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849B1 -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4849B1 KR101374849B1 KR1020120100333A KR20120100333A KR101374849B1 KR 101374849 B1 KR101374849 B1 KR 101374849B1 KR 1020120100333 A KR1020120100333 A KR 1020120100333A KR 20120100333 A KR20120100333 A KR 20120100333A KR 101374849 B1 KR101374849 B1 KR 101374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cap
- secondary battery
- plate
- downwar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측벽으로 구성되어, 전극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캔; 상판과 하향측벽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캔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상향측벽은 상측부가 상기 상판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벤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캔과 캡의 결합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캔과 캡 간의 체결력 및 밀폐성이 향성되며, 전극조립체와의 통전성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캔과 캡으로 구성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캔과 캡의 체결력 및 밀폐성이 향상되고, 전극조립체와의 통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 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띠 상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격리막(separator)을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형성한 원통형과, 양극판과 음극판 및 격리막을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한 스택형이 있다.
상기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금속판으로 제작되며, 전해액과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캔과, 캔의 입구를 덮어 밀봉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중에는 가스 발생에 따른 내압의 상승으로 캔과 캡의 접촉 부위에서 전해액이 누액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만일 이와 같이 전해액이 누액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전지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더욱 심각하게는 전지가 사용되고 있는 전자기기의 전자회로를 오염시켜 고가인 전자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캔과 캡은 완전히 밀봉되도록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상측이 개방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 입구에 플랜지(12)가 구비되는 캔(10)과, 상기 캔(10)의 상측 입구 및 플랜지(12)를 덮도록 안착되며 가장자리 끝단이 플랜지(1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캔(10)과 캡(20)이 이루는 내부공간에 인입되는 전극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극조립체(30)가 인입되는 내부공간에는 전해액이 채워지며, 상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캔(10)과 캡(20)이 맞닿는 부위에는 개스킷(40)이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내부압력이 증가에 따라 캡(20)이 위로 들리게 될 때 플랜지(12)의 상면과 캡(20)의 저면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바, 내부의 전해액 및 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플랜지(12)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캡(20)의 가장자리로 감싸진 플랜지(12)를 추가적으로 절곡시키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전해액 및 가스의 유출 우려가 감소될 수 있지만, 플랜지(12)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이차전지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플랜지(12)를 절곡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캔과 캡의 결합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규격이 감소되며, 캔과 캡 간의 체결력 및 밀폐성이 향성되고, 전극조립체와의 통전성이 개선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측벽으로 구성되어,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측벽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캔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상향측벽은 상측부가 상기 상판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벤딩되는 벤딩부를 구비한다.
상기 벤딩부가 상기 상판을 하향 가압하여,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이 상기 하판에 압착된다.
상기 벤딩부의 길이방향 끝단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보다 상기 캡의 수직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된다.
상기 상판은, 하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벤딩부에 의해 하향 가압될 때 상기 전극조립체를 하향 가압하는 함몰부를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의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의 수직 중심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캔과 캡이 상호 겹쳐지는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캔과 상기 캡 사이를 밀폐시키는 개스킷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하향측벽의 하측 끝단과 상기 하판의 상면 사이부터, 상기 벤딩부의 저면과 상기 상판의 상면 사이까지 마련된다.
상기 하향측벽은 상기 하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벤딩부가 상기 하향측벽을 상기 하판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캔과 캡의 결합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캔과 캡 간의 체결력 및 밀폐성이 향성되며, 전극조립체와의 통전성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포함되는 캡이 뒤집어진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캔과 캡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캔과 캡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포함되는 캡이 뒤집어진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캔과 캡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캔과 캡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포함되는 캡이 뒤집어진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캔과 캡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캔과 캡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내부에 전극조립체(300)가 인입되고 전해액이 채워지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캔(100)과, 상기 캔(100)의 내부공간 입구를 밀폐시키는 캡(200)을 기본 구성요소로 갖는다. 캔(100)은, 바닥체 역할을 하는 하판(110)과, 상기 하판(11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하판(110)의 상측공간 측방을 둘러싸는 상향측벽(120)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이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캡(200)은, 캔(100)의 내부공간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상판(210)과, 상기 상판(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판(210)의 하측공간 측방을 둘러싸는 하향측벽(220)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이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향측벽(22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은 상향측벽(12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는바, 캡(200)이 캔(100)에 결합되었을 때 하향측벽(220)은 상향측벽(120)과 겹쳐지도록 즉, 하향측벽(220)의 외측면이 상향측벽(1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이루는 캔(100)과 캡(200)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이 직접 맞닿게 되면 두 개의 금속이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미세하게나마 이격 공간이 발생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캔(100)과 캡(200)이 맞닿는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캔(100)과 캡(200) 사이를 밀폐시키는 개스킷(4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스킷(4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측벽(120)과 하향측벽(220) 사이를 채우도록 마련됨은 물론, 하향측벽(220)과 하판(110) 사이까지도 채울 수 있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향측벽(220)과 상향측벽(120)이 겹쳐지도록 장착되고 하향측벽(220)과 상향측벽(120) 사이에 개스킷(400)이 장착되면,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증가하여 내부공간이 팽창되더라도 캔(100)과 캡(200) 사이로는 전해액이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러나 케이스 내부압력이 증가되면 캡(200)은 상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캔(100)과 캡(200)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내부압력이 발생되더라도 캡(200)이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캔(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캔(100)의 상향측벽(120) 상측부가 내측으로 벤딩되어 캡(200)의 상판(210) 가장자리 부위를 덮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캔(100)의 내부공간에 전극조립체(300)를 안착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의 하향측벽(220)이 캔(100)의 상향측벽(120)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맞춤 방식으로 캡(200)을 캔(100)에 삽입시킨다. 이때까지 캔(100)의 상향측벽(120)은 상측을 향해 곧게 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캡(200)이 캔(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조립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측벽(120)의 상측부를 안쪽으로 벤딩시켜 캡(200)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캡(200)이 상향측벽(120)의 벤딩된 부위(이하 '벤딩부(122)'라 약칭함)에 걸려 상향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경우에는 내부압력 상승 시 캔(10)과 캡(20)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캔(10)과 캡(20) 사이가 벌어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내부압력이 상승되어 캡(200)의 상판(210)이 하판(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캡(200)의 하향측벽(22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상판(210)이 상향측벽(120)의 벤딩부(122)에 압착되고, 캡(200)의 하향측벽(220)이 캔(100)의 상향측벽(120)에 압착되므로, 캔(100)과 캡(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케이스 내부압력이 발생되면 캡(200)의 상판(210)과 하향측벽(220)이 더욱 큰 힘으로 캔(100)의 상향측벽(120)에 압착되므로, 캔(100)과 캡(200) 사이의 밀폐성은 오히려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향측벽(120)의 상측에 벤딩부(122)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스킷(400)은 벤딩부(122)와 상판(210) 사이까지 밀폐시킬 수 있도록 벤딩부(122)의 저면과 상판(210)의 상면 사이까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벤딩부(122)와 상판(210) 사이에 삽입된 개스킷(400)은 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증가될 때 더욱 압축되므로, 벤딩부(122)의 저면과 상판(210)의 상면 사이의 밀폐성은 한층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400)은, 상기 하향측벽(220)의 하측 끝단과 상기 하판(110)의 상면 사이 지점부터, 상기 벤딩부(122)의 저면과 상기 상판(210)의 상면 사이 지점까지 채울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스킷(400)이 연장 형성되면, 개스킷(400)으로 채워지는 공간이 매우 넓어지므로, 밀폐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캔(100)의 상향측벽(120)이 캡(200)의 상판(210)을 덮도록 절곡됨으로써 캔(100)과 캡(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랜지(12)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극조립체(300)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상기 플랜지(12)의 길이만큼 제품의 폭방향 규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면, 이차전지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캡(200)의 상판(210)이 상향으로 힘을 받게 될 때 상향측벽(120)의 벤딩부(122)가 상향을 향하도록 펴지게 되면, 캡(200)은 상향으로 이동되어 캔(1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상기 벤딩부(122)가 어느 정도 펴지더라도 캡(200)이 캔(1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즉, 상기 벤딩부(122)가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경우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부(122)가 상판(210)의 가장자리 부위를 덮는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벤딩부(122)는 보다 넓게 설계되어 상판(21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내부압력이 향상되더라도 벤딩부(122)가 펴질 우려가 없는 경우, 상향측벽(120)의 상측부 중 일부만이 벤딩되어 상판(210)을 덮도록 즉, 상기 벤딩부(122)가 상향측벽(120)의 일부에만 형성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벤딩부(122)가 넓고 길어질수록 캔(100)과 캡(200)의 체결력은 향상되지만 재료비가 증가된다는 단점이 발생되므로, 상기 벤딩부(122)의 크기 및 형상은 내부압력의 크기 및 캔(100)과 캡(200)의 재료 강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 및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향측벽(220)의 하단이 하판(110)의 상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향측벽(120)의 상측부는 상판(21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벤딩될 때 상판(210)을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상향측벽(120)의 상측부가 상판(210)을 덮도록 벤딩시킬 때, 벤딩된 부위 즉, 벤딩부(122)가 상판(210)을 단순히 덮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판(210)을 하향으로 가압할 때까지 상기 벤딩부(122)를 충분히 벤딩시킴으로써, 하향측벽(220)의 하측단이 하판(110)의 상면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부(122)를 벤딩시키면, 벤딩부(122)와 상판(210)이 상호 압착될 뿐만 아니라 하향측벽(220)의 하단과 하판(110) 역시 상호 압착되므로,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 및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향측벽(220)이 하판(11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지 아니하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비스듬히 세워지면, 벤딩부(122)가 상판(210)을 하향으로 가압할 때 하향측벽(220)이 일측으로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향측벽(220)은 상기 하판(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벤딩부(122)는 하향측벽(220)을 하판(110)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벤딩부(122)의 길이가 짧아 하향측벽(220)의 상측을 충분히 덮지 못하면, 벤딩부(122)가 벤딩되어 상판(210)을 하향 가압할 때, 하향측벽(220)의 수평단면 중 일부에만 하중이 인가되므로, 하향측벽(220)이 비틀어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벤딩부(122)가 상판(210)을 하향 가압할 때 하향측벽(220)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하중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벤딩부(122)의 끝단은 하향측벽(220)의 내측면보다 캡(200)의 수직 중심에 가깝도록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122)의 끝단이 하향측벽(220)의 내측면보다 적어도 'a'라는 거리만큼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벤딩부(122)가 충분히 길게 연장되면, 상기 벤딩부(122)가 상판(210)을 하향 가압할 때 하향측벽(220) 전체에 걸쳐 고르게 하중이 인가되는바, 상기 하향측벽(2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향측벽(120)의 상측부를 안쪽방향(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절곡하게 되면, 벤딩된 부위가 접히는 경우 즉, 이웃하는 벤딩부(122)의 모서리 부위가 겹쳐져 상판(210)의 상면에 적층되지 아니하고 세워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부(122) 일부가 접혀진 부위는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상판(210)을 하향 가압하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측벽(120)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경우, 각 모서리 부위에서 벤딩부(122)가 접혀 수평으로 눕혀지지 아니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벤딩부(122) 중 겹치는 부위(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 부위)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해당 부위에서 벤딩부(122)가 두 겹으로 포개어 적층되거나, 벤딩부(122) 중 겹쳐지는 부위(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 부위)가 따내어져 상기 벤딩부(122)가 모서리 부위에서 겹쳐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양극판(310)과 음극판(320)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판(310)과 음극판(320)이 교번으로 적층되되, 양극판(310)과 음극판(320) 사이에는 분리막(330)이 삽입되며, 각각의 양극판(310)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단자(312)들은 하나로 합쳐져 캡(200)에 접지되고, 각각의 음극판(320)에 형성되어 있는 음극단자(322)들은 하나로 합쳐져 캔(100)에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캡(200)은 양극단 역할을 하고, 캔(100)은 음극단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양극단자(312)만이 캡(200)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양극판(310) 자체가 캡(20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면, 양극판(310)과 캡(200) 간의 통전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극조립체(300)의 두께에 비해 하향측판의 길이가 길면 캡(200)이 캔(100)에 결합되었을 때 전극조립체(300) 상면과 상판(210) 저면이 접촉되지 아니하고, 전극조립체(300)의 두께에 비해 하향측판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하향측판의 하단이 하판(110)에 접촉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전극조립체(300)의 두께와 하향측판의 길이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300)는 양극판(310)과 음극판(320), 분리막(330)을 여러겹 겹치는 과정에서 약간씩 두께차가 발생되는바, 전극조립체(300)의 두께와 하향측판의 길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전극조립체(300)의 두께와 하향측판의 길이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하향측판의 끝단이 하판(110)에 밀착되는 것과 전극조립체(300)의 상면이 상판(210)에 접촉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판(210)에는 전극조립체(300)와 대응되는 부위에 함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부(212)는 상판(210)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판(210)을 엠보싱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벤딩부(122)에 의해 상판(210)이 하향 가압될 때 함몰부(212)는 전극조립체(300)에 접촉된 이후 납작해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210)은 함몰부(212)가 전극조립체(300)에 접촉된 이후에도 추가적으로 하강될 수 있는바, 하향측벽(220)의 하단을 하판(110)의 상면에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캡(200)이 두꺼운 금속판으로 제작된다면 상기 함몰부(21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상판(210)에 함몰부(212)를 형성하더라도 하향측판의 끝단이 하판(110)에 밀착되는 것과 전극조립체(300)의 상면이 상판(210)에 접촉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이루는 캔(100)과 캡(200)은 일반적으로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엠보싱 가공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함몰부(212)의 측벽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판(210)을 하향 가압할 때 함몰부(212)가 쉽게 변형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함몰부(212)의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함몰부(212)의 측벽이 아래로 갈수록 함몰부(212)의 수직 중심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함몰부(212)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단순한 타발공정으로 함몰부(212)를 가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12)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212)의 수직 중심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가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평면 형상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도록 즉, 코인형 또는 버튼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가 코인형 또는 버튼형으로 제작되면, 상향측벽(120)의 상측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판(210)을 하향 가압하였을 때 상판(210)의 가장자리 전체가 균일한 크기의 체결력 및 밀폐성을 가지게 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코인형이나 버튼형 등의 리튬이온이차전지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코인형이나 버튼형 등의 리튬이온이차전지용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의 이차전지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케이스가 코인형 또는 버튼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향측벽(120)의 상측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판(210)을 하향 가압하는 구조나, 이로 인해 얻어질 수 있는 효과 등은 상기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캔 110 : 하판
120 : 상향측벽 122 : 벤딩부
200 : 캡 210 : 상판
212 : 함몰부 220 : 하향측벽
300 : 전극조립체 310 : 양극판
312 : 양극단자 320 : 음극판
322 : 음극단자 330 : 분리막
400 : 개스킷
120 : 상향측벽 122 : 벤딩부
200 : 캡 210 : 상판
212 : 함몰부 220 : 하향측벽
300 : 전극조립체 310 : 양극판
312 : 양극단자 320 : 음극판
322 : 음극단자 330 : 분리막
400 : 개스킷
Claims (8)
-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측벽으로 구성되어,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측벽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캔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캡;
을 포함하되,
상기 상향측벽은 상측부가 상기 상판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벤딩되는 벤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벤딩부의 길이방향 끝단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보다 상기 캡의 수직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가 상기 상판을 하향 가압하여, 상기 하향측벽의 하단이 상기 하판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벤딩부에 의해 하향 가압될 때 상기 캔과 상기 캡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를 하향 가압하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의 수직 중심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과 캡이 상호 겹쳐지는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캔과 상기 캡 사이를 밀폐시키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하향측벽의 하측 끝단과 상기 하판의 상면 사이부터, 상기 벤딩부의 저면과 상기 상판의 상면 사이까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은 상기 하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벤딩부가 상기 하향측벽을 상기 하판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333A KR101374849B1 (ko) | 2012-09-11 | 2012-09-11 |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PCT/KR2013/008201 WO2014042417A1 (ko) | 2012-09-11 | 2013-09-11 | 체결강화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US14/427,139 US20150243938A1 (en) | 2012-09-11 | 2013-09-11 | Case for secondary battery with reinforced connection unit |
JP2015531020A JP2015527723A (ja) | 2012-09-11 | 2013-09-11 | 締結強化部を具備する2次電池用ケース |
EP13836659.6A EP2897191A4 (en) | 2012-09-11 | 2013-09-11 | SECONDARY BATTERY HOUSING WITH FIXING REINFORCEMENT UNIT |
CN201380047040.5A CN104662694A (zh) | 2012-09-11 | 2013-09-11 | 具备耦合加强部的二次电池用外壳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333A KR101374849B1 (ko) | 2012-09-11 | 2012-09-11 |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4849B1 true KR101374849B1 (ko) | 2014-03-19 |
Family
ID=5064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333A KR101374849B1 (ko) | 2012-09-11 | 2012-09-11 |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484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1718A1 (ko) * | 2018-10-05 | 2020-04-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
WO2021145624A1 (ko) * | 2020-01-15 | 2021-07-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탭 절곡 장치 및 방법 |
US12132173B2 (en) | 2018-10-05 | 2024-10-29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4740A (ja) | 2004-11-08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偏平形電気化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
JP2007095477A (ja) | 2005-09-28 | 2007-04-12 | Hitachi Maxell Ltd | 電池とその製造方法 |
KR20090032272A (ko) * | 2007-09-27 | 2009-04-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041776B1 (ko) | 2009-12-31 | 2011-06-17 | 주식회사 삼전 | 전지용 캔의 제조방법 |
-
2012
- 2012-09-11 KR KR1020120100333A patent/KR1013748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4740A (ja) | 2004-11-08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偏平形電気化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
JP2007095477A (ja) | 2005-09-28 | 2007-04-12 | Hitachi Maxell Ltd | 電池とその製造方法 |
KR20090032272A (ko) * | 2007-09-27 | 2009-04-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041776B1 (ko) | 2009-12-31 | 2011-06-17 | 주식회사 삼전 | 전지용 캔의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1718A1 (ko) * | 2018-10-05 | 2020-04-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
CN112771703A (zh) * | 2018-10-05 | 2021-05-07 | 株式会社Lg化学 | 二次电池 |
CN112771703B (zh) * | 2018-10-05 | 2024-05-24 | 株式会社Lg新能源 | 二次电池 |
US12132173B2 (en) | 2018-10-05 | 2024-10-29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
WO2021145624A1 (ko) * | 2020-01-15 | 2021-07-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탭 절곡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243938A1 (en) | Case for secondary battery with reinforced connection unit | |
EP2675000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9178191B2 (en) | Battery module | |
JP5506103B2 (ja) | 2次電池 | |
US9741974B2 (en) | Battery cell having round corner | |
US8367242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8697272B2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nsulating member | |
JP5227297B2 (ja) | 2次電池 | |
KR101201744B1 (ko) | 이차 전지 | |
KR101265202B1 (ko) | 이차 전지 | |
KR100599754B1 (ko) |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 |
KR100646530B1 (ko) | 이차 전지 | |
US20150086842A1 (en) |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 |
KR20120010586A (ko) | 배터리 팩 | |
US10734614B2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thereof | |
KR101544703B1 (ko) | 밀봉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20028078A (ko) | 이차전지 | |
US8475950B2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50009877A (ko) | 이차전지 | |
US9065105B2 (en) | Battery pack with ribs provided in a corner of the battery case | |
KR101374849B1 (ko) | 벤딩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
KR102361706B1 (ko) | 이차 전지 | |
KR102187172B1 (ko) | 커브드 케이스용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커브드 이차전지 제조방법 | |
KR101464220B1 (ko) | 체결턱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 |
KR100601570B1 (ko) |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