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570B1 -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570B1
KR100601570B1 KR1020050088401A KR20050088401A KR100601570B1 KR 100601570 B1 KR100601570 B1 KR 100601570B1 KR 1020050088401 A KR1020050088401 A KR 1020050088401A KR 20050088401 A KR20050088401 A KR 20050088401A KR 100601570 B1 KR100601570 B1 KR 10060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e
block
secondary batter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도록 케이스를 성형하는 케이스성형부를 포함하고, 이 케이스성형부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스 원소재가 다이와 접촉하는 면적을 유지하여 케이스 하부의 측면이 연신되지 않으면서 하나의 다이로 다양한 크기의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이 제작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 이차전지용 케이스 {DIE FORMING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THE CASE FORMED BY THE DIE}
도 1a 및 1b 는 종래의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의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의 평면도,
도 2b 는 도 2a 에 나타낸 다이의 사시도,
도 2c 는 도 2a 에 나타낸 다이 중 케이스성형부의 블럭들이 이루는 공간이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도 2b 에 나타낸 다이를 사용하여 성형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110: 케이스성형부
112: 제 1 블럭 113: 홈
114: 제 2 블럭 116: 제 3 블럭
118: 제 4 블럭 120: 가스방성형부
130: 연통공성형부 200: 이차전지용 케이스
210: 케이스 상부 220: 케이스 하부
223: 케이스 하부 측벽 225: 플랜지
227: 측방돌출부 229: 하방돌출부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다이로 다양한 크기의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는 다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이거나,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일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를 전해질 종류에 따라 구분해 보면,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금속 전지와 리튬이온 전지, 그리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 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와, 유기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Gel)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완전 고체형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에는 유기 전해액의 누출문제가 없다. 유기 전해액을 함유하는 겔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의 경우에는 유기 전해액의 누출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와 비교할 때 전해액의 누출 문제는 보다 간이한 형태로 방지될 수 있다. 가령,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다층막 파우치를 리튬이온 전지의 금속캔(can)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다층막 파우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캔을 사용할 때보다 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파우치막 내층을 이루는 폴리머 막은 전해질로부터 중간층의 금속포일을 보호함과 아울러, 양극과 음극, 그리고 전극탭들 사이의 단락(短絡)을 방지한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소정 전류를 생성하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파우치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두 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적층 또는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유닛과, 상기 두 극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극탭과, 이 전극탭을 감싸는 보호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우치 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된 파우치 하부와, 이 파우치 하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파우치 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파우치막은 통상 금속포일 내·외측에 폴리머막이 라미네이팅된 형태를 가진다. 파우치 하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파우치 상부와 접합됨으로써 파우치 케이스를 밀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우치 케이스를 밀봉할 때 상기 전극탭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이 파우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데, 통상적으로 양극탭과 음극탭 모두 파우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노출되는 전극탭과 파우치 케이스의 밀봉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전극탭을 감싸는 보호테이프가 존재한다.
이 보호테이프는 전극탭과 파우치 케이스의 밀봉부 사이의 접착성을 높이는 외에 전극탭이 통과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밀봉부의 밀봉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테이프는 파우치막의 알루미늄 포일과 전극탭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파우치 케이스는 별도로 마련된 금형을 이용하여 그 형상을 성형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 를 참조하면, 파우치 케이스(특히, 파우치 하부)를 성형하는 금형은, 전극유닛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사각틀 모양의 케이스성형부(12, 12')가 형성된 다이(10, 10')와, 이 다이 위에 케이스 원소재(20, 20'))를 위치시킨 채 가압하여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기(30, 30')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다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미 설계된 케이스성형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전지 외의 다른 크기의 전지를 얻을 수가 없다. 다시 말해, 도 1a 에 나타낸 케이스성형부(12)의 크기에 상응하는 전극유닛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성형하다가, 이보다 작은 크기의 전극유닛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 해서는 도 1b 와 같이 별도의 다이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제조비용 증가와 제조시간 지연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a 의 케이스성형부(12)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케이스성형부(12')를 갖는 다이(10')를 별도로 제작하더라도 다이(10') 자체의 크기는 전과 동일할 수 있다. 이는 다이 자체의 크기마저 작게 하거나 크게 한다면, 이 다이를 지지하거나 이 다이와 결합되어 있는 다른 설비 또한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 원소재(20')가 다이(10')와 접촉하는 면적이 기존의 경우(도 1a 참조)보다 넓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 원소재(20')와 다이(10')와의 접촉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본래,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기(30)에 의한 가압에 따라 케이스 원소재(20)가 케이스성형부(12)의 공간 속으로 함께 끌려 들어가야 이상적이지만, 도 1b 의 경우에는 접촉 마찰력 때문에 케이스 원소재(20')가 케이스성형부(12')의 공간 속으로 함께 끌려 들어가기보다 연신(延伸)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케이스 하부의 측벽을 이루는 부분에서 외장재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 원소재가 다이와 접촉하는 면적을 유지하여 케이스 하부의 측면이 연신되지 않으면서 하나의 다이로 다양한 크기의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는 다이 구조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도록 케이스를 성형하는 케이스성형부를 포함하는 다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성형부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원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블럭들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은, 제 1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의 일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2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의 다른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3 블럭과, 상기 제 2 블럭 및 상기 제 3 블럭에 동시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4 블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블럭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블럭 내지 제 4 블럭의 측벽 중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블럭이 접촉 가능한 측벽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들 하면 또는 블럭간의 접촉 측벽에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성형부와 인접한 곳에 전지 충·방전시 배출되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방을 성형하는 가스방성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방성형부와 상기 케이스성형부 사이에 이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성형부의 블럭 중 고정된 블럭에 상기 가스 의 이동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의 이동통로는 상기 고정 블럭의 상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홈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는 파우치 케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는, 상기 다이에 의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하부의 측벽 코너부에는 상기 다이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측방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하부의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다이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하방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와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우치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의 평면도, 도 2b 는 도 2a 에 나타낸 다이의 사시도, 도 2c 는 도 2a 에 나타낸 다이 중 케이스성형부의 블럭들이 이루는 공간이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100)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도록 케이스를 성형하는 케이스성형부(110)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성형부(110)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유닛은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두 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적층 또는 권취되어 형성됨으로써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케이스성형부(110)는 종래기술처럼 확정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아니라, 복수의 블럭들의 배치에 따라 상기 블럭들이 이루는 공간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점에 기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원하는 크기의 전극유닛이 수납되는 케이스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전극유닛 크기보다 약간 큰 공간을 갖도록 복수의 블럭들을 배치시킨 다음, 다이 위에 케이스 원소재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블럭들이 이루는 공간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가압부를 갖는 가압기를 이용하여 케이스 원소재를 가압하면 원하는 크기의 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이 주변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가열함으로써 케이스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케이스의 원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블럭들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스 성형시 케이스 원소재에 균일한 응력이 가해지게 하고, 케이스 하부의 가장자리에 동일 평면에 속하는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상부와의 열압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을 계속해서 보면, 상기 블럭은, 제 1 블럭(112)과, 상기 제 1 블럭의 일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2 블럭(114)과, 상기 제 1 블럭의 다른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3 블럭(116)과, 상기 제 2 블럭 및 상기 제 3 블럭에 동시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4 블럭(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사각형의 전극유닛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며, 전극유닛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수의 블럭들과 상기 블럭들의 다양한 배치가 고려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 를 참조하되 제 1 블럭(11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2 블럭(114)이 제 1 블럭(112)의 우측벽에 접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블럭(116)이 제 1 블럭(112)의 하벽에 접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블럭(118)이 제 2 블럭(114) 및 제 3 블럭(116)에 동시에 접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두 블럭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만일, 이웃하는 두 블럭 사이가 이격되어 있다면, 케이스 성형시 한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원하는 형상의 케이스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웃하는 두 블럭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기 위해, 만일 제 2 블럭(114)이 위로 이동한다면, 이와 접촉하는 제 4 블럭(118)도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제 2 블럭(114)과 함께 위로 이동해야 한다. 즉 이 경우 제 2 블럭(114)과 제 4 블럭(118)은 연동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4 블럭(118)이 상기 제 2 블럭(114)과 함께 위로 이동함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 3 블럭(116)이 제 4 블럭(118)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우측으로 함께 이동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새롭게 배치된 블럭들로 이루어진 공간이 도 2c 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블럭(112)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블 럭들 중 하나의 블럭이 고정이 될 때, 다이(100) 위에 위치하는 가압기(미도시)를 상기 블럭들이 이루는 공간 위에 정위치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할 가스방성형부 및 연통공성형부가 다이에 형성될 경우, 상기 연통공성형부가 상기 블럭이 이루는 공간과 연결될 필요가 있는데, 고정되어 있는 블럭에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1 블럭 내지 제 4 블럭(112, 114, 116, 118)의 측벽 중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블럭이 접촉 가능한 측벽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블럭(112)의 우측벽과 제 2 블럭(114)의 좌측벽은 서로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데, 접촉면이 평평하지 않다면 블럭들의 이동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블럭들 하면 또는 블럭간의 접촉 측벽에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으로서 레일 형식의 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블럭(112)의 우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긴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제 2 블럭(114)의 좌측벽 중 상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홈에 상보적인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면, 제 1 블럭(112)과 제 2 블럭(114)간 상대적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100)에는, 상기 케이스성형부(110)와 인접한 곳에 전지 충·방전시 배출되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방을 성형하는 가스방성형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방성형부(120)는 전지를 완성한 이후에 충·방전 시험시 전지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방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스방은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성형되고, 완성된 전지로부터 제거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100)에는, 상기 가스방성형부(120)와 상기 케이스성형부(110) 사이에 이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성형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성형부(110)의 블럭 중 고정된 블럭(112)에 상기 가스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의 이동통로로서 상기 고정 블럭(112)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성형부(110)와, 가스방성형부(120)와, 연통공성형부(130)를 갖는 다이(100)의 상면에 박판의 원소재가 안착된 다음, 전극유닛이 수납될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와 연통공을 통하여 연결된 가스방을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이후, 별도의 공정에 의해 가스방은 제거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전술한 다이(100)에 의해 성형된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도 2b 에 나타낸 다이를 사용하여 성형한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200)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하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하부의 측벽(223) 코너부에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도 2b 에서 참조번호 100으로 표시)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측방돌출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하부(220)의 가장자리에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25)에는 상기 다이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하방돌출부(229)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 에서 나타낸 케이스성형부는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블럭들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블럭들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면 안 되지만,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기 위해 인접하는 두 블럭간에는 미세한 틈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블럭들로 이루어진 공간 속에서 케이스 원소재를 가압 성형한다면, 상기한 미세한 틈이 어떠한 형식으로든 케이스 형상에 반영되게 된다.
도 3 에서 참조번호 227 및 229 로 표시한 선들이 바로 상기한 미세한 틈에 기인한 흔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하부의 측벽(223) 코너부에 형성된 측방돌출부(227)는 도 2b 의 제 1 블럭(112)과 제 2 블럭(114) 사이의 미세한 틈에 케이스 원소재가 일부 끼어 케이스 외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225)에 형성된 하방돌출부(229)는 도 2b 의 제 3 블럭(116)과 제 4 블럭(118) 사이의 미세한 틈에 케이스 원소재가 일부 끼어 플랜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측방돌출부 및 하방돌출부의 위치 및 형상은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내의 블럭 배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에 의하면, 케이스 원소재가 다이와 접촉하는 면적을 유지하여 케이스 하부의 측면이 연신되지 않으면서 하나의 다이로 다양한 크기의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이 제작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도록 케이스를 성형하는 케이스성형부를 포함하는 다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성형부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원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블럭들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제 1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의 일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2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의 다른 측벽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3 블럭과, 상기 제 2 블럭 및 상기 제 3 블럭에 동시에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제 4 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럭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럭 내지 제 4 블럭의 측벽 중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블럭이 접촉 가능한 측벽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들 하면 또는 블럭간의 접촉 측벽에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성형부와 인접한 곳에 전지 충·방전시 배출되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방을 성형하는 가스방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성형부와 상기 케이스성형부 사이에 이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성형부의 블럭 중 고정된 블럭에 상기 가스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이동통로는 상기 고정 블럭의 상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파우치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11. 제 1 항의 다이에 의해 성형된 이차전지용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극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하부의 측벽 코너부에는 상기 다이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측방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부의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다이의 인접하는 두 블럭간 미세한 틈에 상보적인 형상의 하방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KR1020050088401A 2005-09-22 2005-09-22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KR100601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01A KR100601570B1 (ko) 2005-09-22 2005-09-22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01A KR100601570B1 (ko) 2005-09-22 2005-09-22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570B1 true KR100601570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01A KR100601570B1 (ko) 2005-09-22 2005-09-22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946B1 (ko) 2013-10-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케이스, 그의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전지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22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케이스와 이를 성형하는 다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22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케이스와 이를 성형하는 다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946B1 (ko) 2013-10-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케이스, 그의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전지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517B2 (en)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9741974B2 (en) Battery cell having round corner
US1010983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852793B2 (en) Secondary battery
KR100896133B1 (ko)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US20150013151A1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20150086842A1 (en)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KR101730338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667945B1 (ko) 이차 전지
JP2018120865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20180102927A (ko)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5358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50050212A (ko) 패턴화된 형상을 갖는 배터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8719A (ko) 이차전지
KR100601570B1 (ko) 이차전지용 케이스 성형 다이 및 이 다이에 의해 성형된이차전지용 케이스
KR100889769B1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72590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EP2916365B1 (en) Electric device comprising round corner
US20140227573A1 (en) Electric device having round corner
KR101014141B1 (ko)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KR100659877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75254A (ko) 각형전지
KR100502325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81183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용 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