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987A -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987A
KR20100102987A KR1020090021331A KR20090021331A KR20100102987A KR 20100102987 A KR20100102987 A KR 20100102987A KR 1020090021331 A KR1020090021331 A KR 1020090021331A KR 20090021331 A KR20090021331 A KR 20090021331A KR 20100102987 A KR20100102987 A KR 2010010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weight
mercaptopropionate
lens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규
노수균
김종효
김문일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02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2987A/ko
Publication of KR2010010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 C08G18/834Chemically modified polymers by compounds containing a thio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막의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광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 아베수, 투명성, 자외선 차단성 등이 우수하면서도 멀티막의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70 중량%, 3가 이상의 티올에스테르 화합물 30~80중량%에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중합개시제를 혼합하여 얻은 광학수지 조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안경렌즈는 열변형 온도가 높아 멀티막이 열에 의해 쉽게 갈라지지 않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적으며 산업안전용 안경렌즈 규격(ANS 규격, 127㎝, 67g 낙구실험)에 부합되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게 된다.
내열성, 내충격성, 멀티막,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3가 이상의 티올에스테르 화합물, 광학렌즈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Optical Resin Composition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Multi-Layer, the Plastic Ophthalmic Le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멀티막의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광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 아베수, 투명성 등의 광학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고상 수지의 열변형 온도가 낮아서 멀티 코팅 후에도 충격에 강하고 멀티막이 열에 의해 쉽게 갈라지지 않는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광학렌즈로 널리 사용되어 왔던 유리렌즈는 열팽창 계수가 낮아서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의 도수 변형이 적고,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처리된 멀티막의 온도 변화에 따른 손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리 렌즈는 충격에 약하고 비중이 무거워서, 오늘날은 가벼우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리 렌즈에 비하여 염색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렌즈로 대 체되고 있다.
최근 플라스틱 렌즈의 투과율과 안정성 수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대부분의 광학렌즈, 특히, 안경렌즈에서 렌즈의 양쪽 표면에 멀티 코팅(SiO2, ZrO2)을 행하여 투과율을 높이고 있으나, 이러한 멀티 코팅층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한 곳에 집중시켜서 렌즈를 쉽게 깨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한국 공개특허 1992-0004464에서 공지된 디아릴이소프탈레이트, 2가 알코올이 부가된 디아릴이소프탈레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한국 공개특허 1994-004010에 공지된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1,2-비스메르캅토에틸-3-메르캅토프로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안경렌즈에서도 투과율을 올리기 위하여 멀티 코팅을 하면 안경 렌즈가 쉽게 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출 성형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광학렌즈는 멀티 코팅후 렌즈의 충격강도는 비교적 우수하나 열가소성 수지로서 사용 중 열에 의한 변형이 심하여, 두께가 두꺼운 가장자리 보다 렌즈의 두께가 얇은 중심부에서 더욱 심하게 변형되어 이러한 안경렌즈를 착용시 눈 어지러움증을 유발시키고, 중요한 광학 특성인 아베수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렌즈의 열 안정성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가교성 플라스틱 렌즈용 수지가 그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0638194호 및 제0688698호에서는 변성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광학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내충격성 및 내열성은 어느 정도 향상되었으나, 렌즈를 캐스팅하기 위하여 모노머 조성액의 높은 점도로 인해 유리몰드로의 주입속도가 아주 느리고, 주입시 발생한 기포의 제거가 어려워 열경화 후 기포에 의한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주입 자국이 렌즈에 남아있게 된다. 또한, 중합 불균형에 의한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굴절율이 1.523 정도로 낮아서 렌즈의 가장 자리가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고특허 제472837호에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에 2가 알코올을 부가한 후, 4가 폴리티올과 혼합 반응시킨 후 열경화하여 광학렌즈를 제조함으로써 렌즈의 충격 강도를 높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의한 광학렌즈 조성물은 생지(후 가공을 하지 않은 플라스틱 렌즈) 상태에서는 충격강도를 높일 수 있었으나, 멀티 코팅을 하고 난 후, 내충격성이 떨어져 FDA규격(127㎝ 16.0g)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또한, 디이소시아네이트에 2가 알코올을 미리 부가하여 광학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조성물의 높은 점도로 인해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 상기 광학렌즈 조성물은 무테 안경렌즈를 만들기 위한 강도로는 충분하나 충격에 안전한 안경렌즈로서는 부족함이 많다.
한국 등록특허 제771176호에서는 디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4가 폴리티올을 반응시켜서 내충격성 광학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광학렌즈는 생지 상태뿐만 아니라, 멀티 코팅 후에도 렌즈의 충격강도가 FDA 내충격 실험(127㎝ 16.0g)을 통과하였으나, 산업안전용 안경 렌즈규격(ANS 규격 127㎝, 67g)은 통과하지 못했다. 또한, 고상 수지의 열변형 온도가 낮아 고온 의 산업현장, 한증막 등에서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렌즈의 멀티막이 쉽게 갈라지게 쉽다. 상기 멀티막의 갈라짐 현상은 렌즈의 투과율을 현저히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광학렌즈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멀티 코팅 후에도 내충격성이 높아 산업 안전규격(ANS 규격, 127㎝, 67g 낙구실험)을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변형 온도가 높아 열에 의한 멀티막의 갈라짐 현상이 없는(80℃, 60분)으며, 아울러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 아베수, 투명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광학특성 또한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검토한 결과, 가교결합시 불교칙성이 클수록 열변형 온도가 높고, 가교 무질서 및 분자내 수소결합의 정도가 높을수록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70 중량%에, 3가 이상의 티올 에스테르 화합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30~80 중량% 배합하여 멀티막의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70 중량%에, 3가 이상의 티올 에스테르 화합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30~80 중량% 배합하여 얻은 액상 굴절율(nD, 20℃) 1.45~1.57, 고상 굴절율(nD, 20℃) 1.50~1.59, 아베수 32~52, 액상점도 20~2,000cps(20℃)를 갖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어진 안경렌즈는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고,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하여 80℃에서 60분 처리하여도 멀티막의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멀티 코팅 후에도 산업안전용 안경렌즈 규격(ANS 규격, 127㎝, 67g 낙구실험)에 부합되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종래 멀티 코팅된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문제점인 내충격성과 멀티막의 내열성 문제를 모두 해결한 렌즈로서 멀티 코팅 렌즈에 크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내열성과 내충격성으로 고온환경 및 다양한 산업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내충격성의 향상에 따라 인장강도 또한 향상되므로 무테안경 등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에 비하여 가교결합 시 불 교칙성이 커서 고상 수지의 열팽창 계수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 충격강도는 반응기가 3가 이상인 티올에스테르화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분자네 에스테르기가 없는 티올 화합물인 1,2-비스-(메캅토에틸)-3-메캅토프로판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더욱더 증가하였다. 충격강도는 가교 무질서뿐만 아니라, 분자내 수소결합의 정도가 높을수록 충격강도를 높여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이러한 성질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함께 사용할 때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스시클로[2,2,1]헵탄;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열팽창 계수가 낮으며, 충격강도가 우수한 안경렌즈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00 중량부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또는 여기에 2,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등을 더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졸다. 60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고상 수지의 내열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열팽창 계수가 급격히 올라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00 중량부에 대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2,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스시클로[2,2,1]헵탄;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10~50 중량부 정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굴절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열변형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티올에스테르 화합물은, 한 분자내에 티올기가 3개 존재하는 3가 티올에스테르 화합물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등이며, 4가 이상의 티올에스테르화합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PETMP),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PETM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DPEMP),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2-메르캅토아세테이트(DPEMA),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 트(DTMPMP),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DTMPMA)를 들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30~8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PETMP),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DPEMP),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DTMPMP)를 단독, 또는 혼합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거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에 첨가하여 사용 할 수 있으나,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의 사용의 안경렌즈의 내광성을 감소시키고,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의 사용은 모노머 조성물을 유리 몰드에 주입하고 열경화시 렌즈의 가장자리에 기포가 발생하는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0.001~10 중량%, 이형제 0.0001~10 중량%, 중합 개시제 0.001~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내광성 향상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하여 사용된 자외선 흡수제로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에 사용 가능한 공지의 자외선 흡수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조록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의 파장역에서 양호한 자외선 흡수능을 가지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양호한 용해성을 갖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이나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 t-부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이 사용될 수 있 다.
렌즈의 초기색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히드록시-4-(p-톨루딘)엔트라퀴논[1-HYDROXY-4-(P-TOLUIDIN)ANTHRAQUINONE], 퍼리논 염료(PERINONE DYE) 등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유기염료를 모노머 조성물 1㎏당 0.001~50,000ppm, 바람직하게는 0.005~1000ppm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 첨가에 의하여 렌즈가 노란색을 띠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형제는, 퍼플루오르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를 지닌 불소계 비이온계면활성제, 디메틸폴리실록산기 또,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인산에스테르기를 가진 실리콘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제 4급 암모늄염 즉, 트리메틸세틸 암모늄염, 트리메틸스테아릴, 디메틸에틸세틸 암모늄염, 트리에틸도데실 암모늄염, 트리옥틸메틸 암모늄염, 디에틸시클로헥사도데실암모늄염, 인산에스테르, 포스폰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산에스테르 또는 포스폰산에스테르를 사용한다. 인산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산 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산 포스페이트; 부틸산포스페이트; 옥틸산 포스페이트; 디옥틸산포스페이트; 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 디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 트리데칸올산 포스페이트; 비스(트리데칸올산)포스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해 본 결과, 인산에스테르계인 ZELEC UN(DUPONT 사)이 경화 후 몰드를 렌즈에서 탈형시킬 때의 탈형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제의 첨가량은 조성물에서 0.0001~3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001~2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렌즈에서 몰드의 탈형성이 좋고 중합 수율 또한 높았다. 이형제의 첨가량이 0.0001 중량% 이하이면 성형된 안경렌즈를 유리 몰드에서 분리시 유리몰드 표면이 렌즈에 부착되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2 중량% 이상 이면 주형 중합중 렌즈가 유리 몰드에서 분리되어 렌즈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개시제는 아민계 또는 주석계 화합물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주석계 화합물로는, 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옥칠산 제1주석; 디라우르산디부틸주석; 테트라플루오르주석; 테트라클로로주석; 테트라브로모주석; 테트라아이오드주석; 메틸주석트리클로라이드; 부틸주석트리클로라이드;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트리메틸주석클로라이드; 트리부틸주석클로라이드;트리페닐주석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술피드; 디(2-에틸섹실)주석옥사이드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석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중합 수율이 높고 기포의 발생이 없었다.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 0.001~4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수지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플라스틱 광학렌즈, 특히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조성물에 마지막으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난 후, 질소로 치환하여 배합통 내에 공기를 제거한 후, 감압교반을 2~5시간 행하고, 교반을 정지한 다음, 감압 탈포 하여 몰드에 주입한다. 이때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가스켓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점착테이프로 고정된 유리몰드나 금속제 몰드를 사용한다. 혼합물이 주입된 유리몰드를 강제 순환식 오븐에 넣고, 33~37℃에서 2시간 유지, 38~42℃로 3시간 승온, 80~90℃로 10시간 승온, 120~140℃로 2~4시간 승온, 120~140℃로 2시간 유지, 60~80℃로 2시간에 걸쳐서 냉각시킨 후 몰드로부터 고형물을 이형시켜 광학렌즈를 얻는다. 이렇게 얻은 광학렌즈를 120~140℃의 온도에서 1~4시간 아닐닝 처리하여 최종 목적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생지)를 얻는다.
또,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광학렌즈에, 광학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드코팅 및 멀티 코팅 처리를 하였다. 하드 코팅층의 형성은 에폭시기, 알콕시기, 비닐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실란화합물과 산화규산, 산화티탄,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텅스텐, 산화알루미늄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 콜로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조성물을 함침 또는 스핀코팅법으로 광학렌즈 표면에 두께 0.5~10㎛로 코팅한 후, 가열 또는 UV 경화하여 코팅막을 완성하였다.
멀티코팅층, 즉, 반사방지코팅 층은 산화규소, 불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늄, 산화탄탈, 산화이트륨 등의 금속산화물을 진공증착 또는 스퍼트링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양면 하드 코팅막 위에 산화규소와 산화지르코늄 막을 3회 이상 반복 진공 증착한 후 산화규소막을 마지막으로 진공 증착한다. 또, 필요에 따라 마지막에 수막(불소수지)층을 두거나, 산화규소와 산화지르코늄 막 사이에 ITO층을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렌즈는 필요에 따라서 분산염료 혹은 광변색염료를 사용하여 착색 처리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라스틱 안경렌즈 외에 다른 다양한 광학제품에도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광학재료 및 렌즈의 제조는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518g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82g에 혼합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 후, 자외선 흡수제로 2-(2‘히드록시-5’-t-옥틸페놀)-2H-벤조트리아졸 18g, 이형제로 디부틸산 포스테이트 0.9g, 유기염료로 1-히드록시-4-(p-톨루이디노)앤트라퀴논(blue) 20ppm, 퍼리논다이(Red) 10ppm, 중합개시제제로 부틸틴디라우레이트 1.8g을 교반기가 장착된 배합통에 넣고, 질소로 치환하여 배합통 내에 공기를 제거한 후 감압교반을 2시간 행하고, 교반을 정지한 다음 감압 탈포하여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로 고정된 유리몰드에 주입하였다(디옵타 -5.00).
(2) 혼합물이 주입된 유리 몰드를 강제 순환식 오븐에서 35℃로 2시간 유지, 40℃로 3시간 승온, 120℃로 12시간 승온, 120℃로 2시간 유지, 70℃로 2시간에 걸쳐서 냉각시켜 가열 경화시킨 후, 고형물에서 몰드를 이형시켜 중심 두께 1.2㎜인 광학렌즈를 얻었다.
(3) (2)에서 얻은 광학렌즈를 지름 72㎜로 가공한 후 알카리 수성 세척액에 초음파 세척한 다음, 120℃에서 2시간 아닐닝 처리하였다.
(4) (3)에서 얻은 렌즈를 (주)화인코터 ST11수-8H 하드액에 함침한 후 열경화시키고, 양면에 산화규소, 산화 지르코늄, 산화규소, ITO, 산화, 지르코늄막, 산화규소, 산화 지르코늄, 수막(불소수지)을 진공 증착하여 하드코팅 및 멀티 코팅된 광학 렌즈를 얻었다.
물성 실험방법
이하의 물성 실험방법으로 각 광학렌즈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록하였다.
1) 굴절률 및 아베수 : Atacota Co 1T 모델인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광 투과율 :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열에 의한 멀티막 갈라짐 현상: 렌즈 시편을 80℃ 오븐에 60분 방치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렌즈표면의 멀티막이 갈라진 현상이 전혀 없으면 A, 1㎜ 이하의 크랙이 10개 이하 B, 크랙이 10개 이상이면 C로 평가하였다.
4) 내충격성: 멀티 코팅한 완성품 렌즈(-5.00, 중심두께 1.2㎜) 10개에 127cm 높이에서 10g 단위로 강철 구슬을 낙하시켜 렌즈가 1개도 깨어지지 않는 강철 구슬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5) 열경화시 렌즈 가장 자리에 기포 발생 여부: 열경화 후, 렌즈를 몰드에서 탈형하여 렌즈의 가장 자리에 기포발생여부 육안 관찰하여 10개의 렌즈 중 기포발생이 전혀 발생 없으면 A, 10개 중 2개 이하로 1㎜ 이하의 기포 3개 이하 발생하면 B, 3개 이상 발생하면 C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16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표 1, 2에 기재한 조성으로 각각 조성물 및 렌즈를 제조하고, 실험 결과를 표 1,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26g에 헥사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6g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518g을 혼합하여 광학 수지조성물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특성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7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각각 조성물 및 렌즈를 제조하고, 실험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15156786-PAT00001
Figure 112009015156786-PAT00002
Figure 112009015156786-PAT00003
표 1~3의 약자 표시
모노머
DPEMP: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
DPEM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2-메르캅토아세테이트
DTMPMP: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
DTMPMA: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TMPMP: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TMEMP: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GMP: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TMCMP: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TMP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TMEMA: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PETMP: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PETM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BMEMP: 1,2-비스-(메캅토에틸)-3-메캅토프로판
IP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TMDI: 트리메틸 1,6-디이소시아네이토 헥산(Trimethyl 1,6-diisocyanate)
hexan
XDI: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PIP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0.4 몰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0.6몰에 프로필렌글리콜 0.1몰을 부가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HMBT: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HBCBT: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HBMCBT: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2H-
벤조트리아졸
HAPBT: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HDBPBT: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HBPBT: 2-(2′-히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HOPBT: 2-(2′-히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DHBP: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HMBP: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HOOBP: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BHBP: 4-벤조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THBP: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DHMBP: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BHMCBT: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젠트리아졸
이형제
IPP: 이소프로필산 포스테이트
DIPP: 디이소프로필산 포스페이트
DBP: 디부틸산포스페이트
OP: 옥틸산 포스페이트
DOP: 디옥틸산포스페이트
IDP: 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
DIDP: 디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
TDP: 트리데칸올산 포스페이트
BTDP: 비스(트리데칸올산)포스페이트
유기염료
HTAQ:1-히드록시-4-(p-톨루딘)엔트로퀴논[1-HYDROXY-4-(P-
TOLUIDIN)ANTHRAQUINONE]
PRD: 퍼리논 염료(PERINONE DYE)
중합개시제
BTL: 부틸틴디라우레이트
BTC: 디부틸틴디클로라이드

Claims (8)

  1.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0~70 중량%에, 3가 이상의 티올 에스테르 화합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30~80 중량% 배합하여 얻은 액상 굴절율(nD, 20℃) 1.45~1.57, 고상 굴절율(nD, 20℃) 1.50~1.59, 아베수 32~52, 액상점도 20~2,000cps(20℃)를 갖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비스시클로[2,2,1]헵탄;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00 중량부에 대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티올에스테르 화합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롤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클로로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PETMP);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PETM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DPEMP);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2-메르캅토아세테이트(DPEMA);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페오네이트(DTMPMP);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DTMP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에 자외선 흡수제 0.001~10 중량%, 이형제 0.0001~10 중량%, 중합 개시제 0.001~10 중량% 및 유기염료 0.1~100,000ppm을 더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6. 청구항 1의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얻은 플라스틱 안경렌즈.
  7. (a)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80 중량%와; 3가 이상의 티올 에스테르 화합물 20~8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전체 조성물 중 자외선 흡수제 0.001~10 중량%, 이형제 0.0001~10 중량%, 중합 개시제 0.001~10 중량%, 및 유기염료 0.1~100,000ppm을 배합하여 얻은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얻는 단계와;
    (b) 상기 안경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감압 교반하고 열 경화하여 냉각시킨 후, 유리몰드에서 고형물을 이형시켜서 안경렌즈를 얻는 단계와;
    (c) 상기 이형시킨 안경렌즈를 100~140℃로 1~4시간 아닐링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닐링 처리 후 하드코팅 및 멀티 코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90021331A 2009-03-12 2009-03-12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2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331A KR20100102987A (ko) 2009-03-12 2009-03-12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331A KR20100102987A (ko) 2009-03-12 2009-03-12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987A true KR20100102987A (ko) 2010-09-27

Family

ID=430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331A KR20100102987A (ko) 2009-03-12 2009-03-12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29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29B1 (ko) * 2013-05-15 2013-09-12 (주)에버그린켐텍 렌즈용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
KR20170023093A (ko) 2014-08-07 2017-03-0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용도
KR20190036837A (ko) * 2017-09-28 2019-04-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29B1 (ko) * 2013-05-15 2013-09-12 (주)에버그린켐텍 렌즈용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
KR20170023093A (ko) 2014-08-07 2017-03-0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중합성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용도
US10202483B2 (en) 2014-08-07 2019-02-12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molded product, and use thereof
KR20190036837A (ko) * 2017-09-28 2019-04-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266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굴절 광학렌즈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굴절 광학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986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광학렌즈의 제조방법
JP5830629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光学材料
KR100267444B1 (ko) 플라스틱 렌즈
KR0162502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법
KR100939451B1 (ko) 멀티코팅 후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4450B1 (ko) 신규 티올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렌즈용 경량성 고굴절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KR101157497B1 (ko) 내열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광학 렌즈용 수지조성물
WO2017097162A1 (zh) 一种运用有机和无机杂交的具有高耐冲击、耐热性和折射率的光学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7394894B2 (ja) ポリチオ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0704314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초 고굴절 광학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KR20100102987A (ko)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61941B1 (ko) 폴리티오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KR100912274B1 (ko) 광학렌즈용 경량성 고굴절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KR101915818B1 (ko) 폴리티올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한 광학렌즈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KR101637541B1 (ko) 맑으면서 투명하고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US10865307B2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plastic lens and method of preparing plastic lens using same
JP2007039604A (ja) 光学樹脂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101580878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KR100771176B1 (ko) 내광성 및 광투과율이 우수한 광학렌즈용 수지 및 이를이용한 광학렌즈
KR20090092225A (ko) 열변형 온도가 높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초고굴절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CN113874413A (zh) 可聚合组合物及使用其的光学材料
KR20170090393A (ko) 열안정성이 뛰어난 초고굴절 우레탄계 광학렌즈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KR101745469B1 (ko) 초고굴절 우레탄계 광학렌즈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의 제조방법
KR101952270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