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087A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4087A KR20100074087A KR1020097019862A KR20097019862A KR20100074087A KR 20100074087 A KR20100074087 A KR 20100074087A KR 1020097019862 A KR1020097019862 A KR 1020097019862A KR 20097019862 A KR20097019862 A KR 20097019862A KR 20100074087 A KR20100074087 A KR 201000740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tool
- opening
- frame
- bas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0—Convertible metal working machi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2—Milling with means to protect operative or machine [e.g., guard, safety device,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4088—Milling with means to remove chi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784—Milling including means to adustably position cutter
- Y10T409/307952—Linear adjustment
- Y10T409/308288—Linear adjustment including gantry-type cutter-carri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76—Machine fram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76—Machine frame
- Y10T409/309912—Machine frame including relatively movable components and means to relatively immobilize these compon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1—Tool changing with safety means
- Y10T483/115—Guar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7—Tool changing including machine tool or component
- Y10T483/1733—Rotary spindle machine tool [e.g., milling machine, boring, machine, grinding machine, etc.]
- Y10T483/179—Direct tool exchange between spindle and matrix
- Y10T483/1793—Spindle comprises tool changer
- Y10T483/1795—Matrix indexes selected tool to transfe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공작 기계는 베이스 프레임, 워크 테이블, 가공기 유닛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가공영역 공간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양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워크 테이블은, 상기 가공영역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가공기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주축 장치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공기 유닛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또는 가공기 유닛을 다른 사양으로 교환하여 기종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머시닝 센터로, 특개소 제61-86144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머시닝 센터에 있어서, 베드 상에 좌우로 걸쳐져 문 형상의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 상부에는 주축 헤드(주축 장치)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주축 헤드는, 공구를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주축을 가진다.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워크를 지지하는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입형 공작 기계로, 특개평 제1-14663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입형 공작 기계에 있어서, 베드의 좌우 양측부에 직립 측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벽의 상단부 사이에 크로스 레일을 개재하여 새들이 X축 방향(좌우 방향) 및 Y축 방향(전후 방향) 각각에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새들에는 주축을 구비한 주축 헤드가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특개소 제61-86144호 공보에 기재된 머시닝 센터에 있어서, 상기 베드 및 상 기 기둥은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주축 헤드, 상기 주축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 및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는, 가공기 유닛을 구성한다. 특개소 제61-86144호 공보의 머시닝 센터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과 가공기 유닛이 분리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 또는 가공기 유닛의 교환을 쉽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종 변경 시에는, 머시닝 센터 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개평 제1-146631호 공보에 개시된 입형 공작 기계도, 상기 특개소 제61-86144호 공보에 개시된 머시닝 센터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 또는 가공기 유닛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개소 제61-86144호 공보의 머시닝 센터의 문제점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에서 가공기 유닛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가공기 유닛을 다른 사양으로 교환하여 기종의 변경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 워크 테이블, 가공기 유닛 및 연결부를 구비한 공작 기계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가공영역 공간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워크 테이블은, 상기 가공영역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가공기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주축 장치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공기 유닛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타 이점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공작 기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작 기계의 중앙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작 기계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작 기계의 베이스 프레임, 가공기 프레임 및 Y축 새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작 기계의 가공영역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공작 기계의 칩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공작 기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의 개폐문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간략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의 개폐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간략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의 개폐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간략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가공 시스템에 적용한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이다.
도 12는 도 11의 공작 기계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테이블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리 정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공작 기계를 가공 시스템에 적용한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15b-15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기계 커버의 전면부분과 워커 반입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 및 공구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구의 탈착 불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간략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과 가공기 프레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형태의 공작 기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가공기 유닛(40), 공구 교환 장치(41), 가공영역 커버(61), 칩 회수 장치(65)를 구비한다. 가공기 유닛(4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단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공구 교환 장치(41)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다. 가공영역 커버(61)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가공영역 공간(E)에 설치된다. 칩 회수 장치(65)는 가공영역 커버(61)의 하방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은, 서로 평행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과, 양 사이드 프레임(11) 사이에 걸쳐지듯이 양 사이드 프레임(11)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프레임으로써의 상부 연결 프레임(12)과, 양 사이드 프레임(11) 사이에 걸쳐지듯이 양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프레임으로써의 하부 연결 프레임(13)을 구비한다. 양 사이드 프레임(11) 사이에 있어서의 하부 연결부 프레임(13)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가공영역 공간(E)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연결 프레임(13)의 전면에는, 워크를 장착하기 위한 워크 테이블(14)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프레임(11)의 전단부에는, 미도시의 워크 반송 장치에 의해 워크를 워크 테이블(14)로 반입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가공기 유닛(4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1) 상단의 설치면(11b)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11b) 각각에는 다수의 나사 구멍(11c)이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U자 형상의 가공기 프레임(55)이 다수의 볼트(56)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 프레임(55)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55a) 각각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55b)에는 볼트(56)가 관통되며, 각 볼트(56)는 대응하는 나사홀(11c)에 결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1)의 나사홀(11c), 가공기 프레임(55)의 플랜지(55a), 볼트 삽입홀(55b) 및 볼트(56)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1)과 가공기 프레임(55)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연결부)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 프레임(55)의 좌우 양측부 상면에는, Y축 가이드 레일(15)이 각각 Y축 방향으로, 즉 수평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듯이 서로 평행하게 부설되어 있다. 한 쌍의 Y축 가이드 레일(15)에는, Y축 새들(16)이 슬라이더(17)를 개재시켜서, Y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기 프레임(55)의 후부에는, Y축 서보모터(18)가 일체로 고정 부착되고, 서보모터(18)의 회전축에는 커플링을 개재시켜서 볼나사(19)가 직렬로 연결되며, 볼나사(19)는, Y축 새들(16)에 브래킷(20)을 개재시켜서 설치된 볼나사 너트(21)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Y축 서보모터(18)에 의해 볼나사(19)가 회전하면, 너트(21)를 개재하여 Y축 새들(16)이 Y축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인다.
Y축 새들(1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가동틀(16a, 16b)과, 양 가동틀(16a, 16b)의 후단부에 연결된 가동 설치틀(16c)에 의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설치틀(16c)의 전면에는, 상하 한 쌍의 X축 가이드 레일(22)이 X축 방향으로, 즉 수평으로 좌우 방 향을 따라 연장되듯이 서로 평행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X축 가이드 레일(22)에는, X축 새들(23)이 슬라이더(24)를 개재하여, X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Y축 새들(16)의 가동 설치틀(16c)의 배면에는 도 3에서 나타내듯이 X축 서보모터(25)가 배치되며, 모터(25)의 회전축에는 커플링을 개재하여 볼나사(26)가 연결되며, 볼나사(26)는, X축 새들(23)에 블래킷(27)을 개재하여 설치한 볼나사 너트(28)에 결합되어 있다. X축 서보모터(25)에 의해 볼나사(26)가 회전하면, 너트(28)를 개재하여 X축 새들(23)이 X축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새들(23)의 전면에는, 좌우 한 쌍의 안내부재(29)가 Z축 방향(상하 방향)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며, 각 안내부재(29)에는, Z축 가이드 레일(31)이 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Z축 가이드 레일(31)은, Z축 새들(30)의 좌우 양측 후부에 있어서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듯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X축 새들(23)의 상단부에는 Z축 서보모터(32)가 설치되며, 모터(32)의 회전축에는 커플링을 개재하여 볼나사(33)가 연결되며, 볼나사(33)는, Z축 새들(30)에 블래킷(34)을 개재하여 설치된 볼나사 너트(35)에 결합되어 있다. Z축 서보모터(32)에 의해 볼나사(33)가 회전하면, 너트(35)를 개재하여 Z축 새들(30)이 Z축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인다.
Z축 새들(30)에는, 주축 장치(36)가 아래 방향으로 장착되며, 주축(37)의 하단부에는, 워크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38)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Z축 새들(30)에는 주축(37)을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39)가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공기 프레임(55), Y축 새들(16), Y축 서보모터(18), X축 새들(23), X축 서 보모터(25), Z축 새들(30), Z축 서보모터(32), 주축장치(36) 및 서보모터(39) 등에 의해 가공기 유닛(40)이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프레임(13)의 배면에는, 주축(37)에 장착된 공구(38)를 교환하기 위한 공구 교환 장치(41)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연결프레임(13)에는, 블래킷(42)을 개재하여, 서보모터(43)가 상향으로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는 매거진(44)이 수직축선 주위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44)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공구 파지부(45)가 반원환 형상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있다. 각 공구 파지부(45)는, 대응하는 공구(38)를 공구 홀더와 함께 파지한다. 매거진(44)이 서보모터(43)에 의해 회전되면서, 소정의 공구 파지부(45)가 공구 교환 위치에 배치된다. 게다가, Y축 서보모터(18), X축 서보모터(25) 및 Z축 서보모터(32)가 작동됨에 따라, 주축장치(36)가, X, Y, Z축 방향 각각으로 이동하여, 주축장치(36)와 매거진(44) 사이에서 사용이 끝난 공구(38)와 새 공구(38)의 교환이 직접 행해진다.
가공영역 커버(6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및 가공기 프레임(55)에 대하여, 가공영역 공간(E)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듯이 장착되어 있다. 가공영역 커버(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사각상자 형상의 커버 본체(62), 커버 본체(62)의 상단 개구 테두리(62a)를 차폐하는 천정 커버(63), 커버 본체(62)의 하단 개구 테두리(62b)에 연결되면서, 칩 및 냉각재를 칩 회수 장치(65)로 떨어뜨리는 슈터 형상의 하부 커버(64)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62)의 전면판에는, 워크 가공 중에는 미도시의 개폐문에 의해 폐 쇄되며, 워크를 반입출할 시에는 개방되는 전면창(62c)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62)의 배면판에는 워크 가공 중에는 폐쇄되며, 공구 교환 시에는 개방되어 공구 교환 장치(41)가 출입할 수 있는 후면창(62d)이 형성되어 있다. 천정 커버(63)는, 가공기 유닛(40)의 가공기 프레임(55)에 장착된다. 천정 커버(63)는, 전후 한 쌍의 수평 형상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 67), 양 케이스(66, 67)에서 되감긴 커버천(68, 69)의 선단 테두리에 연결되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긴 사각형상의 가동틀(70), 가동틀(70)의 내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커버(71), 슬라이드 커버(71)의 도중에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설치판(7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설치판(72)에 Z축 새들(30)의 하단을 연결하고, 주축 장치(36)를 구멍(72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시킨다. 이로 인해, 주축 장치(36)는, X, Y, Z축의 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71)는 커버천을 이용한 롤 커버일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커버천 수용 케이스(66)를 앞면의 틀체로 하고, 커버천(68)을 주축장치(36)보다 전방의 커버부를 형성하는 커버시트로 하고 있다.
하부 커버(64)는, 슈터부(64a)와 슈터부(64a)의 뒷판에 형성되면서 워크 테이블(14)을 진입시키기 위한 오목부(64b)와, 칩 등을 다음에서 언급하는 칩 회수 장치(65)로 떨어뜨리는 개구(64c)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회수 장치(65)는, 본체 케이스(75), 본체 케이스(75) 내에 수용된 한 쌍의 도르래(76, 77)에 걸쳐진, 미도시의 다수의 날개를 갖는 반송 컨베이어(78)와, 해당 반송 컨베이어(78)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냉각재에서 칩을 선별하기 위한 가로 방향의 원통 형상의 필터(79)로 구성되어 있다. 칩은, 본체 케이스(75)의 상판에 형성된 개구(75a)에서 반송 컨베이어(78) 상으로 이동된 후, 공작 기계의 후방으로 반송되어서, 칩 버킷(51)으로 회수된다. 필터(79)에 의해 여과된 냉각재는, 본체 케이스(75)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75b)에서 냉각재 탱크(T)로 도입되며, 탱크(T)의 냉각재는 펌프(P)에 의해 공작 기계의 워크 가공부에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작 기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워크는, 워크 테이블(14)의 상면에 재치되면서, 미도시의 워크 클램프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클램프된다. 서보모터(39)를 작동시켜서 주축(37)을 회전시키면서, Y축 서보모터(18), X축 서보모터(25) 및 Z축 서보모터(32)를 작동시켜서, 공구(39)로 워크를 가공한다. 워크 가공 중에 발생하는 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테이블(14)의 외주에 형성된 배출 공간(52)을 통하여 직접 하방의 칩 회수 장치(65)로 낙하된다.
워크 가공 작업이 소정 시간 동안 행하여지며, 공구(38)의 교환이 필요해질 경우에는, 커버 본체(62)의 후면창(62d)이 미도시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방된다. 그리고 공구 교환 장치(41)의 서보모터(43)가 작동되어 매거진(44)의 공지 파지부(45)가 후면창(62d)을 통하여 공구교환 위치를 산출하여 회전되며, 주축 장치(36)의 상기 세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사용이 끝난 공구(38)가 새 공구(38)로 교환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입형 공작 기계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1)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1)의 설치면(11b)에 대하여 가공기 유닛(40) 전체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하였으므로, 가공기 유닛(40)을 다른 사양의 가공기 유닛(40)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가공기 유닛(40)에 대하여, 기대 프레임(10)을 다른 사양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작 기계의 기종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가공영역 공간(E)에 가공영역 커버(61)를 설치했기 때문에, 워크 가공 중에 발생하는 칩 및 냉각재가 가공영역 공간(E) 밖으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공작 기계의 전체 커버를 생략할 수도 있다.
(3)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가공영역 커버(61)의 하단부에 칩 회수 장치(65)를 설치하고, 칩 회수 장치(65)의 선단부에 칩 버킷(51)을 설치하였으므로, 칩을 공작 기계 후방의 칩 버킷(51)으로 회수할 수 있다.
(4)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1)에 오목부(11a)를 설치하였으므로, 가공영역 커버(61)의 측면에, 미도시의 창을 설치하면서, 해당 창을 개폐문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방에서 워크를 반입출할 수도 있다. 오목부(11a)는, 회전 지그나 슈터 등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의 실시형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기능을 가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간략하게 또는 생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화된 입형 공작 기계의 제2 실시형태를 도 7 내지 도 10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2 실시형태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 가공영역 커버(61)의 커버 본체(62)의 전면 커버 플레이트(73)가 커버 본체(62)와 별도로 형성된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73)는, 좌우 및 상방으로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에 개구된 워크 출입용 전면창(73a)은, 개폐문(81, 82)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문(81, 8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천정 커버(63)의 커버천 수용케이스(66) 및 커버천(68)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방 개방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워크 테이블(14)로의 워크 탈착 작업 및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듯이,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의 전면창(73a)에는 해당 전면창(73a)을 개폐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개폐문(81, 82)이 수평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의 뒷면에는 상하 한 쌍의 X축 안내 레일(83)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부설되어 있다. 각 개폐문(81, 8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미도시의 롤러를 개재하여 X축 안내 레일(83)에 의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안내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지지 플레이트(84)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84)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안내 레일(85)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부설되며, X축 안내 레 일(85)에 X축 이동체(86)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X축 이동체(86)는, 지지 플레이트(84)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설치된 실린더(87)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왕복으로 움직이게 한다. 지지 플레이트(84)의 전면에는 좌우 한 쌍의 스프로킷 휠(88, 89)이 설치되고, X축 이동체(86)에 양단을 연결한 체인(90)이 스프로킷 휠(88, 89)에 걸려서 장착되어 있다. X축 이동체(86)는 연결 플레이트(91) 및 후술하는 캠 플레이트(93)를 개재하여 개폐문(81)과 연결되어 있다. 체인(90)에는 개폐문(82)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92)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84)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위치에 한 쌍의 Z축 안내 레일(94)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부설된다. Z축 안내 레일(94)에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을 하는 승강 안내 기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Z축 승강체(95)가 장착되며, Z축 승강체(95)는 대응하는 연결부재(96)에 의해 천정 커버(63)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좌측의 상기 Z축 승강체(95)에는 캠 플로어(97)가 설치되며, 연결 플레이트(91)에 연결된 캠 플레이트(93)에 형성된 캠 홈(93a)에 캠 플로어(97)가 결합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93) 및 캠 플로어(97)에 의한 캠 기구가 구성된다. 캠 플레이트(93)는 개폐문(81)의 후방에서 해당 개폐문(8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X축 안내 레일(85), X축 이동체(86), 실린더(87), 스프로킷 휠(88, 89), 연결 플레이트(91, 92), 캠 플레이트(93), Z축 안내 레일(94), Z축 승강체(95), 연결부재(96) 및 캠 플로어(97) 등에 의해, 커버천(68)의 개폐동작과, 개폐문(81, 82)의 개폐동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동시 개폐기 구(98)가 구성된다. 동시 개폐 기구(9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84)에 설치된 보호 커버(99)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 및 도 8은, 개폐문(81, 82)에 의해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의 전면창(73a)이 폐쇄됨과 동시에, 커버천 수용케이스(66)가 최하단 위치에 있어서, 커버천(68)이 수평의 폐쇄위치 즉 가공영역 공간(E)의 상면 위치에 보유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린더(87)의 피스톤 로드가 왼쪽 방향으로 신장되면, X축 이동체(86)가 같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며, 체인(9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연결 플레이트(91)가 X축 이동체(86)에 의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문(81)이 왼쪽 방향으로 개방되면서, 체인(90)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92)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문(82)이 오른쪽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 결과, 좌우 한 쌍의 개폐문(81, 82)이 개방되므로, 전면 커버플레이트(73)의 전면창(73a)이 개구된다.
한편, 개폐문(81)의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캠 플레이트(93)가 동일하게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캠 홈(93a)에 수용된 캠 플로어(97)가 캠 홈(93a)의 경사홈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며, Z축 승강체(95)가 Z축 안내 레일(9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연결부재(96)를 개재하여 천정 커버(63)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커버천 수용케이스(66)에 연결되어 있는 커버천(68)이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들어올려 지며, 가공영역 공간(E)의 상면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방공간이 확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공작 기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의 전면창(73a)이 개방됨과 동시에, 천정 커버(63)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서 커버천(68)은 꺼내지면서 경사진 형상으로 펴진다. 이 때, 가공영역 공간(E)의 천정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펼쳐지는 개방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커버천 수용 케이스(66) 및 커버천(68)으로 인해 방해받는 일 없이 개방된 전면창(73a)을 이용하여 가공영역 공간(E)에 무리없이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워크의 반입출 작업이나 주축(37)의 공구 교환 등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천정 커버(63)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 및 커버천(68)을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천정 커버(63)의 상방으로의 개방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2)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천 수용 케이스(66)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천(68)이 경사지므로, 해당 커버천(68)에 부착되어 있는 기름방울이나 칩이 경사면을 따라 후부 하방으로 유동되어 낙하된다. 그 결과, 커버천(68)에 부착된 기름방울이나 칩의 제거의 수작업 횟수를 줄일 수가 있다.
(3)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실린더(87)에 의해 커버천(68)의 개방 동작과 개폐문(81, 82)의 개방동작을 연동하여 수행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하나의 액추에이터로 각각의 개폐동작을 신속히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 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및 부착 작업을 쉽게 수행하고, 코스트 절감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가공영역 공간(E)의 높이를 가능한 낮도록 천정커버(63)의 위치를 낮게 설정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작업성의 향상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를 가공 시스템에 적용한 제3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지향하는 가공라인을 따라, 다수의 상기 공작 기계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각 공작 기계의 베이스 프레임(10)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프레임(11)의 오목부(11a)의 하단면(11f)에 대해, 가공영역 공간(E)에 수용된 슈터(111)의 좌우 플랜지부(111a)의 하나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공작 기계의 하방에는, 가공 시스템에 공통의 칩 회수장치(65)가 가공라인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칩 회수 장치(65)의 본체 케이스(75)의 상판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75a) 각각에, 슈터(111)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공작 기계에는 로봇 암 방식의 워크 반송 장치(112)가 설치되며, 각 공작 기계에 워크를 순차적으로 반입출 한다. 상기 다수의 공작 기계의 외측에는, 모든 공작 기계를 둘러싸는 기계 커버(113)가 장착되어 있다. 기계 커버(113)의 작업 흐름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측판에는, 워크 가공 중에는 폐쇄되며, 워크 반입 시 및 반출 시에 개방되는 개폐창(113a, 1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수의 공작 기계에 공통의 칩 회수 장치(65)를 설치하였으므로, 가공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공작 기계가 기계 커버(113)에 의해 덮어져 있기 때문에, 공작 기계마다 설치된 가공영역 커버(61)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3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사이드 프레임(11)의 오목부(11a)의 바닥부에 대해 선회대(123)가 각각 장착된다. 해당 선회대(123)는, 축받이(121)를 개재하여 수평축선의 주변에서 틸트 모터(122)에 의해 왕복 선회한다. 양 선회대(123)에는, 워크 테이블로서의 틸트 테이블(14A)이 장착되고, 이에 워크가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도시의 워크 테이블로서의 인덱스테이블을, 틸트축과 직교하는 축의 주위에서 선회가 가능하도록 틸트 테이블(14A)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의 제5 실시형태를 도 14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프레임(11)을 상하 2개로 분할하여, 하부의 분할 프레임(124)의 상단면에 대하여, 상부의 분할 프레임(125)을 볼트(126)와 너트(127)로 떼어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1)이 상하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11)의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를 가공 시스템에 적용한 제6 실시형태를 도 15a 및 도 15b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시시템은, 공작 기계마다 설치된 다수의 워크 반입출 장치(13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워크 반입출 장치(131)는, 기계 커버(113)의 전면에 공작 기계마다 대응하도록 형성된 개폐창(113c)을 통하여, 워크를 워크 테이블(14)로 반입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입형 공작 기계의 제7 실시형태를 도 16 내지 도 17b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에 대해 가공영역 공간(E)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B)에, 공구교환 장치(41)가 수용되며, 후방 공간(B) 내에서 공구(38)의 교환이 수행된다. 공구교환 장치(41)의 공구 매거진(44)은 외주에 다수의 공구 파지부(45)를 갖는 원반 형상을 하고 있다. 매거진(44)의 일부에는, 공구 파지부(45)가 결여된 부분인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62)의 후면창(62d)에는, 미도시의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는 개방된 상태에서 주축장치(36)가 후방 공간(B) 내의 공구 교환 위치(Pt)로 이동하도록, 주축 장치(36)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 및 천정 커버(6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구 교환 위치(Pt) 부근에 있어서, 후방 공간(B)에 위치하는 하측 고정부, 즉 하부 연결 프레임(13)에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장치(S)가 고정되어 있다. 검지 장치(S)는 주축(37)에 새로이 장착된 공구(38)의 부착 상태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검지 장치(S)에는 상방향의 에어 분사 노즐(128)이 연결되어 있다. 에어 분사 노즐(128)에는 압축 공기 공급원(129)에서 에어 배관(L)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며, 에어 분사 노즐(128)에 형성된 분사 구멍(128a)에서 에어가 수평방향으로 분사된다. 또한, 에어 배관(L)에는 압력계(13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주축 장치(36)의 공구 교환을 후방 공간(B) 내에서 수행한 후, 공구 매거진(44)을 회전시켜서 오목부(44a)를 공구 교환 위치(Pt)로 산출한 상태에서 주축 장치(36)가 검지 장치(S)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 위치에서, 도 17a에서 나타내듯이 공구(38)가 주축 장치(36)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며, 공구(38)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부(38a)의 중심에 에어 분사 노즐(128)이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주축(37)과 함께 공구(38)가 회전되면서, 에어 분사 노즐(128)의 분사 구멍(128a)에서 에어가 오목부(38a)의 내벽면으로 분사되어, 공구(38)가 회전되었을 때의 압력이 압력계(130)로 측정된다. 이 측정 압력이 기준치를 넘어서 변동될 경우에는, 공구(38)의 흔들림이 검지되어, 주축(37)에 대한 공구(38)의 설치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고, 미도시의 알림 장치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진다. 주축(37)에 장착되는 공구(38)가, 예를 들어 드릴과 같은 축 형상일 경우에는, 도 17b에서 나타내듯이, 공구(38)를 에어 분사 노즐(128)의 측방에 가까이 가져가서, 공구(38)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공구(38)가 회전되었을 때의 압력 변동을 압력계(130)로 측정하여, 공구(38)의 설치 상태가 양호한지를 검출한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매거진(44)의 오목부(44a)의 위치에서, 공구(38)의 검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검지 시, 공구 교환 장치(41)를 후방으로 빼서 배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공구 교환을 위한 주축 장치(36)의 이동도 비교적 적어진다. 그리고, 후방 공간(B) 내에서, 공구교환을 수행하면서, 주축(37)에 대한 공구(38)의 장착상태의 양호성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가공영역 공간(E) 내에서 공구(38)의 교환 및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공구의 교환 동작 및 검출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 냉각재나 칩 등에 의해 오손되지 않은 후방 공간(B) 내에서 공구(38)의 설치 상태의 검출을 수행하기 때문에,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나아가 이하와 같은 변경을 할 수도 있다.
도 18a에서 나타내듯이, 베이스 프레임(10)을 간소화할 수도 있다. 도 18b에서 나타내듯이 사이드 프레임(11) 각각에 창(11d)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8c에서 나타내듯이 사이드 프레임(11)의 후방측 하부에 오목부(11e)를 형성하고, 해당 오목부(11e)를 통하여 칩 회수 장치(65)의 본체 케이스(75)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8c의 구성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오목부(11a)를 형성한다든지, 창(11d)을 형성한다든지 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8d에서 나타내듯이, 양 사이드 프레임(11)의 전단부의 하부를 연결 프레임(132)으로 연결해도 된다. 또한, 도 18d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양 사이드 프레임(11)의 앞측 전체를 연결 프레임(133)으로 연결해도 된다. 도 18a 내지 도 18c의 베이스 프레임(10)에 연결 프레임(132)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9에서 나타내듯이 사이드 프레임(11)을 측면에서 보아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가공기 프레임(55)도 베이스 프레임(10)과 같이 사이드 프레임부를 갖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프레임(11)의 상단면에는, 가공기 프레임(55)의 사이드 프레임부 하단면이 접합되며, 사이드 프레임(11) 및 사이드 프레임부는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 슈터(134)를 미리 일체로 형성 혹은 설치해 두고, 슈터(134)의 상방에 칩 낙하 공간이 형성되도록 워크 테이블(14)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 특례에서는, 가공영역 커버(61)의 하부 커버(64)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본체(62)의 후면창(62d)의 개폐 장치로, 예를 들어 개폐문을 갖는 셔터(미도시)가, 매거진(44)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해당 셔터는, 워크의 가공영역과 공구 교환 장치(41) 사이에서, 가공영역에서 발생하는 칩 또는 냉각재가 공구 교환 장치(41)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가공영역 커버(61)에 있어서, 커버 본체(62), 천정 커버(63) 및 하부 커버(64)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공영역 커버(61)에서 하부 커버(64)만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9에서 나타내듯이, 베이스 프레임(10)이 사용된다. 게다가, 커버 본체(62)를 전면 커버 플레이트(73)와 측면 커버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등, 가공영역 커버(61)를 사양에 따라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영역 커버(61)에 있어서, 커버 본체(62) 및 하부 커버(64) 각각의 좌우 양측판에 대해 워크 반입 또는 반출용 개폐창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문(81, 82)을 개폐 구동하는 실린더(87) 대신 모터 등 다른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천정 커버(63)의 시트 수용 케이스(66)는, 커버천(68)을 그 전단에서 옮겨 감도록 가공영역 커버(61)의 전단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커버천 수용 케이스(66)를 가동틀(70)의 전단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면 틀체는 커버천(68)의 전단부를 지지만 하고 있게 된다. 동일하게 커버천 수용 케이스(67)를 가동틀(70)의 후단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작 기계마다 칩 회수 장치(65)를 설치해도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도 18a에서 도시하는 타입 외에 도 18b 또는 도 18c 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서 도시하는 제6 실시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도 18c 또는 도 18d에서 나타내는 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공영역 커버(61)의 커버 본체(62)를, 가공영역 공간(E)의 전면, 좌우 양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상기 전면을 덮도록 구성하면서, 워크 출입용으로 개구한 전면창(62c)에 개폐문을 설치할 수도 있다.
미도시의 워크를 지지하는 인덱스 테이블을, 인덱스 모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기구로, 상기 Z축과 평행한 축 선의 주위에서 선회가 가능하도록, 하부 연결 프레 임(13)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부 연결 프레임(12) 및 하부 연결 프레임(13)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연결 프레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워크 테이블(14)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면서, 주축 장치(36)를 Z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을, 예를 들어 2개의 사이드 프레임(11)과,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10)
- 가공영역 공간을 가지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가공영역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워크 테이블;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주축 장치를 갖는 가공기 유닛; 및상기 가공기 유닛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작 기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다른 사양의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 중에서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하로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가공기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영역 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가공영역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공영역 커버는 상기 주축 장치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영역 커버는, 상기 워크 테이블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 개구 테두리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면서 상기 주축 장치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천정 커버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단 개구 테두리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영역 커버는, 상기 가공영역 공간의 전면, 좌우 양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상기 전면을 덮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가공영역 공간의 상면을 덮는 천정 커버를 포함하며,상기 커버 본체는, 워크 출입용으로 개구된 전면창과 상기 전면창을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며,상기 천정 커버는, 상기 주축 장치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주축 장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부를 가지며,상기 커버부는, 수평한 전면 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틀체는 승강 안내 기구에 의해 상기 전면창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상기 가공영역 공간의 상면 위치보다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상기 전면 틀체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전면창을 통하여 개방되는 상기 가공영역 공간과 연속되는 상방 개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부를 개폐하기 위한 상기 전면 틀체를 승강시키는 제1 기구;상기 전면창을 개폐하기 위한 상기 개폐문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기구; 및상기 개폐문의 개폐동작과 상기 커버부의 개폐동작을 동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제1 기구와 상기 제2 기구를 연결하는 캠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틀체는, 상기 커버부를 형성하는 커버 시트를 되감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테이블보다 후방의 위치에는, 상기 가공영역 공간과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후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공간에는, 상기 주축 장치 사이에서 공구 교환이 가능한 공구 매거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장치에 대한 공구의 설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공구 매거진은 원반 형상을 나타내면서, 외주부에 다수의 공구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공구 매거진의 일부에는 상기 공구 파지부가 결 여된 부분인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상기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하측 고정부에 상기 검지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254870 | 2007-09-28 | ||
JP2007254870A JP5080188B2 (ja) | 2006-09-29 | 2007-09-28 | 工作機械 |
PCT/JP2008/053294 WO2009041078A1 (ja) | 2007-09-28 | 2008-02-26 | 工作機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4087A true KR20100074087A (ko) | 2010-07-01 |
KR101408668B1 KR101408668B1 (ko) | 2014-06-17 |
Family
ID=4051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9862A KR101408668B1 (ko) | 2007-09-28 | 2008-02-26 | 공작 기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562497B2 (ko) |
KR (1) | KR101408668B1 (ko) |
CN (1) | CN101663128B (ko) |
DE (1) | DE112008000973B4 (ko) |
WO (1) | WO200904107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0945A (ko) * | 2009-12-19 | 2011-06-27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공작기계의 셋업 스테이션 도어 장치 |
JP5700991B2 (ja) * | 2010-09-24 | 2015-04-15 |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 集塵ケー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切削加工機 |
CN103158912A (zh) * | 2011-12-09 | 2013-06-19 |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 工件台 |
CN102513831A (zh) * | 2011-12-29 | 2012-06-27 | 重庆机床(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紧凑型高刚性干式切削滚齿机布局结构 |
JP5803756B2 (ja) * | 2012-03-12 | 2015-11-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工作機械用カバー |
CN103567462A (zh) * | 2012-07-20 | 2014-02-12 | 鸿准精密模具(昆山)有限公司 | 车床 |
KR102046577B1 (ko) * | 2012-11-30 | 2019-11-20 |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 공작 기계 |
CN103056565B (zh) * | 2013-01-04 | 2015-04-22 | 安徽安风风机有限公司 | 一种数控切割机收尘净化装置 |
JP5602899B2 (ja) * | 2013-02-26 | 2014-10-08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切粉を排出するのに適したカバー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
CN103302502A (zh) * | 2013-05-31 | 2013-09-18 |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 龙门移动式镗铣床的床身与工作台结构 |
JP6155902B2 (ja) * | 2013-06-27 | 2017-07-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工作機械 |
US9919398B2 (en) * | 2013-09-13 | 2018-03-20 | Fuji Machine Mfg. Co., Ltd. | Machining system |
DE102014102938A1 (de) * | 2014-03-05 | 2015-09-10 | Haas Schleifmaschinen Gmbh | Be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Schleifmaschine |
USD788196S1 (en) * | 2014-09-12 | 2017-05-30 | Pocket NC Company | Multi-axis machine |
US9950400B2 (en) * | 2015-01-02 | 2018-04-24 | Kinetigear, Llc | Fabr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IT201700035667A1 (it) * | 2017-03-31 | 2018-10-01 | Parpas S P A | Macchina utensile a controllo numerico |
CN107443099A (zh) * | 2017-07-10 | 2017-12-08 | 張功煜 | 一种机床加工机 |
EP3434412B1 (de) * | 2017-07-27 | 2022-12-21 | GF Machining Solutions AG | Werkzeugmaschine |
USD861750S1 (en) * | 2018-05-02 | 2019-10-01 | Pocket NC Company | Multi-axis machine |
TWM575742U (zh) * | 2018-11-07 | 2019-03-21 | 達佛羅企業有限公司 | 可替換工件的加工裝置 |
CN109454490A (zh) * | 2018-11-22 | 2019-03-12 | 黄山惠德机械有限公司 | 一种数控机床零部件生产用可快速散热定型的传送装置 |
JP7364870B2 (ja) * | 2019-08-22 | 2023-10-19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旋盤、及び、その切粉排出方法 |
CN110744349B (zh) * | 2019-12-11 | 2021-07-13 | 北一(山东)工业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机床加工用自动收集废屑设备 |
CN112743130A (zh) * | 2020-12-29 | 2021-05-04 | 西安航空职业技术学院 | 一种便携式机械加工铣床设备 |
DE102021109906A1 (de) | 2021-04-20 | 2022-10-20 | Piller Entgrattechnik Gmbh | Arbeitskammer mit bewegbarer Abdeckeinheit |
CN114102168A (zh) * | 2021-12-13 | 2022-03-01 | 广东普拉迪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机床床身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8727A (en) | 1933-11-23 | 1936-01-21 | Ingersoll Milling Machine Co | Construction of machine tools |
GB1307232A (en) * | 1969-06-24 | 1973-02-14 | Marwin Machine Tools Ltd | Machine tool gantries |
DE2216401B2 (de) * | 1972-04-05 | 1975-01-30 | Friedrich Deckel Ag, 8000 Muenchen | Universalbohr- und -fräsmaschine mit mehreren auswechselbaren Werkzeugköpfen |
US4218815A (en) * | 1978-09-18 | 1980-08-26 | Cumming Noel N | Modular transfer machine |
DE3300553A1 (de) * | 1983-01-10 | 1984-07-12 | Maier & Co, Hallein | Bausatz fuer kleinwerkzeugmaschinen |
JPS6186144A (ja) | 1984-10-03 | 1986-05-01 | Mazda Motor Corp | マシニングセンタ |
JPH0755420B2 (ja) | 1987-12-03 | 1995-06-14 | 嘉一 佐藤 | 立形工作機械におけるテーブルの装架構造 |
JPH0624847U (ja) * | 1992-09-01 | 1994-04-05 | 大阪機工株式会社 | 工作機械のスプラッシュガードにおける天井カバー |
DE19616433C2 (de) * | 1996-04-25 | 1998-04-30 | Chiron Werke Gmbh | Werkzeugmaschine mit Arbeitsraumabdeckung |
DE19918359C2 (de) | 1999-04-22 | 2002-10-31 | Deckel Maho Gmbh | Werkzeugmaschine mit einer Arbeitsraumabdeckung |
JP2002028832A (ja) * | 2000-07-12 | 2002-01-29 | Toyoda Mach Works Ltd | 立形主軸を有する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EP1116548A3 (en) | 2000-01-17 | 2002-04-17 |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 A machine tool having a vertical main spindl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2001198751A (ja) * | 2000-01-17 | 2001-07-24 | Toyoda Mach Works Ltd | 縦型工作機械 |
JP4745481B2 (ja) * | 2000-02-15 | 2011-08-10 | 株式会社放電精密加工研究所 | 順送り加工装置 |
JP2002137143A (ja) | 2000-10-27 | 2002-05-14 | Enshu Ltd | 工作機械の加工エリアカバー装置 |
TW521677U (en) * | 2001-10-18 | 2003-02-21 | Ind Tech Res Inst | Gantry type hybrid parallel linkage 5-axis machine tool |
US6798088B2 (en) * | 2002-11-07 | 2004-09-28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Structure for symmetrically disposed linear motor operated tool machine |
JP4789103B2 (ja) * | 2004-08-06 | 2011-10-12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生産ライン |
US8210782B2 (en) * | 2005-03-18 | 2012-07-03 | Horkos Corp. | Machine tool |
EP1862253A4 (en) * | 2005-03-18 | 2008-10-29 | Horkos Corp | MACHINE TOOL |
DE102005021638B4 (de) * | 2005-05-06 | 2007-03-29 | Satisloh Gmbh | Drehmaschine zur Bearbeitung von optischen Werkstücken |
JP2006326803A (ja) | 2005-05-30 | 2006-12-07 | Mori Seiki Co Ltd | 工作機械 |
DE502005001582D1 (de) * | 2005-07-30 | 2007-11-08 | Hermle Berthold Maschf Ag | Bearbeitungsmaschine mit einem Werkstückwechsler |
-
2008
- 2008-02-26 KR KR1020097019862A patent/KR101408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2-26 CN CN2008800102760A patent/CN101663128B/zh active Active
- 2008-02-26 DE DE112008000973.2T patent/DE112008000973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2-26 WO PCT/JP2008/053294 patent/WO200904107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2-26 US US12/532,734 patent/US8562497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08000973T5 (de) | 2010-03-18 |
CN101663128A (zh) | 2010-03-03 |
KR101408668B1 (ko) | 2014-06-17 |
WO2009041078A1 (ja) | 2009-04-02 |
US8562497B2 (en) | 2013-10-22 |
CN101663128B (zh) | 2013-04-03 |
US20100202848A1 (en) | 2010-08-12 |
DE112008000973B4 (de) | 2022-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74087A (ko) | 공작 기계 | |
JP5080188B2 (ja) | 工作機械 | |
JP4342474B2 (ja) | 工作機械 | |
US7357769B2 (en) | Machine tool | |
JP4745612B2 (ja) | 工作機械 | |
US9481066B2 (en) | Machine tool | |
US20020033084A1 (en) | Headstock guide unit for a machine tool | |
JP5562446B2 (ja) | 工作機械 | |
JPWO2016059738A1 (ja) | 横型工作機械 | |
KR101191653B1 (ko) | 절삭가공장치 | |
TW201819101A (zh) | 工作機械 | |
JP2008080409A (ja) | 工作機械の加工ライン | |
CN108393692B (zh) | 一种用于加工盘形工件的自动生产线 | |
EP1188513B1 (en) | Machine tool | |
JP6618544B2 (ja) | 多機能ワーク置き台モジュール | |
CN114131186A (zh) | 激光加工设备 | |
CN110883560A (zh) | 无垫块设计的立式加工中心及其使用方法 | |
US20030026671A1 (en) | Machining cell with debris shields | |
JP5198904B2 (ja) | 工作機械 | |
JP2002126969A (ja) | 工作機械 | |
JP2002096237A (ja) | 工作機械の切り屑処理装置 | |
CN221495318U (zh) | 高精度加工机床以及系统 | |
CN219053738U (zh) | 一种自动上下料的数控加工生产线 | |
JP7069327B2 (ja) | 工作機械 | |
JP2006334682A (ja) | 工作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