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574B1 -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574B1
KR102148574B1 KR1020180158984A KR20180158984A KR102148574B1 KR 102148574 B1 KR102148574 B1 KR 102148574B1 KR 1020180158984 A KR1020180158984 A KR 1020180158984A KR 20180158984 A KR20180158984 A KR 20180158984A KR 102148574 B1 KR102148574 B1 KR 10214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flame
resin composition
retarda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900A (ko
Inventor
임형규
박상병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5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5Isotac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 및 내열성이 높아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발열의 가능성이 있는 히터나 모터 주변의 플라스틱 부품 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함으로써 난연성과 함께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IH 쿠킹 히터(IH cooking heater), 모터 등 장시간 사용되는 가전 제품에 있어서, 모터나 히터의 장시간 작동에 의한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 예방을 위한 안전 규격으로 모터나 히터 주변 부품의 소재를 난연 소재로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난연 소재 중에서도 열에 의한 발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난연 소재의 요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던 부품의 일부는 불연 재료인 강철로 대체되기도 하였고, 일부는 난연성이 확보되고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전선용 난연 소재로서,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094697호는 고 함량의 합성 수산화마그네슘을 적용한 난연 소재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소재는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브롬 화합물을 난연제로 이용하는 경우 탤크(talc)의 첨가에 의하여 난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강성 및 내열성의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범용 수지의 일종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경제성은 물론이고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내화학성 등이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기 및 가전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기본적으로 인화성 물질이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를 첨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997-0074843호에서는 브롬계 화합물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인 산화안티몬을 병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이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성은 향상되었지만, 연소 시 또는 고온에서 가공 시 유해 가스가 발생하여 금형 등 금속 표면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강성 및 내열성과 함께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09469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997-0074843호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및 내열성과 함께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38.0~93.8 중량부; (B) 할로겐계 난연제와 금속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난연제 1.0~30.0 중량부; (C)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 5.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입체규칙성에 따른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가 95.0~99.0%이고,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1~100 g/10분일 수 있다.
할로겐계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이고, 구체적으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A-bis(2,3-dibromopropyl ether)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S-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S-bis(2,3-dibromopropyl eth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금속계 난연조제는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C)는 천연의 브루사이트(brucite)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상 수산화마그네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핵제 1.0 중량부 이하; 및 (E) 난연제와 핵제를 제외한 첨가제 0.1~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핵제(D)는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포스페이트 소듐 염(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ol) phosphate sodium salt), 소듐 2,4,8,10-테트라-tert-부틸-6-옥소-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6-올레이트(sodium 2,4,8,10-tetra-tert-butyl-6-oxo-12H-dibenzo[d,g][1,3,2]dioxaphosphocin-6-olate), 1,3,2,4-비스-o-(3,4-디메틸 벤질리덴) 솔비톨(1,3,2,4-bis-o-(3,4-diemthyl benzylidene)sorbitol)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디-tert-부틸 벤조에이트(aluminum hydroxy di-tert-butyl benzoat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첨가제(E)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첨가제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24,000 kg/㎠ 이상의 굴곡탄성율, 120℃ 이상의 열변형온도 및 UL-94 V-0급 이상의 난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 및 내열성이 높아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발열의 가능성이 있는 히터나 모터 주변의 플라스틱 부품 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38.0~93.8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와 금속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난연제 1.0~30.0 중량부; (C)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 5.0~30.0 중량부를 포함한다.
(A)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8.0~93.8 중량부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량이 38.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93.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난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입체규칙성에 따른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가 95.0~99.0%인 고 아이소택티시티 폴리프로필렌(high isotacticity polypropylene; HIPP)일 수 있다.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1~100 g/10분일 수 있다. 이 용융지수는 바람직하게는 2~8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5~60 g/10분일 수 있다. 이 용융지수가 1 g/10분 미만일 경우, 부품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난연성도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이 용융지수가 100 g/10분을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B) 난연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로겐계 난연제와 금속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난연제 1.0~3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난연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발현 효과가 부족할 수 있다. 반면, 난연제의 함량이 3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조성물이 쉽게 산화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계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이다. 구체적으로, 브롬계 난연제는 브롬 함량이 60 중량% 이상인 브롬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브롬계 난연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A-bis(2,3-dibromopropyl ether))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S-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S-bis(2,3-dibromopropyl eth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계 난연조제는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와 금속계 난연조제를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중량비 기준으로 2:1~3:1이다.
(C)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 5.0~3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난연성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의 함량이 3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지의 양이 너무 적어 용융 혼련이 불가하여 압출 생산이 어렵고, 성형품의 품질이 불균일해지며, 가공성이 결여되어 제품 제조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는 무기 난연제로 사용되는 고가의 합성 수산화 마그네슘과 달리 천연의 브루사이트(brucite)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상 제품일 수 있다. 이러한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은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난연성 발현은 충분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열성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D) 핵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의 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핵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결정성을 높여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 내열성 및 강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핵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핵제가 수지 조성물로부터 용출되거나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핵제는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포스페이트 소듐 염(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ol) phosphate sodium salt), 소듐 2,4,8,10-테트라-tert-부틸-6-옥소-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6-올레이트(sodium 2,4,8,10-tetra-tert-butyl-6-oxo-12H-dibenzo[d,g][1,3,2]dioxaphosphocin-6-olate), 1,3,2,4-비스-o-(3,4-디메틸 벤질리덴) 솔비톨(1,3,2,4-bis-o-(3,4-diemthyl benzylidene)sorbitol)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디-tert-부틸 벤조에이트(aluminum hydroxy di-tert-butyl benzoat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 첨가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와 핵제를 제외한 첨가제 0.1~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염료 등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등과 같은 페놀계 내열안정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트계 내열안정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부의 함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의 산화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각 수지 성분들을 특별한 순서 제한이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헨셀 믹서,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에서 1~2 시간 동안 혼합하고, 1축/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160~230℃의 온도에서 용융 및 혼련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24,000 kg/㎠ 이상의 굴곡탄성율, 120℃ 이상의 열변형온도 및 UL-94 V-0급 이상의 난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강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요구되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성형품은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서 발열의 가능성이 있는 히터 또는 모터 주변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원료는 아래와 같다.
A1: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8 g/10분, 아이소택티시티 96.5%; 한화토탈)
A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 30 g/10분, 용제(자일렌) 추출물 9.6%)
B1: 브롬계 난연제(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 브롬 함량 66 중량% 이상; Only Chemical)
B2: 금속계 난연조제(삼산화안티몬; 일성안티몬)
C1: 수산화마그네슘: 천연 브루사이트 분쇄물(MgO 58 중량% 이상, 평균 입경 15 ㎛; Zhenxing Mineral)
C2: 탤크(판상형, 평균 입경 12 ㎛; 코츠)
D1: 핵제(HYPERFORM®HPN-68, 밀리켄)
E1: 페놀계 산화방지제(Songnox 1010, 송원산업)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A1 80 80 90 80 -
A2 - - - - 80
B1 7 7 7 7 7
B2 3 3 3 3 3
C1 10 10 - - 10
C2 - - - 10 -
D1 - 0.2 - - -
E1 0.2 0.2 0.2 0.2 0.2
실험예
위 표 1과 같은 함량(단위: 중량부)의 원료를 헨셀 믹서에서 드라이 블렌딩한 후, 에스엠플라텍 TEK30 2축 혼련 압출기의 호퍼에 한번에 모두 투입하고, 압출기 내부에서 함께 용융 혼련(160~230℃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수지 조성물을 TOYO사 TOYO-180T(형체력 180톤)으로 사출 온도 200℃금형 온도 40℃ 사출 압력 60~100 bar의 조건 하에서 사출 성형하여 ASTM 시편을 제조한 후, 아래와 같이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 638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ASTM D 790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3) 열변형온도
ASTM D 648의 방법으로 4.6 kg/㎠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4) 난연성
3.2, 1.6 및 0.8 ㎜의 시편을 이용하고, UL subject 94(Underwrites Laboratories Incorporation)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의 연소성 시험” 방법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인장강도(항복, kg/㎠) 275 280 265 280 260
신율(%) 40 35 80 30 25
굴곡강도(kg/㎠) 500 510 490 520 500
굴곡탄성율(kg/㎠) 24,600 25,400 19,500 24,800 21,500
열변형온도(℃) 125 130 115 127 120
난연성(UL94) V-0 V-0 V-0 N.G V-2
위 표 1 및 2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경우 강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과 비교예 1~3을 대비하면, 수산화마그네슘 충진제가 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난연성의 저하 없이 강성과 내열성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반면, 수산화마그네슘 대신 탤크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강성과 내열성은 개선되었으나, 난연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대비하면,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비해 내열성과 난연성이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강성과 내열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하므로,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서 발열의 가능성이 있는 히터나 모터 주변의 플라스틱 부품 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38.0~93.8 중량부; (B) 할로겐계 난연제와 금속계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난연제 1.0~30.0 중량부; (C)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 5.0~30.0 중량부를 포함하되, 할로겐계 난연제가 브롬계 난연제로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A-bis(2,3-dibromopropyl ether))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S-비스(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tetrabromo-bisphenol-S-bis(2,3-dibromopropyl eth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금속계 난연조제가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수산화마그네슘계 충진제가 천연의 브루사이트(brucite)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상 수산화마그네슘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24,000 kg/㎠ 이상의 굴곡탄성율, 120℃ 이상의 열변형온도 및 UL-94 V-0급 이상의 난연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A)가 입체규칙성에 따른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가 95.0~99.0%이고,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1~10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핵제 1.0 중량부 이하; 및 (E) 난연제와 핵제를 제외한 첨가제 0.1~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핵제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포스페이트 소듐 염(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ol) phosphate sodium salt), 소듐 2,4,8,10-테트라-tert-부틸-6-옥소-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6-올레이트(sodium 2,4,8,10-tetra-tert-butyl-6-oxo-12H-dibenzo[d,g][1,3,2]dioxaphosphocin-6-olate), 1,3,2,4-비스-o-(3,4-디메틸 벤질리덴) 솔비톨(1,3,2,4-bis-o-(3,4-diemthyl benzylidene)sorbitol)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디-tert-부틸 벤조에이트(aluminum hydroxy di-tert-butyl benzoat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산화방지제,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24,000 kg/㎠ 이상의 굴곡탄성율, 120℃ 이상의 열변형온도 및 UL-94 V-0급 이상의 난연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KR1020180158984A 2018-12-11 2018-12-11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4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84A KR102148574B1 (ko) 2018-12-11 2018-12-11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84A KR102148574B1 (ko) 2018-12-11 2018-12-11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00A KR20200071900A (ko) 2020-06-22
KR102148574B1 true KR102148574B1 (ko) 2020-08-27

Family

ID=711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984A KR102148574B1 (ko) 2018-12-11 2018-12-11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530B1 (ko) * 2020-09-28 2022-10-12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용 고체촉매 및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2432759B1 (ko) * 2020-10-20 2022-08-12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내블루밍성과 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01772B1 (ko) * 2022-09-22 2023-02-21 주식회사 코솔러스 난연 마스터배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5763B1 (ko) * 2023-08-24 2024-02-14 서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40B1 (ko) 2005-12-23 2006-09-01 (주)삼화기업 난연성 필름용 무독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35B1 (ko) 1996-05-06 2004-09-24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난연성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20020000934A (ko) * 2000-06-22 2002-01-09 유현식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801823B1 (ko) * 2001-12-15 2008-02-11 삼성토탈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546077B1 (ko) * 2003-04-09 2006-01-24 한국화학연구원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1601286B1 (ko) 2010-02-17 2016-03-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난연 전자 기기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20120137864A (ko) * 2011-06-13 2012-12-24 (주)포스코켐텍 난연제용 수산화 마그네슘?적인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산화 마그네슘?적인 복합분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40B1 (ko) 2005-12-23 2006-09-01 (주)삼화기업 난연성 필름용 무독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00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574B1 (ko)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0791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39709B1 (ko)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5285B1 (ko)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E112010000865B4 (de) Flammhemmende thermoplastische Vulkanisate sowie daraus hergestellte Artikel
KR2021006704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738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90834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2432759B1 (ko) 내블루밍성과 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68848B1 (ko) 다양한 열원에 대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56832B1 (ko)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58938B1 (ko) 강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6387051B2 (ja) 非ハロゲン難燃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DE112017003897T5 (de) Flammhemmende Polyesterzusammensetzung
WO2014069489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WO1996025460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olefine cristalline et pieces d'isolation electrique fabriquees a partir de celle-ci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54445B1 (ko) 열선 점화 저항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7126538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101352680B1 (ko) 내부식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027316A (ko) 강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8147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702977B1 (ko) 광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94276B1 (ko) 인장특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48685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