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78B1 -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 Google Patents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78B1
KR102023978B1 KR1020170138154A KR20170138154A KR102023978B1 KR 102023978 B1 KR102023978 B1 KR 102023978B1 KR 1020170138154 A KR1020170138154 A KR 1020170138154A KR 20170138154 A KR20170138154 A KR 20170138154A KR 102023978 B1 KR102023978 B1 KR 10202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ad
platen roller
paper
photo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494A (ko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7013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78B1/ko
Priority to PCT/KR2018/011740 priority patent/WO2019078518A1/ko
Priority to US16/757,095 priority patent/US11117397B2/en
Publication of KR2019004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및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에 열을 가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롤러는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의 성능이 일반 디지털카메라에 근접하고 있고, 디지털 카메라보다는 늘 휴대하기 쉬운 스마트 기기로 사진을 찍어 추억을 담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다른 변환작업 없이 사진을 찍고 즉시 출력하길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같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듯 스마트폰 속 사진을 언제 어디서나 바로 인화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제품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포토 프린터는 여러 유형이 있으나 특히, 제로(Zero) 잉크 방식을 채용한 인화용지를 적용하여 추가로 잉크나 카트리지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적게 발생하는 포토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로 잉크 방식은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용지에 포함되어 있어 오로지 열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다시 말하면,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염료가 용지에 적층되어 있어 헤드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사진)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토 프린터(100)는 베이스(110)와, 픽업롤러(R1)와 플래튼롤러(R2), 헤드(143), 스윙브라켓(150)과 가압수단(16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다수의 용지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용지공급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전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베이스(115)가 결합된다.
상기 픽업롤러(R1)는 상기 베이스(110)의 용지공급부(111) 바닥면에 돌출되어 적층된 용지 중 최하부에 위치된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플래튼롤러(R2)는 상기 픽업롤러(R1)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축이 상기 하부베이스(115)에 결합된다.
상기 플래튼롤러(R2)의 상부에는 헤드(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온도에 대응하는 색을 표현함으로써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화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140)의 상부에는 세라믹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세라믹판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방열판(14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140)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를 위한 PCB(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방열판(141)의 하면에 헤드(140)와 PCB(142)가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용지가 진입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헤드(14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140)는 스윙브라켓(150)의 전측에 형성된 장착부(15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용지가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진입할 때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의 사이 간격이 확장되도록 상기 스윙브라켓(150)의 후측은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에 형성된 회동축(113)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밀착하여 열을 전달하는데, 이와 같이 헤드(140)를 용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헤드(14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160)은 상기 헤드(140)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161)와, 상기 가압부(161)를 스윙브라켓(150)의 회동축(113)과 동축으로 회동시키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압수단(160)에 의해 헤드(140)를 상부에서 가압하더라도 걸림턱(153)이 베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115a)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헤드(140)가 플래튼롤러(R2)와 접하지 않고 간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토 프린터는 헤드(140)를 조립할 때 플래튼롤러(R2)에 접하지 않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걸림턱(153)과 스토퍼(115a)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극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턱(153)과 스토퍼(115a)의 기구적인 오차로 인해 양측의 간극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또한 조립 과정에서 설정된 간극과 다르게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플래튼롤러는 헤드가 가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러버의 형태가 압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플래튼롤러를 교체해야 하는데, 플래튼롤러의 교체가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제10-2016-1169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포토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및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에 열을 가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롤러는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래튼롤러의 축에는 링형태의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는 원주면 중 일부가 선형으로 변형된 디컷(D-cut)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부싱이 안착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끝단까지 연장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폭은 상기 안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에 상기 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브라켓; 상기 스윙브라켓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용지에 밀착시키는 가압수단; 및 상기 스윙브라켓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를 들어 올려 상기 플래튼롤러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편심부가 구비되는 헤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지지부재는 상기 부싱과 일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편심되어 있는 헤드지지부재를 회전시켜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의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1)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이다.
상기 포토 프린터(1)는 베이스(10)와, 픽업롤러와, 플래튼롤러(30)와, 헤드(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용지가 수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픽업롤러(도 3의 'R1' 참조)는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플래튼롤러(30)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헤드(20)는 용지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헤드(20)가 스윙브라켓(도 1의 '150'참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브라켓을 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수단(도 1의 '160'참조)과, 상기 가압수단을 하방으로 당기는 스프링(S)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윙브라켓은 상기 헤드(20)가 전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스윙브라켓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헤드(20)는 플래튼롤러(30)에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에 용지가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헤드지지부재(5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플래튼롤러(30)는 상기 베이스(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축에는 링형태의 부싱(40)이 구비된다. 상기 부싱(40)은 또한 디컷(D-cut)부(41)가 형성되어 원주면 일부가 선형으로 절단되어 있다. 상기 부싱(40)은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벽에는 상기 부싱(40)이 안착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에서 끝단까지 연장된 관통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1a)는 상기 디컷부(41)가 통과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관통부(41)의 폭은 상기 안착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관통부는 부싱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디컷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싱은 디컷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싱의 일측에는 헤드지지부재가 일체형성된다.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상기 스윙브라켓의 하방에서 헤드(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2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편심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벽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이 플래튼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지만, 이와 달리 플래튼롤러의 일단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착부도 베이스의 일측벽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플래튼롤러(30)가 베이스(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양측에 구비된 부싱(40), 특히, 디컷부(41)가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할 수 있도록 플래튼롤러(30)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컷부(41)가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하여 부싱(40)이 안착부(11)에 안착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상기 플래튼롤러(30)를 90˚회전시켜 디컷부(41)가 상하에 위치되고, 관통부(11a)가 형성된 전면에는 부싱(40)의 원호부(디컷부가 아닌 원주면)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플래튼롤러(30)를 회전시키게 되면, 부싱(40)의 원호부는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플래튼롤러(30)가 베이스(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래튼롤러(30)의 교체나 수선을 위해 탈거해야 할 경우에는 다시 플래튼롤러(30)를 90˚회전시켜 디컷부(41)가 관통부(11a)가 형성된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는 부싱(40)의 원호부가 상하에 위치되게 되며, 상기 디컷부(41)가 관통부(11a)를 통과하여 플래튼롤러(30)를 베이스(10)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편심부(52)가 베이스(10)에 결합된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헤드지지부재(50)가 회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헤드(20)와 플래튼롤러(R2) 사이의 간극(d1)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설정된 간극(d1)이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헤드지지부재(50)에는 원호 형태의 장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3)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핀(54)이 구비된다. 상기 장공(53)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고정핀(54)이 베이스의 측벽에 느슨하게 결합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하여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에 간극(d1)을 형성한 다음, 고정핀(54)을 체결하여 상기 헤드지지부재(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헤드지지부재(50)를 베이스(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전지그(55)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그(55)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지지부재(50)에 형성된 기어치(51)와 치합시킨 후,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지그(55)는 설정대로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의 간극(d1)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로서, 포토 프린터의 제조공정에서 이용하는 것일 뿐, 포토프린터의 구성이 아니다.
1: 포토프린터
10: 베이스
20: 헤드
30: 플래튼롤러
40: 부싱
41: 디컷부
50: 헤드지지부재
51: 기어치
52: 편심부
53: 장공
54: 고정핀
55: 회전지그

Claims (3)

  1. 용지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픽업롤러;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되는 플래튼롤러;
    링형태로 형성되고, 원주면이 선형으로 변형되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디컷(D-cut)부와, 상기 디컷부에 이웃하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호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래튼롤러의 축에 구비되는 부싱;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
    전측에는 상기 헤드가 결합되고, 후측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브라켓;
    상기 헤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윙브라켓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편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일측에 일체형성되는 헤드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부싱의 원호부가 안착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의 전단까지 수평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폭은 상기 원호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한 쌍의 디컷부 사이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KR1020170138154A 2017-10-18 2017-10-24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KR10202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54A KR102023978B1 (ko) 2017-10-24 2017-10-24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PCT/KR2018/011740 WO2019078518A1 (ko) 2017-10-18 2018-10-04 포토 프린터
US16/757,095 US11117397B2 (en) 2017-10-18 2018-10-04 Photo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54A KR102023978B1 (ko) 2017-10-24 2017-10-24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33A Division KR20190095203A (ko) 2019-07-29 2019-07-29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494A KR20190045494A (ko) 2019-05-03
KR102023978B1 true KR102023978B1 (ko) 2019-09-23

Family

ID=6658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54A KR102023978B1 (ko) 2017-10-18 2017-10-24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71A (ja) * 1992-06-29 1994-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タ
JPH09314948A (ja) * 1996-05-23 1997-12-09 Sato:Kk ラベルプリンターのラベル巻込み防止装置
JP5881978B2 (ja) * 2011-06-21 2016-03-0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KR20160104297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토 프린터
KR101670785B1 (ko) 2015-03-31 2016-10-31 대한민국 각속도센서 점검장치
KR101950179B1 (ko) * 2016-01-06 2019-02-22 디에스글로벌(주) 포토 프린터용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494A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81B1 (ko) 포토 프린터
JP637700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ためのモジュール・プリント・バー・アセンブリ
JP4000478B2 (ja) 昇華型プリンタ
KR102023978B1 (ko)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KR20190095203A (ko)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
KR102023982B1 (ko) 프린터 급지장치
KR102131940B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1982666B1 (ko) 포토 프린터
US10086624B2 (en) Photo printer
KR102047522B1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조방법
US10086630B2 (en) Photo printer
US11117397B2 (en) Photo printer
KR102047524B1 (ko) 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헤드가압구조를 갖는 포토 프린터
KR102047525B1 (ko) 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헤드가압구조를 갖는 포토 프린터
KR102023981B1 (ko) 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헤드가압구조를 갖는 포토 프린터
KR102047526B1 (ko) 사진 끝단의 변색현상이 방지되는 포토 프린터
KR102023979B1 (ko) 기어의 축간 거리 유지수단이 구비된 포토 프린터
US10245855B2 (en) Photo printer
JP2007268878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20190063324A (ko) 플래튼롤러와 헤드의 용지방향 정렬이 용이한 포토 프린터
KR20190062334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3419A (ja) 昇華型プリンタ
KR20190056623A (ko) 헤드 장착이 용이한 포토 프린터
KR20190056625A (ko) 플래튼롤러의 이물방지 기능이 있는 포토 프린터
JP2009184156A (ja) 熱転写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