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019A - 접이식 사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접이식 사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019A
KR20100089019A KR1020097018384A KR20097018384A KR20100089019A KR 20100089019 A KR20100089019 A KR 20100089019A KR 1020097018384 A KR1020097018384 A KR 1020097018384A KR 20097018384 A KR20097018384 A KR 20097018384A KR 20100089019 A KR20100089019 A KR 2010008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piece
posture
holding piece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808B1 (ko
Inventor
유타카 나가노
타이치로 사토
에이타 히라이
Original Assignee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61G7/0509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sliding or pivoting down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 부재를 지지하는 종래의 유지 기구에서는 확실한 조작이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가로대 부재(1u)와 하부 가로대 부재(1d) 사이에, 복수의 지주 부재(2)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주 부재가 기립한 사용상태와, 쓰러진 격납 상태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주 부재를 기립자세로 유지하는 제 1 유지 기구(5)를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 가로대 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유지 기구(6)를 설치하고, 이 유지 기구는, 유지 자세로부터 비유지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유지편과, 유지편을 유지 자세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와, 걸음 해제 기구로 구성한 접이식 사이드 레일을 제안한다.
Figure 112009054117584-PCT00001
상부 가로대 부재, 하부 가로대 부재, 지주 부재, 제 1 유지 기구, 제 2 유지 기구, 유지편, 스프링, 걸음 기구, 걸음 해제 기구

Description

접이식 사이드 레일{FOLDING SIDE RAIL}
본 발명은, 베드용 등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 특히, 상부 가로대 부재와 하부 가로대 부재 간에, 복수의 지주 부재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베드의 사이드 레일로서는 각종의 것이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지만, 이 중, 상부 가로대 부재와 하부 가로대 부재 간에, 복수의 지주 부재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지주 부재를 기립자세로 유지하여 사용상태로 함과 아울러, 지주 부재를 쓰러뜨려 상부 가로대 부재를 평행하게 하강하여 불사용시의 격납 상태로 하는 접이식 사이드 레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사이드 레일에서는, 베드로부터의 기상이나 시중들기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사용시의 격납 상태에서, 상부 가로대 부재의 높이가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되는 것이 요망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격납 상태에서 겹쳐지는 복수의 지주 부재 간의 간극이 없거나, 또는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하면 된다.
그렇지만, 사이드 레일을 조작하여 격납 상태로 하려고 했을 때, 조작자(사용자)나 제3자가 무의식적으로 지주 부재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있거나, 또 한번 격납 상태로 했을 때에 이불 등의 이물이 끼어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에 손가락을 넣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자(사용자)나 제3자가 상부 가로대 부재에 하중을 가하면, 지주 부재 사이에 손가락을 끼어버려 대단히 위험하다.
이러한 위험성을 없애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사이드 레일이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가 그것 이상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한 유지편을 하부 가로대 부재의 상측에 설치하고, 이 유지편은 유지 자세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으로 지주 부재가 쓰러져 오면, 스프링에 의해 유지 자세로 유지되어 있는 유지편에 맞닿아 지지되고, 이 위치에서는, 지주 부재 간에 소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지주 부재를 일단, 이 위치에 유지한 후, 유지편을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회동시켜 비유지 자세로 지지하고, 회동이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격납 상태까지 지주 부재를 쓰러뜨릴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69776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지편은, 강도상,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혼자서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지지하면서 사이드 레일을 하강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3개소 이상이면 혼자서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상부 가로대 부재와 하부 가로대 부재 사이에, 복수의 지주 부재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주 부재가 기립한 사용상태와, 쓰러진 격납 상태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주 부재를 기립자세로 유지하는 제 1 유지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 가로대 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유지 기구를 설치하고, 이 유지 기구는, 유지 자세로부터 비유지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유지편과, 유지편을 유지 자세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와, 걸음 해제 기구로 구성한 접이식 사이드 레일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에서, 유지편을 지주 부재에 인접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주 부재측과 유지편측의 각각에는, 유지편이 유지 자세일 때 걸어맞추어 비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1 걸어맞춤 돌출부와, 유지편이 비유지 자세일 때 걸어맞추어 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지주 부재측에는,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서 유지편측의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에 걸어맞추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제 3 걸어맞춤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발명의 효과)
우선 청구항 1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에서는, 격납 조작에서는, 지주 부재를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제 2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유지편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 유지편은 걸음 기구에 의해 비유지 자세로 걸 수 있으므로, 유지편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지주 부재를 격납 상태로 더욱 쓰러뜨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지편은 2개소 이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강도상의 문제를 일으키기 않고, 격납 상태로의 조작이 용이하다.
청구항 2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에서는, 지주 부재의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 있어서,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다음 격납 시에는 항상 유지편을 유지 자세로 해 둘 수 있어, 해제 망각으로 인한 문제를 생기게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를 사용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를 격납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를 격납 상태의 근방의 일시정지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다른 국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또 다른 국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또 다른 국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또 다른 국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또 다른 국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u 상부 가로대 부재
1d 하부 가로대 부재
2 지주 부재
3 부착봉체
4 베드
5 제 1 유지 기구
6 제 2 유지 기구
7 유지편
8 지지부재
9 스프링(토션 스프링)
10a, 10b 제 1 걸어맞춤부
11a, 11b 제 2 걸어맞춤부
12 제 3 걸어맞춤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의 구성 및 동작을 대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며, 또 도 5∼도 11은 주요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도 4에서, 부호 1u는 상부 가로대 부재, 1d는 하부 가로대 부재이며, 이들 상부 가로대 부재(1u)와 하부 가로대 부재(1d) 사이에, 복수의 지주 부재(2), 이 경우 12개의 지주 부재(2)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4에서, 부호 3은 하부 가로대 부재(1d)의 하방으로 돌설한 부착봉 체이며, 이 부착봉체(3)를 베드의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한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추므로써, 사이드 레일을 베드(4)의 측부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부호 5는 지주 부재(2)를 기립상태, 즉 사이드 레일의 사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 즉 상기한 제 1 유지 기구이며, 이 제 1 유지 기구(5)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기구이다.
한편, 하부 가로대 부재(1d)에는,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 상태에서 지주 부재(2)를 지지하는 기구, 즉 상기한 제 2 유지 기구(6)를 설치하고 있고, 그 상세는 이하와 같다.
부호 7은 유지편으로, 이 유지편(7)을 지주 부재(2)에 인접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기립한 유지 자세로부터 쓰러진 비유지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부호 8은 유지편(7)과 지주 부재(2)를 하부 가로대 부재(1d)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지편(7)은 스프링(9), 이 경우 토션 스프링에 의해 유지 자세 방향, 즉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 유지 자세는 유지가능한 유지측의 자세라고 하는 의미이며, 도 3, 도 4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경사져 유지하고 있는 자세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9∼도 11에서는 스프링(9)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지주 부재(2)측과 유지편(7)측의 각각에는, 유지편(7)이 유지 자세일 때 걸어맞추어 비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1 걸어맞춤 돌출부(10a, 10b)와, 유지편(7)이 비유지 자세일 때에 걸어맞추어 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 11b)를 설치함과 아울러, 지주 부 재(2)측에는,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서 유지편(7)측의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b)에 걸어맞추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 11b)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제 3 걸어맞춤 돌출부(12a)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 걸어맞춤 돌출부는 첨자 a가 지주 부재(2)측, 첨자 b가 유지편(7)측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 부재(2)가 기립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걸어맞춤 돌출부(10a, 10b)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유지편(7)은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없다.
이어서 제 1 유지 기구(5)의 유지를 해제하여 지주 부재(2)를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지주 부재(2)가 점차로 쓰러져 가, 스프링(9)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해 기립 상태로 되어 있는 유지편(7)에 맞닿는다. 유지편(7)에 맞닿는 지주 부재(2)는 도면 중 좌측의 지주 부재(2)로, 인접하는 우측의 지주 부재(2)는 아니다. 이렇게 해서 유지편(7)은 도 3, 도 4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 부재(2)의 경사각도에 따라 약간 경사져서 지주 부재(2)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인접한 지주 부재(2) 사이에 손가락이 자유롭게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는다.
이어서 접이식 사이드 레일을 완전히 격납 상태에 이르게 할 때는, 우선 상부 가로대 부재(1u)를 약간 상승시켜 유지편(7)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편(7)을 스프링(9)의 탄성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유지편(7)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편(7)측의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b)가 지주 부재(2)측의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의 끝의 단차부에 맞닿으므로, 이 시점에서 유지편(7)을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b)는 탄성 변형하여 단차부를 타고 넘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 11b)가 걸어맞춤 상태로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 11b)가 걸어맞춤 상태로 되면, 유지편(7)은 스프링(9)에 의해 가압되어 있어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고, 즉 비유지 자세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지주 부재(2)를 더 회동 하강하여 접이식 사이드 레일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한 격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격납 상태에서는, 인접한 지주 부재(2) 간의 간극을 극소로 함으로써, 상부 가로대 부재(1u)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격납 상태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을 사용상태로 할 때에, 지주 부재(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걸어맞춤 돌출부(12a)가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b)에 맞닿고, 더욱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b)가 눌려 움직여서, 단차부를 통하여 제 2 걸어맞춤 돌출부(11a)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는, 유지편(7)은 다시 시계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스프링(9)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주 부재(2)의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서, 유지편(7)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다음 격납 시에는 항상 유지편(7)을 유지 자세로 해 둘 수 있어, 해제 망각으로 인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은 이상과 같으므로,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 부재를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지편에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것들의 복수의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하기 위한 해제 조작을, 한 사람으로 용이하게,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의 해제를 지주 부재의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다음 격납시에는 항상 유지편을 유지 자세로 해 둘 수 있어, 해제 망각으로 인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이식 사이드 레일은 의료용의 베드뿐만 아니라, 가정용의 간호 베드나, 일반의 베드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 가로대 부재와 하부 가로대 부재 사이에, 복수의 지주 부재를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주 부재가 기립한 사용상태와, 쓰러진 격납 상태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주 부재를 기립자세로 유지하는 제 1 유지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하부 가로대 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격납 상태에 이르기 전의 근방에서 지주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유지 기구를 설치하고, 이 유지 기구는, 유지 자세로부터 비유지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유지편과, 유지편을 유지 자세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유지편을 비유지 자세로 거는 걸음 기구와, 걸음 해제 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사이드 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편을 지주 부재에 인접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주 부재측과 유지편측의 각각에는, 유지편이 유지 자세일 때 걸어맞추어 비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1 걸어맞춤 돌출부와, 유지편이 비유지 자세일 때 걸어맞추어 유지 자세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지주 부재측에는, 기립 방향으로의 회동에서 유지편측의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에 걸어맞추어,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제 3 걸어맞춤 돌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사이드 레일.
KR1020097018384A 2007-11-13 2008-08-26 접이식 사이드 레일 KR101475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4959A JP4994194B2 (ja) 2007-11-13 2007-11-13 折り畳み式サイドレール
JPJP-P-2007-294959 2007-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019A true KR20100089019A (ko) 2010-08-11
KR101475808B1 KR101475808B1 (ko) 2014-12-23

Family

ID=4063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384A KR101475808B1 (ko) 2007-11-13 2008-08-26 접이식 사이드 레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6130B2 (ko)
EP (1) EP2186443B1 (ko)
JP (1) JP4994194B2 (ko)
KR (1) KR101475808B1 (ko)
CN (1) CN101686762B (ko)
WO (1) WO2009063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1298A (zh) * 2010-09-15 2011-03-30 苏州星岛金属制品有限公司 移动床
US8353070B1 (en) * 2010-10-13 2013-01-15 Johnsen Cameron S Collapsible rail system
FR3011177B1 (fr) * 2013-10-01 2017-01-27 Contact Securite Brancard ou porte-brancard comprenant des accoudoirs repliables
JP6262566B2 (ja) * 2014-02-27 2018-01-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折り畳み式サイドレール
US10088098B2 (en) * 2014-05-08 2018-10-02 Dish Network L.L.C. Lattice mounting device
CN105559995B (zh) * 2016-01-12 2018-03-02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护理床活动扶手架
CN105708643A (zh) * 2016-04-14 2016-06-29 江苏永发医用设备有限公司 床用护栏和医用护理床
CN105725581A (zh) * 2016-04-14 2016-07-06 江苏永发医用设备有限公司 医护床的护栏装置
CN107836916A (zh) * 2016-09-19 2018-03-27 安庆市科兴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儿童床护栏
CN108385763A (zh) * 2018-03-06 2018-08-10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及工程机械
CN109044677A (zh) * 2018-08-29 2018-12-21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护理床床挡
JP7370736B2 (ja) * 2019-06-10 2023-10-3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サイドレール及びベッド装置
CN111631875B (zh) * 2020-05-29 2021-06-2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儿童用防坠病床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2092A (en) * 1956-05-21 1959-02-03 Sehlow Fenton Readily threaded needle
US2976548A (en) * 1957-11-25 1961-03-28 Gustave R Maertins Means for mounting a folding side guard on a bed frame
US3195153A (en) * 1962-09-20 1965-07-20 Borg Warner Bed restraining sides
US3525460A (en) * 1968-03-29 1970-08-25 Frederick G Hendy Sewing needle
US3526008A (en) * 1968-10-21 1970-09-01 Borg Warner Latch and support assembly for bed restraining sides
US3865434A (en) * 1973-07-20 1975-02-11 Everest & Jennings Rotating wheelchair arm
US3862611A (en) * 1973-12-12 1975-01-28 Maruzen Sewing Machine Sewing machine needle
US5187824A (en) * 1992-05-01 1993-02-23 Stryker Corporation Zero clearance support mechanism for hospital bed siderail, IV pole holder, and the like
JP2697765B2 (ja) * 1995-10-31 1998-01-1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挟み込み防止手段を備えた折り畳み式側柵
US5802636A (en) * 1996-11-12 1998-09-08 Hill-Rom, Inc. Integrated siderail and accessory rail for a bed
JP2998840B1 (ja) * 1998-10-22 2000-01-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におけるボード取付型全面柵
ATE343953T1 (de) * 1999-01-22 2006-11-15 Hill Rom Services Inc Umwandelbare krankentrage
JP2001000280A (ja) * 1999-06-23 2001-01-09 Jst:Kk 折り畳み式ベッド側柵
US6360385B1 (en) * 2000-06-12 2002-03-26 Stryker Corporation Support mechanism, particularly for bed side rails
USD492477S1 (en) * 2003-01-29 2004-07-06 Jenny Zaniewski Sewing needle
JP3750862B2 (ja) * 2003-08-13 2006-03-0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挟み込み防止機能を有する折畳式側柵
JP4509694B2 (ja) * 2004-08-23 2010-07-2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折畳み式サイドレール用カバー
JP2006296611A (ja) * 2005-04-19 2006-11-02 Iura Co Ltd サイドレール
AU2005203585B2 (en) * 2005-08-11 2011-10-27 Hill-Rom Pty Ltd A rail for hospital bed
JP2007229026A (ja) * 2006-02-28 2007-09-13 Manii Kk アイレス縫合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18976A (ja) 2009-06-04
US20100306918A1 (en) 2010-12-09
CN101686762B (zh) 2012-02-01
EP2186443A1 (en) 2010-05-19
JP4994194B2 (ja) 2012-08-08
EP2186443A4 (en) 2014-08-06
EP2186443B1 (en) 2015-10-07
US7926130B2 (en) 2011-04-19
CN101686762A (zh) 2010-03-31
KR101475808B1 (ko) 2014-12-23
WO2009063671A1 (ja)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9019A (ko) 접이식 사이드 레일
KR20100094338A (ko) 접이식 사이드 레일
US20060253983A1 (en) Adjustable bed for patients
JP2009118981A (ja) 折り畳み式サイドレール
JP4806753B2 (ja) 転倒防止装置、収納家具
CZ2012363A3 (cs) Postranice lůžka
KR101639489B1 (ko) 의료용 침대
KR102174838B1 (ko) 이동식 링거대
CN204659771U (zh) 折叠式台车
JP2009118977A (ja) 折り畳み式サイドレール
JP2005227633A (ja) 機器の転倒防止装置
GB2447500A (en) Hospital bed having pivoting side rail
JP2009118979A (ja) 折り畳み式サイドレール
JP2013158538A (ja) ベッド用側柵装置
JP3749931B2 (ja) 免震構造物のロック装置
JP2006174998A (ja) 手すり付きベンチ
KR20090112975A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잠금장치
JP4175907B2 (ja) ベッドの柵
JP3161887U (ja) ビニールハウス用梯子
JP5719694B2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H10196260A (ja) 建物の垂直壁用固定梯子
RU126914U1 (ru) Шарнир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для сидения и лежания
JP4987677B2 (ja) 保持金具
JP2008297778A (ja) 脚立
JP4866015B2 (ja) 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