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77B1 - 서멀프린터 - Google Patents

서멀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77B1
KR101470277B1 KR1020140018942A KR20140018942A KR101470277B1 KR 101470277 B1 KR101470277 B1 KR 101470277B1 KR 1020140018942 A KR1020140018942 A KR 1020140018942A KR 20140018942 A KR20140018942 A KR 20140018942A KR 101470277 B1 KR101470277 B1 KR 10147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roller
frame
bearing
gea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412A (ko
Inventor
마사히로 츠치야
유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 및 제조공정수를 늘리지 않고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프레임으로 플라텐 롤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멀프린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멀프린터는, 플라텐 롤러와, 서멀헤드와, 상기 서멀헤드를 구비하고, 측판에 형성된 플라텐 롤러 수용부에서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갖는 서멀프린터로서, 상기 플라텐 롤러 수용부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멀프린터{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서멀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서멀헤드와 플라텐 롤러를 가진 감열식 인자부를 구비한 서멀프린터는 금전 등록기, 휴대형 단말장치, ATM(현금 자동 인출기) 등의 병설 프린터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서멀프린터에 있어서, 장치 본체의 프레임과 개폐커버가 각각 모듈을 구비하고, 개폐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각 모듈이 결합하여 프린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크램쉘 타입의 서멀프린터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크램쉘 타입에서는, 예를 들어, 장치 본체프레임이 서멀헤드를, 개폐커버가 플라텐 롤러를 각각 구비하고, 개폐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이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개폐커버를 고정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폐커버에 플라텐 롤러가 장착되므로, 커버를 열었을 때 함께 플라텐 롤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인쇄용지의 교환 및 종이걸림의 제거를 실시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에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의 플라텐 롤러(51)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요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의 프레임은 본체(100)와 측판(101, 102)으로 구성되고, 용지 가이드부(103), 기어 케이스(10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100)와 측판(101, 102)은 아연 등의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한 일체형 부품이고, 용지 가이드부(103), 기어 케이스(104)는 수지재료를 사용한 몰드 형성품으로, 본체(100) 또는 측판(101, 102)에 끼워져 있다.
프레임은 도시 생략된 서멀헤드, 서멀헤드를 플라텐 롤러(51)에 압압하는 헤드 스프링(53), 플라텐 롤러(51)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21) 등을 구비하고,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5, 7)은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 10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라텐 롤러(51)는, 예를 들어, 도시 생략된 개폐덮개에 장착되고, 이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베어링(5, 7)이 프레임의 측판(101, 102)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 106)에 삽입되며,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고정 지지된다.
용지 가이드부(103)를 따라 공급되는 용지는 플라텐 롤러(51)에 감기면서 반송되고, 플라텐 롤러(51)와 서멀헤드의 사이에서 표면에 인자된다.
도 2에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의 측판(102)에서의 주요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7)이 프레임의 측판(102)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에 삽입되고,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은 금속 등을 재료로 하는 선스프링을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7)이 누름부(9a) 및 프레임의 측판(102)에 형성된 볼록부(10)에 끼워지는 만곡부(9b)가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은 플라텐 롤러(51)의 축과 반대방향으로 굴곡할 수 있으므로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7)을 착탈할 수 있고, 베어링(7)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베어링(7)을 일정한 힘으로 고정 지지하고 있다.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한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을 이용하여 플라텐 롤러(51)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선스프링을 필요로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선스프링의 가공 및 측판(102)에 장착하기 위한 공정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3에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의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 및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의 (a)는 베어링(5, 7), 기어(4), 와셔(6)가 축에 장착된 플라텐 롤러(51)의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각 부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c)는 베어링(7) 및 와셔(6)가 장착된 플라텐 롤러(51)의 축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예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51)는 한쪽 축에 기어(4) 및 베어링(5), 다른쪽 축에 베어링(7) 및 와셔(6)를 구비하고, 전체가 5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5)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의 프레임의 측판(101)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06)에, 베어링(7)은 측판(102)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에 삽입되고, 플라텐 롤러(5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지지된다.
베어링(5, 7)은 각각 플라텐 롤러(51)의 축(11b, 11c)에 삽입되고, 플라텐 롤러(51)의 축이 내부에서 헛돌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어(4)는 플라텐 롤러(51)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D컷 형상인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이 압입되고, 감속기어를 통하여 모터(21)의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플라텐 롤러(51)를 회전구동시킨다. 베어링(7)은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텐 롤러(51)의 축(11c)에 삽입된 후에 와셔(6)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에서는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5, 7)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아연 등의 다이캐스트로, 베어링(5, 7)을 압압하는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이 금속재료인 선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5, 7)이 회전하는 플라텐 롤러(51)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면, 베어링(5, 7)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 106) 및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의 사이에서 마모해 버린다. 이 때문에, 베어링(5, 7)은 플라텐 롤러 수용부(105, 106)에서 고정 지지되고, 기어(4)와 함께 회전하는 플라텐 롤러(51)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어 부품수가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도 4에 종래예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51)와 기어(4)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플라텐 롤러(51), 도 4의 (b)는 기어(4), 도 4의 (c)는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이 삽입된 상태의 기어(4)의 측면도이다.
플라텐 롤러(51)의 기어(4)가 삽입되는 축의 단부(11a)에는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D컷 형상이 되도록 평탄부(12)가 형성되어 있다[도 4의 (a)]. 또한, 기어(4)는 평탄부(13a)를 구비하고,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의 단면에 비해 약간 작은 D컷 형상의 압입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도 4의 (b)], 이 압입구멍(13)에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이 압입된다.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의 평탄부(12)만으로 기어(4)와 끼워 맞춰져 회전하기 위해서는 축(11a)의 단면의 평탄부(12)가 너무 작으면 축(11a)이 헛돌 우려가 있으므로 평탄부(12)를 일정한 크기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탄부(12)가 형성된 축(11a)을 기어(4)의 압입구멍(13)에 압입하여 보다 확실히 고정하기 위하여 압입구멍(13)에도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의 평탄부(12)에 대응하는 평탄부(13a)가 필요하다.
기어(4)에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이 압입되면 기어(4)와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이 D컷면(12)으로 고정된다[도 4의 (c)]. 기어(4)가 회전하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에 형성된 D컷면(12)의 단부에 기어(4)로부터의 힘이 전달되어 기어(4)와 함께 플라텐 롤러(51)가 회전한다.
여기서, 플라텐 롤러(51)의 축(11a)을 기어(4)에 압입할 때에는 플라텐 롤러(51)의 축(11a) 및 기어(4)의 압입구멍(13)의 각 평탄부(12, 13a)가 수평이 되도록 지그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맞춘 후 압입하므로 조립에 일정한 공정수가 필요하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1-56691호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는 플라텐 롤러(51)의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하여 선스프링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금속재료인 프레임의 측판(101, 102)에 접촉하는 베어링(5, 7)은 플라텐 롤러(51)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어 부품수 및 제조에 소요되는 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 및 제조공정수의 삭감에 의해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으로 플라텐 롤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멀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플라텐 롤러와, 서멀헤드와, 상기 서멀헤드를 구비하고, 측판에 형성된 플라텐 롤러 수용부에서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서멀프린터로서, 상기 플라텐 롤러 수용부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측판은 상기 플라텐 롤러 수용부의 주위에 변형가능한 공극이 형성된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압압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측판은 상기 스프링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텐 롤러의 한쪽 베어링과 상기 플라텐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상기 플라텐 롤러의 기어 및 베어링은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의 상기 기어측의 단부는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복수의 평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텐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단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수 및 제조를 위한 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이 플라텐 롤러의 축을 확실히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멀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예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 및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예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와 기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프레임 측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프레임 측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 및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텐 롤러와 기어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서멀프린터의 구성>
이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1)의 주요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프레임의 측판(110)측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프레임의 측판(111)측에서의 사시도이다.
프레임은 본체(130)와 측판(110, 111)이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몰드 성형되어 있다.
서멀헤드(2)는 프레임의 측판(110, 111)에 의해 지지되고, 프레임 본체(130)에 장착된 헤드 스프링(3)에 의해 플라텐 롤러(1)의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1)는 도시 생략된 개폐덮개에 장착되어 있고,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된 기어(15) 및 베어링(16)이 측판(110, 111)의 각각에 형성된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프레임의 측판(111)의 내측에는 모터(21)가 장착되어 있고, 모터(21)가 구동하면 기어 케이스(112) 내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감속기어를 통하여 플라텐 롤러(1)의 기어(15)가 회전한다.
플라텐 롤러(1)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도시 생략된 용지를 감아 반송하고, 서멀헤드(2)가 플라텐 롤러(1)의 사이에서 용지에 인자를 행한다. 인자하는 데이터는 도시 생략된 제어기판으로부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22)을 통하여 서멀헤드(2)에 송신된다.
<플라텐 롤러 수용부의 구성>
도 6에 서멀프린터(201)의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 도 6의 (b)는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프레임의 측판(110)에 형성된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플라텐 롤러(1)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126)를 구비하고 있다.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일점쇄선을 따라 개구부(126)로부터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플라텐 롤러(1)는 베어링(16)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개구부(126)에는 플라텐 롤러(1)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고, 플라텐 롤러(1)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16)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서멀헤드(2)는 헤드 스프링(3)에 의해 플라텐 롤러(1)로 압압되지만, 플라텐 롤러(1)의 축과 반대측에서 Y1만큼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삽입할 때에는 서멀헤드(2)가 플라텐 롤러(1)의 축과 반대측으로 압압되어 움직임으로써,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이 개구부(126)의 돌기(121)를 넘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삽입된다.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하면으로부터의 돌기(121)의 높이를 Y2라고 하면, Y2가 서멀헤드(2)의 이동가능량(Y1)에 비해 너무 크면 베어링(16)의 착탈이 곤란해진다. 또한, Y2가 Y1에 대해 너무 작으면 플라텐 롤러(1)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16)이 이탈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돌기(121)의 높이(Y2)로서는, 서멀헤드(2)의 이동가능량(Y1)보다 크고, Y1의 2배 이하의 범위가, 베어링(16)을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대한 착탈이 가능하고, 나아가 플라텐 롤러(1)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16)이 이탈되는 일도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대측의 측판(111)에도 동일하게 돌기를 갖는 플라텐 롤러 수용부(125)가 형성되고, 플라텐 롤러(1)의 기어(15)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1)는 프레임의 측판(110, 111)이 전술한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에 의해 플라텐 롤러(1)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문에, 종래예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0)에서 이용되고 있던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9)이 불필요해지므로, 부품수를 삭감하고 선스프링의 가공 및 장착을 위한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도 7에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측판(11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플라텐 롤러(1)는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서멀헤드(2)가 헤드 스프링(3)에 의해 압압되고,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는 플라텐 롤러(1)의 축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개구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플라텐 롤러(1)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주위에는 공극(122a)이 형성된 스프링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의 측판(110)에 형성된 스프링부(122)는,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삽입되면 공극(122a)이 눌려 변형되고 비임부(122b)가 베어링(16)을 압압하여 지지한다.
프레임의 측판(110)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주위에, 변형가능한 공극(122a)이 형성된 스프링부(122)를 구비하고,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압압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극(122a)은 프레임의 측판(110) 내에서 폐쇄된 영역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나아가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주위의 상이한 위치에 공극(122a)을 갖는 스프링부(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측판(11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이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프레임의 측판(110)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주위에, 변형가능한 공극(123a, 124a)이 형성된 2개의 스프링부(123, 124)를 구비하고 있다.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에 삽입되면, 스프링부(123, 124)의 각각의 공극(123a, 124a)이 압압되어 변형되고, 비임부(123b, 124b)가 베어링(16)을 그 사이에 두고 압압하여 지지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측판(110)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의 주위에, 변형가능한 공극(123a, 124a)을 갖는 스프링부(123, 124)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의 측판(110)에 2개의 스프링부(123, 124)를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스프링부는 2개보다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플라텐 롤러(1)와 함께 회전하는 베어링(16)이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또한 베어링(16)의 착탈이 가능한 범위에서 베어링(16)을 압압하여 지지하도록 스프링부의 수 및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낸 프레임의 측판(110)의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지지하는 구성은, 반대측 측판(111)에도 마찬가지로 형성함으로써,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을 보다 확실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 기어의 구성>
도 9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1)의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16)및 기어(15)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베어링(16), 기어(15)가 축에 장착된 플라텐 롤러(1)의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각 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플라텐 롤러(1)의 한쪽 축(17b)의 단부에는 기어(15)가, 다른쪽 축(17c)의 단부에는 베어링(16)이 압입된다[도 9의 (a)].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멀프린터(201)는, 프레임이 측판(110, 111)을 포함하여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이 접하는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에도 금속성 부품 등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수지재료로 형성된 베어링을 플라텐 롤러(1)의 축에 압입하여 고정하고,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플라텐 롤러(1)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베어링 자체가 마모하지 않는다.
그래서 한쪽 베어링을 기어(15)와 일체로 형성하여 플라텐 롤러(1)의 축(17b)에 압입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베어링(16)도 플라텐 롤러(1)의 축(17c)에 압입하여 고정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예와 같이 기어와 베어링을 별도의 부품으로 하거나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한 와셔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 플라텐 롤러(1)와 기어(15)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플라텐 롤러(1)의 축(17a)에는 플라텐 롤러(1)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2개의 평탄부(18a, 18b)가 형성되어 있다[도 10의 (a)]. 기어(15)에는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이 압입되는 압입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 10의 (b)]. 압입구멍(19)에는 미리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평탄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축(17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이 기어(15)의 압입구멍(19)에 압입되면 압입구멍(19)이 눌려 펴져 축(17a)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형상이 되고, 평탄부(18a, 18b)가 형성된다[도 10의 (c)]. 기어(15)가 회전하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평탄부(18a, 18b)의 각각의 단부 4점이 기어(15)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플라텐 롤러(1)가 기어(15)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기어(15)에 압입하는 플라텐 롤러(1)의 축(17a)에는 종래예에 관련된 D컷 형상의 평탄부보다 작은 평탄부(18a, 18b)를 형성하고 있다. 기어(15)와 맞물리기 위한 평탄부가 작으면 플라텐 롤러(1)가 헛돌 우려가 있지만, 복수의 평탄부(18a, 18b)를 형성함으로써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기어(15)의 압입구멍(19)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이 압입됨으로써 축(17a)의 평탄부(18a, 18b)를 따른 형상이 되어 축(17a)과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1)의 축(17a)을 기어(15)의 압입구멍(19)에 압입시킬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D컷면이 맞도록 육안으로 맞추어 기어에 축을 압입시킬 필요가 없어 조립에 필요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측판(110, 111)이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에도 금속재료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수지재료로 형성된 베어링이 플라텐 롤러(1)와 함께 회전하더라도 마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한쪽 베어링을 기어(15)와 일체로 형성하여 압입하고, 다른쪽 베어링도 압입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정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판(110, 111)에 형성된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가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126)를 구비하고, 플라텐 롤러(1)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돌기(121)를 형성함으로써, 플라텐 롤러 누름스프링 등을 추가하지 않고서 플라텐 롤러(1)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선스프링 등의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이 가능하고, 또한 플라텐 롤러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측판(110, 111)의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의 주위에 변형가능한 공극(122a)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부(122) 등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플라텐 롤러 수용부(120, 125)를 구비한 프레임의 측판(110, 111)이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재료로 형성된 플라텐 롤러(1)의 베어링을 기어(15)와 일체로 형성하고, 플라텐 롤러(1)의 축(11a)에 압입하여 플라텐 롤러(1)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어(15)에 압입하는 플라텐 롤러(1)의 축단부에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복수의 평탄부(18a, 18b)를 형성해 압입함으로써 조립에 필요한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용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수 및 제조공정수를 늘리지 않고도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프레임으로 플라텐 롤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멀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로 설명한 구성 등에 그 밖의 요소를 조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고, 그 응용형태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본원은 2011년 6월 21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37668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한다.
1 : 플라텐 롤러
2 : 서멀헤드
3 : 헤드 스프링
15 : 기어
16 : 베어링
18a, 18b : 평탄부
110, 111 : 프레임의 측판
120, 125 : 플라텐 롤러 수용부
121 : 돌기
122, 123, 124 : 스프링부
122a, 123a, 124a : 공극
126 : 개구부
130 : 프레임 본체
201 : 서멀프린터

Claims (4)

  1. 플라텐 롤러와,
    측판에, 개구부를 갖는 플라텐 롤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텐 롤러 수용부에서 상기 플라텐 롤러의 베어링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상기 플라텐 롤러를 향해 압압되는 서멀 헤드와,
    상기 개구부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서멀 헤드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서멀 헤드에 대향하는 단일 돌기이고,
    상기 플라텐 롤러는,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해 상기 돌기를 향해 압압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에, 공극이 형성된 단일 스프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라텐 롤러가 상기 플라텐 롤러 수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서멀 헤드는 상기 스프링부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측과 반대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서멀 헤드의 이동가능량이 상기 돌기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멀프린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서멀 헤드의 이동가능량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멀프린터.
KR1020140018942A 2011-06-21 2014-02-19 서멀프린터 KR10147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7668A JP5881978B2 (ja) 2011-06-21 2011-06-21 サーマルプリンタ
JPJP-P-2011-137668 2011-06-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53A Division KR20120140595A (ko) 2011-06-21 2012-02-20 서멀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412A KR20140043412A (ko) 2014-04-09
KR101470277B1 true KR101470277B1 (ko) 2014-12-05

Family

ID=463841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53A KR20120140595A (ko) 2011-06-21 2012-02-20 서멀프린터
KR1020140018942A KR101470277B1 (ko) 2011-06-21 2014-02-19 서멀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53A KR20120140595A (ko) 2011-06-21 2012-02-20 서멀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9632B2 (ko)
EP (1) EP2537681B1 (ko)
JP (1) JP5881978B2 (ko)
KR (2) KR20120140595A (ko)
CN (1) CN102837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4900B2 (en) 2015-10-26 2021-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ment of disk to shaft using a wedge
CN106313908A (zh) * 2016-08-22 2017-01-11 厦门顶尖电子有限公司 热敏打印机芯胶辊轴与主支架开口轴承的配合结构
US20190016004A1 (en) * 2017-07-17 2019-01-17 Elsner Engineering Works, Inc. Thermal compensating mount for a knife roll in a web processing machine
JP7066356B2 (ja) * 2017-08-30 2022-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KR102023978B1 (ko) * 2017-10-24 2019-09-23 디에스글로벌(주)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KR102337520B1 (ko) * 2018-07-18 2021-12-10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장치의 플래튼롤러 설치구조
CN112631078A (zh) * 2019-10-08 2021-04-09 旭东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反射式无掩膜激光直写曝光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205A (ja) * 2005-06-22 2007-02-08 Fujitsu Component Ltd 印字装置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KR20100027002A (ko) * 2008-08-28 2010-03-1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써멀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142U (ja) 1982-06-24 1983-12-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ペン式記録装置のシ−ト押え機構
JPH10147023A (ja) * 1996-09-19 1998-06-02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4675469B2 (ja) * 2000-08-08 2011-04-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装置
JP2003237118A (ja) * 2002-02-21 2003-08-27 Sii P & 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3687912B2 (ja) * 2002-08-29 2005-08-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ユニット
JP4350942B2 (ja) * 2002-12-18 2009-10-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5108072B2 (ja) * 2005-06-22 2012-1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印字装置
JP4273110B2 (ja) * 2005-09-14 2009-06-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フレームオープン機構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5196719B2 (ja) * 2005-10-25 2013-05-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61465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61464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5037289B2 (ja) * 2007-10-04 2012-09-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および印字装置
JP4913011B2 (ja) * 2007-10-17 2012-04-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2010240881A (ja) * 2009-04-01 2010-10-28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1056691A (ja) 2009-09-07 2011-03-24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205A (ja) * 2005-06-22 2007-02-08 Fujitsu Component Ltd 印字装置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KR20100027002A (ko) * 2008-08-28 2010-03-1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써멀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7681A1 (en) 2012-12-26
CN102837503A (zh) 2012-12-26
EP2537681B1 (en) 2020-12-09
CN102837503B (zh) 2015-04-29
JP5881978B2 (ja) 2016-03-09
JP2013001076A (ja) 2013-01-07
KR20120140595A (ko) 2012-12-31
US20120327165A1 (en) 2012-12-27
US8659632B2 (en) 2014-02-25
KR20140043412A (ko)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277B1 (ko) 서멀프린터
US7446790B2 (en) Thermal printer
US8419302B2 (en) Printing apparatus
KR101284503B1 (ko) 서멀프린터
JP5108073B2 (ja) 印字装置
EP1914083B1 (en) Thermal printer unit
JP2017196743A (ja)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CN107379779B (zh) 热敏打印机和便携式终端
US8189025B2 (en) Thermal printer
CN111196514B (zh) 滚轮结构
CN107379778B (zh) 热敏打印机和便携式终端
EP2039526A2 (en) Printing apparatus
JP2003237118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8293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16653A (ja) 定着装置
JP38859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04551A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JP2023019648A (ja) プリンタ
JP2008110484A (ja) 印刷装置
JP2008110483A (ja) 印刷装置
CN115534541A (zh) 印刷装置
CN116619898A (zh) 印刷装置
JP2005112501A (ja) 紙送り装置
JP2006072141A (ja) スキャナおよびスキャナ付プリンタ
JP200600764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