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081A -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 - Google Patents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081A
KR20100086081A KR1020107014836A KR20107014836A KR20100086081A KR 20100086081 A KR20100086081 A KR 20100086081A KR 1020107014836 A KR1020107014836 A KR 1020107014836A KR 20107014836 A KR20107014836 A KR 20107014836A KR 20100086081 A KR20100086081 A KR 2010008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ame machine
interface unit
panel
display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955B1 (ko
Inventor
료 히네
마사까쯔 와따나베
히로시 하야사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10008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F13/06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1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using an additional display connected to the game console, e.g. on the controll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단일의 표시면(10a)을 갖는 모니터(10)와, 표시면(10a) 상에 중첩되는 입력 장치로서의 인풋 모듈(11)을 구비한 게임기(1)의 인터페이스 유닛(4)에 있어서, 표시면(10a) 상의 화상을 시인 가능한 투과성이 부여된 패널 본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누름 버튼 패널(16)이 누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면(10a)의 일부의 영역 상에 배열된 입력 표시부(4a)와, 표시면(10a) 상의 입력 표시부(4a)에 대응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설정되고, 입력 표시부(4a)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목적 표시부(4b)로 유닛(4)을 구분한다.

Description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GAME MACHINE INTERFACE UNIT AND GAME MACHINE}
본 발명은,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통합한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에 관한 것이다.
CRT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복수의 투시판을 배치하고, 각 투시판의 네 코너를 스프링으로 지지하면서, 그들 스프링으로부터 오프셋된 도전체와 전극에 의해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전환하도록 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을 투시판마다 독립하여 변화시키고, 소정의 화상 상의 투시판을 플레이어가 누름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겨루게 하는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혹은, 복수의 타격 검지 장치를 배치한 투명한 타격반의 이면에 타격해야 할 표적을 출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격반과 1:1로 대응시켜 배치한 게임기의 입력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소56-1526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4233호 공보
상술한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게임기에서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 전면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조작 타이밍을 안내하는 화상과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더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표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증가 및 그에 따른 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 부재에 대응시켜 표시되어야 할 화상과, 이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간소한 구성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인터페이스 유닛은, 단일의 표시면을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단일의 표시면 상에 중첩되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이며, 상기 표시면 상의 화상을 시인(視認) 가능한 투과성이 부여된 조작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조작 부재가 누름 조작 가능한 상태로 당해 표시면의 일부의 영역 상에 배열된 제1 표시부와, 상기 표시면 상의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유닛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단일의 표시면을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로 구분하고, 그 제1 표시부에 입력 장치의 복수의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1 표시부에는 조작 부재의 조작에 관련된 화상이 표시되는 한편, 제2 표시부에는 목적이 다른 화상이 표시되도록 표시 장치의 표시를 제어하면 되고, 조작 타이밍 등을 안내하기 위한 화상과, 이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게임기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부품 개수를 줄여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상기 표시면과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의 각각의 조작부에 대응한 제1 관통 구멍과,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평판 형상의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를 표시면에 중첩함으로써, 제1 표시부의 조작부와, 제2 표시부의 각각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그들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로 차광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에는, 불투명한 프레임 사이에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공극부를 갖는 구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외주에는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측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누름 조작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상기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구분 부재의 하면측에는, 상기 검출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기판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분 부재의 외주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구분 부재의 프레임에 의해 각 검출 수단에의 배선을 가리면서 인터페이스 유닛의 외주로부터 각 조작 부재로의 전기적 접속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 부재와 상기 표시면 사이에는 상기 입력 장치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투명한 받침판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 상기 지지 수단,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배선 기판이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유닛의 구성 부품을 받침판으로 지지하고, 조작 부재의 누름 조작시의 부하에 대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구분 부재의 상면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덮어 가리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가 설치되어도 된다. 커버로 플랜지를 덮어 가림으로써, 인터페이스 유닛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각 조작 부재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기 받침판, 상기 배선 기판, 상기 구분 부재, 상기 지지 수단, 상기 검출 수단,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커버를 조합한 어셈블리 부품으로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면 상에 중첩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입력 장치를 조립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중첩하는 것만으로 인터페이스 유닛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게임기는, 상술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하우징에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제1 표시부에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의 각각의 조작 타이밍을 안내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에는 상기 목적이 다른 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게임기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단일의 표시면을 이용하여 조작 부재에 대응한 화상과, 이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게임기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부품 개수를 줄여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유닛에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를 설치하고, 그 제1 표시부에 입력 장치의 복수의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1 표시부에는 조작 부재의 조작에 관련된 화상이 표시되는 한편, 제2 표시부에는 목적이 다른 화상이 표시되도록 표시 장치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조작 타이밍 등을 안내하기 위한 화상과, 이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를 준비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이에 의해, 게임기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부품 개수를 줄여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일 형태가 적용된 게임기의 사시도.
도 2는 인터페이스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인터페이스 유닛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인풋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누름 버튼 패널의 평면도.
도 7은 누름 버튼 패널의 측면도.
도 8은 누름 버튼 패널의 저면도.
도 9는 도 3의 IX부의 확대도.
도 10은 격자 패널의 공극부에 누름 버튼 패널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패널 기판, 격자 패널, 누름 버튼 패널 및 러버 콘택트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게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가 적용된 게임기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다. 게임기(1)는 상업 시설 등에 설치되고, 소정량의 유기 가치의 소비와 맞바꿔 플레이어에게 유기 기회를 제공하는 상용의 게임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게임기(1)에는 하우징(2)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전방면측에는 컨트롤 패널부(3)가 설치되어 있다. 그 컨트롤 패널부(3)에는, 인터페이스 유닛(4)이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하여 상승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4)은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한 것이며, 그 높이는 표준적인 신장의 성인 플레이어가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가져다 놓을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4)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플레이어가 구부정한 자세로 비스듬하게 전방을 내려다봤을 때에 정면으로 마주 향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4)은 제1 표시부로서의 입력 표시부(4a)와, 제2 표시부로서의 다목적 표시부(4b)로 구분되어 있다. 입력 표시부(4a)에는, 16개의 누름 버튼부(4c)가 종횡으로 4개씩 매트릭스 형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인터페이스 유닛(4)의 평면도, 도 3은 그 인터페이스 유닛(4)에 관한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유닛(4)은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10)와, 입력 장치로서의 인풋 모듈(11)을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10)로서는, 일례로서, 표시면(10a)의 종횡비가 16:9 또는 그 근방으로 설정되고, 또한 PC용 모니터로서 시판되고 있는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물론,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에 한하지 않고, EL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를 모니터(10)로서 사용하면 된다. 모니터(10)의 이면(도 3의 하면)에는, 비디오 케이블 등을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10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인터페이스 유닛(4)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인풋 모듈(1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풋 모듈(11)은 베이스(12), 격자대(13), 패널 기판(14), 격자 패널(15), 누름 버튼 패널(16), 전극을 갖는 수지 탄성체로서의 러버 콘택트(17), 버튼 커버(18), 및 격자 커버(19)를 조합한 어셈블리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2)는 인풋 모듈(11)의 전체를 하우징(2)에 접합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부품이며, 그 크기(종횡 치수)는 모니터(10)의 표시면(10a)을 완전히 덮는 것이 가능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12)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판 가공한 불투명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불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한, 베이스(12)는 금속제가 아니어도 된다. 베이스(12)에는, 모니터(10)의 화상을 시인하기 위하여 16개의 정사각 형상의 버튼용 펀칭부(12a)와, 단일의 표시용 펀칭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버튼용 펀칭부(12a)는 누름 버튼부(4c)와 1:1로 대응하는 제1 관통 구멍이며, 그들의 배치는 종횡 4개씩의 매트릭스 형상이다. 표시용 펀칭부(12b)는 다목적 표시부(4b)에 대응하는 제2 관통 구멍이며, 그 크기는 모니터(10)의 표시면(10a)의 전체 폭(좌우 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다소 작은 폭의 직사각 형상이다. 베이스(12)의 양측에는 폴딩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폴딩부(12c)는 인풋 모듈(11)을 하우징(2)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격자대(13)는 인풋 모듈(1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판 형상의 받침판이며, 그 전체가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격자대(13)의 크기는 베이스(12)를 그들 폴딩부(12c)를 제외하고 전체 면적에 덮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패널 기판(14)은 게임기(1)의 제어 유닛(30)(도 1)과 각 러버 콘택트(1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 기판이다. 패널 기판(14)은 인풋 모듈(11)의 외주에 위치하는 하나의 누름 버튼부(4c)와, 그 내측에 인접하는 하나의 누름 버튼부(4c)의 2개의 누름 버튼부(4c)로 공용되도록 하여 격자대(13)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패널 기판(14)의 매수는 총 8매이다. 이와 같이 16개의 누름 버튼부(4c)를 복수매의 패널 기판(14)에서 분담함으로써, 일부의 패널 기판(14)이 고장난 경우의 수리 혹은 교환에 필요로 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부(4a)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4개의 누름 버튼부(4c)가 그들의 외주에 인접하는 누름 버튼부(4c)와 동일한 패널 기판(14)에 대응되므로, 그들 중심부의 누름 버튼부(4c)에 대한 전기 배선 경로를 모두 인풋 모듈(11)의 외주에 도달하도록 설치하고, 그들에의 결선을 모듈(11)의 외주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기판(14)에도 누름 버튼부(4c)에 1:1로 대응하여 관통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격자 패널(15)은 표시면(10a)을 누름 버튼부(4c)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분 부재이며, 불투명한 수지로 구성된 프레임(15a)을 종횡으로 격자 형상으로 조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술한 패널 기판(14)은 프레임(15a)에 덮여 가려지도록 하여 그 프레임(15a)을 따라 모듈(11)의 외주까지 연장된다. 격자 패널(15)의 프레임(15a) 사이에는, 베이스(12)의 버튼용 펀칭부(12a)와 마찬가지로 16개의 공극부(15b)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버튼 패널(16)은 입력 표시부(4a)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압입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부재로서 설치된 부품이며, 격자 패널(15)의 공극부(15b)에 1개씩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 패널(16)은 개략 정사각형 평판 형상의 패널 본체(해칭을 부여한 부분)(16a)와, 그 패널 본체(16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패널 본체(16)의 하면측에 배치된 플랜지(16b)를 갖고 있다. 플랜지(16b)의 네 코너에는, 누름 버튼 패널(16)의 대각선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대부(16c)가 당해 플랜지(16b)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들 확대부(16c)의 이면(하면)측에는 원형의 오목부(16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누름 버튼 패널(16)은 투명한 수지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패널 본체(16a)의 표리면 및 측면에는 경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에 의해, 패널 본체(16a)는 그 아래의 모니터(10)의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는 높은 투명도를 갖고 있다. 그 패널 본체(16a)가 누름 버튼부(4c)의 조작부에 상당한다. 한편, 플랜지(16b)[확대부(16c)를 포함함]에는 블라스트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랜지(16b)는 불투명 유리 상태로 투명도가 저하되어 있다. 플랜지(16b)의 투명도를 낮게 한 이유는, 누름 버튼 패널(16) 하에 배치되는 패널 기판(14), 러버 콘택트(17), 베이스(12)가 패널 본체(16a)를 투과하여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4 및 도 5로 되돌아가, 러버 콘택트(17)는 누름 버튼 패널(16)을 그 네 코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의 탄성체로서의 고무에, 누름 버튼 패널(16)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전극을 내장시킨 부품이다. 누름 버튼 패널(16)의 누름 조작에 의해 러버 콘택트(17)가 압축 변형되면 그 내부 전극이 도통하고, 압축 변형이 해제되면 내부 전극의 도통이 해제된다. 이러한 종류의 러버 콘택트(17)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버튼 커버(18)는 인풋 모듈(11)의 내부를 먼지 등의 침입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거기에는 누름 버튼 패널(16)의 패널 본체(16a)를 노출시키는 공극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 커버(18)는 불투명한 부품이며, 예를 들어 수지제이다. 격자 커버(19)는 누름 버튼부(4c)를 구분하는 화장 패널로서 설치되는 것이며, 거기에도 누름 버튼 패널(16)의 패널 본체(16a)를 노출시키는 공극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격자 커버(19)는 불투명한 부품이며, 예를 들어 금속제이다.
도 9는 도 3의 IX부의 확대도이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인풋 모듈(11)에 있어서는, 베이스(12)의 상면에 격자대(13)가 중첩되고, 그 격자대(13)의 상면에 패널 기판(14) 및 격자 패널(15)이 중첩된다. 격자 패널(15)의 공극부(15b)에 있어서, 러버 콘택트(17)가 패널 기판(14)에 중첩하여 배치되고, 그들 러버 콘택트(17)의 상방에, 누름 버튼 패널(16)이 그 확대부(16c)의 오목부(16d)를 러버 콘택트(17)의 상단부와 끼워 맞추도록 하여 장착된다.
도 10은 격자 패널(15)의 공극부(15b)에 누름 버튼 패널(16)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패널 기판(14), 격자 패널(15), 누름 버튼 패널(16) 및 러버 콘택트(17)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격자 패널(15)에는, 공극부(15b)의 네 코너로부터 격자 패널(15)의 프레임(15a)의 교점을 향하여 공극부(15b)를 확대하도록 하여 오목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 기판(14)은 그 오목부(15c)에서 격자 패널(15)의 프레임(15a)의 외측에 노출되고, 그 노출 부분에 러버 콘택트(1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버튼 패널(16)은 그 네 코너의 확대부(16c)를 오목부(15c)에 끼워 맞추도록 하여 격자 패널(15)의 공극부(15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로서의 누름 버튼 패널(16)의 네 코너에 확대부(16c)를 설치하고, 그 확대부(16c)의 하면측에 지지 수단 및 검출 수단으로서의 러버 콘택트(17)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누름 버튼 패널(16)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그 누름 조작에 관한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누름 버튼 패널(16)을 네 코너에서 지지함으로써, 그 지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지지점과 누름 조작의 검출점이 일치하므로, 누름 버튼 패널(16)이 패널 본체(16a)의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누름 조작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러버 콘택트(17)의 내부 전극을 도통시켜 그 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러버 콘택트(17)가 오목부(15c)의 내부이며, 네 코너의 확대부(16c)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목부(15c) 이외의 범위에 있어서, 패널 기판(14)은 프레임(15a)에 덮여 가려져 있다. 또한, 베이스(12)도 프레임(15a)에 의해 덮여 가려져 있다.
도 9로 되돌아가, 격자 패널(15)의 상면에는 버튼 커버(18) 및 격자 커버(19)가, 그들의 공극부(18a, 19a)로부터 패널 본체(16a)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씌워진다. 그리고, 격자 커버(19)로부터 버튼 커버(18), 격자 패널(15) 및 격자대(13)를 순차 관통하여 베이스(12)에 나사가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인풋 모듈(11)이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패널 기판(14)은 격자대(13)를 관통하여 베이스(12)에 나사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정위치에 고정된다. 조립된 인풋 모듈(11)은 모니터(10)의 표시면(10a)에 중첩된다. 모니터(10)가 하우징(2)의 컨트롤 패널부(3)에 고정되고, 그 표시면(10a)에 인풋 모듈(11)이 씌워져 베이스(12)의 폴딩부(12a)가 하우징(2)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인터페이스 유닛(4)이 하우징(2)에 고정된다. 또한, 모니터(10)에는 프레임(20)도 고정된다. 프레임(20)은 입력 표시부(4a)와 다목적 표시부(4b)를 구분하도록, 그들 경계를 따라 모니터(10)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에는, 인터페이스 유닛(4)의 입력 표시부(4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화장 패널(5)이 설치된다. 입력 표시부(4a)와 다목적 표시부(4b)의 경계에 있어서, 화장 패널(5)은 프레임(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에 의해, 입력 표시부(4a)의 모든 누름 버튼부(4c)와 다목적 표시부(4b)에서 모니터(10)를 공용하면서, 그들을 서로 다른 표시부로서 인상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게임기(1)에 있어서는, 하우징(2) 내에 설치된 제어 유닛(30)에 의해, 입력 표시부(4a)와 다목적 표시부(4b)에서 서로 다른 표시 제어가 행해진다. 게다가, 입력 표시부(4a)에 있어서, 누름 버튼부(4c) 사이에서 서로 독립된 표시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소정의 게임이 실행된다. 게임 화면의 일례를 도 13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입력 표시부(4a)의 적절한 누름 버튼부(4c)에, 플레이어가 그 누름 버튼부(4c)를 누름 조작해야 할 타이밍을 안내하는 조작 지시 화상(31)이 표시된다. 조작 타이밍은 예를 들어 게임에서 선택된 음악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다. 조작 지시 화상(31)에서 지시된 타이밍에 맞추어 누름 버튼부(4c)가 누름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러버 콘택트(17)의 내부 전극의 접촉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30)에서 판별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플레이어의 게임 성적이 연산된다. 다목적 표시부(4b)에는, 입력 표시부(4a)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 예를 들어, 게임의 스코어, 조작 안내와 같은 플레이어에 대하여 통지해야 할 각종 정보, 혹은 게임을 연출하는 화상이 적절하게 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누름 버튼부(4c)의 개수 및 배열은 도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해도 된다. 누름 버튼 패널(16)의 패널 본체(16a)의 형상도 정사각형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형 평판 형상,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 등,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어차피, 조작 부재의 외주에 복수의 확대부를 설치하고, 그들 확대부를 조작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분 부재의 공극부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 그 하면측에 러버 콘택트 등의 전극을 갖는 수지 탄성체를 배치하는 구성이면, 조작 부재의 지지의 안정성을 높이면서, 누름 조작의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로서의 인풋 모듈(11)의 구조도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격자대와 같은 구성 부품은 적절하게 추가, 삭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 수단 및 검출 수단을 러버 콘택트에 의해 겸용하는 예에 한하지 않고, 그들을 서로 다른 부품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의 표시면 경계 및 제1 표시부의 각 조작부와의 표시면 경계의 차광에 대해서는, 베이스로 차광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상에 설치된 격자 패널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표시면 영역을 없앰으로써, 더욱 차광 효과를 높여도 된다.

Claims (7)

  1. 단일의 표시면을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단일의 표시면 상에 중첩되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으로서,
    상기 표시면 상의 화상을 시인 가능한 투과성이 부여된 조작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조작 부재가 누름 조작 가능한 상태로 당해 표시면의 일부의 영역 상에 배열된 제1 표시부와,
    상기 표시면 상의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는 목적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구비한,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는, 상기 표시면과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의 각각의 조작부에 대응한 제1 관통 구멍과,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평판 형상의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는 불투명한 프레임 사이에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공극부를 갖는 구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외주에는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측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누름 조작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상기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구분 부재의 하면측에는, 상기 검출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기판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분 부재의 외주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부재와 상기 표시면 사이에는 상기 입력 장치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투명한 받침판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 상기 지지 수단,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배선 기판이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부재의 상면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덮어 가리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베이스, 상기 받침판, 상기 배선 기판, 상기 지지 수단, 상기 검출 수단,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커버를 조합한 어셈블리 부품으로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면 상에 중첩되어 있는,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터페이스 유닛을 하우징에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제1 표시부에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의 각각의 조작 타이밍을 안내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에는 상기 목적이 다른 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게임기.
KR1020107014836A 2007-12-06 2008-12-02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 KR101189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16330 2007-12-06
JP2007316330A JP4362531B2 (ja) 2007-12-06 2007-12-06 ゲーム機の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及びゲーム機
PCT/JP2008/071878 WO2009072490A1 (ja) 2007-12-06 2008-12-02 ゲーム機の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及びゲー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81A true KR20100086081A (ko) 2010-07-29
KR101189955B1 KR101189955B1 (ko) 2012-10-12

Family

ID=4071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836A KR101189955B1 (ko) 2007-12-06 2008-12-02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4297B2 (ko)
EP (1) EP2228111A4 (ko)
JP (1) JP4362531B2 (ko)
KR (1) KR101189955B1 (ko)
CN (2) CN101888887B (ko)
TW (1) TW201000182A (ko)
WO (1) WO2009072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0033B2 (en) * 2010-08-20 2018-12-11 Nintendo Co., Ltd. Position calculation system, position calculation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and position calculation method
JP5866825B2 (ja) * 2011-06-29 2016-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遊技機
US9478097B2 (en) * 2013-12-31 2016-10-25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Gaming machine with a curved display
US11045726B2 (en) 2013-12-31 2021-06-29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Gaming machine having a curved display
US10363480B2 (en) 2013-12-31 2019-07-30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Gaming machine with a curved display
CN106233231A (zh) * 2014-04-18 2016-12-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显示装置以及程序
JP6176639B1 (ja) * 2016-02-16 2017-08-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及びその入力装置
KR101715888B1 (ko) * 2016-08-25 2017-03-13 (주)넥스케이드 베팅을 조절하는 멀티 릴 게임기
US10699514B2 (en) * 2017-10-03 2020-06-30 Bluberi Gaming Canada Inc. Edge display having a LED matrix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594A (en) 1908-03-25 1912-02-06 Carl Backus Clamp and gage.
JPS56152670A (en) 1980-04-28 1981-11-26 Masabumi Yoshida Game device
JPH01249083A (ja) * 1988-03-30 1989-10-04 H Ee L:Kk ゲーム機
US5708840A (en) * 1992-06-29 1998-01-13 Elonex I.P. Holdings, Ltd. Micro personal digital assistant
WO1996014615A1 (en) 1994-11-07 1996-05-17 Elonex Technologies, Inc. Micro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integrated cpu interface to system memory
GB2309570B (en) 1996-01-25 1999-12-08 Jan Robert Coyle Selective coin and game slot machine
AU5514898A (en) * 1996-12-11 1998-07-03 Chiron Vision Corporation Remote control for ophthalmic surgical control console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JP2000084233A (ja) 1998-09-09 2000-03-28 Kinue Mogami 標的打撃ゲーム機
JP4298871B2 (ja) * 1999-10-08 2009-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画面用スイッチ
JP2003029904A (ja) * 2000-06-05 2003-01-31 Sony Corp 情報携帯装置及び情報携帯装置における操作子の配置方法
US7466843B2 (en) * 2000-07-07 2008-12-16 Pryor Timothy R Multi-functional control and entertainment systems
US7841936B2 (en) * 2001-07-16 2010-11-30 Igt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ayouts in gaming systems
US7628701B2 (en) * 2002-06-24 2009-12-08 Igt System for interfacing a user and a casino gaming machine
JP2005143714A (ja) * 2003-11-13 2005-06-09 Omron Corp ゲーム装置制御方法とゲーム装置
JP4127536B2 (ja) * 2004-01-20 2008-07-3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050253821A1 (en) * 2004-05-14 2005-11-17 Roeder William H Reduced-height terminal display with adaptive keyboard
AU2005256171C1 (en) * 2004-06-25 2010-07-2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td Gaming machine screen partitioning
CA2580239C (en) * 2004-09-21 2016-04-26 Timeplay Entertainment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handheld controller for multi-player gaming
US7988549B2 (en) * 2006-09-26 2011-08-02 Lightning Box Games Pty Limited Electronic system for playing of reel-type ga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8887B (zh) 2012-12-26
JP2009136501A (ja) 2009-06-25
EP2228111A1 (en) 2010-09-15
CN102671377A (zh) 2012-09-19
TWI373358B (ko) 2012-10-01
CN102671377B (zh) 2014-10-08
KR101189955B1 (ko) 2012-10-12
US8854297B2 (en) 2014-10-07
CN101888887A (zh) 2010-11-17
JP4362531B2 (ja) 2009-11-11
EP2228111A4 (en) 2011-09-07
US20100321287A1 (en) 2010-12-23
TW201000182A (en) 2010-01-01
WO2009072490A1 (ja)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955B1 (ko)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유닛 및 게임기
US200600020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14733B1 (ko) 게임기의 입력 장치
EP2853938A1 (en) Image display device
JP7445986B2 (ja) 遊技機
US20140002755A1 (en) Video display device
CN219204584U (zh) 一种显示组件和相机
WO2019065626A1 (ja) スイッチ
JP2014107856A (ja) 表示装置
JP7339791B2 (ja) 光学装置
JP7421250B2 (ja) 遊技機
TWI680392B (zh) 膜及輸入裝置
KR200461924Y1 (ko) 조작패널바디
KR102669383B1 (ko) 모듈화된 점자유닛 장치 및 이들을 결합한 점자표시 장치
JP5738558B2 (ja) フロ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6820620B1 (ja) ゲーム機
JP2024051976A (ja) 遊技機情報表示装置
JP4929035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