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596A - 폴리이미드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596A
KR20100035596A KR1020090089713A KR20090089713A KR20100035596A KR 20100035596 A KR20100035596 A KR 20100035596A KR 1020090089713 A KR1020090089713 A KR 1020090089713A KR 20090089713 A KR20090089713 A KR 20090089713A KR 20100035596 A KR20100035596 A KR 2010003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film
dianhydride
bis
film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346B1 (ko
Inventor
조한문
박효준
정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CN201610080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46919B/zh
Priority to TW98132517A priority patent/TWI468436B/zh
Priority to PCT/KR2009/005475 priority patent/WO2010036049A2/en
Priority to EP09816442.9A priority patent/EP2342266B1/en
Priority to US13/121,109 priority patent/US20110178266A1/en
Priority to JP2011528937A priority patent/JP5551170B2/ja
Priority to CN2009801367496A priority patent/CN102159628A/zh
Publication of KR2010003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8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39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6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2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 H05K1/034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나 열 응력에 의한 치수 변화가 적어 투명도전성 필름, TFT 기판,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유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본 발명은 무색투명하고 열 응력에 의한 치수 변화를 억제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불용, 불융의 초고내열성 수지로, 내열산화성, 내열특성, 내방사선성, 저온특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재료, 항공소재, 우주선 소재 등의 내열 첨단소재 및 절연코팅제, 절연막, 반도체, TFT-LCD의 전극 보호막 등 전자재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최근에는 광섬유나 액정 배향막 같은 표시재료 및 필름 내에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거나 표면에 코팅하여 투명전극필름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이미드 수지는 높은 방향족 고리 밀도로 인하여 갈색 또는 황색으로 착색되어 있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낮고 노란색 계열의 색을 나타내어 광투과율을 낮춤으로써 투명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하는 데 곤란한 점이 있었다.
이에 폴리이미드 필름의 색상 및 투과도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필름의 색상 및 투과도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례하여 내열성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되는 다양한 전기·전자 재료 용도에서는 기능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높은 내열성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공도 요망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명성을 만족하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디아민과 산 이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손실 탄성율을 저장 탄성율로 나눈 값인 tanδ 곡선에서, 피크의 최정점이 280 내지 380 ℃ 범위 내에 있으며,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분광광도계로 측정된 400 내지 740nm에서의 평균 투과도가 85% 이상인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피크의 최정점이 320 내지 360 ℃ 범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tanδ 곡선에서 200 내지 300 ℃ 범위 내에 제2의 정점이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 분광광도계로 색좌표를 측정하였을 때 L값이 90이상이고, a값이 5이하이며, b값이 5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열기계분석법에 의해 50 내지 250℃ 범위에서 측정한 평균 선팽창계수(CTE)가 70 ppm/℃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산 이무수물은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30몰% 내지 100몰%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산 이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및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디아민은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을 디아민 중 20몰% 내지 100몰%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먼저 투입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마지막으로 투입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반응은 3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나 열 응력에 의한 치수 변화가 적어 투명도전성 필름, TFT 기판,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내열성을 만족시키는 측면에서 손실 탄성율을 저장 탄성율로 나눈 값인 tanδ 피크의 최정점(top)이 280 내지 380 ℃ 범위 내에 있다.
tanδ 피크에서 최정점은 실질적으로 필름의 치수 변화와 관계되는 온도 범위를 대별하는 것으로, tanδ 피크의 최정점이 상기 온도 범위보다 낮은 구간에 존재하는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되는 전기· 전자 재료 분야에서 열적 환경에서 치수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tanδ 피크의 최정점이 상기 온도 범위보다 높은 구간에 존재하는 경우, 필름의 고분자 구조가 매우 치밀하게 되어 광학적 성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바람직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tanδ 피크의 최정점이 280 내지 380 ℃, 바람직하기로는 300 내지 360 ℃,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320 내지 360℃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투명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은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분광광도계로 측정된 400 내지 740nm에서의 평균 투과도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분광광도계로 측정된 400 내지 740nm에서의 평균 투과도가 85% 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서 적정한 시각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내열성을 만족시키는 측면에서 손실 탄성율을 저장 탄성율로 나눈 값인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을 나타내는 온도 범위 이전의 온도 범위에서 제2의 정점을 나타낸다.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은 실질적으로 필름의 치수 변화와 관계되는 온도 범위를 대별하는 것이며, 일반적인 폴리이미드 필름의 경우 tanδ 곡선에서의 정점은 단일한 온도 구간에서 보여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tanδ 곡선에서 피크의 최정점을 나타내는 온도 구간 이전의 온도 구간에서 제2의 정점을 보이는 것인바, 이러한 현상은 고분자의 측쇄 상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유동성(mobility)으로 인해 유발되는 것으로, 고분자의 측쇄 상에 관능기의 유동성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측쇄상의 관능기가 벌키한 자유 체적(bulky free volume)을 형성해야 하며 이 경우 광학적 투과도가 높아져서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필름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tanδ 곡선에서 제2 정점을 보이는 온도 범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단량체 자체의 유연기 혹은 곁사슬의 열적 성질이 낮아 전체적인 필름의 열적 물성을 낮게 하고,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에는 거대한 단량체 곁사슬에 의해 자유 체적이 지나치게 커져 필름의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 있어서 불리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tanδ 곡선에서 제2 정점이 200 내지 300 ℃ 온도 범위 내에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tanδ 곡선에서 최정점 및 제2 정점을 갖는 온도 범위가 존재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투명성 내지 내열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유색을 띠는 일반적인 폴리이미드 필름과는 달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 분광광도계로 색좌표를 측정하였을 때 L값이 90이상이고, a값이 5이하이며, b값이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수 변화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폴리이미드 필름은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열기계분석법에 의해 50 내지 250℃ 범위에서 측정한 평균 선팽창계수(CTE)가 70 pp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팽창계수가 상기 값보다 큰 경우 접착 필름으로 제조시 선팽창계수가 지나치게 커지고 금속박의 선팽창계수와의 차가 커지기 때문에 치수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평균 선팽창계수(CTE)가 15ppm/℃ 내지 60 ppm/℃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산 이무수물과 디아민의 중합에 의해 폴리아미드산을 얻고, 이를 이미드화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은 유기 용제 중에서 디아민과 산 이무수물을 반응시켜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는 공정 및 상기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미드산의 용액으로부터 얻어진다. 폴리아미드산 용액은 통상 디아민과 산 이무수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산 이무수물을 실질적으로 등몰량이 되도록 유기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원료 단량체인 디아민류 및 산 이무수물의 구조를 제어하거나 단량체의 첨가 순서를 제어함으로써 투명성 및/또는 내열성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투명성을 고려할 때 산 이무수물은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6-FD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4-(2,5-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릭 안하이드라이드(TDA) 및 4,4′-(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녹시)비스(프탈릭안하 이드라이드)(HBD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열성을 고려할 때 더욱 바람직하기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MDA),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및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ODP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산 이무수물 중 6-FDA의 사용량은 30 내지 100몰%인 것이 투명성을 발현하면서 내열성 등 기타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디아민의 예로는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6HMDA),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3,3′-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3,3′-TFDB), 4,4′-비스(3-아미노페녹시)디페닐설폰(DBSDA), 비스(3-아미노페닐)설폰(3DDS), 비스(4-아미노페닐)설폰(4DDS),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133),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APB-134), 2,2′-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3-BDAF),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4-BDAF), 2,2′-비스(3-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3,3′-6F),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4,4′-6F) 및 옥시디아닐린(OD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곁사슬에 의한 적절한 자유 체적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기로는 2,2'-TFDB를 디아민 중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좋기로는 2,2'-TFDB를 전체 디아민 중 20 내지 100몰%로 포함하는 것이 곁사슬에 의한 자유 체적 확보를 통한 투명성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일예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제1용매 하에서 중합하여 폴리아믹산 용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을 이미드화한 후, 이미드화한 용액을 제2용매에 투입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형분을 수득하고, 수득된 폴리이미드 수지 고형분을 제1용매에 용해시킨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막공정을 통하여 필름화할 수 있다. 이때, 제2용매는 제1용매보다 극성이 낮은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용매는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디에틸아세테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제2용매는 물, 알코올류, 에테르류 및 케톤류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단량체 투입 순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도 필름의 내열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일예로 산 이무수물 중 6-FDA를 선투입하는 것보다는 마지막에 투입하여 중합하는 것이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중합시간에 따라서도 필름의 내열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데, 중합시간이 길어질수록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이 나타나는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중합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해중합에 의한 분자량 감소에 의해 열적 안정성(CTE)이 나빠질 수 있고, 반면 중합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분자량의 분포(PDI)가 지나치게 넓어져서 필름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3 내지 24 시간 동안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6-FDA 10.66g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용액을 스테인레스판에 도포한 후 700㎛로 캐스팅하고 150℃의 열풍으로 1시간 건조한 후 필름을 스테인레스판에서 박리하여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하였다.
필름이 고정된 프레임을 진공오븐에 넣고 100℃부터 300℃까지 2시간 동안 천천히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후 최종 열처리 공정으로서 다시 30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두 께 100㎛)
실시예 2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6-FDA 10.66g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 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6-FDA 10.66g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과 6-FDA 10.66g 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과 6-FDA 10.66g 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반응기로써 교반기, 질소주입장치, 적하깔때기, 온도조절기 및 냉각기를 부 착한 200㎖ 3-Neck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 88.13g을 채운 후,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2,2′-TFDB) 9.6g을 용해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10℃로 낮춘 후 여기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BPDA) 1.765g과 6-FDA 10.66g 을 첨가하고 이 후 용액을 상온으로 방치하여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수득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피리딘 4.75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6.13g 을 투입하여 30분 교반 후 다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메탄올 1L가 담겨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된 고형분을 여과하여 분쇄한 후 80℃에서 진공으로 6시간 건조하여 고형분 분말을 얻었고, 이를 다시 N,N-디메틸아세타아미드(DMAc)에 녹여서 20wt%의 용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203.729 g에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MDA) 11.8962 g과, p-페닐렌디아민(PDA) 4.3256 g을 용해하여 이 용액을 0 ℃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4,4'-옥시디프탈산 이무수물(ODPA) 15.511 g을 서서히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ODPA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TDA) 6.4446 g을 서서히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6.5436g을 더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23 ℃에서의 용액 점도 2500 포이즈, 고형분 농도 18.0 중량%의 폴리 아미드산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에 용액 중량 대비 0.01 내지 10 무게비 범위에서 일정량의 충진제를 분산 후 교반하면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1시간동안 탈포한 후, 0 ℃로 냉각시켰다. 이 폴리아미드산 용액 100 g에 아세트산 무수물 11.4 g, 이소퀴놀린 4.8 g
및 DMF 33.8 g으로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스테인레스 스틸재질의 경판에 유연 도포하였다. 얻어진 폴리아미드산 용액이 도포된 경판을 100 ℃에서 300초간 가열하여 겔 필름을 얻은 후 경판으로부터 박리하여 필름의 이부 테두리 부분을 프레임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필름을 150 ℃, 250 ℃, 350 ℃, 450 ℃로 30초 내지 240초 동안 가열한 후, 원적외선 오븐으로 30초 내지 180초간 더 가열 처리하여 두께 50㎛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2L 자켓 반응기에 용매로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995g 투입하였다. 온도를 30℃로 하고 디아민으로 p-페닐렌디아민(p-PDA) 3.65g, 4,4'-디아미노페닐렌에테르(ODA) 2.901g을 넣었다. 30분 가량 교반하여 단량체가 용해된 것을 확인한 뒤에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PDA)을 5.64g 투입하였다. 반응기의 발열량을 확인하고 발열이 끝나면 다시 30℃로 냉각한 후에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을 5.96g을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나면 온도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승온하여 7.2% PMDA용액을 4.98g 투입하고 온도를 유지하며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중에 반응기 내부를 1torr정도로 감압해 반응 중에 생성되었던 폴리아믹산 용액 내의 기포를 제거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폴리아믹산 용액은 고형분함량이 18.5wt%이며 점도는 5300 poise이다. 이 폴리아믹산 용액 100g과 50g의 촉매 용액(이소퀴놀린 7.2g, 무수초산 22.4g)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스테인레스판에 도포한 후 50㎛로 캐스팅하고 150℃의 열풍으로 5분간 건조한 후 필름을 스테인레스판에서 박리하여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하였다. 필름이 고정된 프레임을 진공오븐에 넣고 100℃부터 350℃까지 30분 동안 천천히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해 필름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로부터 얻어진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해 다음과 같이 tanδ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1) tanδ
TA Instrument사 제조 DMA Q800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시료 및 조건 하에서 측정하여 손실 탄성율을 저장 탄성율로 나눈 값인 tanδ 곡선을 얻었다.
- 시료: 길이 15-20mm, 폭 4mm, 두께 50δ㎛
- 실험 모드: DMA Multi-Frequency-Strain
- 실험 모드 상세 조건: (1) Clamp: Tension: Film
(2) Strain %: 0.5%
(3) Frequncy: 1Hz(전 온도 구간에서 변동 없음)
(4) Reload Force: 0.1N
(5) Force Track: 125
(6) Poissons: 0.440
- 온도 조건: (1) 승온 범위: 상온 ~ 500℃, (2) 승온 속도: 5℃/분
- 주요 수집 데이터: (1)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us, E'), (2) 손실 탄성율(Loss modulus, E"), (3) tanδ(E"/E')
그 외에 투과도 및 색좌표, 황색도, 선팽창계수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로 나타내었다.
(2) 투과도 및 색좌표
제조된 필름을 UV분광계(Varian사, Cary100)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색좌표는 제조된 필름을 UV분광계(Varian사, Cary100)을 이용하여 ASTM E 1347-06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광원(Illuminant)은 CIE D65에 의한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3) 황색도
ASTM E313규격으로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4) 선팽창계수(CTE)
TMA(TA Instrument사, Q400)를 이용하여 TMA-Method에 따라 50~250℃에서의 평균 선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제2 정점 최정점
온도(℃) 강도 온도(℃) 강도
실시예 1 256 0.14 325 1.00
실시예 2 252 0.15 339 0.97
실시예 3 254 0.15 333 0.96
실시예 4 254 0.15 339 0.90
실시예 5 257 0.16 345 1.03
실시예 6 252 0.16 342 0.96
비교예 1 - - 374 0.10
비교예 2 116 - 323 0.2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200 내지 300 ℃ 온도 범위에서 tanδ의 제2 정점이 나타나며, 280 내지 380 ℃ 온도 범위에서 tanδ의 최정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정점의 강도는 제2 정점의 강도에 비하여 큰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산 이무수물 중 6-FDA를 선투입하는 것보다는 마지막에 투입하여 중합하는 것이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의 온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조건 하에서라면 중합시간이 길어질수록 tanδ 곡선에서 최정점이 나타나는 온도가 높아짐도 알 수 있다.
구분 두께 (㎛) 선팽창계수 (ppm/℃) 황색도 투과도(%) 색좌표
400㎚ ~740㎚ 550㎚ ~740㎚ 550㎚ 500㎚ 420㎚ L a b
실 시 예 1 100 53.6 3.97 87.8 90.9 90.4 89.6 80.0 96.08 -0.87 2.98
2 100 48.8 2.94 87.9 90.5 90.0 89.3 82.1 95.92 -0.59 2.25
3 100 44.2 2.78 87.9 90.4 89.9 89.3 82.5 95.9 -0.58 2.13
4 100 52.2 4.39 87.7 90.8 90.3 89.3 79.5 96.0 -0.90 3.23
5 100 47.9 2.96 88.0 90.7 90.3 89.5 82.1 96.0 -0.62 2.28
6 100 51.2 2.85 88.0 90.6 90.2 89.5 82.2 96.0 -0.61 2.2
비교예 1 50 16.4 89.3 54.9 79.8 69.6 37.5 0 82.9 -0.71 92.12
2 50 15.2 89.6 59.1 85.0 78.8 42.1 0 86.5 -3.15 96.4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열적 응력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에 의한 필름의 경우는 열적 응력에 대한 치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투명성이 떨어져 투명성을 요하는 전기 전자 재료 분야로의 적용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디아민과 산 이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손실 탄성율을 저장 탄성율로 나눈 값인 tanδ 곡선에서, 피크의 최정점이 280 내지 380 ℃ 범위 내에 있으며,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분광광도계로 측정된 400 내지 740nm에서의 평균 투과도가 85% 이상인 폴리이미드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피크의 최정점이 320 내지 360 ℃ 범위 내에 있는 폴리이미드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anδ 곡선에서 200 내지 300 ℃ 범위 내에 제2의 정점이 존재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UV 분광광도계로 색좌표를 측정하였을 때 L값이 90이상이고, a값이 5이하이며, b값이 5이하인 폴리이미드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 50~100㎛를 기준으로 열기계분석법에 의해 50 내지 250℃ 범위에서 측정한 평균 선팽창계수(CTE)가 70 ppm/℃이하인 폴리이미드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산 이무수물은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30몰% 내지 100몰%로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산 이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및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민은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을 디아민 중 20몰% 내지 100몰%로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11. 제 6 항에 있어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먼저 투입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인 폴리이미드 필름.
  12. 제 6 항에 있어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디안하이드라이드를 산 무수물 중 마지막으로 투입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인 폴리이미드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은 3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KR1020090089713A 2008-09-26 2009-09-22 폴리이미드 필름 KR10129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80027.5A CN105646919B (zh) 2008-09-26 2009-09-25 聚酰亚胺薄膜
TW98132517A TWI468436B (zh) 2008-09-26 2009-09-25 聚醯亞胺薄膜
PCT/KR2009/005475 WO2010036049A2 (en) 2008-09-26 2009-09-25 Polyimide film
EP09816442.9A EP2342266B1 (en) 2008-09-26 2009-09-25 Polyimide film
US13/121,109 US20110178266A1 (en) 2008-09-26 2009-09-25 Polyimide film
JP2011528937A JP5551170B2 (ja) 2008-09-26 2009-09-25 ポリイミドフィルム
CN2009801367496A CN102159628A (zh) 2008-09-26 2009-09-25 聚酰亚胺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564 2008-09-26
KR20080094564 2008-09-26
KR20080094565 2008-09-26
KR1020080094565 2008-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96A true KR20100035596A (ko) 2010-04-05
KR101293346B1 KR101293346B1 (ko) 2013-08-06

Family

ID=4221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13A KR101293346B1 (ko) 2008-09-26 2009-09-22 폴리이미드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78266A1 (ko)
EP (1) EP2342266B1 (ko)
JP (1) JP5551170B2 (ko)
KR (1) KR101293346B1 (ko)
CN (2) CN102159628A (ko)
TW (1) TWI468436B (ko)
WO (1) WO201003604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53A (ko) * 2017-01-20 2019-09-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117961A1 (ko) * 2019-12-13 2021-06-17 주식회사 두산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671B1 (ko) * 2008-09-23 2013-03-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투명전극
KR101293346B1 (ko) * 2008-09-26 2013-08-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
US8853723B2 (en) 2010-08-18 2014-10-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and thermal control blanket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WO2012024009A1 (en) * 2010-08-18 2012-02-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and thermal control blanket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8288471B2 (en) * 2010-10-18 2012-10-16 Taimide Technology, Inc. White polyimide film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543478B1 (ko) * 2010-12-31 2015-08-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166B1 (ko) * 2012-11-19 2019-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및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4172978A (ja) * 2013-03-08 2014-09-22 Sumitomo Bakelite Co Ltd 共重合ポリイミド前駆体および共重合ポリイミド
CN106661244B (zh) * 2014-07-03 2019-11-19 大金工业株式会社
EP3002310B1 (en) * 2014-10-02 2020-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reparing polyimide-inorganic particle composite, polyimide-inorganic particle composite, article, and optical device
JP6622287B2 (ja) * 2015-03-31 2019-12-18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ポリイミドワニス、ポリイミドフィルムを用いた製品、及び、積層体
CN104829836A (zh) * 2015-04-29 2015-08-12 江苏亚宝绝缘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用超薄导电聚酰亚胺薄膜
JP6939225B2 (ja) 2016-08-10 2021-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
TWI609897B (zh) * 2017-02-15 2018-01-01 律勝科技股份有限公司 聚醯亞胺樹脂及其製造方法與薄膜
JP7255488B2 (ja) 2017-09-29 2023-04-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ポリイミドワニス、及びポリイミドフィルム
CN108424540B (zh) * 2018-04-28 2020-08-04 同济大学 一种无色透明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286207B1 (ko) 2020-05-04 2021-08-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이미드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8052B1 (en) * 1993-04-21 2000-06-14 The University of Akron Negative birefringent polyimide films
US5605942A (en) * 1993-07-13 1997-02-25 Menicon Co., Ltd. Contact lens material
JP3137549B2 (ja) * 1994-01-07 2001-02-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イミド
US5649045A (en) * 1995-12-13 1997-07-15 Amoco Corporation Polymide optical waveguide structures
US6232428B1 (en) * 1999-01-19 2001-05-15 I.S.T. Corporation Essentially colorless, transparent polyimide coatings and films
WO2002012926A1 (fr) * 2000-08-09 2002-02-14 Mitsui Chemicals, Inc. Elements optiques constitues de resines de polyimide
US6746639B2 (en) * 2000-09-11 2004-06-08 Kaneka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polyimide film
KR20050094804A (ko) * 2003-01-10 2005-09-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821157B2 (ja) 2004-03-31 2011-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高透明性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及び物品
KR101290933B1 (ko) * 2005-04-12 2013-07-29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폴리이미드 필름
JP5069846B2 (ja) 2005-04-27 2012-11-07 株式会社カネカ 新規なポリイミド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接着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金属張積層板
JP5069847B2 (ja) * 2005-04-27 2012-11-07 株式会社カネカ 新規なポリイミド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接着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金属張積層板
US7550194B2 (en) * 2005-08-03 2009-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color polyimide compositions useful in optical type application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KR20070058812A (ko) * 2005-12-05 2007-06-11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이미드 필름
US20100048861A1 (en) * 2006-12-15 2010-02-25 Hak Gee Jung Polyimide resin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and polyimide film using the same
WO2008072914A1 (en) * 2006-12-15 2008-06-19 Kolon Industries, Inc. Polyimide resin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and polyimide film using the same
KR101167483B1 (ko) * 2006-12-15 2012-07-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필름
WO2008072916A1 (en) * 2006-12-15 2008-06-19 Kolon Industries, Inc. Polyimide film
KR101211857B1 (ko) * 2006-12-15 2012-12-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
KR101167337B1 (ko) * 2006-12-15 2012-07-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필름
KR101227317B1 (ko) * 2007-07-31 2013-01-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이미드 필름
TWI435902B (zh) * 2007-08-20 2014-05-01 Kolon Inc 聚亞醯胺膜
KR101293346B1 (ko) * 2008-09-26 2013-08-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53A (ko) * 2017-01-20 2019-09-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117961A1 (ko) * 2019-12-13 2021-06-17 주식회사 두산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2266A4 (en) 2013-06-19
EP2342266B1 (en) 2018-08-22
KR101293346B1 (ko) 2013-08-06
CN105646919B (zh) 2020-11-03
TW201012852A (en) 2010-04-01
TWI468436B (zh) 2015-01-11
WO2010036049A3 (en) 2010-06-17
WO2010036049A2 (en) 2010-04-01
CN102159628A (zh) 2011-08-17
US20110178266A1 (en) 2011-07-21
JP5551170B2 (ja) 2014-07-16
JP2012503701A (ja) 2012-02-09
EP2342266A2 (en) 2011-07-13
CN105646919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346B1 (ko) 폴리이미드 필름
KR101328838B1 (ko) 폴리이미드 필름
KR102339037B1 (ko)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전구체,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KR101370197B1 (ko) 폴리이미드 필름
KR101167483B1 (ko)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필름
KR101292886B1 (ko) 내용제성이 개선된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
EP3241859A1 (en) Polyamide-imide precursor, polyamide-imid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227317B1 (ko) 열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이미드 필름
JP6615226B2 (ja) ポリイミド樹脂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301337B1 (ko) 폴리이미드 필름
KR101862028B1 (ko)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이미드 필름
EP3318592A1 (en) Polyimide-polybenzoxazole precursor solution, polyimide-polybenzoxazol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14189154A1 (en) Polyimide resin and polyimide film produced therefrom
KR20160081845A (ko)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전구체,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KR102093696B1 (ko) 마찰특성이 개선된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필름
KR101292993B1 (ko) 폴리이미드 수지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필름
KR20150113472A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20200055879A (ko)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 방법
KR102251515B1 (ko) 내용제성이 개선된 무색투명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
KR20170079743A (ko) 안료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수지 및 이의 필름
KR20140136235A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
KR20170100794A (ko)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 소자
KR20190081459A (ko) 폴리아믹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이미드 필름
KR20230037273A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KR20230171297A (ko) 블랙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