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833B1 -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833B1
KR101415833B1 KR1020120076700A KR20120076700A KR101415833B1 KR 101415833 B1 KR101415833 B1 KR 101415833B1 KR 1020120076700 A KR1020120076700 A KR 1020120076700A KR 20120076700 A KR20120076700 A KR 20120076700A KR 101415833 B1 KR101415833 B1 KR 10141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discharge pipe
hopper
plat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826A (ko
Inventor
이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8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 이송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공급장치로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호퍼와 배출관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로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원료량 조절기를 포함함으로써, 원료량 조절기에 구비되는 검지판에서 원료의 공급양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검지판이 상승하고, 이에 대향하는 조절판이 하강하여 원료 공급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원료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원료 공급의 제어를 통해 원료의 과공급을 방지하여 공정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Source suppl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공급장치에 원료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배합원료를 소성시켜 괴성화(魁成化; 덩어리화)된 소결광을 제조하는 일련의 소결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소결공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분광석과 분 코크스를 혼합한 배합원료는 소결기 대차에 장입된 후 점화로에서 착화된다. 이후에 배합원료 중의 분 코크스 입자가 타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배합원료 중 미분의 분광석 입자가 용융되어 소결광이 제조된다.
소결공정에서는 통기성이 소결공정의 생산성이나 소결광의 품질을 좌우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데, 이는 통기성에 따라 배합원료 입자 내에 존재하는 연료의 연소성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때, 통기성은 소결층의 높이, 장입밀도(편석도) 및 소결조업 조건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서는 원료조건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에 통기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료조건으로는 배합원료의 평균 입도 분포가 변수가 된다. 이때, 원료의 최적 입도는 약 1~3㎜의 입도 분포일 때 소결조업에서 최대 생산의 경제적 조업이 된다. 특히, 원료의 입도 중 1 ㎜ 이하의 입도는 소결공정 중에 빨리 타버리기 때문에 열을 보유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분 코크스 주위의 분광석이 용융되기 전에 소멸되어 분광석이 완전히 소결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원료를 1~3 ㎜의 입도 분포로 파쇄함으로써 소결 공정의 생산성 및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원료가 배합되기 전, 원료가 최적의 입도를 가질 수 있도록 원료 파쇄공정이 선행된다. 도 1에 도시된 원료 파쇄 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도 1은 일반적은 원료 파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료 파쇄 장치(100)는 분 코크스(1)가 저장되는 호퍼(10)와, 호퍼(10)에 저장된 분 코크스(1)를 진동 작용에 의해 외부로 급송시키는 진동 피더(20), 호퍼(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호퍼(10)에서 배출되는 분 코크스(1)을 공급받는 슈트(330)를 포함하는 원료공급부와, 원료공급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일정한 입도를 갖도록 파쇄시키는 파쇄기(crusher; 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료 파쇄 장치(100)는 호퍼(10)에 저장된 분 코크스(1)를 진동 피더(20)의 진동에 의해 파쇄기(40)로 급송시키고, 원료 타격 수단(41)에 의해 각각의 탄종의 목표 입도로 파쇄한 후, 이송수단(70)으로 배출하여 이송한다. 이때, 진동피더(20)의 진동 값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의 출력 값으로 회전수 가감으로 진동을 조절한다.
그런데, 파쇄기(40)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이 일정하게 제어되지 않을 경우, 호퍼(10) 내측의 원료가 바이패스 현상으로 과량 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원료를 목표입도로 파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파쇄기(40)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원료의 입도가 목표 입도보다 크게 파쇄되고, 파쇄기(40)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원료의 입도가 목표 입도보다 작게 파쇄된다. 특히, 조탄 및 죽탄의 원료는 원료의 특성상 진동피더와의 마찰력이 낮아 진동피더에 의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피더에 의한 원료량 조절이 어려워 파쇄기(40)로 원료가 과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분코크스는 파쇄기(40) 내부로 과다하게 배출되어 원료 타격 수단(41)을 불규칙하게 마모 또는 손상시킴으로써 원료의 파쇄 효율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소결과정에서 원료의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쳐 소결광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KR 3206-0073873 A1 KR 1997-001795 Y1
본 발명은 원료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균일한 원료탄 공급으로 인한 공정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원료의 파쇄 입도율을 균일하게 조절하여 제품(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 상기 이송로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공급장치로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호퍼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로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원료량 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량 조절기는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이송로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로 내에서 상기 호퍼쪽으로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조절판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판 및 검지판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판 또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판과 상기 검지판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지판의 하부 끝단은 상기 이송로의 하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지판은 상기 이송로의 하부 끝단과 상기 이송로에 대향하는 상기 배출관의 측벽 사이 거리의 60%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지판의 상부에는 상기 검지판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호퍼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로를 거쳐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원료 공급 방법은, 이송로의 일측 상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를 상기 이송로의 타측의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으로 원료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원료의 양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로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검지판을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되는 원료가 타격하면 상기 검지판이 상승하고, 상기 검지판의 상승에 의해 이와 연결된 조절판을 하강시켜 원료가 공급되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원료가 공급되는 통로는 상기 호퍼의 배출구와 상기 이송로 바닥면 사이의 높이이며, 상기 원료 공급 통로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80%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피 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원료의 이송경로 상에 이송되는 원료의 양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원료량 조절기를 설치하여 원료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설비를 간단하게 구조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새로운 설비의 구축으로 인한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처럼,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는 각종 원료 이송수단 및 원료의 공급량을 제어해야 하는 다양한 수단에 사용되어, 공급시설에서 피 공급시설로 이송되는 원료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원료의 과잉공급으로 인한 공정설비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공정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원료 파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량 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원료량 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원료 공급 장치는 원료를 피 공급장치로 공급할 때, 원료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파쇄기에 원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량 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는 원료량 조절기의 평면도이며, (b)는 사시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원료 공급 장치(300)는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310)와, 호퍼(31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320), 이송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공급장치로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330) 및 호퍼(310)와 배출관(330)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로(320)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원료량 조절기(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로 진동피더를 사용하였고, 피공급장치로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슈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송로는 진동피더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지게 구비되어 원료가 이송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도 슈트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가 피공급장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호퍼(310)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원료를 하부의 배출구(315)를 통해 진동피더(320)로 원료를 공급한다. 이때, 배출구(315)는 진동피더(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원료가 배출구(315)에서 진동피더(320)로 낙하할 때 진동피더(320)에 가해지는 충돌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진동피더(320)는 호퍼(310) 하부에 배치되며, 호퍼(310)의 배출구(315)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에 진동작용을 가해 원료가 슈트(330)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진동피더(320)는 일측 상부 및 타측 측면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진동피더(320)의 진동 작용을 하기 위해서 진동피더(320)에는 진동 모터(미도시)와 진동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때, 진동피더(320)와 호퍼(310) 및 슈트(330)의 연결부위에는 원료가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분진 및 외부의 불순물의 비산 및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슈트(330)는 진동피더(32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원료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슈트(330)는 내부에 진동피더(320)의 개방된 타측이 배치된다. 이때, 슈트(33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진동피더(320)와 파쇄기(미도시)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한다.
원료량 조절기(350)는 호퍼(310)와 슈트(330)사이, 즉, 진동피더(320)에 설치되어 원료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피 공급시설(예컨대, 파쇄기)로 원료를 일정하게 공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량 조절기(350)는 진동피더(320)에 장착되는 회전축(353)과, 회전축(353)의 일측에 연결되어 호퍼(310)쪽에 배치되는 조절부(355) 및 회전축(353)의 타측에 연결되어 슈트(330) 내에 배치되는 검지부(357)를 포함한다.
회전축(353)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진동피더(32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원료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회전축(353)이 설치되기 위해 진동피더(320)의 측벽에는 회전축이 삽입가능한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고, 진동피더(320)와 회전축(353)의 연결부위에는 베어링과 같은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353)이 진동피더(320)의 양측벽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축(353)은 진동피더(320) 내부에 별도의 지지체를 설치하고, 지지체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회전축(353)이 설치되는 방법에는 한정하지 않는다.
조절부(355)는 회전축(353)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판(355a)과, 제 1 연결판(355a)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판(355b)을 포함한다. 제 1 연결판(355a)과 조절판(355b)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퍼를 형성하며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조절부가 작동할 때에 설비와 조절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판(255b)은 이송로(320) 내에서 호퍼(310)쪽으로 원료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원료 공급 장치(300)의 작동에 의해 배출구(310)와 진동피더(320) 사이의 거리(V)의 50~80% 정도를 폐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조절판(355b)은 호퍼(310)의 배출구(315)와 진동피더(320)의 바닥면 사이에서 원료의 공급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검지부(357)는 회전축(353)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판(357a)과, 제 2 연결판(357a)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검지판(357b)을 포함한다. 제 2 연결판(357a)과 검지판(357b)은 조절부(255)와 마찬가지로 테이퍼를 형성하며 연결되어 검지부(357)가 작동할 때에 설비와 검지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검지판(257b)은 진동피더(320)에서 슈트(330)로 이송되는 원료가 접촉될 수 있는 검지판(357b)의 끝단이 진동피더(320)의 타측 하부보다 낮은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검지판(357b)은 진동피더(320)의 타측 끝단과,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슈트(330)측벽 사이의 거리(W)의 60% 이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진동피더(320)에서 원료가 과공급되는 경우, 진동피더(320)에서 슈트(330)로 이송되는 원료가 검지판(357b)을 타격하고, 이에 회전축(353)이 회전하여 검지판(357b)이 상승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정상적인 공급량을 가지는 원료는 W 범위에서 약 50% 내의 영역에서 이송된다. 이때, 과공급 되는 원료는 이송속도 및 원료의 양에 따라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원료가 낙하하게 되고, 이에 상기 범위보다 넓게 슈트 내부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절부(355) 및 검지부(357)는 회전축(353)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나타내 있으나, 조절부(355) 및 검지부(357)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과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회전축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원료량 조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료량 조절기(350')의 조절부(355') 및 검지부(357')는 회전축(353)에 장착되는 제 1 연결바(355c) 및 제 2 연결바(357c)에 조절판(355b) 및 검지판(357b)을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연결바(355c) 및 제 2 연결바(357c)는 회전축(353)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결바(355c) 와 제 2 연결바(357c)의 하부에 조절판(355b)과 검지판(357b)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바(355c) 와 제 2 연결바(357c)는 회전축(353)의 양측에서 조절판(355b) 및 검지판(357b)으로 각각 하나의 연결바가 연결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연결바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절판 및 검지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여러개 구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원료 공급 장치(300)의 동작은, 원료량 조절기(350)의 조절판(355b)과 검지판(357b)의 상승 하강에 의한 작동이다. 원료가 과공급되어 검지판(357b)이 장착된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원료가 낙하되면, 검지판(357b)은 회전축(353)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승한다. 이때, 검지판(357b)에 대향되고, 호퍼(310)의 배출구(315)와 동일 혹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는 조절판(355b)은 검지판(357b)의 상승에 대향하여 하강하며 원료가 진동피더(320)에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범위를 일부 폐쇄한다. 이때, 조절부(355)의 적어도 일부는 호퍼의 배출구(315) 부분과 접촉할 수도 있다. 이후, 진동피더(32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정상범위의 영역에서 낙하하면 상승 된 검지부(357)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검지부(357)는 하강하고, 조절부(355)는 상승한다. 즉, 조절판(355b)과 검지판(357b)은 회전축(353)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원료 공급 장치(300)에는 원료량 조절기(350)의 검지부(357)의 상승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토퍼(370)는 원료량 조절기(3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원료 공급 장치(300)의 작동으로 인한 원료량 조절기(350)의 높이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토퍼(370)는 원료량 조절기(350)의 검지부(357)이 상승하게 될 때, 검지부(357)이 상승범위를 한정하여 원료량 조절기(3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검지부(357)이 상승하다가 멈출 때, 검지부(357)이 슈트에 충돌하지 않고 스토퍼(370)가 검지부(357)과 접촉하여 검지부(357)의 충돌힘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370)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70)는 슈트(330)의 내부에서 검지부(357)의 최상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스토퍼(370)와 검지부(357)의 접촉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토퍼(370)를 사용하여 검지부(357)의 상승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어느 곳에든지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원료 공급 장치(3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원료 공급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원료 공급 장치가 작동된 후 다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료 공급 장치(300)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호퍼(310)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는 호퍼(310)의 배출구(315)를 통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진동피더(320)에 공급되고, 진동피더(320)를 따라 타측의 슈트로 배출된다. 이때, 원료 중 조탄 및 죽탄과 같은 원료들은 진동피더(320)의 진동작용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과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과공급 된 원료는 슈트(330) 내에서 원료가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일정범위(도 3의 W를 기준 즉, 슈트와 진동피더 사이의 폭을 기준으로 약 50~80%)를 넘어서게 되고 이때, 원료는 원료량 조절기(350)의 검지판(357b)을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원료의 타격압력은 검지부(357)을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고, 검지부(357)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검지부(357)이 상승하게 되면 회전축(353)에 의해 연결되고 검지부(357)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조절부(355)은 하강한다. 즉, 시소와 같은 원리로 양단 중 일단 부분이 상승하면 타탄 부분은 하강하는 원리와 같이, 검지부(357)이 상승하면, 검지판의 반대편에 있는 조절판은 하강하게 되면서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부(355)는 호퍼(310)의 배출구(315)와 진동피더(320)의 바닥면 사이의 공급 통로의 적어도 일부(약 60~ 80%)를 폐쇄하며, 호퍼(310)에서 주입되는 원료가 좁은 통로로 적은 양만 주입되게 한다.
이에, 호퍼(310)에서 주입되는 원료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원료의 과공급로 인해 호퍼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진동피더(320)에 의해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진동피더(320)의 진동작용에 의해서 원료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원료의 공급량이 진동피더(320)에 의해 다시 제어되게 되면, 검지부(357)에 가해지던 원료의 타격압력은 감소하게 되고, 이에 상향 된 검지부(357)은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료 공급 장치의 반복작용으로 인하여 원료가 과공급될때 원료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료가 일정한 입도를 갖고 파쇄되는 원료 파쇄 장치에 일정한 양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에 진동피더에 의해 제어하기 어려운 죽탄 및 조탄과 같은 원료들로 인한 원료의 과공급을 해결하여 원료 파쇄 장치의 과부화를 안정화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원료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으로 원료의 타격 압력으로 인해 장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원료 공급 장치에 별도의 동력수단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원료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공정을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해 원료를 파쇄하는 원료 파쇄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원료 공급 장치는 원료 및 연료를 일정량을 공급해야 하는 다양한 장치 및 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 분코크스 10, 310 : 호퍼
20, 320 : 진동피더 25, 330 : 슈트
100 : 원료 파쇄 장치 300 : 원료 공급 장치
353 : 회전축 350 : 원료량 조절기
355 : 조절부 357 : 검지부
355b : 조절판 357b : 검지판
370 : 스토퍼

Claims (10)

  1.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공급장치로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호퍼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로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원료량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량 조절기는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이송로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 쪽에 배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 내부에 배치되는 검지부;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송로 내에서 상기 호퍼쪽으로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조절판을 구비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검지판;을 포함하는 원료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및 검지판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판 또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는 원료 공급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과 상기 검지판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지판의 하부 끝단은 상기 이송로의 하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원료 공급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지판은 상기 이송로의 하부 끝단과 상기 이송로에 대향하는 상기 배출관의 측벽 사이 거리의 60% 이내에 배치되는 원료 공급 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지판의 상부에는 상기 검지판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원료 공급 장치.
  8. 호퍼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로를 거쳐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원료 공급 방법으로서,
    이송로의 일측 상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를 상기 이송로의 타측의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으로 원료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원료의 양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로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료 공급 방법.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배출관 내부에 상기 원료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검지판을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되는 원료가 타격하면 상기 검지판이 상승하고,
    상기 검지판의 상승에 의해 이와 연결된 조절판을 하강시켜 원료가 공급되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원료 공급 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원료가 공급되는 통로는 상기 호퍼의 배출구와 상기 이송로 바닥면 사이의 높이이며, 상기 원료 공급 통로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80%를 폐쇄하는 원료 공급 방법.
KR1020120076700A 2012-07-13 2012-07-13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141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00A KR101415833B1 (ko) 2012-07-13 2012-07-13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00A KR101415833B1 (ko) 2012-07-13 2012-07-13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826A KR20140009826A (ko) 2014-01-23
KR101415833B1 true KR101415833B1 (ko) 2014-07-07

Family

ID=501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700A KR101415833B1 (ko) 2012-07-13 2012-07-13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18B1 (ko) * 2019-03-25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34593B (zh) * 2023-08-04 2023-12-08 常州奥凯干燥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晾药机物料的均匀分布装置
CN117739663B (zh) * 2024-02-19 2024-04-30 泰州瑞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调节功能的回转窑窑尾溜料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41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피더의 광석과불출 제어장치
KR20060102066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호퍼용 플레이트 조절장치
JP2009161284A (ja) * 2007-12-28 2009-07-23 Nittetsu Mining Co Ltd 粉体供給装置、粉体供給方法、及び気流分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41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피더의 광석과불출 제어장치
KR20060102066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호퍼용 플레이트 조절장치
JP2009161284A (ja) * 2007-12-28 2009-07-23 Nittetsu Mining Co Ltd 粉体供給装置、粉体供給方法、及び気流分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18B1 (ko) * 2019-03-25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826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9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izing inflammable waste
US11123747B2 (en) VSI-crusher feed hopper distribution device
KR101415833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CN102176974A (zh) 用于vsi破碎机的材料进给装置以及破碎材料的方法
JP5277967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
KR101351483B1 (ko) 원료탄 파쇄 장치
CN108499669A (zh) 锤击式动态循环筛分破碎机
CN206631670U (zh) 锤击式动态循环筛分破碎机
JP4953067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
KR20180049650A (ko) 원료 장입 장치
JP5018157B2 (ja) 高炉用ベルレス式炉頂装入装置の旋回シュート
JP6943027B2 (ja) 竪型ローラミル
JP2012072974A (ja) セメントキルンの燃料供給方法
JP2019018926A (ja) 粉体供給装置
CN207254382U (zh) 防宕机式破碎机
CN206624387U (zh) 液晶玻璃生产用给料机和用于玻璃窑炉的加料系统
EP33729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raw material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KR101388346B1 (ko) 미분탄 공급장치
RU24707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тепени измельчения материалов в безрешетной молотковой дробилке кормов
KR100797864B1 (ko)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용철제조장치
CN207030487U (zh) 原料添加装置和用于玻璃窑炉的加料系统
KR101365535B1 (ko) 서지호퍼의 소결원료 장입장치
CN203264788U (zh) 一种反击破板锤破碎机
WO2013028264A1 (en) Rotary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