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73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733A
KR20100040733A KR1020107001667A KR20107001667A KR20100040733A KR 20100040733 A KR20100040733 A KR 20100040733A KR 1020107001667 A KR1020107001667 A KR 1020107001667A KR 20107001667 A KR20107001667 A KR 20107001667A KR 20100040733 A KR20100040733 A KR 2010004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763B1 (ko
Inventor
다카시 노모토
마사시 우다
히데아키 모리타
켄지 오바
유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15Folding

Abstract

본 발명은 개더의 기립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면 시트(2)를 갖는 표면층과, 이면 시트(3)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4)를 갖는 흡수층과,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5, 5)를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한 쌍의 개더(5, 5)는, 시트형 부재(9)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외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10)를 갖는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11)에 의해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입체 형상부(10)가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접합부(11)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10a)와,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10b)를 포함하며,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L1/L2)는 2 이상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투과성의 표면층, 액불투과성의 이면층 및 해당 표면층과 해당 이면층 사이에 배치된 액 유지성의 흡수층을 구비한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누설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에 착용자의 피부 측으로 기립하는 개더(gather)를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8802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끈 형상의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장설(張設)된 시트재를 배치함과 함께, 해당 시트재의 주연부만을 표면 시트 또는 이면 시트와 접합함으로써, 시트재와 표면 시트 또는 이면 시트 사이에 공극을 가지고, 또한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U자형의 개더(gather)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시트재의 주연부만이 표면 시트 또는 이면 시트와 접합되고, 또한, 시트재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측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이면 시트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 부분을 형성하는 영역의 폭이 넓게 이루어져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개더의 입체 형상은, U자형 또는 개더의 꼭대기부에서부터 바닥부를 향해 그 폭이 서서히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 힘을 받은 경우에 개더의 입체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어,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나빠져 입체 형상의 개더가 쓰러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더의 입체 형상이 용이하게 변화되는 것에 기인하여,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층과,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개더를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대략 Ω 형상의 입체 형상부를 갖는 상태에서,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입체 형상부가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제1 접합 단부와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상기 제1 접합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접합 단부까지의 길이(L1)와, 상기 제1 접합 단부와 상기 제2 접합 단부 사이의 거리(L2)의 비(L1/L2)가 2 이상인 흡수성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를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해당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를 가지고, 해당 입체 형상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와, 해당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상기 제1 접합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접합 단부까지의 길이(L1)와, 상기 제1 접합 단부와 상기 제2 접합 단부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L1/L2)는 2 이상인 흡수성 물품.
(2)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해당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큰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3) 상기 접합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와, 해당 제1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제1 접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상기 제2 접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4)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접합부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를 상기 표면층 또는 상기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가 형성되고, 해당 제3 접합부에서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1 접합 단부 사이의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5)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표면층이 상기 흡수층 상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상기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6)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고,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7) 상기 한 쌍의 개더에 있어서의 측부 중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측부에는,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중 2 이상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2 이상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접합 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와, 해당 제1 탄성 부재에 인접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6)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8)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각각은, 유채색을 가짐과 함께,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 각각에 있어서의 유채색은, 상기 시트형 부재를 투과하여 시인(視認) 가능한 (6) 또는 (7)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9)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2층 구조 부분의 층간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는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10)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를 구비하고, 해당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며,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에 신장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를 그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상기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에 각각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하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과,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를 협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시트형 부재를, 각각 한쪽의 면 측으로 또한 그 내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절첩하여 2층 구조 부분 및 해당 2층 구조 부분의 폭 방향 바깥쪽에 1층 부분을 형성하는 2겹 접음 공정과, 상기 2층 구조 부분을, 상기 한쪽의 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더 절첩하여 3층 구조 부분을 형성하는 3겹 접음 공정과, 상기 3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외측부 근방에 있어서 해당 3층 구조 부분과 상기 띠 형상의 표면 시트를 접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형성 공정과, 상기 3층 구조 부분을, 상기 제1 접합부를 기점으로 하여 다른 쪽 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절첩하고, 절첩한 상기 3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적어도 최하층을 상기 1층 부분과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형성 공정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대의 자연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대를 자연 상태에서 그 표면 시트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서 보조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한 쌍의 시트형 부재를 나타낸다.
도 7B는 2겹 접음 공정에서의 한 쌍의 시트형 부재를 나타낸다.
도 7C는 3겹 접음 공정에서의 한 쌍의 시트형 부재를 나타낸다.
도 8A는 제1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의 생리대의 중앙부를 나타낸다.
도 8B는 제1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의 생리대의 전단부 근방을 나타낸다.
도 9A는 제2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생리대의 중앙부를 나타낸다.
도 9B는 제2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 3층 구조 부분이 절첩되어 제2 접합부가 형성된 상태의 생리대의 중앙부를 나타낸다.
도 10A는 제3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생리대의 전단부 근방을 나타낸다.
도 10B는 제3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그 폭 방향 안쪽에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생리대의 전단부 근방을 나타낸다.
도 10C는 3층 구조 부분이 절첩되어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가 형성된 상태의 생리대의 중앙부를 나타낸다.
도 11A는 제3 접합부 형성 공정 후의 생리대의 중앙부를 나타낸다.
도 11B는 제3 접합부 형성 공정 후의 생리대의 전단부 근방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대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개더
6: 윙
7: 후방 플랩
8: 누설 방지 홈
9: 시트형 부재
10: 입체 형상부
11: 접합부
12: 제3 접합부
13: 탄성 부재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1)이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길이의 형상을 갖고, 표면층으로서의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이면층으로서의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이들 양자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층으로서의 흡수체(4)를 구비한다. 생리대(1)의 표면 시트(2) 측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5, 5)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개더(5, 5)는,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 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표면층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을 구성하는 층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은, 표면 시트(2) 및 시트형 부재(9)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면층에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는 세컨드 시트(도시하지 않음)도 포함된다.
이면층이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 측의 면을 구성하는 층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층은 이면 시트(3)로 이루어진다.
흡수층은, 흡수체(4) 및 해당 흡수체(4)를 피복하는 코어랩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생리대(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설부에 대향하는 부위인 중앙부(A)와, 착용시에 중앙부(A)보다 착용자의 배 쪽에 배치되는 전방부(B)와, 착용시에 중앙부(A)보다 등 쪽에 배치되는 후방부(C)를 갖고 있다.
표면 시트(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 상면의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3)는, 흡수체(4) 하면의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3)는, 중앙부(A)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윙(6, 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면 시트(3)는, 후방부(C)에서도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부(A) 및 후방부(C)에서는, 후술하는 한 쌍의 개더(5, 5)를 형성하는 시트형 부재(9)가 각각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윙(6, 6) 및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윙(6, 6) 및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은, 시트형 부재(9)와 이면 시트(3)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흡수체(4)의 전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연장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윙(6, 6)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하면 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윙 점착부(14, 14)가 마련된다. 또한, 생리대(1)의 본체 부분[흡수체(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하면 측에는, 본체 점착부(15)가 마련된다. 본체 점착부(15)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줄 마련되어 있다.
윙 점착부(14) 및 본체 점착부(15)는, 이면 시트(3)의 하면 측에 핫멜트 점착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의 표면 시트 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와 표면 시트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 형성된 누설 방지 홈(8)이 마련된다. 전술한 한 쌍의 개더(5, 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설 방지 홈(8)의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누설 방지 홈(8)은, 생리대(1)의 세로 중심선(도시하지 않음)에 거의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설 방지 홈(8)은, 전방부(B)로부터 후방부(C)에 걸쳐 마련된 제1 누설 방지 홈(8a) 및 후방부(C)에 마련된 제2 누설 방지 홈(8b)으로 이루어진다. 제1 누설 방지 홈(8a)은, 세로 길이의 환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누설 방지 홈(8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A)에 있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누설 방지 홈(8b)은, 제1 누설 방지 홈(8a) 바깥쪽에 마련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누설 방지 홈(8b)의 전단(前端)은, 각각 제1 누설 방지 홈(8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1 누설 방지 홈(8a)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생리대(1)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개더(5, 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9)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더(5, 5)는, 시트형 부재(9)가, 생리대(1)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 측인 두께 방향의 외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10)를 가지고, 해당 입체 형상부(10)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11)에 의해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입체 형상부(10)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를 형성하고 있다.
접합부(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형상부(10)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10a)와, 입체 형상부(10)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10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L1/L2)가 2 이상, 바람직하게는 2~15, 더욱 바람직하게는 5~11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더(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도 개더(5)의 입체 형상에서의 최대 폭(L3) 쪽이 큰, 대략 Ω 형상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대략 Ω 형상이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더(5)의 폭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 쪽이 큰 형상을 포함하고, 예컨대, 개더의 단면 형상이 폭 방향의 바깥쪽이나 안쪽으로 쓰러지도록 경사된 Ω형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대략 Ω 형상은, 개더(5)에 있어서의 입체 형상부(10)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만, 즉 접합부(11)보다도 피부 접촉면 측을 구성하는 부분만을, 시트형 부재(9)에 의해 형성한 것도 포함한다.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에 대하여 2 미만인 경우에는, 개더(5)가 충분한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없어, 양호한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합부(1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11a)와, 해당 제1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접합 단부(10a)는 제1 접합부(11a)에 형성되고, 제2 접합 단부(10b)는 제2 접합부(11b)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합부(11a)는,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형 부재(9)와 표면 시트(2)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합부(11b)는, 절첩된 시트형 부재(9)끼리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더(5, 5)에 있어서, 제1 접합 단부(10a)는, 표면 시트(2)가 흡수체(4) 상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접합 단부(10b)는, 흡수체(4)의 폭 방향 바깥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 상의 영역에 위치한다. 제2 접합 단부(10b)가 이면 시트(3) 상의 영역에 위치한다고 하는 것은, 제2 접합 단부(10b)가, 시트형 부재(9)와 이면 시트(3)의 접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접합 단부(10b)가, 이면 시트(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형 부재(9), 혹은 그 밖의 시트와 시트형 부재(9)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는,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1~26 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11)보다 외측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9)를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접합부(12)에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다(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접합부(1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합부(11b)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9)끼리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개더(5, 5)는 길이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있어서, 제3 접합부(12)에 의해 표면층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는, 한 쌍의 개더(5, 5)는 기립되지 않아, 입체 형상을 갖고 있지 않다. 즉,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한 쌍의 개더(5, 5)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접합부(12)가 마련되지 않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한 쌍의 개더(5, 5)는, 피부 접촉면 측으로 기립하여 중공의 입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를 갖는 영역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를 갖는 범위, 즉 제3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는, 생리대(1)의 전방부(B)에서는, 전단으로부터 40~7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부(C)에서는, 후단으로부터 70~12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가, 생리대(1)의 전방부(B)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40 mm 미만인 경우, 및 후방부(C)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70 mm 미만인 경우에는,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의 기립 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개더(5)가 쉽게 쓰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후방부(C)에 있어서,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가 착용자의 둔부에 닿아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가, 생리대(1)의 전방부(B)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70 mm를 넘는 경우, 및 후방부(C)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120 mm를 넘는 경우에는,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의 기립 부분의 길이가 줄어 들어, 개더(5)의 기립성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착용시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부(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S1)은, 제3 접합부(12)에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S2)보다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S1)은,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S2)보다 0.5~13 mm 정도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더(5, 5)에는,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시트형 부재(9)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신장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형 부재(9)에 접합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시트형 부재(9)에 접합할 때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작게 하여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트형 부재(9)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6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시트형 부재(9)에 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부재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더(5, 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 꼭대기부(5b) 및 외측 측부(5c)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측부(5c)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 부재(13) 중, 제2 접합 단부(10b)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13a)는, 제1 탄성 부재(13a)에 인접하는 제2 탄성 부재(13b)보다 생리대(1)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3b)에 인접하는 제3 탄성 부재(13c)는, 제2 탄성 부재(13b)보다 생리대(1)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탄성 부재(13b)는, 가장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고, 제2 탄성 부재(13b)에 인접하는 제1 탄성 부재(13a) 및 제3 탄성 부재(13c)가, 그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측부(5c)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개더(5)의 대략 Ω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3b)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1 탄성 부재(13a) 및 제3 탄성 부재(13c) 전부가 제2 탄성 부재(13b)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개더(5)는 폭 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생리대(1)가 폭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도,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가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신장 상태에서 시트형 부재(9)에 배치된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수축력에 의해, 자연 상태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 측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자연 상태란, 생리대(1)에 중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의 측부인 내측 측부(5a) 또는 외측 측부(5c)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의 간격은,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7 mm이다.
시트형 부재(9)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의 갯수는,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10개이다. 탄성 부재(13)의 갯수가 3개 이하인 경우에는, 대략 Ω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워,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쉽게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탄성 부재(13)의 갯수가 11개 이상인 경우에는, 개더(5)의 강성이 커져, 촉감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시트형 부재(9)에 배설할 때의 장력은,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의 꼭대기부(5b)로부터 내측 측부(5a) 및 외측 측부(5c)를 향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대기부(5b)로부터 내측 측부(5a) 및 외측 측부(5c)를 향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보다 쉽게 쓰러지지 않는 개더(5)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설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장력 차는, 300 gf/25 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유채색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에 있어서의 유채색은,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視認)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유채색으로서의 청색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색으로서는, 백색 이외의 색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시인성과 함께 청결감을 발휘하는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13)의 유채색이,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시트형 부재(9)의 색은 투명, 반투명, 백색 등의 유채색을 투과시키기 쉬운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같은 자유 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더에서라도 사용전의 착용자에게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형인 삼차원 구조의 입체감이 전달되기 때문에, 생리대(1)의 측부에 대한 안심감(가로 누설에 대한 안심감)을 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착용자에 대하여, 생리대(1) 그 자체에 대한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9)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2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외층(9a)과 내층(9b)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 구조 부분은, 개더(5)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 전역, 꼭대기부(5b) 전역 및 외측 측부(5c)의 위쪽 측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6개의 탄성 부재(13)는 전부 2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외층(9a)과 내층(9b)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외층(9a)과 내층(9b)은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시트형 부재(9) 및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포함하는 개더(5)는, 그 중공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양호한 장착감을 얻는 관점에서, 적절한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성이 너무 높으면 착용시의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개더(5)의 신축 물성은, 개더(5)를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5~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이, 바람직하게는 50~500 gf/25 mm 폭,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300 gf/25 mm 폭이다. 응력이 50 gf/25 mm 폭 미만인 경우에는, 개더(5)의 신축력이 약하여, 개더(5)의 기립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응력이 500 gf/25 mm 폭을 넘는 경우에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이 강해져, 착용자의 신체와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의 각 구성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수치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시트형 부재(9)의 길이(L1)는, 개더(5)의 기립 높이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6~5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8 mm이다. 개더(5)의 기립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3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 mm이다. 개더(5)의 기립 높이(T)가 10 mm 미만인 경우에는,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음과 함께, 착용자에 대하여, 충분한 가로 누설 방지 기능을 갖는다고 하는 안심감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 개더(5)의 기립 높이(T)가 30 mm보다 높아지면, 개더(5)에 의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과도하게 강해져, 흡수체(4)와 착용자의 신체와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는, 기립성이 우수한 개더(5)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mm이다.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가 2 mm 미만인 경우에는,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더(5)가 쉽게 쓰러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개더(5)가 쓰러진 경우에는, 쓰러진 개더(5)에 의해 흡수체(4)의 흡수면을 덮을 우려가 있다.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가 20 mm를 넘으면 개더(5)에 중공부가 형성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개더(5)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쉽게 발생해, 누설 방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은,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더(5)가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 클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5~3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30 mm이다.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바람직하게는 25~35 mm이다.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가 35 mm를 넘는 경우에는, 개더(5)를 구성하는 시트형 부재(9)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의 제조 방법을, 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기초하고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a) 내지 공정(g)를 갖는 것이다.
(a) 반송 공정
(b) 탄성 부재 배치 공정
(c) 2겹 접음 공정
(d) 3겹 접음 공정
(e) 제1 접합부 형성 공정
(f) 제2 접합부 형성 공정
(g) 제3 접합부 형성 공정
(a) 반송 공정
반송 공정에서는,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가, 그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b) 탄성 부재 배치 공정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서는, 반송된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 근방에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접착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폭을 둔 위치에 있어서의 하면에, 후술하는 제1 접합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제1 접합부(11a)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 핫멜트 접착제(903)가 도포된다. 계속해서, 보조 핫멜트 접착제(903)가 도포된 영역의 폭 방향 외측에,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신장 상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에는,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에 배치되기 전에, 접착제 도포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에 신장 상태로 배설된다.
(c) 2겹 접음 공정
2겹 접음 공정에서는,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협지하도록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가, 각각 한쪽의 면 측으로 또한 그 내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절첩되어 2층 구조 부분(904) 및 해당 2층 구조 부분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1층 부분(9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에 보조 핫멜트 접착제(903)가 도포된 영역의 내측 단부보다 내측의 부분이, 복수의 탄성 부재를 협지하도록 2겹 접음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면 측으로 절첩되어 2층 구조 부분(904)을 형성한다. 또한 2층 구조 부분(904)의 폭 방향 바깥쪽에는 1층 부분(905)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탄성 부재(13)에는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2층 구조 부분(904)을 구성하는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는,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개재시켜 서로 접합된다.
(d) 3겹 접음 공정
3겹 접음 공정에서는, 2층 구조 부분(904)이 한쪽의 면 측으로 폭 방향 외측으로 더 절첩되어 3층 구조 부분(906)이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층 구조 부분(904)이 3겹 접음 수단(105)에 의해 하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더 절첩되어 3층 구조 부분(906)이 형성된다. 또한, 3층 구조 부분(906)의 폭 방향 외측에는, 1층 부분(905)을 갖고 있다.
(e) 제1 접합부 형성 공정
제1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는, 3층 구조 부분(90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외측부 근방에서, 3층 구조 부분(906)과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가 접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합부(11a)가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의 상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3층 구조 부분(906) 및 1층 부분(905)을 갖는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가, 그 3층 구조 부분(906)이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와 겹쳐지고, 1층 부분(905)이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적층된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와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 902)는, 접합 시일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제1 접합부(11a)가 형성된다.
제1 접합부(11a)는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합부(11a)가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에는, 전술한 제1 접합부(11a)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 핫멜트 접착제(903)가 도포되고, 이 보조 핫멜트 접착제(903)의 접착력에 의해서도 제1 접합부(11a)는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1 접합부(11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 위치하는 영역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된다.
(f) 제2 접합부 형성 공정
제2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는, 3층 구조 부분(906)이, 제1 접합부(11a)를 기점으로 하여 다른 쪽 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절첩되고, 절첩된 상기 3층 구조 부분(906)에서의 적어도 최하층이 1층 부분(905)과 접합되어 제2 접합부(11b)가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902)에 있어서의 1층 부분 상면의 소정 위치에,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 도포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7)가 도포된다. 계속해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층 구조 부분(906)이, 제1 접합부(11a)에서의 내측 단부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상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절첩되고, 절첩된 상기 3층 구조 부분(906)에 있어서의 최하층이 1층 부분(905)과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7)를 개재시켜 접합되어, 제2 접합부(11b)가 형성된다.
또한,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7)가 도포된 영역에 있어서, 히트 시일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3층 구조 부분(906)의 3층 전부와,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가 더 접합된다. 즉,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3층 구조 부분(906)의 최하층만이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와 접합되어 있고, 3층 구조 부분(906)의 상층 2층은,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개재시켜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3층 구조 부분(906)에 있어서의 최하층과 다른 2층 사이는 이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이격할 수 있는 3층 구조 부분(906)에 있어서의 최하층과 다른 2층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한편,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3층 구조 부분(906)의 최하층이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와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7)로 접합됨과 함께, 3층 구조 부분(906)의 3층 전부 및 띠 형상의 표면 시트(200)가 히트 시일로 접합되어 있다.
(g) 제3 접합부 형성 공정
제3 접합부 형성 공정에서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제2 접합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서 3층 구조 부분과 1층 부분이 접합되어 제3 접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8)가 도포된 후에, 제3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8)가 도포된 영역의 폭 방향 안쪽에 제2 접합부 형성용 핫멜트 접착제(907)가 도포된다. 그리고,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제2 접합부의 형성과 함께, 그 폭 방향 바깥쪽에 제3 접합부가 형성된다(도 10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표면 시트(2) 및 한 쌍의 시트형 부재(9, 9)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있어서의 표면층이 형성된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계속해서, 이 표면층의 하면에 흡수층 및 이면층을 적층하여 생리대 연속체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도시하지 않음), 및 생리대 연속체를 개개의 생리대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가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하면, 시트형 부재(9)에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또한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의 개더(5)를 구비한 생리대(1)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 형성 공정(e)에서, 제1 접합부(11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 위치하는 영역보다도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됨으로써, 제조되는 생리대(1)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흡수층에 의한 흡수 가능한 영역의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 형성 공정(e) 및 제2 접합부 형성 공정(f)에서, 시트형 부재(9)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L2)의 비(L1/L2)가 2 이상이 되도록 제1 접합부(11a) 및 제2 접합부(11b)를 형성함으로써, 입체 형상부(10)를 갖는 개더(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표면 시트(2)로서는, 예컨대 구멍이 있는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로서는, 예컨대, 소수성 부직포,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3)로서, 내수성이 높은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 강도가 강한 스펀 본드 부직포로 협지된 SMS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4)로서는, 예컨대, 플러프형 펄프나 에어 레이드 부직포와, 고흡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에 이용되는 플러프형 펄프로서는, 예컨대, 화학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에어 레이드 부직포로서는,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고흡수 폴리머로서는, 전분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형 또는 섬유형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시트형 부재(9)로서는, 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3)로서는, 가늘고 길며, 신축하는 재료이면 되고,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 고무, 평고무 등이나, 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PE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실형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필름으로 성형하여 좁은 폭으로 절단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그 세로 길이 형상의 본체 부분을 쇼츠 등의 속옷에 있어서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배치하고, 한 쌍의 윙(6, 6)이 크로치부의 외면 측으로 절첩하여 속옷에 고정된다. 생리대(1)와 속옷은, 본체 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본체 점착부(15)가 크로치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한 쌍의 윙(6, 6)의 하면에 마련된 윙 점착부(14, 14)가 크로치부의 외면에 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서는, 개더(5)를 형성하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가 2 이상임에 따라, 한 쌍의 개더(5, 5)의 입체 형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생리대(1)에 폭 방향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개더(5)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개더(5)의 입체 형상의 내부는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더(5)가 착용자의 신체에 면 형상으로 피트됨과 함께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해서도 개더(5)의 입체 형상이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으므로, 생리대(1)의 폭 방향으로부터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생리대(1)에 폭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의 개더(5)가, 가해지는 힘을 흡수, 완충하여, 흡수체(4)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체(4)는 쉽게 변형되지 않아, 생리대(1)의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더(5)는,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 쪽이 큰 대략 Ω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개더(5)의 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합부(11)는, 생리대(1)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11a)와, 해당 제1 접합부(11a)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11b)로 이루어지고, 제1 접합 단부(10a)가 제1 접합부(11a)에 형성되며, 제2 접합 단부(10b)가 제2 접합부(11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가, 서로 다른(이격된) 접합부에 형성됨으로써, 개더(5)의 내측 측부(5a)는,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려워져, 개더(5)는 더 쉽게 쓰러지지 않고, 또한, 가로 누설의 방지 효과도 향상된다.
또한,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개더(5)에는,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인장되는 힘이 강하게 가해진다. 그 때문에, 입체 형상의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향상되어, 개더(5)는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를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고, 제3 접합부(12)에서의 외측 단부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개더(5)는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인장되는 힘이 더욱 강하게 가해진다. 그 때문에, 입체 형상의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어, 개더(5)는 보다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접합부(11)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이, 제3 접합부(12)에서의 외측 단부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보다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개더(5)의 입체 형상은,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폭 방향 바깥쪽으로 경사된 대략 Ω 형상을 갖는다. 즉, 한 쌍의 개더(5, 5)는, 역ハ의 글자형이 된다. 한 쌍의 개더(5, 5)가 역ハ의 글자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생리대(1)의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제1 접합 단부(10a)는, 표면층에서의 흡수층 상에 배치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접합 단부(10b)는,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층 상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접합 단부(10a)가 위치하는 표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층 상에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두께가 있는 흡수체(4)의 존재에 의해, 제2 접합 단부(10b)가 위치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개더(5)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 측에 위치하는 내측 측부(5a) 영역은, 제2 접합 단부(10b) 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부(5c) 영역보다 생리대(1)에 대하여 가해지는 폭 방향의 힘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생리대(1)에 대하여 폭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개더(5)에 있어서의 외측 측부(5c)가 용이하게 형상을 변화시키는 등으로 가해진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개더(5)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의 형상은 안정적이 되어,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윙을 절첩하여 쇼츠 등의 크로치부의 외면에 부착할 때는, 윙은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종래의 개더에서는, 이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인장되는 힘에 의해, 개더가 쓰러진 상태로 장착되어, 가로 누설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의하면, 이와 같이 생리대(1)에 폭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개더(5)에 있어서의 외측 측부(5c)가 용이하게 형상을 변화시켜 가해진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개더(5)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의 형상은 안정적이 되어,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가지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시트형 부재(9)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됨으로써, 개더(5)의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있어서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의 측부에 배치됨으로써 개더(5)의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시트형 부재(9)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2층 구조 부분의 층간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배치된 개더(5)가 적절한 강성을 갖기 때문에,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누설 방지 홈(8)이, 중앙부(A)에 있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음으로써,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힘을 받았을 때에, 배설부 대향 영역인 중앙부(A)에 있어서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어,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나아가서는, 폭 방향에서 받은 힘에 의해 흡수체(4)가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쉽게 융기하여, 흡수체(4)와 착용자의 배설부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한 쌍의 개더(5, 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형 부재(9)에 복수의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있었지만,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형 부재(9)로서, 신축성을 갖는 시트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시트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더(5) 및 윙(6)은, 1장의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윙(6)은, 개더(5)를 구성하는 시트형 부재(9)와는 다른 시트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외에,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이라도 좋다.

Claims (10)

  1. 일부 또는 전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gather)를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해당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를 가지고, 해당 입체 형상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와, 해당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상기 제1 접합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접합 단부까지의 길이(L1)와, 상기 제1 접합 단부와 상기 제2 접합 단부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L1/L2)는 2 이상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해당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큰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와, 해당 제1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제1 접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상기 제2 접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접합부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를 상기 표면층 또는 상기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가 형성되고, 해당 제3 접합부에서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1 접합 단부 사이의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표면층이 상기 흡수층 상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상기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고,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더에 있어서의 측부 중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측부에는,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중 2 이상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2 이상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접합 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와, 해당 제1 탄성 부재에 인접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각각은, 유채색을 가짐과 함께,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 각각에 있어서의 유채색은, 상기 시트형 부재를 투과하여 시인(視認) 가능한 흡수성 물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2층 구조 부분의 층간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10. 일부 또는 전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를 구비하고, 해당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며,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에 신장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를 그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상기 한 쌍의 띠 형상의 시트형 부재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에 각각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하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과,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를 협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시트형 부재를, 각각 한쪽의 면 측으로 또한 그 내측 가장자리가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절첩하여 2층 구조 부분 및 해당 2층 구조 부분의 폭 방향 바깥쪽에 1층 부분을 형성하는 2겹 접음 공정과,
    상기 2층 구조 부분을 상기 한쪽의 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더 절첩하여 3층 구조 부분을 형성하는 3겹 접음 공정과,
    상기 3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외측부 근방에 있어서 해당 3층 구조 부분과 상기 띠 형상의 표면 시트를 접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부 형성 공정과,
    상기 3층 구조 부분을, 상기 제1 접합부를 기점으로 하여 다른 쪽 면 측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절첩하고, 절첩한 상기 3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적어도 최하층을 상기 1층 부분과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부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07001667A 2007-06-29 2008-06-23 흡수성 물품 KR101343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2430 2007-06-29
JP2007172430A JP5129521B2 (ja) 2007-06-29 2007-06-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33A true KR20100040733A (ko) 2010-04-20
KR101343763B1 KR101343763B1 (ko) 2013-12-19

Family

ID=4022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667A KR101343763B1 (ko) 2007-06-29 2008-06-2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58317B2 (ko)
EP (1) EP2163229B1 (ko)
JP (1) JP5129521B2 (ko)
KR (1) KR101343763B1 (ko)
CN (1) CN101686880B (ko)
BR (1) BRPI0811805B8 (ko)
MY (1) MY150521A (ko)
TW (1) TW200920327A (ko)
WO (1) WO2009004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583B2 (ja) * 2007-06-29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61200B2 (ja) * 2009-01-07 2013-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172646A (ja) * 2009-02-02 2010-08-12 Kao Corp 吸収性物品
JP5475323B2 (ja) * 2009-05-18 2014-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32753B2 (ja) * 2010-02-03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20157949A1 (en) * 2010-12-15 2012-06-21 Sandra Kay Knight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s
DE102011010269A1 (de) * 2011-01-25 2012-07-26 Paul Hartmann Ag Damen- oder Inkontinezbinde
CN102133147A (zh) * 2011-03-15 2011-07-27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体护围防漏婴儿尿裤
CN102133146A (zh) * 2011-03-15 2011-07-27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体护围防漏成人尿裤
CN102138843A (zh) * 2011-03-15 2011-08-03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体护围防漏卫生巾
US8715262B2 (en) * 2011-06-17 2014-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rrier flap for an absorbent article
JP6037660B2 (ja) * 2012-05-28 2016-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946500B2 (en) 2012-08-30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passive barrier
US9011397B2 (en) * 2012-08-30 2015-04-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JP6232198B2 (ja) * 2013-03-27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310830A (zh) * 2014-06-16 2016-02-1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JP6351792B2 (ja) * 2017-05-23 2018-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86598B2 (ja) * 2017-05-23 2018-02-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031980A (zh) * 2017-08-22 2020-04-17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一次性卫生物品
US20200170849A1 (en) * 2017-08-22 2020-06-0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MX2020002007A (es) 2017-08-22 2020-07-20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culo higienico desechable con barreras laterales para liquidos.
CN109833144A (zh) * 2017-11-24 2019-06-04 智邦(天津)卫生用品科技有限公司 卫生巾3d弹力贴身护围的制作工艺
CN108013973A (zh) * 2018-02-01 2018-05-11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弹性护围结构及采用该弹性护围结构的卫生巾
JP7311132B2 (ja) * 2018-05-16 2023-07-19 第一衛材株式会社 衛生吸収具
CN108578071A (zh) * 2018-05-23 2018-09-28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护围结构及采用该新型护围结构的卫生巾
CN115281939B (zh) * 2022-09-06 2023-05-12 智邦(天津)卫生用品科技有限公司 卫生巾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103B2 (ja) 1991-04-24 2002-02-04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H31459A (en) * 1992-11-30 1998-11-0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side flaps and wings.
JP3621253B2 (ja) 1997-05-06 2005-02-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6941B2 (ja) * 1998-04-15 2006-12-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08338B2 (ja) 1999-04-07 2009-01-14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47023B2 (ja) * 1999-05-24 2006-11-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補助パッド
JP3850618B2 (ja) * 2000-03-06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22897B2 (ja) 2001-07-12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890630B2 (en) * 2001-12-20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s for garments
JP3919638B2 (ja) 2001-12-20 2007-05-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94377B2 (ja) * 2002-01-21 2007-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43377B2 (ja) 2004-10-20 2010-03-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6311939A (ja) 2005-05-09 2006-11-16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2911B2 (ja) * 2005-07-01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70073259A1 (en) 2005-09-29 2007-03-29 Erdman Edward P Absorbent article with dual gather leg cuff assemblies
JP5123583B2 (ja) * 2007-06-29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10172630A1 (en) * 2008-02-29 2011-07-14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1209A1 (en) 2010-07-29
BRPI0811805A2 (pt) 2014-11-11
US8758317B2 (en) 2014-06-24
EP2163229B1 (en) 2016-05-18
MY150521A (en) 2014-01-30
CN101686880B (zh) 2013-01-30
WO2009004940A1 (ja) 2009-01-08
JP5129521B2 (ja) 2013-01-30
TW200920327A (en) 2009-05-16
BRPI0811805B1 (pt) 2018-10-30
EP2163229A1 (en) 2010-03-17
KR101343763B1 (ko) 2013-12-19
CN101686880A (zh) 2010-03-31
JP2009006065A (ja) 2009-01-15
EP2163229A4 (en) 2013-08-28
BRPI0811805B8 (pt)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63B1 (ko) 흡수성 물품
KR101343687B1 (ko) 흡수성 물품
WO2009096108A1 (ja) 吸収性物品
JP5030548B2 (ja) 生理用ナプキ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3547980B1 (en) A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KR20050012128A (ko) 흡수성 물품
JP600838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9117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3081600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6158799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392937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502868B2 (ja) 吸収性物品
JP556683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2029807A (ja) 吸収性物品
JP2018108338A (ja) 吸収性物品
JP654715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111052B2 (ja) 吸収性物品
JP6335558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4980480B2 (ja) 吸収性物品
JP525037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JP4388404B2 (ja) 吸収性物品
WO2017159294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08646B2 (ja) 吸収性物品
EP4021364B1 (en) Absorbent article with backshee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