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725A -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725A
KR20100083725A KR1020100002635A KR20100002635A KR20100083725A KR 20100083725 A KR20100083725 A KR 20100083725A KR 1020100002635 A KR1020100002635 A KR 1020100002635A KR 20100002635 A KR20100002635 A KR 20100002635A KR 20100083725 A KR20100083725 A KR 2010008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sub
case
coupling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167B1 (ko
Inventor
백무룡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제 1 케이스의 결합홀과 제 2 케이스의 결합돌기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에서 결합돌기와 체결되기 전 일부분의 두께를 줄여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에서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외곽부를 개방하여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결합하는 초기단계에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사용되는 외부기기에 따라 단위전지(하나의 베어셀)만이 제품화되어 사용될 때도 있지만, 조전지의 형식으로 복수개의 단위전지가 하나의 팩으로 구성되어 제품화된다.
후자의 경우, 복수개의 단위전지들은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은 하부케이스에 복수개의 단위전지들을 안착시킨 후,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와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결합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다수의 베어셀; 제 1 주변부와 제 1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부는 상기 제 1 리브에 관해서 절삭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 연장 서브리브; 및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연장 서브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서브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리브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리브에는 상기 결합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제 1 주변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와 연장 서브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제 1 주변부는 그 사이에 체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 서브리브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체결통로를 넘어 연장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주변부는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주변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리브에는 상기 체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면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통로는 제 1 단면 치수를 가지고, 상기 제 2 리브의 상기 측면결합돌기는 상기 제 1 단면 치수보다 큰 제 2 단면 치수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2 주변부로부터 제 3 단면 치수만큼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제 3 단면 치수는 상기 체결통로의 상기 제 1 단면 치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까지 제 1 윤곽이 정의되기 위하여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는 단면 치수를 가지는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서브리브와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변동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변동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는 상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 치수까지 변화하며, 상기 제 1 윤곽에 대응되도록 제 2 윤곽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두께는 0.35 mm 내지 0.45 mm이고,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0.5 mm 내지 0.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를 향해 상기 제 1 리브의 1/3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를 향해 2 mm 내지 3.5 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제 1 주변부 및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주변부와의 관계에서 체결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주변부와 상기 체결통로를 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주변부 및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주변부는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 1 주변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다수개의 제 2 결합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면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상기 베어셀을 덮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결합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면은 상기 결합홀과 결합하도록 상기 제 2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오목하게 우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관통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톱니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은 다수의 베어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와의 관계에서 사이에 체결통로를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체결통로 안으로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 중 하나의 리브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리브 중 다른 하나의 리브에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가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홀의 안으로 체결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와 제 3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제 3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제 3 서브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서브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리브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결합되어지는 면에 경사지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통로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는 인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홈이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톱니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제 1 케이스의 결합홀과 제 2 케이스의 결합돌기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에서 결합돌기와 체결되기 전 일부분의 두께를 줄여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제 1 케이스에서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외곽부를 개방하여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결합하는 초기단계에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의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은 복수의 베어셀(101, 102, 103, 104, 105, 106), 제 1 리드플레이트 내지 제 4 리드플레이트(210, 220, 230, 240), 보호회로모듈(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하고, 케이스(400)는 제 1 케이스(500) 및 제 2 케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10)은 제 1 케이스(500)의 결합홀과 제 2 케이스(600)의 결합돌기를 결합시킬 때,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에서 결합돌기와 체결되기 전 일부분의 두께를 줄여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500)에서 결합홀이 형성된 리브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외곽부를 개방하여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결합하는 초기단계에서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셀(101, 102, 103, 104, 105, 106)은 각각 전극조립체(미도시),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채 캔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에서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베어셀 내지 제 6 베어셀(101, 102, 103, 104, 105, 106)을 도시하였으며, 제 1 베어셀(101)과 제 2 베어셀(102)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 1 베어셀 세트가 되고, 제 3 베어셀(103)과 제 4 베어셀(104)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 2 베어셀 세트가 되며, 제 5 베어셀(105)과 제 6 베어셀(106)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 3 베어셀 세트가 된다. 이 때 제 1 베어셀 세트 내지 제 3 베어셀 세트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설명의 편의상 3직렬-2병렬(3 series-2 parallel)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3직렬-2병렬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베어셀의 수가 2개 이상이라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도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2에서 B+, B-는 대전류단을 표시하고, 직·병렬 연결된 베어셀들에서 양 끝단의 전원부를 나타낸다. B+는 양극 전원부로서 최고 전위단, B-는 음극 전원부로서 최저 전위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베어셀 세트의 음극단자 측은 최저 전위단(B-)이 될 수 있고, 제 3 베어셀 세트의 양극 단자 측은 최고 전위단(B+)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 내지 제 4 리드플레이트 중 제 1 리드플레이트(210) 및 제 4 리드플레이트(240)는 각각 제 1 베어셀 세트의 음극단자(B-) 및 제 3 베어셀 세트의 양극단자(B+)에 위치하여 각 베어셀 세트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리드플레이트(210) 및 제 4 리드플레이트(240)는 직사각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210)는 제 1 베어셀 세트의 음극단자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4 리드플레이트(240)는 제 3 베어셀 세트의 양극단자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210) 및 제 4 리드플레이트(240)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210) 및 제 4 리드플레이트(240)는 보호회로모듈(300)의 패드(미도시)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탭을 통해 보호회로모듈(300)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220) 및 제 3 리드플레이트(230)는 각각 제 1 베어셀 세트와 제 2 베어셀 세트 사이(B1), 제 2 베어셀 세트와 제 3 베어셀 세트 사이(B2)에 각각 위치하여, 복수의 베어셀 세트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리드플레이트(220) 및 제 3 리드플레이트(230)는 각각 중앙부분이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리드플레이트(220)는 제 1 베어셀 세트의 양극단자 및 제 2 베어셀 세트의 음극단자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3 리드플레이트(230)는 제 2 베어셀 세트의 양극단자 및 제 3 베어셀 세트의 음극단자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220) 및 제 3 리드플레이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220) 및 제 3 리드플레이트(230)는 보호회로모듈(300)의 패드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탭을 통해 보호회로모듈(300)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기판(310), 보호회로소자(320), 커넥터(330) 및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3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310)의 내부에는 도전성 금속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회로소자(320), 커넥터(330) 및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소자(320)는 기판(310)에서 배터리팩(10)의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며, 베어셀의 충방전 상태, 및 전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정보를 점검하여 배터리팩(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30)(미도시)는 기판(310)에서 배터리팩(10)의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며, 제 1 케이스(500)의 커넥터(330)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커넥터(330)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전기적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기판(310)에서 베어셀과 마주하는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 내지 제 4 리드플레이트(210, 220, 230, 24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400)는 복수의 베어셀(101, 102, 103, 104, 105, 106), 리드플레이트(210, 220, 230, 240) 및 보호회로모듈(300)이 안착되는 제 1 케이스(500)와 제 1 케이스(500)를 덮는 제 2 케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00)에서 커넥터(330)가 형성된 측부와 마주보는 측부를 제 1 측부, 커넥터가 형성된 측부를 제 2 측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케이스(500)는 복수의 베어셀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케이스(500)의 제 2 측부에는 보호회로모듈(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보호회로모듈(3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설계된 보호회로모듈 안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 안착부(510)에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커넥터(330)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600)는 제 1 케이스(500) 상에 위치하여 제 1 케이스(500)를 덮도록 형성된다. 제 2 케이스(600)도 복수의 베어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케이스(600)에서 제 1 케이스(500)와 대응하는 제 2 측부에는 보호회로모듈(300)을 덮을 수 있도록 보호회로모듈(3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설계된 보호회로모듈 덮개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 덮개부(610)에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커넥터(33) 안착되는 커넥터 덮개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가 결합될 때, 제 1 리브(530)와 제 2 리브(630)가 닿는 각각의 면을 제 1 결합면, 제 2 결합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케이스(500)는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에 다수의 결합홀(530a)이 형성된 제 1 리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리브(530)의 제 1 결합면에는 결합홀(530a)이 형성된다. 제 2 케이스(600)의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에는 상기 결합홀(530a)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530a)과 결합되는 결합돌기(630a)를 포함하는 제 2 리브(6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리브(630)의 제 2 결합면에는 결합돌기(630a)가 형성된다. 즉, 결합홀(530a)과 결합돌기(630a)는 케이스(400)의 제 2 측부 또는 제 1 측부 중 어느 한 측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두 측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홀(530a)과 결합돌기(630a)가 체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400)의 제 2 측부 또는 제 1 측부 어디에서나 결합홀(530a)과 결합돌기(630a)가 체결되는 구조는 동일하다. 도 3에서 케이스의 제 1 측부의 결합홀(530a)과 결합돌기(630a)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제 1 측부에서의 결합홀(530a)과 결합돌기(630a)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에서 제 1 케이스(500)의 제 1 측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제 1 리브(530)가 위치하며, 제 1 리브(530)의 하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결합홀(53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530)는 결합홀(530a)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결합홀(530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상부리브(531)와 결합홀(53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하부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세 개의 제 1 리브(530)와 12개의 결합홀(530a)을 도시하였으나, 제 1 리브 및 결합홀(530a)의 수는 베어셀의 수 또는 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600)의 제 1 측부에는 제 2 주변부와 직사각 형상의 제 2 리브(630)가 위치하며, 제 2 리브(630)의 하부에는 후크 형상의 결합돌기(6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브(630)는 제 1 상부리브(531)와 제 1 케이스(500)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체결통로와 결합되며, 결합돌기(630a)는 결합홀(530a)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리브(63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결합돌기(630a)는 단면이 삼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돌기(630a)는 결합홀(530a)과 결합된 후 결합홀(5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돌기(630a)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최소한 체결통로의 너비보다 두꺼워야 한다. 즉, 체결통로의 너비를 제 1 단면 치수, 결합돌기(630a)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를 제 2 단면 치수라 할 때, 제 2 단면 치수는 제 1 단면 치수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세 개의 제 2 리브(630)와 12개의 결합돌기(630a)를 도시하였으나, 제 2 리브(630) 및 결합돌기(630a)의 수는 베어셀의 수 및 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리브(531)는 결합홀(530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서브리브(531a), 제 1 서브리브(531a) 상에 위치하며 배터리팩(10)의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 상에 위치하며, 체결통로를 넘어 연장되는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서브리브(531a)의 높이(H1)는 제 1 상부리브(531) 전체 높이(H)의 약 1/3이 될 수 있으며,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높이(H2) 및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높이(H3)의 합은 제 1 상부리브(531) 전체 높이(H)의 약 2/3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의 제 1 케이스(500)에서,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 외측은 개방 혹은 절삭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스(500)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는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높이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부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의 상단부는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제 1 케이스에서 제 1 리브의 최상단부터 체결통로가 형성되도록 제 1 리브와 마주보는 위치에 최외곽부가 모두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리브(530) 중 제 1 서브리브(531a)와 마주하는 외곽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결합돌기(630a)가 결합홀(530a)과 결합되기 위하여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를 지나는 과정에서 제 1 케이스(500)의 외곽부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결합돌기(630a)와 결합홀(530a)을 체결하는 초기 진입단계에서 결합돌기(630a)가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케이스(500) 및 제 2 케이스(600) 사이의 결합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부리브(531)의 두께(T1)는 제 1 서브리브(531a),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순서로 갈수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두께(T3)는 0.35 내지 0.45mm일 수 있다.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두께가 0.35mm보다 작은 경우, 결합돌기(630a)를 결합홀(530a)에 체결시키기 위하여 결합돌기(630a)가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와 접촉하며 하강하는 도중에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을 견디기 어려워 제 1 상부리브(531)가 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두께가 0.45mm보다 큰 경우, 결합돌기(630a)가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와 접촉하며 하강하는 도중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와 베어셀이 서로 맞닿아 결합돌기(630a)가 결합홀(530a)에 결합되기 전까지 결합돌기(630a)와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두께(T2)는 배터리팩(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즉, 결합돌기(630a)가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와 접촉할 때, 결합돌기(630a)와 접촉하는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일면(제 1 윤곽)은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와 접촉하는 결합돌기(630a)의 일면(제 2 윤곽)과 동일한 극성의 기울기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하에서 결합돌기(630a)는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를 지나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1 케이스(500)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체결통로까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리브(531a)의 두께(T1)는 0.5 내지 0.7mm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대로 결합돌기(630a)는 결합홀(530a)과 결합된 후 결합홀(53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돌기(630a)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최소한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1 케이스(500)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체결통로의 너비보다 두꺼워야 한다. 따라서, 결합돌기(630a)가 체결통로를 지나는 중에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1 케이스(500)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너비가 결합돌기(630a)의 최대 두께만큼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 1 서브리브(531a)의 두께가 0.5mm보다 작은 경우 제 1 서브리브(531a)는 결합돌기(630a)가 체결통로로 진입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해 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리브(531a)의 두께가 0.7mm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서브리브(531a)가 벌어지는 도중 베어셀(101)과 맞닿게 되어 제 1 서브리브(531a)가 더 이상 벌어지지 못해 결합돌기(630a)가 체결통로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리브(531a)의 높이(H1)는 2 내지 3.5mm일 수 있다. 배터리팩(10)은 결합돌기(630a)와 결합홀(530a)이 결합구조뿐 만이 아니라, 제 2 리브(630)와 제 1 서브리브(531a), 제 2 리브(630)와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 사이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서브리브(531a)의 높이가 2mm보다 작은 경우,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체결통로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제 2 리브가 제 1 서브리브(531a) 및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 사이의 결합력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리브(531a)의 높이가 3.5mm보다 큰 경우에는, 결합돌기(630a)가 결합홀(530a)과 결합되기 위하여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 사이의 체결통로를 통과하는 중에 제 2 리브(630)와 제 1 서브리브(531a), 제 2 리브(630)와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 또는 제 1 주변부(540)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결합돌기(630a)가 결합홀(530a)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제 1 상부리브(531) 또는 제 2 리브(630)가 부러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은 제 1 케이스(500)의 결합홀(530a)과 제 2 케이스(600)의 결합돌기(630a)를 결합시킬 때, 제 1 리브(530)에서 소정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고, 제 1 리브(530)와 대응하는 제 1 케이스(500)의 외곽부를 개방하여 제 1 케이스(500)와 제 2 케이스(6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6의 시점은 제 1 실시예의 도 5의 시점에 대응된다.
결합돌기(630a)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의 모든 다른 구성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결합돌기(630a)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는 결합돌기(630a)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된다. 제 1 리브(530)와 제 2 리브(630)의 위치에 따른 상대적인 각도에 의한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결합돌기(630a)와 제 1 리브(530)가 특히 부드럽게 결합된다.
결합돌기(630a)는 단면이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등 많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는 결합돌기(630a)의 하나의 예일 뿐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7의 시점은 제 1 실시예의 도 5의 시점에 대응된다.
결합홀(530a)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3 실시예의 모든 다른 구성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결합홀(530a)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결합홀(530a)이 제 1 리브(53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라 결합돌기(630a)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우물형으로 형성된 점이다. 제 3 실시예의 우물형의 결합홀(530a)은 제 1 리브(530)의 구조적 강도를 강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8의 시점은 제 1 실시예의 도 5의 시점에 대응된다.
제 1 상부리브(531)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4 실시예의 모든 다른 구성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상부리브(531)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가 생략되고,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가 직접적으로 제 1 서브리브(531a)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높이는 제 1 실시예의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와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의 높이의 합과 같다. 다시 말해, 제 4 실시예의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는 H2 + H3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는 제 1 실시예의 제 2 서브리브 혹은 연결 서브리브(531b)의 경사면과 비슷하게 경사의 방향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은 결합돌기(630a)를 결합을 위한 체결통로로 인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면은 제 1 서브리브(531a)와 제 3 서브리브 혹은 연장 서브리브(531c) 사이에 동일 평면의 경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은 결합을 위한 체결통로로 향하는 입구에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확대도이다. 도 9의 시점은 제 1 실시예의 도 5의 시점에 대응된다.
도 9에 나타난 차이점을 제외하고, 제 5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모든 구성들이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의 제 5 실시예는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 1 리브(530)는 결합돌기(530a)를 제공하고, 제 2 리브(630)는 결합홀(630a)을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터리팩
500; 제 1 케이스 600; 제 2 케이스
530; 제 1 리브 530a; 결합홀
531; 제 1 상부리브 531a; 제 1 서브리브
531b; 제 2 서브리브, 연결 서브리브
531c; 제 3 서브리브, 연장 서브리브
540; 최외곽부, 제 1 주변부
630; 제 2 리브 630a; 결합돌기

Claims (27)

  1. 다수의 베어셀;
    제 1 주변부와 제 1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가 형성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부는 상기 제 1 리브에 관해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
    연장 서브리브; 및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연장 서브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서브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1 주변부의 상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리브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리브에는 상기 결합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측면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6. 제 1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와 연장 서브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제 1 주변부는 그 사이에 체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 서브리브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체결통로를 넘어 연장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주변부는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제 1 주변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리브에는 상기 체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리브의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측면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통로는 제 1 단면 치수를 가지고, 상기 제 2 리브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1 단면 치수보다 큰 제 2 단면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8. 제 6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2 주변부로부터 제 3 단면 치수만큼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제 3 단면 치수는 상기 체결통로의 상기 제 1 단면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까지 제 1 윤곽이 정의되기 위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단면 치수를 가지는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서브리브와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변동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변동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는 상기 서브리브의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 치수까지 변화하며, 상기 제 1 윤곽에 대응되도록 제 2 윤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두께는 0.35 mm 내지 0.45 mm이고,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0.5 mm 내지 0.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를 향해 상기 제 1 리브의 1/3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리브는 상기 제 2 케이스를 향해 2 mm 내지 3.5 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연결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연장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7. 제 1 주변부 및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1 주변부와의 관계에서 체결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주변부와 상기 체결통로를 넘어 상기 제 1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주변부 및 다수의 베어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주변부는 상기 베어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 1 주변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다수개의 제 2 결합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면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상기 베어셀을 덮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 1 결합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면은 상기 결합홀과 결합하도록 상기 제 2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오목하게 우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톱니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3. 다수의 베어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리브를 포함하는 제 1 케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최외곽부와의 관계에서 사이에 체결통로를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체결통로 안으로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 중 하나의 리브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리브 중 다른 하나의 리브에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가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홀의 안으로 체결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 1 리브는 제 1 서브리브와 제 3 서브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리브의 두께는 상기 제 3 서브리브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서브리브와 상기 제 3 서브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서브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리브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가 결합되어지는 면에 경사지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통로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는 인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홀이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톱니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KR1020100002635A 2009-01-13 2010-01-12 배터리팩 KR10113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39709P 2009-01-13 2009-01-13
US61/144,397 2009-01-13
US12/651,973 US9184425B2 (en) 2009-01-13 2010-01-04 Battery pack
US12/651,973 2010-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25A true KR20100083725A (ko) 2010-07-22
KR101136167B1 KR101136167B1 (ko) 2012-04-17

Family

ID=4207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35A KR101136167B1 (ko) 2009-01-13 2010-01-12 배터리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4425B2 (ko)
EP (1) EP2207223B1 (ko)
JP (2) JP5462003B2 (ko)
KR (1) KR101136167B1 (ko)
CN (1) CN101777664B (ko)
AT (1) ATE544186T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837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9012063B2 (en) 2011-04-21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7074068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부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KR20190124442A (ko) *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어셈블리
WO2020101308A1 (ko) * 2018-11-15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후크 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배터리 팩 케이스
KR20210001988U (ko) * 2019-10-22 2021-09-02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US11564523B2 (en) 2019-10-22 2023-01-31 Hurom Co., Ltd. Jui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KR100949335B1 (ko)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4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89119B1 (ko) * 2008-10-08 2010-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108181B1 (ko) 2009-11-27 2012-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JP2011124085A (ja) * 2009-12-10 2011-06-23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TWI371883B (en) * 2011-07-08 2012-09-01 Simplo Technology Company Ltd Battery module and related forming method,battery cell assembly,bus layout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related layout method,cp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between battery cells and conductiog buses of a battery module, and connection s
KR101893961B1 (ko) * 2012-01-04 2018-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101907213B1 (ko) * 2012-02-27 2018-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브 유니트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1364096B1 (ko) * 2013-02-01 2014-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조립체
KR101430620B1 (ko) * 2013-02-01 2014-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065692B2 (ja) * 2013-03-25 2017-01-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476330B1 (ko) * 2013-04-10 2014-12-24 삼화전기 주식회사 커패시터 모듈
WO2018123784A1 (ja)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2203250B1 (ko) * 2017-11-29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엔드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120933B1 (ko) * 2019-09-06 2020-06-09 주식회사 알멕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케이스
KR102398574B1 (ko) * 2019-10-10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4A (en) * 1867-10-29 Island
US4158802A (en) * 1977-12-27 1979-06-19 Rose Ii William R Rechargeable battery powered electric car and recharging station therefor
US4265984A (en) * 1980-02-11 1981-05-05 Duracell International Inc. Battery housing
FR2519804A1 (fr) * 1982-01-14 1983-07-18 Accumulateurs Fixes Boitier pour batterie de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US4470652A (en) * 1982-06-04 1984-09-11 B/K Patent Development, Inc. Modular electrical shunts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US4736921A (en) * 1985-05-24 1988-04-12 Kbl Corporation Clamp for holding bicycle lock
US4724189A (en) * 1985-05-31 1988-02-09 Frank Chase Conversion module system
JP2809120B2 (ja) 1994-10-28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電池取付装置
JP3112240B2 (ja) 1995-04-24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端子
KR0176553B1 (ko) 1995-12-27 1999-04-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안착장치
JPH09190811A (ja) 1996-01-09 1997-07-22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極柱端子間接続器具
JP3432079B2 (ja) 1996-06-12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その放熱方法
US5677079A (en) * 1996-09-20 1997-10-14 Trw Inc. Battery terminal system
JP3312853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US5733674A (en) * 1997-02-12 1998-03-31 Law; Steven Power suppl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829396B2 (ja) 1997-03-24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電源の冷却装置
JPH1154157A (ja) 1997-08-04 1999-02-26 Toyota Motor Corp 熱交換装置及びバッテリケース
JPH11144766A (ja) 1997-11-12 1999-05-28 Toray Ind Inc 二次電池
KR20010036651A (ko) 1999-10-11 2001-05-07 이계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구조
JP3851038B2 (ja) 1999-10-2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3675261B2 (ja) 1999-11-24 2005-07-2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池
JP2001266818A (ja) 2000-03-23 2001-09-2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3723433B2 (ja) 2000-03-30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5734B2 (ja) 2000-04-20 2005-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2001345089A (ja)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3838872B2 (ja) 2000-12-13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4996792B2 (ja) 2001-03-29 2012-08-08 株式会社東芝 電池間の接続部材とそれ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JP2002343320A (ja) 2001-05-10 2002-11-29 Sony Corp 収納ケース
JP3623462B2 (ja) 2001-05-17 2005-02-23 梁 世宗 自動車バッテリーチャックの構造
JP3702211B2 (ja) 2001-09-27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6942945B2 (en) * 2001-09-28 2005-09-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er system for a battery
JP4086491B2 (ja) 2001-09-28 2008-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モジュールとこの電源モジュールを内蔵する電源装置
JP3869697B2 (ja) 2001-10-19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805664B2 (ja) 2001-11-01 2006-08-02 株式会社マキタ 電池パック
JP3932934B2 (ja) * 2002-03-05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収納ケース
JP2003257389A (ja) 2002-03-06 2003-09-12 Sony Corp 電池装置
DE10223782B4 (de) 2002-05-29 2005-08-25 Daimlerchrysler Ag Batterie mit wenigstens einer elektrochemischen Speicherzelle und einer Kühlein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atterie
JP2004087218A (ja) 2002-08-26 2004-03-18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式電源装置
JP4573501B2 (ja) 2003-04-17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に用いるパックケースの製造方法
US7189473B2 (en) 2003-06-03 2007-03-13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Battery venting system
JP4913333B2 (ja) 2003-06-13 2012-04-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および均一な冷却方法
US6932651B2 (en) 2003-09-16 2005-08-23 Honda Motor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ic cells
JP4062273B2 (ja) 2004-03-31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5349955A (ja) 2004-06-10 2005-12-22 Toyota Motor Corp 蓄電機構の冷却構造
KR100570779B1 (ko) 2004-09-24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JP2006127921A (ja) 2004-10-29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2006179190A (ja) 2004-12-20 2006-07-06 Toyota Motor Corp 車載用電池パック
WO2007001345A2 (en) 2005-03-14 2007-0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battery system
KR100696694B1 (ko) 2005-07-29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8734977B2 (en) 2005-03-2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0684795B1 (ko) 2005-03-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US7294020B2 (en) *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100669436B1 (ko) 2005-07-0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717801B1 (ko) * 2005-12-19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827558B2 (ja) 2006-02-28 2011-11-30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TWM308509U (en) 2006-09-29 2007-03-21 Simplo Technology Co Ltd Lamination free improved design battery package structure
JP2008140730A (ja) 2006-12-05 2008-06-1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JP4636031B2 (ja) 2007-02-01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917750B1 (ko) * 2007-09-17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49335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4B1 (ko)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88655B1 (ko) * 2008-09-19 2010-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89119B1 (ko) * 2008-10-08 2010-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2063B2 (en) 2011-04-21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20140017837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9159965B2 (en) 2012-08-01 2015-10-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17074068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부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KR20170050045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부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US10665830B2 (en) 2015-10-29 2020-05-26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lower case of small thickness and laptop computer including the same
KR20190124442A (ko) *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어셈블리
WO2020101308A1 (ko) * 2018-11-15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후크 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배터리 팩 케이스
JP2021519898A (ja) * 2018-11-15 2021-08-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フック係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パックケース
KR20210001988U (ko) * 2019-10-22 2021-09-02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US11564523B2 (en) 2019-10-22 2023-01-31 Hurom Co., Ltd. Ju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7664A (zh) 2010-07-14
JP2010165679A (ja) 2010-07-29
KR101136167B1 (ko) 2012-04-17
ATE544186T1 (de) 2012-02-15
US9184425B2 (en) 2015-11-10
JP5649245B2 (ja) 2015-01-07
US20100178548A1 (en) 2010-07-15
CN101777664B (zh) 2013-05-08
EP2207223B1 (en) 2012-02-01
EP2207223A1 (en) 2010-07-14
JP5462003B2 (ja) 2014-04-02
JP2013152958A (ja)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167B1 (ko) 배터리팩
US9178191B2 (en) Battery module
US8765290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terminal junction and prong
JP4220649B2 (ja) 組電池
KR100917750B1 (ko) 배터리 팩
US8691420B2 (en) Battery pack
US9312530B2 (en) Battery connection member and battery connection body
KR101127615B1 (ko) 배터리 팩
US9088032B2 (en) Secondary battery
JP6522793B2 (ja) 充電回路が内蔵された二次電気化学電池
EP1906469A1 (en) Battery Pack
WO2013111526A1 (en) Terminal fixation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US9356266B2 (en) Battery pack
JP6175218B2 (ja) 二次電池
US20110250474A1 (en) Secondary battery
US9065105B2 (en) Battery pack with ribs provided in a corner of the battery case
KR101374849B1 (ko)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WO2017188582A2 (ko) 이차 전지
KR20180122117A (ko)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6864881A (zh) 顶盖组件、电池及电子设备
KR20190078388A (ko) 체결식 구조의 보호 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