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905A - 수납고 - Google Patents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905A
KR20100091905A KR1020100011806A KR20100011806A KR20100091905A KR 20100091905 A KR20100091905 A KR 20100091905A KR 1020100011806 A KR1020100011806 A KR 1020100011806A KR 20100011806 A KR20100011806 A KR 20100011806A KR 20100091905 A KR20100091905 A KR 2010009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ail
arm
pulle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075B1 (ko
Inventor
지로 혼다
류이찌 사이또
가쯔또시 쯔찌다
가즈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2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ensuring a correct connection at the moment when the drawer is coupled to the drawer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간이한 기구로, 조작도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고, 또한 필요 충분한 높이로 피수납물을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의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134)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150)와, 적재 부재(150)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결된 아암(168)과, 아암(168)의 전방측을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200)과, 아암(168)의 깊이측에 설치된 풀리(170, 172)와, 수납고 내의 벽판(130a)에 배치되어 풀리(170, 172)를 안내하는 레일(194)을 구비하고, 레일(194)은 수납고의 깊이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부(194b)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고{CABINET}
본 발명은 서랍을 구비한 수납고이며, 특히 서랍에 수납한 피수납물을 취출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키친에는 조리 기구나 조리 재료, 식기 등을 수납해 두기 위해, 많은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장판(시스템 키친에 있어서는, 워크 톱)의 하부에는 서랍이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최근에는 키친의 사용 형태의 연구가 진행되어, 서랍 등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어느 정도 상정하여, 서랍의 크기나 구획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와 같은 예로서, 풍로를 갖는 풍로 캐비닛에는 냄비 등을 넣는 큰 서랍이나 도어를 설치하거나, 조리 공간을 갖는 베이스 캐비닛에는 식기나 조리 기구를 넣는 얕은 서랍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천장판 하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므로, 필연적으로 서랍 등은 낮은 위치로 된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고 앉음으로써 피수납물을 출입하게 된다. 이는, 장시간 키친에서 서서 일을 하는 경우나, 고령에 의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등, 사용자에 따라서는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낮은 위치의 서랍에 대해, 피수납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검토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에는 서랍의 승강 기구를 구비한 캐비닛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서랍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만 승강시킴으로써, 인출과 캐비닛 본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7-215678호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서랍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확실히 피수납물을 취출하기 쉬워진다고 생각되지만, 서랍의 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서랍은 목제나 금속제의 전방판이나, 저판, 측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무것도 수용되어 있지 않아도 상당한 중량을 갖고 있다. 하물며, 서랍 내에 다양한 피수납물을 수납하면, 이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노력은, 일일이 구부리는 것보다도 막대한 것으로 되어 버릴지도 모른다. 여기서, 에어 실린더나 전동 모터 등에 의해 들어올리는 힘을 보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기구가 복잡해져, 키친의 생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거나, 기구가 수용 공간을 압박하여 본말이 전도될 우려가 있다.
한편, 서랍에 수납된 피수납물 중, 조리 작업 중에 빈번히 사용하는 것은 한정되는 것이다. 즉, 반드시 서랍 전체를 높은 위치로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캐비닛과의 충돌을 우려하여, 서랍을 완전히 인출한 후가 아니면 상승시킬 수 없다. 그러면, 키친에서 작업하고 있는 사용자는 한발 물러나 서랍을 많이 인출해야만 해, 거듭되면 번거롭게 느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인출하는 조작과 상승시키는 조작이 별도의 액션으로 되어 있으면, 필연적으로 수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액션이 필요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그 조작 자체가 번거로워져, 일부러 만든 기능이 이용되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이한 기구로, 조작도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고, 또한 필요한 피수납물을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의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적재 부재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결된 아암과, 아암의 전방측을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과, 아암의 깊이측에 설치된 풀리와, 수납고 내의 벽판에 배치되어 풀리를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레일은 수납고의 깊이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레일과 풀리와 스프링을 사용한 간이한 기구로, 서랍의 내부에 배치된 적재 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고, 적재 부재에 수납한 피수납물을 상승시켜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때, 서랍을 출입하는 조작에 수반하여 적재 부재가 승강하므로, 조작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다. 또한, 피수납물을 구부리지 않고 취출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랍은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적재 부재는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가 교환 가능해지므로, 형상이나 용적, 설치하는 개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적재 부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도 용이해진다.
아암에는 복수의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풀리는 아암이 대략 수평의 자세로 되도록, 레일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아암은 자세를 유지한 채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재 부재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풀리는 레일의 상측 또한 깊이측 근처에 배치된 상부 풀리와, 레일의 하측 또한 전방측 근처에 배치된 하부 풀리로 이루어지고, 아암의 전방측이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아암이 대략 수평의 자세로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풀리를 배치한 것에 의해, 2개의 풀리를 동시에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풀리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아암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풀리에서는 아암 전방측이 상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략 수평의 자세로 상사점으로 되지만, 아암 전방측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스프링에 의해 지지 부재를 상방으로 압박하여 자세를 규정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강성감 및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스프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서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서 상정되는 피수납물의 중량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레일의 경사부보다 전방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를 안내하는 전방측 수평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서랍을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적재 부재의 중량을 전방측 수평부가 지지하게 되어, 서랍이 복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의 경사부보다 깊이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를 안내하는 깊이측 수평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서랍을 완전히 수용시키기 전에 적재 부재는 하사점에 도달하고, 적재 부재에 적재한 피수납물이 서랍 상의 캐비닛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기구로, 조작도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고, 또한 필요한 피수납물을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베이스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적재 부재와 지지 부재를 서랍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적재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미끄럼 이동 부재와 기둥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미끄럼 이동 부재와 기둥 부재를 조합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아암, 풀리 및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서랍을 인출할 때의 적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서랍을 인출할 때의 적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밖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예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키친(100)은 1매의 천장판(110)(워크 톱)의 하부에 복수의 수납고(캐비닛)를 구비한, 소위 시스템 키친이다. 천장판(110)은 합성 수지(인공 대리석)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져, 키친(100)의 전체의 상면을 덮고 있다.
천장판(110)에는 세트로 설치된 풍로(112), 조리 공간(114), 천장판(110)에 일체 형성된 싱크(116)가 설치된다. 싱크(116)와 풍로(112)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 공간(114)은 평탄한 테이블면으로, 주로 조리를 행하는 데 이용된다.
천장판(110)의 하부에는 풍로(112)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풍로 캐비닛(120)과, 조리 공간(114)에 대응한 베이스 캐비닛(130)과, 싱크(116)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 캐비닛(140) 등의 각 수납고로 구성된다. 각 수납고는 수납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수납고 내의 빈 공간에는 풍로(112)로의 배선이나, 싱크(116) 및 수전으로의 급배수관 등도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장판(110)의 하부에서는 천장판(110) 상의 싱크(116)나 풍로(112) 등의 각 구성에 대응한 수납고가 그 높이 및 깊이를 동등하게 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고는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로 캐비닛(120)은 상부에 풍로(112)의 그릴(112a) 및 조작 패널(112b)을 구비하고, 그 옆에는 조미료 등의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작은 서랍인 스파이스 박스(122)가 배치되어 있다. 풍로 캐비닛(120)의 중앙부, 즉 그릴(112a)의 하부에는 폭이 넓은 큰 서랍(124)이 배치되어, 냄비나 볼 등의 비교적 큰 조리 기구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풍로 캐비닛(120)의 하부의 바닥 근방에는 서랍식의 발 밑 수납고(126)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캐비닛(130)에는 복수의 비교적 작은 서랍(132, 134) 및 발 밑 수납고(136)가 비치되어 있다. 싱크 캐비닛(140)에는 발 밑 수납고(146)로부터 천장판(110)에 이르는 높은 전방판을 구비한 서랍(144)이 비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수납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풍로 캐비닛(120), 베이스 캐비닛(130), 싱크 캐비닛(140) 중, 베이스 캐비닛(1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베이스 캐비닛(13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적재 부재(150)와 지지 부재(160)를 서랍(134)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닛(130)에는 상단의 서랍(132), 중간단의 서랍(134), 하단의 발 밑 수납고(13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중간단의 서랍(134)에는 그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150)를 더 배치하고 있다. 적재 부재(150)는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 기구는 지지 부재(160)와 레일(194)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160)는 미끄럼 이동 부재(164)와, 빔(162a, 162b)과, 미끄럼 이동 부재(164)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결된 아암(168)과, 아암(168)의 깊이측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170, 172)를 갖고 있다. 한편, 레일(194)은 베이스 캐비닛(130) 내의 벽판(130a)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60)의 각 요소 및 레일(194)은 서랍(134)의 좌우 방향에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빔(162a, 162b)을 제외하고 좌우 양측에 각각 2개(경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랍(132, 134, 136) 그 자체를 출입하기 위한 레일 기구는 일반적인 것이라도 좋으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는 적재 부재(15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적재 부재(150)는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소위 포켓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재 부재(150)의 상부 테두리의 1변에 갈고리 형상의 L자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부(152)를 지지 부재의 빔(162a)에 현수함으로써 적재 부재(150)가 지지 부재(16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150)가 교환 가능해지므로, 형상이나 용적, 설치하는 개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적재 부재(150)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도 용이해진다.
미끄럼 이동 부재(164)는 서랍(134)의 양측에 배치되어, 이들을 2개의 빔(162a, 162b)으로 접속함으로써, 적재 부재(150)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의 빔(162b)은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적재 부재(150)의 후방면을 지지하여,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 부재(164)는 서랍(132)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부재(16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60) 전체 및 적재 부재(150)가, 기둥 부재(16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기둥 부재(166)는 서랍(134)의 전방판(134a)의 후방면에 고정 설치된다.
도 5는 미끄럼 이동 부재(164)와 기둥 부재(166)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미끄럼 이동 부재(164)와 기둥 부재(166)를 조합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부재(164)는 기둥 부재(166)의 오목부(166a)와 끼워 맞추어지는 볼록부(164a), 기둥 부재(166)의 상하 레일(166b)을 삽입 관통하는 상하 홈(164b)을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164a)는 내부가 공동이며, 스프링(200)을 수용한다. 볼록부(164a)의 하방에는 스프링(200)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결합부(164c)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홈(164b)은 단면이 T자 형상의 홈이며, 탈락하지 않고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부재(164)는 빔(162a, 162b)을 접속하는 빔 접속부(165a, 165b)를 갖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부재(166)는 미끄럼 이동 부재(164)의 볼록부(164a)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는 오목부(166a), 미끄럼 이동 부재(164)를 상하로 안내하는 상하 레일(166b)을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164a)와 오목부(166a)는 상하 레일(166b)과 상하 홈(164b)과 마찬가지로, 조합된 채로 미끄럼 이동 부재(164)가 기둥 부재(16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166a)의 상방에는 스프링(20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결합부(166c)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00)은 상단부를 기둥 부재(166)의 스프링 결합부(166c)에 접속하고, 하단부를 미끄럼 이동 부재(164)의 스프링 결합부(164c)에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프링(200)은 인장 스프링이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부재(164)는 기둥 부재(166)에 대해 상방으로 압박된다. 스프링(200)은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200)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서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서 상정되는 피수납물의 중량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측에 대해 2개의 스프링(200)을 장착 가능하다.
또한, 기둥 부재(166)에는 서랍(134)의 전방판(134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66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둥 부재(166)에 미끄럼 이동 부재(164) 및 스프링(200)을 조립한 후, 기둥 부재(166)를 전방판(134a)에 고정한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서랍(134)에 대해 기둥 부재(166)를 통해 미끄럼 이동 부재(164)가 상방으로 압박되어, 결과적으로 적재 부재(150)는 항상 상승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 7은 아암(168), 풀리 및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68)은 미끄럼 이동 부재(164)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암(168)은 수지부(168a)와 금속부(168b)로 이루어지고, 수지부(168a)의 깊이측 선단에 하부 풀리(172)와 금속부(168b)를 고정하고 있다. 금속부(168b)의 깊이측 선단은 상방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어, 상부 풀리(170)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지부(168a)와 금속부(168b)를 일체의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레일(194)은 베이스 캐비닛(130) 내의 벽판(130a)에 배치되어 있고, 풀리(170, 172)를 안내한다. 레일(194)은 그 중앙부에 전방측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부(194b)를 갖고 있다. 경사부(194b)보다 전방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170, 172)를 안내하는 전방측 수평부(194c)를 갖고 있다. 경사부(194b)보다 깊이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를 안내하는 깊이측 수평부(194a)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깊이측 수평부(194a), 경사부(194b), 전방측 수평부(194c)는 대략 직선이고, 그 교점(굴곡점)은 R이 부여되어 있다. R의 곡률 반경은 풀리(170, 172)의 반경보다도 큰(구부러짐이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또한 경사부(194b)를, S자를 그리는 것처럼 매끄러운 곡선으로 하거나, 깊이측 수평부(194a)나 전방측 수평부(194c)도 경사, 굴곡 내지는 만곡시키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풀리(170, 172)는 아암(168)이 대략 수평의 자세로 되도록 레일(194)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 풀리(170)는 레일의 상측 또한 깊이측 근처에 배치되고, 하부 풀리(172)는 레일(194)의 하측 또한 전방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풀리(170)와 하부 풀리(172)의 수평 방향의 간격(D1)은, 레일(194)의 경사부의 수평 방향의 폭(W1)과 대략 동등하다. 또한, 상부 풀리(170)와 하부 풀리(172)의 높이 방향의 간격(D2)은 레일(194)의 깊이측 수평부(194a) 또는 전방측 수평부(194c)의 높이 방향의 폭(W2)과 대략 동등하다.
이와 같이 풀리(170, 172)와 레일(194)의 배치와 형상을 구성한 것에 의해, 2개의 풀리를 동시에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168)의 수평을 유지한 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풀리(170, 172)와 아암(168)의 조합에 의해, 아암(168)의 전방측이 상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략 수평의 자세로 상사점(가동 범위의 상단부)으로 되지만, 아암(168)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다[단, 미끄럼 이동 부재(164)와 기둥 부재(166)의 상하 미끄럼 이동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스프링(200)에 의해 지지 부재(160)를 상방으로 압박하여 자세를 규정함으로써, 지지 부재(160)의 덜걱거림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강성감 및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암(168)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풀리(170, 172)의 수평 방향의 간격(D1)을 넓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따라서 레일(194)의 경사부(194b)의 수평 방향의 폭(W1)도 넓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2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94b)는 안을 제거한 평행 레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194)의 중량 및 재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 이동 부재(164), 적재 부재(150) 및 이것에 수납된 피수납물의 중량은 스프링(200)과, 풀리(170, 172) 및 레일(194)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의 양쪽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을 담당하는 것은 풀리(170, 172)와 레일(194)이며, 스프링(200)은 항상 중량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가령 스프링(200)을 설치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아암(168) 전방측의 중량이 커져 기울기 때문에, 기둥 부재(166)와 미끄럼 이동 부재(164)의 미끄럼 이동 마찰이 높아져, 원활한 승강 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스프링(200)은 확실한 동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고, 서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서 상정되는 피수납물의 중량에 따라서 스프링(200)의 개수나 강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베이스 캐비닛(130)에 있어서, 서랍(134)을 출입한 경우의 적재 부재(1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서랍을 인출할 때의 적재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프링(200)은 대부분 외관으로부터 관찰할 수 없지만,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프링(2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는 서랍(134)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풀리(170, 172)는 레일(194)의 깊이측 수평부(194a)에 있다. 이때 스프링(200)에 의해 지지 부재(160)[미끄럼 이동 부재(164) 등]는 상방향으로 압박되어 있지만, 하부 풀리(172)가 레일(194)의 깊이측 수평부(194a)의 하측에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 적재 부재(150)는 가장 하강한 상태에 있다.
도 8의 (b)는 서랍(134)이 조금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풀리(170)가 레일(194)의 깊이측 수평부(194a)와 경사부(194b)의 교점인 상승 기점에 있고, 하부 풀리(172)도 깊이측 수평부(194a)와 경사부의 교점인 하측 코너부에 있다. 이에 의해, 서랍(134)을 더 인출함으로써, 지지 부재(160)는 상승을 개시한다.
도 9의 (a)는 서랍(134)을 더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풀리(170) 및 하부 풀리(172)는 경사부(194b)에 있으므로, 서랍(134)을 인출하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168)이 상승하고, 지지 부재(160) 및 적재 부재(150)도 상승한다. 즉, 서랍(134)을 인출하는 힘이, 적재 부재(15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또한, 스프링(200)이 지지 부재(160)를 끌어올리는 힘은 풀리(170, 172)가 경사부(194b)에 있는 동안은 상향의 분력과 서랍을 밀어내는 방향의 분력으로 나뉜다. 따라서, 서랍을 인출하는 힘을 보조하게 되어,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의 (b)는 서랍(134)을 대략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풀리(170, 172)는 레일(194)의 전방측 수평부(194c)에 있다. 이에 의해, 서랍(134)을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적재 부재(150)의 중량을 전방측 수평부(194c)가 지지하게 되어, 서랍(134)이 복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기둥 부재(166)에 대한 미끄럼 이동 부재(164)의 이동 한계 또는 스프링(200)의 축소 한계에 의해, 미끄럼 이동 부재(164)의 높이는 상한에 이른다. 따라서, 하부 풀리(172)는 레일(194)의 전방측 선단보다 돌출되어 버려도 지장이 없다. 또한, 전방측 수평부(194c)의 전방측 선단은 하면에 매끄러운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는 하부 풀리(172)가 레일(194)로부터 돌출된 후에 복귀될 때에, 레일(194)의 하측으로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피수납물과 적재 부재(150) 및 지지 부재의 합계 중량이 스프링(200)의 압박력을 초과해 버리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미끄럼 이동 부재(164)가 기둥 부재(166)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하하도록 안내되어 있는 것 및 상기 풀리(170)가 전방측 수평부(194c)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으로부터, 적재 부재(150)가 하강해 버리는 경우는 없다. 또한, 합계 중량보다 스프링(200)의 압박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부 풀리(170)는 전방측 수평부(194c)의 상면에 있어서, 아암(168) 후단부의 중량을 지지만 하는 것으로서 작용한다.
서랍(134)을 베이스 캐비닛(130)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역의 동작으로 된다. 서랍(134)을 인출된 상태로부터 압입하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170, 172)가 경사부(194b)에 다다르게 된다. 그러면, 풀리(170, 172)가 경사부(194b)로 안내되어 하강하므로, 아암(168)이 수평의 자세를 유지한 채 물러나게 된다. 이에 의해, 단순히 서랍(134)을 압입하는 조작에 의해, 지지 부재(160), 나아가서는 적재 부재(150)가 하강한다.
또한, 서랍(134)을 압입하여,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170, 172)가 상승 기점까지 도달하면, 이 시점에서 적재 부재(150)는 가장 하강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서랍(134)을 완전히 수용시키기 전에 적재 부재(150)는 하사점(가동 범위의 하단부)에 도달하여, 적재 부재(150)에 적재한 피수납물이 상단의 서랍(132)이나 벽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의 구성에 따르면, 레일(194)과 풀리(170, 172)와 스프링(200)을 사용한 간이한 기구로, 서랍(134)의 내부에 배치된 적재 부재(150)를 승강시킬 수 있어, 적재 부재(150)에 수납한 피수납물을 상승시켜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때, 서랍(134)을 출입하는 조작에 수반하여 적재 부재(150)가 승강하므로, 조작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다. 또한, 피수납물을 구부리지 않고 취출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캐비닛(130)의 서랍(134)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서랍(132)이나 발 밑 수납고(136)에 적재 부재(150)를 설치해도 좋고, 또 다른 수납고인 풍로 캐비닛(120)이나 싱크 캐비닛(140)의 서랍에 적재 부재(150)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양해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키친과 같이 서랍을 구비한 수납고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시스템 키친
110 : 천장판
112 : 풍로
112a : 그릴
112b : 조작 패널
114 : 조리 공간
116 : 싱크
120 : 풍로 캐비닛
122 : 스파이스 박스
124 : 서랍
126 : 발 밑 수납고
130 : 베이스 캐비닛
130a : 벽판
132, 134 : 서랍
134a : 전방판
136 : 발 밑 수납고
140 : 싱크 캐비닛
144 : 서랍
146 : 발 밑 수납고
150 : 적재 부재
152 : L자부
160 : 지지 부재
162a, 162b : 빔
164 : 미끄럼 이동 부재
164a : 볼록부
164b : 상하 홈
164c : 스프링 결합부
165a : 빔 접속부
165b : 빔 접속부
166 : 기둥 부재
166a : 오목부
166b : 상하 레일
166c : 스프링 결합부
166d : 고정부
168 : 아암
168a : 수지부
168b : 금속부
170 : 상부 풀리
172 : 하부 풀리
194 : 레일
194a : 깊이측 수평부
194b : 경사부
194c : 전방측 수평부
200 : 스프링

Claims (7)

  1.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상기 서랍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전방측을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아암의 깊이측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수납고 내의 벽판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를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수납고의 깊이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상기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는 복수의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풀리는 상기 아암이 대략 수평의 자세로 되도록,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풀리는 상기 레일의 상측 또한 깊이측 근처에 배치된 상부 풀리와, 상기 레일의 하측 또한 전방측 근처에 배치된 하부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의 전방측이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아암이 대략 수평의 자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경사부보다 전방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상기 풀리를 안내하는 전방측 수평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경사부보다 깊이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상기 풀리를 안내하는 깊이측 수평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KR1020100011806A 2009-02-10 2010-02-09 수납고 KR101699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9049 2009-02-10
JP2009029049A JP5448487B2 (ja) 2009-02-10 2009-02-10 収納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905A true KR20100091905A (ko) 2010-08-19
KR101699075B1 KR101699075B1 (ko) 2017-01-23

Family

ID=4259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806A KR101699075B1 (ko) 2009-02-10 2010-02-09 수납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48487B2 (ko)
KR (1) KR101699075B1 (ko)
CN (2) CN101797100A (ko)
TW (1) TWI484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1073B2 (ja) * 2011-01-28 2014-10-22 クリナップ株式会社 収納庫
DE102014001520B4 (de) * 2014-02-07 2019-08-08 Kesseböhmer Holding Kg Schrankauszug
DE102014001523B4 (de) * 2014-02-07 2017-05-11 Kesseböhmer Holding Kg Schrankauszug
DE102014107692A1 (de) * 2014-06-02 2015-12-03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anordnung
CN105286683A (zh) * 2015-12-08 2016-02-03 衡敦文 一种组合式厨房置物装置
CN106994047B (zh) * 2016-12-23 2019-03-05 马诗歌瑞生物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医疗盒结构
CN106994050B (zh) * 2016-12-23 2019-06-21 何淑琼 一种医疗盒装置
CN107049503B (zh) * 2016-12-23 2019-07-26 李岫琳 一种医疗盒装置
EP3388840B1 (en) * 2017-04-10 2020-02-12 Roche Diagnostics GmbH Drawer assembly for a laboratory instrument
CN110236432B (zh) * 2019-07-29 2020-11-24 阳江市阳东区广大五金塑料制品有限公司 移动式餐具系统
CN110584348A (zh) * 2019-09-27 2019-12-20 华帝股份有限公司 碗篮组件、消毒柜和橱柜
CN111214028A (zh) * 2020-03-02 2020-06-02 广东皮阿诺科学艺术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抽屉柜
TWI764857B (zh) * 2022-01-03 2022-05-11 明志科技大學 收納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340U (ko) * 1988-12-22 1990-07-09
JPH03113738U (ko) * 1990-03-01 1991-11-21
JP2007215678A (ja) 2006-02-15 2007-08-30 Toto Ltd キャビネット、及び、キャビネット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7330564A (ja) * 2006-06-16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
JP4155143B2 (ja) * 2003-09-16 200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29A (ja) * 1993-02-23 1994-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庫の引出し昇降装置
DE19924590A1 (de) * 1999-05-28 2000-11-30 Loh Kg Hailo Werk Abfallsammler
US6349913B1 (en) * 2000-10-06 2002-02-2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KR100555826B1 (ko) * 2003-10-04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3113738U (ja) * 2004-11-24 2005-09-22 由江 坂野 下段引き出しの案内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340U (ko) * 1988-12-22 1990-07-09
JPH03113738U (ko) * 1990-03-01 1991-11-21
JP4155143B2 (ja) * 2003-09-16 200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
JP2007215678A (ja) 2006-02-15 2007-08-30 Toto Ltd キャビネット、及び、キャビネット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7330564A (ja) * 2006-06-16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075B1 (ko) 2017-01-23
JP2010183987A (ja) 2010-08-26
TW201039773A (en) 2010-11-16
TWI484932B (zh) 2015-05-21
CN201658028U (zh) 2010-12-01
JP5448487B2 (ja) 2014-03-19
CN101797100A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905A (ko) 수납고
KR101668115B1 (ko) 수납고
KR101699076B1 (ko) 수납고
KR101688229B1 (ko) 수납고
KR20100091906A (ko) 수납고
JP5448505B2 (ja) 収納庫
JP5199150B2 (ja) 収納庫
JP5448526B2 (ja) 収納庫
JP5448506B2 (ja) 収納庫
JP5448488B2 (ja) 収納庫
JP5253296B2 (ja) 収納庫
JP5199145B2 (ja) 収納庫
JP5448486B2 (ja) 収納庫
JP5448483B2 (ja) 収納庫
CN219206197U (zh) 一款可升降的书桌和层板升降设备
JP5448485B2 (ja) 収納庫
JP5448484B2 (ja) 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