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952A -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952A
KR20100079952A KR1020080138555A KR20080138555A KR20100079952A KR 20100079952 A KR20100079952 A KR 20100079952A KR 1020080138555 A KR1020080138555 A KR 1020080138555A KR 20080138555 A KR20080138555 A KR 20080138555A KR 20100079952 A KR20100079952 A KR 20100079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resin
weight
parts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709B1 (ko
Inventor
김성기
임재봉
이종인
이창현
배성수
이상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709B1/ko
Priority to US13/142,911 priority patent/US9023920B2/en
Priority to EP09836412.8A priority patent/EP2383311B1/en
Priority to JP2011543443A priority patent/JP5671477B2/ja
Priority to ES09836412.8T priority patent/ES2661741T3/es
Priority to CN2009801535434A priority patent/CN102272230A/zh
Priority to PCT/KR2009/007961 priority patent/WO2010077091A2/ko
Publication of KR2010007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4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고강도 난연성 블렌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10 내지 80 중량%;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블렌드 수지; 상기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스티렌,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블렌드, 고강도, 난연성

Description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Streng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강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대부분의 용제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가지며, 다른 열가소성 수지에 비하여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전자,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정밀사출이 요구되는 커넥터, 보빈류, 기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더구나 최근 자동차부품 등으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내화학성과 난연성이 좋아지는 반면, 기계적 물성이 충분히 좋지 않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일예로 KR 10-0238111 호에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섬유상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그 밖에도 여러 특허 문헌에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에 유리섬유 등을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 및 전기적 특성 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그 밖에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다른 수지의 블렌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 공지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블렌드 수지 조성물을 이차 가공 등 후가공 하는 경우 박리가 발생하는 등 상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계적 특성 및 난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열가소성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블렌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상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기초 수지로 하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난연제를 첨가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난연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강도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10 내지 80 중량%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블렌드 수지; 및
상기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강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제조 방식에 따라 선형, 가지형, 가교형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한정을 하지 않고 어느 것도 적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나는 반복단위를 70몰% 이상 함유한 선형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91095310-PAT00001
상기와 같은 화학식 1 로 나타나는 반복단위를 70 몰% 이상 함유한 선형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결정화도가 높고, 내열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에서도 뛰어나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기초 블렌드 수지 내에서, 10 내지 80 중량% 포함되는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낮은 함량으로 인하여 블렌드에서의 난연성과 내열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8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연신율이 저하되어 깨지기 쉬워지는(brittle)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 따른 고강도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기초 블렌드 수지에서 20 내지90 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첨가에 따른 생산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미미하며, 9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낮은 내가수분해성을 개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구현예에 따른 고강도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변성 폴리스티렌은 하기 화학식 2 와 같은 폴리스티렌 구조에서, R2 에 옥사졸린, 아민, 무수말레 인산, 및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가 독립적으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91095310-PAT00002
(단, R1 은 H 또는 CH3 이다.)
상기와 같은 변성 폴리스티렌을 포함함으로서,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어진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성 폴리스티렌은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변성 폴리스티렌이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수지 조성물에 첨가함에 따른 기계적 물성 상승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오히려 상분리가 심해져, 원하는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성형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스티렌과 함께 또는 변성 폴리스티렌을 대신하여 첨가될 수 있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그 구성의 한정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과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과 이소프렌과의 이블록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이소프렌과의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블록 또는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부타디엔 블록과 이소프렌 블록의 일부가 수 화(hydrogenated)된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타디엔 블록과 이소프렌 블록의 일부에 옥사졸린, 아민, 무수말레인산 및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그라프트 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타디엔 블록과 이소프렌 블록의 일부에 옥사졸린 등이 그라프트된 형태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벤젠그룹과의 상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기초 블렌드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용화에 충분한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상분리가 심해져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성형성이 나빠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구현예에 따른 고강도 수지 조성물은 실시 형태에 따라,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를 5 내지 5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고강도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에 난연성이 부여되면서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아, 고강도 및 난연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성형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난연제는 최종 제품이 불과 접촉시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특히 고온에서 열분해를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난연제는 구성의 한정이 없이 단독 또는 복합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난연제로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질소계), 할로겐계 난연제, 및 금속 수산화물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시 필요에 따라 안티몬 계열의 난연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와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멜라민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멜라민계 난연제는 조금만 첨가해도 난연성을 발현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난연제는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50중량부 포함될 수 있는데,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난연제 첨가에 따른 난연 성능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난연제의 과도한 열분해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고강도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실시 형태에 따라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내열성을 부가하기 위해 상기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70 중량부로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충전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실리카섬유, 티탄산 칼륨섬유, 티타늄섬유, 아라미드섬유, 및 아스베스토스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상 충전제군과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탄산바륨, 유리 비드, 알루미나, 카본블랙, 탄산리튬, 산화티탄, 산화철, 흑연, 클레이, 운모, 활석, 규산칼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및 이황화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분립자상 충전제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고 생산공정성 면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제는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보강성이 저하되며, 성형성도 나빠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제는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제 중 표면 처리된 섬유상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섬유상 충전제와 수지와의 접착성이 좋아질 뿐 아니라 물에 대한 저항성과 열팽창 계수 등의 물성이 더욱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어서,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주요성분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산화방지제, 안료, 윤활제, 핵제 및 주형 부식 방지제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구현예들에 따른 고강도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부품 또는 전기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커넥터, 보빈류, 기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품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수지 기재; 및
상기 기초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분산된 채로, 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한 상태이거나, 함유되어 있는 관능기와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화학적 결합을 한 상태로, 화학적 결합과 물리적 결합을 한 것이 공존된 상태로 더 미세하게 분산되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추가적으로 충전제 및/또는 난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될 수 있는 난연제 및 충전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술한 고강도 수지 조성물에 대한 구현예들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으로 제조 시,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강도를 나타내고, 난연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도 난연성과 아울러, 고강도의 성질을 나타내어, 자동차, 전자,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정밀사출이 요구되는 커넥터, 보빈류, 기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로 제조시 고강도를 나타내고, 난연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도 고강도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음과 동시에 난연성을 나타내어, 자동차, 전자, 전기부품뿐만 아니라 정밀사출이 요구되는 커넥터, 보빈류, 기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PPS및PET 블렌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경화물의 제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Fortron, Deyang, Cellanese) 1kg을 기준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SKYPET, SK Chemical), 및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중량부로 옥사졸린 변성 폴리스티렌 (Epocros, Nippon Shokubai),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Kraton, Shell),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A], 또는 무수말레인산 과 카르복실산 변성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Kraton, Shell)[스티렌계 엘라스토머 B], 멜라민계 난연제로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mine phosphate) (Chempia), 유리단섬유 (Vetrotex)를 단축압출기(L/D=25, D=19mm)가 장착되어있는 하아케 플라스티코더 (Haake plasticoder)의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하였다. 이 때 압출기 설정온도는 300℃였고, 회전속도는 100 rpm 이었다. 압출된 블렌드 스트랜드를 냉각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블렌드 펠렛을 60℃, 24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사출기(Arburg)를 이용하여 인장강도용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않은 PPS 및 PET 블렌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경화물의 제조
비교예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변성 폴리스티렌 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조성비를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를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축 성형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경화물의 물성 측정
1. 인장강도
인장강도는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 Lloyd Instruments)로 하나의 시편에 대해, 7 회 측정을 하여, 그 평균 값을 얻었다.
2. 난연성 측정
난연성은 UL94 VB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규격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하여, 난연성을 나타낸 것은 UL94 VB의 규격에 따른 V0, V1, V2 등의 등급으로, 난연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X로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블렌드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이들 수지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경화물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중량%로 표시한 값이고, 나머지 변성 폴리스티렌 등의 값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값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40 40 40 40 30 30 30 30 60 40 2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60 60 60 70 70 70 70 40 60 80
변성 폴리스티렌 1 - - - 1 - 1 - - - -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A - 1 - 1 - - - - - - -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B - - 1 - - 1 - - - - -
난연제 - - - 20 20 20 - - - - -
충전제 - - - 50 50 50 50 50 - - -
인장강도 (MPa) 78 67 70 120 140 130 160 61 43 60 52
난연성 x x x V0 V0 V0 x x x x x
X; 난연성 없음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초 수지 블렌드에 변성 폴리스티렌이 첨가된 실시예 1에 따른 경화물의 인장강도가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2 내지 4 에 비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초 수지 블렌드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실시예 2, 3 및 6에 따른 경화물의 경우도, 인장강도가 비교예 2 내지 4에 비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연제 및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난연성을 나타내면서도 동시에 인장강도가 훨씬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난연제를 첨가하더라도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은 고강도가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에 관한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10 내지 80 중량%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0 내지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블렌드 수지; 및
    상기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반복단위를 70몰% 이상 함유한 고강도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91095310-PAT0000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스티렌은 하기 화학식 2 와 같은 폴리스티렌 구조에서, R2 에 옥사졸린, 아민, 무수말레인산, 및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가 독립적으로 도입된 고강도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91095310-PAT00004
    (단, R1 은 H 또는 CH3 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과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과 이소프렌과의 이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이소프렌과의 삼블록 공중합체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타디엔 블록 및 이소프렌 블록의 일부가 수화(hydrogenated)된 것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타디엔 블록 및 이소프렌 블록에 옥사졸린, 아민, 무수말레인산, 및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그라프트된 고강도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수지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및 금속 수산화물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멜라민계 난연제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블렌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70 중량부의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가 유리섬유, 탄소섬유, 실리카섬유, 티탄산 칼륨섬유, 티타늄섬유, 아라미드섬유, 및 아스베스토스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상 충전제군과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탄산바륨, 유리 비드, 알루미나, 카본블랙, 탄산리튬, 산화티탄, 산 화철, 흑연, 클레이, 운모, 활석, 규산칼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및 이황화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분립자상 충전제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유리섬유인 고강도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안료, 윤활제, 핵제 및 주형 부식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강도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얻은 성형품.
  1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수지 기재; 및
    상기 기초 수지 기재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변성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성형품.
  16. 제 14 항에 의한 성형품은 자동차부품 또는 전기부품에 사용되는 것인 성형 품.
KR1020080138555A 2008-12-31 2008-12-31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3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55A KR101539709B1 (ko) 2008-12-31 2008-12-31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3/142,911 US9023920B2 (en) 2008-12-31 2009-12-30 High-strength 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09836412.8A EP2383311B1 (en) 2008-12-31 2009-12-30 High-strength 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ed resin composi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1543443A JP5671477B2 (ja) 2008-12-31 2009-12-30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及び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ラートを含む高強度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ES09836412.8T ES2661741T3 (es) 2008-12-31 2009-12-30 Composición de resina mixta de sulfuro de polifenileno/tereftalato de polietileno de alta resistencia y un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para la misma
CN2009801535434A CN102272230A (zh) 2008-12-31 2009-12-30 高强度的聚苯硫醚/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共混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KR2009/007961 WO2010077091A2 (ko) 2008-12-31 2009-12-30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55A KR101539709B1 (ko) 2008-12-31 2008-12-31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52A true KR20100079952A (ko) 2010-07-08
KR101539709B1 KR101539709B1 (ko) 2015-07-28

Family

ID=4231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55A KR101539709B1 (ko) 2008-12-31 2008-12-31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3920B2 (ko)
EP (1) EP2383311B1 (ko)
JP (1) JP5671477B2 (ko)
KR (1) KR101539709B1 (ko)
CN (1) CN102272230A (ko)
ES (1) ES2661741T3 (ko)
WO (1) WO201007709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31A1 (ko) * 2012-06-11 2013-12-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892302A (zh) * 2022-05-16 2022-08-12 汤宇泽 燃烧智能膨胀响应聚苯硫醚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3013A (zh) * 2011-12-20 2013-06-26 上海杰事杰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聚苯硫醚/苯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924921A (zh) * 2012-03-01 2013-02-13 上海真晨企业发展有限公司 高相比漏电起痕指数聚苯硫醚增强复合材料及其制备工艺
CN103497490B (zh) * 2013-09-27 2015-10-28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313605B2 (ja) * 2014-02-06 2018-04-18 Ntn株式会社 横型内接歯車ポンプ
CN104962046A (zh) * 2015-07-06 2015-10-07 无锡阳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化学稳定性的叶轮
CN104962047A (zh) * 2015-07-06 2015-10-07 无锡阳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在高温下防翘曲的叶轮
US10662328B2 (en) 2016-04-29 2020-05-26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Compatibilized polymer compositions
JP6943878B2 (ja) 2016-04-29 2021-10-06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相溶化ポリマー組成物
CN106751833A (zh) * 2017-01-23 2017-05-31 埃维柯塑料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耐腐蚀耐热塑料闸阀阀杆
CN114479461B (zh) * 2021-12-23 2024-01-30 广东格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可替换金属材料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575133B (zh) * 2023-07-14 2023-09-22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熔体反应挤出的阻燃涤纶纤维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80472T2 (de) * 1981-08-13 1996-11-14 Asahi Chemical Ind Modifiziertes Blockcopolymer
DE3817624A1 (de) 1988-05-25 1989-11-30 Bayer Ag Mischungen, hergestellt aus metastabil amorphen, teilkirstallinen thermoplasten
JPH02251567A (ja) 1989-03-24 1990-10-09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252455A (ja) 1990-03-02 1991-11-11 Ube Ind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67214B2 (ja) 1991-01-16 2000-07-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KR100238111B1 (ko) * 1992-12-31 2000-01-15 조민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조성물
EP1277807B1 (en) * 2001-07-18 2007-05-02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1452567B1 (en) * 2001-11-30 2012-03-07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WO2003046085A1 (fr) 2001-11-30 2003-06-05 Polyplastics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CN1630669B (zh) * 2002-03-01 2010-09-29 旭化成化学株式会社 改性氢化共聚物
JP5186210B2 (ja) * 2005-07-08 2013-04-1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CN101305055A (zh) * 2005-09-29 2008-11-12 东丽株式会社 纤维增强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造方法、及热塑性树脂用碳纤维
US20090143524A1 (en) 2005-09-29 2009-06-04 Yoshifumi Nakayam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arbon Fiber for Thermoplastic Res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31A1 (ko) * 2012-06-11 2013-12-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50515B2 (en) 2012-06-11 2017-05-16 Sk Chemicals Co., Ltd.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4892302A (zh) * 2022-05-16 2022-08-12 汤宇泽 燃烧智能膨胀响应聚苯硫醚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709B1 (ko) 2015-07-28
US20110269879A1 (en) 2011-11-03
WO2010077091A2 (ko) 2010-07-08
EP2383311A2 (en) 2011-11-02
US9023920B2 (en) 2015-05-05
ES2661741T3 (es) 2018-04-03
EP2383311A4 (en) 2015-08-26
WO2010077091A3 (ko) 2010-10-21
CN102272230A (zh) 2011-12-07
JP5671477B2 (ja) 2015-02-18
EP2383311B1 (en) 2017-12-06
JP2012514069A (ja)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709B1 (ko)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920002871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20180104280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148574B1 (ko)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6042910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KR10084686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2100827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JP3693443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40100147A (ko) 난연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6904173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JP2020033534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KR101263986B1 (ko) 유연성과 반사율이 높은 친환경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JP2006225526A (ja) 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
KR100824781B1 (ko) 인성이 향상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438862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432759B1 (ko) 내블루밍성과 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027316A (ko) 강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11228828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02294072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摺動部材
JP2023034488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301919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板状射出成形体
KR2011010607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30099086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3012775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