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424A - 가동체의 왕동기구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왕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424A
KR20100050424A KR1020090105965A KR20090105965A KR20100050424A KR 20100050424 A KR20100050424 A KR 20100050424A KR 1020090105965 A KR1020090105965 A KR 1020090105965A KR 20090105965 A KR20090105965 A KR 20090105965A KR 20100050424 A KR20100050424 A KR 20100050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main body
deformation preventing
preventing means
mov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134B1 (ko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5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7Profiles; Strips
    • E05Y2800/272Profiles; Strips hollow
    • E05Y2800/276U-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과제) 수용부재의 이동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맞닿음체의 포착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해결수단) 가동체(M)의 왕동(往動)기구는, 가동체(M)와 이 가동체(M)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S)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오목부(Me)에 수납되는 본체(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가동체(M)를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시키는 어시스트수단(4)에 연계된 수용부재(2)와, 가동체(M) 및 고정체(S) 중 타측에 구비되어, 가동체(M)의 왕동 과정에서 수용부재(2)에 맞닿아서 상기 본체(3) 내에서 이동하는 맞닿음체(1)를 구비한다.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는 수용부재(2)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30b)를 가지고 있고, 이 벽부(30b)에 인접해서 이 벽부(30b)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가동체의 왕동기구{SELF-PROPELLING MECHANISM OF MOVABLE STRUCTURE}
본 발명은, 소정의 위치를 향해서 왕동(往動)되는 가동체에 대해서, 그 왕동의 도중에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제동력을 부여시키거나, 그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거나 혹은, 상기한 제동력의 부여와 어시스트의 쌍방을 행하도록 기능하는 왕동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부가 레일형상체 내에 수납되어 지지되는 가동체를, 이 가동체가 스스로 왕동하는 것이 개시되는 위치까지 왕동되어 온 후에는 정지위치까지 스스로 왕동하게 하는 기구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한 기구는, 상기 레일형상체 내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체와, 가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오목부 내에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캐쳐와, 캐쳐의 탄지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캐쳐는, 캐쳐 주체(主體)에 대해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 캐쳐 스토퍼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비(非) 포착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체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체의 포착체와, 이들의 탄지체를 가지고 있고, 이 탄지체에 의해, 캐쳐 스토퍼가 캐쳐 주체보다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포착체가 전진위치에 위치해서 비 포착상태에 있도록 되고, 또한, 포착체가 후퇴위치에 위치하고 포착상태에 있을 때에는 캐쳐 스토퍼가 캐쳐 주체 내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에는, 돌출 시의 캐쳐 스토퍼용 걸어맞춤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에 캐쳐 스토퍼를 걸어맞춘 캐쳐의 기준위치에서 탄지수단에 대한 축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체가 스스로 왕동하는 것이 개시되는 위치까지 왕동되어 왔을 때에 기준위치에 있는 캐쳐의 포착체 내에 스트라이커체가 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진입이 이루어지면 스트라이커체에 압압되어 포착체가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스트라이커체가 포착체에 의해 캐쳐에 포착된다. 이와 동시에, 캐쳐 스토퍼가 걸어맞춤구멍에서 이탈해서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캐쳐가 오목부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체가 정지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왕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구에서는, 캐쳐에 의한 스트라이커체의 포착상태가, 상기 캐쳐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좌우 측벽에 의해 포착체가 외측에서 압압됨으로써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번호 〈0049〉 참조). 따라서, 상기한 케이스의 좌우 측벽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하면 캐쳐에 의한 스트라이커체의 포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 이것과 반대로, 케이스의 좌우 측벽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변형이 발생하면 캐쳐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되게 된다. 전형적으로는, 상기한 왕동기구를 구성하는 케이스가 부착되는 가동체로서의 미닫이가 목 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 미닫이에 온도, 습도 등의 영향에 의해 수축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좌우 측벽 사이의 간격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309088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한 종류의 가동체의 왕동기구에 있어서, 수용부재(특허문헌 1의 캐쳐에게 상당)의 이동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맞닿음체(특허문헌 1의 스트라이커체에 상당)의 포착상태가 항상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관점에서, 가동체의 왕동기구는, 가동체 및 이 가동체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는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가동체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 가동체를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시키는 어시스트수단 또는 상기 제동수단 및 어시스트수단에 연계된 수용부재와, 가동체 및 고정체 중 타측에 구비되어, 가동체의 왕동 과정에서 수용부재에 맞닿아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되는 맞닿음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에 있어서 의 수용부재의 이동개소는, 상기 오목부의 개방측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이 벽부에 인접해서, 또는, 상기 벽부 내에, 이 벽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또,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2 관점에서, 가동체의 왕동기구는, 가동체 및 이 가동체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는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가동체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 가동체를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시키는 어시스트수단 또는 상기 제동수단 및 어시스트수단에 연계된 수용부재와, 가동체 및 고정체 중 타측에 구비되어, 가동체의 왕동의 과정에서 수용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본체 내에서 이동되는 맞닿음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에 있어서의 수용부재의 이동개소는, 상기 오목부의 개방측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를 가지고 있고, 이 벽부를 본체의 다른 개소의 구성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는 것으로 했다.
상기한 맞닿음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는, 상기한 본체의 벽부에 의해 맞닿음체와의 맞닿음 후의 이동이 안내된다. 여기에서, 본체의 벽부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변형되면 수용부재의 이동이 방해된다. 적어도 본체에 있어서의 수용부재의 이동개소에 있는 벽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재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가동체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있어서의 수용부재의 이동개소에 있는 이 수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부재의 이동을 항상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맞닿음체의 포착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확보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 도 16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 1 ~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왕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은 그 중 변형방지수단(6)의 제 1 변경예를, 도 14는 제 2 변경예를, 도 16은 제 3 변경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 15는 본체(3)의 벽부(30b) 내에 변형방지수단(6) 등을 구비시키도록 하는 경우에, 그것을 형성시키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 도 12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 1 ~ 도 3은 가동체(M)측에 구비된 수용부재(2)가 맞닿음체(1)에 맞닿기 전의 상태를, 상기 가동체(M)와 왕동기구의 일부를 파단해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의 일면과 마주보는 측에서(도 1), 또, 도 1의 요부를 확대해서(도 2), 또, 도 1의 요부를 평면에서(도 3),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는 도 1의 상태에서 가동체(M)가 소정의 위치를 향해 왕동 조작되어 이 가동체(M)측에 구비된 수용부재(2)가 맞닿음체(1)에 맞닿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 ~ 도 7은 맞닿음체(1)를 포착한 상태에서 본체(3) 내에서 수용부재(2)가 상대적에 이동해서 가동체(M)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이 종료된 상태를, 이 가동체(M)와 왕동기구의 일부를 파단해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와 마주보는 측에서(도 5), 또, 도 5의 요부를 확대해서(도 6), 또, 도 5의 요부를 평면에서(도 7),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 및 도 9는 수용부재(2)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은 변형방지수단(6)과 조립된 본체(3)를, 도 11은 상기한 변형방지수단(6)을, 또한 도 12는 상기한 변형방지수단(6)과 본체(3)의 걸어맞춤 개소를 단면으로 해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체(M)의 왕동기구는, 소정의 위치를 향해 왕동되는 가동체(M)에 대해서, 그 왕동의 도중에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제동력을 부여시키거나, 그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거나 혹은, 상기한 제동력의 부여와 어시스트의 쌍방을 행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한 가동체(M)는, 고정체(S)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미닫이, 분합(分閤) 등을 들 수 있지만, 고정체(S)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한 예에서는 왕동기구를 미닫이(Ma)에 구비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는, 이 미닫이(Ma)에 의해 개방 가능하게 폐색되는 개구부(Sa)를 구비한 고정체(S)에 구비된 레일부(Sb)에, 미닫이(Ma)의 상단부(上端部, Mb)를 수납해서, 상기 레일부(Sb) 를 따라 왕동과 복동(復動)을 행하도록 상기 고정체(S)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는, 왕동 시에 선두가 되는 전단(前端, Md)이 상기 개구부(Sa)의 맞닿음부(Sc)에 맞닿은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한 개구부(Sa)를 폐색하게 되어 있다(도 5). 그리고,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는, 상기한 개구부(Sa)가 폐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1), 상기 소정의 위치를 향해 왕동 조작되면, 이 왕동의 과정에서, 왕동기구를 구성하는 수용부재(2)에 맞닿음체(1)가 맞닿아서(도 4), 상기한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기구의 작용을 받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레일부(Sb)의 맞닿음부(Sc)측에, 이 맞닿음부(Sc)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맞닿음체(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맞닿음체(1)는, 레일부(Sb) 내에 있어서, 홈형상을 이루는 레일부(Sb)의 저부에 상단이 고정되어 수하(垂下)되는 축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재(2)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의 상단면(Mc)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된 오목부(Me)에 수납된 본체(3) 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오목부(Me)는 미닫이(Ma)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미닫이(M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미닫이(Ma)의 왕동 도중에, 미닫이(Ma)의 전단(Md)측에서 상기 오목부(Me) 내에 맞닿음체(1)가 삽입되고, 상기 오목부(Me) 내에 수납된 본체(3) 내에 있는 수용부재(2)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에 의해, 미닫이(Ma)가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기구의 작용을 받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수용부재(2)는, 상기한 본체(3) 내에서 미닫이(Ma)의 이동방 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음과 아울러, 미닫이(Ma)의 전단(Md)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어시스트수단(4)을 구성하는 스프링(40)의 탄지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부재(2)의 미닫이(Ma)의 전단(Md)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동수단(5)의 제동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수용부재(2)는, 첫째로, 맞닿음체(1)와 맞닿을 때까지는 본체(3) 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의 탄지에 저항해서 미닫이(Ma)의 전단(Md)측에 유지되어 대기하고(도 1 ~ 도 3, 이하, 이때의 수용부재(2)의 위치를 대기위치라고 한다), 둘째로, 맞닿음체(1)와 맞닿았을 때에 상기 유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맞닿음체(1)를 포착해서, 상기한 스프링(40)의 탄지에 의해 미닫이(Ma)의 전단(Md)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상대 이동되게 되어 있다(도 4 ~ 도 7).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를 왕동 조작하면, 맞닿음체(1)가 수용부재(2)에 맞닿은 위치에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수용부재(2)에 의해, 미닫이(Ma)의 그 전단(Md)이 맞닿음부(Sc)에 맞닿는 소정의 위치까지 그 왕동이 어시스트되어 스스로 왕동(이하, 미닫이(Ma)가 스스로 왕동하는 것을 간단히 자주(自走)라고 한다)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미닫이(Ma)의 자주에는 제동수단(5)의 제동력이 작용되어 부드럽게 자주하게 되고, 미닫이(Ma)가 큰 소리를 내거나 맞닿음부(Sc)에 맞닿았을 때의 반력(反力)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복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된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를 복동 조작 하면, 맞닿음체(1)를 포착하고 있는 수용부재(2)가, 상기 스프링(40)의 탄지에 저항하면서, 즉 스프링(40)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본체(3) 내에서 미닫이(Ma)의 전단(Md)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본체(3)에 유지됨과 아울러, 맞닿음체(1)를 해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해방에 의해, 미닫이(Ma)를 소망하는 위치까지 복동시키는 것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와는 별도로, 맞닿음체(1)를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측에 부착하고, 수용부재(2)를 내장한 본체(3)를 고정체(S)측에 구비시켜도, 상기한 가동체(M)의 왕동을 그 도중에서부터 어시스트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왕동기구는,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를 폐색할 때에 상기 미닫이(Ma)에 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한 미닫이(Ma)를 개방할 때에 상기 미닫이(Ma)에 작용하도록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체(3)는, 상기 오목부(Me) 내에 수납되는 폭과, 길이를 구비한 가늘고 긴 케이스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3)는 상부실(30)과 하부실(31)로 구분되어 있다. 상부실(30)은 본체(3)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미닫이(Ma)의 전단(Md)측에 위치되는 전단(30a)에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2)는 상기 상부실(30) 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부실(30)은 본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1쌍의 벽부(30b, 30b)를 구비하고, 이 벽부(30b)에 의해 수용부재(2)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어 있다. 또, 하부실(31)은 본체(3)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슬릿(32)을 통해 상부실(30)과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재(2)는,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슬라이더(21)와, 이 베이스(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스토퍼(22)와, 슬라이더(21)를 항상 베이스(20)에서 미닫이(Ma)의 전단(Md)측, 즉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2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스토퍼(22)와 슬라이더(21)는, 베이스(20)에 형성된 세로방향의 안내홈(20a)을 관통한 핀(20b)을, 슬라이더(21)에 형성된 캠 홈(21a)을 관통시켜서 연계시키고 있고, 상기 스프링(23)의 탄지에 의해 슬라이더(21)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스토퍼(22)가 베이스(2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한편, 슬라이더(21)가 상기 스프링(23)의 탄지에 저항해서 후퇴되면, 스토퍼(22)가 베이스(20) 내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21)의 전부(前部)에는, 그 좌우에 각각 상기 맞닿음체(1)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편(21b)이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재(2)는 맞닿음체(1)에 대한 캐쳐로서의 슬라이더(21)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1쌍의 포착편(21b, 21b) 중 일측은, 슬라이더(21) 몸체부(21h)의 전단면(21i)과 우측의 측면(21j)의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두께가 얇은 탄성 힌지부(21c)에 의해, 후단(後端, 21d)을 일체로 접합시켜서 전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후단(21d)과 전단(21e)의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1f)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한 1쌍의 포착편(21b, 21b) 중 타측은, 슬라이더(21) 몸체부(21h)의 전단면(21i)과 좌측 측면(21j)의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두께가 얇은 탄성 힌지부(21c)에 의해, 후단(21d)을 일체로 접합시켜서 전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후단(21d)과 전단(21e)의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1f)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1쌍의 포착편(21b, 21b)은, 상기 대기위치에 있어서, 그 전단(21e)에 가까워질수록 포착편(21b)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탄성 힌지부(21c)의 탄성에 의해 위치되고, 상기 돌기부(21f)의 배부(背部)가 본체(3) 상부실(30)의 전단(30a)측에서, 벽부(30b)에 형성된 창구멍(30c)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도 3). 또, 이 대기위치에 있어서, 1쌍의 포착편(21b, 21b)의 돌기부(21f) 사이에 맞닿음체(1)를 통과시키는 간격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도 3). 또, 이 대기위치에 있어서, 상부실(30)의 저부(30e)에 형성시킨 오목부(30f)에 스토퍼(22)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도 2). 이 스토퍼(22)의 오목부(30f)에 대한 삽입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수용부재(2)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어시스트수단(4)은 도시한 예에서, 본체(3)의 하부실(31) 내에 수납된 인장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부실(30)의 저부(30f)에 형성된 상기 슬릿(32)을 통해서 하부실(31) 내에 삽입된 수용부재(2)의 베이스(20) 후단의 스프링 걸림부(20c)에 상기한 스프링(40)의 일단(40a)을 고정하고, 또한, 상기한 스프링(40)의 타단(40b)을 본체(3) 하부실(31)의 후단측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수용부재(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한 스프링(40)이 가장 인장되도록 하고 있다(도 1).
제동수단(5)은 도시한 예에서, 실린더(50)와, 도시하지 않는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51)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피스톤 댐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피스톤 댐퍼는, 케이스의 상부실(30)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와, 상기 상부실(30)의 후단(30d)의 사이에, 피스톤 로드(51)측을 전방측으로 해서 이 피스톤 로드(51)의 돌출단을 수용부재(2)의 베이스(2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실린더(50)의 후퇴를 저지하도록 해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재(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 로드(51)가 실린더(50) 내에서 가장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도 1).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를 왕동시키면 그 도중에 맞닿음체(1)가 미닫이(Ma)의 전단(Md)에서 본체(3) 내로 삽입되고, 대기위치에 있는 수용부재(2)의 1쌍의 포착편(21b, 21b)의 돌기부(21f) 사이를 통과해서 상기 슬라이더(21)의 몸체부(21h)의 전단면(21i)에 맞닿는다(도 4). 맞닿음체(1)에 맞닿은 베이스(20)는 상기 스프링(23)의 탄지에 저항해서 후퇴하고, 이 후퇴가 발생하면 1쌍의 포착편(21b, 21b)은, 그 배부가 본체(3)의 상기 창구멍에서 이탈해서 본체(3)의 벽부(30b)에 의해, 돌기부(21f) 사이에서 전방(미닫이(Ma)의 전단(Md)측)으로 맞닿음체(1)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폐색상태(포착상태)에 위치되어 맞닿음체(1)가 수용부재(2)에 포착된다. 또, 베이스(20)가 이와 같이 후퇴하면 스토퍼(22)가 베이스(20) 내로 인입되어 수용부재(2)의 상기 유지가 해제된다(도 4).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의 탄지에 의해 미닫이(Ma)의 전단(Md)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용부재(2)의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 수용부재(2)에 고정체(S)에 구비된 맞닿음체(1)가 포착되어 있기 때문에, 미닫이(Ma)가 그 전단(Md)을 맞닿음부(Sc)에 맞닿게 하는 위치까지 자주된다(도 5 ~ 도 7).
이 상태에서 미닫이(Ma)를 복동시키면, 수용부재(2)가 본체(3) 내에서 미닫 이(Ma)의 왕동과 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22)가 오목부(30f)에 다시 삽입되어 슬라이더(21)의 상기 스프링(23)에 의한 전진이 허용됨과 아울러, 이 전진에 의해 상기 창구멍(30c)에 포착편(21b)의 배부가 다시 삽입되고, 1쌍의 포착편(21b, 21b)이 개방상태(비 포착상태)가 되어 맞닿음체(1)의 해방이 이루어진다(도 3).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왕동기구는, 상기 본체(3) 벽부(30b)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체(1)를 수용하는 수용부재(2)는, 상기한 본체(3)의 벽부(30b)에 의해, 맞닿음체(1)와 맞닿은 후의 이동이 안내된다. 여기에서, 본체(3)의 벽부(30b)가 어떠한 이유로 변형되면 수용부재(2)의 이동이 방해된다. 적어도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에 있는 벽부(30b)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재(2)의 이동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가동체(M)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부재(2)의 포착편(21b)이 본체(3)의 벽부(30b)에 의해 그 폐색상태를 유지하면서 맞닿음체(1)를 포착해서 본체(3) 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본체(3)의 좌우 벽부(30b, 30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하면 1쌍의 포착편(21b) 사이에서 맞닿음체(1)가 빠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이것과 반대로, 본체(3)의 좌우 벽부(30b, 30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변형이 발생하면 본체(3)와 수용부재(2) 사이의 마찰이 커져서 수용부재(2)의 이동이 방해를 받게 된다. 상기한 본체(3)에 변형방지수단(6)을 구비시켜 두면, 이러한 문 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3)를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이것을 목재로 이루어지는 가동체(M)로서의 미닫이(Ma) 등에 형성시킨 상기 오목부(Me)에 수납시킨 경우, 미닫이(Ma)측에 상기 오목부(Me)를 좁아지게 하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면, 변형방지수단(6)이 없을 경우에는 본체(3)의 좌우 벽부(30b, 30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 본체(3)의 외면과 미닫이(Ma)의 오목부(Me) 사이에 여유가 있거나, 미닫이(Ma)측의 변형에 의해 오목부(Me)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한 경우, 본체(3)에 좌우 벽부(30b, 30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본체(3)에 변형방지수단(6)을 구비시켜 두면, 이러한 경우에도 본체(3)의 좌우 벽부(30b, 30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 도 1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본체(3)를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변형방지수단(6)을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다. 변형방지수단(6)은,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에, 외측에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변형방지수단(6)은, 상기 이동개소(y)와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짐과 아울러, 저판(60)과 1쌍의 측판(61, 61)을 구비하고, 이 1쌍의 측판(61, 61) 사이에 본체(3)의 상기 이동개소(y)를 상측에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측판(61, 61) 사이의 간격은 본체(3)의 좌우 벽부(30b, 30b) 외면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고, 측판(61)의 기부(基部, 61b)에서 선단까지의 치수가 본체(3)의 상기 이동개소(y)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와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또, 1쌍의 측판(61, 61)의 선단에는,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외향의 절곡부(折曲部 , 6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61a)는 미닫이(Ma)의 오목부(Me)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도 3).
이것에 의해,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하는 측판(61)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변형이 한층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변형방지수단(6)에 보강부를 구비시키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본체(3)와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는,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하는 1쌍의 측판(61, 61)에 각각, 이 측판(61)의 상하 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부터 그 기부(61b)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이 기부(61b)에서부터 저판(60)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된 1쌍의 제 1 절삭부(62a, 62a)와, 이 1쌍의 제 1 절삭부(62a, 62a)의 저판(60)측 단부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 제 2 절삭부(62b)에 의해 구분시킨 개소에 대해서, 제 1 절삭부(62a)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부터 하측을 절제(切除)함과 아울러, 남은 부분을 제 1 절삭부(62a)의 상단을 굴곡 중심으로 해서 내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62)를 형성시키고 있다(도 11).
또, 본체(3) 하부실(31)의 좌우 외측에 각각, 변형방지수단(6)에 본체(3)의 상기 이동개소(y)를 삽입했을 때에 변형방지수단(6)의 걸어맞춤부(62)가 위치하는 개소에, 이 걸어맞춤부(62)를 수용하는 오목부(31a)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오목부(31a) 내에 돌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를 구비시키고 있다. 이 본체(3)의 걸어맞춤부(31b)는, 그 정상부(31c)의 하측에 이 정상부(31c)를 향해 점차 높아지는 안내면(31d)를 가지고 있고, 변형방지수단(6)에 대한 본체(3)의 삽입에 수반 해서,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62)가 상기 안내면(31d)에 의해 일단 외측으로 약간 휘어지고, 그 후 상기한 삽입의 종료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부(62)의 선단이 상기 정상부(31c)를 타고 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해서, 본체(3)의 걸어맞춤부(31b)에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한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62)가, 1쌍의 측판(61, 61) 중 일측에는 본체(3)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1쌍의 측판(61, 61) 중 타측에는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변형방지수단(6)이 본체(3) 벽부(30b)의 외측에, 이 벽부(30b)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도 1 ~ 도 12에 나타낸 예에 관한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하는 측판(61)의 선단에,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내향의 절곡부(61a)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61a)에 의해, 변형방지수단(6)에 보강부를 구비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4은, 도 1 ~ 도 12에 나타낸 예에 관한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하는 1쌍의 측판(61, 61)의 선단에 각각, 수용부재(2) 및 맞닿음체(1)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 그 후방측에만 내향의 절곡부(61a)를 형성하고, 또한, 좌측의 절곡부(61a)와 우측의 절곡부(61a)가 본체(3)의 폭 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변형방지수단(6)은,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에 위치하는 벽부(30b)(도 15에서 이점 쇄선으로 해칭한 개소) 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방지수단(6)은, 본체(3)를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는데 있어서, 상기한 벽부(30b)를 덮는 크기의 도시하지 않은 금속판이 상기 벽부(30b) 내에 매설되도록 해서, 상기한 본체(3)를 인서트성형 또는 이색성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금속판을 상기 벽부(30b) 내에 구비시킬 수 있다.
또, 변형방지수단(6)은,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에 있는 벽부(30b)(도 15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해칭한 개소)를, 본체(3)의 다른 개소의 구성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시켜서, 이 이동개소(y)에 있는 벽부(30b) 자체로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 도 16은, 도 1 ~ 도 12에 나타낸 예에 관한 변형방지수단(6)을 구성하는 1쌍의 측판(61, 61)에 각각,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62)가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측판(61)(도 16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판(61))에는 그 전방측에,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62)가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측판(61)(도 16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판(61))에는 그 후방측에, 각각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가,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1쌍의 제 1 절삭부(63a, 63a)와, 이 1쌍의 제 1 절삭부(63a, 63a)의 상단 사이에 걸친 제 2 절삭부(63b)에 의해 구분된 개소를, 제 1 절삭부(63a)의 하단을 굴곡 중심으로 해서 외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오목부(Me)에 변형방지수단(6)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31b, 62)를 오목부(Me) 내면에 삽입해서, 변형방지수단(6)을 오목부(Me)에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변형방지수단(6)과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에 의해 일체화시킨 본체(3)를 오목부(Me)에 삽입함으로써, 이 오목 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에 의해 오목부(Me)에 본체(3)를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변형방지수단(6)을 오목부(Me)에 먼저 부착한 후, 이 변형방지수단(6)에 본체(3)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오목부(Me)에 본체(3)를 설치시킬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파단 측면 구성도
도 2는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파단 확대 측면 구성도
도 3은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파단 확대 측면 구성도
도 5는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파단 측면 구성도
도 6은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면 구성도
도 7은 왕동기구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8은 수용부재(2)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9는 수용부재(2)의 분해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체(3)의 측면 구성도
도 11은 변형방지수단(6)의 사시 구성도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A-A선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변형방지수단(6)의 사시 구성도
도 14는 변형방지수단(6)의 사시 구성도
도 15는 변형방지수단(6) 등을 형성하는 개소를 나타낸 본체(3)의 측면 구성도
도 16은 변형방지수단(6)의 사시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가동체 Me - 오목부
S - 고정체 y - 이동개소
1 - 맞닿음체 2 - 수용부재
21 - 캐처(슬라이더) 3 - 본체
30b - 벽부 4 - 어시시트수단
6 - 변형방지수단 61 - 보강부(절곡부(折曲部))

Claims (22)

  1. 가동체(M) 및 이 가동체(M)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S)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오목부(Me)에 수납되는 본체(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가동체(M)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往動)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5), 가동체(M)를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시키는 어시스트수단(4) 또는 상기 제동수단(5) 및 어시스트수단(4)에 연계된 수용부재(2)와,
    가동체(M) 및 고정체(S) 중 타측에 구비되어, 가동체(M)의 왕동 과정에서 수용부재(2)에 맞닿아서 상기 본체(3) 내에서 이동되는 맞닿음체(1)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는, 상기 오목부(Me)의 개방측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30b)를 가지고 있고,
    또한, 이 벽부(30b)에 인접해서, 또는, 이 벽부(30b) 내에, 이 벽부(30b)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2. 가동체(M) 및 이 가동체(M)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S)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오목부(Me)에 수납되는 본체(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가동체(M)의 소정의 위치로의 왕동(往動)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 단(5), 가동체(M)를 소정의 위치까지 왕동시키는 어시스트수단(4) 또는 상기 제동수단(5) 및 어시스트수단(4)에 연계된 수용부재(2)와,
    가동체(M) 및 고정체(S) 중 타측에 구비되어, 가동체(M)의 왕동 과정에서 수용부재(2)에 맞닿아서 상기 본체(3) 내에서 이동되는 맞닿음체(1)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3)에 있어서의 수용부재(2)의 이동개소(y)는, 상기 오목부(Me)의 개방측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의 이동을 안내하는 벽부(30b)를 가지고 있고,
    이 벽부(30b)를 본체(3)의 다른 개소의 구성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2)는 상기 맞닿음체(1)를 포착하는 캐쳐(2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2)는 상기 맞닿음체(1)를 포착하는 캐쳐(2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캐쳐(21)는, 맞닿음체(1)를 포착하는 포착편(21b)을 가지고 있고, 이 포착편(21b)의 포착상태가 본체(3)의 벽부(30b)에 의해 유지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쳐(21)는, 맞닿음체(1)를 포착하는 포착편(21b)을 가지고 있고, 이 포착편(21b)의 포착상태가 본체(3)의 벽부(30b)에 의해 유지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7.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을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8.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 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보강부(61a)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보강부(61a)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0.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와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3)와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3)와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3)와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4.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와 상기 변형방지수단(6)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변형방지수단(6)에 오목부(Me)에 대한 걸어맞춤부(63)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본체(3)와 변형방지수단(6)에 각각 쌍을 이루는 걸어맞춤부(31b, 62)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왕동기구.
KR1020090105965A 2008-11-04 2009-11-04 가동체의 왕동기구 KR101172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3226 2008-11-04
JP2008283226A JP2010112012A (ja) 2008-11-04 2008-11-04 可動体の往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424A true KR20100050424A (ko) 2010-05-13
KR101172134B1 KR101172134B1 (ko) 2012-08-13

Family

ID=4215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965A KR101172134B1 (ko) 2008-11-04 2009-11-04 가동체의 왕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71482A1 (ko)
EP (1) EP2354405A4 (ko)
JP (1) JP2010112012A (ko)
KR (1) KR101172134B1 (ko)
CN (1) CN102203368A (ko)
WO (1) WO2010052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3466B2 (ja) * 2010-03-17 2014-03-05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JP2011196015A (ja) * 2010-03-17 2011-10-06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5743563B2 (ja) * 2011-01-17 2015-07-01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往動機構
JP5726556B2 (ja) * 2011-02-02 2015-06-0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閉止装置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2012193492A (ja) * 2011-03-14 2012-10-11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923298B2 (ja) 2011-03-14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当受体及び当受体を備える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746885B2 (ja) * 2011-03-14 2015-07-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JP5764375B2 (ja) * 2011-04-19 2015-08-19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可動装置
JP5982132B2 (ja) * 2012-02-22 2016-08-31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緩衝装置
KR101940318B1 (ko) * 2012-05-22 2019-01-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폐지 장치
JP6039936B2 (ja) * 2012-06-29 2016-12-07 株式会社ノダ 引戸
DE102015003423B4 (de) * 2015-03-17 2017-04-13 Günther Zimmer Türbeschlag zur oberen Führung von Schiebetüren
US9863178B2 (en) * 2015-08-21 2018-01-09 Weider Metal Inc. Two-way soft 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nd soft closing activation trigger assembly thereof
ES2572158B1 (es) * 2015-11-19 2016-11-30 Adinor, S.L. Sistema de amortiguación para armarios de puertas correderas
CN106978952B (zh) * 2017-05-05 2018-12-18 东莞市昌玉实业有限公司 阻尼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102A (en) * 1975-08-07 1977-01-18 Elmer E. Jones Door and window closer
JP2008283226A (ja) 2000-10-18 2008-11-20 Nec Corp 半導体装置搭載用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パッケージ
JP3853588B2 (ja) * 2000-10-26 2006-12-0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移動体位置規制構造
JP2002339647A (ja) 2001-05-18 2002-11-27 Dantani Plywood Co Ltd 制動機能を備えた引戸
CN2588009Y (zh) * 2002-10-18 2003-11-26 杜久荣 自动复位器
JP4093410B2 (ja) * 2003-03-05 2008-06-04 コクヨ株式会社 スライド部材、引き戸、及び収納家具
JP2004285746A (ja) 2003-03-24 2004-10-14 Meiko:Kk 引戸用制動装置
JP2004346706A (ja) * 2003-05-26 2004-12-09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AT7234U1 (de) * 2003-11-10 2004-12-27 Blum Gmbh Julius Halteplatte für einen lineardämpfer
JP2006241766A (ja) 2005-03-02 2006-09-14 Sunrise Kinzoku Kogyo Kk 引き戸用キャッチ装置
JP2006347391A (ja) * 2005-06-16 2006-12-28 Toyota Motor Corp スライドドア構造
CN2839510Y (zh) * 2005-08-15 2006-11-22 洪国民 一种自动关门机构
JP4970116B2 (ja) * 2006-04-2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および引き戸
KR101323551B1 (ko) * 2006-04-20 2013-10-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및 슬라이딩 도어
EP2236718B1 (en) * 2008-01-17 2014-12-31 Nifco Inc. Retraction mechanism
DE102008061728A1 (de) * 2008-12-12 2010-06-17 Dorma Gmbh + Co. Kg Schiebetür
DE102008061731A1 (de) * 2008-12-12 2010-06-17 Dorma Gmbh + Co. Kg Schiebetür
US8307497B2 (en) * 2010-01-14 2012-11-13 Door & Window Hardware Co.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2941A1 (ja) 2010-05-14
CN102203368A (zh) 2011-09-28
JP2010112012A (ja) 2010-05-20
EP2354405A1 (en) 2011-08-10
US20110271482A1 (en) 2011-11-10
KR101172134B1 (ko) 2012-08-13
EP2354405A4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134B1 (ko) 가동체의 왕동기구
KR101323551B1 (ko)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및 슬라이딩 도어
KR20070119001A (ko)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20130014557A (ko)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US9642460B2 (en) Self-closing slide rail assembly and self-closing mechanism thereof
US20120073143A1 (en) Cutter knife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US20140059801A1 (en) Moving device for moving movable body
WO2005012678A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JP2017030331A (ja) スライドコア装置
JP2013019223A (ja) ラッチ装置
US20090145795A1 (en) Clam shell type receptacle
KR200489085Y1 (ko) 잠금장치용 창문 손잡이
JP5576255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101505008B1 (ko) 도어락 모티스의 에지볼트 조립체
KR20040071043A (ko) 래치 장치
JP4959992B2 (ja) 毛抜
JP3040202U (ja) 引出しのスライドレール
KR20140032780A (ko) 도어락
KR101092781B1 (ko) 래치장치
JP5653742B2 (ja) 開閉体閉止装置
JP2013213336A (ja) ラッチ装置
US20140236204A1 (en) Surg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