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040A - 원료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040A
KR20100098040A KR1020090017003A KR20090017003A KR20100098040A KR 20100098040 A KR20100098040 A KR 20100098040A KR 1020090017003 A KR1020090017003 A KR 1020090017003A KR 20090017003 A KR20090017003 A KR 20090017003A KR 20100098040 A KR20100098040 A KR 2010009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ute
belt conveyor
raw materi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312B1 (ko
Inventor
홍정연
모영근
나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1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더;상기 피더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파쇄시키는 제 1 및 제 2 크라셔; 상기 크라셔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파쇄된 원료를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 배출구 하방에 위치되며, 각 슈트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2대의 크라셔를 연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원료탄을 생산하여 차기 공정에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원료탄, 코크스, 크라셔, 휠, 댐퍼, 슈트, 벨트 컨베이어

Description

원료탄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king coal}
본 발명은 원료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2대의 크라셔를 연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원료탄을 생산하여 차기 공정에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탄으로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석탄 종류별로 목표로 하는 입도 관리가 필요하다. 즉,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은 입자가 3mm 이하 크기가 전체의 80%~90%의 범위에서 배합 특성과 비율에 따라 필요로 하는 목표값을 갖도록 설정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은 산지와 종류별로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음으로, 양질의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에 따르는 석탄 종류별로 별도의 목표값을 갖는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며, 결정된 입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파쇄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원료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로서, 종래에원료탄 공급 장치(1)는 원료(예를 들어, 석탄)가 공급되는 피더(2), 상기 피터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파쇄시키는 크라셔(crusher, 3, 4), 상기 크라셔(3, 4)에서 파쇄된 원료를 통과시키는 슈트(5, 6) 및 상기 슈트(5, 6)를 통하여 공급된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7)를 포함하며, 벨트 컨베이어(7)는 벨트(9) 및 상기 벨트에 적재된 원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8)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대의 크라셔(crusher, 3, 4)를 가동하여 석탄의 파쇄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어느 한 크라셔에 원료가 공급되지 않아 크라셔 내부의 로터 해머가 공회전 하는 경우에는, 로터 해머의 공회전에 따라 크라셔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크라셔 하단에 설치된 슈트의 하단 개구를 향하여 벨트가 부상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벨트(9)가 스커트(도시되지 않음)와 롤러(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끼면서 부하가 가중되어 벨트 컨베이어(7)가 파손되어 조업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에 따라 원료탄의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2대의 크라셔를 연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원료탄을 생산하여 차기 공정에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
상기 슈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더;
상기 피더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파쇄시키는 제 1 및 제 2 크라셔;
상기 크라셔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파쇄된 원료를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 배출구 하방에 위치되며, 각 슈트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2대의 크라셔를 연속으로 가동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원료탄을 생산하여 차기 공정에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 상기 슈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는 코크스 제조를 위한 석탄의 파쇄 및 이송에 사용되는 장치로 한정하여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정면도이며,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부호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10)는 원료(예를 들어, 석탄)가 최초 투입되는 피더(20)와 상기 피더(20)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파쇄시키는 제 1 및 제 2 크라셔(30, 40)와 상기 크라셔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파쇄된 원료를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슈트(50, 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20)로 석탄 등이 공급되면, 덕트 등을 통하여 제 1 크라셔(30) 및 제 2 크라셔(40)로 석탄이 고르게 투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크라셔(30, 40)는 로터 해머의 회전에 의하여 석탄을 요구되는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
또한, 원료탄 공급 장치(10)는 상기 슈트(50, 60)의 하부 배출구 하방에 위 치되며, 각 슈트(50, 60)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70)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70)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50, 60)의 하단 배출구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71)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90)을 포함한다.
각 슈트(50, 60)는 각 크라셔(30, 40)의 하단에 연통 설치되며,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내부를 통하여 파쇄된 원료를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크라셔에 원료가 공급되지 않아 크라셔 내부의 로터 해머가 공회전 하는 경우에는, 로터 해머의 공회전에 따라 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크라셔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크라셔 하단에 설치된 슈트의 하단 배출구를 향하여 벨트(71)가 부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10)는 벨트(71)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수단(90)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벨트에 물리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벨트가 부상하지 않도록 벨트를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가압수단(90)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벨트와 이격 배치된 휠(wheel, 91)일 수 있다. 상기 휠(91)은 벨트가 부상하는 경우에 상기 벨트와 접촉하여 부상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벨트(7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벨트(71) 상에 적재되는 원료의 양과 벨트(71)의 부상 정도 및 크라셔 내부에 형성된 저기압 정도에 따라 휠과 벨트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91)은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벨트 컨베이어 상에 이격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2 및 도 3는 벨트(71)가 제 1 슈트(50) 및 제 2 슈트(60)의 순서로 통과하는 경우에 각 슈트의 진입 측에 휠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10)는 벨트 컨베이어(70)를 따라 이송중인 원료가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80) 및 상기 커버(80)와 벨트 컨베이어(70) 사이의 공간(원료가 적재되어 이송되는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게이트(102)를 갖는 댐퍼(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80)는 상기 휠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커버(80) 및 상기 커버(80)와 벨트 컨베이어(7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댐퍼(100)는 상기 커버(8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를 통하여 상기 커버(80)와 벨트 켄베이어(70)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본체(101) 및 상기 커버(80)와 벨트 켄베이어(70)로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본체(101)의 유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게이트(102)를 포함하며, 댐 퍼 본체가 설치된 커버 영역에는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본체(101) 내부와 커버(80)와 벨트 켄베이어(70) 사이의 공간이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택적 개폐란 용어는 로터 해머의 공회전에 따라 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크라셔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되는 경우에 벨트(71)가 부상하지 않도록 압력차만큼 보상하기 위하여 게이트(102)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댐퍼(100)의 게이트는 본체(101)의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01)의 내측으로만 회동하여 본체(101)의 유입구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닫힘 상태에서 게이트(102)가 반대방향(본체의 외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전방에 스토퍼(103)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는 커버에 장착될 수 있다(도 3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댐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셔가 정상 작동(로터 해머의 공회전하지 않는 경우) 중에는 게이트(102)의 자중에 의하여 댐퍼(100) 본체(101)의 유입구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크라셔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하여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벨트(71)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100)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 상에 이격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2 및 도 3는 벨트(71)가 제 1 슈트(50) 및 제 2 슈트(60)의 순서로 통과하는 경우에 각 슈트의 진입 측에 댐퍼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료탄 공급 장치(100)에서는 어느 한 크라셔에 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휠(벨트와 접촉하여 가압) 또는 댐퍼(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압력차 보상)에 의하여 벨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더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에 관계없이 2개의 크라셔(30, 40)를 동시에 구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료탄의 생산량이 증가시킬 수 있고, 벨트 컨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료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정면도.

Claims (8)

  1.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
    상기 슈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2. 피더;
    상기 피더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파쇄시키는 제 1 및 제 2 크라셔;
    상기 크라셔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파쇄된 원료를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 배출구 하방에 위치되며, 각 슈트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수직 상방에 배치되며, 슈트를 향하여 부상하는 벨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벨트와 이격 배치된 휠(wheel)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벨트와 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중인 원료가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벨트 켄베이어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게이트를 갖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를 통하여 상기 커버와 벨트 켄베이어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유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커버와 벨트 켄베이어로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슈트를 기준으로 벨트의 진입 측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탄 공급 장치.
KR1020090017003A 2009-02-27 2009-02-27 원료탄 공급 장치 KR10106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003A KR101069312B1 (ko) 2009-02-27 2009-02-27 원료탄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003A KR101069312B1 (ko) 2009-02-27 2009-02-27 원료탄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040A true KR20100098040A (ko) 2010-09-06
KR101069312B1 KR101069312B1 (ko) 2011-10-05

Family

ID=4300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003A KR101069312B1 (ko) 2009-02-27 2009-02-27 원료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940A (zh) * 2018-08-13 2018-11-16 河南省振源科技有限公司 楼式智能环保破碎筛分装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087A (ja) 2001-02-08 2002-08-23 Mitsunori Saka 炭化炉自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940A (zh) * 2018-08-13 2018-11-16 河南省振源科技有限公司 楼式智能环保破碎筛分装车系统
CN108820940B (zh) * 2018-08-13 2024-02-02 河南省振源科技有限公司 楼式智能环保破碎筛分装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312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559B2 (ja) ローラミル
CN105728157B (zh) 环保型模块化高品质砂石工作站及其控制方法
EA01943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в слое материала
CN108067333A (zh) 一种塑料眼镜框废料粉碎装置
CN205550503U (zh) 环保型模块化高品质砂石工作站
KR101069312B1 (ko) 원료탄 공급 장치
CN215063686U (zh) 一种罐式碳素煅烧炉
KR100912254B1 (ko) 터널 피더
JP2013226503A (ja) 粉砕システム
KR101261423B1 (ko) 원료 파쇄 장치
CN101528367A (zh) 用于筛分颗粒状物料的筛分机
JP6168404B2 (ja) 粉砕システム
JP4026842B2 (ja) 材料供給装置
CN211814560U (zh) 一种出料自分料式回火炉
CN206430466U (zh) 一种化工晶体烘干设备
CN213133358U (zh) 耐刮划粉末涂料片材破碎装置
KR101415833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CN108686807A (zh) 入炉煤筛分破碎终端循环装置
JP2019018926A (ja) 粉体供給装置
CN110740815B (zh) 生物质研磨机
CN209934837U (zh) 膨化饲料冷却粉碎装置
CN106378236A (zh) 用于玻璃纤维的立式磨机
KR101136416B1 (ko) 원료탄 공급 장치
KR101831174B1 (ko)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CN218968262U (zh) 一种双体重力谷糙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