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002A - 써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써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002A
KR20100027002A KR1020090078532A KR20090078532A KR20100027002A KR 20100027002 A KR20100027002 A KR 20100027002A KR 1020090078532 A KR1020090078532 A KR 1020090078532A KR 20090078532 A KR20090078532 A KR 20090078532A KR 20100027002 A KR20100027002 A KR 2010002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roller
cover
recording paper
roller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미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조작성을 향상시킨 후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세트할 수 있으며, 기록지에의 인자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다.
프레임에 설치되고, 커버(8)가 닫힌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13)의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오목부(10d)와, 커버(8)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오목부와의 사이에서 플래튼 롤러(13)의 롤러 샤프트(13e)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과, 플래튼 롤러(13)를 커버(8)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30)를 구비하고, 연결 기구(30)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13)의 회동축은, 한 쌍의 오목부(10d)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오목부(10d)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포함되며, 커버(8)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써멀 프린터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써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써멀 프린터는, 열을 가하면 변색하는 특수한 기록지에 가열한 써멀 헤드를 누름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것이며, 현재 여러가지 종류의 것이 많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토너나 잉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매끄러운 문자의 인쇄나 다채로운 그래픽 인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라벨, 영수증이나 티켓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써멀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발열 소자를 가지는 써멀 헤드와, 써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끼우는 플래튼 롤러와, 기어를 통해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켜 기록지를 송출하는 모터와, 써멀 헤드를 기록지 및 플래튼 롤러측에 가압하는 가압체(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를 구비하고 있다. 또, 써멀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기록지는, 중공구멍을 갖도록 권회(卷回)되어, 롤지가 된 상태로 통상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써멀 프린터로 인쇄를 행할 때에는, 모터에 의해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켜 기록지를 송출하면서, 써멀 헤드를 기록지에 가압한다. 그리고, 인쇄하는 정 보에 의거해 써멀 헤드의 발열 소자를 작동시킴으로써, 정보에 따른 문자나 도형이 써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지에 인쇄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의 인쇄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써멀 프린터를 휴대형의 정보 단말 등에 조립했을 경우, 롤 지를 세트할 때에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를 용이하게 써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의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해, 롤지가 수납되는 하우징측에 써멀 헤드를,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뚜껑 부재)측에 플래튼 롤러를 설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이른바, 플래튼 오픈 타입). 그리고,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의 측벽부에,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 또한 착탈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로크 아암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3-200624호 공보]
여기서, 커버측에 설치된 플래튼 롤러를 프레임측에 로크하려면, 커버를 닫을 때에 플래튼 롤러의 샤프트의 양단부가 함께 로크 아암에 로크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커버를 닫을 때, 커버의 폭방향 일단측 혹은 타단측, 즉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한쪽측에만 있어서 커버를 압하(押下)하면, 그 압하력이 플래튼 롤러의 한쪽측에만 밖에 작용하지 않고, 플래튼 롤러의 한쪽측만이 로크되는, 이른바 편로크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써멀 프린터를 작동시키면, 플래튼 롤러와 써멀 헤드가 균등하게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에 의해 기록지를 송출할 수 없다. 그 결과, 기록지에 정확한 인자를 할 수 없는 채, 인자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인자 정보가 소멸해 기록지에의 인자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서,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중앙 부근 또는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양단측에 있어서 뚜껑 부재를 압하하면, 플래튼 롤러의 양단이 거의 동시에 로크 아암에 로크되고, 플래튼 롤러를 프레임측에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커버가 개폐 동작할 때마다, 의식적으로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중앙 부근 또는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양단측에 있어서 뚜껑 부재를 압하하는 것은 조작성이 나쁘며, 또 커버를 닫은 후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이 확실히 로크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아암이 플래튼 롤러의 샤프트에 걸어맞춤할 때에 찰깍이라고 하는 걸어맞춤음이 나지만, 편로크에서도 양 로크에서도 마찬가지로 소리가 나므로 판별하기 어렵다. 또, 실제로 커버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은 최종 사용자이며, 이들 최종 사용자측까지 주의를 재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후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세트할 수 있으며, 기록지에의 인자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써멀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써멀 프린터는, 기록지가 수납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써멀 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써멀 헤드와의 사이에 상기 기록지를 끼운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록지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써멀 헤드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뚜껑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샤프트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와, 상기 뚜껑 부재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상기 베어링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샤프트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뚜껑 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플래튼 롤러의 회동축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포함되며, 상기 뚜껑 부재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가 한 쌍의 베어링부의 중간점에 있어서 연결 기구에 의해 뚜껑 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 부재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하방(닫힘 방향)을 향해 압하했을 경우에, 뚜껑 부재를 압하하는 압하력이 반드시 연결 기구를 통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뚜껑 부재를 폭방향 중앙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압하했을 경우에서도,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압하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플래튼 롤러는, 샤프트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균등하게 압하되는 것이 되고, 뚜껑 부재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거의 동시에 로크할 수 있다. 즉, 찰깍이라고 하는 걸어맞춤음이 났을 경우에는, 항상 양 로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하게 로크함으로써, 플래튼 롤러와 써멀 헤드를 균등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에 의해 기록지를 연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고, 기록지에 정확, 또한 고정밀도의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 뚜껑 부재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압하했을 경우여도, 종래와 같이 편로크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뚜껑 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를 의식적으로 압하하거나, 닫힘 동작 후에 로크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후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써멀 프린터는,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기구가 플래튼 롤러를 회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기구와 프레임 사이의 치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즉, 뚜껑 부재의 닫힘 동작시에 플래튼 롤러의 샤프트와 프레임 베어링부가 베어링부의 폭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여도, 연결 기구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해 확실히 베어링부 내에 들어가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 기구와 프레임 사이의 치수 오차가 생겼을 경우이어도, 프레임의 베어링부 내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써멀 프린터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가 한 쌍의 베어링부의 중간점에 있어서 연결 기구에 의해 뚜껑 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 부재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하방(닫힘 방향)을 향해 압하했을 경우에, 뚜껑 부재를 압하하는 압하력이 반드시 연결 기구를 통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뚜껑 부재를 폭방향 중앙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압하했을 경우에서도,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 중앙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압하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플래튼 롤러는, 샤프트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균등하게 압하되는 것이 되고, 뚜껑 부재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거의 동시에 로크할 수 있다. 즉, 찰깍이라고 하는 걸어맞춤음이 났을 경우에는, 항상 양 로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함으로써, 플래튼 롤러와 써멀 헤드를 균등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에 의해 기록지를 연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기록지에 정확, 또한 고정밀도의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 뚜껑 부재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압하했을 경우여도, 종래와 같이 편로크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뚜껑 부재의 폭방향 중앙부를 의식적으로 압하하거나, 닫힘 동작 후에 로크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후에, 프레임의 베어링부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써멀 프린터)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써멀 프린터를 구비한 정보 단말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써멀 프린터를, 택배 업자가 고객처에서 카드 결제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의 정보 단말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단말(1)은, 케이스 본체(하우징)(2)와, 이 케이스 본체(2)의 내부에 수납된 써멀 프린터(3)와, 케이스 본체(2)의 표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키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4) 및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5)와, 도시하지 않은 자기카드를 밀어 넣었을 때에 이 자기카드의 자기 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독취부(6)와, 롤 형상으로 권회된 기록지 P를 수납하는 기록지 수납부(7)와, 써멀 프린터(3)의 플래튼 롤러(13)가 후술하는 연결 기구(30)를 개재해 설치되고, 플래튼 롤러(13)와 함께 기록지 수납부(7)를 개폐 가능한 커버(뚜껑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플래튼 롤러의 장착시(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써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기록지 수납부(7)나 커버(8) 등의 부재를 생략한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써멀 프린터(3)는, 기록지 P의 폭방향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10a)를 갖는 프레임(10)과, 표면에 다수의 발열 소자를 갖고, 기록지 P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써멀 헤드(11)와, 이 써멀 헤드(11)를 지지하는 도전성의 헤드 지지체(12)와, 커버(8)가 닫힌 상태에서 써멀 헤드(11)와의 사이에 기록지 P를 끼운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 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13)와, 플래튼 롤러(13)를 회전시켜, 기록지 P를 송출하는 구동 수단(14)과, 프레임(10)과 헤드 지지체(12) 사이에 설치되며, 헤드 지지체(12)를 플래튼 롤러(13)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5)와, 표면에 도시하지 않는 배선 패턴이 설치되고, 써멀 헤드(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보내는 플렉시블 기판(16)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0)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품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그 상면측에는 플래튼 롤러(13)를 수납하는 수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10)은, 기록지 수납부(7)(도 1 참조) 내이며, 롤형상으로 권회된 기록지 P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기록지 P는, 프레임(10)의 하면측(도 3 중하(中下)측)으로부터 상면측(도 3 중상(中上)측)에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부(10b)를 사이로 하여 상기 한 쌍의 측벽부(10a)가 대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10a)에는, 그 상부 둘레가장자리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절개된 오목부(베어링부)(10d)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수용된다. 측벽부(10a)의 내면측에는,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걸어맞춤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1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로크 아암(17)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C자 형상의 것이며,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에 걸어맞춤하여 플래튼 롤러(13)를 써멀 헤드(11)를 향해 끌어들이는 훅부(17a)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7a)에는,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오목 형상의 지지부(17b)(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17b)와 오목부(10d)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훅부(17a)의 후단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훅부(17a)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아암부(17c)(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부(17c)는, 헤드 지지체(12)의 양측방에 배치된 훅부(17a)로부터 헤드 지지체(12)의 양측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헤드 지지체(12)의 이측(裏側)까지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아암부(17c)의 후단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헤드 지지체(12)의 이측에서 한 쌍의 아암부(17c) 사이를 걸치는 탄성 부재 지지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 지지부(17d)는, 헤드 지지체(12)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탄성 부재(15)를 지지하는 것이며, 헤드 지지체(12)와 대략 평행으로 연장하고 있다. 탄성 부재(15)는, 헤드 지지체(12)와 탄성 부재 지지부(17d)를 이간시키는 방향, 즉 훅부(17a)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17)의 훅부(17a)가 오목부(10d)의 둘레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를 로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17)은, 회동 샤프트(20)에 의해 측벽부(1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로크 아암(17) 중, 한쪽의 로크 아암(17)에 있어서의 훅부(17a)의 전단측에는, 로크 아암(17)을 조작하는 레버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부(17e)는, 훅부(17a)의 전단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드리워지도록 연장하는 부재이며, 레버부(17e)의 선단은 레버부(17e)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된 조작편(17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편(17f)을 하방을 향해 압하함으로써, 탄성 부재 지지부(17d)가 회동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하여 헤드 지지체(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훅부(17a)와 오목부(10d) 사이가 확대되어 플래튼 롤러(13)와 훅부(17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편(17f)은, 상술한 정보 단말(1)의 케이스 본체(2)에 설치된 로크 해제 수단(도시않음)에 의해 커버(8)의 열림 동작에 추종하여 압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3)는, 롤러 샤프트(13e)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13c)가 외장된 것이다.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를 개재하여 커버(8)를 닫았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10a)의 오목부(10d)와 로크 아암(17)의 훅부(17a) 사이에 끼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튼 롤러(13)의 일단측의 단부에는 종동기어(13d)가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측벽부(10a)에 지지되었을 때에, 프레임(10)측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기어 전달 기구에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어 전달 기구는, 모터(21)에 접속되어 있고, 이 모터(21)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종동기어(13d)에 전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3)는, 한 쌍의 측벽부(10a)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기록지 P를 프레임(10)의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기어 전달 기구 및 모터(21)는, 상기 구동 수단(14)을 구성하고 있다.
써멀 헤드(11)는, 플래튼 롤러(13)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헤드 지지체(12)에 지지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지 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플래튼 롤러(13)의 둘레면이 써멀 헤드(11)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헤드 지지체(12)와 상술한 로크 아암(17)의 탄성 부재 지지부(17d)의 사이에는, 상술한 탄성 부재(15)가 개재하고 있으며, 탄성 부재 지지부(17d)와 헤드 지지체(12)를 이간시키는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즉, 탄성 부재(15)는, 헤드 지지체(12)를 플래튼 롤러(13)측을 향해 항상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16)은, 그 표면에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선 패턴이 써멀 헤드(11)나 모터(21) 등에 적절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16)의 기단측은, 배선 패턴의 단자부(16a)가 되고 있으며, 정보 단말(1)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써멀 헤드(11)나 모터(21)는, 배선 패턴을 통해 전력이나 제어 신호 등이 입력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써멀 프린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단말(1)의 커버(8)는, 상술한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품이나 금속의 판금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고, 기록지 수납부(7)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버(8)의 일단측에는 커버(8)의 두께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24)에는, 샤프트(23)가 삽통되어 있고, 이 샤프트(23)를 통해 커버(8)가 케이스 본체(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커버(8)의 타단측(선단측)에는, 상술한 플래튼 롤러(13)가 연결 기구(30)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롤러(13)는, 커버(8)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로크 아암(17)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 기구(30)는, 플래튼 롤러(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래킷(31)과, 커버(8)의 타단측에 설치되며 롤러 브래킷(3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브래킷(32)과, 이들 롤러 브래킷(31)과 커버 브래킷(32)을 연결하는 연결 핀(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커버 브래킷(32)은, 커버(8)의 하면(닫힌 상태에서의 기록지 수납부(7)와의 대향면)에 있어서, 커버(8)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34)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길이 방향과 커버(8)와의 폭방향을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지지 플레이트(34)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연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5)는, 선단측의 외주 가장자리에 만곡부(35a)를 가지는 반원 형상의 것이며, 지지 플레이트(34)의 양측으로부터 대향하고, 또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 브래킷(32)은, 측면에서 볼 때 C자 형상(도 4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연결부(35)에는, 서로 겹치는 위치에 연결부(35)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플래튼 롤러 및 롤러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브래킷(31)은, 플래튼 롤러(13)와 간격을 둔 상태로 대향 배치된 베이스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부(40)는,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평판 형상의 것이며, 상술한 커버 브래킷(32)의 지지 플레이트(3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4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3)의 롤러 샤프트(13e)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41)는, 베이스부(4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부재이며,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 양단을 둘러싸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41)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끝이 가늘어지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저변)과 베이스부(40)의 단변이 일치하고 있다. 각 베어링부(41)의 선단측에는, 서로 겹치는 위치에 베어링부(41)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42)에는, 플래튼 롤러(13)의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이 삽통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부(4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커버 브래킷(32)의 연결부(35)에 연결되는 한 쌍의 배면 플레이트(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면 플레이트(43)는, 베이스부(4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베어링부(41)와는 반대측에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부재이며, 서로 평행한 상태로 베이스부(40)를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배면 플레이트(43)는,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끝이 가늘어지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플레이트(43)의 기단(저변)과 베이스부(40)의 장변이 일치하고 있음과 함께, 베이스부(4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경사하는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44)은, 베이스부(4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교차하고 있으며, 이 교점이 배면 플레이트(43)의 선단(정점)을 구성하고 있다. 배면 플레이트(43)의 선단측에는, 배면 플레이트(43)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45)은, 한 쌍의 배면 플레이트(43) 사이에 있어서 겹치도록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여기서, 롤러 브래킷(31)과 커버 브래킷(32)은, 롤러 브래킷(31)의 배면 플레이트(43)가, 커버 브래킷(32)의 연결부(35)의 외측을 덮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러 브래킷(31)과 커버 브래킷(32)은, 배면 플레이트(43) 및 연결부(35)의 각 관통 구멍(36, 45)을 겹쳐맞춘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들 관통 구멍(36, 45) 내에 롤러 브래킷(31)과 커버 브래킷(32)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주 형상의 연결 핀(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핀(33)은,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관통 구멍(36, 45) 내에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이 배면 플레이트(43)의 관통 구멍(45) 내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결부(35)의 관통 구멍(36) 내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롤러 브래킷(31)은, 연결 핀(33)을 중심으로 하여 커버(8)의 면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롤러 브래킷(31)은,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 된 연결 핀(33)에 의해 커버 브래킷(32)에 연결되어 있고,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연결 기구(30)에 있어서의 롤러 브래킷(31)의 회동축은, 한 쌍의 오목부(10d)간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오목부(10d)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포함되며, 커버(8)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된다.
또, 커버 브래킷(32)의 연결부(35)와 롤러 브래킷(31)의 배면 플레이트(43) 사이에는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 핀(33)은 연결부(35)의 관통 구멍(36) 내를 접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중 화살표 참조). 즉, 커버 브래킷(32)과 롤러 브래킷(31)은 연결 핀(33)의 축방향을 따라서 「여유」를 가지고 있고, 롤러 브래킷(31)은 연결 핀(33)의 축방향으로도 이동(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롤러(13)의 위치가, 써멀 헤드(11)가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0)의 위치에 용이하게 맞기 때문에, 무리한 응력이 남지 않는 상태로 플래튼 롤러(13)와 써멀 헤드(11)를 균등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인자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연결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버(8)를 닫을 때에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커버(8)를 압하한 경우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13)의 로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커버의 닫힘 동작시에서의 플래튼 롤러와 측벽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우선, 기록지 수납부(7) 내에 기록지 P를 세트한 후, 기록지 P의 선단을 써 멀 헤드(11)보다 하류측에 인출한 상태로 커버(8)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압하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커버(8)에 설치된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측벽부(10a) 및 로크 아암(17)의 윗가장자리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커버(8)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하방(닫힘 방향)을 향해 더 압하하면, 이 압하력에 의해 커버(8)는 면방향에 있어서 샤프트(23)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틀어진(회동) 상태가 된다(예를 들면, 도 7 중 쇄선 D1, D2 참조). 즉, 플래튼 롤러(13)와 커버(8)는, 연결 기구(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측벽부(10a) 및 로크 아암(17)의 윗가장자리에 맞닿은 상태로, 커버(8)가 플래튼 롤러(13)에 대해서 커버(8)의 면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를 따라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커버(8)를 압하할 때의 압하력은, 커버 브래킷(32)으로부터 연결 핀(33)을 통해 롤러 브래킷(31)으로 전달된다. 롤러 브래킷(31)에 전달된 힘(상술한 압하력)은, 베어링부(41)를 통해 롤러 샤프트(13e)를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3)는,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균등하게 압하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압하된 플래튼 롤러(13)는, 롤러 본체(13c)의 외주면이 써멀 헤드(11)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13)와의 대향면 상을 접동하면서 오목부(10d) 내로 끼어들어 간다. 구체적으로는, 커버(8)를 하방으로 밀어넣으면, 오목부(10d)와 로크 아암(17) 사이에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로크 아암(17)이 회동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해 오목부(10d)와 로크 아암(17)의 사이가 열려 간다. 이 때, 로크 아암(17)이 회동하면, 탄성 부재 지지부(17d)와 헤 드 지지체(12)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15)가 단축하고, 탄성 부재(15)에 탄성력(복원력)이 생기는 것이 된다. 그리고,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오목부(10d) 내에 완전히 들어가면, 단축된 탄성 부재(15)가 신장해 로크 아암(17)이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시에 로크 아암(17)의 지지부(17b)와 롤러 샤프트(13e)의 외주면이 접촉함으로써, 찰깍이라고 하는 걸어맞춤음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거의 동시에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한 쌍의 로크 아암(17)과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의 각각의 걸어맞춤음이 동시에 발생한다. 즉, 걸어맞춤음이 발생했을 때에는,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로크되어 양 로크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수반해 커버(8)가 완전히 닫혀 기록지 수납부(7)가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는, 써멀 헤드(11)와의 사이에 기록지 P를 끼운 상태로, 측벽부(10a)의 오목부(10d)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오목부(10d)의 외주 가장자리와 로크 아암(17)의 훅부(17a) 사이에서 끼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8)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가 거의 동시에 로크된다.
(써멀 프린터의 작동 방법)
다음으로, 써멀 프린터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8)를 닫아 플래튼 롤러(13)가 로크된 후, 써멀 프린터(3)를 작동시켜, 플래튼 롤러(1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롤지가 회전하면서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 P가, 플래튼 롤러(13)의 둘레면과 써멀 헤드(1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하류 측에 송출된다. 이와 동시에, 다수의 발열 소자가 적절히 열을 발한 써멀 헤드(11)에 의해, 송출된 기록지 P에 대해서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지 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8)를 열 때에는, 케이스 본체(2)에 설치된 로크 해제 수단을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해제 수단을 조작하면, 로크 아암(17)의 조작편(17f)이 하방을 향해 압하되고, 훅부(17a)에 의해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13a, 13b)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때, 로크 아암(17)에 설치된 탄성 부재 지지부(17d)가 써멀 헤드(11)에 접근함으로써, 탄성 부재(15)가 단축되어 탄성 부재(15)에 탄성력이 생긴다. 그리고, 이 탄성력이 써멀 헤드(11)를 통해 플래튼 롤러(13)에 전달되고, 플래튼 롤러(13)가 오목부(10d) 내로부터 압출된다. 따라서, 커버(8)가 샤프트(2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커버(8)를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3)와 커버(8) 사이에,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양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30)가 설치되고, 연결 기구(30)가 연결 핀(33)을 중심으로 하여 커버(8)의 면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를 따라 회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8)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하방(닫힘 방향)을 향해 압하한 경우이어도, 커버(8)를 압하할 때의 압하력이, 커버 브래킷(32)으로부터 연결 핀(33)을 통해 롤러 브래킷(31)으로 전달된다. 즉, 커버(8)를 압하하는 힘이 반드시 연결 핀(33)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커버(8)를 폭방향 중앙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압하한 경우에서도, 플래튼 롤러(13)의 축방향 중앙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압하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연결 핀(33)을 통해 롤러 브래킷(31)에 전달된 힘(상술한 압하력 및 복원력)이, 베어링부(41)를 통해 롤러 샤프트(13e)를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작용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3)에는, 롤러 샤프트(13e)의 양단부가 하방을 향해 균등하게 압하되게 되어, 커버(8)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를 거의 동시에 로크할 수 있다. 즉, 찰깍이라고 하는 걸어맞춤음이 났을 경우에는, 항상 양 로크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13)와 써멀 헤드(11)를 균등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13)에 의해 기록지 P를 연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고, 기록지 P에 정확, 또한 고정밀도의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 커버(8)를 폭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압하했을 경우여도, 종래와 같이 편로크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커버(8)의 폭방향 중앙부를 의식적으로 압하하거나, 닫힘 동작 후에 로크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후에, 프레임(10)의 오목부(10d) 내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또, 롤러 브래킷(31)은 연결 핀(33)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기구(30)와 프레임(10) 사이의 치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즉, 커버(8)의 닫힘 동작시에 플래튼 롤러(13)의 롤러 샤프트(13e)와 측벽부(10a)의 오목부(10d)가, 오목부(10d)의 폭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여도, 롤러 브래킷(31)이 연결 핀(33)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확실히 오목부(10d) 내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 기구(30)와 프레임(10) 사이의 치수 오차가 생 겼을 경우이어도, 플래튼 롤러(13)와 써멀 헤드(11)를 균등하게 접촉시킨 상태로, 프레임(10)의 오목부(10d) 내에 플래튼 롤러(13)의 양단부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구멍을 갖도록 권회된 롤지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심관에 기록지가 권회된 롤지를 이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써멀 프린터(3)를 정보 단말(1)에 채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차장 혹은 셀프식의 주유소에 있어서의 급유기의 정산기나, 각종의 음식점포 내 등에 설치되는 매표기 등에 채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 브래킷(31)과 커버 브래킷을 연결 핀(33)을 이용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양자 사이를 볼 등에 의해 연결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써멀 프린터를 구비한 정보 단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래튼 롤러의 장착시를 나타내는 써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써멀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써멀 프린터의 정면도이다.
도 6는 플래튼 롤러 및 롤러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의 닫힘 동작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와 측벽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케이스 본체(하우징) 3…써멀 프린터
7…기록지 수납부 8…커버(뚜껑 부재)
10…프레임 10d…오목부
11…써멀 헤드 13…플래튼 롤러
13e…롤러 샤프트 30…연결 기구

Claims (2)

  1. 기록지가 수납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써멀 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써멀 헤드와의 사이에 상기 기록지를 끼운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록지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써멀 헤드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샤프트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와,
    상기 뚜껑 부재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상기 베어링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상기 샤프트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뚜껑 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플래튼 롤러의 회동축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축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포함되며, 상기 뚜껑 부재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멀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멀 프린터.
KR1020090078532A 2008-08-28 2009-08-25 써멀 프린터 KR20100027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9800 2008-08-28
JP2008219800A JP2010052278A (ja) 2008-08-28 2008-08-28 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002A true KR20100027002A (ko) 2010-03-10

Family

ID=4134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532A KR20100027002A (ko) 2008-08-28 2009-08-25 써멀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94175B2 (ko)
EP (1) EP2159066B1 (ko)
JP (1) JP2010052278A (ko)
KR (1) KR20100027002A (ko)
AT (1) ATE541708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77B1 (ko) * 2011-06-21 2014-12-05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서멀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0881A (ja) * 2009-04-01 2010-10-28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5757768B2 (ja) 2011-04-04 2015-07-2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US9604474B2 (en) * 2014-09-02 2017-03-28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printer
JP6422333B2 (ja) * 2014-09-02 2018-11-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JP2017196876A (ja) * 2016-04-28 2017-11-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874327B2 (ja) * 2016-10-28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769264B2 (ja) * 2016-11-28 2020-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55B2 (ja) * 1986-10-15 1994-10-12 株式会社セコニツク 記録装置
JP2562709B2 (ja) * 1990-03-27 1996-12-11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印字ヘッドの保持構造
US5114251A (en) * 1990-05-25 1992-05-19 Hewlett-Packard Company Self-aligning thermal print head and paper loading mechanism
JP3487397B2 (ja) * 1997-04-09 2004-01-1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感熱記録装置
JP3686543B2 (ja) * 1999-02-05 2005-08-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FR2829964B1 (fr) * 2001-09-21 2003-12-05 Axiohm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ouvrant et verrouillable
JP3734753B2 (ja) * 2001-12-28 2006-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22146B2 (ja) * 2002-07-11 2006-09-13 株式会社サトー ラベルプリンタ
JP4350942B2 (ja) * 2002-12-18 2009-10-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61465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0064269A (ja) * 2008-09-08 2010-03-25 Toshiba Tec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77B1 (ko) * 2011-06-21 2014-12-05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서멀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9066B1 (en) 2012-01-18
US8094175B2 (en) 2012-01-10
EP2159066A3 (en) 2010-10-27
EP2159066A2 (en) 2010-03-03
US20100053297A1 (en) 2010-03-04
ATE541708T1 (de) 2012-02-15
JP2010052278A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7002A (ko) 써멀 프린터
EP0988985B1 (en) Thermal printer
US10675892B2 (en) Printing apparatus
EP1918117B1 (en) Rolled sheet support mechanism and printer
JP5941657B2 (ja)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TW201637889A (zh) 列印單元及熱列印機
US20210023862A1 (en) Ribbon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US20140368598A1 (en) Printer apparatus
JP5573412B2 (ja) 印字装置
JP5454359B2 (ja) 印字装置
JP2011056691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5797518B2 (ja) プリンタ装置
CN111070904B (zh) 热敏打印机
KR100452677B1 (ko) 프린터
US10654296B2 (en) Printing apparatus
JP2011051158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2370417A (ja) 熱転写方式のサーマルプリンタ
JP5798854B2 (ja) プリンタ
JP3741952B2 (ja) プリンタ
JP2014231191A (ja) 開閉構造
JP6221532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5756481B2 (ja) 用紙収納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2009096140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318257A (ja)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JP6443286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