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12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8121A KR20110128121A KR1020100127826A KR20100127826A KR20110128121A KR 20110128121 A KR20110128121 A KR 20110128121A KR 1020100127826 A KR1020100127826 A KR 1020100127826A KR 20100127826 A KR20100127826 A KR 20100127826A KR 20110128121 A KR20110128121 A KR 201101281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locking
- retainer
- fitted
- tempor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10)의 로킹 돌기(29)는 리테이너(60)의 임시 로킹 오목부(65)에 끼워져 리테이너(60)를 임시 로킹 위치에 유지하고, 메인 로킹 오목부(64)에 끼워져 리테이너(60)를 메인 로킹 위치에 유지한다. 메인 로킹 오목부(64)는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경사부(67)를 갖는다. 임시 로킹 오목부(65)는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그 방향에 수직하게 정렬된 제1 로킹면(69)을 갖는다. 로킹 돌기(29)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제1 경사부(67)의 표면을 따라 정렬된 제2 경사부(35)와 메인 로킹 위치에서 제1 로킹면(69)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로킹면(33)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과, 임시 로킹 위치와 메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우징의 장착 구멍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구비한다. 장착 구멍의 내면에 임시 로킹 오목부와 메인 로킹 오목부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에 가요성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편에 로킹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 돌기는 임시 로킹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리테이너를 임시 로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돌기는 메인 로킹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리테이너를 메인 로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메인 로킹 오목부는 제1 경사부를 갖고, 로킹 돌기는 제2 경사부를 가지며, 임시 로킹 오목부는 제3 경사부를 갖는다. 제1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메인 로킹 오목부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3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임시 로킹 오목부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제3 경사부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리테이너가 메인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제1 경사부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제2 경사부가 제1 경사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메인 로킹 위치로부터 임시 로킹 위치로 부드럽게 복귀할 수 있다.
전술한 커넥터의 리테이너는 메인 로킹 위치로부터 임시 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로킹 돌기의 제2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멈추지 않고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임시 로킹 오목부의 제3 경사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는 리테이너를 임시 로킹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시키도록 로킹 돌기와는 별개의 전용 로킹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라 커넥터의 구조는 원치 않게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구조를 갖지 않으면서 리테이너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 하우징에 끼워 맞춰질 수 있고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임시 로킹 위치와 메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장착된다. 리테이너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상기 단자 피팅이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지만, 메인 로킹 위치에서 단자 피팅이 하우징의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과 리테이너 중 하나에 임시 로킹 오목부와 메인 로킹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과 리테이너 중 다른 하나에 로킹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 돌기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리테이너를 유지하도록 임시 로킹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로킹 돌기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리테이너를 유지하도록 메인 로킹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메인 로킹 오목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경사부를 갖는다. 제1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임시 로킹 오목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로킹면을 갖는다. 제1 로킹면은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로킹 돌기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2 경사부를 갖는다. 제2 경사부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경사부의 면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부에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로킹 돌기의 전방면에 제2 로킹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로킹면은 임시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로킹면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로킹 돌기의 제2 경사부는 바람직하게는 제2 로킹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로킹 오목부와 임시 로킹 오목부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과 리테이너 중 하나에 탈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탈출 구멍은 리테이너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리테이너의 이동 중에 로킹 돌기의 제2 로킹면을 수용한다.
제1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메인 로킹 오목부의 전방면에 형성되고, 이 제1 경사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부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경사부의 면 방향을 따라 제2 경사부를 배치함으로써,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로킹 돌기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경사부는 리테이너를 임시 로킹 위치로부터 메인 로킹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서로 부드럽게 미끄럼 이동한다.
임시 로킹 오목부는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형성된 제1 로킹면을 갖는다. 제1 로킹면은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로킹 돌기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로킹면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로킹면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로킹면은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로 전진함에 따라 서로 긴밀하게 로킹 상태로 되어, 리테이너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 경우에, 제2 경사부와 제2 로킹면은 로킹 돌기에 함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제2 경사부와 제2 로킹면이 상이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을 갖게 된다.
제2 경사부는 제2 로킹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가 서로에 대해 미끄럼 이동할 때의 이동 자세의 밸런스가 양호하다.
로킹 돌기의 제2 로킹면은 리테이너의 이동 중에 탈출 구멍을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로킹면은, 메인 로킹 오목부와 임시 로킹 오목부 사이에서 리테이너의 이동 방향으로 탈출 구멍을 연장되게 함으로써 하우징 또는 리테이너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로킹면은 제2 경사부와 간섭하지 않고, 리테이너는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로킹면의 로킹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리테이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구조를 갖지 않으면서 리테이너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정상적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외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5는 외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외부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외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내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9는 내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내부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내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리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리테이너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리테이너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내부 하우징이 외부 하우징에 정상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외부 하우징이 내부 하우징에 잘못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을 때의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리테이너가 메인 로킹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외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5는 외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외부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외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내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9는 내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내부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내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리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리테이너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리테이너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내부 하우징이 외부 하우징에 정상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외부 하우징이 내부 하우징에 잘못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리테이너가 임시 로킹 위치에 있을 때의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리테이너가 메인 로킹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120)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우징(10, 120)의 끼워 맞춤 단부를 전방으로서 지칭하고, 수직 방향에 대한 기준은 도 1의 방위를 기준으로 한다.
상대 하우징(12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관형 후드(121)를 갖는다. 탭 형상의 상대 단자 피팅(130)이 후드(121) 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 생략한 로크가 후드(121)의 상부벽의 상면에서 돌출한다.
하우징(10)은 합성수지제의 내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1)에 끼워 맞춰지는 합성수지제의 외부 하우징(12)을 구비한다.
내부 하우징(11)은 블록 형상이고, 공동(13)이 내부 하우징(1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공동(13)은 내부 하우징(11) 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공동(13)의 내면에 랜스 수용 단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는 단면 원형의 밀봉 구멍(15)이 각 공동(13)의 후방에 형성된다.
단자 피팅(110)은 후방으로부터 공동(13) 내로 삽입된다. 각 단자 피팅(110)의 전방부에 관형체(111)가 형성되어 있다. 관형체를 부분적으로 절결하고 절결된 부분을 대각선 하측 후방으로 구부림으로써 유연한 탄성 로킹 부재(112)가 관형체(111)에 형성된다. 탄성 로킹 부재(112)는 단자 피팅(110)이 각 공동(13)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때에, 탄성적으로 휘어진 후에, 랜스 수용 단차부(14)에 고정되어 단자 피팅(110)이 공동(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대 단자 피팅(130)은 하우징(10, 120)이 서로 끼워 맞춰질 때에 단자 피팅(110)의 관형체(111) 내로 각각 삽입되고 연결된다.
단자 피팅(110)의 후단부는 전선(140)의 단부와 코킹에 의해 접속되고, 긴 관형 고무 스토퍼(100)가 전선(140)에 끼워 맞춰진다. 고무 스토퍼(100)는, 단자 피팅(110)이 각 공동(13)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때에 전선(140)의 둘레면 및 밀봉 구멍(15)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내부 로크가 내부 하우징(11)의 후단부에서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내부 하우징(11)의 후방부에 형성된 2개의 원통형 타워(17)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타워(17)에 밀봉 구멍(15)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11)의 후방부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부(18)가 인접 타워(17)들을 결합시킨다. 결합부(18)는 인접하는 밀봉 구멍(15)을 서로에 대하여 구획하는 얇은 수직벽이다.
인접 타워(17)들 사이의 공간은 타워(17)의 원형 둘레면에 의해 구획되어 단면 트럼펫 형상으로 위아래로 개방되는 오목부(17)를 형성한다. 상하 오목부(19)는, 타워(17) 후방의 개방 단부로부터 내부 단부에 이르는 길이(깊이와 동일)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오목부(19A)가 하부 오목부(19B)보다 길다. 하부 오목부(19B)의 전후 단부는 내부 로크(16)의 전후 단부와 일치한다. 상부 오목부(19A)의 연장 길이는 하부 오목부(19B)보다 2배 내지 3배 길다.
내부 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20)는 내부 하우징(11)의 전체 둘레에서 연장된다. 넓은 링형의 탄성 부재(90)가 플랜지(20)의 후방에서 내부 하우징(11)의 외면에 끼워 맞춰져, 탄성 부재(90)의 전방면이 플랜지(20)의 후방의 제1 접촉면(21)과 접촉한다. 상하의 두꺼운 부분(22)이 내부 하우징(11)의 타워(17)들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부의 내부 단부로부터 플랜지(20)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된다. 하부의 두꺼운 부분(22B)은 상부의 두꺼운 부분(22A)보다 2배 내지 3배 길다.
내부 하우징(11)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장착 구멍(23)은 리테이너(60)를 위로부터 수용할 수 있다. 아래로 단차지게 함으로써 장착 구멍(2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11)의 상면 및 양측면에 오목한 공간(24; 도 9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공간(24)의 바닥에 얇은 벽(25; 도 23 참조)이 형성되어 공동(13)을 리테이너(60)로부터 구획한다. 2개의 대략 사각형의 삽입 구멍(26; 도 9 참조)이 상부의 얇은 벽(25)에 관통 형성되어 분리 방지부(63)를 수용할 수 있다. 삽입 구멍(26)은 각 공동(13)과 연통한다.
내부 하우징(11)의 양 측면에 2개의 브릿지(27)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23)에 걸쳐져 있다. 각 브릿지(27)는 내부 하우징(11)의 양 측면으로부터 팽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브릿지(27)의 내측에 관통 공간(28; 도 9 참조)이 형성되어, 장착 구멍(23)의 양 단부를 폭방향으로 구획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의 로킹 돌기(29)가 각 브릿지(27)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로킹 돌기(29)는 길이방향으로 각 브릿지(27)의 중앙부에 있는 제1 로크(30)와 제1 로크(30)의 양측에 배치된 제2 로크(31)를 구비한다. 제1 로크(30)가 제2 로크(31)보다 멀리 돌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30)의 상면[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형성된 제3 경사부(32)는 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2 로킹면(33)이 제1 로크(30)의 하면[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에 거의 수직하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크(31)의 상면에 형성된 제4 경사부(34)가 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2 로크(31)의 하면에 형성된 제2 경사부(35)는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4 경사부(34)는 제3 경사부(32)의 양측에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경사부(35)는 제2 로킹면(33)의 양측에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3 경사부(32)의 내부 단부와 제2 로킹면(33)은 제4 경사부(34)의 내부 단부 및 제2 경사부(3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및 제4 경사부(32, 34)는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제2 경사부(35)는 하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제2 로킹면(33)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수평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6)는 내부 하우징(11)의 상면 및 하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리브(36)는 상대 하우징(120)의 수용 홈(도시 생략)에 끼워져 접속 동작 중에 하우징(10, 120)을 안내한다. 또한, 양 하우징(10, 120)이 서로 잘못 체결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 리브(36)는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에 의해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의 밀봉 부재(80)가 내부 하우징(11)에 끼워진다. 고무제의 밀봉 부재(80)는 리브(36)와 플랜지(20)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6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본체(61; wide body)와 이 본체(61)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돌출된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탄성편(62)을 형성한다. 리테이너(60)는 내부 하우징(11)에 얕게 장착되는 임시 로킹 위치와, 내부 하우징(11)에 깊이 장착되는 메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넓은 본체(61)는 내부 하우징(11)의 상부의 오목한 공간(24)에 끼워진다. 메인 로킹 위치에서, 넓은 본체(61)는 얇은 벽(25)에 의해 지지된다. 2개의 분리 방지부(63)가 공동(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넓은 본체(61)의 하면의 후방부에서 돌출하고, 각 삽입 구멍(26)을 관통할 수 있다. 각 분리 방지부(63)는 정면도로 보아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분리 방지부(63)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공동(13)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단자 피팅(110)을 공동(13)에 삽입하거나, 공동(1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분리 방지부(63)는 메인 로킹 위치에서 공동 내에 있으므로, 단자 피팅(110)이 공동(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탄성편(62)은 넓은 본체(61)와 연속하는 기부(root) 주변에서 폭방향으로 유연하다. 내부 하우징(11)의 관통 공간(28)은 탄성편(62)이 삽입되는 삽입 영역과 탄성편(62)이 구부러지는, 삽입 영역 내측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는 각 탄성편(62)의 외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로킹 돌기(29)를 수용할 수 있다. 메인 로킹 오목부(64)는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위에 있다. 임시 로킹 오목부(65) 아래의 위치에서 각 탄성편(62)의 말단의 외면에 안내용 오목부(71)가 형성되어 각 탄성편(62)의 관통 공간(28) 내로의 삽입을 안내한다.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는 각 탄성편(62)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홈이며, 거의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상면[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5 경사부(66)가 형성되고, 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하면[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경사부(67)가 형성되고,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상면에 제6 경사부(68)가 형성되고 리테이너(60)가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로킹면(69)은 리테이너(60)가 인출 및 장착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제5 및 제6 경사부(66, 68)는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제1 경사부(67)는 하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제1 로킹면(69)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수평을 이룬다. 제5 및 제6 경사부(66, 68)의 경사도는 거의 동일하다.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 사이의 위치에서 각 탄성편(62)을 관통하여 탈출 구멍(70)이 형성되어 리테이너(60)의 이동 중에 로킹 돌기(29)의 제1 로크(30)를 수용한다. 도 14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 구멍(70)은 리테이너(60)의 로킹 돌기(29)가 내부에서 이동하는 수직 방향으로 긴 슬릿이다. 탈출 구멍(70)의 하단부는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1 로킹면(6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탈출 구멍(70)의 상단부는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상단보다 약간 위에 있다. 탈출 구멍(70)은 길이방향으로 각 탄성편(62)의 중앙부에 있고, 길이방향으로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 각각은 탈출 구멍(70)을 통하여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획된다.
외부 하우징(12)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2)은 관형체(37)와 관형 끼워 맞춤부(38)를 구비한다. 관형 끼워 맞춤부(38)는 관형체(37)보다 크고, 관형체(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에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부(39)가 형성되어 각 타워(17)를 수용한다. 수용부(39)에 끼워진 각 타워(17)의 후단부에 대향하는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후방부에서 대향 관형부(40)가 돌출한다. 대향 관형부(40)는 각 타워에 대응하는 이중 배럴형의 튜브(double-barreled tube)를 형성한다. 대향 관형부(40)의 내측에 대향 밀봉 구멍(41)이 형성되고 밀봉 구멍(15)과 연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스토퍼(100)의 후방부는 대향 밀봉 구멍(41)과 밀착하여, 대향 밀봉 구멍(41)을 액밀식으로 밀봉한다. 고무 스토퍼(100)는 밀봉 구멍(15) 및 대향 밀봉 구멍(41)에 끼워지고, 이들 구멍(15, 41)에 걸쳐져 있다. 립(101; lips)이 고무 스토퍼(100)의 둘레에서 연장되고 양 구멍(15, 41)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대향 관형부(4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단차부(42; step)가 연장되고 수용부(39)의 내주면에 연속하여 있다. 리브 형상의 볼록부(43)가 수용부(39)의 내면의 상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42)로부터 소정 길이 전방으로 연장된다. 볼록부(43)는 관형체(37)의 폭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타워(17)가 수용부(39)에 정상적으로 끼워진 때에, 즉 외부 하우징(12)이 내부 하우징(11)에 정상적으로 끼워진 때에, 상하 볼록부(43)는 상하 오목부(19)에 정상 깊이로 삽입된다. 이 때에, 각 볼록부(43)의 외면은 각 오목부(19)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도 16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볼록부(43)는 단차면(43)으로부터 전방으로 상이한 길이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볼록부(43A)의 연장 길이는 상부 오목부(19A)에 대응하여 긴 반면에, 하부 볼록부(43B)의 연장 길이는 하부 오목부(19B)에 대응하여 상부 볼록부(43A)보다 짧다. 따라서 하부 볼록부(43B)의 전단부는 상부 볼록부(43A)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있다. 하부 볼록부(43B)의 전단부는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와 관형 끼워 맞춤부(38)가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있다. 상부 볼록부(43A)의 연장 길이는 하부 볼록부(43B)보다 2배 내지 3배 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볼록부(43B)는 단면도로 보아 하단부를 향해 트럼펫 형상으로 열려 있고, 타워(17)가 수용부(39)에 정상적으로 끼워진 때에 오목부(19)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는 날카로운 선단을 갖는 2개의 원호면(44)을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부 볼록부(43A)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이고, 타워(17)가 수용부(39)에 정상적으로 끼워진 때에 상단을 향해 벌어지게 테이퍼져 있으며, 양변이 직선이고 상부 오목부(19A)에 대응하는 개방각을 갖는다. 상부 볼록부(43A)는 전방으로 볼록하고, 잘못 끼워졌을 때에 하부 오목부(19B)와 간섭한다. 상부 볼록부(43A)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대략 V 형상의 리브형 보강부(46)가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내부 로킹 수용부(47)가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측벽을 관통하고, 각 타워(17)가 수용부(39)에 정상적으로 끼워진 때에 내부 로킹부(16)를 탄성적으로 수용한다.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양 측벽의 내면에 전방으로 개방된 안내용 홈(48)이 형성되어 내부 로킹 수용부(47)로 내부 로크(16)를 안내한다. 내부 로킹 수용부(47) 내에 내부 로크(16)가 결합됨으로써,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상부벽에 있어서 내면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로킹 아암(49)이 돌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 아암(49)은 관형체(37)의 전단부로부터 대각선 상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그(50)와, 레그(50)의 상단부로부터 거의 직선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51)과, 양 아암(51)의 후단부에 연결된 조작부(52)와, 양 아암(51)의 전단부에 연결된 본체(53)를 구비한다. 조작부(52)의 전방이면서 본체(53)의 후방부에서 아암(51)들의 사이에 로킹 홈(54)이 형성되어, 상대 하우징(120)의 로크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하우징(120)의 로크는 본체(53)와 간섭하고, 아암(51)은 레그(50)의 둘레에서 하향 변형된다. 아암(51)은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이 서로 정상적으로 끼워 맞춰진 때에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가 로킹 홈(54)에 끼워져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을 함께 유지한다. 로크를 로킹 홈(54)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조작부(52)를 압박하여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을 분리할 수 있다.
관형 끼워 맞춤부(38)의 상부벽으로부터 팽출부(55)가 연장되고, 이 팽출부(55)의 내측에 로킹 아암(49)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출부(55)의 상부벽에 창(56)이 형성되어 로킹 아암(49)을 볼 수 있게 노출시킨다.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전방 가장자리의 상하 위치에서 제2 접촉면(57)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 부재(90)에 후방으로부터 접촉한다. 관형체(37)의 제2 접촉면(57)은 플랜지(20)의 제1 접촉면(21)에 평행하게 대향하여, 제1 접촉면(21)과 제2 접촉면(57) 사이에 탄성 부재(90)를 개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90)는,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이 정상적으로 끼워 맞춰진 때에, 플랜지(20)의 제1 접촉면(21)과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제2 접촉면(57) 사이에 압축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이 때에, 탄성 부재(90)의 탄성 복원력에 기인하여,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120)을 길이방향으로 분리시키는 힘이 이들 사이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 120)이 느슨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 부재(90)의 외향 신장(outward elongation)을 억제하는 유지부(58)가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상부벽의 상면에서 돌출한다. 유지부(58)는 관형체(37)의 상부벽의 전단부로부터 상승 연장하는 상승부(58B)와 상기 상승부(58B)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8A)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지부(58)의 단면은 L 형상이다. 돌출부(58A)는 탄성 부재(90)가 비압축 상태로 있을 때 탄성 부재(9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돌출부(58A)는 탄성 부재(90)가 많이 압축된 상태로 있을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탄성 부재(90)와 접촉하여 탄성 부재(90)를 유지한다.
유지부(58)는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로킹 아암(49)과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고, 정면도로 보아 로킹 아암(49)의 레그(50) 사이에 있다. 로킹 아암(49)의 로킹 홈(54)은, 로킹 홈(54)을 통하여 유지부(58)를 볼 수 있도록 유지부(58)의 위에 있다.
리테이너(60)는 내부 하우징(11)의 장착 구멍(23)에 삽입되고 임시 로킹 위치에서 유지된다. 임시 로킹 위치에서, 넓은 본체(61)의 외면은 내부 하우징(11)의 외면과 동일 높이로 연속해서 있고(도 18 참조), 내부 하우징(11)의 로킹 돌기(29)의 제2 로크(31)는 리테이너(60)의 임시 로킹 오목부(65) 내로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진다(도 19 참조). 이 때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29)의 제2 로킹면(33)은,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1 및 제2 로킹면(69, 33)이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에 거의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60)가 내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임시 로킹 위치에서, 로킹 돌기(29)의 제1 로크(30)는 탈출 구멍(70)으로 통과하므로, 리테이너(60)와 간섭할 수 없으며, 로킹 돌기(29)의 제4 경사부(34)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29)의 제2 경사부(35)가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1 로킹면(69)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6 경사부(68)의 실질적으로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단자 피팅(110)이 공동(13)에 삽입된다. 모든 단자 피팅(110)이 공동(13) 내로 삽입된 후에 리테이너(60)의 넓은 본체(61)가 위로부터 압박되어, 리테이너(60)는 메인 로킹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로킹 돌기(29)의 제4 경사부(34)는 리테이너(60)의 이동 중에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6 경사부(68)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탄성편(62)은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 내에서 유연하게 변형된다. 탄성편(62)은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도달한 때에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되고, 로킹 돌기(29)의 제2 로크(31)는 메인 로킹 오목부(64)에 끼워진다(도 22 참조). 이 때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29)의 제2 경사부(35)는 실질적으로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제1 경사부(67)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로킹 돌기(29)의 제4 경사부(34)는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제5 경사부(66)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는 이동 억제 상태로 메인 로킹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중에, 그리고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도달한 후에, 로킹 돌기(29)의 제1 로크(30)는 탈출 구멍(70)으로 통과하여 리테이너(60)와 간섭하지 않는다. 리테이너(60)의 넓은 본체(61)의 외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0)가 메인 로킹 위치에 도달한 때에 내부 하우징(11)의 외면보다 낮고, 리테이너(60)의 분리 방지부(63)는 단자 피팅(110)의 본체(111)의 후단부에 있으므로, 단자 피팅(110)이 공동(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리테이너(60)의 본체(61)를 임시 로킹 위치를 향해 위로 당김으로써, 유지보수 등을 위해 리테이너(60)를 임시 로킹 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로킹 돌기(29)의 제2 경사부(35)는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제1 경사부(67)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리테이너(60)의 탄성편(62)은 굴곡 공간에서 변형된다.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에 도달한 때에 탄성편(62)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그 결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29)의 제2 로킹면(33)은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제1 로킹면(69)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60)가 잘못하여 임시 로킹 위치를 통과하여 내부 하우징(11)의 밖으로 미끄러질 수는 없다.
내부 하우징(11)을 외부 하우징(12)에 장착한 후에, 단자 피팅(110)을 공동(13)에 삽입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1)을 외부 하우징(12)에 장착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12)의 볼록부(43)는 내부 하우징(11)의 오목부(19)에 끼워 맞춰진다. 장착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볼록부(43)의 전단부는 오목부(19)의 내측 깊숙이 전진한다. 볼록부(43)가 오목부(19)에 정상 깊이로 끼워지면(도 16 참조), 내부 로크(16)는 내부 로킹 수용부(47)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내부 하우징(11)은 외부 하우징(12)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유지된다.
내부 하우징(11)을 외부 하우징(12)에 장착하고자 하는 중에, 내부 하우징(1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진 자세로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긴 볼록부(43A)가 얕은 오목부(19B)에 체결되기 전에, (정상 자세에서 상측에 배치된) 긴 볼록부(43A)의 전단부가 (정상 자세에서 하측에 배치된) 짧은 볼록부(43B)의 내부 단부와 간섭하므로, 내부 하우징(11)이 외부 하우징(12)에 추가로 체결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1)이 잘못된 자세로 외부 하우징(12)에 끼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긴 볼록부(43A)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갖고, 오목부(19B)의 내부 단부와의 접촉 시에 거의 소성 변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90)는, 내부 하우징(11)이 외부 하우징(12)에 정상적으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120)에 끼워 맞춰지기 전에 플랜지(20)의 제1 접촉면(21)과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제2 접촉면(57) 사이에서 약간 압축된다. 그러나 탄성 부재(90)는 유지부(58)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그 후, 상대 하우징(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방으로부터 외부 하우징(12)의 관형 끼워 맞춤부(38)에 끼워지고, 내부 하우징(11)이 후드(121)에 삽입된다. 하우징(10, 120)이 서로 끼워 맞춰진 경우, 후드(121)의 전단부는 플랜지(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로킹 아암(49)은 상대 하우징(120)의 로크에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하우징(10, 120)을 함께 유지한다. 이 때에, 밀봉 부재(80)는 후드(121)의 내면과 내부 하우징(11)의 외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하우징(10, 120) 사이의 간극을 밀봉한다.
하우징(10, 120)이 정상적으로 끼워 맞춰지면, 탄성 부재(90)는 플랜지(20)의 제1 접촉면(21)과 외부 하우징(12)의 관형체(37)의 제2 접촉면(57)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때에, 탄성 부재(9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다. 그러나 유지부(58)의 돌출부(58A)가 탄성 부재(90)의 외부 단부와 접촉하여 외향 신장을 제한한다. 탄성 부재(90)의 외향 신장을 제한함으로써, 탄성 부재(90)의 탄성 복원력의 저하를 억제한다. 그 결과, 하우징(10, 120) 사이에 적절한 분리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90)의 요동 방지 성능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유지부(58)는 탄성 부재(90)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90)는 폭방향으로 일측에서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4111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는, 압축 시에 끼워 맞춤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신장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커넥터는 탄성 부재의 외향 신장을 억제하도록 탈출 방지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탈출 방지 구조의 추가로 인하여 커넥터가 대형으로 되어 소형화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 탄성 부재(90)는 유지부(58)와 접촉하여 탄성 부재(90)의 외향 신장을 제한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90)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지 않고, 요동 방지 성능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유지부(58)는 로킹 아암(49)과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므로, 커넥터를 대형화하지 않는다.
또한, 로킹 아암(49)은 하우징(10)의 폭방향 중앙부에 2개의 레그(50)를 구비하고, 유지부(58)는 정면도로 보아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레그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양호한 밸런스로 탄성 부재(90)의 신장이 억제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90)의 요동 방지 성능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유지부(58)는 하우징(10)의 일부인 외부 하우징(12)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58)가 전체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성형 다이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내부 하우징(11)이 상이한 단면 구조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외부 하우징(12)이 오목부의 단면 구조에 대응하는 상이한 단면 구조의 볼록부를 구비하면, 오목부는 볼록부의 구조를 식별하고, 볼록부는 오목부의 구조를 식별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 사이의 끼워 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구조 검출로서 지칭함). 또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이 잘못 끼워 맞춰진 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배치함으로써,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 사이의 끼워 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위치 검출로서 지칭함).
그러나 구조 검출의 경우에 볼록부와 오목부의 형상의 차이가 매우 작으면, 볼록부가 소성 변형되면서 오목부에 삽입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질 수 없는 경우에도 압입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 위치 검출의 경우에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의 구조에 제한이 있으면, 각 볼록부와 오목부의 성형 위치를 결정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설계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커넥터의 분야에 있어서, 전술한 상황은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 이외의 부재의 끼워 맞춤에도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12)은 끼워 맞춤 방향으로 상이한 연장 길이의 볼록부(43)를 구비하고, 내부 하우징(11)은 볼록부(43)의 연장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오목부(19)를 구비한다. 따라서 볼록부(43)가 오목부(19)에 정상 깊이로 삽입되면,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 사이의 정상 끼워 맞춤 상태가 검출된다. 볼록부(43)가 오목부(19)에 정상 깊이로 삽입되지 않으면,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 사이의 비정상 끼워 맞춤 상태가 검출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2)이 잘못 끼워 맞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구조 검출 및 위치 검출 이외의 검출 수단이 제공된다.
내부 하우징(11)은 나란한 2개의 관형 타워(17)를 구비하고, 오목부(19)는 타워(17)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 타워(17)들 사이의 사공간(dead space)이 활용되어, 커넥터는 우수한 공간 효율을 갖는다.
상부 볼록부(43A)는 직선형의 양변이 상부 오목부(19A)에 대응하는 개방각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잘못된 끼워 맞춤을 행하는 도중에 상부 볼록부(43A)와 상부 오목부(19A)의 간섭에 의하여 상부 볼록부(43A)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전방면에는 제1 경사부(67)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경사부(67)는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로킹 돌기(29)의 전방면은 메인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경사부(67)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경사부(35)를 갖는다. 따라서 리테이너(60)를 메인 로킹 위치로부터 임시 로킹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제1 경사부(67)와 제2 경사부(35)는 서로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여, 리테이너(60)는 임시 로킹 위치로 부드럽게 복귀할 수 있다.
제1 로킹면(69)은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임시 로킹 오목부(65)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로킹 돌기(29)는 임시 로킹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제1 로킹면(69)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 로킹면(33)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로킹면(69, 33)은 리테이너(60)가 임시 로킹 위치로 전진함에 따라, 리테이너(60)의 분리 방향에 대하여 함께 긴밀하게 로킹된다. 따라서 리테이너(6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제2 경사부(35)와 제2 로킹면(33)은 함께 로킹 돌기(29)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제2 경사부(35)와 제2 로킹면(33)이 상이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비교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로킹 돌기(29) 상의 제2 경사부(35)는 제2 로킹면(33)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60)는 제1 경사부(67)와 제2 경사부(35)가 서로에 대해 미끄럼 이동할 때의 이동 자세의 밸런스가 좋다.
탈출 구멍(70)은 리테이너(60)에 형성되고,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 사이에서 리테이너(6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킹 돌기(29)의 제1 로크(30)는 리테이너(60)의 이동 중에 탈출 구멍(70)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제1 로크(30)는 메인 로킹 오목부(64)의 제1 경사부(67)와 간섭하지 않고, 이에 따라 리테이너(60)가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로크(30)의 제2 로킹면의 로킹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60)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하는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부 볼록부에 더하여, 하부 볼록부의 단면도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임시 로킹 오목부와 메인 로킹 오목부를 하우징에 형성할 수도 있고, 로킹 돌기를 리테이너에 형성할 수도 있다.
탈출 구멍에 바닥이 있을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6 경사부를 만곡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유지부를 내부 하우징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유지부를 원주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유지부를 전체 원주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다.
유지부와 대향 관형부를 나란히 배치하고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배치함으로써 3개 미만의 유지부와 대향 관형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에 커버를 장착할 때에, 하우징과 커버 중 하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하우징과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0)
- 상대 하우징(120)에 끼워 맞춰질 수 있고 단자 피팅(110)이 삽입되는 하우징(10)과,
임시 로킹 위치와 메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리테이너(60)로서, 임시 로킹 위치에서 상기 단자 피팅(110)이 하우징(1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메인 로킹 위치에서 상기 단자 피팅(110)이 하우징(10)의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리테이너(60)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리테이너(60) 중 하나에 형성되는 메인 로킹 오목부(64)로서,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경사부(6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경사부(67)가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인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리테이너(60) 중 하나에 형성되는 임시 로킹 오목부(65)로서,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전방면에 제1 로킹면(6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로킹면(69)은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에 수직인 것인 임시 로킹 오목부(65)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리테이너(6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로킹 돌기(29)로서, 임시 로킹 위치에서 상기 임시 로킹 오목부(65)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져 리케이너(60)를 임시 로킹 위치에 유지하고, 메인 로킹 위치에서 상기 메인 로킹 오목부(64)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져 리테이너(60)를 메인 로킹 위치에 유지하는 것인 로킹 돌기(29)와,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로킹 돌기(29)의 전방면에 형성되고, 메인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1 경사부(67)의 면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부(67)에 배치되는 제2 경사부(35)와,
상기 리테이너(60)가 인출되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로킹 돌기(29)의 전방면에 형성되고, 임시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1 로킹면(69)의 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로킹면(33)
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돌기(29)의 상기 제2 경사부(35)는 상기 제2 로킹면(33)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킹 오목부(64)와 임시 로킹 오목부(65)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리테이너(60) 중 하나에 탈출 구멍(7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탈출 구멍(70)은 리테이너(6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킹 돌기(29)의 제2 로킹면(33)은 상기 리테이너(60)의 이동 중에 상기 탈출 구멍(70)에서 전진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서로 끼워 맞춰지는 제1 및 제2 부재(11, 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11)에 형성된 오목부(19)는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부재(12)에 형성된 볼록부(43)가 상기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볼록부(43)는 상기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가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때에 상기 오목부(19)에 각각 끼워 맞춰지며, 상기 볼록부(43)는 끼워 맞춤 방향으로 상이한 연장 길이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9)는 각 볼록부(43)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이한 연장 길이를 갖는 것인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11)는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관형 타워(17)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19)가 상기 타워(17)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9)는 타워(17)의 원호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원호면이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날카로운 정점을 가지며, 잘못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상기 오목부(19)와 간섭하는 전방 볼록부(43A)를 갖는 상기 볼록부(43)는 단면도로 보아, 직선형의 양변이 상기 오목부(19)에 대응하는 개방각을 갖는 삼각형 형상인 것인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제1 및 제2 부재(11, 12)는 단자 피팅(110)이 삽입되는 블록 형상의 내부 하우징(11)과 이 내부 하우징(11)의 둘레를 에워싸는 관형의 외부 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상대 하우징(120)과 서로 끼워 맞춰질 때에 상대 하우징을 분리 방지 상태로 유지하는 로킹 아암(49)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환형의 탄성 부재(90)는, 상기 하우징(10, 120)이 서로 끼워 맞춰져 있을 때에 끼워 맞춤 방향으로 압축되어 이들 하우징(10, 120)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며,
유지부(58; hold-down part)를 갖는 하우징(10)은 탄성 부재(90)의 반경 방향의 신장을 억제하도록 끼워 맞춤 방향에 수직하게 압축 상태로 배치된 탄성 부재(90)와 접촉하며,
상기 유지부(58)는 반경 방향으로 로킹 아암(49)과 겹쳐지는 것인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49)은 폭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중앙부에 2개의 레그(50)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58)는 정면도로 보아 레그(50)들 사이에 있는 것인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관형의 외부 하우징(12)과 이 외부 하우징(12)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블록 형상의 내부 하우징(11)을 갖고,
상기 유지부(58)는 상기 외부 하우징(12) 또는 상기 내부 하우징(11)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16077 | 2010-05-20 | ||
JP2010116077A JP5471819B2 (ja) | 2010-05-20 | 2010-05-20 | コネクタ |
JPJP-P-2010-116076 | 2010-05-20 | ||
JP2010116074A JP5494222B2 (ja) | 2010-05-20 | 2010-05-20 | コネクタ |
JPJP-P-2010-116074 | 2010-05-20 | ||
JP2010116076A JP5375739B2 (ja) | 2010-05-20 | 2010-05-20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8121A true KR20110128121A (ko) | 2011-11-28 |
KR101615388B1 KR101615388B1 (ko) | 2016-04-25 |
Family
ID=4477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7826A KR101615388B1 (ko) | 2010-05-20 | 2010-12-14 | 커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38486B1 (ko) |
KR (1) | KR101615388B1 (ko) |
CN (1) | CN10225517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07252B2 (ja) * | 2011-06-24 | 2015-04-22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809083B2 (ja) * | 2012-03-01 | 2015-11-10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防水コネクタ |
JP2016004741A (ja) * | 2014-06-19 | 2016-01-12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15224164A1 (de) * | 2014-12-03 | 2016-06-09 | Hirschmann Automotive Gmbh | Steckverbindung mit verbessertem Verriegelungselement |
JP2017130371A (ja) * | 2016-01-21 | 2017-07-2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601242B2 (ja) * | 2016-01-29 | 2019-11-0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783077B2 (ja) * | 2016-06-15 | 2020-11-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04277B2 (ja) * | 2016-07-12 | 2018-10-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WO2019131264A1 (ja) * | 2017-12-26 | 2019-07-0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18203628A1 (de) * | 2018-03-09 | 2019-09-12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Elektrischer Stecker mit elastischen Anpresselementen |
JP7054452B2 (ja) * | 2018-11-02 | 2022-04-1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2970152B (zh) * | 2018-11-15 | 2023-03-14 | 莫列斯有限公司 | 防水电连接器 |
JP2021005518A (ja) * | 2019-06-27 | 2021-01-1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3471763B (zh) * | 2020-03-31 | 2024-02-13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连接器组件 |
JP7219250B2 (ja) * | 2020-07-27 | 2023-02-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428973B2 (ja) * | 2020-09-28 | 2024-02-0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1112B2 (ja) * | 1996-06-26 | 2001-05-2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リテーナ |
JP3211672B2 (ja) * | 1996-07-11 | 2001-09-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3320365B2 (ja) * | 1998-10-16 | 2002-09-0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
JP3606104B2 (ja) | 1999-04-22 | 2005-01-0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6551145B2 (en) * | 2000-12-19 | 2003-04-22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onnector |
JP2003007392A (ja) | 2001-06-22 | 2003-01-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05267930A (ja) * | 2004-03-17 | 2005-09-29 | Yazaki Corp | 回転嵌合式コネクタ |
JP3902605B2 (ja) | 2004-03-31 | 2007-04-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
JP4228984B2 (ja) * | 2004-05-12 | 2009-02-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6040818A (ja) * | 2004-07-29 | 2006-02-0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4432797B2 (ja) * | 2005-02-23 | 2010-03-1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08028325B4 (de) | 2007-06-19 | 2011-02-03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shi | Fluiddichter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
JP5120062B2 (ja) * | 2008-05-22 | 2013-01-1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651056B2 (ja) | 2008-10-28 | 2011-03-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アダプタ装置 |
-
2010
- 2010-12-14 CN CN201010593038.6A patent/CN102255173B/zh active Active
- 2010-12-14 US US12/967,103 patent/US8038486B1/en active Active
- 2010-12-14 KR KR1020100127826A patent/KR101615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255173A (zh) | 2011-11-23 |
US8038486B1 (en) | 2011-10-18 |
CN102255173B (zh) | 2014-02-19 |
KR101615388B1 (ko) | 2016-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28121A (ko) | 커넥터 | |
US9017111B2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lance | |
US9509076B2 (en) |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 |
CN102437457B (zh) | 连接器 | |
US7722414B2 (en) | Connector having separately made lance housing and retainer | |
KR101631792B1 (ko) | 커넥터 | |
US7722381B2 (en) | Connector | |
US7950962B2 (en) | Connector with tapered ribs for improving resin flow | |
KR20060048755A (ko) | 커넥터 | |
US9570839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US9022804B2 (en) | Waterproof plug | |
US10804639B2 (en) | Connector with reinforcing rib | |
US20140051276A1 (en) | Waterproof connector | |
US8366473B2 (en) | Connector | |
US20170352974A1 (en) | Connector | |
US11646525B2 (en) | Connector having seal member | |
US10141680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US9761992B2 (en) | Connector | |
US9004932B2 (en) | Connector having a sealing ring with projections positioned in recesses on an inner periphery of a tubular fitting | |
JP5375739B2 (ja) | コネクタ | |
US11322879B2 (en) | Sealing connector | |
JP5494222B2 (ja) | コネクタ | |
JP5471819B2 (ja) | コネクタ | |
JP2023027576A (ja) | 雄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