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569A -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569A
KR20100058569A KR1020107005903A KR20107005903A KR20100058569A KR 20100058569 A KR20100058569 A KR 20100058569A KR 1020107005903 A KR1020107005903 A KR 1020107005903A KR 20107005903 A KR20107005903 A KR 20107005903A KR 20100058569 A KR20100058569 A KR 2010005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re
port
cylinder
high pressur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868B1 (ko
Inventor
다케오 이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5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35Cylinde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1/18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self-acting distribution members, i.e. actuated by working fluid
    • F04B1/188Plate-like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42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having two or more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13Pressure pulsations after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실린더 보어 (25f) 가 밸브판 토출 포트에 연통하기 직전에 실린더 보어 (25f) 와 밸브판 토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자기압 스로틀 (52) 과, 실린더 보어 (25f) 가 밸브판 흡입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실린더 보어 (25f) 가 자기압 스로틀 (52) 에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밸브판 토출 포트와 실린더 보어 (25f) 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 (40) 를 형성하고, 그 유로 (40) 는, 연통시에 실린더 보어 (25f) 측의 유로 내의 고압을 실린더 보어 (25f) 내에 전달시킴과 함께, 비연통시에 실린더 보어 (25f) 측의 유로 내의 압을 다음의 실린더 보어와의 연통 전에 밸브판 토출 포트측의 압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으로, 비교적 넓은 회전수 영역에서 맥동을 억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HYDRAULIC PUMP-MOTOR AND METHOD OF PREVENTING PULSATION OF HYDRAULIC PUMP-MOTOR}
본 발명은, 저압 공정으로부터 고압 공정으로 이행할 때에 발생하는 맥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 및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설 기계 등에서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액셜형 유압 피스톤 펌프나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셜형 유압 피스톤 모터가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셜형 유압 피스톤 펌프는, 케이스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실린더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의 각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끼워넣어지고, 이 실린더 블록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작동유를 흡입·토출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케이스와 실린더 블록 단면 사이에 형성되고, 각 실린더와 연통하는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가 형성된 밸브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유압 펌프는, 구동축이 회전 구동하면, 케이스 내에서 작동축과 함께 실린더 블록이 회전하고, 실린더 블록의 각 실린더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고, 흡입 포트로부터 실린더 내에 흡입된 작동유를 피스톤에 의해 가압하여 토출 포트에 압유로서 토출한다.
여기서, 각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가 밸브판의 흡입 포트와 연통할 때, 흡입 포트의 시작단으로부터 종단에 걸쳐 피스톤이 실린더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흡입 포트로부터 실린더 내에 작동유를 흡입하는 흡입 공정이 행해진다. 한편, 각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가 토출 포트와 연통할 때, 토출 포트의 시작단으로부터 종단에 걸쳐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린더 내의 작동유를 토출 포트 내에 토출하는 토출 공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흡입 공정 및 토출 공정을 반복하도록 실린더 블록을 회전시킴으로써, 흡입 공정에서 흡입 포트로부터 실린더 내에 흡입된 작동유를, 토출 공정에서 가압하여 토출 포트에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7-189887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44941호
그런데, 상기 서술한 종래의 유압 펌프 등으로는, 흡입 공정에서 밸브판의 흡입 포트를 개재하여 작동유를 흡입한 실린더 내는 저압으로 되어 있고, 각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가 토출 포트와 연통할 때, 이 토출 포트 내의 고압으로 된 압유가 실린더 포트를 개재하여 저압의 실린더 내에 급격하게 유입되어 큰 압력 변동을 일으키고, 이 압력 변동에 의해 맥동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진동이나 소음을 발생시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 에서는, 밸브판에 각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 중, 흡입 포트의 종단측에 위치하는 실린더 포트와 흡입 포트의 연통이 끊겼을 때에, 이 실린더 포트와 연통하는 제 1 노치홈이 형성된다. 또한, 토출 포트의 종단측에 위치하는 실린더 포트와 토출 포트의 연통이 끊겼을 때에, 이 실린더 포트와 연통하는 제 2 노치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유압 펌프는, 이 제 1 노치홈과 제 2 노치홈이 연통로를 개재하여 항상 연통함으로써, 이로 인해 압력 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맥동의 발생을 억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는, 토출 포트의 실린더 포트의 진입측에 노치를 형성함과 함께, 노치 전방의 흡입 포트와의 사이에서 토출 포트에 연결되는 도관이 형성되고, 이 도관의 중간에 챔버가 형성된다. 또한, 토출 포트와 챔버를 접속하는 부분의 도관에 토출 포트로부터 챔버에 대한 유체의 유통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 유압 펌프는, 실린더 포트가 토출 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챔버로부터 실린더에 고압이 공급되고, 챔버의 압력 저하는 체크 밸브를 개재하여 토출 포트로부터 보급되고, 실린더 포트가 토출 포트에 직접 연통했을 때에 토출 포트로부터 실린더 내에 고압 유체가 역류하여 토출 포트에 맥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은, 실린더 포트가 토출 포트에 연통하기 전에 실린더 내를 승압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이 승압은 고압측 실린더 내의 잔압에만 의한 승압이기 때문에, 승압이 충분하지 않고, 예를 들어 차압의 1/3 정도의 승압으로, 결과적으로 실린더 내압과 토출 포트측의 압력 차이가 크기 때문에, 회전수에 따라서는, 토출 포트에 대한 연통시에 실린더 내에 고압 유체가 역류하여 토출 포트측에 맥동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챔버와 체크 밸브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구성에서는, 구성 자체가 복잡함과 함께, 특허문헌 1 과 동일하게, 회전수에 따라서는, 토출 포트에 대한 연통시에 실린더 내에 고압 유체가 역류하여 토출 포트측에 맥동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비교적 넓은 회전수 영역에서 맥동을 억지할 수 있는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억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이, 고압측 포트와 저압측 포트를 갖는 밸브판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사판의 경사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 내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양을 제어하는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로서,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그 실린더 보어가 상기 고압 포트와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고압 포트와 그 실린더 보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는, 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고압을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전달시킴과 함께, 비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압을 다음의 실린더 보어와의 연통 전에 상기 고압측 포트측의 압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길이는, 압력 전달의 속도와 상기 실린더 블록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파장의 대략 1/4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포트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실린더 보어가 통과하는 위치에 각 실린더 보어와 상기 고압측 포트를 연통시키는 자기압 스로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상기 유로가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고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상사점측 실린더 보어 내의 압을 상기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는, 상기 상사점측 밸브판측에 형성된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하사점측 밸브판측에 형성된 잔압 손실 재생 포트와, 상기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포트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포트는, 상기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연통 구멍의 일시적 연통이 끝난 후에, 상기 연통 구멍과 일시적으로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및/또는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에 스로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압력을 완충시키는 볼륨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판을 유지하는 엔드 캡 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및/또는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의 상기 실린더 보어측 개구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슬라이딩 영역 외로서 그 실린더 보어의 외주측 근방을 제외하는 근방에 형성한 노치홈 및/또는 경사 드릴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복수 형성하고, 각 유로는, 상기 실린더 블록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유로의 연통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은,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이, 고압측 포트와 저압측 포트를 갖는 밸브판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사판의 경사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 내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양을 제어하는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에 있어서 저압측으로부터 고압측으로 이행되는 실린더 보어 내압을 승압시키는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고압측 포트와 그 실린더 보어 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를 개재하여 상기 고압측 포트의 고압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1 승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압 단계 전에,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 상기 고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상사점측 실린더 보어 내의 고압을 상기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2 승압 단계와, 상기 제 1 승압 단계 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가 고압측 포트에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그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와 상기 고압측 포트 사이를 연통하여 상기 고압측 포트의 고압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3 승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억지 방법은,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그 실린더 보어가 상기 고압 포트와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고압 포트와 그 실린더 보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는, 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고압을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전달시킴과 함께, 비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압을 다음의 실린더 보어와의 연통 전에 상기 고압측 포트측의 압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 유로에 의해, 고압측 포트의 고압이 실린더 보어에 전달되고, 그 실린더 보어 내압을 고압측 포트의 고압 상태 근처까지 일 방향으로 승압한다. 이 때문에, 그 실린더 보어가 자기압 스로틀의 연통시에, 고압측 포트측에서의 역류를 작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비교적 넓은 회전수 영역에서 맥동을 억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펌프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유압 펌프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밸브판과 실린더 블록의 슬라이딩면측에서 본 밸브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슬라이딩면 근방의 실린더 블록을 X 방향에서 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와 잔압 손실 회수 포트가 연통하기 직전의 실린더 보어와 밸브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잔압 손실 재생 회로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가 연통하기 직전의 실린더 보어와 밸브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유로 회로와 유로 포트가 연통하기 직전의 실린더 보어와 밸브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실린더 보어와 밸브판 토출 포트가 연통하기 직전의 실린더 보어와 밸브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유로에 스로틀을 형성한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 은 유로에 볼륨을 형성한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 은 실린더 보어 내의 승압 공정을 도시한 보어 내압의 회전각 의존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종래예의 맥동 폭의 펌프 회전수 의존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펌프 토출압에 대한 토크 효율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인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억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펌프의 개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유압 펌프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유압 펌프는, 샤프트 (1) 에 전달된 엔진 회전과 토크를 유압으로 변환하고, 부하에 따른 압유를 토출 포트 (P2) 로부터 토출하는 것으로, 사판 (3) 의 경사각 (a) 을 변화시킴으로써 펌프의 토출량을 가변으로 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이다.
이 유압 펌프는, 케이스 (2) 및 엔드 캡 (8) 에, 베어링 (9a, 9b)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는 샤프트 (1) 와, 이 샤프트 (1) 에 스플라인 구조 (11) 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케이스 (2) 및 엔드 캡 (8) 내에서 샤프트 (1) 와 일체로 회전 구동하는 실린더 블록 (6) 과, 사판 (3) 을 갖는다. 실린더 블록 (6) 은, 샤프트 (1) 의 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또한 샤프트 (1) 의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피스톤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피스톤 실린더 내에는 샤프트 (1) 의 축과 평행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 (5) 이 삽입되어 있다.
각 피스톤 실린더로부터 돌출되는 각 피스톤 (5) 의 선단은 오목구이고, 슈 (4) 가, 스웨이지되어 각 피스톤 (5) 과 각 슈 (4) 는 일체로 되어 있고, 각 피스톤 (5) 과 각 슈 (4) 는 구면 베어링을 형성하고 있다.
사판 (3) 은, 케이스 (2) 의 측벽과 실린더 블록 (6) 사이에 형성되고, 실린더 블록 (6) 을 향하는 측에는, 평탄한 슬라이딩면 (S) 을 갖는다. 각 슈 (4) 는, 샤프트 (1) 의 회전에 연동하는 실린더 블록 (6) 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이 슬라이딩면 (S) 상에 가압되면서 원 형상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슈 (4) 의 슬라이딩면 (S) 에 대한 가압은, 실린더 블록 (6) 의 X 방향측 내주에 형성된 링 (14) 에 지지된 스프링 (15) 과, 이 스프링 (15) 에 의해 눌리는 가동 링 (16) 과 니들 (17) 이, 샤프트 (1) 의 축 둘레에 배치되고, 니들 (17) 에 맞닿는 링 형상의 가압 부재 (18) 에 의해 이루어진다.
케이스 (2) 의 측벽에는, 사판 (3) 측을 향하여 돌출된 반구 형상의 2 개의 베어링 (20, 21) 이, 샤프트 (1) 의 축을 통과하여, 축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판 (3) 의 케이스 (2) 의 측벽측에는, 베어링 (20, 21) 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 2 개의 오목구가 형성되고, 베어링 (20, 21) 과 사판 (3) 의 2 개의 오목구가 맞닿음으로써 사판 (3) 의 베어링이 형성된다. 이 베어링 (20, 21) 은, Z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사판 (3) 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기운다. 이 사판 (3) 의 경사는, 케이스 (2) 의 측벽측으로부터 사판 (3) 의 일단을 X 방향을 따라 가압하면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10) 에 따라 결정된다. 이 피스톤 (10) 의 왕복 운동에 의해, 사판 (3) 은, 베어링 (20, 21) 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운다. 이 사판 (3) 의 기움에 의해 슬라이딩면 (S) 도 기울고, 샤프트 (1) 의 회전에 수반하여 실린더 블록 (6) 이 회전하여,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 (a) 일 때, 실린더 블록이 X 방향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슈 (4) 가 슬라이딩면 (S) 상을 원 형상으로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각 피스톤 실린더 내의 피스톤 (5) 이 왕복 운동하고, 피스톤 (5) 이 사판 (3) 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밸브판 (7) 을 개재하여 흡입 포트 (P1) 로부터 피스톤 실린더 내에 오일이 흡인되고, 피스톤 (5) 이 밸브판 (7) 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피스톤 실린더 내의 오일은 밸브판 (7) 을 개재하여 토출 포트 (P2) 로부터 압유로서 토출된다. 그리고, 이 사판 (3) 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토출 포트 (P2) 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용량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엔드 캡 (8) 측에 고정된 밸브판 (7) 과, 회전하는 실린더 블록 (6) 은, 슬라이딩면 (Sa) 을 개재하여 접하고 있다. 도 3 은 슬라이딩면 (Sa) 측에서 본 밸브판 (7) 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는 슬라이딩면 (Sa) 근방의 실린더 블록 (6) 을 X 방향에서 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밸브판 (7) 의 슬라이딩면 (Sa) 측 단면과 실린더 블록 (6) 의 슬라이딩면 (Sa) 측 단면은, 샤프트 (1) 의 회전축 (C) 을 중심으로 접하여, 실린더 블록 (6) 이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면 (Sa) 을 형성한다.
밸브판 (7) 은, 흡입 포트 (P1) 에 연통하는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와, 토출 포트 (P2) 에 연통하는 밸브판 토출 포트 (PB2) 를 갖는다.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와 밸브판 토출 포트 (PB2) 는, 동일 원호 상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치형 형상을 이룬다. 한편, 실린더 블록 (6) 의 슬라이딩면 (Sa) 측에는, 각 피스톤 실린더 (5) 가 왕복 운동하는 9 개의 실린더 보어 (25) 의 포트가, 밸브판 흡입 포트 (PB1) 및 밸브판 토출 포트 (PB2) 가 배치되는 동일 원호 상에, 등간격으로 고치형 형상을 이루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 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 (6) 이, X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 에서 지면 상측의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에서 토출 공정이 행해지고, 지면 하측의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측에서 흡입 공정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3 의 지면 좌단측이, 토출 공정에서 흡입 공정으로 바뀌어, 실린더 보어 (25) 내에서 피스톤 (5) 이 슬라이딩면 (Sa) 측에 가장 진입한 상사점이 되고, 도 3 의 지면 우단측이, 흡입 공정에서 토출 공정으로 바뀌고, 실린더 보어 (25) 내에서 피스톤 (5) 이 슬라이딩면 (Sa) 측에서 가장 멀어진 하사점이 된다. 이 하사점을 실린더 보어 (25) 가 통과하는 경우, 저압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고압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실린더 블록 (6) 은, 실린더 보어 (25) 의 외측 벽면의 원주 상보다도 큰 원주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 (25) 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둘레 상으로 어긋난 위치, 예를 들어 실린더 보어 (25) 의 중간을 통과하는 반경 상에 형성된 잔압 손실 포트 (33) 를 갖는다. 슬라이딩면 (Sa) 측에 형성된 이 잔압 손실 포트 (33) 는, 각 실린더 보어 (25) 마다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 (25) 내로 통하는 경사진 드릴 구멍 (34) 에 의해 실린더 보어 (25) 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잔압 손실 포트 (33) 와 드릴 구멍 (34) 을, 실린더 보어 (25) 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한 것은, 각 실린더 보어 (25) 의 외측 벽면 근방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이 응력 발생 부분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밸브판 (7) 에는, 잔압 손실 포트 (33) 가 형성된 원주 상에 대응한 상사점 근방 또한 토출 공정측의 원주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 (25) 가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직후에 실린더 보어 (25) 에 연통하는 위치에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판 (7) 에는, 잔압 손실 포트 (33) 가 형성된 원주 상에 대응한 하사점 근방 또한 흡입 공정측의 원주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 (25) 가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와 연통 상태를 벗어난 직후에 실린더 보어 (25) 에 연통하는 위치에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판 (7) 에는,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으로서의 드릴 구멍이 형성되고,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및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를 갖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에 의해, 흡입 공정에서 토출 공정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압력이 승압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 (6) 은, 각 실린더 보어 (25) 의 내측 벽면의 내측 원주 상에, 실린더 보어 (25) 내에, 실린더 보어 (25) 를 따른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노치한 노치홈 (43) 을 형성하고, 이 노치홈 (43) 은, 슬라이딩면 (Sa) 면에서 실린더 보어 (25) 에 연통하는 포트로서 기능한다.
한편, 밸브판 (7) 에는, 이 노치홈 (43) 의 포트와 동일 원주 상에 대응한 하사점 근방 또한 토출 공정측의 원주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 (25) 가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와 연통 상태로 되기 전에 연통하는 위치에 유로 포트 (42) 가 형성된다. 이 유로 포트 (42) 는, 긴 드릴 구멍에 의해 실현되는 긴 통로를 개재하여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에 연통함과 함께, 유로 (40) 를 형성한다. 이 통로는 밸브판 (7) 및 엔드 캡 (8) 내에 형성되고, 그 길이는 발생되는 맥동 파장의 1/4 ∼ 1/2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유로 (40) 로서 긴 통로를 형성한 것은, 유로 (40) 의 실린더 보어 (25) 측의 압에 의해 실린더 보어 (25) 의 내압을 승압시키고, 이 승압 후에 있어서의 유로 (40) 의 감압이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으로 지연되어 전달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긴 통로는,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의 압 전파를 지연시키고, 완충시켜,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의 압 변동을 작게 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이 긴 통로는, 비연통시에 실린더 보어 (25) 측의 내압을 다음에 연통하는 실린더 보어 (25) 와의 연통 전에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의 압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블록 (6) 의 회전수가 2000 rpm 이고, 실린더 보어 (25) 가 9 개이며, 맥동파의 전파 속도가 1000 m/s 인 경우, 맥동파의 파장은, 약 3 m 가 된다. 따라서, 긴 통로를 1/2 파장의 길이로 하면, 유로 (40) 의 길이는 약 1.5 m 가 된다. 단, 길이를 1 파장 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유로 포트 (42) 측에 대한 압 전파 후,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에 의한 유로 (40) 에 대한 압 보충이 지연되어, 다음의 실린더 보어 (25) 에 대한 압 보충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이 유로 (40) 에 의해, 흡입 공정에서 토출 공정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압력이 더욱 승압된다. 또한, 유로 (40) 의 길이를 맥동 파장의 1/4 ∼ 1/2 정도로 하여 폭을 갖게 하는 것은, 맥동 파형이 유압 회로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맥동 파형이 이상적인 정현파 (正弦波) 인 경우, 최저압으로부터 최고압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길이) 은 1/2 파장이 되지만, 현실의 유압 펌프의 맥동 파형은, 작은 진폭의 흔들림 노이즈를 포함하면서, 최저압으로부터 최고압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길이) 이 1/4 파장 정도가 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밸브판 (7) 에는, 실린더 보어 (25) 가 통과하는 둘레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 (25) 가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에 연통하기 직전에 연통하는 위치에 자기압 스로틀 (52) 이 형성된다. 이 자기압 스로틀 (52) 은, 슬라이딩면 (Sa) 측의 포트와 밸브판 토출 포트 (PB2) 가 경사진 드릴 구멍 (53) 에 의해 연통된다. 이 자기압 스로틀 (52) 에 의해, 흡입 공정에서 토출 공정으로 이행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압력이 더욱 승압된다.
또한, 밸브판 (7) 에는, 실린더 보어 (25) 가 통과하는 둘레 상으로서, 실린더 보어가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에 연통하기 직전에 연통하는 위치에 드레인 포트 (61) 가 형성되고, 이 드레인 포트 (61) 는, 드릴 구멍 (62) 에 의해, 밸브판 (7) 과 케이스 (2) 의 공간에 연통된다. 이 드레인 포트 (61) 에 의해 토출 공정에서 흡입 공정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압력이 감압된다.
또한, 흡입 공정에서 토출 공정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압력의 승압은,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유로 (40), 자기압 스로틀 (52) 의 순서로 행해진다. 또한, 각 드릴 구멍은 대략 6 ㎜φ 정도이다.
여기서, 도 5 ∼ 도 8 을 참조하여, 이 유압 펌프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맥동 방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5) 는, 9 개의 실린더 보어 (25a ∼ 25i) 가 회전축에 대해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 실린더 보어 (25a ∼ 25i) 는,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실린더 보어 (25a) 는 토출 공정이 종료되어, 도 5 에서는,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직후의 배치 상태로 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 (25a) 는, 이 상태에서 실린더 보어 (25a) 내는 고압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의 직후에, 실린더 보어 (25a) 의 잔압 손실 포트 (33a) 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에 연통 상태로 된다. 잔압 손실 포트 (33a) 와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가 연통하면, 실린더 보어 (25a) 내의 고압 작동유가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드릴 구멍에 작용하여, 이 드릴 구멍 내는 고압 상태로 된다. 이 때,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는 막혀 있고, 잔압 손실 포트 (33a) 와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의 연통 상태가 해제된 후에도 막혀 있어,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드릴 구멍은 일시적으로 고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하사점측에서 흡입 공정을 실시하고 있던 실린더 보어 (25f) 는 흡입 공정을 종료시키고 있다.
그 후, 실린더 블록 (6) 의 회전이 진행되면, 실린더 보어 (25a) 는 상사점을 초과하여 흡입 공정으로 이행하고, 실린더 보어 (25a) 가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에 연통하기 직전에, 드레인 포트 (61) 에 연통하고, 실린더 보어 (25a) 의 내압은 대기압으로 되돌려지고, 그 후,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에 연통하여 흡인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이 때,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5f) 는 밸브판 흡인 포트 (PB1) 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직후에서 밀폐 상태이고, 하사점 통과 직전의 위치에 있고, 흡인 동작이 종료됨과 함께, 실린더 보어 (25f) 의 잔압 손실 포트 (33f) 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와 연통 상태로 되기 직전 위치가 된다. 이 후, 잔압 손실 포트 (33f) 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는 연통 상태로 되고, 실린더 보어 (25a) 에 의해 압이 공급되어,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드릴 구멍에 한때 축적되어 있던 고압 상태의 작동유는 실린더 보어 (25f) 의 내압을 높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보어 (25) 의 내압이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의 토출압의 대략 1/3 정도까지 승압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 (6) 이 회전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5f) 는 하사점을 통과하고, 실린더 보어 (25f) 의 잔압 손실 포트 (33f) 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를 통과하여, 연통 상태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 보어 (25f) 의 내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토출압의 대략 1/3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잔압 손실 포트 (33f) 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의 연통 상태가 벗어나진 직후에, 실린더 보어 (25f) 의 노치홈 (43f) 의 포트와, 유로 (40) 의 유로 포트 (42) 가 연통 상태로 되고, 유로 (40) 가 긴 통로를 개재하여 토출압이 실린더 보어 (25f) 내에 공급되어, 실린더 보어 (25f) 내의 내압이 승압된다. 구체적으로는, 토출압의 대략 1/3 ∼ 3/4 정도까지 승압된다.
그 후, 추가로 실린더 블록 (6) 이 회전하면,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5f) 는 노치홈 (43f) 의 포트가 유로 포트 (42) 를 통과하여, 유로 (40) 와의 연통 상태로부터 벗어난다. 그 직후에, 실린더 보어 (25f) 는 자기압 스로틀 (52) 에 연통하고 토출압이 실린더 보어 (25f) 내에 공급되어, 토출압까지 승압된다. 그 후, 실린더 보어 (25f) 는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와 연통하여, 토출 동작이 개시된다. 이 토출 동작의 개시시에, 실린더 보어 (15f) 의 내압은 토출압까지 승압되어 있으므로, 밸브판 토출 포트 (PB2) 로부터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아, 맥동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유로 (40), 및 자기압 스로틀 (52) 의 각 연통 상태는 오버랩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8 에 도시한 실린더 보어 (25a ∼ 25i) 의 배치는, 도 5 에 도시한 실린더 보어 (25a ∼ 25i) 의 배치를, 1 개의 실린더 보어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실린더 보어 (25a, 25f) 에 대한 처리가 실린더 블록 (6) 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보어 (25b, 25g) 에 대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모든 실린더 보어 (25a ∼ 25i) 가 토출 동작에 들어갈 때에 발생되는 맥동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40) 에 대응하는 유로 (50) 의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 및 유로 포트 (42) 측에 각각 스로틀 (51, 52) 을 형성하게 해도 된다. 이 스로틀 (51, 52) 을 형성함으로써, 압 전파의 위상 지연이나 시간적인 완충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유로 (50) 의 압 전파 조정이나 단척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도 드릴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에도 스로틀을 형성하게 해도 된다.
또한,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50) 에 대응하는 유로 (60) 가 긴 통로의 도중에, 소정의 체적을 가진 볼륨 (63) 을 형성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 볼륨 (63) 은 20 ∼ 200 cc 정도로 설정한다. 이 볼륨 (63) 을 형성함으로써, 실린더 보어의 내압을 승압시킬 때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속 회전시에도 실린더 보어 내의 승압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을 참조하여, 실린더 블록 (6) 의 회전에 수반하는 실린더 보어 하사점 이후의 보어 내압의 변화와 보어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속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1 에 있어서, 실선은 보어 내압의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 및 일점쇄선은 보어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속을 나타내며, 각각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 눈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회전각 (θ) 이 0 일 때에는, 실린더 보어가 하사점에 위치일 때이다. 먼저, 실린더 보어 (25) 가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와 연통하는 영역 (Ea) 에서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로부터 최대 유속 40 ℓ/min 로 작동유가 보어 내에 유입되고, 보어 내압이 0 내지 130 ㎏/㎠ 까지 승압된다. 그 후, 실린더 보어 (25) 가 유로 (40) 와 연통하는 영역 (Eb) 에서는, 유로 (40) 로부터 최대 유속 20 ℓ/min 로 작동유가 보어 내에 유입되고, 보어 내압이 130 ∼ 350 ㎏/㎠ 까지 승압된다. 그 후, 실린더 보어 (25) 가 자기압 스로틀 (52) 에 연통하는 영역 (Ec) 에서는, 보어 내압이 350 ∼ 400 ㎏/㎠ 으로 승압되어, 토출압 400 ㎏/㎠ 와 거의 동일한 압이 된다. 이와 같이, 서서히 보어 내압이 승압되고, 또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및 유로 (40) 에서는, 일 방향적으로 실린더 보어 (25) 의 내압을 승압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 보어 (25) 가 토출 동작에 들어갔을 때에,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측에서의 역류를 거의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펌프 회전수에 대해 맥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2 에서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만을 사용하여 맥동을 억지하는 경우, 펌프 회전수가 1000 ∼ 1500 rpm 인 영역에서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데, 펌프 회전수가 1500 ∼ 2000 rpm 인 영역에서는, 펌프 회전수의 증대에 수반하여 맥동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와 유로 (40) 를 사용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펌프 회전수 1000 ∼ 2000 rpm 인 영역 전체에 대해 맥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출 동작이 종료된 실린더 보어 (15) 내의 잔압을 사용하여 다음으로 토출 동작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 내의 내압을 승압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크 효율을 종래에 비교하여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 토출압이 200 ㎏/㎠ 일 때, 토크 효율을 종래에 비교하여 2 %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 에 있어서, 종래의 것은,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유로 (40, 50, 60) 및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를 없앤 구성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흡입 동작으로부터 토출 동작으로 이행하는 실린더 보어 (25f) 의 내압을,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 유로 (40) → 자기압 스로틀 (52) 의 순서로, 각각 배타적으로 순차 토출압까지 승압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토출 동작에 대한 이행시에 있어서의 실린더 보어 내에 대한 급격한 토출압의 역류가 억제되고, 또한 넓은 회전수 범위의 맥동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를 사용하였는데,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를 사용하지 않고, 유로 (40, 50, 60) 만을 사용하게 해도 된다. 1 개의 유로 (40, 50, 60) 만으로 승압이 가능하고, 역류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는, 실린더 보어 (25) 와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의 연통과, 실린더 보어 (25) 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의 연통을 상이할 때에 실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압 전파의 지연 효과를 갖고, 이 점에서 유로 (40, 50, 60) 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를 대신하여 긴 통로를 갖는 유로를 사용하여,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승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의 드릴 구멍에 일시적으로 압력을 축적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1) 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가 동시에 연통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에 연통하고, 유로 (40) 가 유로 포트 (42) 에 연통하는 구성으로 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0) 가 유로 포트 (42) 에 연통하고, 유로 (40) 가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에 연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2) 및 유로 포트 (4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응력 집중이 높은 실린더 보어 (25) 의 외주 측벽 근방의 배치를 피하도록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기압 스로틀 (52) 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을 대신하여 노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밸브판 흡입 포트 (PB1) 의 반경 방향의 폭과 실린더 보어 (25) 의 반경 방향의 폭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밸브판 토출 포트 (PB2) 의 반경 방향의 폭을, 실린더 보어 (25) 의 반경 방향의 폭보다 좁게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흡입과 토출의 유압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펌프를 일례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 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유압 모터의 경우, 고압측이 유압 펌프의 토출측에 대응하고, 저압측이 유압 펌프의 흡입측에 대응하게 된다.
1 샤프트
2 케이스
3 사판
4 슈
5, 10 피스톤
6 실린더 블록
7 밸브판
8 엔드 캡
9a, 9b 베어링
11 스플라인 구조
14 링
15 스프링
16 가동 링
17 니들
18 가압 부재
20, 21 베어링
25, 25a ∼ 25i 실린더 보어
30 잔압 손실 재생 회로
31 잔압 손실 회수 포트
32 잔압 손실 재생 포트
33, 33a ∼ 33i 잔압 손실 포트
34, 53, 62 드릴 구멍
40, 50, 60 유로 회로
42 유로 포트
43, 43a ∼ 43i 노치홈
51, 53 스로틀
52 자기압 스로틀
61 드레인 포트
63 볼륨
P1 흡입 포트
P2 토출 포트
PB1 밸브판 흡입 포트
PB2 밸브판 토출 포트
S, Sa 슬라이딩면

Claims (11)

  1.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이, 고압측 포트와 저압측 포트를 갖는 밸브판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사판의 경사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 내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양을 제어하는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로서,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그 실린더 보어가 상기 고압 포트와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고압 포트와 그 실린더 보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는, 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고압을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전달시킴과 함께, 비연통시에 상기 실린더 보어측의 유로 내의 압을 다음의 실린더 보어와의 연통 전에 상기 고압측 포트측의 압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길이는, 압력 전달의 속도와 상기 실린더 블록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파장의 대략 1/4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포트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실린더 보어가 통과하는 위치에 각 실린더 보어와 상기 고압측 포트를 연통시키는 자기압 스로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에 상기 유로가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고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상사점측 실린더 보어 내의 압을 상기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잔압 손실 재생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는, 상기 상사점측 밸브판측에 형성된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하사점측 밸브판측에 형성된 잔압 손실 재생 포트와, 상기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포트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포트는, 상기 잔압 손실 회수 포트와 상기 연통 구멍의 일시적 연통이 끝난 후에, 상기 연통 구멍과 일시적으로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및/또는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에 스로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압력을 완충시키는 볼륨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판을 유지하는 엔드 캡 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및/또는 상기 잔압 손실 재생 회로의 상기 실린더 보어측 개구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슬라이딩 영역 외로서 그 실린더 보어의 외주측 근방을 제외하는 근방에 형성한 노치홈 및/또는 경사 드릴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복수 형성하고, 각 유로는, 상기 실린더 블록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유로의 연통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
  11.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이, 고압측 포트와 저압측 포트를 갖는 밸브판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사판의 경사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 내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의 양을 제어하는 액셜형 유압 펌프·모터에 있어서 저압측으로부터 고압측으로 이행되는 실린더 보어 내압을 승압시키는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실린더 보어가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후, 상기 고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상사점측 실린더 보어 내의 고압을 상기 저압측 포트와의 연통 상태를 벗어난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1 승압 단계와,
    상기 제 1 승압 단계 후, 상기 고압측 포트와 그 실린더 보어 내를 일시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를 개재하여 상기 고압측 포트의 고압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2 승압 단계와,
    상기 제 2 승압 단계 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가 고압측 포트에 연통할 때까지의 동안에 그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와 상기 고압측 포트 사이를 연통하여 상기 고압측 포트의 고압을 상기 하사점측 실린더 보어에 전달하는 제 3 승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KR1020107005903A 2007-09-19 2008-09-09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KR101297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43099 2007-09-19
JP2007243099 2007-09-19
PCT/JP2008/066257 WO2009037994A1 (ja) 2007-09-19 2008-09-09 油圧ポンプ・モータおよび油圧ポンプ・モータの脈動防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569A true KR20100058569A (ko) 2010-06-03
KR101297868B1 KR101297868B1 (ko) 2013-08-19

Family

ID=4046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903A KR101297868B1 (ko) 2007-09-19 2008-09-09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4127B2 (ko)
JP (1) JP5102837B2 (ko)
KR (1) KR101297868B1 (ko)
CN (1) CN101802401B (ko)
DE (1) DE112008002255T5 (ko)
WO (1) WO20090379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4124B2 (en) 2010-08-26 2014-08-05 Komatsu Ltd. Hydraulic pump or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7113B2 (en) * 2010-03-18 2015-08-04 Komatsu Ltd. Hydraulic pump/motor and method of suppressing pulsation of hydraulic pump/motor
DE112014006535T5 (de) 2014-08-08 2016-12-15 Komatsu Ltd. Hydraulikpumpenmotor
KR20160046992A (ko) * 2014-10-20 2016-05-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JP6371694B2 (ja) * 2014-12-05 2018-08-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ポンプ
JP7390151B2 (ja) * 2019-10-03 2023-12-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ポンプモータ
CN110848106A (zh) * 2019-12-27 2020-02-28 燕山大学 多路进油全流量自冷却双端面配流斜盘型轴向柱塞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755B2 (ja) * 1975-09-12 1984-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アキシアル・ピストン機械
JPS597786A (ja) 1982-07-07 1984-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ピストン型流体機械
JP2606758Y2 (ja) * 1992-12-22 2001-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ポンプ・モータのシリンダ室内圧力コントロール装置
JPH07180654A (ja) 1993-12-24 1995-07-18 Aisin Seiki Co Ltd アキシャルポンプ
JPH07189887A (ja) * 1993-12-25 1995-07-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アキシャルピストン型ポンプ
JPH08144941A (ja) 1994-11-21 1996-06-04 Uchida Yuatsu Kiki Kogyo Kk 斜板形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用脈動低減装置
US5593285A (en) * 1995-01-13 1997-01-14 Caterpillar Inc. Hydraulic axial piston unit with multiple valve plates
JPH08210242A (ja) 1995-02-01 1996-08-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モータ
JP3547900B2 (ja) 1996-03-22 2004-07-28 日立建機株式会社 アキシャルピストン型油圧ポンプ
DE19706114C9 (de) 1997-02-17 2014-02-06 Linde Hydraulic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ulsationsverminderung an einer hydrostatischen Verdrängereinheit
DE10232983A1 (de) * 2002-07-19 2004-02-05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Kolbenmaschine mit Pulsation
DE102004007933B3 (de) * 2004-02-18 2005-06-16 Sauer-Danfoss (Neumünster) GmbH & Co OHG Axialkolbenmaschine mit einer Vorsteuerungseinrichtung zur Dämpfung von Strömungspulsationen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06046150A (ja) 2004-08-03 2006-02-16 Komatsu Ltd 圧力脈動低減装置
GB2440155A (en) * 2006-07-18 2008-01-23 Agco Gmbh An axial piston pump or machine of the swashplate or bent axis type
JP4733083B2 (ja) 2007-08-03 2011-07-27 三山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躯体へのステップの取付装置
JP5911755B2 (ja) 2012-05-29 2016-04-27 倉敷紡績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4124B2 (en) 2010-08-26 2014-08-05 Komatsu Ltd. Hydraulic pump or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7994A1 (ja) 2009-03-26
US8734127B2 (en) 2014-05-27
JPWO2009037994A1 (ja) 2011-01-06
CN101802401A (zh) 2010-08-11
US20100236398A1 (en) 2010-09-23
KR101297868B1 (ko) 2013-08-19
JP5102837B2 (ja) 2012-12-19
CN101802401B (zh) 2012-01-04
DE112008002255T5 (de)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868B1 (ko) 유압 펌프·모터 및 유압 펌프·모터의 맥동 방지 방법
US8333571B2 (en) Pump having pulsation-reducing engagement surface
KR101342818B1 (ko)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
US8419381B2 (en) Tandem piston pump
WO2006085547A1 (ja) 油圧ピストンポンプ
AU2015272637B2 (en) Piston pump and valve plate for piston pump
JP5634119B2 (ja)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CN108884815B (zh) 液压旋转机
US20140109761A1 (en) Axial pump having stress reduced port plate
JP2014111914A (ja) 油圧ポンプ・モータ
JP5539807B2 (ja) 油圧ポンプ・モータ
JP2004239077A (ja) アキシャル型斜板式液圧ポンプ
JP5357850B2 (ja) 油圧ポンプ
JP2014037783A (ja) 液圧回転機
JP6513555B2 (ja) 斜板式可変容量ポンプの油圧回路
KR101421838B1 (ko) 병렬 연결식 스플라인 커플링을 구비하는 피스톤 펌프
KR200480164Y1 (ko) 유압 피스톤 펌프
JP7005547B2 (ja) 斜軸式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JP7377095B2 (ja) 油圧ポンプ・モータ
EP3617501B1 (en) Hydraulic system
KR20180060355A (ko) 진동 및 소음 개선을 위한 유압모터의 밸브플레이트
JP2012255375A (ja) 可変容量型斜板式液圧ポンプ
JP2974163B2 (ja) 斜板プランジャ式油圧装置
KR101450771B1 (ko) 실린더와 피스톤의 마모방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 펌프
JP2012154277A (ja) シリンダ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