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74B1 -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174B1
KR101831174B1 KR1020170054926A KR20170054926A KR101831174B1 KR 101831174 B1 KR101831174 B1 KR 101831174B1 KR 1020170054926 A KR1020170054926 A KR 1020170054926A KR 20170054926 A KR20170054926 A KR 20170054926A KR 101831174 B1 KR101831174 B1 KR 10183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coal
gas line
supplied
oxyge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오
정기진
권인구
이정수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주)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7005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 건조가스 내의 산소 농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열풍기에서 발생된 방열을 이용하여 상온 이상의 온도를 가진 질소를 공급하여 배관 내 산소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석탄 분진을 정화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은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이 공급되는 사이클론;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을 순환가스의 기류 수송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순환가스 라인; 상기 사이클론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가 상기 분쇄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순환가스 라인;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을 통과하는 순환가스를 이송하는 순환송풍기; 및 상기 분쇄기에 건조가스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순환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산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질소가스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SYSTEM FOR PULVERIZING AND DRYING OF COAL}
본 발명은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 건조가스 내의 산소 농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열풍기에서 발생된 방열을 이용하여 상온 이상의 온도를 가진 질소를 공급하여 배관 내 산소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석탄 분진을 정화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 분쇄 설비는 여러 공업 분야, 이를테면 고온 가스 발생, 유동상(fludised bed) 연소 및 석탄 기화 플랜트에 사용된다. 석탄 분쇄는 또한 미분탄 주입(Pulverised Coal Injection, PCI) 설비를 포함하는 시멘트 생산, 철강 제련 공업 및 비철 야금 공정에서 실시된다.
석탄을 분쇄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는 고온의 습윤 원료, 특히 시멘트 클링커, 슬래그 및 응집물을 분쇄와 동시에 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DE 10 2005 040 519 B4에 기술되어 있다. DE 30 06 470 A1은 볼밀, 롤러밀 및 고온 가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불활성 고온 가스를 이용하여 석탄을 분쇄 및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EP 0 579 214 A1은 차가운 가스, 특히 차가운 공기 및/또는 주위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 스웹트(air swept) 롤러밀에서 원료 갈탄을 분쇄-건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DE 36 39 206 C1은 연소용 석탄 분진을 제조하기 위해 보울(bowl) 롤러 밀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고, US 4 597 537 A는 특히 석탄 분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수직 밀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며 분류 공정을 개선한 것이다.
기존 석탄 분쇄/건조 시스템은 석탄을 운반하고 분쇄를 진행하면서 분쇄된 미분탄은 건조가스를 통해 이송과 동시에 수분을 건조시키는데, 이때 건조가스 내의 산소농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5-0003900호(2015.10.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탄 분쇄 및 건조 시 건조가스 내의 산소 농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열풍기에서 발생된 방열을 이용하여 상온 이상의 온도를 가진 질소를 공급하여 순환가스 배관 내 산소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석탄 분진을 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으로서,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이 공급되는 사이클론;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을 순환가스의 기류 수송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순환가스 라인; 상기 사이클론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를 상기 분쇄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순환가스 라인;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을 통과하는 순환가스를 이송하는 순환송풍기; 및 상기 분쇄기에 건조가스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순환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산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상기 열풍기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기는 내부에 내화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화재 내부에는 질소 배관이 코일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 탱크에서 공급되는 질소는 상기 열풍기의 내화재에 설치된 상기 질소 배관을 거쳐 가열된 후, 제1 질소 라인을 거쳐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거나 제2 질소 라인을 거쳐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기에서 가열된 건조가스와 상기 질소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열풍기의 질소 배관을 통해 가열된 질소가스는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 및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산소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질소가스를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하고, 상기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산소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질소가스를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열풍기에서 공급되는 건조가스를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순환가스 라인에 설치되는 상기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와 제1 온도센서의 위치는 상기 제1 질소 라인을 통해 질소가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제2 순환가스 라인에 설치되는 상기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와 제2 온도센서의 위치는 상기 제2 질소 라인을 통해 질소가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클론에서 순환가스와 분리된 미분탄을 저장하는 미분탄 저장호퍼; 및 상기 사이클론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 일부가 공급되는 백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에서 분리된 미분탄은 상기 미분탄 저장호퍼로 공급되고, 상기 백필터에서 분리된 건조가스는 대기로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호퍼를 통해 공급된 석탄을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석탄이 저장되는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석탄을 공급받아 상기 분쇄기로 석탄을 공급하는 제1 스크류피더; 및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저장된 석탄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로드셀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류피더는 상기 제1 스크류피더에 설치된 인버터를 통해 상기 분쇄기로 공급되는 석탄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분탄의 수분 건조용으로 사용되는 열풍기 내부에서 발생된 방열을 이용하여 상시 승온된 질소를 공급함으로 순환 건조가스 내부 산소 농도 저감과 순환건조가스의 온도를 높여서 배관 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탄 분쇄 및 건조시에 산소 농도 증가로 인한 화재, 분진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탄을 파쇄기와 미분쇄기를 나누어 파쇄를 먼저 진행하고 파쇄된 석탄을 미분쇄기를 통해 미분탄을 제조함으로써, 고품질의 미분탄을 생산과 설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100)은 석탄을 파쇄기(120)와 분쇄기(140)를 나누어 파쇄를 먼저 진행하고 파쇄된 석탄을 분쇄기(140)를 통해 미분탄을 제조하며, 석탄의 투입과정부터 미분탄을 생산하는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량의 미분탄을 생산할 수 있다.
우선, 외부로부터 공급된 석탄을 저장하는 저장호퍼(110)가 구비되고, 저장호퍼(110)에 저장된 석탄은 제1 스크류피더(111)와 버킷엘리베이터(115)를 거쳐 파쇄기(120)로 공급된다.
제1 스크류피더(111)는 저장호퍼(110) 하부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진 스크류형태를 띠며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하면서 석탄을 운반한다. 버킷엘리베이터(115)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스크류피더(111)를 통해 이송된 석탄을 공급받는 투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쇄기(120)로 석탄을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관체가 구비되고, 상기 관체의 내측 하부에는 한 쌍의 로울러가 구비되고, 한 쌍의 로울러를 연결시키는 벨트가 구비되며, 이 벨트에 다수 개의 운반 부재가 구비되고, 로울러를 동작시키는 모터가 구비된다.
한편, 파쇄기(120)를 통해 파쇄된 석탄은 공급호퍼(130)에 저장되고 하부에 설치된 제2 스크류피더(135)를 통해 분쇄기(140)로 투입된다. 제2 스크류피더(135)에 설치된 모터에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분쇄기(140)로 공급되는 석탄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분쇄기(140)로 공급되는 석탄의 투입량은 공급호퍼(130)에 설치된 제1 로드셀 무게감지 센서(131)를 통해 실시간 석탄의 무게값 측정이 가능하다.
분쇄기(140)에서 분쇄된 미분탄은 제1 순환가스 라인(141)을 통해 순환가스의 기류 수송에 의해 사이클론(150)으로 공급되며, 사이클론(150)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는 제2 순환가스 라인(145)을 통해 다시 분쇄기(14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배치되어, 제2 순환가스 라인(145)을 통과하는 순환가스를 이송하는 순환송풍기(155) 및 분쇄기(140)에 건조가스를 공급하는 열풍기(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순환가스 라인(141) 내의 순환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산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순환가스 라인(141)에 질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가스는 분쇄기(140), 제1 순환가스 라인(141), 사이클론(150), 제2 순환가스 라인(145)을 거쳐 다시 분쇄기(140)로 순환하는 가스로서, 열풍기(180)에서 공급되는 건조가스와 산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급되는 질소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140)를 통해 분쇄된 미분탄은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배치된 순환송풍기(155)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가스와 열풍기(180)에서 발생된 건조가스에 의해 기류수송 되면서 동시에 미분탄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수분이 제거된 미분탄은 사이클론(150)에 공급되고, 사이클론(150)을 통해 미분탄과 수분을 포함한 순환가스가 분리된다.
사이클론(150)을 통해 분리된 미분탄은 하부에 설치된 미분탄 저장호퍼(160)에 저장되며, 미분탄과 분리된 수분을 포함한 순환가스는 제2 순환가스 라인(145)을 통해 분쇄기(140)로 보내지는데, 그에 앞서 수분을 포함하는 순환가스 일부는 백필터(170)로 공급된다. 백필터(170)에서 순환가스와 분리된 미분탄은 미분탄 저장호퍼(160)로 공급되고, 백필터(170)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는 대기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수분을 포함한 순환가스 일부가 대기로 방출될 때 미분탄이 대기로 방출되지 않도록 백필터(170)에서 여과되며, 백필터(170)에서 여과된 미분탄은 하부에 설치된 미분탄 저장호퍼(160)로 보내진다.
미분탄 저장호퍼(160)에 저장된 미분탄은 미분탄 저장호퍼(160)에 설치된 제2 로드셀 무게감지 센서(161)에 의해 실시간 미분탄의 무게가 측정되며, 일정양의 미분탄이 저장되면, 하부에 설치된 입도분리부(165)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분쇄기(140)로 보내진 순환가스는 미분탄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때 열풍기(180)에서 공급된 고온의 건조가스와 혼합되면서 건조가스 온도가 설정 범위의 온도로 다시 승온될 수 있다.
열풍기(180)는 분쇄기(140)와 연결된 제1 순환가스 라인(141)과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배치된 제1 온도 센서(142)와 제2 온도 센서(146)를 통해 순환가스에 혼합될 건조가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풍기(180) 내부에 시공된 내화재 내부에 질소 배관을 코일형태로 설치하여 열풍기(180) 내부에서 발생된 방열을 통해 질소 배관을 간접 가열하게 된다. 열풍기(180)에 설치된 질소 배관은 질소유량 조절밸브(195)를 통해 상시 일정량의 질소가 열풍기(180)의 방열을 통해 승온된 뒤 제2 순환가스 라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질소 탱크(190)에서 배출되는 질소는 열풍기(180)를 거쳐 제2 질소 라인(193)을 통해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분쇄기(140)와 연결된 제1 순환가스 라인(141)과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배치된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143)와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147)를 통해 설정 범위 이상의 산소 농도값이 측정될 경우 제1 질소 라인(191)에 설치된 제1 질소 공급 밸브(192)를 개방하여 제1 순환가스 라인(141)에 더 많은 질소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순환가스 라인(141,145) 내부로 승온된 질소가 유입되어 산소 농도값이 설정 범위 이하가 되면 질소유량 조절밸브(195)를 일정 범위로 개방하고 제2 질소 공급 밸브(194)도 그대로 개방하여 제2 질소 라인(193)을 통해 제2 순환가스 라인(145)으로 질소가 공급되는 것은 그대로 유지하되, 제1 질소 라인(191)에 설치된 제1 질소 공급 밸브(192)를 차단하여 제1 순환가스 라인(141)에는 질소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및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143,147)에서 실시간으로 산소 농도를 측정하게 되고 질소 탱크(190)에 보관중인 질소가 제1 및 제2 순환가스 라인(141,145)으로 공급될 때 열풍기(180) 내부에 시공된 내화재 사이를 통과하여 승온이 된 후 제1 및 제2 순환가스 라인(141,145) 내로 유입된다.
열풍기(180)에서 가열된 건조가스와 질소 탱크(190)에서 배출되어 열풍기(180)의 질소 배관을 통해 가열된 질소가스는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열풍기(180)에서 가열된 건조가스는 건조가스 라인(185)을 통해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합류되고, 질소 탱크(190)에서 배출되어 열풍기(180)의 질소 배관을 통해 가열된 질소가스는 제1 및 제2 질소라인(191,193)을 통해 제1 및 제2 순환가스 라인(141,145)에 합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순환가스 라인(14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42)와 제2 순환가스 라인(145)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146)를 포함하며, 제1 온도센서(14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제2 온도센서(146)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열풍기(180)에서 공급되는 건조가스를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공급하는 제1 순환가스 라인(141)에 설치되는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143)와 제1 온도센서(142)의 위치는 제1 질소 라인(191)을 통해 질소가 제1 순환가스 라인(141)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설치되는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147)와 제2 온도센서(146)의 위치는 제2 질소 라인(193)을 통해 질소가 제2 순환가스 라인(145)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은 미분탄의 수분 건조용으로 사용되는 열풍기 내부에서 발생된 방열을 이용하여 상시 승온된 질소를 공급함으로 순환 건조가스 내부 산소 농도 저감과 순환건조가스의 온도를 높여서 배관 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석탄 분쇄 및 건조시에 산소 농도 증가로 인한 화재, 분진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석탄을 파쇄기와 미분쇄기를 나누어 파쇄를 먼저 진행하고 파쇄된 석탄을 미분쇄기를 통해 미분탄을 제조함으로써, 고품질의 미분탄을 생산과 설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저장호퍼 111 : 제1 스크류피더
115 : 버킷엘리베이터 120 : 파쇄기
130 : 공급호퍼 135 : 제2 스크류피더
140 : 분쇄기 141 : 제1 순환가스 라인
142 : 제1 온도센서 143 :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
145 : 제2 순환가스 라인 146 : 제2 온도센서
147 :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 150 : 사이클론
160 : 미분탄 저장호퍼 165 : 입도분리부
170 : 백필터 180 : 열풍기
190 : 질소 탱크 191 : 제1 질소 라인
192 : 제1 질소 공급 밸브 193 : 제2 질소 라인
194 : 제2 질소 공급 밸브 195 : 질소유량 조절밸브

Claims (10)

  1.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으로서,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이 공급되는 사이클론;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미분탄을 순환가스의 기류 수송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순환가스 라인;
    상기 사이클론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를 상기 분쇄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순환가스 라인;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을 통과하는 순환가스를 이송하는 순환송풍기; 및
    상기 분쇄기에 건조가스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순환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산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열풍기는 내부에 내화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화재 내부에는 질소 배관이 코일 형태로 설치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상기 열풍기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질소 탱크;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 및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질소 탱크에서 공급되는 질소는 상기 열풍기의 내화재에 설치된 상기 질소 배관을 거쳐 가열된 후, 제2 질소 라인을 거쳐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산소농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산소농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질소 탱크에서 공급되는 질소는 상기 열풍기의 내화재에 설치된 상기 질소 배관을 거쳐 가열된 후, 상기 제2 질소 라인을 거쳐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제1 질소 라인을 거쳐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도 공급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에서 가열된 건조가스와 상기 질소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열풍기의 질소 배관을 통해 가열된 질소가스는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열풍기에서 공급되는 건조가스를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공급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순환가스 라인에 설치되는 상기 제1 산소농도 측정센서와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위치는 상기 제1 질소 라인을 통해 질소가 상기 제1 순환가스 라인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제2 순환가스 라인에 설치되는 상기 제2 산소농도 측정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의 위치는 상기 제2 질소 라인을 통해 질소가 상기 제2 순환가스 라인에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에 위치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에서 순환가스와 분리된 미분탄을 저장하는 미분탄 저장호퍼; 및
    상기 사이클론에서 미분탄과 분리된 순환가스 일부가 공급되는 백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백필터에서 분리된 미분탄은 상기 미분탄 저장호퍼로 공급되고, 상기 백필터에서 분리된 건조가스는 대기로 방출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호퍼를 통해 공급된 석탄을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석탄이 저장되는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석탄을 공급받아 상기 분쇄기로 석탄을 공급하는 제1 스크류피더; 및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저장된 석탄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로드셀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류피더는 상기 제1 스크류피더에 설치된 인버터를 통해 상기 분쇄기로 공급되는 석탄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KR1020170054926A 2017-04-28 2017-04-28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KR10183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26A KR101831174B1 (ko) 2017-04-28 2017-04-28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26A KR101831174B1 (ko) 2017-04-28 2017-04-28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174B1 true KR101831174B1 (ko) 2018-02-26

Family

ID=6153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26A KR101831174B1 (ko) 2017-04-28 2017-04-28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3886A (zh) * 2020-11-30 2021-03-16 安徽正宏现代农业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油茶初加工用油茶果除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4395A (ja) * 2012-11-26 2014-06-09 Hyuga Seirensho:Kk 微粉炭ミル系設備の炭塵発火防止システム及び炭塵発火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4395A (ja) * 2012-11-26 2014-06-09 Hyuga Seirensho:Kk 微粉炭ミル系設備の炭塵発火防止システム及び炭塵発火防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3886A (zh) * 2020-11-30 2021-03-16 安徽正宏现代农业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油茶初加工用油茶果除湿装置
CN112503886B (zh) * 2020-11-30 2022-05-20 安徽正宏现代农业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油茶初加工用油茶果除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554C (en) Method and device for grinding hot, wet raw material
KR102045781B1 (ko) 분쇄 및 건조 플랜트
CN103052447B (zh) 在惰性运转或者在非惰性运转中的煤块磨碎方法和设备
US3078048A (en) Means and methods of supplying heat to grinding mills
CN101870897B (zh) 一种褐煤的过热蒸汽强化循环分级粉碎提质工艺及其系统
JP6011933B2 (ja) 微粉炭ミル系設備の炭塵発火防止システム及び炭塵発火防止方法
JP5758800B2 (ja) 粉炭製造方法
JP5450817B2 (ja) 砕料を粉砕する方法
CN105393054B (zh) 用于固体烃进料的氧化还原化学回路燃烧的方法和设备
CN111482242B (zh) 固体燃料粉碎装置、具备其的发电设备、以及其控制方法
KR101831174B1 (ko) 석탄 분쇄 및 건조 시스템
JP3322338B2 (ja) 木炭及び活性炭の製造装置
AU2009253963B2 (en) Method for producing pulverized coal
JPS5956495A (ja) 高炉吹込用粉体燃料の粉砕・乾燥・輸送設備
KR20020049889A (ko)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설비에 있어서부생슬러지 재활용 장치
JP2009281671A (ja) 粉粒体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CN202853264U (zh) 一种钛铁精矿干燥系统装置
EP2922800B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drying solid waste material using gas from a clinker cooler
CN213984029U (zh) 直吹式煤粉热风炉系统
JP5145779B2 (ja) 高炉原料の乾燥予熱方法
CN212451336U (zh) 一种利用烟气尾气制备煤粉的系统
KR20040013436A (ko) 미분탄 제조 장치
JP5037200B2 (ja) 乾燥設備及び乾燥方法
JP6919239B2 (ja) 粉砕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H08299828A (ja) ローラミル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