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084A - 프린터·플로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플로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084A
KR20100035084A KR1020090033087A KR20090033087A KR20100035084A KR 20100035084 A KR20100035084 A KR 20100035084A KR 1020090033087 A KR1020090033087 A KR 1020090033087A KR 20090033087 A KR20090033087 A KR 20090033087A KR 20100035084 A KR20100035084 A KR 2010003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unit
specific color
guide rai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618B1 (ko
Inventor
아키라 이케다
마사루 오니시
아키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0003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3Features not dealing with the colouring process per se, e.g. construction of printers or heads, driving circuit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41J3/5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with multiple inkjet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9Assembling head unit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속도 및 절삭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레일(40)에는, 끝에서부터 차례로, 통상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절결가공을 하는 커터유닛(60)과, 특정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커터유닛(60)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구동캐리지(80)가 배치되고, 커터유닛(60)과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동캐리지(9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캐리지(80) 및 제2 구동캐리지(9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따로따로 독립적으로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033087
인쇄, 미디어 절삭

Description

프린터·플로터 장치{PRINTER·PLOTTER APPARATUS}
본 발명은, 미디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는 동시에,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프린터·플로터(printer·plott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미디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는 헤드유닛과,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커터유닛을 구비한 프린터·플로터 장치(커팅 플로터)가 알려져 있다.
이 프린터·플로터 장치는, 플래튼(platen) 위쪽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헤드유닛과 커터유닛이 이동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이 커터유닛은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구동되는 벨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벨트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헤드유닛은 커터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커터유닛가 이동함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09-058016호 공보 참조)
근래, 인쇄화상의 고화질화를 위하여,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통상색(일본 DIC 가부시키가이샤의 정의색) 이외에, Lm(Light Magenta), Lc(Light Cyan) 등 여러 개의 특정색이 준비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프린터·플로터 장치는, 통상색의 잉크와 특정색의 잉크를 1개의 유닛화된 헤드유닛으로부터 토출시키기 때문에, 헤드유닛이 대형화되고 고속인쇄·고속절삭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속인쇄 및 고속절삭이 가능한 프린터·플로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는, 플래튼 위에 놓인 미디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는 동시에,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실시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로서, 플래튼의 위쪽에 배치된 장척(長尺)의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보유된 제1 헤드유닛, 제2 헤드유닛 및 제3 헤드유닛; 제1 헤드유닛과 제2 헤드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헤드유닛 및 제2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한쪽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동수단; 및 제2 헤드유닛과 제3 헤드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2 헤드유닛 및 제3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한쪽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린터·플로터 장치에 따르면, 제1 구동수단에 제1 헤드유닛을 연결시킴으로써, 제1 헤드유닛을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구동수단 또는 제2 구동수단에 제2 헤드유닛을 연결시킴으로써, 제2 헤드유닛을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구동수단에 제3 헤드유닛을 연결시킴으로써, 제3 헤드유닛을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헤드유닛을 3개로 구분함으로써, 예를 들어,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을 통상색용과 특정색용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헤드유닛을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유닛의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헤드유닛은 미디어에 통상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이고, 제2 헤드유닛은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커터유닛이며, 제3 헤드유닛은 미디어에 특정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특정색 잉크에 의한 인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통상색 잉크에 의한 인쇄와 절결가공만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3개의 헤드유닛 중, 끝쪽에 배치되는 제3 헤드유닛에 특정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을 할당하여, 통상시에는 제3 헤드유닛을 대기시켜 두고, 제1 헤드유닛 또는 제2 헤드유닛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색 잉크에 의한 인쇄 또는 절결가공을 할 수 있다. 한편, 특정색 잉크에 의한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제1 헤드유닛 및 제2 헤드유닛을 대기시켜 두고, 제3 헤드유닛만을 이동함으로써 인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통상색 잉크와 사용빈도가 낮은 특정색 잉크를 제1 헤드유닛과 제3 헤드유닛으로 구분함으로써, 인쇄속도 및 절삭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특정 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를 끝쪽에 배치함으로써, 통상색 잉크에 의한 인쇄 및 절결가공과, 특정색 잉크에 의한 인쇄를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속도 및 절삭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모든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일부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1)는, 플래튼(30) 위에 놓인 미디어(M)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시에, 이 미디어(M)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플로터 장치(1)의 본체(10)에는, 미디어(M)를 지지하는 플래튼(30) 위쪽에서 플래튼(30)의 연장방향에 따라 뻗은 가이드 레일(4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40)에는, 끝에서부터 차례로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커터유닛(60)과,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가이드 레일(40)에 대하여 플래튼(30)이 접근 또는 떨어지는 방향(도 1에서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하고, 가이드 레일(40)의 연장방향(도 1에서 좌우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한다.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은, 일본 DIC 가부시키가이샤의 정의색인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통상색의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는 헤드유닛이다. 그리고,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은, 가이드 레일(4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51)와, 이 캐리지(51)에 보유된 4개의 잉크젯 헤드 모듈(52)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51)에는, 플래튼(30)에 반송(搬送)된 미디어(M)를 촬상(撮像)하는 카메라(5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카메라(53)에 의한 촬상화상에 의해,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의 미디어 폭이나 인쇄의 원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미디어(M)에 인쇄된 마크(mark)(소위 십자표 등)를 인쇄의 원점위치로 정하였는데,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원점위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각 잉크젯 헤드 모듈(52)은 Y, M, C, K의 각 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지(51)의 플래튼(30) 측에서 좌우방향에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잉크젯 헤드 모듈(52)의 아랫면에는 플래튼(3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은 튜브(56)를 통하여 Y, M, C, K의 각 잉크를 저장하는 대용량의 잉크탱크(55)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탱크(55)로부터 각 색의 잉크가 통상색용 헤드유닛(50)에 적절히 보충됨으로써, 각 잉크젯 헤드 모듈(52)로부터 각 색의 잉크가 토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터유닛(60)은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헤드유닛이다. 커터유닛(60)은, 가이드 레일(4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61)와, 캐리지(61)에 설치된 커터홀더(62)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61)에는,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를 촬상하는 카메라(6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63)에 의한 촬상화상에 의해,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의 미디어 폭이나 인쇄의 원점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커터홀더(62)는 미디어(M)를 절결가공하는 커터부재(64)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하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캐리지(6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터홀더(62)는 이 상하방향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커터부재(64)를 회전할 수 있게 보유하고 있다.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Lm(Light Magenta), Lc(Light Cyan)의 특정색의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하는 헤드유닛이다.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가이드 레일(4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71)와, 이 캐리지(71)에 보유된 2개의 잉크젯 헤드 모듈(72)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71)에는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를 촬상하는 카메라(7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73)에 의한 촬상화상에 의해,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의 미디어 폭이나 인쇄의 원점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각 잉크젯 헤드 모듈(72)은 Lm, Lc의 각 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지(51)의 플래튼(30)측에서 좌우방향에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잉크젯 헤드 모듈(72)의 아랫면에는, 플래튼(3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통상색용 헤드유닛(50)으로부터 토출되는 통상색과 겹치는 등에 의해 인쇄할 수 있는 색을 다양하게 늘리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절결가공의 윤곽을 인쇄하 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통상색용 헤드유닛(50)에 비하여 사용빈도가 낮다. 그리고, 특정색용 헤드유닛(70)에는 각 잉크젯 헤드 모듈(72)에 Lm, Lc의 각 잉크를 공급하는 소용량의 잉크 카트리지(75)가 착탈 가능하게 장전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75)로부터 각 색의 잉크가 특정색용 헤드유닛(70)에 공급됨으로써, 각 잉크젯 헤드 모듈(72)로부터 각 색의 잉크가 토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에서의 가이드 레일(40)의 한쪽 단부(도 1에서 오른쪽 단부)의 아래쪽에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보수유지하는 보수유지 장치(130)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0)에서의 가이드 레일(40)의 다른쪽 단부(도 1에서 왼쪽 단부)의 아래쪽에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보수유지하는 보수유지 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보수유지 장치(130, 140)는 주지의 보수유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보수유지 장치(130, 140)는,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된 스테이지(131, 141)의 윗면쪽에 보습성을 가진 직물재나 스폰지재로 형성된 건조방지부재(132, 142) 등이 설치되어 있고, 통상색용 헤드유닛(5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각 노즐을 플러싱(flushing)함으로써 각 노즐의 막힘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이 가이드 레일(40)의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여 보수유지 장치(130)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가,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의 대기위치가 된다. 한편,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가이드 레일(40)의 왼쪽 단부에 위치하여 보수유지 장치(140)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가,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대기위치가 된다.
그리고, 본체(10)에서의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의 대기위치에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걸어 고정하는 우측 훅(hook)기구(110)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0)에서의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대기위치에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걸어 고정하는 좌측 훅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 훅기구(110) 및 좌측 훅기구(120)가 예를 들어, 내장된 솔레노이드(solenoid)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통상색용 헤드유닛(5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프린터·플로터 장치(1)에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커터유닛(60) 사이에 제1 구동캐리지(80)가 배치되어 있고, 커터유닛(60)과 특정색용 헤드유닛(70) 사이에 제2 구동캐리지(9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캐리지(80)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81)에 설치되는 것이고, 제2 구동캐리지(90)는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91)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는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괄호 안의 부호는 제2 구동유닛(91)에 대응하는 부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구동유닛(81) 및 제2 구동유닛(91)은, 가이드 레일(40)의 좌우단부의 위쪽에 위치하여 설치된 구동 도르래(82, 92) 및 종동 도르래(83, 93)와, 구동 도르래(82, 92)를 회전구동하는 전동모터(84, 94)(예를 들어, 스템핑 모터나 서보모터 등)와, 구동 도르래(82, 92) 및 종동 도르래(83, 93)에 걸쳐진 띠형상의 구동벨트(85, 95)와, 가이드 레일(40)에 지지되는 동시에 구동벨트(85, 95)에 연결된 제1 구동캐리지(80) 및 제2 구동캐리지(9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벨트(85, 95)는 톱니벨트(toothed belt)로 이루어지고, 구동 도르래(82, 92) 및 종동 도르래(83, 93)는 톱니구성으로 하여 벨트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벨트(85, 95)는 그 자체로 루프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구동벨트(85, 95)의 양단부에 제1 구동캐리지(80) 및 제2 구동캐리지(90)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벨트(85, 95)는 제1 구동캐리지(80) 및 제2 구동캐리지(90)를 통하여 루프형상으로 이어진 상태가 되고, 구동 도르래(82, 92) 및 종동 도르래(83, 93)의 사이가 느슨하지 않은 상태로 걸쳐져 있다. 구동벨트(85, 95)는, 폭방향이 위아래를 향하게 하고, 구동 도르래(82, 92)와 종동 도르래(83, 93)의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40)의 위쪽에서 가이드 레일(40)과 평행하게 좌우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구동유닛(81) 및 제2 구동유닛(91)에 있어서, 전동모터(84, 94)의 회전구동을 제어하여 구동 도르래(82, 92)를 회전구동함으로써, 구동벨트(85, 95), 제1 구동캐리지(80) 및 제2 구동캐리지(9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캐리지(80)에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상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86)와, 커터유닛(6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터유닛 연결기구(8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동캐리지(90)에는, 커터유닛(6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터유닛 연결기구(96)와, 특정색용 헤드유닛(7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9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연결기구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07-090534 등에 기재된 연결기구가 채용된다.
그리고, 통상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86), 커터유닛 연결기구(87), 커터유닛 연결기구(96)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97)의 연결제어를 하고, 제1 구동유닛(81) 및 제2 구동유닛(91)의 구동제어를 함으로써,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따로따로 독립적으로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린터·플로터 장치(1)에는 CPU나 메모리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술한 프린터·플로터 장치(1)의 각 처리동작이 이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플로터 장치(1)는, 통상색 인쇄, 절결가공(커팅) 및 특정색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플로터 장치(1)는 먼저 통상색 인쇄모드, 커팅모드 및 특정색 인쇄모드 중의 어느 모드를 기동할지를 판단한다(단계 S1).
단계 S1에서 통상색 인쇄모드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먼저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setting)한다(단계 S11). 즉, 프린터·플로터 장치(1)는, 지난 번의 전원 오프(OFF)시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가이드 레일(40)의 어느 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가 불명확하며, 모 든 유닛이 반드시 대기위치로 돌아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통상색 인쇄모드로 처리를 시작하는데 있어, 먼저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통상색 인쇄모드를 하기 위한 초기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도 3에서의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 세팅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 세팅에서는, 먼저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가이드 레일(40)의 왼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1). 그러면, 제2 구동캐리지(90)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왼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좌측 훅기구(120)에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제2 구동캐리지(90)의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97)에 연결되는 동시에, 좌측 훅기구(120)에 걸려서 대기위치에 고정된다.
이어서,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하여 제1 구동캐리지(80)를 가이드 레일(40)의 왼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2). 그러면, 제1 구동캐리지(80)는 커터유닛(6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왼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대기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과의 사이에 커터유닛(60)을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커터유닛(60)은 제1 구동캐리지(8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87)와 제2 구동캐리지(9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96)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40)의 왼쪽 끝부분에 고정된다.
이어서, 제1 구동캐리지(8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87)와 커터유닛(60)의 연 결을 해제하고,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하여 제1 구동캐리지(80)를 가이드 레일(40)의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3). 그러면, 제1 구동캐리지(80)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우측 훅기구(110)에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은 제1 구동캐리지(80)의 통상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86)에 연결되는 동시에, 우측 훅기구(110)에 걸려서 대기위치에 고정된다.
각 유닛이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되면(도 6 참조),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플러싱한다(단계 S102). 즉,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은 단계 S11에서 대기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유지 장치(130)에 의해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플러싱하여 각 노즐의 막힘 등을 제거한다.
이어서, 우측 축기구(110)에 의한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의 걸림을 해제하고,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하여 제1 구동캐리지(8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3). 그러면, 제1 구동캐리지(80)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의 캐리지(51)에 탑재된 카메라(53)로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를 촬상한다. 그리고, 카메라(53)의 촬상화상으로부터 미디어(M)의 끝부분 및 원점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검출함으로써, 미디어 폭 및 원점위치를 검출한다(단계 S14). 그리고, 다시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하여 제1 구동캐리지(80)를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15).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이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되면,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제어하는 동시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의 각 잉크젯 헤드 모듈(52)의 토출제어를 함으로써(도 7 참조), 미디어(M)에 통상색을 인쇄한다(단계 S16).
한편, 상술한 단계 S1에서 커팅모드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통상색 인쇄모드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한다(단계 S21). 한편, 단계 S21에서의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의 세팅은, 상술한 단계 S11에서의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의 세팅과 마찬가지(도 6 참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각 유닛이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되면(도 6 참조), 커터유닛(60)의 캐리지(61)에 설치된 커터홀더(62)로부터 커터부재(64)를 아래쪽으로 돌출시킨다(단계 S22).
이어서, 제2 구동캐리지(90)의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97)와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3). 그러면, 제2 구동캐리지(90)는 커터유닛(6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커터유닛(60)의 캐리지(61)에 탑재된 카메라(63)로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를 촬상한다. 그리고, 카메라(63)의 촬상화상으로부터 미디어(M)의 끝부분 및 원점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검출함으로써, 미디어 폭 및 원점위치를 검출한다(단계 S24). 그리고, 다시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이동시킴으로써, 커터유닛(60)을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25).
커터유닛(60)이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되면, 제2 구동유닛(91)의 구동제어를 하는 동시에, 커터부재(64)의 상하이동 제어 및 회전 제어를 함으로써(도 8 참조), 미디어(M)를 절결가공한다(단계 S26).
한편, 상술한 단계 S1에서 특정색 인쇄모드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먼저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한다(단계 S3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플로터 장치(1)는, 지난 번의 전원 오프시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가이드 레일(40)의 어느 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가 불명확하며, 모든 유닛이 반드시 대기위치로 돌아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특정색 인쇄모드로 처리를 시작하는데 있어, 먼저 통상색용 헤드유닛(50), 커터유닛(6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특정색 인쇄모드를 하기 위한 초기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도 3에서의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 세팅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하는 도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 세팅에서는, 먼저 제1 구동유닛(81)을 구동하여 제1 구동캐리지(80)를 가이드 레일(40)의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01). 그러면, 제1 구동캐리지(80)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우측 훅기구(110)에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통상색용 헤드유 닛(50)은 제1 구동캐리지(80)의 통상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86)에 연결되는 동시에, 우측 훅기구(110)에 걸려서 대기위치에 고정된다(도 9 참조).
이어서,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레일(40)의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02). 그러면, 제2 구동캐리지(90)는 커터유닛(6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대기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의 사이에 커터유닛(60)을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커터유닛(60)은 제2 구동캐리지(9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96)와 제1 구동캐리지(8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87)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40)의 오른쪽 끝부분에 고정된다(도 10 참조).
이어서, 제2 구동캐리지(90)의 커터유닛 연결기구(96)와 커터유닛(60)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왼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레일(40)의 왼쪽 끝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03). 그러면, 제2 구동캐리지(90)는 단독으로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왼쪽 끝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좌측 훅기구(120)에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제2 구동캐리지(90)의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97)에 연결되는 동시에, 좌측 훅기구(120)에 걸려서 대기위치에 고정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각 유닛이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되면(도 12 참조),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플러싱한다(단계 S32). 즉,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은 단계 S31에서 대기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유지 장치(140)에 의해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플러싱하여 각 노즐의 막힘 등을 제거한다.
이어서, 좌측 축기구(120)에 의한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걸림을 해제하고,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33). 그러면, 제2 구동캐리지(90)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캐리지(71)에 탑재된 카메라(73)로 플래튼(30)에 반송된 미디어(M)를 촬상한다. 그리고, 카메라(73)의 촬상화상으로부터 미디어(M)의 끝부분 및 원점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검출함으로써, 미디어 폭 및 원점위치를 검출한다(단계 S34). 그리고, 다시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하여 제2 구동캐리지(90)를 이동시킴으로써,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35).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이 미디어(M)의 원점위치로 이동되면, 제2 구동유닛(91)을 구동제어하는 동시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각 잉크젯 헤드 모듈(72)의 토출제어를 함으로써(도 13 및 도 14 참조), 미디어(M)에 특정색을 인쇄한다(단계 S3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캐리지(80)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연결시킴으로써, 통상색용 헤드유닛(5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구동캐리지(80) 또는 제2 구동캐리지(90)에 커터유닛(60)을 연결시킴으로써, 커터유닛(6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구동캐리지(90)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연결시킴으로써,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가이드 레일(40)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레일(40) 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헤드유닛을 3개로 구분함으로써, 하나의 헤드유닛을 경량화,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 및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의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헤드유닛 중 끝쪽에 배치되는 헤드유닛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할당함으로써, 통상시에는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대기위치에 대기시켜 두고, 통상색용 헤드유닛(50) 또는 커터유닛(6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색용 잉크에 의한 인쇄 또는 절삭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특정색 잉크에 의한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 및 커터유닛(60)을 대기위치에 대기시켜 두고, 특정색용 헤드유닛(7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통상색 잉크와 사용빈도가 낮은 특정색 잉크를 별도의 헤드유닛으로 구분함으로써, 인쇄속도 및 절삭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특정색용 헤드유닛(70)을 가이드 레일(40)의 끝쪽에 배치함으로써, 통상색 잉크에 의한 인쇄 및 절삭가공과, 특정색 잉크에 의한 인쇄를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색용 헤드유닛(70)으로부터 사용빈도가 낮은 특정색 잉크만을 토출하도록 함으로써, 특정색용 헤드유닛(70)에서 사용하는 특정색 잉크의 총량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색용 헤드유닛(70)에 공급하는 특정색 잉크는 소용량의 잉크 카트리지(75)로도 충족되기 때문에, 통상색용 헤드유닛(50)과 같이 대용량의 잉크탱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프린터·플로터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 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상색용 헤드유닛(50)으로부터 토출하는 통상색 잉크를 Y, M, C, K의 4가지 색으로 하고, 특정색용 헤드유닛(70)으로부터 토출하는 특정색 잉크를 Lm, Lc의 2가지 색으로 하여 설명하였는데, 다른 색이나 더 많은 수의 색을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통상색 잉크로서 Y, M, C, K, Lm, Lc의 6가지 색을 사용하여도 되고, 특정색 잉크로서 주황색, 초록색, 주적색, 파랑색, 백색, 메탈릭색, 펄색 등의 잉크나,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클리어 잉크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롤러 등의 미디어 반송기구에 의해 미디어(M)를 반송함으로써 인쇄 및 절결가공을 하도록 하여도 되고, 또한 평상(flatbed)형 프린터·플로터 장치와 같이, 미디어(M)를 평판에 올려놓고 고정하며 각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면서 인쇄 및 절결가공을 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는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린터·플로터 장치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 세팅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 세팅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통상색 인쇄·커팅시 대기위치에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통상색 인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절결가공을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하는 도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하는 도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하는 도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특정색 인쇄시 대기위치에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특정색 인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특정색 인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프린터·플로터 장치 10: 본체
30: 플래튼 40: 가이드 레일
50: 통상색용 헤드유닛 51: 캐리지
52: 잉크젯 헤드 모듈 53: 카메라
55: 잉크탱크 56: 튜브
60: 커터유닛 61: 캐리지
62: 커터홀더 63: 카메라
64: 커터부재 70: 특정색용 헤드유닛
71: 캐리지 72: 잉크젯 헤드 모듈
73: 카메라 75: 잉크 카트리지
80: 제1 구동캐리지 81: 제1 구동유닛
82: 구동 도르래 83: 종동 도르래
84: 전동모터 85: 구동벨트
86: 통상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 87: 커터유닛 연결기구
90: 제2 구동캐리지 91: 제2 구동유닛
92: 구동 도르래 93: 종동 도르래
94: 전동모터 95: 구동벨트
96: 커터유닛 연결기구 97: 특정색용 헤드유닛 연결기구
110: 우측 훅기구 120: 좌측 훅기구
130, 140: 보수유지장치 131, 141: 스테이지
132, 142: 건조방지부재 M: 미디어

Claims (2)

  1. 플래튼 위에 놓인 미디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를 하는 동시에, 상기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실시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로서,
    상기 플래튼의 위쪽에 배치된 장척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보유된 제1 헤드유닛, 제2 헤드유닛 및 제3 헤드유닛;
    상기 제1 헤드유닛과 상기 제2 헤드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헤드유닛 및 상기 제2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한쪽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헤드유닛과 상기 제3 헤드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헤드유닛 및 상기 제3 헤드유닛 중 적어도 한쪽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유닛은 상기 미디어에 통상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이고,
    상기 제2 헤드유닛은 상기 미디어에 대하여 절결가공을 하는 커터유닛이고,
    상기 제3 헤드유닛은 상기 미디어에 특정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플로터 장치.
KR1020090033087A 2008-09-25 2009-04-16 프린터·플로터 장치 KR10108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6543 2008-09-25
JP2008246543A JP2010076235A (ja) 2008-09-25 2008-09-25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84A true KR20100035084A (ko) 2010-04-02
KR101084618B1 KR101084618B1 (ko) 2011-11-17

Family

ID=420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087A KR101084618B1 (ko) 2008-09-25 2009-04-16 프린터·플로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87792A1 (ko)
EP (1) EP2233305A4 (ko)
JP (1) JP2010076235A (ko)
KR (1) KR101084618B1 (ko)
CN (1) CN101925467B (ko)
WO (1) WO2010035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7037B2 (ja) * 2010-07-23 2014-05-0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ト・切削装置
JP5830885B2 (ja) * 2011-03-17 2015-12-09 株式会社リコー 色ずれ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色ずれ検知制御プログラム
JP6285093B2 (ja) * 2012-09-07 2018-02-28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CN105290789B (zh) * 2015-11-30 2018-05-18 湘潭大学 一种并联增减材复合制造机床及其复合制造方法
JP2017209796A (ja) 2016-05-23 2017-11-3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JP6966596B2 (ja) * 2016-05-23 2021-11-1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造形装置、造形システム、及び造形方法
JP7213128B2 (ja) * 2019-04-18 2023-01-26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ヘッド付き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6540A (en) * 1986-04-15 1987-08-11 Microdynamics, Inc. Compact plotter for generation of accurate plotted images of long length
JP3332661B2 (ja) * 1994-07-15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958016A (ja) 1995-08-24 1997-03-04 Sony Corp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DE69835249T2 (de) * 1997-02-18 2007-07-05 Canon K.K. Flüssigkeitsausstossvorrichtung
JPH11151896A (ja) * 1997-11-19 1999-06-08 Mutoh Ind Ltd プロッタ
US6842186B2 (en) * 2001-05-30 2005-01-11 Polaroid Corporation High speed photo-printing apparatus
US6739688B2 (en) * 2002-09-25 2004-05-25 Polaroid Corporation Registration error reduction in a tandem printer
US7193640B2 (en) * 2003-10-31 2007-03-20 Polaroid Corporation Printer color registration correction
US7121750B2 (en) * 2004-06-02 2006-10-17 Roland Dg Corporation Inkjet printer with cutting head having smoothly movable heads
JP2006341420A (ja) * 2005-06-08 2006-12-21 Roland Dg Corp 画像作成および切り抜き装置
JP2007090534A (ja) 2005-09-27 2007-04-12 Aica Kogyo Co Ltd 化粧ボード
JP4990001B2 (ja) * 2007-03-30 2012-08-0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プロッ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5467B (zh) 2013-05-01
KR101084618B1 (ko) 2011-11-17
EP2233305A1 (en) 2010-09-29
JP2010076235A (ja) 2010-04-08
EP2233305A4 (en) 2010-11-17
US20110187792A1 (en) 2011-08-04
WO2010035780A1 (ja) 2010-04-01
CN101925467A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618B1 (ko) 프린터·플로터 장치
EP2127890B1 (en) Printing apparatus
US1058953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8186825B2 (en) Printing apparatus
US8029086B2 (en) Prin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807963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US5992964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means for stopping printing and ink jetting capability maintaining operations for one nozzle opening row during a printing operation for another row
JP2008149482A (ja) 記録装置
JP2007261127A (ja) インク供給システム、インクタンク、プリンタ
JP725046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70217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080750A (ja) 印刷装置
KR20110061265A (ko) 노즐막힘 해소 장치가 구비된 잉크젯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노즐막힘 해소 방법
JP3910133B2 (ja) ライン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メンテナンスキット
KR100909246B1 (ko) 프린트 장치
US20110175966A1 (en) Control method for an inkjet printer, and an inkjet printer
JP2016144937A (ja) 印字ヘッドの損傷および汚染を低減させるための制御方法
JPWO2004005034A1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0945278A2 (en) Head loading device
JP467467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メンテナンスキット
US6959977B2 (en) Inkjet print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ejection restoring system
JP201707474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10102503A1 (en) Flushing control method for an inkjet printer, and an inkjet printer
JP201116176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予備吐出方法
JP2008221525A (ja) 液体噴射装置、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