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536A -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536A
KR20100060536A KR1020080119164A KR20080119164A KR20100060536A KR 20100060536 A KR20100060536 A KR 20100060536A KR 1020080119164 A KR1020080119164 A KR 1020080119164A KR 20080119164 A KR20080119164 A KR 20080119164A KR 20100060536 A KR20100060536 A KR 2010006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ushion frame
rotated
vehic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387B1 (ko
Inventor
정찬호
김영동
홍성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387B1/ko
Priority to US12/548,190 priority patent/US7891720B2/en
Priority to DE102009039274.2A priority patent/DE102009039274B4/de
Priority to CN2009101720352A priority patent/CN101746294B/zh
Publication of KR2010006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시트백프레임이 쿠션프레임에 폴딩되고 쿠션프레임이 래그 어셈블리에서 회동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가 소개된다. 이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의 링크브라켓은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력을 래치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고정브라켓은 시트백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링크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스토퍼는 래그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고 힌지편은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쿠션프레임의 최후방 이동시 스토퍼에 의해 회전되며, 작동와이어는 힌지편과 링크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힌지편의 회전시 링크브라켓을 리클라이너 브라켓과의 연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리클라이더 브라켓, 래치캠, 링크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APPARATUS FOR DOUBLE FOLDING TYPE SEAT IN VEHICLES}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시트백프레임이 쿠션프레임에 폴딩되고, 록플레이트에 대한 래치캠의 록킹해제에 의해 쿠션프레임이 래그 어셈블리에서 회동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져 및 다인원이 승차하는 차량에는, 3열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더블 폴딩 시트가 2열에 마련된다.
이러한 더블 폴딩 시트는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시트쿠션을 다시 전방으로 회전하여 접으면, 시트 전체는 전방으로 폴딩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래그 어셈블리 상에서 쿠션프레임을 슬라이딩 진행 중에 쿠션프레임을 폴딩시키는 경우 쿠션프레임의 더블 폴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불안전하게 더블 폴딩된 시트는 승하차하는 승객이 손으로 시트를 짚거나 누를 경경우 슬라이드 노출부 또는 시트 상하 유동에 의해 승객의 손이나 발에 상해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0)이 쿠션 프레임(20)에서 폴딩되면, 래치와이어(12)에 연결된 회전브라켓(13)이 리클라이너 브라켓(11)의 회전에 의해 동시 회전하게 된다.
도 11a 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0)이 쿠션프레임(20)에서 추가 폴딩되면, 래치와이어(12)가 리클라이너 브라켓(11)에 의해 당겨지면서 래치캠(21)이 동시에 회전되고, 래치캠(21)은 록 플레이트(31)를 회전시켜서 래그 어셈블리(30)에 대한 록 플레이트(31)의 록킹을 해제한다.
도 12a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그 어셈블리(30)에 대한 록 플레이트(31)의 록킹을 해제되면, 래그 어셈블리(30)로부터 쿠션프레임(20)을 폴딩시킬 수 있는데, 이때, 폴딩되는 시트는 해당 선단부가 플로어에 간섭되어 더블 폴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시트의 폴딩이 이루어지더라도, 폴딩된 시트는 슬라이드 노출부 또는 시트 상하 유동을 통해 승객의 손이나 발에 상해가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후방 이동 전 위치에서 폴딩된 시트쿠션으로 인해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시트백프레임이 쿠션프레임에 폴딩되고, 록플레이트에 대한 래치캠의 록킹해제에 의해 쿠션프레임이 래그 어셈블리에서 회동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로서, 링크브라켓, 고정브라켓, 스토퍼, 힌지편, 및 작동와이어를 포함한다. 링크브라켓은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고정브라켓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크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스토퍼는 상기 래그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고 힌지편은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의 최후방 이동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전되며, 작동와이어는 상기 힌지편과 링크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편의 회전시 링크브라켓을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과의 연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링크브라켓은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작동와이어가 연결되는 슬라이딩편과, 상기 슬라이딩편에 결합되면서 상기 래치캠의 래치와이어가 연결되는 폴딩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편은 상기 쿠션프레임의 최후방 이동시 상기 스토퍼 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폴딩회전편에는 상기 힌지편의 회전시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캠은 상기 래치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폴딩회전편과 연결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와이어의 당김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록플레이트를 록킹해제하고, 상기 록플레이트는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래그 어셈블리에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래치와이어가 끼워 결합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시트가 최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만 시트쿠션의 더블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후방 이동 전 위치에서 폴딩된 시트쿠션으로 인해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는, 차량 시트가 최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만 차량 시트의 더블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폴딩 장치는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력을 래치캠(41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브라켓(120)과, 차량 시트의 최후방 이동시 쿠션프레임(300)에서 회전되는 힌지편(130)과, 힌지편(130)의 회전에 의해 당겨져 링크브라켓(120)을 리클라이너 브라켓(210)과의 연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와이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시트백프레임(200)은 힌지축을 통해 쿠션프레임(3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축에는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이 연동되게 연결된다.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은 시트백프레임(200)의 회동시 회전되면서 해당 회전 궤적상에 위치되는 링크브라켓(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쿠션프레임(300)은 래그 어셈블리(400)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쿠션프레임(300)에는 래치와이어(320)를 매개로 링크브라켓(120)과 연결되는 래치캠(410)과, 래치캠(410)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플레이트(420)가 마련된다.
즉, 링크브라켓(120)의 회전에 의해 래치캠(410) 및 록플레이트(420)이 회전되면, 회전되는 록플레이트(420)는 래그 어셈블리(400)의 스트라이커를 록킹을 해제한다. 이로써, 쿠션프레임(300)의 록플레이트(420)는 래그 어셈블리(400)의 스 트라이커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쿠션프레임(300)을 회동시키면 쿠션프레임(300)은 더블 폴딩될 수 있다.
링크브라켓(120)은 리클라이너 브라켓(210)과 래치캠(410) 사이에서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래치캠(410)에 전달하는 역활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300)이 래그 어셈블리(4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중이면 링크브라켓(120)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서 벗어나게 되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력을 래치캠(410)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300)이 래그 어셈블리(400)의 최후방에 위치되면, 링크브라켓(120)은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되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력을 래치캠(41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링크브라켓(120)은 시트백프레임(200)의 고정브라켓(110)에 설치된다. 고정브라켓(110)은 시트백프레임(20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링크브라켓(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스프링(121)을 통해 링크브라켓(1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삽입홈부(112)를 통해 링크브라켓(120)의 작동와이어(150)를 장착한다.
그리고 링크브라켓(120)은 고정브라켓(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작동와이어(150)가 연결되는 슬라이딩편(122)과, 슬라이딩편(122)에 결합되면서 래치와이어(320)를 매개로 래치캠(410)과 연결되는 폴딩회전편(1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링크브라켓(120)은 고정브라켓(110)의 탄성스프링(121)을 통해 탄성 적으로 지지되므로, 링크브라켓(120)이 작동와이어(150)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탄성스프링(121)은 압축되고 링크브라켓(120)의 걸림돌기(124)는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 이동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24)는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되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력을 래치와이어(320)에 전달하여 래치캠(410)이 회전되도록 한다.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와이어(150)는 힌지편(130)과 링크브라켓(120) 사이에 연결되어, 쿠션프레임(300)이 최후방으로 이동되면 힌지편(130)의 회전에 의해 당겨진다. 따라서, 힌지편(130)의 회전에 의해 작동와이어(150)가 당겨지면 링크브라켓(120)은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힌지편(130)은 쿠션프레임(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래그 어셈블리(400)에 마련된 스토퍼(14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이들 힌지편(130) 및 스토퍼(140)는 쿠션프레임(300)이 최후방 이동된 위치에서 서로 접촉이 가능한 위치인 쿠션프레임(300)과 래그 어셈블리(400)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힌지편(130)은 쿠션프레임(300)의 최후방 이동시 스토퍼(14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편(130)은 쿠션프레임(300)이 최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토퍼(14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작동와이어(150)를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또는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300)이 래그 어셈블리(4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중이면, 링크브라켓(120)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서 벗어난 상태가 유지된다.
도 8a 또는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300)이 래그 어셈블리(4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시트백프레임(200)이 폴딩되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이 시트백프레임(200)의 폴딩에 따라 회전된다. 이때, 링크브라켓(120)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상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이므로,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이 회전하더라도 링크브라켓(120)은 회전되지 않는다. 결국, 쿠션프레임(300)의 폴딩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9a 또는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300)이 쿠션프레임(300)이 래그 어셈블리(400)의 최후방에 위치되면, 래그 어셈블리(400)의 스토퍼(140)에 의해 힌지편(130)이 회전되고, 이 힌지편(130)의 회전에 의해 작동와이어(150)가 당겨지면서 링크브라켓(120)이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 궤적으로 이동된 링크브라켓(120)은 리클라이너 브라켓(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해당 회전력을 래치와이어(320)에 전달한다. 결국, 래치와이어(320)에 의해 래치캠(410)이 회전되면 래치캠(410)의 회전에 의해 록플레이트(420)이 회전되고, 록플레이트(420)가 회전되면서 래그 어셈블리(400) 스트라이커의 록킹은 해제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 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C"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3은 도 1의 "D"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시트백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시트백이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는 시트백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의 힌지편을 도시한 상태도.
도 6b는 시트백이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의 힌지편을 도시한 상태도.
도 7a는 시트백이 폴딩전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7b는 도 7a의 "E"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8a는 시트백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8b는 도 8a의 "E"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9a는 시트백이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E"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에서 리클라이너 브라켓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a 상태에서 시트백이 추가 폴딩되면서 리클라이너 브라켓과 래치캠이 동시에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도 11a 상태에서 시트백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고정브라켓 120 :링크브라켓
130 :힌지편 140 :스토퍼
200 :시트백프레임 210 :리클라이너 브라켓

Claims (7)

  1.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시트백프레임이 쿠션프레임에 폴딩되고, 록플레이트에 대한 래치캠의 록킹해제에 의해 쿠션프레임이 래그 어셈블리에서 회동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로서,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캠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브라켓;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크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래그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쿠션프레임의 최후방 이동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과 링크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편의 회전시 링크브라켓을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과의 연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브라켓은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작동와이어가 연결되는 슬라이딩편과, 상기 슬라이딩편에 결합되면서 상기 래치캠의 래치와이어가 연결되는 폴딩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편은 상기 쿠션프레임의 최후방 이동시 상기 스토퍼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딩회전편에는 상기 힌지편의 회전시 상기 리클라이너 브라켓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캠은 상기 래치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폴딩회전편과 연결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와이어의 당김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록플레이트를 록킹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플레이트는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래그 어셈블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용 더블 폴딩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래치와이어가 끼워 결합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KR1020080119164A 2008-11-27 2008-11-27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KR10106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64A KR101063387B1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US12/548,190 US7891720B2 (en) 2008-11-27 2009-08-26 Double folding seat for vehicle
DE102009039274.2A DE102009039274B4 (de) 2008-11-27 2009-08-28 Doppelklappsitz für ein Fahrzeug
CN2009101720352A CN101746294B (zh) 2008-11-27 2009-09-03 用于车辆的双折叠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64A KR101063387B1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36A true KR20100060536A (ko) 2010-06-07
KR101063387B1 KR101063387B1 (ko) 2011-09-07

Family

ID=4213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164A KR101063387B1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91720B2 (ko)
KR (1) KR101063387B1 (ko)
CN (1) CN101746294B (ko)
DE (1) DE102009039274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71A1 (ko) * 2011-12-22 2013-06-27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래치 어셈블리
KR101876464B1 (ko) * 2016-08-31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더블폴딩시트의 록킹어셈블리
KR102403311B1 (ko) * 2020-11-30 2022-05-27 오완곤 차량용 폴딩 시트의 프레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5015A1 (de) * 2012-08-23 2014-02-27 Lear Corporation Gleitbolzen-Bodenarretierung
CN103612577B (zh) * 2013-11-29 2016-03-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折叠式座垫结构及应用其的座椅
JP6728984B2 (ja) * 2016-05-27 2020-07-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CN108372805A (zh) * 2016-11-15 2018-08-0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四分座椅
KR102634035B1 (ko) * 2019-09-16 2024-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 시트 폴딩 장치
CN114132234A (zh) * 2020-09-04 2022-03-04 现代坦迪斯株式会社 车辆后座椅的双折叠解锁装置
DE102022120522A1 (de) 2022-08-15 2024-02-15 Faurecia Autositze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und 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221Y2 (ko) * 1976-11-04 1982-08-30
US6024411A (en) * 1999-03-17 2000-02-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mounted cupholder adapted for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KR20020047674A (ko) * 2000-12-13 2002-06-22 이계안 더블 폴딩시트의 록킹장치
CN2488752Y (zh) * 2001-07-10 2002-05-01 全兴工业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快速折叠及倒立装置
DE10311870B4 (de) * 2003-03-17 2007-08-30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Mehrfachsitz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Doppelsitzbank
KR100578899B1 (ko) 2004-07-09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의 탈착장치
KR100604737B1 (ko) 2004-07-13 2006-07-31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KR100649090B1 (ko) * 2005-06-22 2006-11-24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KR20070031493A (ko) 2005-09-14 2007-03-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KR100715894B1 (ko) 2005-10-27 2007-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투터치 리클라이너 레버 구조
KR100837911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KR101013905B1 (ko) * 2007-12-18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 록킹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71A1 (ko) * 2011-12-22 2013-06-27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래치 어셈블리
KR101876464B1 (ko) * 2016-08-31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더블폴딩시트의 록킹어셈블리
KR102403311B1 (ko) * 2020-11-30 2022-05-27 오완곤 차량용 폴딩 시트의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6294B (zh) 2013-09-25
CN101746294A (zh) 2010-06-23
KR101063387B1 (ko) 2011-09-07
US7891720B2 (en) 2011-02-22
DE102009039274B4 (de) 2018-05-17
US20100127545A1 (en) 2010-05-27
DE102009039274A1 (de)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387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KR101000217B1 (ko) 자동차 시트용 워크인 메모리장치
JP4755823B2 (ja) 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WO2006132127A1 (ja) 車両用シートの操作レバー配置構造
KR20110062445A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JP2012131409A (ja) 車両用シート
KR101592680B1 (ko) 자동차용 스탠드업 시트 백폴딩 장치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20130013362A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US9296318B2 (en) Vehicle seat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JP2002234369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20130024625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20060074413A (ko) 워크인과 폴딩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리클라이너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5910816B2 (ja) シート装置
US20100295352A1 (en) Vehicle seat
US10391893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JPH058671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897405B1 (ko) 차량 시트의 듀얼 모션 워크인
KR10136122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