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624A -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624A
KR20100075624A KR1020107010282A KR20107010282A KR20100075624A KR 20100075624 A KR20100075624 A KR 20100075624A KR 1020107010282 A KR1020107010282 A KR 1020107010282A KR 20107010282 A KR20107010282 A KR 20107010282A KR 20100075624 A KR20100075624 A KR 2010007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jack
lock
plug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446B1 (ko
Inventor
존 웨슬리 홀
더글라스 존 하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7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공동 각각의 내부에 연결부를 삽입하도록 삽입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삽입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갖는다. 유지 잠금부는 슬롯 내로 삽입되며 하우징 내에 홀드 되되, 유지 잠금부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을 각각의 공동 내에 잠근다.

Description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대체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유지 특징부를 갖는 다중 위치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RF) 동축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자동차용 라디오, 휴대폰, 에어백 경고 시스템, 및 다중매체 장치 등 많은 자동차 응용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동축 케이블은 통상 외부 도체, 내부 도체, 유전체 및 재킷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내부 도체는 종종 잭 및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정합 동축 케이블과 전기 접속한다. 이러한 통상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공지 기술,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6,676,445호 및 6,824,403호에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다른 타입의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를 종료(terminate)하도록 사용되는 와이어 단자 접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 접점은 와이어를 종료하기 위한 크림프(crimp) 단부 및 수 또는 암 정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접점은 압인 및 굽힘 되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플레이팅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점은 핀 또는 블레이드 타입 정합 단부를 갖는 접점과 정합하도록 대체로 박스형 정합 단부를 갖는다. 접점 박스 정합 단부는 커넥터의 공동(cavity)에 맞도록 외부 크기 및 형상 요구조건 그리고 정합 접점의 핀 또는 블레이드 접점을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 디자인을 갖는다. 대체로 박스형인 정합 단부를 갖는 현재의 접점에 있어서, 접점 또는 순응형(compliant) 빔은 핀 접점을 수용 및 유지하는 수단일 수 있다.
특정 자동차 응용 분야는 다중 케이블 및/또는 와이어가 단일 커넥터 조립체를 통해 결합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위치 커넥터 조립체는 두 개의 동축 잭 커넥터를 두 개의 동축 플러그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의 동축 커넥터 및 하나의 와이어 단자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내에 유지 수단을 가짐으로써 그 안에 전기 커넥터를 고정한다. 하나의 이러한 리테이너(retainer)는 커넥터를 제자리에 잠그도록 커넥터 위에서 적소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스틱 가동 부재이다. 이러한 가동 부재 중 몇몇은 축 방향으로 횡단 이동되며, 나머지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힌지 플랩(hinged flaps)으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예는 미국특허 제 7,347,745호, 7,223,131호 및 7,347,742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리테이너가 커넥터에 대해 요구되는 공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는 커넥터 하우징 위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문제가 된다. 또한, 이들 리테이너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는 유지 수단의 적절한 삽입을 위해 하우징 내에 정렬되어야만 한다.
해결 방안은 내부 유지 특징부를 가지며 쉽게 조립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공동(cavity)의 각각의 내부에 커넥터를 삽입하도록 삽입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동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그를 통과하며 제 1 섹션 및 더 넓은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잠금 챔버를 갖는다. 유지 잠금부는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유지된다. 상기 유지 잠금부는 상부 래치를 구비하는 스플릿 센터 포스트(split center post)를 가지며 상기 유지 잠금부는 상기 잠금 챔버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래치가 상기 잠금 챔버의 상기 더 넓은 제 2 섹션 내에서 잠그도록 한다. 상기 유지 잠금부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을 각각의 공동 내에 잠근다.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유지 특징부를 갖는 다중 위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사시도로서 바람직한 잭 조립체 및 바람직한 플러그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잭 조립체의 잭 하우징의 바닥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조립체용 유지 잠금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잭 조립체용 유지 잠금부의 선택적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잭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잭 조립체의 다른 절단 사시도이다.
도 8은 유지 잠금부의 일부를 통해 취해지는 잭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선택적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선택적 잭 조립체 및 선택적 플러그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잭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잭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선택적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된 바닥 사시도로서 선택적 잭 조립체 및 선택적 플러그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잭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잭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플러그 하우징의 바닥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은 전기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로서 바람직한 잭 조립체(102) 및 바람직한 플러그 조립체(10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잭 및 플러그 조립체(102, 104)는 서로 정합하여 그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잭 조립체(102)는 잭 하우징(106) 및 잭 하우징(106)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잭 커넥터(108)를 포함한다. 잭 유지 잠금부(110)는 잭 하우징(106) 내에 잭 커넥터(108)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플러그 조립체(104)는 플러그 하우징(116) 및 플러그 하우징(116)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18,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플러그 유지 잠금부(120)는 플러그 하우징(116) 내에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잭 및 플러그 조립체(102, 104)는 둘 다 하나의 커넥터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만드는 다중 커넥터(108, 118)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잭 및 플러그 조립체(102, 104)는 두 개의 커넥터(108, 118)를 각각 홀드 하는 두 개의 위치 조립체를 규정한다. 커넥터(108, 118)는 신호 또는 전력 커넥터,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커넥터 또는 와이어 종료 타입 커넥터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시스템(100)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자동차용 라디오 시스템, 휴대폰 시스템, 에어백 경고 시스템, 다중 매체 장치 시스템 등과 같은 자동차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고주파(RF)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주제는 자동차 응용 분야의 커넥터 시스템에 제한되도록 의도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100)은 단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다. 선택적으로, 잭 및 플러그 하우징(106, 116) 및 잭 및 플러그 커넥터(108, 118)는 FAKRA 표준과 같은 표준에 부합하도록 설계되는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할 수 있다.
도 2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잭 조립체(102) 및 플러그 조립체(10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커넥터 삽입 축선(112)을 따라 잭 하우징(106) 내로 로딩되는 잭 하우징(106) 및 잭 커넥터(108)를 도시한다. 잭 유지 잠금부(110)는 잠금 삽입 축선(114)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잭 하우징(106) 내로의 로딩 전에 잭 하우징(106)에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2는 또한 커넥터 삽입 축선(122)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116) 내로 로딩되는 플러그 하우징(116) 및 플러그 커넥터(118)를 도시한다. 플러그 유지 잠금부(120)는 잠금 삽입 축선(124)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116) 내로의 로딩 전에 플러그 하우징(116)과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잭 하우징(106)은 정합 섹션(1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132)을 포함한다. 커넥터 공동(134)은 정합 섹션(1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132)을 통해 삽입 축선(112)을 따라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134)은 잭 커넥터(108) 및 잭 하우징(106)을 수용하며 잭 유지 잠금부(110)는 커넥터 공동(134) 내에 잭 커넥터(108)를 홀드 하도록 협동한다. 도시된 2-위치 커넥터 시스템(100)에 있어서, 잭 조립체(102)는 두 개의 잭 커넥터(108)를 홀딩하기 위한 두 개의 커넥터 공동(134)을 포함한다. 정합 섹션(130)은 플러그 하우징(116)과 정합하여 플러그 조립체(104)와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 및/또는 올바른 플러그 조립체(104)에의 정합을 확인하도록 키잉(keying) 특징부(136)를 가질 수 있다. 정합 섹션(130)은 잭 조립체(102)를 플러그 조립체(104)에 잠그기 위한 캐치(138, catch)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유지 섹션(132)은 잭 커넥터(108)를 커넥터 공동(134) 내에 위치 및 홀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일차 유지 특징부(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잭 하우징(106)은 각각의 커넥터 공동(134)용 일차 유지 특징부(140)를 포함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140)는 잭 하우징(106) 내의 개방공(144)을 통해 커넥터 유지 섹션(132)의 외면(142)으로부터 커넥터 공동(134) 내에 위치되는 잠금 단부(146)까지 연장하는 곡선 빔이다. 일차 유지 특징부(140)는 잭 유지 잠금부(110)가 최종 위치에 설정될 때까지 잭 커넥터(108)를 설치 위치에 홀드 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140) 및 잭 유지 잠금부(110)는 협동하여 잭 커넥터(108)를 잭 하우징(106) 내에 홀드 한다.
각각의 잭 커넥터(108)는 외면(152)을 갖는 바디(1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잭 커넥터들(108)은 서로 동일하지만, 잭 커넥터(108)는 선택적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잭 커넥터(108)는 고주파 회로용 서브미니어처 버전 B(SMB)이지만, 다른 타입의 커넥터가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잭 커넥터(108)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일 수 있지만,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디(150)의 외면(152)은 삽입 축선(112)과 일치하는 중앙 축선을 따라 대체로 원통형이다. 외면(152)은 바디(150)의 길이를 따라 단차를 이루어 바디(150)가 길이를 따라 균일한 단면을 갖지 않도록 한다. 외면(152)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잠금부(11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14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결합 표면(154)을 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잭 커넥터(108)는 전방 및 후방 어깨부(158)를 갖는 원주방향 홈(156)을 포함한다. 홈(156) 및 어깨부(158)는 잠금 결합 표면(154)을 규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잭 커넥터(108)는 정합 단부(160) 및 케이블 종료 단부(162) 사이에서 연장한다. 잭 커넥터(108)는 내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및 외부 도체(166)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116)은 잭 하우징(106)과 유사하지만, 잭 하우징(106)은 캐치(138)를 포함하며, 플러그 하우징(116)은 래칭(latching) 조립체(168)를 포함한다. 래칭 조립체(168)는 캐치(138)에 대응하는 개방공을 제공하며, 잭 조립체(102)가 플러그 조립체(104)와 정합하는 경우, 캐치(138)는 래칭 조립체(168) 내에 홀드 되어 잭 하우징(106)을 플러그 하우징(116)에 잠근다.
플러그 하우징(116)은 정합 섹션(170) 및 커넥터 유지 섹션(172)을 포함한다. 커넥터 공동(174)은 정합 섹션(170) 및 커넥터 유지 섹션(172)을 통해 삽입 축선(122)을 따라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174)은 플러그 커넥터(118) 및 플러그 하우징(116)을 수용하며 플러그 유지 잠금부(120)는 플러그 커넥터(118)를 커넥터 공동(174) 내에 홀드 하도록 협동한다. 도시된 2-위치 커넥터 시스템(100)에 있어서, 플러그 조립체(104)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118)를 홀딩하기 위한 두 개의 커넥터 공동(174)을 포함한다. 정합 섹션(170)은 잭 하우징(106)과 정합하며 잭 조립체(102)와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 및/또는 올바른 잭 조립체(102)에의 정합을 확인하도록 키잉 특징부(176)를 가질 수 있다. 정합 섹션(170) 및 커넥터 유지 섹션(172)은 잭 조립체(102)를 플러그 조립체(104)에 잠그기 위한 래칭 조립체(168)를 포함한다.
커넥터 유지 섹션(172)은 플러그 커넥터(118)를 커넥터 공동(174) 내에 위치 및 홀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일차 유지 특징부(18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116)은 각각의 커넥터 공동(174)용 일차 유지 특징부(180)를 포함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180)는 각각의 커넥터 공동(174)용의 동일 유지 특징부일 수 있다. 일차 유지 특징부(180)는 플러그 하우징(116) 내의 개방공(184)을 통해 커넥터 유지 섹션(172)의 외면(182)으로부터 커넥터 공동(174) 내에 위치되는 잠금 단부(186)까지 연장하는 곡선 빔이다. 일차 유지 특징부(180)는 플러그 유지 잠금부(120)가 최종 위치에 설정될 때까지 플러그 커넥터(118)를 설치 위치 내에 홀드 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180) 및 플러그 유지 잠금부(120)는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118)를 플러그 하우징(116) 내에 홀드 한다.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118)는 외면(192)을 갖는 바디(19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들(118)은 서로 동일하지만, 플러그 커넥터들(118)은 선택적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18)는 SMB 커넥터이지만, 다른 타입의 커넥터가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차 유지 특징부(180)는 다른 타입의 커넥터에 대해 다를 수 있다. 바디(190)의 외면(192)은 삽입 축선(122)과 일치하는 중앙 축선을 따라 대체로 원통형이다. 외면(192)은 바디(190)의 길이를 따라 단차를 이루어 바디(190)가 길이를 따라 균일한 단면을 갖지 않도록 한다. 외면(192)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잠금부(12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18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결합 표면(194)을 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18)는 전방 및 후방 어깨부(198)를 갖는 원주방향 홈(196)을 포함한다. 홈(196) 및 어깨부(196)는 잠금 결합 표면(194)을 규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18)는 정합 단부(200) 및 케이블 종료 단부(202) 사이에서 연장한다. 플러그 커넥터(118)는 잭 커넥터(108)의 내부 및 외부 도체와 정합하기 위한 내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및 외부 도체(206)를 포함한다.
도 3은 잭 조립체(120, 도 1 및 도 2에 도시됨)의 잭 하우징(106)의 바닥 사시도이다. 잭 하우징(106)의 커넥터 유지 섹션(132)은 잭 하우징(106) 내에 규정되는 잠금 챔버(212)에 대해 개방되는 외면(142) 내의 슬롯(210)을 포함한다. 잠금 챔버(212)는 각각의 커넥터 공동(134)에 대해 개방된다. 슬롯(210)은 삽입 축선(112)에 대해 직교하는 잭 하우징(106)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210)은 양측 커넥터 공동(134) 위에서 연장한다. 슬롯(210)은 잭 유지 블록(110, 도 1에 도시됨)을 정렬시키기 위한 각각의 단부 내에 홈(214)을 포함한다. 잭 하우징(106)은 삽입 축선(112)의 방향으로 슬롯(21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216)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일(216)은 각각의 커넥터 공동(134)의 중앙과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일(216)은 잭 커넥터(108) 및/또는 잭 유지 잠금부(110)를 잭 하우징(106) 내에 조립하는 것을 돕는다.
도 4는 플러그 조립체(104, 도 1에 도시됨)용 유지 잠금부(12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120)는 바닥 빔(230),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232, 233), 및 스플릿 센터 포스트(234)를 갖는다. 외부 레그(232, 233)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236)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238)을 갖는다. 외면(238)은 그와 결합되는 경우 플러그 하우징(116)의 형상(도 1에 도시됨)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레그(232, 233) 및 포스트(234)는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118, 도 2에 도시됨)를 플러그 하우징(116) 내에 고정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234)는 상부 래치(242)까지 바닥 빔(230)에 직교하여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 중앙 빔(240)을 포함한다. 중앙 빔(240)은 서로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각각의 상부 래치(242)는 상부 램프(ramp) 표면(244) 및 래칭 표면(246)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120)는 바닥 빔(230)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248)을 포함한다. 슬롯(248)은 각각의 외부 레그(232, 233) 및 포스트(234) 사이에 위치된다. 슬롯(248)은 플러그 하우징(116)의 레일(216, 도 3에 도시됨)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120)는 각각의 외부 레그(232, 233)의 외면(238) 상에 가이드 레일(25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250)은 각각의 외부 레그(232, 233)의 팁(tip, 25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가이드 레일(250)은 플러그 하우징(116)의 슬롯(210) 내의 홈(214)과 정렬하여 유지 잠금부(120) 및 플러그 하우징(116) 사이에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유지 잠금부(120)는 바닥 빔(230) 및/또는 중앙 빔(240)을 따라 크러쉬(crush) 패드(258)를 포함할 수 있다. 크러쉬 패드(258)는 플러그 하우징(116)과 결합하여 유지 잠금부(120)를 플러그 하우징(116) 내에 홀드 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5는 잭 조립체(102, 도 1에 도시됨)용 유지 잠금부(110)의 측면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110)는 유지 잠금부(120, 도 4에 도시됨)와 유사하지만, 유지 잠금부(110)는 바디 클립 제공부(254)를 포함한다. 바디 클립 제공부(254)는 프레임, 섀시, 브래킷, 또는 기타 지지 구조물에 대한 장착용 개방공(256)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110, 120)가 잭 또는 플러그 조립체(102, 104)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유지 잠금부(110)가 잭 조립체(102) 내에 설치되고 유지 잠금부(120)가 도시된 실시예 내의 플러그 조립체(104) 내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유지 잠금부(110, 120)는 잭 조립체(102) 또는 플러그 조립체(104)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지 잠금부(110)는 바닥 빔(260),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262, 263), 및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를 갖는다. 외부 레그(262, 263)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266)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268)을 갖는다. 외면(268)은 그와 결합하는 경우 잭 하우징(106, 도 1에 도시됨)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레그(262, 263) 및 포스트(264)는 협동하여 잭 커넥터(108, 도 1에 도시됨)를 잭 하우징(106) 내에 고정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는 상부 래치(272)까지 바닥 빔(26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하는 중앙 빔(270)을 포함한다. 중앙 빔(270)은 서로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래치(272)는 상부 램프 표면(274) 및 래칭 표면(276)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110)는 바닥 단부(260)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278)을 포함한다. 슬롯(278)은 각각의 외부 레그(262, 263) 및 포스트(264) 사이에 위치된다. 슬롯(278)은 잭 하우징(106)의 레일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110)는 각각의 외부 레그(262, 263)의 외면(268) 상의 가이드 레일(28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280)은 각각의 외부 레그(262, 263)의 팁(28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가이드 레일(280)은 잭 하우징(106) 내에 형성되는 슬롯 내의 홈과 정렬하여 유지 잠금부(110) 및 잭 하우징(106)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유지 잠금부(110)는 바닥 빔(260) 및/또는 중앙 빔(270)을 따라 크러쉬 패드(288)를 포함할 수 있다. 크러쉬 패드(288)는 잭 하우징(106)과 결합하여 유지 잠금부(110)를 잭 하우징(106) 내에 홀드 하도록 돕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바람직한 조립 동작은 잭 조립체(102)를 조립하는 단계, 플러그 조립체(104)를 조립하는 단계, 및 잭 및 플러그 조립체(102, 104)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잭 및 플러그 조립체(102, 104)의 조립체는 유사하며, 조립 동작은 잭 조립체(102)를 참조로 설명된다.
잭 커넥터(108)는 커넥터 유지 섹션(132)을 통해 삽입 축선(112)을 따라 커넥터 공동(134) 내로 로딩되어 정합 섹션(130) 내로 들어간다. 로딩된 위치에서, 일차 유지 특징부(140)는 잭 커넥터(108)를 커넥터 공동(134) 내에 홀드 시킨다. 로딩 중에, 잭 커넥터(108)는 잭 하우징(106)의 슬롯(210)에 걸리거나 그 안에 떨어지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레일(216)은 슬롯(21)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잭 커넥터(108)가 슬롯(210)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216)은 커넥터 공동(134) 내에 대체로 중앙을 맞추는 잭 커넥터(108)를 홀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210)은 일차 유지 특징부(140)에 대체로 반대쪽에 위치된다. 잭 커넥터(108)가 잭 하우징(106) 내로 일단 로딩되고 나면, 유지 잠금부(110)는 잭 하우징(106) 내로 로딩된다. 유지 잠금부(110)는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챔버(212) 내로 슬롯(210)을 통해 잭 하우징(106) 내로 로딩된다. 상부 래치(272)는 유지 잠금부(110)를 잠금 챔버(212) 내에 고정한다. 로딩 시, 유지 잠금부(110)는 잠금 결합 표면(154)과 결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110)는 홈(156) 내에 끼워져서 잭 커넥터(108)를 커넥터 공동(134) 내에 잠근다. 유지 잠금부(110)가 슬롯(210) 내로 삽입되는 경우, 외부 레그(262, 263) 상의 가이드 레일(280)은 잭 하우징(106)의 홈(214) 내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도 6은 조립 상태에서 잭 조립체(102)의 절단 사시도이다. 잭 커넥터(108)는 커넥터 공동(134) 내로 로딩된다. 도 6은 잭 커넥터(108)를 지지하는 커넥터 유지 섹션(132)을 도시하며, 잭 커넥터(108) 및 커넥터 유지 섹션(132)의 표면들은 상보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잭 커넥터(108)가 잭 하우징(106)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도 6은 또한 잭 커넥터(108)와 결합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140)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차 유지 특징부(140)의 잠금 단부(146)는 커넥터 공동(134) 내에 위치되며 원주방향 홈(156) 내로 연장하여 전방 어깨부(158)와 결합한다.
도 7은 잠금 챔버(212) 내에 위치되는 유지 잠금부(110)를 도시하는 조립된 상태의 잭 조립체(102)의 다른 절단 사시도이다. 조립 시, 유지 잠금부(110)는 잭 커넥터(108)의 잠금 결합 표면(154)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110)의 외부 레그(262)는 잭 커넥터(108)의 외부를 따라 홈(15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110)의 포스트(264)는 잭 커넥터(108)의 내부를 따라 홈(156) 내에 위치된다. 포스트(264)의 일부는 도 7에 절단부로서 도시된다.
잭 하우징(106)의 잠금 챔버(212)는 제 1 섹션(290) 및 더 넓은 제 2 섹션(292)을 갖는 잭 하우징(106)의 대체로 중앙 내의 중앙 개방공을 포함한다. 제 2 섹션(292)은 잭 하우징(106)의 상부를 따라 개방되어, 상부 래치(272)가 잭 하우징(106)으로부터 유지 잠금부(110)를 제거하도록 상부 래치(272)를 해제하는 것과 같이, 잭 하우징(106)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레지(294, ledge)는 제 1 섹션(290)이 제 2 섹션(292)과 만나는 곳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110)가 잭 하우징(106) 내에 삽입됨에 따라,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의 중앙 빔(270)은 서로를 향해 바이어스되며 램프 표면(274)은 잭 하우징(106)의 중앙 개방공의 제 1 섹션(290)을 통해 삽입된다. 상부 래치(272)가 중앙 개방공의 제 2 섹션(292) 내로 이동함에 따라,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의 빔(270)은 해제되고 래칭 표면(276)은 레지(294) 위에 안착하여 유지 잠금부(110)를 잭 하우징(106) 내에 잠근다.
도 8은 유지 잠금부(110)를 통해 취해지는 잭 조립체(102)의 단면도이다. 유지 잠금부(110)는 잭 하우징(106) 내의 슬롯(210)을 통해 잠금 챔버(212) 내로 로딩된다. 도 8은 유지 잠금부(110)의 바닥 빔(260) 내의 슬롯(27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슬롯(210)을 가로지르는 레일(216)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278)은 각각의 외부 레그(262, 263) 및 포스트(264) 사이에 대체로 중앙을 이루지만, 슬롯(278)은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트(264)에 더 가깝거나 각각의 외부 레그(262, 26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홈(156) 내에 수용되는 유지 잠금부(110)를 구비하는 잭 커넥터(108)의 후방 어깨부(158)를 도시한다. 유지 잠금부(110)의 외부 레그(262)는 잭 커넥터(108)의 외부를 따라 홈(15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110)의 포스트(264)는 잭 커넥터(108)의 내부를 따라 홈(156)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레그(262) 및 포스트(264)는 협동하여 바디(150)의 거의 반 둘레의 잠금 결합 표면(154)과 원주 방향으로 결합한다.
도 9는 선택적 잭 조립체(302) 및 선택적 플러그 조립체(304)를 도시하는 선택적 전기 커넥터 시스템(300)의 사시도이다. 잭 및 플러그 조립체(302, 304)는 서로 정합하여 그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잭 조립체(302)는 잭 하우징(306) 및 잭 하우징(306) 내에 수용되는 잭 커넥터(308, 309,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잭 커넥터(308, 309)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 또는 종료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잭 유지 잠금부(310)는 잭 커넥터(308, 309)를 잭 하우징(306) 내에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플러그 조립체(304)는 플러그 하우징(316) 및 플러그 하우징(316)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318, 319,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318, 319)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되거나 종료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플러그 유지 잠금부(320)는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플러그 하우징(316) 내에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커넥터 시스템(300)은 잭 및 플러그 조립체(302, 304)가 두 개의 각기 다른 타입의 잭 커넥터(308, 309) 및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각각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100)과 유사하다. 선택적으로, 잭 커넥터(308) 중 하나 및 플러그 커넥터(318) 중 하나는 잭 및 플러그 커넥터(108, 118, 도 2에 도시됨)와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잭 커넥터(309) 및 다른 플러그 커넥터(319)는 잭 및 플러그 커넥터(108, 118)와 다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잭 및 플러그 커넥터(309, 319)는 SMB 타입 커넥터와 반대인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를 보여준다. 결국, 유지 잠금부(310, 320)는 유지 잠금부(110, 120, 도 1에 도시됨)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잭 및 플러그 하우징(306, 316)의 구조는 잭 및 플러그 하우징(106, 116, 도 1에 도시됨)과 다르며, 유지 잠금부(310, 320)의 구조는 유지 잠금부(110, 120)의 구조와 다르다.
도 10은 잭 조립체(302)의 분해 사시도이다. 잭 하우징(306)은 정합 섹션(3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33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 공동(334, 336)은 정합 섹션(3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332)을 통해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334, 336)은 잭 커넥터(308, 309)를 각각 수용한다. 잭 하우징(306) 및 잭 유지 잠금부(310)는 협동하여 잭 커넥터(308, 309)를 커넥터 공동(334, 336) 내에 홀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공동(334, 336)은 공통 중앙선을 따라 대체로 정렬되어 잭 커넥터(308, 309)가 서로 정렬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유지 섹션(332)은 일차 유지 특징부(140, 도 2에 도시됨)와 유사할 수 있으며, 잭 커넥터(308)를 커넥터 공동(334) 내에 위치 및 홀딩시키기 위해 제 1 커넥터 공동(334) 내로 연장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340)를 포함한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차 래치(342, 도 11에 도시됨)로 표현되는 각기 다른 타입의 일차 유지 특징부는 잭 커넥터(309)를 위치 및 홀딩시키기 위해 제 2 커넥터 공동(336) 내로 연장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340, 342)는 잭 커넥터(308, 309)를 설치 위치 내에 홀드 시키고 잭 유지 잠금부(310)와 협동하여 잭 커넥터(308, 309)를 각각의 커넥터 공동(334, 336) 내에 잠근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잭 커넥터(308)는 SMB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제 1 잭 커넥터(308)는 유지 잠금부(31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34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 표면(344)을 포함한다. 제 1 잭 커넥터(308)는 원주방향 홈(346)을 포함한다. 제 2 잭 커넥터(309)는 잭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로서 표현된다. 제 2 잭 커넥터(309)는 크림프 연결부와 같은 와이어의 단부에 대해 종료된다. 잭 커넥터(309)는 그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는 잠금 결합 표면(352)을 갖는 커넥터 바디(350)를 포함한다. 잭 커넥터(309)는 바디(250)의 전방으로부터 연장하는 핀(354)을 포함한다. 핀(354)은 플러그 커넥터(319, 도 12에 도시됨)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잠금부(310)는 바닥 빔(360) 상에 바디 클립 제공부(358)를 포함하는 바디 클립 타입의 유지 잠금부이다. 유지 잠금부(310)는 또한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362, 363) 및 스플릿 센터 포스트(364)를 포함한다. 제 1 외부 레그(362)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366)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368)을 갖는다. 외면(368)은 그와 결합시 잭 하우징(306)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외부 레그(362) 및 포스트(364)는 협동하여 잭 커넥터(308)를 잭 하우징(306) 내에 고정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364)는 바닥 빔(36)에 직교하여 상부 래치(372)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 중앙 빔(370)을 포함한다. 중앙 빔(370)은 서로를 향해 편향 가능하다. 각각의 상부 래치(372)는 상부 램프 표면(374) 및 래칭 표면(376)을 포함한다.
제 2 외부 레그(363)는 상부 래치(380)를 갖는 래치 레그(378) 및 바닥 빔(360)에 직교하여 연장하는 제 2 외부 레그(363)에 인접하는 잠금 빔(382)을 포함한다. 제 2 외부 레그(363)는 대체로 평평하며 바닥 빔(360)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외부 레그(363)는 포스트(364)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유지 잠금부(310)는 바닥 빔(360)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384)을 포함한다. 슬롯(384)은 각각의 외부 레그(362, 363) 및 포스트(364)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384)은 포스트(364)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슬롯(384)은 하우징(306)의 레일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레일은 잭 하우징(106, 도 3에 도시됨)의 레일(216)과 유사하다.
도 11은 잭 하우징(306) 내의 커넥터 공동(334, 336) 내로 로딩되는 잭 커넥터(308, 309)를 도시하는 잭 조립체(302)의 절단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310)는 또한 잭 하우징(306)의 잠금 챔버(386) 내의 로딩된 위치에 도시된다. 유지 잠금부(310)의 포스트(364)는 두 개의 잭 커넥터(308, 309)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트(364)는 두 개의 잭 커넥터(308, 309) 사이에서 연장하는 축선 바이-섹터(388, axis bi-sector)를 교차한다.
조립시, 유지 잠금부(310)는 잭 커넥터(308)의 잠금 결합 표면(344)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310)의 제 1 외부 레그(362)는 잭 커넥터(308)의 외부를 따라 홈(34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310)의 포스트(364)는 잭 커넥터(308)의 내부를 따라 홈(346) 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310)는 그에 따라 잭 커넥터를 잭 하우징(306) 내에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외부 레그(362)는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하여 잭 하우징(306)의 일차 유지 특징부(340, 도 10에 도시됨)를 보완한다.
도 11은 또한 제 2 잭 커넥터(309)를 제 2 커넥터 공동(336) 내에 잠그도록 잠금 결합 표면(352)과 결합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342, 예를 들면, 일차 래치(342))를 도시한다. 일차 래치(342)의 일부는 제 2 외부 레그(363, 도 10에 도시됨) 및 제 2 잭 커넥터(309) 사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310)의 제 2 외부 레그(363)는 일차 래치(342)를 백업하여 일차 래치(342)를 잠금 위치에 홀드 한다. 선택적으로, 잠금 빔(382)은 일차 래치(342)와 정렬되어 일차 래치(342)의 풀림을 방지한다. 제 2 외부 레그(363)는 그에 따라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한다.
도 12는 플러그 조립체(304)의 분해 사시도이다. 플러그 하우징(316)은 정합 섹션(4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43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 공동(434, 436)은 정합 섹션(4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432)을 통해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434, 436)은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각각 수용한다. 플러그 하우징(316) 및 플러그 유지 잠금부(320)는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커넥터 공동(434, 436) 내에 홀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공동(434, 436)은 공통 중앙선을 따라 대체로 정렬되어 플러그 커넥터(318, 319)가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유지 섹션(432)은 플러그 커넥터(318)를 제 1 커넥터 공동(434) 내에 위치 및 홀딩하기 위해 제 1 커넥터 공동(434) 내로 연장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440)를 포함한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차 래치(442, 도 13에 도시됨)로서 표시되는, 각기 다른 형태의 일차 유지 특징부는 플러그 커넥터(319)를 위치 및 홀딩하기 위해 제 2 커넥터 공동(436) 내로 연장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440, 442)는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설치 위치에 홀드 하며, 플러그 유지 잠금부(320)와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각각의 커넥터 공동(434, 436) 내에 잠근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커넥터(318)는 SMB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제 1 플러그 커넥터(318)는 유지 잠금부(32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44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 표면(444)을 포함한다. 제 1 플러그 커넥터(318)는 원주방향 홈(446)을 포함한다. 제 2 플러그 커넥터(319)는 플러그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제 2 플러그 커넥터(319)는 크림프(crimp) 연결부와 같은 와이어의 단부에서 종료된다. 플러그 커넥터(319)는 그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는 잠금 결합 표면(452)을 갖는 커넥터 바디(45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319)는 바디(450)의 전방에 소켓(454)을 포함한다. 소켓(454)은 잭 커넥터(309, 도 10에 도시됨)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잠금부(320)는 바닥 빔(460),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462, 463) 및 스플릿 센터 포스트(464)를 포함한다. 제 1 외부 레그(462)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466)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468)을 갖는다. 외면(468)은 그와 결합시 플러그 하우징(316)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외부 레그(462) 및 포스트(464)는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318)를 플러그 하우징(316) 내에 고정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464)는 바닥 빔(46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 래치(472)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하는 중앙 빔(470)을 포함한다. 중앙 빔(470)은 서로를 향해 편향 가능하다. 각각의 상부 래치(472)는 상부 램프 표면(474) 및 래칭 표면(476)을 포함한다.
제 2 외부 레그(463)는 상부 래치(480)를 갖는 래치 레그(478), 및 바닥 빔(460)과 평행한 래치 레그(478)에서 제 1 단부(486)로부터 제 2 단부(488)까지 연장하는 바닥 빔(460)에 인접하는 제 1 섹션(484) 및 제 2 단부(488)로부터 바닥 빔(460)을 향해 연장하는 제 2 섹션(490)을 갖는 잠금 빔(4782)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320)는 바닥 빔(460)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492)을 포함한다. 슬롯(492)은 각각의 외부 레그(462, 463) 및 포스트(464)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492)은 포스트(464)에 인접 위치된다. 슬롯(492)은 플러그 하우징(316)의 레일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레일은 잭 하우징(106, 도 4에 도시됨)의 레일(216)과 유사하다.
도 13은 플러그 하우징(316) 내의 커넥터 하우징(434, 436) 내로 로딩되는 플러그 커넥터(318, 319)를 도시하는 플러그 조립체(304)의 절단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320)는 또한 플러그 하우징(316)의 잠금 챔버(494) 내의 로딩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유지 잠금부(320)의 포스트(464)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318, 319)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트(464)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318, 319) 사이에서 연장하는 축선 바이-섹터(496)를 교차한다.
조립시, 유지 잠금부(320)는 플러그 커넥터(318)의 잠금 결합 표면(444)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320)의 제 1 외부 레그(462)는 플러그 커넥터(318)의 외부를 따라 홈(44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320)의 포스트(464)는 플러그 커넥터(318)의 내부를 따라 홈(446) 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320)는 그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316) 내에 플러그 커넥터(318)를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외부 레그(462)는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하여 플러그 하우징(316)의 일차 유지 특징부(440, 도 10에 도시됨)를 보완한다.
도 13은 또한 제 2 플러그 커넥터(319)를 제 2 커넥터 공동(436) 내에 잠그도록 잠금 결합 표면(452)과 결합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442, 예를 들면, 일차 래치(442))를 도시한다. 일차 래치(442)의 일부는 제 2 외부 레그(463)의 잠금 빔(488) 및 제 2 플러그 커넥터(319) 사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320)의 잠금 빔(488)은 일차 래치(442)를 지원하여 일차 래치(442)를 잠금 위치에 홀드 한다. 제 2 외부 레그(463)는 그에 따라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한다. 유지 잠금부(320)가 플러그 하우징(316) 내에 설치됨에 따라, 제 2 외부 레그(463)의 제 2 섹션(496)은 플러그 와이어 단자 커넥터(319)의 표면에 대해 잠기어 플러그 와이어 단자 커넥터(319)의 우발적 분리를 방지한다.
도 14는 플러그 조립체(304)의 정합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플러그 조립체(304)의 정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318, 319)의 커넥터 중앙선은 서로 정렬된다. 축선 바이-섹터(496)는 커넥터 중앙선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조립체(304)의 외주는 플러그 조립체(104, 도 1에 도시됨)의 외주와 거의 유사하다. 그에 따라, 조립체(104, 304)를 제조하는 가공 방식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조립체(104, 304)의 장착도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체(104, 304)는 패널 내의 개방공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조립체(104, 304)는 동일한 패널 개방공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선택적 잭 조립체(502) 및 선택적 플러그 조립체(504)를 도시하는 다른 선택적 전기 커넥터 시스템(500)의 조립 바닥 사시도이다. 잭 및 플러그 조립체(502, 504)는 서로 정합되어 그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잭 조립체(502)는 잭 하우징(506) 및 잭 하우징(506) 내에 수용되는 잭 커넥터(507, 508, 509, 도 1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잭 커넥터(507, 508, 509)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 또는 종료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잭 유지 잠금부(510)는 잭 커넥터(507, 508, 509)를 잭 하우징(506) 내에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플러그 조립체(504)는 플러그 하우징(516) 및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 도 18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 및 종료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플러그 유지 잠금부(520)는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커넥터 시스템(500)은, 잭 및 플러그 조립체(502, 504)가 세 개의 잭 커넥터(507, 508, 509) 및 세 개의 플러그 커넥터(517, 718, 519)를 각각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시스템(300)과 유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잭 조립체(502)는 외부 커넥터인 두 개의 SMB 타입 커넥터 및 단일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조립체(504)는 외부 커넥터인 두 개의 SMB 타입 커넥터 및 단일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를 포함한다. 결국, 유지 잠금부(510, 520)가 유지 잠금부(310, 320, 도 9에 도시됨)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하더라도, 잭 및 플러그 하우징(506, 516)의 구조는 잭 및 플러그 하우징(306, 316, 도 9에 도시됨)과 다르며, 유지 잠금부(510, 520)의 구조는 유지 잠금부(310, 320)의 구조와 다르다.
도 16은 잭 조립체(502)의 분해 사시도이다. 잭 하우징(506)은 정합 섹션(5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532)을 포함한다. 먼저,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 공동(534, 536, 538)은 정합 섹션(5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532)을 통해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534, 536, 538)은 잭 커넥터(507, 508, 509)를 각각 수용한다. 잭 하우징(506) 및 잭 유지 잠금부(510)는 협동하여 잭 커넥터(507, 508, 509)를 커넥터 공동(534, 536, 538) 내에 홀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공동(534, 536, 538)은 공통 중앙선을 따라 대체로 정렬되어 잭 커넥터(507, 508, 509)가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534, 538)은 서로 거의 동일하며,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534, 538)이 아닌, 제 2 커넥터 공동(536)의 양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유지 섹션(532)은 제 1 및 제 3 잭 커넥터(507, 509)를 커넥터 공동(534, 538) 내에 각각 위치 및 홀딩시키도록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534, 534) 내로 연장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54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잭 커넥터(507, 509)는 하우징(506)의 외부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외부 잭 커넥터를 규정한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차 래치(542, 도 17에 도시됨)로 표현되는 각기 다른 형태의 일차 유지 특징부는 제 2 잭 커넥터(508)를 위치 및 홀딩하기 위해 제 2 커넥터 공동(536) 내로 연장한다. 제 2 잭 커넥터(508)는 외부 잭 커넥터(507, 509) 사이에 대체로 위치되는 중간 잭 커넥터를 규정하며, 중간 잭 커넥터(508)는 외부 잭 커넥터(507, 509)에 대해 상부 또는 바닥을 향해 오프셋 될 수 있다. 중간 잭 커넥터(508)가 반드시 하우징(506)의 외부 에지 사이에서 중심을 맞추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일차 유지 특징부(540, 542)는 잭 커넥터(507, 508, 509)를 설치 위치에 홀드 하며, 잭 유지 잠금부(510)와 협동하여 잭 커넥터(507, 508, 509)를 각각의 커넥터 공동(534, 536, 538) 내에 잠근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잭 커넥터(507, 509)는 SMB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선택적으로, 제 1 및 제 3 잭 커넥터(507, 509)는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은 제 1 잭 커넥터(507)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제 3 잭 커넥터(509)도 유사한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1 잭 커넥터(507)는 유지 잠금부(51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54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 표면(544)을 포함한다. 제 1 잭 커넥터(507)는 원주방향 홈(546)을 포함한다.
제 2 잭 커넥터(508)는 잭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제 2 잭 커넥터(508)는 크림프 연결부와 같은 와이어의 단부에서 종료된다. 잭 커넥터(508)는 그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는 잠금 결합 표면(552)을 갖는 커넥터 바디(550)를 포함한다. 잭 커넥터(508)는 바디(550)의 전방으로부터 연장하는 핀(554)을 포함한다. 핀(554)은 플러그 커넥터(518, 도 18에 도시됨)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잠금부(510)는 바닥 빔(556),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558, 560), 한 쌍의 스플릿 센터 포스트(562), 및 센터 포스트(562)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앙 레그(564)를 포함한다. 외부 레그(558, 560)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556)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568)을 갖는다. 외면(568) 및 바닥 빔(556)은 그와 결합시 잭 하우징(506)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외부 레그(558) 및 포스트들(562) 중 하나는 협동하여 제 1 잭 커넥터(507)를 잭 하우징(506) 내에 고정한다. 제 2 외부 레그(560) 및 다른 포스트(562)는 협동하여 제 3 잭 커넥터(509)를 잭 하우징(506) 내에 고정한다. 중앙 레그(564)는 바닥 빔(556)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562) 각각은 바닥 빔(55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 래치(572)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 중앙 빔(570)을 포함한다. 중앙 빔(570)은 서로를 향해 편향 가능하다. 각각의 상부 래치(572)는 상부 램프 표면(574) 및 래칭 표면(576)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510)는 바닥 빔(556)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578)을 포함한다. 슬롯(578)은 각각의 외부 레그(558, 560) 및 포스트(562)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578)은 포스트(56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슬롯(578)은 잭 하우징(506)의 레일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레일은 잭 하우징(106, 도 5에 도시됨)의 레일(216)과 유사하다.
도 17은 잭 하우징(506) 내의 커넥터 공동(534, 536, 538) 내로 로딩되는 잭 커넥터(507, 508, 509)를 도시하는 잭 조립체(502)의 절단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510)는 또한 잭 하우징(506)의 잠금 챔버(580) 내의 로딩된 위치에 도시된다. 유지 잠금부(510)의 포스트들(562)은 각각의 잭 커넥터(507, 508, 509)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포스트들(562) 중 하나는 제 1 및 제 3 잭 커넥터(507, 508) 사이에 위치되며, 다른 포스트(562)는 제 2 및 제 3 잭 커넥터(508, 509)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트(562)는 인접하는 잭 커넥터(507, 508, 509)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각각의 축선 바이-섹터(582, 584)를 교차한다.
조립시, 유지 잠금부(510)는 잭 커넥터(507, 509)의 잠금 결합 표면(544)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510)의 제 1 외부 레그(558)는 잭 커넥터(507)의 외부를 따라 홈(54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510)의 포스트(562)는 잭 커넥터(507)의 내부를 따라 홈(546) 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510)는 그에 따라 잭 커넥터(508)를 잭 하우징(506) 내에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외부 레그(558)는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하여 잭 하우징(506)의 일차 유지 특징부(540)를 보완한다. 유지 잠금부(510)는 제 3 잭 커넥터를 유사한 방식으로 홀드 하도록 작동한다.
도 17은 또한 제 2 잭 커넥터(508)를 제 2 커넥터 공동(536)에 잠그도록 잠금 결합 표면(552)과 결합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542, 예를 들면, 일차 래치(542))를 도시한다. 일차 래치(542)의 일부는 중앙 레그(564, 도 16에 도시됨) 및 제 2 잭 커넥터(508) 사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510)의 중앙 레그(564)는 일차 래치(542)를 지원하여 일차 래치(542)를 잠금 위치에 홀드 한다. 중앙 레그(564)는 그에 따라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한다.
도 18은 플러그 조립체(504)의 분해 사시도이다. 플러그 하우징(516)은 정합 섹션(6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632)을 포함한다. 먼저,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 공동(634, 636, 638)은 정합 섹션(630) 및 커넥터 유지 섹션(632)을 통해 연장한다. 커넥터 공동(634, 636, 638)은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각각 수용한다. 플러그 하우징(516) 및 플러그 유지 잠금부(520)는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커넥터 공동(634, 636, 638) 내에 홀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공동(634, 636, 638)은 공통 중심선을 따라 대체로 정렬되어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가 서로 정렬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634, 638)은 서로 거의 동일하며,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634, 638)이 아닌, 제 2 커넥터(636)의 양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유지 섹션(632)은 외부 플러그 커넥터(517, 519)를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634, 638) 내에 각각 위치 및 홀딩시키기 위해 커넥터 공동(634, 638) 내로 연장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6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차 래치(642, 도 20에 도시됨)로 표현되는, 각기 다른 타입의 일차 유지 특징부는 중간 플러그 커넥터(518)를 위치 및 홀딩시키도록 제 2 커넥터 공동(636) 내로 연장한다. 일차 유지 특징부는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설치 위치에 홀드 하며 플러그 유지 잠금부(520)와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각각의 커넥터 공동(634, 636, 638) 내에 잠근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플러그 커넥터(517, 519)는 SMB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선택적으로, 제 1 및 제 3 플러그 커넥터(517, 519)는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은 제 1 플러그 커넥터(517)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제 3 플러그 커넥터(519)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1 플러그 커넥터(517)는 유지 잠금부(520) 및/또는 일차 유지 특징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 표면(644)을 포함한다. 제 1 플러그 커넥터(517)는 원주방향 홈(646)을 포함한다.
제 2 플러그 커넥터(518)는 플러그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로 표현된다. 제 2 플러그 커넥터(518)는 크림프 연결부와 같은 와이어의 단부에서 종료된다. 플러그 커넥터(518)는 그의 후방 단부와 인접하는 잠금 결합 표면(652)을 갖는 커넥터 바디(65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518)는 바디(650)의 전방에서 소켓(654)을 포함한다. 소켓(654)은 제 2 잭 커넥터(508, 도 6에 도시됨)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잠금부(520)는 바닥 빔(656), 제 1 및 제 2 외부 레그(658, 660), 한 쌍의 스플릿 센터 포스트(662), 및 중앙 포스트들(662)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앙 레그(66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520)는 바디 클립 제공부(665)를 포함한다. 외부 레그(658, 660)는 대체로 아치형 내면(667) 및 대체로 아치형 외면(668)을 갖는다. 외면(668) 및 바닥 빔(656)은 그와 결합시 플러그 하우징(516)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외부 레그(658) 및 포스트들(662) 중 하나는 협동하여 제 1 플러그 커넥터(517)를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고정한다. 제 2 외부 레그(660) 및 다른 포스트(662)는 협동하여 제 3 플러그 커넥터(519)를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고정한다. 중앙 레그(664)는 바닥 빔(656)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스플릿 센터 포스트(662)는 각각 바닥 빔(65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 래치(672)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인접 중앙 빔(670)을 포함한다. 중앙 빔(670)은 서로를 향해 편향 가능하다. 각각의 상부 래치(672)는 상부 램프 표면(674) 및 래칭 표면(676)을 포함한다.
유지 잠금부(520)는 바닥 빔(656)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678)을 포함한다. 슬롯(678)은 각각의 외부 레그(658, 660) 및 포스트(662)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678)은 포스트(662)에 인접 위치된다. 슬롯(678)은 플러그 하우징(516)의 레일(684, 도 19에 도시됨)과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도 19는 플러그 조립체(504, 도 15에 도시됨)의 플러그 하우징(516)의 바닥 사시도이다. 플러그 하우징(516)의 커넥터 유지 섹션(632)은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규정되는 잠금 챔버(682)에 대해 개방되는 슬롯(680)을 포함한다. 잠금 챔버(682)는 각각의 커넥터 공동(634, 636, 638)에 대해 개방한다. 슬롯(680)은 커넥터 공동(634, 636, 638)의 중앙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플러그 하우징(516)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680)은 세 개의 커넥터 공동(634, 636, 638) 모두의 위에서 연장한다. 플러그 하우징(516)은 중앙 축선의 방향으로 슬롯(68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684)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516)은 제 1 및 제 3 커넥터 공동(634, 638)을 가로질러 연장하여 제 1 및 제 3 플러그 커넥터(517, 519, 도 18에 도시됨)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레일(58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레일은 커넥터 공동(634, 638)의 각각의 중심선으로부터 안쪽으로 오프셋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일(684)은 플러그 커넥터(517, 519) 및/또는 플러그 유지 잠금부(520)를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조립하도록 돕는다.
도 20은 플러그 하우징(516) 내의 커넥터 공동(634, 636, 638) 내로 로딩되는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를 도시하는 플러그 조립체(504)의 절단 사시도이다. 유지 잠금부(520)는 또한 플러그 하우징(516)의 잠금 챔버(682) 내의 로딩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유지 잠금부(520)의 포스트들(662)은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517, 518, 519)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포스트들(662) 중 하나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커넥터(517, 518) 사이에 위치되며 다른 포스트(662)는 제 2 및 제 3 플러그 커넥터(518, 519)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트(662)는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517, 518) 및 (518, 519) 사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축선 바이-섹터(692, 694)를 교차한다.
조립시, 유지 잠금부(520)는 플러그 커넥터(517, 519)의 잠금 결합 표면(644)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잠금부(520)의 제 1 외부 레그(658)는 플러그 커넥터(517)의 외부를 따라 홈(646) 내에 위치되며, 유지 잠금부(520)의 포스트(662)는 플러그 커넥터(517)의 내부를 따라 홈(646) 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520)는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517)를 플러그 하우징(516) 내에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외부 레그(658)는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하여 플러그 하우징(516)의 일차 유지 특징부를 보완한다. 유지 잠금부(520)는 제 3 플러그 커넥터(519)를 유사한 방식으로 홀드 하도록 작동한다.
도 20은 또한 제 2 플러그 커넥터(518)를 제 2 커넥터 공동(636)에 잠그도록 잠금 결합 표면(652)과 결합하는 일차 유지 특징부(642, 예를 들면, 일차 래치(642))를 도시한다. 일차 래치(642)의 일부는 중앙 레그(664, 도 18에 도시됨) 및 제 2 플러그 커넥터(518) 사이에 위치된다. 유지 잠금부(520)의 중앙 레그(664)는 일차 래치(642)를 지원하여 일차 래치(642)를 잠금 위치 내에 홀드 한다. 중앙 레그(664)는 그에 따라 이차 잠금 특징부로서 작동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및 잭 커넥터를 각각 갖는 플러그 및 잭 조립체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각각의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정렬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의 중심선은 서로에 대해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SMB 타입 커넥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는 단지 SMB 타입 커넥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케이블의 단부에서 종료되는 와이어 단자 타입 커넥터와 같은 SMB 커넥터(들)에 더하여, 다른 타입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립체는 각각의 커넥터용 일차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차 유지 특징부는 커넥터를 홀딩하는 공동 내로 연장하는 래치일 수 있다. 각각의 조립체는 일차 유지 특징부의 백업인 이차 잠금 특징부로도 사용되는 유지 잠금부를 포함한다. 이차 잠금 특징부는 커넥터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커넥터가 공동 내에 잠기는 것을 보장하도록 일차 유지 특징부를 백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SMB 타입 커넥터는 홈을 포함하며 유지 잠금부는 커넥터를 각각의 공동 내에 고정하도록 홈 내에 끼워진다. 유지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플릿 빔 포스트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의 하우징 내의 잠금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부 래치를 가짐으로써 유지 잠금부를 하우징 내에 고정한다. 포스트는 인접하는 접점 사이에서 연장한다. 각각의 하우징은 유지 잠금부가 로딩되는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은 슬롯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한다. 레일은 공동 내에 커넥터를 두도록 각각의 공동 내의 커넥터를 지지하고 커넥터가 슬롯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바, 이는 커넥터가 공동 내에서 오정렬되도록 할 수 있고/있거나 유지 잠금부가 잠금 챔버 내로 로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예시적인 의미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 (및/또는 그의 양태)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많은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지침에 대해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적용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구성요소의 치수, 물질 형태,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의 숫자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변수를 규정하도록 의도되며, 제한적 의미를 갖지 않으며 단순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의 많은 기타 실시예 및 변형예는 전술한 설명을 검토하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료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는 그에 따라 이러한 청구범위가 권리를 받게 되는 범위의 균등물의 전체 범주에 걸쳐 첨부한 청구범위를 참조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한 청구범위에 있어서, "구비하다" 및 "하는바"와 같은 용어는 각각의 용어 "포함하다" 및 "있어서"의 평이한 균등 용어로서 사용된다. 게다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등의 용어는 단순히 호칭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 대상에 대해 숫자의 조건을 부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 대한 제한은, 추가 구조 없는 기능의 언급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단" 구절을 명확히 사용하든 하지 않든, 수단+기능 방식으로 쓰이지 않으며 35 U.S.C. 112조 6항을 토대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506: 잭 하우징 507, 508, 509: 잭 커넥터
510: 잭 유지 잠금부 530: 정합 섹션
532: 커넥터 유지 섹션
534, 536, 538: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 공동

Claims (10)

  1. 전기 커넥터 조립체(102, 104, 302, 304, 502, 504)에 있어서,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를 하나 이상의 공동(134, 334, 336, 434, 436, 534, 536, 538, 634, 636, 638)의 각각 내에 삽입하도록 삽입 축선(112, 122)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동(134, 334, 336, 434, 436, 534, 536, 538, 634, 636, 638)을 갖는 하우징(106, 116, 306, 316, 506, 516)으로서, 상기 삽입 축선(112, 12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210, 680)을 가지며, 그를 통과하는 제 1 섹션(290) 및 더 넓은 제 2 섹션(292)를 포함하는 잠금 챔버(212, 386, 494, 580, 682)를 갖는 상기 하우징(106, 116, 306, 316, 506, 516); 및
    상기 슬롯(210, 680)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6, 116, 306, 316, 506, 516) 내에 홀드 되는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로서, 상부 래치(272, 242, 372, 380, 472, 480, 572, 672)를 구비하는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 234, 364, 464, 562, 662)를 갖는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는 상기 잠금 챔버(212, 386, 494, 580, 682)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상부 래치(272, 242, 372, 380, 472, 480, 572, 672)가 상기 잠금 챔버(212, 386, 494, 580, 682)의 상기 더 넓은 제 2 섹션(292) 내에 잠기도록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 각각을 각각의 공동(134, 334, 336, 434, 436, 534, 536, 538, 634, 636, 638) 내에 잠그는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6, 116, 306, 316, 506, 516)은 각각의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를 각각의 공동(134, 334, 336, 434, 436, 534, 536, 538, 634, 636, 638) 내에 잠그기 위한 일차 유지 특징부(140, 180, 340, 342, 440, 442, 540, 542, 640, 64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10, 680)은 상기 삽입 축선(112, 122)에 대해 평행한 상기 슬롯(210, 68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216, 684)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216, 684)과 정렬 및 그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78, 248, 384, 492, 578, 678)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 234, 364, 464, 562, 662)는 서로를 향해 편향 가능한 두 개의 중앙 빔(270, 240, 370, 470, 570, 67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빔(270, 240, 370, 470, 570, 670)은 상기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 234, 364, 464, 562, 662)가 상기 제 1 섹션(290)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 2 섹션(292) 내에서 해제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바이어스 하며, 상기 상부 래치(272, 242, 372, 380, 472, 480, 572, 672)는 상기 하우징 위에서 레지(294)와 정렬하여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를 상기 하우징(106, 116, 306, 316, 506, 516) 내에 잠그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각각은 결합 표면(154, 194, 344, 352, 444, 452, 544, 552, 644, 652)을 가지며,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결합 표면(154, 194, 344, 352, 444, 452, 544, 552, 644, 652)과 결합하도록 상기 인접 스플릿 센터 포스트(264, 234, 364, 464, 562, 662)와 협동하는 외부 레그(262, 263, 232, 233, 362, 363, 462, 463, 558, 560, 658, 66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어 단자 커넥터(309, 319, 508, 518)이며, 상기 하우징(306, 316, 506, 516)은 상기 와이어 단자 커넥터(309, 319, 508, 518)와 결합하는 일차 래치(342, 542, 642)를 가지며, 상기 유지 잠금부(310, 320, 510, 520)는 상기 일차 래치(342, 542, 642)의 이차 잠금을 위해 상기 일차 래치와 결합하는 레그(382, 564, 664)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넥터 공동 중 하나에 수용되는 SMB 타입 커넥터(108, 118, 308, 318, 507, 509, 516, 519)이며 상기 일차 유지 특징부(140, 180, 340, 342, 440, 442, 540, 542, 640, 642) 중 하나에 의해 그 안에 홀드 되며, 상기 SMB 커넥터는 원통형 바디 및 잠금 결합 표면(154, 194, 344, 452, 544, 644)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넥터 공동 중 하나에 수용되는 와이어 단자 커넥터(309, 319, 508, 518)이며, 상기 와이어 단자 커넥터는 잠금 결합 표면(352, 452, 552, 652)을 가지며, 상기 일차 유지 특징부(342, 442, 542, 642) 중 하나는 상기 와이어 단자 커넥터의 상기 잠금 결합 표면과 결합하며;
    상기 유지 잠금부(110, 120, 310, 320, 510, 520)는 상기 잠금 챔버(212, 386, 494, 580, 682) 내에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108, 118, 308, 309, 318, 319, 507, 508, 509, 517, 518, 519) 각각을 상기 각각의 커넥터 공동(134, 334, 336, 434, 436, 534, 536, 538, 634, 636, 638) 내에 홀드 하며, 상기 SMB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홀드 하도록 상기 SMB 커넥터의 상기 잠금 결합 표면과 결합하는 제 1 레그를 가지며, 상기 일차 유지 특징부의 이차 잠금을 위해 상기 와이어 단자 커넥터의 상기 잠금 결합 표면과 결합하는 상기 일차 유지 특징부와 결합하는 제 2 레그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유지 특징부(342, 442, 542, 642)는 상기 와이어 단자 커넥터(309, 319, 508, 518) 및 상기 제 2 레그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07010282A 2007-11-15 2008-11-14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100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407P 2007-11-15 2007-11-15
US61/003,174 2007-11-15
US12/270,497 US7682205B2 (en) 2007-11-15 2008-11-13 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2/270,497 2008-11-13
PCT/US2008/012825 WO2009064484A1 (en) 2007-11-15 2008-11-14 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624A true KR20100075624A (ko) 2010-07-02
KR101100446B1 KR101100446B1 (ko) 2011-12-29

Family

ID=4022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82A KR101100446B1 (ko) 2007-11-15 2008-11-14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82205B2 (ko)
EP (1) EP2218145B1 (ko)
JP (1) JP5131940B2 (ko)
KR (1) KR101100446B1 (ko)
CN (1) CN101861682B (ko)
BR (1) BRPI0818785A2 (ko)
CA (1) CA2702928C (ko)
ES (1) ES2509365T3 (ko)
WO (1) WO2009064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14090A (es) * 2006-05-08 2009-02-04 Multi Holding Ag Conexion de enchufe de acoplamiento.
JP4977780B2 (ja) 2007-06-18 2012-07-18 マック トラ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始動システム・モニタを含むエンジン
CH702048B1 (de) * 2008-03-14 2011-04-29 Huber+Suhner Ag Mehrfach-Koaxialkabel-Steckverbindung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olchen Mehrfach-Koaxialkabel-Steckverbindung.
US7824218B2 (en) * 2008-09-30 2010-11-02 Amphenol Corporation Contact holder assembly
DE202008015000U1 (de) * 2008-11-12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Steckverbinder
US7811139B1 (en) * 2009-03-19 2010-10-12 Amphenol Corporation Multi-port cable connector with two-stage retention clips
WO2010110278A1 (ja) * 2009-03-24 2010-09-30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GB2469023B (en) * 2009-03-30 2013-01-02 Tyco Electronics Ltd Uk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ne
CN102714374B (zh) * 2009-12-21 2016-08-17 Fci公司 连接器组件
JP5506439B2 (ja) 2010-02-05 2014-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0009598U1 (de) * 2010-06-28 2010-09-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Außenleiterschirm
DE102011002991A1 (de) * 2011-01-21 2012-07-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Kontaktverrastungssystem zur temporären Primärverrastung von elektrischen Kontakten in Steckverbindungen
JP5668983B2 (ja) * 2011-04-05 2015-02-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5707252B2 (ja) * 2011-06-24 2015-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51066B2 (en) 2011-07-22 2015-02-1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8721374B2 (en) * 2011-07-22 2014-05-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DE102012007481B4 (de) * 2012-04-13 2017-08-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Kontaktverriegelungsmittel
US8740629B1 (en) * 2012-11-29 2014-06-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assembly
US8834195B2 (en) 2012-12-04 2014-09-16 Amphenol Corporation Cable connector system
JP5700070B2 (ja) * 2013-06-03 2015-04-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3707480U (zh) * 2014-01-26 2014-07-0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
CN203707415U (zh) 2014-01-26 2014-07-0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端子
US9595795B2 (en) * 2014-12-09 2017-03-14 Te Connectivity Corporation Header assembly
US9735491B2 (en) * 2015-07-15 2017-08-15 Dynomax Inc. Easily removable contacts for micro connectors
US9472900B1 (en) * 2015-12-14 2016-10-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onance control
CN105633671B (zh) * 2016-02-03 2018-04-06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高压连接器插座
US11527846B2 (en) * 2016-02-12 2022-12-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0950970B2 (en) * 2018-04-04 2021-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9692168B1 (en) * 2016-03-17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Header assembly
US10333241B2 (en) * 2016-07-12 2019-06-25 Dynomax Inc. Easily removable contacts for micro connectors
US9882317B1 (en) * 2016-09-15 2018-01-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US9929519B1 (en) * 2016-09-22 2018-03-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DE102017112629B4 (de) * 2017-06-08 2019-11-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einem Verriegelungsteil
US10038269B1 (en) * 2017-06-29 2018-07-31 Cisco Technology, Inc. Self-locking electrical cable retainer
JP2019040729A (ja) * 2017-08-24 2019-03-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ES2931303T3 (es) * 2017-09-07 2022-12-28 Hirschmann Automotive Gmbh Conector de enchufe con pasador secundario para la fijación de piezas de contacto en su soporte de contacto
CN207651722U (zh) * 2017-11-17 2018-07-2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7032798B2 (ja) * 2018-03-02 2022-03-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992978B2 (ja) * 2018-03-02 2022-01-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WO2019195504A1 (en) * 2018-04-04 2019-10-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KR102332605B1 (ko) * 2018-05-31 2021-1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cb 다이렉트 커넥터
DE102018113368A1 (de) * 2018-06-05 2019-12-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icher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DE102018113365A1 (de) 2018-06-05 2019-12-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US10454199B1 (en) * 2018-06-22 2019-10-22 Te Connectivity Brasil Industria De Electronicos Ltda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02018116566A1 (de) * 2018-07-09 2020-01-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US10461457B1 (en) * 2018-07-23 2019-10-2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housing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oint clip site
DE102018124876A1 (de) * 2018-10-09 2020-04-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kundärsicherun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R3088491B1 (fr) * 2018-11-12 2021-12-03 Raydiall Boitier de connecteur equipe d'un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terminal de cable (tpa) ameliore
US11695246B2 (en) * 2019-01-28 2023-07-04 Ardent Concepts, Inc. Controlled-impedance cable termination for cables having conductive foil shields
US10892579B2 (en) 2019-02-25 2021-01-12 J.S.T. Corporation Fema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for a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KR102060478B1 (ko) * 2019-03-25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FR3098032B1 (fr) * 2019-06-26 2022-02-25 Radiall Sa Ensemble de connexion à bornier à pluralité de modules de connexion de puissance indépendants et système de verrouillage/déverrouillage rapide des modules à un rail destiné à être fixé sur une structure, notamment une structure d’aéronef.
FR3098025B1 (fr) * 2019-06-26 2021-10-29 Radiall Sa Module de connexion de puissance, à système de verrouillage/déverrouillage de terminaisons de câbles électriques dans le module, Bornier comprenant une pluralité de modules de connexion indépendants
US11456553B2 (en) * 2019-09-19 2022-09-27 J.S.T. Corporation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US11515660B2 (en) 2019-10-01 2022-11-2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taining device
US11251575B2 (en) 2020-07-09 2022-02-1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onnector alignment and retention panel for modular based system
US11545777B2 (en) * 2020-07-24 2023-0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2022129493A (ja) * 2021-02-25 2022-09-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CN113823943B (zh) * 2021-11-25 2022-03-04 东莞市鸿儒连接器有限公司 一种内圆簧式卡线高抗振动性储能线对线连接器
FR3132395B1 (fr) * 2022-01-28 2024-01-1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nsemble de connexion pour une embase de connecteur
CN116826467B (zh) * 2023-08-31 2023-12-22 常州融和电子有限公司 通信快插射频同轴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625Y2 (ko) * 1975-03-01 1979-09-13
US4655534A (en) * 1985-03-15 1987-04-07 E. F. Johnson Company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4750893A (en) * 1985-09-30 1988-06-14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DE69026334T2 (de) * 1989-10-24 1996-10-31 Whitaker Cor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n sekundären Festhaltemitteln
US4979913A (en) * 1989-10-26 1990-12-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secondary lock
US5098315A (en) * 1990-11-08 1992-03-24 Dill Products Incorporated Seal retainer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280254A (en) * 1992-03-16 1994-01-18 Trompeter Elec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GB9216994D0 (en) * 1992-08-11 1992-09-23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condary locking mechanism
JPH06124745A (ja) * 1992-10-08 1994-05-06 Yazaki Corp 端子係止機構付きコネクタ
US5382173A (en) * 1993-09-01 1995-01-17 Trompeter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US5647775A (en) * 1995-12-07 1997-07-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US5643009A (en) * 1996-02-26 1997-07-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ivot lock
JP2002513501A (ja) * 1996-08-12 2002-05-08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推進の乗物用エアーバッグ・アセンブリーのための無方向導火爆管コネクターアッセンブリー
US5702262A (en) * 1996-10-04 1997-12-30 Trompeter Elec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US5662488A (en) * 1996-10-31 1997-09-02 Alden; Peter H. Quick connect coupling system for rapidly joining connectors and/or other elongated bodies
DE19735168C2 (de) * 1997-08-14 2001-09-20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0902506B1 (en) * 1997-09-09 2004-03-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H11185857A (ja) * 1997-12-22 199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分解方法及びコネクタ
US5928038A (en) * 1998-04-24 1999-07-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JP3702415B2 (ja) * 1999-09-06 2005-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01147346A (ja) * 1999-11-19 2001-05-29 Yazaki Corp 雌コネクタ
JP2001196142A (ja) * 2000-01-07 2001-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JP2002056917A (ja) 2000-08-10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6450829B1 (en) * 2000-12-15 2002-09-17 Tyco Electronics Canada, Ltd. Snap-on plug coaxial connector
US6921283B2 (en) * 2001-08-27 2005-07-26 Trompeter Electronics, Inc. BNC connector having visual indication
DE10146430B4 (de) 2001-09-20 2006-05-04 Fci Steckverbinder für Airbagsysteme
US6824403B2 (en) * 2001-12-18 2004-11-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ight ang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6676445B2 (en) * 2002-01-25 2004-0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angle or in-line applications
JP2003249308A (ja) * 2002-02-25 2003-09-05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881102B2 (en) * 2003-06-13 2005-04-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locking mechanism for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6872100B2 (en) * 2003-06-13 2005-03-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locking mechanism for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7347742B2 (en) 2005-09-02 2008-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rovision for body clip
US7223131B2 (en) 2005-09-02 2007-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85011B2 (en) * 2005-10-24 2007-10-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exi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47745B1 (en) 2007-01-19 2008-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494374B2 (en) * 2007-02-01 2009-02-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82205B2 (en) 2010-03-23
JP2011503823A (ja) 2011-01-27
US20090130902A1 (en) 2009-05-21
ES2509365T3 (es) 2014-10-17
JP5131940B2 (ja) 2013-01-30
CA2702928C (en) 2013-04-16
CN101861682B (zh) 2013-10-30
CA2702928A1 (en) 2009-05-22
KR101100446B1 (ko) 2011-12-29
BRPI0818785A2 (pt) 2015-04-14
WO2009064484A1 (en) 2009-05-22
EP2218145A1 (en) 2010-08-18
EP2218145B1 (en) 2014-07-30
CN101861682A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446B1 (ko) 다중 위치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07834261B (zh) 具有混合电连接器的连接器系统
EP0992084B1 (en) Shielded cable connector
KR100624582B1 (ko) 케이블 상호 접속 장치
KR101140979B1 (ko) 로우 프로파일 단자 위치 확정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US7727022B2 (en) On harness PCB electrical center
KR101520585B1 (ko) 통합 가동 단자 안정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WO2015123370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20100041266A1 (en) Power connector with integrated signal connector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CN108140988A (zh) 电源连接器
JP2019515457A (ja) 少なくとも1つのプラグコネクタを含むプラグ接続装置
JP4729307B2 (ja) 一体品の誘電性カバーを有する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7354886B2 (ja) コネクタ装置
CN113904173A (zh) 电插拔连接器
US9837761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with rotatable housing
US20220302618A1 (en) Branch connector
WO2018060873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4156683A (zh) 与对接连接器、特别是印制电路板连接器接触的模块化连接器
CN219659022U (zh) 分体式的连接器壳体和相应的电连接器
US2023019818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11811170B2 (en)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220271474A1 (en) Adapter plug with play compensation
US20080305671A1 (en) Electrical Plug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