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863A - 청소구 및 봉형상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및 봉형상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863A
KR20100039863A KR1020107001904A KR20107001904A KR20100039863A KR 20100039863 A KR20100039863 A KR 20100039863A KR 1020107001904 A KR1020107001904 A KR 1020107001904A KR 20107001904 A KR20107001904 A KR 20107001904A KR 20100039863 A KR20100039863 A KR 2010003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g
locking piece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924B1 (ko
Inventor
히로토시 타와라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청소구(1)로서, 자루(10)와 본체(20) 중 다른쪽에 마련되는 잠금 피스(50)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할 수 있고,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부재(41)를 오목면(36)과의 걸어맞춤 위치에 유지시키고,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41)의 탄발적인 진퇴를 자유롭게 하는 청소구.

Description

청소구 및 봉형상구{CLEANING TOOL, AND ROD-SHAPED TOOL}
본 발명은 청소구(cleaning tool), 및 청소구용 자루(handle) 등에 이용하기 적합한 봉형상구에 관한 것이다.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여러 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 청소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루와 본체를 회전 지지부(pivot portion)에 있어서 회전 지지하고, 본체의 상기 회전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복수 위치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자루에 내장한 잠금 부재를 상기 오목부를 향해 힘을 가하여, 잠금 부재를 어느 하나의 오목부에 끼워맞춰 자루와 본체의 각도를 잠그는 것이 있다.
또한, 자루의 측면에 돌출하는 버튼을 압입함으로써, 버튼이 걸어맞춰지는 잠금 부재를 오목부와의 끼워맞춤 위치에서 떼어내, 자루에 대한 본체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여,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새로운 각도로 설정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청소구용 자루 등에 이용되는 봉형상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측 축의 중공부(中空部)에 내측 축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한 것이 있다. 이 봉형상구는 외측 축의 외면에 판 스프링을 첨설(添設)하도록 그 기단부(基端部)를 고정하는 동시에, 내측 축의 외면의 축방향으로 긴 걸림 레일을 고정하고, 걸림 레일의 길이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 구멍을 마련한다. 그리고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판 스프링을 외측 축의 외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작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판 스프링의 중간부에 걸림편을 잘라내 굽힘 성형하고, 이 걸림편을 판 스프링의 탄발 습성에 의해 외측 축에 뚫린 창문부로부터 내측 축의 외면의 상기 걸림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걸림 구멍에 걸어넣어, 외측 축과 내측 축을 임의의 신축길이로 고정 가능하게 한다. 판 스프링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판 스프링을 외측 축의 외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판 스프링의 걸림편이 내측 축의 외면의 걸림 레일의 걸림 구멍으로부터 인출되고, 외측 축과 내측 축을 신축 조작할 수 있게 되어 그 신축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일본국공개특허2004-49619 USP3244437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청소구에서는,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잠금 부재를 종전의 끼워맞춤 오목부와의 끼워맞춤 위치에서 떼어내 새로운 오목부에 끼워맞출 때까지, 버튼을 계속해서 압입할 필요가 있다. 자루를 복수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각도 위치에 순서대로 임시 고정하여, 자루와 본체의 적당한 각도를 간편하게 선택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버튼이 압입 조작을 위해 자루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어, 청소구의 외관(두께나 폭)의 컴팩트함을 해친다.
자루와 본체의 적당한 각도를 선택할 때,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면서, 잠금 부재가 끼워맞춰져야 할 새로운 오목부를 찾기 위해, 잠금 부재를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의 하나하나에 끼워맞추도록 자루와 본체를 일정 각도씩 정확하게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자루가 신축 가능하며 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자루와 본체를 일정 각도씩 정확하게 회전시키는 데 곤란함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소구에 있어서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청소구의 외관의 컴팩트함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청소구의 자루가 길 때에도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하는 것에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봉형상구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1)봉형상구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측 축의 외면에 판 스프링이 고정되기 때문에, 봉형상구의 외관 디자인성을 해치고, 사용자가 그 판 스프링에 걸리는 등의 지장도 생기기 쉽다.
(2)외측 축과 내측 축은, 판 스프링의 걸림편이 걸림 레일 중 어느 하나의 걸림 구멍에 걸어넣어지는 위치에서만 신축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신축길이의 조정을 무단계로 할 수는 없다.
(3)판 스프링의 탄발력은, 그 걸림편을 외측 축에 뚫린 창문부로부터 내측 축의 외면의 걸림 레일의 걸림 구멍에 걸어넣는 탄발 습성을 부여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판 스프링은 외측 축과 내측 축의 직경방향의 덜컹거림(backlash) 고정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4)외측 축의 외면에 판 스프링이 고정되어 외부에서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 외측 축의 판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다른 큰 직경의 외측 축의 중공부에 수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3개 이상의 통재(筒材)를 겹쳐서 삽입한 봉형상구를 구성하고자 할 때, 그 최수축길이는 각 외측 축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분 길어져 컴팩트하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외관성이 뛰어나고, 무단계로 신축 조정할 수 있으며, 덜컹거림이 없고, 외경이 작으며 최수축길이가 짧은 컴팩트한 봉형상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자루와 본체를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회전 지지하고, 자루와 본체 중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복수 위치에 오목면을 마련하고,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마련되는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오목면을 향해 힘을 가하고, 걸어맞춤 부재는 자루와 본체의 회전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오목면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반복 탈착할 수 있으며,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마련되는 잠금 피스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할 수 있고,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는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오목면과의 걸어맞춤 위치에 유지하고,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는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離隔)하여 걸어맞춤 부재의 탄발적인 진퇴를 자유롭게 하는 청소구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잠금 피스가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의 외측에 면하는 조작부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하거나 떨어지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과 잠금 피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이 잠금 피스를 잠금 위치로 힘을 가하여,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의 잠금부를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고, 조작부에 가하는 조작에 의해 잠금 피스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의 잠금부를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오목면에 탈착하는 볼록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방향에 있어서 볼록면의 반대측에 잘록부(constricted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방향에 있어서 잘록부의 중간부에 상기 스톱퍼면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피스가 테두리형상을 이루고, 잠금 피스의 테두리 내에 걸어맞춤 부재의 잘록부를 배치하여, 잠금 피스가 잠금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잠금 피스의 테두리의 일부에 마련한 잠금부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고, 잠금 피스가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 피스의 상기 잠금부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의 잘록부를 잠금 피스의 테두리 내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잠금 피스의 조작부를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의 외면 오목부에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자루가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외측 축의 중공부에 내측 축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한 봉형상구로서, 외측 축의 내면과 내측 축의 외면 사이에 스프링재를 끼워넣고, 스프링재를 외측 축에 고정하는 동시에, 내측 축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외측 축에 대한 내측 축의 신장 한계단(fully extended end)에서, 외측 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가 내측 축의 축방향에서 내측 축에 마련한 스톱퍼부에 맞붙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7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프링재가, 긴 본체부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접힘(folding) R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한쪽 면에 접힘 성형된 짧은 접힘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에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본체부의 한쪽 면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로 이루어지는 지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부의 접힘 R부와 지점부의 굽힘 R부 사이의 중간부에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본체부의 다른쪽 면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로 이루어지는 작용점부를 마련하고, 스프링재의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외측 축과 내측 축의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접힘부를 외측 축에 고정하고, 지점부를 외측 축의 내면에 밀착하며, 작용점부를 내측 축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외측 축에 대한 내측 축의 신장 한계단에서, 외측 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의 작용점부의 굽힘 R부가 내측 축의 외면의 신장 한계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8 또는 9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프링재의 접힘부에 마련한 갈고리부가 외측 축에 마련한 고정 걸림부에 고정적으로 걸리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6∼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외측 축과 내측 축의 횡단면의 중심을 끼우는 한쪽에 스프링재를 마련하고, 다른쪽에, 외측 축의 내면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리브와, 내측 축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구에 있어서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구의 외관의 컴팩트함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구의 자루가 길 때에도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외관성이 뛰어나고, 무단계로 신축 조정할 수 있으며, 덜컹거림이 없고, 외경이 작으며 최수축길이가 짧은 컴팩트한 봉형상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청소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구의 자루의 최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구에 청소 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루와 본체의 각도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 피스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잠금 피스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자루와 본체의 각도 조절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자루의 최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자루의 최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XI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XIV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XV-X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XV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XVII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자루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스프링재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청소구(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10)에 본체(20)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자루(10)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축(11∼14)을 신축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축(11)의 중공부에 축(12)을, 축(12)의 중공부에 축(13)을, 축(13)의 중공부에 축(14)을 순서대로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체(20)의 청소 헤드(24)를 사용자의 근처∼원격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최신장 상태, 도 2는 최수축 상태를 나타낸다.
본체(20)는 자루(10)의 최선단부(축(14))에 회전 지지부(21)를 통해 암(arm)(22)을 회전 지지하고, 암(22)의 선단부에 청소 헤드(24)를 연결하여, 청소 헤드(24)의 부착 플레이트(25)에 청소 시트(26)(도 3)를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 장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자루(10)와 본체(20)(본 실시예에서는 암(22))의 각도 조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도 9).
자루(10)와 암(22)을 회전 지지부(21)에 있어서 회전 지지한다. 자루(10)의 축(14)의 선단부에 마련한 부착부(31)에 암(22)의 두갈래형상의 부착부(32)를 끼워맞춘다. 부착부(32)의 한쪽의 부착 구멍에 삽입 장착되는 회전 고정 슬리브(33)를 부착부(31)의 부착 구멍(31A)에 한쪽으로부터 끼워넣어, 회전 고정 슬리브(33)의 이면폭형상의 걸어맞춤 평면(33A)을 부착 구멍(31A)의 걸어맞춤 평면(31B)에 걸어맞춰 회전 고정한다. 부착부(32)의 다른쪽의 부착 구멍에 삽입 장착되는 회전 고정 슬리브(34)를 부착부(31)의 부착 구멍(31A)에 다른쪽으로부터 끼워넣어, 회전 고정 슬리브(34)의 이면폭형상의 걸어맞춤 평면(34A)을 부착 구멍(31A)의 걸어맞춤 평면(31B)에 걸어맞춰 회전 고정한다. 고정 나사(35)를 회전 고정 슬리브(33)의 중공부로부터 끼워넣고, 고정 나사(35)의 선단 나사부를 회전 고정 슬리브(34)의 암나사부에 나사식 장착함으로써, 암(22)을 축(14)의 부착부(31)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자루(10)의 부착부(31)의 외주면에서, 회전 지지부(21)(고정 나사(35))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복수 위치에 원호형상의 오목면(36)을 마련한다. 부착부(31)의 외주면의 폭방향(부착 구멍(31A)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부에 원반의 바깥가장자리형상을 이루는 칸막이부(37)를 마련하고, 칸막이부(37)의 양측의 외주면에 좌우 오목면(36, 36)을 마련한다.
암(22)에 마련되는 걸어맞춤 부재(41)를 자루(10)의 부착부(31)의 상기 오목면(36)을 향해 힘을 가한다. 자루(10)와 암(22)을 회전 지지부(21)에 있어서 회전 지지했을 때, 암(22)의 중심축상의 축방향으로 각각 뚫려 있는 스프링 수용 구멍(38), 가이드 구멍(39)에, 압축 코일 스프링(42), 걸어맞춤 부재(41)를 순서대로 장전한다. 걸어맞춤 부재(41)는 스프링(42)이 가하는 힘을 받아, 가이드 구멍(39)에 가이드되고, 부착부(31)의 오목면(36)을 향해 탄발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힘이 가해진다.
걸어맞춤 부재(41)는 부착부(31)의 오목면(36)에 탈착하는 선단 볼록면(41A)을 오목면(36)에 대한 진퇴방향의 선단부에 구비한다. 걸어맞춤 부재(41)는 부착부(31)의 칸막이부(37)를 수용하는 선단 함몰부(41B)를 구비하고, 함몰부(41B)의 양측에 좌우 볼록면(41A)을 구비하고, 좌우 볼록면(41A, 41A)을 부착부(31)의 좌우 오목면(36, 36)에 탈착한다. 걸어맞춤 부재(41)는 오목면(36)에 대한 진퇴방향에 있어서 볼록면(41A)의 반대측에 잘록부(41C)를 구비하고, 상기 진퇴방향에 있어서 잘록부(41C)의 중간 하부에 스톱퍼면(41D)을 구비하고, 상기 진퇴방향의 기단부에 기단 스프링받이면(41E)을 구비한다. 걸어맞춤 부재(41)는 스프링받이면(41E)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41F)를 스프링(42)의 내경부(內徑部)에 삽입하는 상태에서, 스프링(42)의 힘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동시에, 가이드 구멍(39)에 가이드되어 볼록면(41A)을 부착부(31) 중 어느 하나의 오목면(36)에 밀착시킨다. 걸어맞춤 부재(41)의 볼록면(41A)은 사용자가 자루(10)와 암(22)을 접어 구부리듯이 회전시킬 때, 스프링(42)이 가하는 힘을 받는 상태하에서 서로 이웃하는 오목면(36)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순서대로, 반복 탈착할 수 있다.
즉, 본체(20)를 자루(1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본체(20)의 걸어맞춤 부재(41)가 부착부(31)에 대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걸어맞춤 부재(41)가 회전하면, 걸어맞춤 부재(41)의 볼록면(41A)이 스프링(42)이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부착부(31)의 오목면(36)의 원호형상의 면에 되밀려, 오목면(36)과 이웃하는 오목면(36)의 사이로 타올라가고, 걸어맞춤 부재(41)는 가이드 구멍(39)의 축방향을 따르는 가로방향을 따라 탄발적으로 후퇴한다(스프링(42)측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또한 걸어맞춤 부재(41)가 부착부(31)에 대하여 회전하면, 걸어맞춤 부재(41)의 볼록면(41A)은 상기의 회전방향의 이웃이 되는 오목면(36)에 탄발적으로 들어가고, 걸어맞춤 부재(41)는 가이드 구멍(39)의 축방향을 따르는 가로방향으로 탄발적으로 전진한다. 이상과 같이, 걸어맞춤 부재(41)의 볼록면(41A)은 본체(20)를 자루(1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구멍(39)의 축방향을 따르는 가로방향으로 탄발적으로 진퇴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오목면(36)에 들어가, 걸어맞춤 볼록면(41A)과 오목면(36)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자루(10)와 본체(20)는, 축(14)과 암(22) 사이의 회전 지지부(21) 주변에 잠금 피스(각도 조절부)(50)를 마련하여, 잠금 피스(각도 조절부)(50)의 조작부(51)에 가하는 조작에 의해, 자루(10)와 본체(20)의 적당한 각도를 간편하게 설정 변경할 수 있다. 본체(20)의 암(22)에 잠금 피스(50)가 마련된다. 잠금 피스(50)는 잠금 위치(도 7)와 잠금 해제 위치(도 8)로 전환 설정할 수 있다.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부재(41)의 볼록면(41A)을 자루(10)의 부착부(31)의 오목면(36)과의 걸어맞춤 위치에 유지시킨다.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41)의 상술한 바와 같은 탄발적인 진퇴를 자유롭게 한다.
잠금 피스(50)는 암(22)에 있어서, 스프링 수용 구멍(38)과 가이드 구멍(39) 사이에서, 걸어맞춤 부재(41)의 상술한 진퇴 경로에 교차, 본 실시예에서는 암(22)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뚫린 가이드 구멍(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다. 잠금 피스(50)는 암(22)의 외측에 면하는 조작부(51)와,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하거나 떨어지는 잠금부(5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51)는 암(22)의 만곡면상의 외면 오목부(22A)에 배치된다.
암(22)의 가이드 구멍(60)의 바닥면과 잠금 피스(50) 사이에는 좌우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61, 61)이 마련된다. 스프링(61)은 잠금 피스(50)를 잠금 위치(도 7)로 힘을 가하고,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를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한다. 조작부(51)에 가하는 압입 조작에 의해, 잠금 핀(50)을 스프링(61)이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잠금 해제 위치(도 8)로 전환 설정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를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한다.
구체적으로는, 잠금 피스(50)는 사각테두리형상(도 9)을 이루며, 암(22)의 가이드 구멍(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었을 때, 암(22)의 스프링 수용 구멍(38)과 가이드 구멍(39) 사이에 연장하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잘록부(41C)를 잠금 피스(50)의 테두리 내에 배치한다. 잠금 피스(50)는 사각테두리의 윗테두리를 조작부(51)로 하고, 아래테두리를 잠금부(52)로 한다. 잠금 피스(50)의 좌우의 세로테두리에 아래쪽에서 뚫은 구멍에 스프링(61)의 상단측이 삽입된다. 잠금 피스(50)가 스프링(61)에 의해 잠금 위치(도 7)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 피스(50)의 아래테두리의 잠금부(52)가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한다. 잠금 피스(50)가 윗테두리의 조작부(51)에 가하는 압입 조작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도 8)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 피스(50)의 아래테두리의 잠금부(52)가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41)의 잘록부(41C)를 잠금 피스(50)의 테두리 내에서 진퇴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청소구(1)에 있어서는, 잠금 피스(50)가 스프링(61)이 가하는 힘에 의해 잠금 위치(도 7)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가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하고, 자루(10)의 부착부(31) 중 어느 하나의 오목면(36)과 걸어맞춰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41)의 진퇴이동을 제지하여, 걸어맞춤 부재(41)가 마련되어 있는 암(22)과 자루(10)의 각도를 잠근다. 한편, 잠금 피스(50)가 조작부(51)에 가하는 압입 조작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도 8)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가 걸어맞춤 부재(41)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41)의 진퇴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자루(10)와 암(22)의 회전과 함께, 걸어맞춤 부재(41)는 자루(10)의 부착부(31)의 서로 이웃하는 오목면(36)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반복 탈착할 수 있으며, 자루(10)를 임의의 각도 위치에 순서대로 임시 고정하여, 적당한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청소구(1)에 있어서는, 자루(10)와 본체(20)(암(22)) 중 한쪽에 오목면(36)을 마련하고, 다른쪽에 걸어맞춤 부재(41), 잠금 피스(50) 등을 마련하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a)자루(10)에 대한 본체(20)의 각도를 변경할 때에는, 잠금 피스(50)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함으로써, 잠금 피스(50)를 걸어맞춤 부재(40)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40)의 탄발적인 진퇴를 자유롭게 한다. 이로 인해, 자루(10)에 대하여 본체(20)를 회전하면, 걸어맞춤 부재(40)는 서로 이웃하는 오목면(36)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반복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루(10)를 복수의 오목면(36)에 대응하는 복수의 각도 위치에 순서대로 임시 고정하여, 자루(10)와 본체(20)의 적당한 각도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자루(10)와 본체(20)의 적당한 각도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잠금 피스(50)를 잠금 위치로 전환 설정함으로써, 잠금 피스(50)를 걸어맞춤 부재(40)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부재(40)를 오목면(36)과의 걸어맞춤 위치에 유지시켜, 자루(10)와 본체(20)의 각도를 잠글 수 있다.
(b)본체(20)와 잠금 피스(50)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61)이 잠금 피스(50)를 잠금 위치로 힘을 가하고,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를 걸어맞춤 부재(40)의 스톱퍼면(41D)에 접촉한다. 한편, 조작부(51)에 가하는 조작에 의해 잠금 피스(50)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50)의 잠금부(52)를 걸어맞춤 부재(40)의 스톱퍼면(41D)으로부터 이격한다. 따라서, 자루(10)에 대한 본체(20)의 각도를 변경할 때에는, 조작부(51)를 조작하여 잠금 피스(50)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자루(10)와 본체(20)의 적당한 각도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조작부(51)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61)이 잠금 피스(50)를 잠금 위치로 힘을 가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시킨다.
(c)잠금 피스(50)가 테두리형상을 이루고, 잠금 피스(50)의 테두리 내에 걸어맞춤 부재(40)의 잘록부(41C)를 배치함으로써, 본체(20)에 잠금 피스(50)와 걸어맞춤 부재(40)를 컴팩트하게 마무리하여 자루(10) 또는 본체(20)에 내장할 수 있다.
(d)잠금 피스(50)의 조작부(51)를 본체(20)의 외면 오목부(22A)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잠금 피스(50)가 압입 조작을 위해 자루(10)나 본체(20)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청소구(1)의 외관(두께나 폭)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청소구(1)를 보다 좁은 틈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e)상술(a)와 같이, 잠금 피스(50)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하여, 자루(10)에 대하여 본체(20)를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부재(40)는 서로 이웃하는 오목면(36)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반복 탈착할 수 있어, 자루(10)와 본체(20)의 적당한 각도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자루(10)가 신축 가능하며 긴 상태에 있을 때에도, 자루(10)와 본체(20)를 일정 각도씩 정확하게 회전시킬 것 없이, 걸어맞춤 부재(40)가 걸어맞춰져야 할 새로운 오목면(36)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다.
이하, 청소구(1)의 자루(10)인 봉형상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형상구(100)에 있어서, 제1축(11)과 제2축(12)은 서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구성하고, 제2축(12)과 제3축(13)은 서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구성하며, 제3축(13)과 제4축(14)은 서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서로 1조를 이루는 외측 축을 110, 내측 축을 120으로 하여 설명한다(도 10∼도 18).
봉형상구(100)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축(110)의 중공부(111)에 내측 축(120)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한 것이다. 봉형상구(100)는 외측 축(110)의 선단에 중공부(111)의 개구(111A)를 마련하고, 외측 축(110)의 기단에 중공부(111)의 바닥(111B)을 마련한다. 봉형상구(100)는 내측 축(120)을 외측 축(110)의 선단의 개구(111A)로부터 그 중공부(111)에 압입 삽입 가능하게 하고, 내측 축(120)의 선단의 외면 팽출형상 두께부(121)의 외면 팽출부(121A)를 외측 축(110)의 개구(111A)의 단면에 닿게 하여 압입단을 규제한다.
봉형상구(10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축(110)의 내면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리브(112)와, 내측 축(120)의 외면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홈(122)을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춘 슬라이드 가이드부(101)를 가진다.
봉형상구(1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구(1)의 청소 헤드(24)의 바닥면을 연직윗방향으로 배치한 도 10, 도 11의 상태에서,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횡단면의 중심을 끼우는 아래쪽에 상술한 슬라이드 가이드부(101)를 마련하고 있다. 봉형상구(100)는 슬라이드 가이드부(101)의 V자 리브(112)와 V자 홈(122)에 적당한 점도의 윤활제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형상구(100)는 도 12∼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축(110)의 내면과 내측 축(120)의 외면 사이에 스프링재(130)를 끼워넣고, 스프링재(130)를 외측 축(110)에 고정하는 동시에, 내측 축(120)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봉형상구(1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횡단면의 중심을 끼우고, 슬라이드 가이드부(101)의 다른쪽(도 10, 도 11의 위쪽)에 스프링재(130)를 마련하고 있다.
스프링재(13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본체부(131)의 기단에 접힘 R부(R1)를 통해 본체부(131)의 한쪽 면(도 19의 상면측)에 접힘 성형된 짧은 접힘부(132)를 마련한다. 또한, 스프링재(130)는 본체부(131)의 선단측(본체부(131)의 선단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기단 근처에 들어간 부분)에, 본체부(131)의 일부를 본체부(131)의 한쪽 면(도 19의 위쪽)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R2)로 이루어지는 지점부(133)를 마련한다. 또한 스프링재(130)는, 본체부(131)의 접힘 R부(R1)와 지점부(133)의 굽힘 R부(R2) 사이의 중간부에, 본체부(131)의 일부를 본체부(131)의 다른쪽 면(도 19의 하면측)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R3)로 이루어지는 작용점부(134)를 마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재(130)를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봉형상구(100)는 도 12∼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재(130)의 본체부(131)의 길이방향을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접힘부(132)를 외측 축(110)에 고정하고, 지점부(133)를 외측 축(110)의 내면에 밀착하여, 작용점부(134)를 내측 축(120)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봉형상구(100)에 있어서는, 스프링재(130)가 내측 축(120)에 접촉하는 작용점부(134)의 윤곽형상에 합치하도록, 내측 축(120)의 스프링재(130)에 접촉하는 쪽, 즉 V자 홈(122)과는 반대측을 평면 홈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재(130)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작용점부(134)는 내측 축(120)의 외면의 축방향의 선단측∼기단측에 마련한 평면 슬라이드부(123)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한다(도 15).
봉형상구(100)는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의 선단에 갈고리부(132A)가 마련되어 있으며(도 19), 이 갈고리부(132A)가 외측 축(110)의 중공부(111)에 뚫은 구멍형상(홈형상도 가능) 고정 걸림부(113)에 고정적으로 걸림으로써, 스프링재(130)를 외측 축(110)에 고정한다.
봉형상구(100)는 외측 축(110)에 대한 내측 축(120)의 신장 한계단에서,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축(1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130),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가 내측 축(120)의 축방향에서 내측 축(120)에 마련된 스톱퍼부(124)에 맞붙는다. 스톱퍼부(124)는 내측 축(120)의 평면 슬라이드부(123)의 기단측 엔드에 솟아오른 기립벽(rising wal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봉형상구(100)는 외측 축(110)에 대한 내측 축(120)의 신장 한계단에서, 외측 축(1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130)의 작용점부(134)의 굽힘 R부(R3)가, 내측 축(120)의 외면의 신장 한계 걸림부(125)에 걸린다. 신장 한계 걸림부(125)는 외측 축(1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가 내측 축(120)의 스톱퍼부(124)에 맞붙었을 때, 스프링재(130)의 작용점부(134)에 대응하는 내측 축(120)의 평면 슬라이드부(123) 내에 오목형상 성형된다. 스프링재(130)의 작용점부(134)는 내측 축(120)의 신장 한계 걸림부(125)에 탄발적으로 떨어져서 걸린다.
봉형상구(100)는 외측 축(110)에 대한 내측 축(120)의 압입단에서, 내측 축(120)의 선단의 외면 팽출형상 두께부(121)의 외면 팽출부(121A)가 외측 축(110)의 개구(111A)의 단면에 맞붙는다.
봉형상구(100)의 조립시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 작용점부(134)의 각각을 내측 축(120)의 스톱퍼부(124), 신장 한계 걸림부(125)의 각각에 첨설 유지하는 상태에서, 이 스프링재(130)와 내측 축(120)을 외측 축(110)의 개구(111A)에서 그 중공부(111)로 삽입해 간다.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의 갈고리부(132A)가 외측 축(110)의 고정 걸림부(113)의 구멍에 도달했을 때, 접힘부(132)의 탄발력에 의해 갈고리부(132A)가 중공부(111)의 내면에서 고정 걸림부(113)에 탄발적으로 떨어져서 고정적으로 걸리고, 조립이 완료된다.
봉형상구(100)는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서로 삽입하여 조립되는 것이며, 3개 이상의 축(11)∼축(14)을 조립할 때, 그들 축(11)∼축(14)을 어떠한 순서로도(최소직경축부터, 최대직경축부터, 도중에서부터)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축(110)의 선단의 개구(111A)로부터 내측 축(120)을 삽입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내측 축(120)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청소 헤드(124)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축(120)의 선단을 외면 팽출형상 두께부(121)로 할 수 있으며, 봉형상구(100)에 부여되는 굽힘력 등에 대한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굽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a)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 사이에 스프링재(130)가 수용되어, 외측 축(110)의 외면에 스프링재(130)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봉형상구(100)의 외관 디자인성이 뛰어나며, 사용자가 그 스프링재(130)에 걸리는 등의 지장도 생기지 않는다.
(b)스프링재(130)는 내측 축(120)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그 탄발력에 의해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임의의 신축길이로 고정할 수 있다. 신축길이를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c)스프링재(130)는 외측 축(110)의 내면에 고정되어 내측 축(120)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그 탄발력에 의해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축방향(신축방향)뿐만 아니라 직경방향으로도 고정하여,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을 축방향과 직경방향에서 덜컹거림을 고정한다.
(d)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 사이에 스프링재(130)가 수용되기 때문에, 이 외측 축(110)(예를 들면 제2축(12))의 스프링재(130)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을 다른 큰 직경의 외측 축(110)(예를 들면 제1축(11))의 중공부(111)에 겹쳐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3개 이상의 통재(11∼14)를 겹쳐서 삽입하는 봉형상구(100)를 구성하고자 할 때, 그 최수축길이는 각 외측 축(110)에 고정되는 스프링재(130)의 길이에 관계없이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e)외측 축(110)에 대한 내측 축(120)의 신장 한계단에서, 외측 축(1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130)가 내측 축(120)의 축방향에서 내측 축(120)에 마련한 스톱퍼부(124)에 맞붙는다. 외측 축(110)에 대하여 내측 축(120)을 인출하는 신장 조작시에, 내측 축(120)이 외측 축(110)으로부터 빠질 염려 없이 최신장길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외측 축(110)에 대하여 내측 축(120)을 압입하는 수축 조작시에는, 내측 축(120)의 선단의 외면 팽출형상 두께부(121)의 외면 팽출부(121A)가 외측 축(110)의 개구(111A)의 단면에 닿아 압입단이 규제된다.
(f)외측 축(110)에 고정된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와 지점부(133)가 이루는 긴 스프링 기능부의 중간부에, 내측 축(120)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작용점부(134)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내측 축(120)의 외면에 압접하는 작용점부(134)의 탄발적인 변위에 의한 스프링 기능부의 스프링 변형량이 작아, 스프링재(130)가 소성 변형하는 일이 없어, 스프링재(130)의 내구 신뢰성이 뛰어나다.
(g)외측 축(110)에 고정된 스프링재(130)의 양쪽 단부에, 접힘부(132)의 접힘 R부(R1)와, 지점부(133)의 굽힘 R부(R2)가 마련된다. 양쪽 R부(R1, R2)는 단단하여, 봉형상구(100)에 부여되는 굽힘력 등에 의해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 사이에 부여되는 직경방향력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이 상술한 양쪽 R부(R1, R2)에 의해, 양자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신축 신뢰성이 뛰어나다.
(h)외측 축(110)에 대한 내측 축(120)의 신장 한계단에서, 외측 축(1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130)의 작용점부(134)의 굽힘 R부(R3)가 내측 축(120)의 외면의 신장 한계 걸림부(125)에 탈착 가능하게 걸린다. 외측 축(110)에 대하여 내측 축(120)을 인출하는 신장 조작시에, 신장 한계단에서의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i)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에 마련한 갈고리부(132A)가 외측 축(110)에 마련한 고정 걸림부(113)에 고정적으로 걸린다. 스프링재(130)를 외측 축(110)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구(100)의 조립시에, 스프링재(130)를 내측 축(120)의 외면에 첨설하고, 이 스프링재(130)와 내측 축(120)을 함께 외측 축(110)의 개구(111A)에서 그 중공부(111)로 삽입해 가고, 스프링재(130)의 접힘부(132)의 갈고리가 외측 축(110)의 중공부(111)에서 고정 걸림부(113)에 도달하면, 상기 접힘부(132)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갈고리부(132A)가 중공부(111)에서 고정 걸림부(113)로 탄발적으로 떨어져 조립이 완료된다.
(j)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횡단면의 중심을 끼우는 한쪽에 스프링재(130)를 마련하고, 다른쪽에, 외측 축(110)의 내면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리브(112)와, 내측 축(120)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홈(1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드 가이드부(101)를 마련하였다.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은 슬라이드 가이드부(101)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신축한다. 슬라이드 가이드부(101)의 V자 리브(112)와 V자 홈(122)에 적당한 점도의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써, 슬라이드 가이드부(101)의 마모를 줄이고, 외측 축(110)과 내측 축(120)의 신축에 대한 적당한 저항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신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프링재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소구에 있어서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구의 외관의 컴팩트함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구의 자루가 길 때에도 자루에 대한 본체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외관성이 뛰어나고, 무단계로 신축 조정할 수 있으며, 덜컹거림이 없고, 외경이 작으며 최수축길이가 짧은 컴팩트한 봉형상구를 제공할 수 있다.
1 청소구
10 자루
20 본체
21 회전 지지부
22A 외면 오목부
36 오목면
41 걸어맞춤 부재
41A 볼록면
41C 잘록부
41D 스톱퍼면
50 잠금 피스
51 조작부
52 잠금부
60 가이드 구멍
61 스프링
100 봉형상구
101 슬라이드 가이드부
110 외측 축
111 중공부
112 V자 리브
113 고정 걸림부
120 내측 축
122 V자 홈
124 스톱퍼부
125 신장 한계 걸림부
130 스프링재
131 본체부
132 접힘부
132A 갈고리부
133 지점부
134 작용점부

Claims (11)

  1. 자루(handle)와 본체를 회전 지지부(pivot portion)에 있어서 회전 지지하고,
    자루와 본체 중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복수 위치에 오목면을 마련하고,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마련되는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오목면을 향해 힘을 가하고, 걸어맞춤 부재는 자루와 본체의 회전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오목면의 각각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진퇴하여 반복 탈착할 수 있으며,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마련되는 잠금 피스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할 수 있고,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는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부재를 상기 오목면과의 걸어맞춤 위치에 유지하고,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는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離隔)하여 걸어맞춤 부재의 탄발적인 진퇴를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피스가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에 마련된 가이드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의 외측에 면하는 조작부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하거나 떨어지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과 잠금 피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이 잠금 피스를 잠금 위치로 힘을 가하여, 잠금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의 잠금부를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고,
    조작부에 가하는 조작에 의해 잠금 피스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 설정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된 잠금 피스의 잠금부를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오목면에 탈착하는 볼록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방향에 있어서 볼록면의 반대측에 잘록부(constriction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진퇴방향에 있어서 잘록부의 중간부에 상기 스톱퍼면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피스가 테두리형상을 이루고, 잠금 피스의 테두리 내에 걸어맞춤 부재의 잘록부를 배치하여, 잠금 피스가 잠금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잠금 피스의 테두리의 일부에 마련한 잠금부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에 접촉하고, 잠금 피스가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 피스의 상기 잠금부가 걸어맞춤 부재의 스톱퍼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걸어맞춤 부재의 잘록부를 잠금 피스의 테두리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피스의 조작부를 자루와 본체 중 다른쪽의 외면 오목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6. 외측 축의 중공부에 내측 축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연결한 봉형상구로서,
    외측 축의 내면과 내측 축의 외면 사이에 스프링재를 끼워넣고,
    스프링재를 외측 축에 고정하는 동시에, 내측 축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축에 대한 내측 축의 신장 한계단(fully extended end)에서, 외측 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가 내측 축의 축방향에서 내측 축에 마련한 스톱퍼부에 맞붙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재가, 긴 본체부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 접힘 R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한쪽 면에 접힘 성형된 짧은 접힘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에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본체부의 한쪽 면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로 이루어지는 지점부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부의 접힘 R부와 지점부의 굽힘 R부 사이의 중간부에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본체부의 다른쪽 면에 볼록하게 굽힘 성형된 굽힘 R부로 이루어지는 작용점부를 마련하고,
    스프링재의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외측 축과 내측 축의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접힘부를 외측 축에 고정하고, 지점부를 외측 축의 내면에 밀착하며, 작용점부를 내측 축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축에 대한 내측 축의 신장 한계단에서, 외측 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재의 작용점부의 굽힘 R부가 내측 축의 외면의 신장 한계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재의 접힘부에 마련한 갈고리부가 외측 축에 마련한 고정 걸림부에 고정적으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축과 내측 축의 횡단면의 중심을 끼우는 한쪽에 스프링재를 마련하고, 다른쪽에, 외측 축의 내면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리브와, 내측 축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V자 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구.
KR1020107001904A 2007-08-01 2008-07-30 청소구 및 봉형상구 KR101488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1203A JP5052249B2 (ja) 2007-08-01 2007-08-01 清掃具
JPJP-P-2007-201203 2007-08-01
PCT/JP2008/063699 WO2009017171A1 (ja) 2007-08-01 2008-07-30 清掃具及び棒状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863A true KR20100039863A (ko) 2010-04-16
KR101488924B1 KR101488924B1 (ko) 2015-02-03

Family

ID=4030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904A KR101488924B1 (ko) 2007-08-01 2008-07-30 청소구 및 봉형상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595884B2 (ko)
EP (2) EP2174577B1 (ko)
JP (1) JP5052249B2 (ko)
KR (1) KR101488924B1 (ko)
CN (2) CN102512126B (ko)
AU (1) AU2008283334B2 (ko)
CA (1) CA2694323C (ko)
MY (1) MY180504A (ko)
WO (1) WO2009017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1090A1 (en) * 2010-02-02 2011-08-02 Andre Lafleur Multi-axis articulated implement
FR2958526B1 (fr) * 2010-04-08 2012-09-07 Concept Microfibre Manche courbe pour balai de nettoyage de sol et balai comprenant le manche
CN102525359B (zh) * 2010-12-10 2014-03-05 笠源科技股份有限公司 自旋式拖把
GB2487730B (en) * 2011-02-01 2014-05-14 Lisa Lambert Equine grooming device
US9408522B2 (en) * 2012-03-09 2016-08-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yer cleaning tool with cleaning head with cleaning pad slidably mountable thereon
PL2650089T3 (pl) * 2012-04-11 2017-06-30 Leifheit Ag Mechanizm ustalający do drążka teleskopowego
ES1079093Y (es) * 2013-03-06 2013-07-25 Zabala Unai Arketa Mango para util de limpieza o similares.
TWI576079B (zh) * 2013-03-28 2017-04-01 Oimo Ind Co Ltd Three-dimensional cyclone dust
US9427862B1 (en) * 2013-10-04 2016-08-30 David L. Durfee, Jr. Quick connect and adjustment hand implement system
ITMI20131818A1 (it) * 2013-11-04 2015-05-05 Nespoli Group S P A Dispositivo per la rimozione di peli, pelucchi ed altro da tessuti e/o indumenti
WO2015073829A1 (en) * 2013-11-15 2015-05-21 S.C. Johnson & Son, Inc. Extendable tool attachment stick
WO2015191710A2 (en) * 2014-06-10 2015-12-17 Winston Products Llc Cleaning device
US9205549B1 (en) * 2014-07-15 2015-12-08 Thomas Lin Retractable bar for hand tool
USD782765S1 (en) * 2015-03-04 2017-03-28 Nice-Pak Products, Inc. Cleaning device
USD782271S1 (en) * 2015-04-29 2017-03-28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Tool handle
JP6490537B2 (ja) * 2015-08-21 2019-03-27 株式会社ダスキン 片側押ボタン型払拭体保持具及び清掃具
JP6628708B2 (ja) * 2016-09-13 2020-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567116B1 (ja) 2018-03-20 2019-08-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のアーム部
US11612996B2 (en) * 2020-03-27 2023-03-28 Jiashan Master Top Int'l Inc. Cleaning tool
CN113197419B (zh) * 2021-05-19 2023-02-07 上海翌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刷头锁紧功能的长柄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8010A (en) * 1950-06-22 1953-02-25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wivel couplings for tubes
US3244437A (en) 1964-01-28 1966-04-05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vacuum cleaner wand
US3351363A (en) 1964-12-23 1967-11-07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wand
JPS6314841U (ko) 1986-07-12 1988-01-30
JP2582094B2 (ja) * 1987-11-05 1997-02-19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操作表示制御装置
JPH063892Y2 (ja) * 1988-02-05 1994-02-0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ハンドシャワーの角度調節構造
JPH0713634Y2 (ja) * 1988-09-09 1995-04-05 樹立 高 多機能清掃用器具
JPH02105688U (ko) 1989-02-10 1990-08-22
CN2266309Y (zh) 1996-03-22 1997-11-05 周正赞 行李箱伸缩拉杆改良结构
JP3336895B2 (ja) 1997-01-30 2002-10-21 日本鋼管株式会社 差込み管継手
EP1033103B1 (de) 1999-02-22 2003-09-10 Froh House Tech GmbH &amp; Co. KG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IT249874Y1 (it) 2000-11-07 2003-06-0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CN2476930Y (zh) 2001-04-11 2002-02-20 邬永龙 割草机的伸缩调节杆
JP2003107998A (ja) * 2001-06-25 2003-04-11 Matsuhashi Seisakusho:Kk 表示物保持器
JP4055981B2 (ja) 2001-11-30 2008-03-0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継手機構
JP4302948B2 (ja) * 2002-07-22 2009-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4041706B2 (ja) * 2002-07-22 2008-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4113740B2 (ja) * 2002-07-22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US7891898B2 (en) *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7600287B1 (en) * 2005-01-26 2009-10-13 Camco Manufacturing, Inc. Collapsible broom and dustpan
JP3118924U (ja) 2005-11-29 2006-02-09 高彬 鄭 伸縮式掛け竿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4323A1 (en) 2009-02-05
CN101772318A (zh) 2010-07-07
US8813298B2 (en) 2014-08-26
CN102512126A (zh) 2012-06-27
CN102512126B (zh) 2014-12-31
CA2694323C (en) 2015-05-05
WO2009017171A1 (ja) 2009-02-05
AU2008283334B2 (en) 2013-09-26
EP2392246B1 (en) 2016-09-28
JP2009034338A (ja) 2009-02-19
JP5052249B2 (ja) 2012-10-17
EP2174577B1 (en) 2015-07-15
US20140053356A1 (en) 2014-02-27
KR101488924B1 (ko) 2015-02-03
EP2392246A2 (en) 2011-12-07
MY180504A (en) 2020-11-30
EP2174577A4 (en) 2010-12-15
AU2008283334A1 (en) 2009-02-05
US20100186181A1 (en) 2010-07-29
CN101772318B (zh) 2012-08-15
US8595884B2 (en) 2013-12-03
EP2392246A3 (en) 2013-09-04
EP2174577A1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9863A (ko) 청소구 및 봉형상구
JP6753576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5969055B2 (ja) 閉鎖型力伝達器具及びそれを利用した安全ドアロック
JP4832977B2 (ja) 家具の脚体の上下伸縮構造
CN107461588B (zh) 一种三脚架的调节锁定机构
CN110520638A (zh) 家具物品的部件之间的接合装置
JP5178377B2 (ja) 棒状具
JP4022564B1 (ja) 眼鏡
CN109250658A (zh) 千斤顶手柄延伸杆及用于其的锁止机构
CN220954949U (zh) 杆件与杆件连接部件之间的锁定连接结构
JP7231454B2 (ja) テーブル用折り畳み脚の構造及びテーブル
JP2019042477A (ja)
JP2007130353A (ja)
CN216838635U (zh) 晾晒结构、晾衣机
CN211230200U (zh) 扶梯
JP7488701B2 (ja) ハンディ清掃用具
CN109577743B (zh) 冰箱把手和冰箱
JP5961425B2 (ja)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KR200183395Y1 (ko) 집게의 시건 장치
KR200217246Y1 (ko) 접철식 부채
JPH0533952A (ja) ホームごたつ用脚
JPH063288Y2 (ja) ホームごたつ用脚
KR950002386Y1 (ko) 휴대용 테이블의 로크장치
JP2009248425A (ja) 可動式クリップ付きの筆記具
CN109533166A (zh) 折叠机构及折叠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