이상의 높이 위치로 한다. 개스킷(1)은 주로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소형전기·전자기기의 방수 시일로서 이용된다.

Description

개스킷{GASKET}
본 발명은, 밀봉장치의 일종인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스킷은, 예컨대, 휴대전화를 비롯한 모바일 기기 또는 소형의 전기·전자기기의 방수 시일(waterproof seal)로서 이용된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의 분야에 있어서는 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방수화를 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도 슬림화(thinning)에 따르는 강도 저하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서 개스킷을 압축했을 때의 반력(反力)에 의해 케이스가 변형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황으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51)의 단면 형상을 육각형으로 함으로써, 시일에 필요한 높은 면압(面壓)을 유지하면서 케이스(52)의 변형을 초래하는 반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장착시의 안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스킷(51)이 장착홈(53) 내에서 무너진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홈(53)의 측면에 돌기(54)를 설치함으로써 개스킷(51)의 쓰러짐(falling)을 방지하는 개선안이나, 혹은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51)의 측면에 돌기(54)를 설치함으로써 개스킷(51)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개선안(특허문헌 1 참조)이 고려되고 있지만, 이들 개선안에 의하면, 개스킷(51)이 모바일 기기 등의 방수 시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그 단면적이 지극히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돌기(54)의 추가에 의해 충전율이 상승함으로써 반력이 증대되거나, 혹은 개스킷(51)과 장착홈(53)의 측면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좁아짐으로써 장착홈(53)에 대한 장착작업성이 현저하게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S62-752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스킷이 장착홈 내에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충전율이 그다지 상승하지 않으며 반력이 증대하지도 않고, 장착작업성도 양호한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스킷이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었다고 하여도, 적정한 면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는 개스킷은, 서로 대향하는 2 부재 중 일방의 부재에 설치한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 및 상기 2 부재 중 타방의 부재의 대향면에 밀착접촉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이 상기 장착홈 내에서 무너지려고 했을 때에 상기 장착홈의 측면에 간섭해서 쓰러짐을 억제하는 돌기를 상기 개스킷의 측면에 가지고, 상기 돌기의 상부의 높이 위치는 홈높이의 80%를 넘고 또한 개스킷 높이의 70% 이상 95% 이하의 높이 위치로 하며, 또 상기 돌기의 하부의 높이 위치는 개스킷 높이의 40% 이상의 높이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는 개스킷은, 상기한 청구항 1 기재의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모바일 기기 또는 소형전기·전자기기의 방수 시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스킷의 측면에 무너짐 방지용의 돌기가 설치되지만, 이 돌기가 개스킷 단면에 있어서의 상부에 치우쳐 배치되어, 즉, 돌기의 상부의 높이 위치가 홈높이의 80%를 초과하고 또한 개스킷 높이의 70% 이상 95% 이하의 높이 위치로 되며, 또한 돌기의 하부의 높이 위치가 개스킷 높이의 40% 이상의 높이 위치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기의 상부란, 장착홈이 상방을 향해 개구하고 있어 이 장착홈에 개스킷이 삽입된 상태(타방의 부재에 의한 압축은 이루어지지 않음)에 있어서의 돌기의 상단부 또는 상면부인 것을 말하고, 그 높이 위치란 그 홈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위치인 것을 말한다. 홈높이란 장착홈의 높이 치수(깊이 치수)인 것을 말하고, 개스킷 높이란 개스킷의 높이 치수인 것을 말한다. 또 돌기의 하부란, 장착홈이 상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어 이 장착홈에 개스킷이 삽입된 상태(타방의 부재에 의한 압축은 이루어지지 않음)에 있어서의 하단부 또는 하면부인 것을 말하고, 그 높이 위치란 그 홈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위치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돌기가 개스킷 단면에 있어서의 홈개구 측의 상부에 한정하여 설치되며, 하부에는 설치되지 않고 하부측면에 공극(空隙)이 설정되기 때문에, 충전율이 작게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홈에 대한 개스킷의 충전율이 작게 억제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이 작아지며, 따라서 반력에 의해 장착 부재(2 부재 중 타방의 부재 또는/및 일방의 부재)가 변형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장착 부재는, 예컨대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의 케이스이며, 최근 현저하게 소형화·슬림화가 진행되어, 변형되기 쉬운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 쉬운 부재 내지 취성(脆性) 부재의 변형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홈에의 장착작업성에 대해서도, 돌기가 개스킷의 상부에 한정하여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되지 않고 하부측면에 공극이 설정되기 때문에, 장착작업성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개스킷의 하부는 장착홈에 삽입되기 쉽기 때문에, 하부를 삽입하면 상부도 삽입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또,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개스킷의 측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스킷이 장착홈 내에서 무너지려고 하면, 돌기가 장착홈의 측면과 간섭한다. 따라서 개스킷이 장착홈 내에서 무너지지 않고, 시일 면압이 확보되기 때문에,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개스킷을 장착홈의 단면이 작고 개스킷의 단면도 작은 모바일 기기 또는 소형전기·전자기기의 방수 시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소형기기에 있어서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며 동(同)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개스킷이 쓰러지려고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개스킷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비교시험에 있어서의 개스킷 본체(베이스)의 단면도, (B)는 동(同) 시험에 있어서의 장착 홈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B) 및 (C)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단면도, (D)는 비교 예에 따른 시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동(同) 시험에 있어서의 외력(外力) 입력 요령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 개스킷이 쓰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쓰러짐 대책을 시행한 종래 예에 따른 개스킷의 일부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는, 이하의 실시형태가 포함된다.
(1) 종래의 문제 해결안으로서는, 케이스 홈측에 돌기를 설치하는 수법이나 대형 O링 등에 설치되는 탈락 방지 돌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충전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반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홈과의 클리어런스가 없어지기 때문에 케이스 홈에의 장착성(삽입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2) 그래서, 본 발명 형상에 있어서는, 개스킷 상부의 전체 둘레 혹은 부분적으로 돌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면압 및 반력을 희생하게 하지 않으며, 삽입성에 대해서도 돌기가 개스킷의 상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삽입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효과가 인정되는 조건으로서는, 돌기 상면의 위치가 홈높이의 80%를 초과하고, 또한 개스킷 높이의 70% 이상, 95% 이하인 것. 돌기 하면이 개스킷 높이의 40% 이상인 것.
(4)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개스킷을 홈의 중심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장착시에 개스킷을 쓰러뜨리는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있어서도 돌기가 홈벽에 간섭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압축되어도 시일 면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스킷 형상(단면형상, 평면형상)이나 애스펙트비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6) 본 발명은, 초소형 개스킷(마이크로 개스킷(micro gasket))에 관한 것이며, 이 초소형 개스킷과 대형 개스킷(예컨대, 캠커버 개스킷(cam cover gasket))에는, 이하의 공통점 및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
장착의 방법에 따라서는, 개스킷이 쓰러진 상태로 홈에 들어가버린다. 개스킷이 쓰러진 상태로 압축되면, 시일 면압이 저하하기 때문에, 쓰러짐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차이점
그러나, 초소형 개스킷의 경우, 당연하지만 홈자체도 대단히 작기(용적이 작음)때문에, 개스킷을 장착할 때에 개스킷이 홈 바닥까지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또한, 개스킷 자체가 홈에 들어가 있는지가, 대형 개스킷과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로 알기 어렵다(이유: 홈이 대단히 작기 때문에, 개스킷을 홈에 장착하고 있는 감각이 없다. 대형 개스킷의 경우에는, 큰 홈에 단면이 큰 개스킷을 장착하므로, 개스킷을 홈에 장착하고 있는 감각(장착감)은 충분히 있다).
또한, 개스킷 자체의 볼륨도 없기 때문에, 강성(剛性)이 작다. 그 대책으로서, 좌굴 방지 돌기(buckling prevention protrusions, 도 11(B))를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충전율을 상승시키게 되어, 압축율을 확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초소형 개스킷은, 강성이 작은 동시에, 좌굴 방지 돌기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며, 게다가 홈에 장착하고 있는 감각이 없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대형 개스킷과는 다른 관점에서 쓰러짐 방지 대책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은, 도 1의 전체 사시도 및 도 2의 단면도(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2 부재(11, 12) 중 일방의 부재(11)에 설치한 장착홈(13)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홈(13)의 바닥면(13a) 및 상기 2 부재(11, 12) 중 타방의 부재(12)의 대향면(12a)에 밀착접촉하는 개스킷이다. 2 부재(11, 12)는, 예컨대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의 한 쌍의 케이스(상하의 케이스)(11, 12)이며, 이하, 케이스(11, 12)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스킷(1)의 측면에 돌기(3)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돌기(3)는, 개스킷(1)이 장착홈(13) 내에서 무너지려고 했을 때에 장착홈(13)의 측면(13b)에 간섭해서 쓰러짐을 억제하는 것이다. 돌기(3)는, 개스킷(1)의 내주면(도면에서는 좌측면) 및 외주면(도면에서는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돌기(3)는, 개스킷(1)의 둘레 상 일부에 복수가 설치되어 있어도, 전체 둘레에 걸쳐서 일체의 것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돌기(3)는, 개스킷(1)이 직립해 있을 때(도 2의 상태에 있을 때), 장착홈(13)의 측면(13b)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설정되지만, 삽입 당초부터 장착홈(13)의 측면(13b)에 접촉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돌기(3)는, 개스킷(1)의 높이 방향(장착홈(13)의 깊이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개스킷(1)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개스킷(1)은 우선 도면상 아우트라인으로 나타내는 단면 육각형의 개스킷 본체(2)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스킷 본체(2)의 측면, 즉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돌기(3)가 설치되어 있다. 단면 육각형의 개스킷 본체(2)는, 장착홈(13)의 바닥면(13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하부 시일립(2a), 내주측 하부 경사면(2b), 내주측 수직면(2c), 내주측 상부 경사면(2d), 타방의 케이스(12)의 대향면(12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상부 시일립(2e), 외주측 상부 경사면(2f), 외주측 수직면(2g) 및 외주측 하부 경사면(2h)을 가지는 점대칭의 단면형상으로 되며, 이 중 내주측 수직면(2c)으로부터 내주측 상부 경사면(2d)에 걸친 부위 및 외주측 상부 경사면(2f)으로부터 외주측 수직면(2g)에 걸친 부위에 각각 돌기(3)가 설치되어, 이것에 의해 돌기(3)가 개스킷 단면에 있어서의 상부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3) 자체는 각각, 하면(하측 수평면)(3a), 수직면(3b) 및 상면(상측 수평면)(3c)을 가지는 단면형상으로 되며, 수직면(3b)과 상면(3c) 간의 사이는 각지지 않는 R 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개스킷(1)은, 탄성 변형가능한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상(rubber-like) 탄성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개스킷(1)은,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그 방수 시일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그 단면적이 지극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예컨대, 1mm×1mm). 장착홈(13)은, 단면이 직사각형상(矩形狀)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개스킷(1)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스킷(1)이 외력(P)을 받는 등 해서 장착홈(13) 내에서 무너지려고 하면, 돌기(3)가 장착홈(13)의 측면(13b)과 간섭한다. 따라서 개스킷(1)이 장착홈(13) 내에서 무너지지 않으며, 상기 시일 립(2a, 2e)에 있어서의 시일 면압이 확보되기 때문에, 시일성(sealing performance)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3)가 개스킷(1)의 측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스킷(1)의 하부측면에는 비교적 큰 공극 스페이스(s)(도 2 참조)가 설정된다. 따라서 장착홈(13)에 대한 개스킷(1)의 충전율이 작게 억제되며, 발생하는 반력이 작기 때문에, 반력에 의해 케이스(11, 12)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장착홈(13)으로의 개스킷(1)의 장착작업성에 대해서도, 돌기(3)가 개스킷(1)의 측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개스킷(1)의 하부측면에 비교적 큰 공극 스페이스(s)가 설정되기 때문에, 장착작업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개스킷(1)의 하부는 돌기(3)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삽입 저항이 없기 때문에 장착홈(13)에 삽입하기 쉬우므로, 하부의 삽입에 따라서 상부도 삽입하기 쉬워진다.
한편,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 구명(究明)한 바에 의하면, 상기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개스킷(1)을 장착홈(13)에 삽입한 상태로, 돌기(3)의 상면(3c)의 높이 위치(a)는, 홈높이(c)의 80%를 넘고(0.8 < a/c ···(1) 식),또한 개스킷 높이(d)의 70% 이상 95% 이하(0.7 ≤ a/d ≤ 0.95 ···(2) 식)의 높이 위치로 하며, 또한 돌기(3)의 하면(3a)의 높이 위치(b)는, 개스킷 높이(d)의 40% 이상(0.4 ≤ b/d ···(3) 식)의 높이 위치로 할 필요가 있다. 돌기(3)의 상면(3c)의 높이 위치(a)가 홈높이(c)의 80% 이하이면, 개스킷(1)이 쓰러지기 쉬워진다. 돌기(3)의 상면(3c)의 높이 위치(a)가 개스킷 높이(d)의 70% 미만이면, 개스킷이 쓰러지기 쉬워진다. 돌기(3)의 상면(3c)의 높이 위치(a)가 개스킷 높이(d)의 95%보다도 크면, 시일 면압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돌기(3)의 하면(3a)의 높이 위치(b)가 개스킷 높이(d)의 40% 미만이면, 충전율이 높아진다. 비교시험의 일예를 나타내면, 이하와 같다.
즉, 도 5(A)에 나타내는 높이(h1) : 1.5mm, 폭(w1) : 0.9mm의 단면 육각형의 개스킷 본체(2)를 베이스로 하여, 이 베이스에 이하의 요령으로 돌기(3)를 설치한 도 6 상단(上段)에 나타내는 4개의 시료(A)∼(D)를 작성했다.
시료(A) : a/c=1.15, a/d=0.9, b/d=0.6
시료(B) : a/c=1, a/d=0.8, b/d=0.5
시료(C) : a/c=0.85, a/d=0.7, b/d=0.4
시료(D) : a/c=0,7, a/d=0.55, b/d=0.4
이들 시료(A)∼(D) 중, (A), (B) 및 (C) 3개는 상기 (1)∼(3) 식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D)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시료(A)∼(D)를 각각, 도 5(B)에 나타내는 높이(깊이)(h2) : 1.2mm, 폭(w2) : 1.1mm의 장착홈(13)에 삽입하고, 도 7의 요령으로 일정한 외력을 가해서, 그 후의 개스킷(1)의 장착상태를 확인했다. 도 7의 요령은, 장착홈(13)에 삽입한 개스킷(1)에 대하여 타방의 케이스(12)를 접촉시킨 상태로 하여, 이 상태로부터 타방의 케이스(12)를 우선 0.1mm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키고(화살표 E), 이어서 0.5mm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화살표 F) 것이다. 한편, 도 6 상단(上段)은 외력을 가하기 전의 상태, 중단(中段)은 외력을 가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결과는, 도 6 중단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3)를 낮은 위치에 설치한 시료(D)는 쓰러짐이 확인되었지만, 상기 (1)∼(3) 식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시료(A), (B) 및 (C)는 기울어져 있지만 돌기(3)가 측면(13b)에 간섭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여기에서 「쓰러짐」이란, 상부 경사면(2d, 2f)이 홈측면(13b)에 접촉한 상태를 말하고, 「기울어진다」란, 개스킷 본체(2)가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또한, 각 시료(A)∼(D)를 장착홈(13) 내에서 완전히 압축하면, 도 6 하단(下段)의 각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되어, 돌기(3)를 낮은 위치에 설치한 시료(D)에서는 장착홈(13)의 폭방향 중앙에 면압이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1)∼(3) 식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시료(A), (B) 및 (C)에서는 장착홈(13)의 폭방향 중앙에 적정한 면압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개스킷(1)(개스킷 본체(2))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육각형 외에, 예컨대 타원형이나 능형(菱形) 등이어도 좋다. 도 8(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개스킷 본체(2)는, 장착홈(13)의 바닥면(13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하부 시일립(2a), 내주측 수직면(2c), 타방의 케이스(12)의 대향면(12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상부 시일립(2e) 및 외주측 수직면(2g)을 가지는 타원형 단면으로 되고, 이 중 내주측 수직면(2c)의 상부 및 외주측 수직면(2g)의 상부에 돌기(3)가 설치되어, 이것에 의해 돌기(3)가 개스킷 단면에 있어서의 상부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다른 예에서는, 개스킷 본체(2)는, 장착홈(13)의 바닥면(13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하부 시일립(2a), 내주측 하부 경사면(2b), 내주측 상부 경사면(2d), 타방의 케이스(12)의 대향면(12a)에 밀착접촉하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상부 시일립(2e), 외주측 상부 경사면(2f) 및 외주측 하부 경사면(2h)을 가지는 능형 단면으로 되며, 이 중 내주측 상부 경사면(2d) 및 외주측 상부 경사면(2f)에 돌기(3)가 설치되어, 이것에 의해 돌기(3)가 개스킷 단면에 있어서의 상부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1 개스킷
2 개스킷 본체
2a, 2e 시일 립(seal lip)
2b, 2d, 2f, 2h 경사면
2c, 2g, 3b 수직면
3 돌기
3a 하면
3c 상면
11, 12 케이스(casing)
12a 대향면
13 장착홈
13a 바닥면
13b 측면
s 공극 스페이스(gap space)

Claims (2)

  1. 서로 대향하는 2 부재 중 일방의 부재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 및 상기 2 부재 중 타방의 부재의 대향면에 밀착접촉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이 상기 장착홈 내에서 무너지려고 했을 때에 상기 장착홈의 측면에 간섭하여 쓰러짐을 억제하는 돌기를 상기 개스킷의 측면에 가지며,
    상기 돌기 상부의 높이 위치는 홈 높이의 80%를 초과하고 또한 개스킷 높이의 70% 이상 95% 이하의 높이 위치로 하며, 또한 상기 돌기의 하부의 높이 위치는 개스킷 높이의 40% 이상의 높이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모바일 기기 또는 소형전기·전자기기의 방수 시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KR1020107010108A 2008-01-30 2008-12-18 개스킷 KR20100105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9473 2008-01-30
JP2008019473A JP5081004B2 (ja) 2008-01-30 2008-01-30 ガスケ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830A true KR20100105830A (ko) 2010-09-30

Family

ID=4091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108A KR20100105830A (ko) 2008-01-30 2008-12-18 개스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64606A1 (ko)
EP (1) EP2236865B1 (ko)
JP (1) JP5081004B2 (ko)
KR (1) KR20100105830A (ko)
CN (1) CN101925765B (ko)
WO (1) WO2009096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2260A1 (en) * 2007-03-07 2010-03-04 Siemens Aktiengesellscahf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al
US8973921B2 (en) * 2010-03-09 2015-03-10 Baker Hughes Incorporated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 seal
EP2657579A4 (en) * 2010-12-21 2016-11-16 Nec Corp WATERTIGH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12207738A (ja) * 2011-03-30 2012-10-25 Arai Seisakusho Co Ltd 密封構造
JP5835836B2 (ja) * 2011-05-26 2015-12-24 内山工業株式会社 密封構造
JP5800332B2 (ja) * 2011-09-09 2015-10-28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5862263B2 (ja) * 2011-12-13 2016-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2013161887A (ja) * 2012-02-02 2013-08-19 Toyota Motor Corp 筐体
DE102012002888A1 (de) 2012-02-14 2013-08-14 Dürr Systems GmbH Dichtelement, vorzugsweise Dichtring
JP5871432B2 (ja) * 2012-08-10 2016-03-01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ロータリ式バルブ用シール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タリ式バルブ
JP6138576B2 (ja) * 2013-05-17 2017-05-31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D836186S1 (en) 2016-07-05 2018-12-18 Valqua, Ltd. Seal member for a pressure vessel
JP6752069B2 (ja) * 2016-07-05 2020-09-09 株式会社バルカー シール材の配置構造
JP2018096400A (ja) * 2016-12-09 2018-06-21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密封構造
USD901648S1 (en) * 2018-07-10 2020-11-10 Valqua, Ltd. Seal
JP2020143750A (ja) * 2019-03-07 2020-09-10 東洋電装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および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4182A (en) * 1962-02-27 1965-10-26 Henry J Herbruggen Packing ring
US3584889A (en) * 1968-05-13 1971-06-15 Paul A Sheets Flexible sealing ring
JPS6275262U (ko) 1985-10-31 1987-05-14
JPH06213326A (ja) * 1993-01-21 1994-08-02 Seiko Epson Corp 小型携帯機器用防水パッキン
CN2241799Y (zh) * 1995-05-09 1996-12-04 刘刚 组合异型密封圈
DE29610628U1 (de) * 1996-06-17 1997-10-16 Merkel Dichtelemente Gmbh Dichtungsanordnung
US6065757A (en) * 1998-07-02 2000-05-23 Caterpillar Inc. Flywheel housing
DE10017221A1 (de) * 2000-04-06 2001-10-11 Ralph Peter Hegler Dichtungs-Ring für Verbindung zwischen Spitzende eines Wellrohres und Rohr-Muffe mit glatter Innenwand
CN1407260A (zh) * 2001-08-31 2003-04-02 拉尔夫·P·赫格勒 连接波纹管窝口与具有光滑内壁的管插座的密封圈
JP2003148244A (ja) * 2001-11-08 2003-05-21 Hino Motors Ltd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用ラバーシ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の取付構造
JP2002195411A (ja) * 2001-11-15 2002-07-10 Nok Corp ガスケット
JP2003287139A (ja) * 2002-03-29 2003-10-10 Uchiyama Mfg Corp ガスケット
US6722660B2 (en) * 2002-06-27 2004-04-2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Molded gasket
WO2004007937A1 (ja) * 2002-07-12 2004-01-22 Uchiyama Manufacturing Corp. ガスケット
EP1561978B1 (en) * 2002-11-12 2008-04-09 Nok Corporation Rubber-like elastic part
DE10349921B4 (de) * 2003-10-25 2017-03-09 Carl Freudenberg Kg Dichtung
JP2006029364A (ja) * 2004-07-12 2006-02-02 Nok Corp ガスケット
JP2007085473A (ja) * 2005-09-22 2007-04-05 Nok Corp ガスケット
JP2007198457A (ja) * 2006-01-25 2007-08-09 Yamaha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シール部材および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4663538B2 (ja) * 2006-01-31 2011-04-06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あり溝用シール材およびあり溝用シール材が装着された真空用ゲート弁
DE102006028467A1 (de) * 2006-06-21 2008-02-07 Busak + Shamban Deutschland Gmbh Dichtung und Dicht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6865A1 (en) 2010-10-06
CN101925765A (zh) 2010-12-22
US20100264606A1 (en) 2010-10-21
EP2236865B1 (en) 2015-04-15
JP2009180283A (ja) 2009-08-13
WO2009096111A1 (ja) 2009-08-06
JP5081004B2 (ja) 2012-11-21
CN101925765B (zh) 2014-08-27
EP2236865A4 (en)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5830A (ko) 개스킷
EP2650572B1 (en) Gasket
US8032194B2 (en) Housing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682068B1 (ko)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KR101357189B1 (ko) 소형 전자기기용 방수 개스킷
KR101718256B1 (ko) 밀봉구조
CN101621227B (zh) 封闭式马达
US20120043331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opening of case of appliance
CN1504599A (zh) 缝纫机用密封垫及使用该密封垫的缝纫机
EP3346557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JP5417800B2 (ja) パッキン
EP4207723A1 (en) Electronic device
JP5045910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
KR20120000258U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로킹 장치
WO2013088839A1 (ja) ガスケット
JP2009257459A (ja) ガスケット
JP4469666B2 (ja) 防水構造およびパネルの穴を水密状態に塞ぐキャップ
CN113544415B (zh) 电气设备框体的安装构造
JP5127320B2 (ja) リング状パッキンの装着用治具
JP2007092911A (ja) ガスケット
JP2002369367A (ja) 海底中継装置
KR100716247B1 (ko) 잭커버를 구비하는 전자제품
JP2008227031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JP2006013096A (ja) 電子機器ケースの防水構造
KR2005003153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이탈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