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656A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656A
KR20100095656A KR1020107017071A KR20107017071A KR20100095656A KR 20100095656 A KR20100095656 A KR 20100095656A KR 1020107017071 A KR1020107017071 A KR 1020107017071A KR 20107017071 A KR20107017071 A KR 20107017071A KR 20100095656 A KR20100095656 A KR 2010009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cylindrical
grommet
cylindrical portion
ho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467B1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10)은 소직경 통형부(13)와 이 소직경 통형부에 연속되는 확대 직경 통형부(13)를 구비한다. 양 통형부(11, 13)는 이들 통형부에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에 결합된다. 소직경 통형부(11)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에는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가 마련된다. 환형 오목부(14)는 차체 패널과 결합되게 되어 있다.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에는, 두 통형부(11, 13)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의 측벽까지 확대 직경 통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확대 직경 통형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돌출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0) 각각은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할 때에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과 처음으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P1)와, 접촉 위치(P1)를 지난 굴곡 위치(P2)와,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측의 선단 위치(P3)와, 연결부의 기단 위치(P4)를 갖는다. 돌출부 각각은 기단 위치(P4)로부터 접촉 위치(P1)를 통하여 굴곡 위치(P2)까지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와, 굴곡 위치(P2)로부터 선단 위치(P3)로 연장되고 반대 경사 방향으로 경사지는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를 갖는다.

Description

그로밋{GROMMET}
본 발명은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에 부착되고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보호, 방수 및 방진을 도모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엔진룸으로부터 차실(車室) 내로 배치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그로밋이 부착되어 있다. 그로밋은 차체를 엔진룸과 차실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어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고, 엔진룸으로부터 차실로의 방수, 방진 및 방음을 도모하고 있다.
본원의 출원인은, 단지 그로밋을 일측으로부터 관통 구멍 내로 압입하는 것만으로 그로밋의 외주에 마련된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둘레 에지와 결합하고 있는 소위 원모션 그로밋(one-motion grommet)을 제공하고 있다.
원모션 그로밋은 JP 2002-171644 A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00)을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하기 위한 힘을 줄이기 위하여, 그로밋(100)의 확대 직경 통형부(101)의 외주면에 돌출부(102)를 마련하여, 확대 직경 통형부와 관통 구멍(Hp) 둘레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102)는 관통 구멍(Hp)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위치(P1)에서 경사각이 변하여 돌출부의 돌출량이 감소하고, 또한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의 측벽(103a)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P2)에서 경사각이 변하여 확대 직경 통형부(101)의 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즉 도 7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된다.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를 향할수록 돌출부(102)의 돌출량을 점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JP 2002-171644 A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의 경사각을 길이방향으로 두 위치에서 변하게 하여 돌출부의 돌출량을 점진적으로 작게 하고,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의 측벽(103a)에 연속되는 돌출부의 선단이 축방향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면, 그로밋을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에 절도감(節度感)이 생기지 않고, 그로밋을 강하게 압입하는 마지막 시기를 인지할 수 없으며, 삽입감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그로밋(100)에 마지막 압입력을 가할 때에, 그로밋(100)의 중심축선이 관통 구멍(Hp)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그로밋(100)을 곧바르게 관통 구멍(Hp) 내로 주의 깊게 압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마지막 압입력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절도감이 생기지 않으면, 그로밋(100)은 경사진 상태로 관통 구멍(Hp) 내로 압입되기 쉬워진다. 그로밋(100)이 관통 구멍(Hp) 내로 경사지게 삽입되면, 확대 직경 통형부(101)의 일측이 과도하게 압박되고,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의 측벽(103a)에 도달하는 얇은 확대 직경 통형부(101)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변형되며,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변형되는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의 측벽(103a)은 역방향으로 외측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측벽(103a)이 차체 패널(P)과 간섭하여, 그로밋(100)이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돌출부(102)의 선단측의 수평부는, 수평부를 누르는 관통 구멍의 내주면으로 인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수평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지기 쉬워지며, 관통 구멍(Hp)의 내주면이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03) 내로 빠져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그로밋이 관통 구멍(Hp)에 설치되는 시기를 알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삽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에 절도감이 생길 수 있고, 마지막 압입 동작 시에 그로밋의 축방향을 관통 구멍의 축방향과 일치시켜 강한 삽입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삽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로밋의 삽입 자세를 곧은 방향(straight direction)으로 수정할 수 있는 원모션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은 소직경 통형부와 이 소직경 통형부에 연속되는 확대 직경 통형부를 구비한다. 양 통형부는 이들 통형부를 통하여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와이어 하네스에 부착된다. 상기 소직경 통형부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가 마련된다. 상기 환형 오목부는 상기 차체 패널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두 통형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의 측벽까지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할 때에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과 처음으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P1)와, 상기 접촉 위치(P1)를 지난 굴곡 위치(P2)와, 상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측의 선단 위치(P3)와, 상기 연결부에서의 기단 위치(P4)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기단 위치(P4)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P1)를 통하여 상기 굴곡 위치(P2)까지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와, 상기 굴곡 위치(P2)로부터 상기 선단 위치(P3)까지 연장되고 역경사 방향으로 경사지는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에 있어서, 그로밋의 각 돌출부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과 각 돌출부 사이의 접촉 위치(P1)를 넘어서 마지막 압입력을 필요로 하는 위치에, 경사 방향을 역으로 함으로써 산 형상을 갖는 굴곡 위치(P2)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이 각 돌출부의 굴곡 위치(P2)와 접촉하면, 그로밋은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에 의해 걸린다. 굴곡 위치(P2)가 내주면을 지나가면, 절도감이 생긴다. 절도감이 생기면, 작업자는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한번에 강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양호한 삽입감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때에, 작업자는 그로밋의 축선이 관통 구멍의 축선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또한 그로밋이 관통 구멍 내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로밋은 종래의 그로밋과 마찬가지로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로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로밋의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이 관통 구멍 내로 경사지게 삽입되면 돌출부의 일부만이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그 결과, 작업자는 그로밋이 관통 구멍 내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로밋의 삽입 방향을 곧은 자세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굴곡 위치(P2)에서 절도감이 생기면, 작업자는 그로밋이 곧은 자세로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는, 확대 직경 통형부의 대직경 단부측의 수직벽과 이 수직벽에 대향하는 소직경 단부측의 경사벽을 갖는 측벽; 수직벽과 경사벽 사이에 있는 바닥벽을 구비한다. 그로밋은 소직경 통형부측의 측벽의 경사벽을 내측으로 변형시키면서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양 통형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의 경사벽의 돌출 선단까지 방사상 배치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통형부를 보강할 수 있고, 그 통형부와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삽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곡 위치(P2)는, 상기 접촉 위치(P1)로부터 상기 굴곡 위치(P2)까지의 거리(L1)가 상기 굴곡 위치(P2)로부터 상기 선단 위치(P3)까지의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굴곡 위치(P2)는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P1)와, 관통 구멍의 둘레 에지가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에 끼워지는 선단 위치(P3) 사이의 거리의 절반의 위치에 배치된다. 굴곡 위치(P2)에 의해 절도감이 생기므로, 삽입력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곡 위치(P2)에서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와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100도 내지 120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각도가 100도 미만이면,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이 굴곡 위치(P2)를 가압할 때, 굴곡 위치(P2)와 선단 위치(P3) 사이의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가 축방향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내측으로 휘어지기 쉬워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각도가 120도를 넘으면, 굴곡 위치(P2)와 선단 위치(P3) 사이의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가 외측으로 휘어지기 쉬워진다. 상기 각도는 100도 내지 110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가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굴곡 위치(P2)의 직전의 위치에서 가압되면,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는 외측으로 휘어져, 절도감이 확실하게 발생한다. 한편,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가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굴곡 위치(P2)에서 가압되면, 상기 굴곡 위치(P2)와 상기 선단 위치(P3) 사이의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는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중심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굴곡 위치(P2)에서의 꼭지각은 성형 가능한 범위에서 최소 반경(radius)으로 형성되므로, 꼭지를 가능한 한 날카롭게 에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은 굴곡 위치(P2)를 에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굴곡 위치(P2)에 의해 쉽게 걸려, 작업자에게 특유의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다.
각 돌출부의 외면은 둘레 방향으로 양단 에지에 테이퍼가 마련될 수도 있다. 각 돌출부에는, 돌출부가 관통 구멍에 삽입될 때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양 측면의 기부에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의 각 삼각형 오목부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 홈을 형성하여,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에 삽입할 때에 상기 삼각형 오목부가 내측으로 쉽게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에 있어서는,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는 접촉 저항을 줄여 삽입력을 줄이고 얇은 확대 직경 통형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각 돌출부는, 작업자가 그로밋을 한번에 관통 구멍 내로 압입할 수 있는 위치에서 경사 방향을 역으로 되게 하는 산형 굴곡 위치(P2)를 갖는다. 그 결과, 그로밋은 돌출부가 굴곡 위치(P2)를 통과할 때 관통 구멍과 간섭하게 되어, 절도감이 생기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그로밋은 절도감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절도감이 생기는 위치에서 작업자가 그로밋을 한번에 관통 구멍 내로 압입할 수 있고, 그로밋을 양호한 절도감으로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그로밋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돌출부의 각도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그로밋을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7은 종래 기술의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그로밋 11 : 제1 소직경 통형부
13 : 확대 직경 통형부 13a : 외주면
14 :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 14c : 경사벽
20 : 돌출부
20A :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 20B :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
21 : 오목부 30 : 차체 패널
P2 : 굴곡 위치 Hp : 관통 구멍
Hb : 버링(burring)
이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로밋(10)은 고무로 일체로 제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0)은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Hp)에 삽입되는 전방측의 제1 소직경 통형부(11)와, 전방측과 반대측인 후방측의 제2 소직경 통형부(12)와, 제1 및 제2 소직경 통형부(11, 12) 사이에 있는 확대 직경 통형부(13)를 구비한다.
확대 직경 통형부(13)는 직경이 제1 소직경 통형부(11)의 중간부로부터 바닥측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확대 직경 통형부(13)는 대경 단부측에서 큰 두께를 갖고, 그 외주면에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는 대직경측의 선단을 향하여 돌출하는 수직벽(14a)과 홈 바닥면(14b)을 사이에 두고 수직벽(14a)에 대향하는 경사벽(14c)을 구비한다. 경사벽(14c)은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홈 바닥면(14b)에는 립(lip; 14h)이 마련되어 있다.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고 제1 소직경 통형부(11)와 확대 직경 통형부(13)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의 경사벽(14c)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20)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20)는 확대 직경 통형부(13)로부터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하는 두꺼운 리브 구조(rib-like configuration)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8개의 돌출부(20)가 소직경 단부 위치(P4)로부터 대직경 단부 위치(P3)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일한 폭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13a)으로부터 돌출하는 각 돌출부(20)의 높이(H)는 굴곡 위치(P2)에서 변경된다.
굴곡 위치(P2)는, 각 돌출부(20)가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Hp)과 처음으로 접촉하는 위치(P1)와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의 경사벽(14c)의 선단 위치(P3)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처음에 접촉하는 위치(P1)와 굴곡 위치(P2) 사이의 거리(L1)는 굴곡 위치(P2)와 경사벽의 선단 위치(P3)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 돌출부(20)는 소직경측의 기단 위치(P4)로부터 처음에 접촉하는 위치(P1)를 통하여 굴곡 위치(P2)까지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13a)에 평행한 동일 경사각을 갖고, 동일한 돌출 높이(H; 본 실시예에서는 3 mm)를 갖는다.
기단 위치(P4)로부터 굴곡 위치(P2)까지 연장되는 돌출부(20)는 그로밋(10)의 중심축선(S)에 대하여 기단 위치(P4)로부터 확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기단 위치(P4)로부터 굴곡 위치(P2)까지의 부분은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를 나타낸다.
굴곡 위치(P2)로부터 선단 위치(P3)까지의 경사 방향은 굴곡 위치(P2)에서 역으로 된다. 선단 위치(P3)는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의 경사벽(14c)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20)의 경사각이 굴곡 위치(P2)에서 역으로 되기 때문에, 굴곡 위치(P2)로부터 선단 위치(P3)까지의 부분은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를 나타낸다. 돌출부(20)의 경사각은 굴곡 위치(P2)에서 역으로 되기 때문에, 굴곡 위치(P2)는 소위 산형 부분의 정점(頂点)으로 된다.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의 돌출 높이(H)는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돌출 높이(H)는 선단 위치(P3)에서 제로가 되고, 인접한 돌출부(20)들 사이의 오목부(21)와 동일한 높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와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 사이의 굴곡 위치(P2)에서의 각도(θ1)는 100도 내지 120도로 설정된다(본 실시예에서는 105도).
중심축선(S)에 대한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의 경사각(θ2)은 115도로 설정되는 반면, 중심축선(S)에 대한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의 경사각(θ3)은 8도로 설정된다.
즉,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는 그로밋(10)의 중심축선(S)에 대하여 3도 내지 5도의 범위로 경사져 있다. 이 각도는 중심축선(S)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다.
또한, 굴곡 위치(P2)에서의 꼭지각은 에지 형상의 성형 가능한 최소 반경으로 형성되어, 굴곡 위치(P2)에서의 절도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각 돌출부(20)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13a)으로부터 돌출하고, 돌출부(20)의 외면(20a; 도 1 참조)은 평탄하다. 돌출부(20)는 폭방향으로 양측 에지의 각각에 경사부(20s)가 마련되어 있고, 폭방향으로 양 측면의 선단의 각각에, 즉 외주면(13a)을 따른 위치에 그로밋 축방향의 홈(20m)이 마련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각 돌출부(20)의 폭(W; 도 1 참조)은 그로밋(10)의 축방향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돌출부(20)는 소직경측의 단부 위치(P4)로부터 대직경측의 선단 위치(P3)까지 연장된다. 소직경측의 단부 위치(P4)에 있어서의 돌출부(20)의 인접 단부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선단 위치(P3)의 돌출부(20)의 인접 단부는 방사상으로 넓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삼각형 오목부(21)는 소직경측으로부터 대직경측으로 넓어지면서 연장된다.
각 삼각형 오목부(21)는 홈(20m)에 연속하는 홈(21a)을 구비하고, 돌출부(20)의 양측의 기부를 따라 연장된다. 삼각형 오목부(21)의 양 홈(21a) 사이에 홈(21b)이 마련되어, 삼각형 오목부(21)가 쉽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소직경 통형부(11)의 전단부에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1a)와, 돌출부(11a)의 외주면으로부터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지지벽(11b)이 마련되어 있다.
확대 직경 통형부(13)는 대직경측의 선단에 얇은 단부벽(25)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소직경 통형부(12)는 단부벽(25)의 중심부로부터 돌출한다.
그로밋(10)은, 2개의 케이블이 통과하여 옵션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케이블 삽입 통형부(26)를 구비한다. 각각의 케이블 삽입 통형부(26)에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의 오목부(21)에서 개방되는 개구(26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삽입 통형부(26)는 확대 직경 통형부(13)를 통과하고 단부벽(25)으로부터 돌출한다. 케이블 삽입 통형부(26)의 선단에는 케이블이 결합될 때에 잘려져 나가도록 되어 있는 폐쇄부(26c)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이제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그로밋(10)을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Hp)에 삽입하는 공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차체 패널(30)은 차체를 엔진룸의 외측(Y)과 차실(車室)의 내측(Z)으로 구획하는 대시 패널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부착된 그로밋(10)을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Hp)에 삽입하여 제1 소직경 통형부(11)를 외측(Y)으로부터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한다. 관통 구멍(Hp)의 둘레에는 외측(Y)을 향하여 돌출하는 버링(Hb; burring)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에, 그로밋(10)이 경사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돌출부(20)의 일부가 관통 구멍(Hp) 둘레의 버링(Hb)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접촉 저항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그로밋(10)의 삽입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얇은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외주면에 많은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20)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로밋(10)을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하면, 버링(Hb)의 내주면에 압박되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부분이 버링(Hb)을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확대 직경 통형부(13)가 관통 구멍(Hp)을 통과하고, 관통 구멍(Hp)의 내경과 동일한 치수의 접촉 위치(P1)가 버링(Hb)에 도달하면, 돌출부(20)의 외면(20a)과 관통 구멍(Hp) 둘레의 버링(Hb)의 내주면 사이의 가압 접촉으로 인하여 삽입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로밋(10)이 접촉 위치(P1)를 지나서 관통 구멍(Hp) 내로 더욱 삽입되면, 삽입 저항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굴곡 위치(P2)가 관통 구멍(Hp) 둘레의 버링(Hb)의 내주면을 통과하기 직전에, 그로밋(10)은 도 6b에 도시된 상태로 있다. 즉, 버링(Hb)의 내주면에 의해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가 내측으로 휘어지면, 굴곡 위치(P2)를 통하여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20A)에 연결되는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가 외측으로 휘어진다. 굴곡 위치(P2)의 꼭지가 에지 형상과 유사하게 최소의 반경을 갖기 때문에, 그로밋(10)은 굴곡 위치(P2)의 직전에 버링(Hb)에 의해 걸려, 절도감이 확실하게 생긴다.
절도감이 생기면, 작업자는 그로밋을 한번에 눌러서, 굴곡 위치(P2)를 누르면서 그로밋(10)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한다. 그 후, 위쪽으로 휘어진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는 그로밋(10)의 중심축선(S)에 평행하게 도 6c의 실질적인 수평 위치로 변경된다. 즉,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의 높이가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14)의 경사벽(14c)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그로밋(10)을 관통 구멍(Hp) 내로 곧바로 삽입할 수 있다.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의 두께가 그 선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오목부(21)의 직경이 원만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그로밋(10)을 작은 압입력으로 관통 구멍(Hp)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개의 돌출부(20)의 외면은 관통 구멍(Hp) 둘레의 버링(Hb)의 내주면에 의해 압박되고, 경사벽(14c)의 돌출 단부는 확대 직경 통형부(13)의 직경을 감소시키면서 버링(Hb)의 내주면을 통과한다. 경사벽(14c)이 관통 구멍(Hp)을 통과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직경 통형부(13) 및 그로밋(10)의 돌출부(2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관통 구멍(Hp) 둘레의 버링(Hb)은 경사벽(14c)과 수직벽(14a) 사이의 홈 바닥면(14b)으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경사벽(14c)과 수직벽(14a)의 대향면은 차체 패널(30)과 홈 바닥면(14b)의 립(14h)을 압박하고, 그로밋(10)은 차체 패널(30)의 관통 구멍(Hp)과 결합하고 그 관통 구멍 내에 밀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10)은 굴곡 위치(P2)에서 경사 방향이 변경되는 돌출부(20)를 구비하기 때문에, 굴곡 위치(P2)에서 절도감이 확실하게 생기고, 작업자는 절도감이 생길 때에 그로밋(10)을 한번에 관통 구멍(Hp) 내로 강하게 압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는 경사벽(14c)의 돌출 단부 근처에서 그로밋(10)의 중심축선(S)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20B)는 경사벽(14c)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경사벽(14c)이 관통 구멍(Hp)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확대 직경 통형부(13)와 돌출부는 경사벽(14c)의 돌출 단부 근처에서 관통 구멍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관통 구멍(Hp)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의 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고, 각 돌출부의 두께에 따라 4개 내지 10개일 수도 있다. 옵션 부품을 위한 케이블 통과 통형부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의 관통 구멍과 확대 직경 통형부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그로밋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소직경 통형부와 이 소직경 통형부에 연속되는 확대 직경 통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 통형부 및 확대 직경 통형부는 모두 이들에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에 결합되고, 상기 소직경 통형부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환형 오목부는 상기 차체 패널과 결합되게 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으로서,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두 통형부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의 측벽까지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그로밋을 상기 관통 구멍 내로 삽입할 때에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과 처음으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P1)와, 상기 접촉 위치(P1)를 지난 굴곡 위치(P2)와, 상기 차체 결합 환형 오목부측의 선단 위치(P3)와, 상기 연결부의 기단 위치(P4)를 갖고,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기단 위치(P4)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P1)를 통하여 상기 굴곡 위치(P2)까지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와, 상기 굴곡 위치(P2)로부터 상기 선단 위치(P3)까지 연장되고 반대 경사 방향으로 경사지는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를 갖는 것인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위치(P2)는, 상기 접촉 위치(P1)로부터 상기 굴곡 위치(P2)까지의 거리(L1)가 상기 굴곡 위치(P2)로부터 상기 선단 위치(P3)까지의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위치(P2)에서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와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100도 내지 120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인 그로밋.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상기 굴곡 위치(P2)에서의 꼭지각은 성형 가능한 범위에서 최소 반경(radius)으로 형성되는 것인 그로밋.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가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굴곡 위치(P2)의 직전의 위치에서 가압되면,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는 외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직경 확대 방향 경사부가 상기 관통 구멍 둘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굴곡 위치(P2)에서 가압되면, 상기 굴곡 위치(P2)로부터 상기 선단 위치(P3)까지의 상기 직경 축소 방향 경사부는 상기 확대 직경 통형부의 중심 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그로밋.
KR1020107017071A 2008-02-01 2008-02-01 그로밋 KR101175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1640 WO2009096036A1 (ja) 2008-02-01 2008-02-01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56A true KR20100095656A (ko) 2010-08-31
KR101175467B1 KR101175467B1 (ko) 2012-08-20

Family

ID=4091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071A KR101175467B1 (ko) 2008-02-01 2008-02-01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87188B2 (ko)
EP (1) EP2248703B1 (ko)
JP (1) JP5018895B2 (ko)
KR (1) KR101175467B1 (ko)
CN (1) CN101932477B (ko)
AU (1) AU2008349287B2 (ko)
WO (1) WO2009096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7256B2 (ja) 2010-02-15 2014-01-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5891961B2 (ja) 2012-06-11 2016-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BR102013000076A2 (pt) * 2013-01-02 2014-08-19 Bosch Do Brasil Conector para chicote elétrico de veículo automotores com terminais através de um flange
JP6135570B2 (ja) * 2014-03-20 2017-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US9592777B1 (en) 2015-11-30 2017-03-14 Fca Us Llc Positive locating grommet with NVH flap
JP6621438B2 (ja) * 2017-04-25 2019-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EP3396798B1 (en) * 2017-04-25 2021-04-0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Sealing body for telecommunication cables
SE543690C2 (en) * 2019-10-18 2021-06-08 Scania Cv Ab A grommet assembly and a vehicle comprising a power train component with a grommet assembly
JP2021129478A (ja) * 2020-02-17 2021-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110258B2 (ja) * 2020-02-18 2022-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21118919A1 (de) * 2020-09-23 2022-03-24 Illinois Tool Works Inc. Tülle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549A (en) * 1993-07-01 1996-06-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JPH117855A (ja) * 1997-06-13 1999-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3520797B2 (ja) 1999-03-02 2004-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01138837A (ja) 1999-11-11 2001-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3501050B2 (ja) * 1999-11-18 2004-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および該グロメットのパネル取付方法
JP2001177955A (ja) * 1999-12-17 2001-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および該グロメットのパネル取付方法
JP2001231134A (ja) * 2000-02-16 2001-08-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3765220B2 (ja) * 2000-03-15 2006-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6495767B2 (en) * 2000-09-22 2002-12-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DE60107345T8 (de) * 2000-09-22 2005-08-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Durchgangstülle
JP4049537B2 (ja) 2000-09-22 2008-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02255343A (ja) 2001-03-05 2002-09-11 Sony Corp 段積み装置及び段ばらし装置
JP3918486B2 (ja) * 2001-09-28 2007-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6897380B2 (en) * 2002-11-29 2005-05-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for a wire harness
JP4036135B2 (ja) * 2003-04-18 2008-01-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4412148B2 (ja) * 2004-10-26 2010-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49287B2 (en) 2012-03-08
CN101932477A (zh) 2010-12-29
AU2008349287A1 (en) 2009-08-06
US8487188B2 (en) 2013-07-16
WO2009096036A1 (ja) 2009-08-06
EP2248703B1 (en) 2014-12-10
CN101932477B (zh) 2013-03-13
JP5018895B2 (ja) 2012-09-05
EP2248703A4 (en) 2012-12-26
US20110011625A1 (en) 2011-01-20
KR101175467B1 (ko) 2012-08-20
EP2248703A1 (en) 2010-11-10
JPWO2009096036A1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467B1 (ko) 그로밋
US6495767B2 (en) Grommet
US6685195B2 (en) Grommet
JP5098827B2 (ja) グロメット
JP5176698B2 (ja) グロメット
US8544147B2 (en) Grommet
JP5922527B2 (ja) グロメット
JP5098829B2 (ja) グロメット
JP5613280B2 (ja) ダストカバー
WO2012056748A1 (ja) グロメット
US10569725B2 (en) Grommet
JP5498890B2 (ja) 自動車用の閉塞栓
JP54695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5098828B2 (ja) グロメット
JP4483767B2 (ja) グロメット
JP4049537B2 (ja) グロメット
JP5130794B2 (ja) グロメット
JP5327022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6164188B2 (ja) クリップ
JP2002171647A (ja) グロメット
EP1190914B1 (en) Grommet
JP3346414B2 (ja) グロメット
JP2012010494A (ja) グロメット
JP6756532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のグロメット構造
JP5934611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