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18B1 - 개폐체 폐지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18B1
KR101940318B1 KR1020120054332A KR20120054332A KR101940318B1 KR 101940318 B1 KR101940318 B1 KR 101940318B1 KR 1020120054332 A KR1020120054332 A KR 1020120054332A KR 20120054332 A KR20120054332 A KR 20120054332A KR 101940318 B1 KR101940318 B1 KR 10194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ing
opening
closing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486A (ko
Inventor
쇼헤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to KR102012005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3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와의 포착시에 발생하는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폐지 장치를 제공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개폐체(2) 또는 고정부재(1)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포착부재(11)와, 개폐체(2) 또는 고정부재(1)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120), 및 개폐체(2)를 고정부재(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피포착부재(11)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포착부재(120)를 이동시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110)을 갖는 포착인입기구(20)와, 개폐체(2)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탄성체(226)를 구비한 개폐체 폐지 장치(10)로서, 포착인입기구(20)는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체 폐지 장치{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본 발명은 미닫이문이나 서랍 등의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폐지(閉止)시키기 위한 개폐체 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닫이문 등의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폐지시키는 것으로서, 개폐체 폐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개폐체 폐지 장치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을 안내하기 위한 미닫이문 레일 측에 설치된 피포착(被捕捉)부재와 미닫이문 측에 장착된 포착인입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포착인입기구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포착부재는 회동한 소정 위치에서 돌기 형상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또는 포착 해제한다.
또한, 포착인입기구는 미닫이문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기 위한 스프링과, 이 스프링력을 완충하는 댐퍼(damper)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착인입기구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내부의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도록(미닫이문을 폐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미닫이문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체 폐지 장치는 미닫이문의 닫힘 시에,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함으로써, 미닫이문이 강제적으로 닫힘 위치로 유도됨과 함께, 댐퍼에 의해 미닫이문이 느슨하게 폐지되도록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9-19146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0-43472호 공보
상술한 개폐체 폐지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미닫이문 레일 위를 주행할 때에 소정 위치에서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가 결합(닫을 때) 또는 결합 해제(열 때)하는 동작이 일어난다. 즉, 포착부재는 이 소정 위치에서의 미닫이문의 개폐력에 의해 회동하여 피포착부재를 포착한다. 그리고, 이 포착부재가 회동하는 속도는 이 소정 위치에 있어 미닫이문을 폐지시키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된다. 그 때문에, 이 소정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힘차게 폐지시키려고 한 경우,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힘차게 결합하여 버려, 결합음(結合音)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 결합음은 특히, 가정의 거실 등에 개폐체 폐지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들려 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와의 포착시에 발생하는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한 개폐체 폐지 장치로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 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핀과,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상기 맞닿음 블록을 앞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제2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부세력(付勢力)을 유지하는 로크(lock)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 구멍은,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과,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서는,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체를 힘차게 닫았더라도, 피포착부재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과 피포착부재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 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느슨하게,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부재가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핀과 유도구멍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 상부의 정면도로서, (a)는 개폐체의 개방 시, (b)는 장치 작동 시, (c)는 개폐체의 닫힘 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a)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A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B-B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c)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C-C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포착인입기구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것으로서,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c)의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으로서,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포착인입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캐치부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로서, (a)는 도 7의 D부의 확대도, (b)는 도 8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매달림부와 인입부의 부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캐치부를 조립한 상태의 확대도로서, (a)는 도 2(b)의 F부 확대도, (b)는 도 3(b)의 G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미닫이문 장치에 사용한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a), (b), (c)는 미닫이문 장치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의 개폐 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도 4는 도 1에서 나타내는 포착인입기구(20)의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a)의 상태에 대응하며, 도 3은 도 1(b), 도 4는 도 1(c)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도 2∼도 4에 있어서, (a)는 포착인입기구(20)의 평면도, (b)는 A-A(B-B,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미닫이문 장치는 건물의 개구부의 상연부(上緣部)를 따라 연재(延在)되는 가이드 레일(1)과,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문(2)(개폐체)과, 미닫이문(2)의 닫힘 시에 제동하면서, 이 미닫이문(2)을 닫힘 위치에 유도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체 폐지 장치(10)는 가이드 레일(1)의 문 버팀쇠(3)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설치된 피포착부재(11)와, 이 가이드 레일(1) 위를 도 1의 지면 횡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포착인입기구(20)로 구성되어 있다.
피포착부재(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1a)를 갖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포착인입기구(20)는 가이드 레일(1)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인입기구(20)에는, 그 앞쪽부와 뒤쪽부의 각각에 가이드 롤러(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롤러(21)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미닫이문(2)은 그 상단 모퉁이부(角部)(지면 왼쪽으로 비스듬한 위쪽의 모퉁이부)가 포착인입기구(20)(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포착인입기구(20)의 매달림부(300))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에 개폐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포착인입기구(20)의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 위를 전동(轉動)하여, 미닫이문(2)이 개폐하게 된다.
이 포착인입기구(20)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캐치부(catch portion)(100)(도 2∼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
포착인입기구(20)는 도 1(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의 개방 상태에서는,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즉, 이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기능하지 않고, 대기 상태이다.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을 닫을 때의 닫힘 시에, 포착인입기구(20)가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다. 또한, 상술한 캐치부(100)의 로크가 해제된다(해제 상태).
이 해제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예에서는, 우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도 1(b)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닫히는 방향(도 1의 예에서는, 좌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한다(이동 상태). 그리고, 도 1(c)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폐지 상태).
도 5는 도 2 상태(대기 상태)에서의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 상태(폐지 상태)에서의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포착인입기구(20)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포착인입기구(20)를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9(a)는 도 7의 D부의 확대도, 도 9(b)는 도 8의 E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매달림부와 인입부의 부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후방향은 미닫이문(2)을 개폐하는 방향을 말하며, 목질(2b) 측을 앞쪽으로 한다. 또한, 상하, 좌우 방향은 목질(2b) 측에서 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포착인입기구(20)는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캐치부(100)와, 이 캐치부(100)를 가이드 레일(1)의 연재 방향을 따라 가까이 끌어당기기 위한 인입부(200)와, 매달리는 형태로 미닫이문(2)이 장착되는 매달림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캐치부(100)는 도 2∼도 4 및 도 7, 도 8, 특히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링크핀(140)의 위치에 의해 동작하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치부(100)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으로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이동하는 내포 블록(13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내포 블록(13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맞닿음 블록(11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와, 이 본체부(111)의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본체부(111)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있는 받침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1)는 그 내측이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 내에는, 그 하측의 개구로부터, 포착판(12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본체부(111)에는, 정면에서 보아,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상측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구멍(111a)은 본체부(111)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
받침부(112)의 앞쪽의 면에는, 도 7 및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맞닿음면(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112a)은, 미닫이문(2)이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졌을 때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맞닿아 압압되게 된다(도 3(b) 참조).
또한, 받침부(112)의 뒤쪽의 면에는, 도 8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패인 형상의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베어링 홈(112b)에는,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일단부가 지지된다.
포착판(12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포착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착돌기(121)는, 포착판(120)이 윗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술한 받침부(112)와 이 포착돌기(121)으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전후 방향에서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도 3(b) 참조).
이 포착돌기(121)의 후면에는, 테이퍼(taper) 맞닿음면(121a)dl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은 테이퍼의 하측에서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즉, 미닫이문(2)을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맞닿아, 포착돌기(121)를 이 테이퍼면과 수직한 방향인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하여 눌러 내리도록 된다(도 2(b) 참조).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돌기(121)의 앞쪽에 위치하는 보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돌기(122)는 상술한 포착돌기(121)와 받침부(112)에 의해 돌기부(11a)를 포착할 수 없었을 때에, 포착돌기(121)와 이 보조돌기(122)로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말하자면 보조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 보조돌기(122)는 포착돌기(121)와 보조돌기(122)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경우라도, 개폐체 폐지 장치(10)가 미닫이문(2)을 폐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돌기(122)는 미닫이문(2)을 열 때에 있어서 피포착부재(11)의 돌기(11a)에 의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보조돌기(122)가 하측으로 휘어져 피포착부재(11)를 보조돌기(122)의 앞쪽으로 퇴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착판(120)은, 이 보조돌기(122)가 압압되는 위치에서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 구멍(211)(도 2∼도 4 참조)의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음(포착돌기(121)와 받침부(112)로 포착한 위치가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로 됨)으로써,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보조돌기(122)는 하측으로 휘어져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포착판(120)이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맞닿음 블록(110)이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23)은 링크핀(14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이 장착구멍(123)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핀(140)의 이동에 따라 링크핀(14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내포 블록(130)은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외곽부(131)과 이 외곽부(131)의 후단에서 후 측에 돌출하는 지지부(132)와 외곽부(131)의 좌우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좌우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 돌기부(133)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부(131)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 공동 내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3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31a)은 외곽부(131)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
또한, 외곽부(13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31b)에는, 내포 블록(13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외곽부(131)의 하측 후부(지지부(132)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neck)부(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31c)은 스프링 베어링(227)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지지부(132)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장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32a)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 방향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안내 돌기부(133)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어, 인입부(200)의 가이드 구멍(211)(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7 및 도 8 참조)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캐치부(10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이 가이드 구멍(2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입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부(100)가 내측에 조립된 가이드부(210)와, 이 가이드부(210)의 뒤쪽에 장착되는 댐퍼 지지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斷面) 형상은, 상측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210)에는, 이 상측의 개구로부터 캐치부(10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각각의 측부에는, 역L자형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구멍(211)은 전후 방향으로 뻗는 전후 긴 구멍(211a)과 이 전후 긴 구멍(211a)의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상하 긴 구멍(211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211)에는, 상술한 링크핀(140)이 삽입된다. 즉, 링크핀(140)은 상술한 캐치부(100)를 가이드부(210) 내에 삽입한 후에, 가이드부(210)의 외측으로부터 가이드 구멍(211),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의 순서대로 삽입 통과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211)의 전후 긴 구멍(211a)에는, 내포 블록(130)의 안내 돌기부(133)가 끼워 맞춰지고, 이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캐치부(100)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211)의 상하 긴 구멍(211b)은 링크핀(140)을 이 상하 긴 구멍(211b)의 하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캐치부(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 즉, 가이드 구멍(211)은 캐치부(100)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장착을 위해, 가이드부(210)의 저면을 앞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한 저면에 장착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21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장착나사(213)가 삽입 통과되어, 장착블록(240)을 통하여 매달림부(300) 측에 장착된다.
이 장착블록(240)은 도 7 및 도 8,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上)블록 241, 하(下)블록(242), 및 측(側)블록(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블록(241) 및 하블록(242)에는, 장착나사(213)가 삽입 통과되는 장착구멍(241a, 242a)이 상하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블록(243)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24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후단부의 좌우의 하측에는, 댐퍼 지지부(220)에 조립되어 위치 결정하기 위한 연장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측부의 앞쪽에는, 장착블록(240)의 장착구멍(243a)에 장착핀(215)을 통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측부의 뒤쪽에는, 댐퍼 지지부(220)의 장착구멍(219)에 장착핀(217)을 통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8)이 형성되어 있다.
댐퍼 지지부(2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고(좌측의 댐퍼 지지부를 220a, 우측의 댐퍼 지지부를 220b로 나타냄), 조합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에 댐퍼 유닛(221)이 수용되어 있다. 이 댐퍼 유닛(221)은 출력축(221a)과, 이 출력축(221a)을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유닛 본체(221b)를 갖고 있다. 유닛 본체(221b) 내에는, 출력축(221a)의 축장(縮長)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오일 등의 저항 유체(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221a)의 선단부는 캐치부(100)와 인입부(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부(132)의 장착홈(132a)에 삽입되어, 댐퍼 유닛(221)이 캐치부(100)의 내포 블록(1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한다.
이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는, 댐퍼 유닛 본체(221b)의 형상에 맞춘 댐퍼 수용홈(2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댐퍼 수용홈(224)에 댐퍼 유닛 본체(221b)를 집어넣는(수용하는) 형태로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를 조합시킴으로써, 댐퍼 유닛(221)이 조립된다.
또한, 좌측의 댐퍼 지지부(220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우측의 댐퍼 지지부(220b)를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돌기(222)가 각각 2개씩(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댐퍼 지지부(220b)에는, 이 결합돌기(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를 조합시켜, 결합돌기(222)를 걸림홈(223)에 걸리게 함으로써, 댐퍼 지지부(220)가 조립되게 된다.
또한, 댐퍼 지지부(220)에는, 댐퍼 유닛(221)의 하측에, 인장스프링 유닛(225)이 장착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 유닛(225)은 인장스프링(226)과, 이 인장스프링(226)의 양단부에 장착된 2개의 스프링 베어링(2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장스프링(226)은 코일스프링이며, 인장스프링 유닛(225)에서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2개의 스프링 베어링(227)은 그 선단 부분에 네크부(227a)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에 위치하는 스프링 베어링(227)은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는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에 조립되고,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부(227a)가 내포 블록(130)의 네크부 수용홈(131c)에 조립된다. 이에 의해, 앞쪽의 스프링 베어링부(227)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뒤쪽에 위치하는 스프링 베어링(227)은 앞쪽의 스프링 베어링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마찬가지로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에 조립된다. 또한,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부(227a)는 이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의 후단부에 형성된 네크부 수용홈(229)에 조립된다. 이에 의해, 뒤쪽의 스프링 베어링부(227)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 지지부(220a, 220b)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뻗는 결합돌기(2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30)는 인입부(200)의 후부에 장착되는 뒤쪽 가이드 롤러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뒤쪽 가이드 롤러부(4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장착커버(40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재되는 회전축(402)과, 이 회전축(4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가이드 롤러(21)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커버(401)에는, 상술한 결합돌기(230)와 결합 가능한 결합구멍(4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30) 및 결합구멍(401a)은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결합돌기(230)의 탄성에 의해 결합구멍(401a)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매달림부(300)는 도 7, 도 8,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한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와, 이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미닫이문(2)을 고정함과 함께 그 장착 위치를 미세조정 가능한 고착유닛(320)을 구비하고 있다.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그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부(311)에, 도시하지 않는 회전축을 통하여 4개의 가이드 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1)의 후단부에는, 이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재되고,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협지부(3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311a)에는, 장착구멍(311b)이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311a)에는, 전술한 장착블록(240)의 상블록(241)이 사이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어, 장착핀(213)이 각각 장착구멍(212, 242a, 241a, 311b)에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210)가 장착블록(240)을 통하여, 매달림부(300)에 고정된다.
고착유닛(320)은 그 전단에 표출되어 있는 조정부(321)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 고착유닛(320)에 장착된 미닫이문(2)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도 2∼도 4 및 도 11(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며, 도 2(b)의 F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11(b)는,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고 있는 상태(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며, 도 3(b)의 G부 확대도이다.
대기 상태(미닫이문(2)이 개방 상태. 도 2(a)∼도 2(c), 및 도 11(a) 상태)에서는, 피포착부재(11)는 포착인입기구(20)의 캐치부(100)보다 앞쪽(지면 좌측)이 멀어진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핀(140)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211)의 상하 긴 구멍(211b)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캐치부(100)를 전후 방향(지면 좌우)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링크핀(140)이 고정되어 있, 캐치부(100)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링크핀(140)은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의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의 비스듬한 하측의 위치에 있다. 즉, 포착판(120)은 포착인입기구(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의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착돌기(121)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보다 하측의 위치에 있어, 캐치부(100)가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는다.
도 11(a)의 상태(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캐치부(10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에 맞닿는다. 또한, 맞닿음면(112a)은 돌기부(11a)에 의해 후방(지면 우측)으로 압입되고,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후방(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해제 상태에서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핀(140)은 맞닿음 블록(110)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경사구멍(111a)을 따라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링크핀(140)은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된다. 즉, 이 링크기구에서는, 맞닿음 블록(110)이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링크기구에서는, 포착판(120)이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맞닿음 블록(110)의 받침부(112)와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로 전후 방향에서 포착한다.
여기서, 포착판(120)의 위쪽으로의 이동 속도는 경사구멍(111a)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면, 유도구멍(131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늦게 할 수 있다. 즉, 포착판(120)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링크핀(140)은 가이드부(210)의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링크핀(140)의 고정이 해제되어, 캐치부(100)가 가이드부(21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해제 상태).
해제 상태에서는, 캐치부(100)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력에 의해, 후방(지면) 우측 방향으로 부세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치부(100)는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이동을 정지하고, 캐치부(100)를 제외한 다른 포착인입기구(20)의 부분이 가이드부(10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상대적으로 앞 방향(지면 좌측 방향. 폐지 방향)으로 이동된다(이동 상태). 즉, 이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력은 미닫이문(2)을 강제적으로 폐지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반쯤 열려 있는 상태이라도, 이 스프링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닫혀져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닫혀진다(폐지 상태).
한편, 상술한 이동 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력에 의해, 미닫이문(2)이 힘차게 문 버팀쇠(3)에 충돌하지 않도록, 댐퍼 유닛(221)으로 스프링력을 완충하고 있다.
다른 한편, 미닫이문(2)을 닫혀진 상태로부터 여는 경우(폐지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도 11(b)에서 미닫이문(2)을 후방(지면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돌기부(11a)는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상세하게는, 포착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 맞닿는다. 이 경우, 캐치부(100)는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정지하고, 캐치부(100)를 제외한 다른 포착인입기구(20)의 부분은 가이드부(10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상대적으로 뒷 방향(지면 우측 방향.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을 인장하는 방향이다.
미닫이문(2)을 더 열면, 바로 링크핀(140)이 가이드부(210)의 전후 긴 구멍(211a)의 앞쪽 단부에 부딪친다(해제 상태). 이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더 열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포착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을 강하게 압압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테이퍼 맞닿음면(121a)의 테이퍼를 따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하측으로 내려앉듯이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링크핀(140)을 하측으로 눌러 내린다.
이때, 링크핀(140)은 포착판(120)과 함께,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대기 상태).
또한, 맞닿음 블록(110)은 링크핀(140)이 경사구멍(111a)을 따라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맞닿음 블록(110)은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 경사분만큼 앞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촉진(보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포착 해제시(해제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이행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이에 의해, 링크핀(140)은 가이드부(210)의 상하 긴 구멍(211b)으로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핀(140)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고정되어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은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 의하면, 포착인입기구(20)는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뒤쪽으로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힘차게 닫았더라도, 피포착부재(11)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기세를 느슨하게, 포착판(120)을 천천히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판(120)이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핀(140)과 유도구멍(131a)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함께 이동시키는 동작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링크기구는 포착판(120)에 장착된 링크핀(140)과,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131a)을 갖고, 유도구멍(13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 블록(130)과 맞닿음 블록(110)으로 구성되고, 맞닿음 블록(110)에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압압되었을 때에, 경사구멍(11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경사구멍(111a)을 따라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함께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링크기구는 내포 블록(130)과 맞닿음 블록(110)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맞닿음 블록(110)을 앞 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압축 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판(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력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로크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로크기구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구멍(211)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 구멍(211)은 링크핀(140)을 인장스프링(226)이 부세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211a)으로 링크핀(140)을 인장스프링(226)이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211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술한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로크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크기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2)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랍이나 좌우 여닫이문의 문 등을 개폐하는 경우이어도, 문을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장치이면,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설치하고 있지만,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레일(1)을 개구부의 하연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그 하부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스프링(226) 및 압축 코일스프링(113)을, 탄성체인 스프링로서 기재하였지만,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에 의해 부세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21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11)(전후 긴 구멍(211a), 상하 긴 구멍(211b))이 역L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링크기구에서의 링크핀(140)의 이동 방향과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뻗는 전후 긴 구멍(211a)에 대하여, 상하 긴 구멍은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면,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력을 유지할 수 있어, 로크기구가 기능하게 된다.
1 : 가이드 레일(고정부재)
2 : 미닫이문(개폐체)
3 : 문 버팀쇠
10 : 개폐체 폐지 장치
11 : 피포착부재
11a : 돌기부
20 : 포착인입기구
21 : 가이드 롤러
100 : 캐치부
110 : 맞닿음 블록
111 : 본체부
111a : 경사구멍
112 : 받이부
112a : 맞닿음면
113 : 압축 코일스프링(제2 탄성체)
120 : 포착판(포착부재)
121 : 포착돌기
121a : 테이퍼 맞닿음면
122 : 보조돌기
130 : 내포 블록
131 : 외곽부
131a : 유도구멍
131b : 받침면
132 : 지지부
132a : 장착홈
133 : 안내 돌기부
140 : 링크핀
200 : 인입부
210 : 가이드부
211 : 가이드 구멍
211a : 전후 긴 구멍
211b : 상하 긴 구멍
213 : 장착나사
214 : 연장부
215, 217 : 장착핀
220(220a, 220b) : 댐퍼 지지부
221 : 댐퍼유닛
222 : 결합돌기
225 : 인장스프링 유닛
226 : 인장스프링(제1 탄성체)
227 : 스프링 베어링
228 :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
229 : 네크부 수용홈
230 : 결합돌기
240 : 장착 블록
241 : 상블록
242 : 하블록
243 : 측블록
300 : 매달림부
310 : 앞쪽 가이드 롤러부
311 : 본체부
311a : 협지부
320 : 고착유닛
321 : 조정부
400 : 뒤쪽 가이드롤러부
401 : 장착커버
402 : 회전축

Claims (7)

  1.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被)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한 개폐체 폐지 장치로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핀과,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상기 맞닿음 블록을 앞 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제2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부세력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구멍은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과,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7. 삭제
KR1020120054332A 2012-05-22 2012-05-22 개폐체 폐지 장치 KR10194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체 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체 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86A KR20130130486A (ko) 2013-12-02
KR101940318B1 true KR101940318B1 (ko) 2019-01-18

Family

ID=4998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ko) 2012-05-22 2012-05-22 개폐체 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3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767A (ja) * 2004-08-30 2006-03-09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KR100841801B1 (ko) * 2006-12-18 2008-06-27 강인식 슬라이딩도어용 완충장치
JP2009191469A (ja) 2008-02-12 2009-08-27 Isokawa Sangyo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4368407B1 (ja) 2008-08-13 2009-11-18 アトムリビン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86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101157801B1 (ko) 도어 힌지
KR101172134B1 (ko) 가동체의 왕동기구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KR101955887B1 (ko)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CN110886562B (zh) 拉门装置
KR102012983B1 (ko) 개폐체 완충 장치
JP4291427B2 (ja)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KR101940318B1 (ko) 개폐체 폐지 장치
KR20110122845A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KR100833322B1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6607658B2 (ja) プッシュラッチ付引戸クローザー
JP6729874B2 (ja) スライド式自動閉鎖装置
JP5576255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20080025617A (ko) 배터리 록킹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2008261131A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KR101056919B1 (ko) 하부장착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20140032780A (ko) 도어락
KR200479064Y1 (ko) 걸림 링크
JP2010101075A (ja) 戸当り
KR101849913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KR20230076273A (ko) 미닫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