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658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658A
KR20100063658A KR1020090114905A KR20090114905A KR20100063658A KR 20100063658 A KR20100063658 A KR 20100063658A KR 1020090114905 A KR1020090114905 A KR 1020090114905A KR 20090114905 A KR20090114905 A KR 20090114905A KR 20100063658 A KR20100063658 A KR 20100063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pair
baby carriage
seat
chil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다니자키
모리히코 후지타
준이치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having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한 쌍의 전각(前脚)(11)과, 한 쌍의 전각(11)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핸들(12)과, 한 쌍의 핸들(12)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후각(後脚)(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3)을 광폭(廣幅)의 전개 상태로부터 협폭(狹幅)의 절첩(折疊) 상태로 하기 위한 X자 힌지(14)가,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3)에 연결되어 있다. 각 핸들(12)과 각 핸들(12)에 대응하는 전각(11) 사이에, 각각 차일드 시트(child seat)(30)를 부착 가능한 암레스트(armrest)(40)가 설치되고, 각 암레스트(40)는, 핸들(12) 및 전각(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모차, 핸들, 전각, 후각, 암레스트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장착 가능하게 한 절첩(折疊)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탈 가능한 암레스트(armrest)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1세 미만과 같은 유아를 승용차에 태우는 경우에는 그 승용차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를 사용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용차의 좌석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에 유아를 태운 상태로 이동했을 경우,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상기 차일드 시트를 유아를 재운 채로 승용차의 좌석으로부터 분리하여 유모차에 장착하고, 유모차의 시트로서 사용하여 상기 목적지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면 1세∼2세 정도의 유아를 유모차에 태울 경우, 차일드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유아를 유모차의 시트에 직접 앉히는 것도 가능하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98995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에 장착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는, 상기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부착할 때, 전용의 어태치먼트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어태치먼트 부품은, 차일드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유아를 유모차의 시트에 직접 태우는 경우여도, 유모차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를 갖는 유모차도 존재하지만, 종래의 유모차의 암레스트는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분리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여도, 암레스트는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채의 상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암레스트를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전용의 어태치먼트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前脚)과, 한 쌍의 전각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핸들과, 한 쌍의 핸들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후각(後脚)과,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되고,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을 광폭(廣幅)의 전개 상태로부터 협폭(狹幅)의 절첩(折疊) 상태로 하기 위한 X자 힌지를 구비하고, 각 핸들과 각 핸들에 대응하는 전각 사이에, 각각 암레스트 를 설치하고, 각 암레스트는, 핸들 및 전각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각 및 핸들 사이에, 시트 자리부와 시트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각 전각과 후각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를 더 구비하고, 시트의 시트 자리부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며, 시트의 시트 등받이부는 한 쌍의 핸들에 부착된 매달기 밴드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암레스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각 암레스트의 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 핀이 설치되고, 차일드 시트의 양측에, 각 돌기 핀에 걸어맞춤으로써 차일드 시트를 한 쌍의 암레스트에 고정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각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된 제 1 걸어맞춤부와, 제 1 걸어맞춤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걸어맞춤부를 갖고, 차일드 시트에, 각 암레스트의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제 1 접촉부와, 각 암레스트의 제 2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가 설치되고, 각 암레스트의 제 1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1 접촉부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각 암레스트의 제 2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2 접촉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적어도 한쪽의 로크(lock) 장치가 암레스트의 돌기 핀으로 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 차일드 시트가 한 쌍의 암레스트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각 암레스트는, 핸들에 부착된 암레스트 본체와, 전각에 부착되며 암레스트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지지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를 절첩했을 때에, 각 전각과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 사이,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와 암레스트 본체 사이, 및 각 암레스트의 암레스트 본체와 각 핸들 사이에, 각각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隙間)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각 암레스트의 측면에, 로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수용 오목부는, 유모차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 측에 설치된 한쪽의 경사부와, 유모차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 측에 설치된 다른 쪽의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핸들과 각 핸들에 대응하는 전각 사이에, 각각 암레스트를 설치하고, 각 암레스트는, 핸들 및 전각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레스트를 사용할 때에만 암레스트를 부착하고, 암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암레스트를 분리해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암레스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차일드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용의 어태치먼트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암레스트의 제 1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1 접촉부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각 암레스트의 제 2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2 접촉부가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가령 차일드 시트가 각 암레스트에 올바르게 부착되어 있지 않고, 로크 장치가 적어도 한쪽의 암레스트의 돌기 핀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여도, 차일드 시트가 한 쌍의 암레스트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를 절첩했을 때, 각 전각과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 사이,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와 암레스트 본체 사이, 및 각 암레스트의 암레스트 본체와 각 핸들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을 형성했기 때문에, 유모차를 절첩했을 때에 사용자가 각 극간에 손가락을 끼일 우려가 없어, 유모차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는, 각각 하단에 전륜(前輪)(6)이 부착된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전각(11)에 제 1 요동부(29a)를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핸들(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한 쌍의 핸들(12)에는, 각각 그 상단에 핸들 그립(grip)(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핸들(12)에는, 각각 제 2 요동부(29b)를 통해서 한 쌍의 후각(13)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후각(13)에는, 각각 그 하단에 후륜(後輪)(1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1)의 하부와 한 쌍의 후각(13)의 하부에, X자 힌지(14)가 연결되어 있다. 이 X자 힌지(14)는,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후각(13)을 광폭의 전개 상태로부터 협폭의 절첩 상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전개 상태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11), 핸들(12), 후각(13)이 서로 벌어져서, 유모차(10)에 유아를 태울 수 있는 바와 같이 된 상태이다. 전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전각(11)끼리가 광폭으로 되는 동시에 한 쌍의 후각(13)끼리가 광폭으로 된다.
한편, 절첩 상태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요동부(29a)를 중심으로 전각(11)을 핸들(12) 측으로 절첩하여, 전각(11), 핸들(12), 및 후각(13)이 서로 접근한 상태이다. 절첩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전각(11)이 협폭으로 되는 동시에 한 쌍의 후각(13)이 협폭으로 되고, 유모차(10)의 수납 내지 휴대가 용이해진다. 이 도 3의 (b)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에서, 후각(13)에 부착된 후크(28)를 전각(11)에 걸어맞춤으로써, 유모차(10)가 절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1)의 사이에는, 유아가 발을 올리기 위한 스텝(20)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핸들(12) 사이에, 유아를 태우기 위 한 시트(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23)는, 착석 시에 유아의 등이 접촉하는 시트 등받이부(23a)와, 착석 시에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시트 자리부(23b)를 갖고 있다. 즉, 유아는 그 등이 유모차(10)의 후방 측을 향하도록 시트(23)에 태워진다(배면식). 시트(23)의 시트 등받이부(23a)는, 시트 자리부(23b)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며, 그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23)에는, 사용 시에 유아를 시트(23)에 안전하게 고정해 두기 위한 시트 벨트(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전각(11)의 대략 중앙 부분과 각 후각(13)의 하단 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1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 파이프(19)의 전단(前端)은, 유모차(10)의 전개 시에 있어서 각 전각(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시트(23)의 시트 자리부(23b)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19)의 전단에서 지지되어 있다. 그밖에, 시트(23)의 시트 등받이부(23a)는 한 쌍의 핸들(12)의 상단부 사이에 부착된 매달기 밴드(24)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각(13)은, 제 1 후방 스테이(21)와, 제 1 후방 스테이(21)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 후방 스테이(2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후방 스테이(21) 및 제 2 후방 스테이(22)는,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서는 각각 좌우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 했을 경우, 제 1 후방 스테이(21) 및 제 2 후방 스테이(22)는, 각각 중앙부에서 굴곡해서 산(山)형의 형상으로 된다.
또한, 제 1 후방 스테이(21)의 중앙부와 제 2 후방 스테이(22)의 중앙부 사 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링크(6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후방 스테이(22)의 양단에는, 각각 링크 암(62, 6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암(62, 64)의 타단은, 각각 링크 연결 부재(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후방 스테이(21)의 중앙부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중앙 돌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앙 돌출부(60)는, 유모차(10)가 전개 상태에 있을 경우, 링크 연결 부재(61)의 상단에 접촉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부호 65, 66은, 각각, 유모차(10)를 전개 및 절첩할 때에 이용하는 로크 레버 및 로크 페달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 했을 때, 제 1 후방 스테이(21)와 각 링크 암(62, 64) 사이, 및 각 링크 암(62, 64)과 제 2 후방 스테이(22)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를 접을 때에 사용자가 각 극간에 손가락이 끼이는 일이 없어, 유모차(10)의 안전성이 높여져 있다. 한편,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이란, 일반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를 상회하는 극간, 예를 들면 14㎜ 이상의 극간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핸들(12)에 제 1 덮개 프레임(25)이 고정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핸들(12)에는, 제 2 덮개 프레임(26)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제 1 덮개 프레임(25) 및 제 2 덮개 프레임(26) 위에는, 유아의 햇빛 가리개나 비 가리개로서 이용할 수 있는 덮개(27)가 설치되어 있 다. 제 2 덮개 프레임(26)을 제 1 덮개 프레임(25)에 대하여 전후로 요동시킴으로써, 덮개(27)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핸들(12)과 각 핸들(12)에 대응하는 전각(11) 사이에, 각각 암레스트(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암레스트(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12) 및 전각(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암레스트(40)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좌우의 암레스트(40)는, 서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한 쌍의 암레스트(40) 중 유모차(10) 후방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암레스트(40)에 대해서 대표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암레스트(40)는, 핸들(1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암레스트 본체(41)와, 전각(1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암레스트 본체(4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지지 레버(42)를 갖고 있다.
이 중 암레스트 본체(41)에, 제 1 회동축(43)을 통해서 제 1 연결 부재(44)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 1 연결 부재(44)에는, 제 1 로크 레버(4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로크 레버(45)의 구멍(45a)을 제 1 연결 부재(44)의 돌기(44a)에 끼워맞춤으로써, 제 1 로크 레버(45)를 로크하고, 제 1 연결 부재(44)를 핸들(12)의 소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로크 레버(45)의 구멍(45a)을 제 1 연결 부재(44)의 돌기(44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 1 로크 레버(45)의 로크를 해제하여, 제 1 연결 부재(44)를 핸들(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지지 레버(42)에는, 제 2 회동축(46)을 통해서 제 2 연결 부재(47)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47)에는, 제 2 로크 레버(4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로크 레버(48)의 구멍(48a)을 제 2 연결 부재(47)의 돌기(47a)에 끼워맞춤으로써, 제 2 로크 레버(48)를 로크하고, 제 2 연결 부재(47)를 전각(11)의 소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 2 로크 레버(48)의 구멍(48a)을 제 2 연결 부재(47)의 돌기(47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 2 로크 레버(48)의 로크를 해제하고, 제 2 연결 부재(47)를 전각(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5,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의 외측면(41c)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원주(圓柱)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 핀(4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 핀(4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30)의 로크 장치(34)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의 외측면(41c)에는, 수용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50)는, 후술하는 차일드 시트(30)를 장착한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30)의 로크 장치(34)가 수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돌기 핀(49)은, 이 수용 오목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50)는,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 측에 설치된 한쪽의 경사부(51)와,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 측에 설치된 다른 쪽의 경사부(52)를 갖고 있다. 이들 한쪽의 경사부(51) 및 다른 쪽의 경사부(52)에 의 해, 수용 오목부(50)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의 전단부에, 암레스트 본체(41)의 상면(41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 1 걸어맞춤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부(53)는, 수용 오목부(50)보다 전방에 위치해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 1 걸어맞춤부(53)는 로크 장치(34)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걸어맞춤부(53)는, 한쪽의 경사부(51)에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의 내측면(41b)에는, 제 2 걸어맞춤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54)는 제 1 걸어맞춤부(53)보다 후방에 위치해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 2 걸어맞춤부(54)는 로크 장치(34)의 내측에 위치해 있다. 이 제 2 걸어맞춤부(54)는, 내측면(41b)으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걸어맞춤부(54)의 전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걸어맞춤면(5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의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40)는, 유모차(10)가 전개 상태 및 절첩 상태를 취하는 것과 연동해서 암레스트 본체(41)와 지지 레버(42)가 서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해, 암레스트(40)는, 전개 상태(도 6의 (a))와 절첩 상태(도 6의 (b))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에서는, 전각(11) 및 핸들(12)이 절첩됨에 따라, 암레스트(40)가 절첩된다. 이 경우, 전각(11), 지지 레버(42), 암레스트 본체(41), 및 핸들(12)이 서로 접근한다. 이때, 전각(11)과 암레스트(40)의 지지 레버(42) 사이, 암레스트(40)의 지지 레버(42)와 암레스트 본체(41) 사이, 및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와 핸들(12) 사이에, 각각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55a, 55b, 55c)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모차(10)를 절첩할 때, 전각(11), 지지 레버(42), 암레스트 본체(41), 및 핸들(12) 사이의 극간(55a, 55b, 55c)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다.
마찬가지로, 도 6의 (a)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도, 암레스트 본체(41)와 제 1 요동부(29a)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55d)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유모차(10)를 열었을 때에, 암레스트 본체(41)와 제 1 요동부(29a) 사이의 극간(55d)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이란, 일반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를 상회하는 극간, 예를 들면 14㎜ 이상의 극간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는,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차일드 시트(3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차일드 시트(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차일드 시트(30)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차일드 시트 본체(31)와, 차일드 시트 본체(3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차일드 시트용 핸들(32)과, 차일드 시트 본체(31)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차일드 시트용 덮개(33)를 갖고 있다.
이 중 차일드 시트 본체(31)의 양측에는, 각각 로크 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로크 장치(34)는, 상술한 각 암레스트(40)의 돌기 핀(49)에 걸어맞춰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로크 장치(34)의 측부에는, 로크 장치(34)와 각 돌기 핀(49)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로부터 분리하는 착탈 레버(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30)의 각 로크 장치(34)를, 대응하는 암레스트(30)의 돌기 핀(49)에 걸어맞춤으로써, 차일드 시트(30)가 유모차(10)의 암레스트(40)에 장착된다(도 10 참조). 이렇게, 차일드 시트(30)가 유모차(10)의 암레스트(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 본체(31)에 태워진 유아의 얼굴이 유모차의 배면 측을 향한다(대면식).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의해,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로크 장치(34) 및 돌기 핀(49)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6과 마찬가지로, 유모차(10) 후방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로크 장치(34) 및 암레스트(4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우측에 위치하는 로크 장치(34) 및 암레스트(40)에 대해서도 그 구성은 동일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로크 장치(34)는, 착탈 레버(35)의 조작에 연동해서 돌기 핀(49)에 걸거나 벗기는 로크 부재(37)를 갖고 있다. 즉, 차일드 시트(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가 암레스트 본체(41)의 돌기 핀(49)에 확실히 걸리거나 벗겨지고,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30)가 암 레스트(40)에 대하여 고정된다. 한편, 착탈 레버(35)를 해제하고,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를 암레스트 본체(41)의 돌기 핀(49)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차일드 시트(30)를 암레스트(4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는, 제 1 걸어맞춤부(53)를 갖고 있다. 이 제 1 걸어맞춤부(53)는, 암레스트 본체(41)의 전단부이며, 차일드 시트(30)의 장착 상태에서 로크 장치(34)보다 전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장치(34)의 전방에는, 암레스트(40)의 제 1 걸어맞춤부(53)와 걸어맞춰지는 제 1 접촉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접촉부(35)는 제 1 걸어맞춤부(53)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 1 접촉부(36)는 제 1 걸어맞춤부(53)에 접촉하는 경사 하면(36a)을 갖고 있다.
또한, 로크 장치(34)의 하부에는, 안내 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39)는, 차일드 시트(30)를 장착할 때에, 수용 오목부(50)의 한쪽의 경사부(51) 위를 슬라이딩한다. 또한, 안내 부재(39)는, 차일드 시트(30)의 장착 후에는 한쪽의 경사부(51)에 걸어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는, 제 1 걸어맞춤부(53)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걸어맞춤부(54)를 갖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30)의 로크 장치(34)의 내측에, 암레스트(40)의 제 2 걸어맞춤부(54)와 걸어맞춰지는 제 2 접촉부(38)(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접촉부(38)는 제 2 걸어맞춤부(54)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제 2 접촉부(38)는, 제 2 걸어맞춤부(54)의 걸어맞춤면(54a)에 접촉하는 수직면(38a)을 갖고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한 쌍의 암레스트(40)를 각 전각(11) 및 각 핸들(12)에 부착한다. 이때, 미리 각 암레스트(40)의 제 1 로크 레버(45) 및 제 2 로크 레버(48)를 해제해 둔다.
다음으로, 각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를 각 핸들(12)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제 1 로크 레버(45)를 로크함으로써, 각 암레스트 본체(41)의 제 1 연결 부재(44)를 각 핸들(12)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도 4 참조).
마찬가지로, 각 암레스트(40)의 지지 레버(42)를 각 전각(11)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제 2 로크 레버(48)를 로크함으로써, 각 지지 레버(42)의 제 2 연결 부재(47)를 각 전각(11)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도 4 참조).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암레스트(40)가, 각 전각(11) 및 각 핸들(12)에 각각 고정된다.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장착할 때의 작용에 대해서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차일드 시트(30)를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30)를 위쪽으로부터 한 쌍의 암레스트(40)를 향해서 하강시킨다(도 11의 (a)).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30)의 각 안내 부재(39)를 수용 오목부(50)의 한쪽의 경사부(51)를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각 로크 장치(34)는, 각 암레스트 본체(41)의 돌기 핀(49)을 향해서 접근한다(도 11의 (b)).
그 후, 각 로크 장치(34)를 수용 오목부(50)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각 로크 장치(30)를 돌기 핀(49)에 걸어맞춰서,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대하여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각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가 돌기 핀(49)과 걸어맞춰지고, 돌기 핀(49)이 로크 장치(34)에 의해 로크된다. 이렇게 해서, 차일드 시트(30)가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장착된다(도 11의 (c)).
또한, 이때, 각 암레스트(40)의 제 1 걸어맞춤부(53)와 차일드 시트(30)의 각 제 1 접촉부(36)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도 8), 각 암레스트(40)의 제 2 걸어맞춤부(54)와 차일드 시트(30)의 각 제 2 접촉부(38)가 걸어맞춰진다(도 9).
그런데,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부착할 때, 가령 차일드 시트(30)의 밀어 넣기가 불충분하면, 각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가 돌기 핀(49)에 충분히 걸어맞춰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얼핏 보면, 각 로크 장치(34)가 수용 오목부(50)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한쪽 또는 양쪽의 로크 장치(34)가 암레스트(40)의 돌기 핀(49)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장착했을 때, 각 암레스트(40)의 제 1 걸어맞춤부(53)와 차일드 시트(30)의 각 제 1 접촉부(36)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도 8 참조), 제 1 걸어맞춤부(53)가 제 1 접촉부(36)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30)가 전방(도 8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각 암레스트(40)의 제 2 걸어맞춤부(54)와 차일드 시트(30)의 각 제 2 접촉부(38)가 걸어맞춰져 있으므 로(도 9 참조), 제 2 걸어맞춤부(54)가 제 2 접촉부(38)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30)가 전방(도 9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렇게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가 암레스트(40)의 돌기 핀(49)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여도, 차일드 시트(30)가 전방으로 회전할 우려가 없고, 차일드 시트(30)가 잘못해서 한 쌍의 암레스트(40)로부터 탈락하게 될 우려가 없다.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로부터 분리할 때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각 로크 장치(34) 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착탈 레버(35)를 들어 올림으로써, 각 로크 장치(34)의 로크 부재(37)와 돌기 핀(49)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30)의 차일드 시트용 핸들(32)을 파지하고, 차일드 시트(30)를 한 쌍의 암레스트(40)로부터 위쪽으로 끌어 올린다. 이렇게 해서, 차일드 시트(30)가 한 쌍의 암레스트(40)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암레스트(40)가 부착된 채의 상태에서, 시트(23)에 유아를 태우고, 암레스트가 있는 유모차로서 유모차(1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한 쌍의 암레스트(4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암레스트(4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제 1 로크 레버(45)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각 암레스트 본체(41)의 제 1 연결 부재(44)를 각 핸들(12)로부터 분리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로크 레버(48)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각 지지 레버(42)의 제 2 연결 부재(47)를 각 전각(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암레스트(40)를 각 전각(11) 및 각 핸들(12)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이렇게 암레스트가 없는 유모차로서 유모 차(1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핸들(12)과 각 핸들(12)에 대응하기 전각(11) 사이에, 각각 암레스트(40)를 설치하고, 각 암레스트(40)는 핸들(12) 및 전각(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암레스트(40)를 사용할 때에만 암레스트(40)를 부착하고, 암레스트(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암레스트(40)를 분리해둘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30)는, 한 쌍의 암레스트(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용의 어태치먼트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차일드 시트(30)를 유모차(10) 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레스트(40)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한 쌍의 암레스트(40)를 분리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암레스트(40)의 제 1 걸어맞춤부(53)와 차일드 시트(30)의 한 쌍의 제 1 접촉부(36)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각 암레스트(40)의 제 2 걸어맞춤부(54)와 차일드 시트(30)의 한 쌍의 제 2 접촉부(38)가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가령 차일드 시트(30)가 각 암레스트(40)에 올바르게 부착되어 있지 않고, 로크 장치(34)가 암레스트(40)의 돌기 핀(49)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여도, 차일드 시트(30)가 한 쌍의 암레스트(40)로부터 잘못해서 탈락할 일이 없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 핸들(12)과 암레스 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 사이, 암레스트(40)의 암레스트 본체(41)와 지지 레버(42) 사이, 암레스트(40)의 지지 레버(42)와 전각(11)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55a, 55b, 55c)을 형성했기 때문에,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에 사용자가 각 극간(55a, 55b, 55c)에 손가락을 끼일 우려가 없어, 유모차(1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제 1 후방 스테이(21)와 각 링크 암(62, 64) 사이, 각 링크 암(62, 64)과 제 2 후방 스테이(22)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를 절첩했을 때에 사용자가 각 극간에 손가락을 끼일 일이 없어, 유모차(10)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를 정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를 배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암레스트를 시트 측에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암레스트를 유모차 측방 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암레스트의 전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암레스트의 절첩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차일드 시트를 암레스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암레스트 주변을 유모차 측방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9는 차일드 시트를 암레스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암레스트 주변을 시트 측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10은 차일드 시트를 암레스트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 태에 의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 11의 (a) 내지 (c)는 차일드 시트를 암레스트에 장착할 때의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모차 11 : 전각
12 : 핸들 13 : 후각
14 : X자 힌지 30 : 차일드 시트
40 : 암레스트

Claims (10)

  1.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前脚)과,
    한 쌍의 전각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핸들과,
    한 쌍의 핸들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후각(後脚)과,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되고,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을 광폭(廣幅)의 전개 상태로부터 협폭(狹幅)의 절첩(折疊) 상태로 하기 위한 X자 힌지를 구비하고,
    각 핸들과 각 핸들에 대응하는 전각 사이에, 각각 암레스트(armrest)를 설치하고, 각 암레스트는 핸들 및 전각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 및 핸들 사이에, 시트 자리부와 시트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전각과 후각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를 더 구비하고,
    시트의 시트 자리부는 한 쌍의 연결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며, 시트의 시트 등받이부는 한 쌍의 핸들에 부착된 매달기 밴드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암레스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암레스트의 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 핀이 설치되고, 차일드 시트의 양측에, 각 돌기 핀에 걸어맞춤으로써 차일드 시트를 한 쌍의 암레스트에 고정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된 제 1 걸어맞춤부와, 제 1 걸어맞춤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걸어맞춤부를 갖고,
    차일드 시트에, 각 암레스트의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제 1 접촉부와, 각 암레스트의 제 2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가 설치되고,
    각 암레스트의 제 1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1 접촉부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각 암레스트의 제 2 걸어맞춤부와 차일드 시트의 한 쌍의 제 2 접촉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적어도 한쪽의 로크(lock) 장치가 암레스트의 돌기 핀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 차일드 시트가 한 쌍의 암레스트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암레스트는, 핸들에 부착된 암레스트 본체와, 전각에 부착되며 암레스트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지지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유모차를 절첩했을 때에, 각 전각과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 사이, 각 암레스트의 지지 레버와 암레스트 본체 사이, 및 각 암레스트의 암레스트 본체와 각 핸들 사이에, 각각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극간(隙間)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5 항에 있어서,
    각 암레스트의 측면에, 로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는, 유모차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 측에 설치된 한쪽의 경사 부와, 유모차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 측에 설치된 다른 쪽의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90114905A 2008-12-03 2009-11-26 유모차 KR20100063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8639 2008-12-03
JP2008308639A JP5449752B2 (ja) 2008-12-03 2008-12-03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58A true KR20100063658A (ko) 2010-06-11

Family

ID=4168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05A KR20100063658A (ko) 2008-12-03 2009-11-26 유모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86990B2 (ko)
EP (1) EP2193974A3 (ko)
JP (1) JP5449752B2 (ko)
KR (1) KR20100063658A (ko)
CN (1) CN101746402B (ko)
HK (1) HK1145306A1 (ko)
TW (1) TW201029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262A (ko) * 2012-05-29 2015-03-05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시트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243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幌付折畳式乳母車
CN102079324B (zh) * 2009-12-01 2015-08-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US8167332B2 (en) * 2010-08-26 2012-05-01 Sentiment Industries Ltd. Folding stroller
CN201961358U (zh) * 2010-09-08 2011-09-0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可收折的婴儿车骨架结构
CN102180113A (zh) * 2011-04-29 2011-09-1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以及与儿童推车的组合体
CN102275531B (zh) * 2011-05-23 2013-06-26 湖南大学 多功能儿童安全座椅
ES2630308T3 (es) * 2011-11-01 2017-08-21 Combi Corporation Silla de bebé plegable
JP5894415B2 (ja) * 2011-11-01 2016-03-30 コンビ株式会社 折畳みが可能なベビーカー
DE102013103322B4 (de) * 2012-04-05 2021-05-12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Kinderwagenvorrichtung
CN202624323U (zh) 2012-04-20 2012-12-26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CN103112485A (zh) * 2013-02-06 2013-05-22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座垫杆与车架的连接结构
JP6247825B2 (ja) * 2013-02-28 2017-12-1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US9487110B2 (en) 2014-03-05 2016-11-08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US8911015B2 (en) 2013-03-05 2014-12-16 Yochanan Cohen Car seat
CN103332218A (zh) * 2013-07-09 2013-10-02 马健 一种有利于婴儿呼吸健康的婴儿推车
US9616782B2 (en) 2014-08-29 2017-04-11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vehicle conn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6813502B2 (ja) 2015-05-12 2021-01-13 ピダイオン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自動車シート及び連結システム
JP6758905B2 (ja) * 2016-05-09 2020-09-2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1596721S (ko) 2017-08-23 2018-02-05
WO2019054429A1 (ja) * 2017-09-13 2019-03-21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TWD194156S (zh) 2017-09-14 2018-11-21 德商賽貝克有限公司 嬰兒推車
JP7311237B2 (ja) 2021-09-03 2023-07-19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スプレッダ破損防止機能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576Y2 (ja) * 1990-07-27 1997-06-04 象印ベビー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におけるリクライニング背凭れ
JP3446484B2 (ja) * 1996-07-10 2003-09-16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椅子
JP3831824B2 (ja) * 1996-08-08 2006-10-11 日進医療器株式会社 格納式グリップ
US5794951A (en) * 1996-10-25 1998-08-18 Century Products Company Child's stroller with manually operable accessory latch assembly
US5947555A (en) * 1996-11-22 1999-09-07 Kolcraft Enterprises, Inc. Infant seat and stroller coupling system
US5865447A (en) * 1997-03-17 1999-02-02 Huang; Li-Chu Chen Controlling structure of a stroller
US6120054A (en) * 1998-12-30 2000-09-19 Hu; Stephen Device for the armrest of a baby stroller
NL1012334C2 (nl) * 1999-06-15 2000-12-18 Maxi Miliaan Bv Wandelwagen.
US6398233B1 (en) * 1999-08-16 2002-06-04 Link Treasure Limited Foldable stroller with separable infant carrier
US6409205B1 (en) * 1999-10-21 2002-06-25 Mattel, Inc. Infant car seat stroller
JP4841722B2 (ja) * 2000-11-24 2011-12-2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577419U (en) * 2002-12-17 2004-02-21 Link Treasure Ltd Device for indicating buckling state for baby carriage and automobile baby seat
ES1053703Y (es) 2003-01-09 2003-11-16 Jane Sa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amovible de asientos y capazos-cuna en cochecitos infantiles.
US6843499B2 (en) * 2003-01-29 2005-01-18 Jyan-Tsai Guo Foldable baby stroller
JP4312496B2 (ja) * 2003-04-21 2009-08-12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2696950Y (zh) * 2004-04-30 2005-05-04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幼儿车架
JP2006159930A (ja) * 2004-12-02 2006-06-22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4942977B2 (ja) * 2005-09-30 2012-05-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WO2008017193A1 (fr) * 2006-07-24 2008-02-14 Goodbaby Child Products Co., Ltd. Ensemble constitué d'un porte-nourrisson et d'une poussette
JP5020655B2 (ja) * 2007-02-14 2012-09-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7938435B2 (en) * 2008-03-28 2011-05-10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stroller with removable child carrier
US8100429B2 (en) *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262A (ko) * 2012-05-29 2015-03-05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시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9752B2 (ja) 2014-03-19
TW201029870A (en) 2010-08-16
CN101746402A (zh) 2010-06-23
CN101746402B (zh) 2015-04-01
US20100133789A1 (en) 2010-06-03
JP2010132077A (ja) 2010-06-17
EP2193974A2 (en) 2010-06-09
HK1145306A1 (en) 2011-04-15
US8286990B2 (en) 2012-10-16
EP2193974A3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3658A (ko) 유모차
US5201535A (en) Folding stroller with detachable seat
TWI659878B (zh) Baby carriage
TW201708012A (zh) 折疊式嬰兒車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3080953B1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的な形態を有する老人車
TW200521007A (en) Stroller on which basket can be mounted
JP2008195265A (ja) ベビーカー
JP2017144856A (ja) ベビーカー
JP6144270B2 (ja) 乳母車
KR102488863B1 (ko)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JP2001328543A (ja) ベビーカー
JP4081053B2 (ja) 車両用シート
TWI752337B (zh) 嬰兒車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H10258741A (ja) ベビーカー用セイフティーロック装置
JPH0241102Y2 (ko)
CN110775136B (zh) 婴儿车
JP2946411B1 (ja) 乳母車兼用背負子
WO2024013941A1 (ja) 乳母車
JP3134116U (ja) 折畳み式車椅子の覆い装置
JP2001328541A (ja) ベビーシート
JP2005162050A (ja) ベビーカー
JP2019064588A (ja) ベビーカーおよびフロントガード部材
JP200105852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