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485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485A
KR20100024485A KR1020107000703A KR20107000703A KR20100024485A KR 20100024485 A KR20100024485 A KR 20100024485A KR 1020107000703 A KR1020107000703 A KR 1020107000703A KR 20107000703 A KR20107000703 A KR 20107000703A KR 20100024485 A KR20100024485 A KR 2010002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andle
attachment
toothbrush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하르트 크레스너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2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부착부, 특히 부착 가능한 브러시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와, 부착부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열, 특히 구동 샤프트를 갖는 칫솔 손잡이부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칫솔 손잡이부의 손잡이부 목부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특히 부착 가능한 브러시일 수 있는 상기 부착부에 관한 것이다. 칫솔 손잡이부는 구동열 부분을 구속, 저지 및/또는 제동하기 위한 분리 가능한 구속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구속 수단은 부착 가능한 브러시가 부착될 때 자동으로 해제되고, 부착 가능한 브러시가 제거될 때 구속 상태로 전이된다. 구동열 부분의 구속 상태에서, 구동 모터는 자동으로 꺼진다.

Description

칫솔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부착부, 특히 브러시 부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장치와, 부착부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열 부분, 특히 구동 샤프트를 갖는 칫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칫솔 손잡이의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연결편을 갖는, 특히 브러시 부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기 부착부에 관한 것이다.
EP 0 500 537 B1호로부터, 브러시 부착부가 한편으로는 전방 단부에서 돌출하는 칫솔 손잡이의 샤프트형 손잡이 목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로부터 돌출하는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전동 칫솔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 목부는 대략 원통형 스터브(stub)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러시 부착부의 대략 튜브형인 연결편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되어 그를 정밀한 끼워 맞춤식으로 파지할 수 있다.
그러한 부착 가능한 브러시 부착부에서, 칫솔 구동부의 진동 및 브러싱 힘은 때때로 부착부의 체결의 원하지 않는 분리를 일으키고, 이에 의해 브러시 부착부로의 구동 운동의 전달이 훼손되고, 구동열은 증가되는 마모를 받고; 부착부가 계속하여 활주되면,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구동 샤프트로부터의 상해 위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손잡이 목부와 브러시 부착부 사이의 끼워 맞춤은 흔히 브러시 부착부가 큰 힘을 가해서만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빈틈 없는 것으로 선택되었다. 대조적으로, 스냅 연결 수단이 브러시 부착부와 칫솔 손잡이 사이에 제공될 정도로, 단순 스냅 결합을 위해 요구되는 공차는 흔히 연결의 유격 및 끼워 맞춤 정밀도를 훼손한다. 또한, 덮개식(plug-on) 브러시와 칫솔 손잡이 사이의 연결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되어야 한다면 구동열 마모 및 상해 위험의 언급한 문제점은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러한 전동 칫솔은 때때로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켜지는 문제점을 또한 보이기도 했다. 특히, 여행 시에 조밀하게 꾸려진 여행 가방 내에서 운반될 때, 주위 물체로부터 스위치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모터의 원치 않는 켜짐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주 가능한 잠금 장치에 의해 꺼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잠금 가능한 켜짐 버튼이 공지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 장치는 여행 가방 내의 압력에 의해 스스로 잠금 해제될 수 있어서, 켜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바람직하지 않은 방전은 물론, 브러시 부착부의 브러시 헤드 또는 돌출 샤프트가 제거되어 물체에 대해 마찰되면 브러시 또는 주변 물체에 대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고 종래 기술을 유리한 방식으로 개발하는, 개선된 칫솔, 개선된 칫솔 손잡이 및/또는 그러한 칫솔 손잡이를 위한 개선된 부착부를 생성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바람직하게는, 작은 힘으로 쉽게 조작되고, 부착부에 칫솔 손잡이 상에서의 고정 유지를 제공하고, 칫솔 구동열의 원치 않는 활성화를 방지하고, 칫솔 손잡이의 구동열로부터의 어떠한 상해의 위험도 제거하는, 부착부와 칫솔 손잡이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따른 칫솔 손잡이, 제29항에 따른 그러한 칫솔 손잡이를 위한 부착부 및 제49항에 따른 칫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따라서, 칫솔 손잡이의 구동열 부분, 특히 구동 샤프트가 구동 모터의 원치 않는 켜짐의 경우에도 구동열의 위험한 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저지되거나 구속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칫솔 손잡이는 구동열 부분의 구속, 저지 및/또는 제동을 위한 분리 가능한 구속 수단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구속 수단은 부착부가 칫솔 손잡이 상으로 위치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특히 브러시 부착부가 손잡이 상에 위치될 때 구속 수단이 해제되고 브러시 부착부가 제거될 때 구속 수단이 그의 구속 상태로 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구속 수단은 구동 모터를 위한 전자식 꺼짐 메커니즘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샤프트의 구속이 있을 때 구동 모터를 끄는 바람직하게는 전자식인 꺼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식 꺼짐 장치가 칫솔의 구동 샤프트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고 등록하면, 바로 모터와 또한 특히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의 꺼짐이 발생한다. 구동 샤프트의 구속 상태의 검출은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속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편이 그의 구속 위치에 있을 때, 구동 모터는 꺼진다. 그러나, 유리한 실시예에서, 모터의 꺼짐은 그의 전력 소모에 기초하여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꺼짐 장치는 모터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 전류가 소정의 수준을 초과하면 구동 모터를 끌 수 있다. 이는 구동 샤프트가 저지되거나 구속될 때 발생한다. 순간 전류 또는 전압 피크 중에 원치 않는 꺼짐을 회피하기 위해, 꺼짐 장치는 모터 전류가 소정의 시간 초과, 예를 들어 5초 초과의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여 유지될 때까지 모터가 꺼지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 모터의 전자식 꺼짐과 연동하여 부착부가 제거될 때의 칫솔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의 그러한 기계식 구속을 통해, 배터리 보호가 구비된 매우 단순한 여행 안전 시스템이 달성될 수 있다. 부착부는 칫솔 손잡이의 원치 않는 켜짐을 방지하기 위해 칫솔 손잡이로부터 단지 제거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손잡이가 예를 들어 여행 가방 내에 부정확하게 위치되더라도, 칫솔의 배터리는 우발적으로 방전될 수 없다.
부착부가 손잡이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때 구속 수단의 자동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 장치의 위치의 함수로서 구속 수단의 맞물림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구속 수단에 할당되고, 제어 장치는 유리하게는 부착부가 연결될 구속 수단이 해제되고 부착부가 제거될 때 구속 수단이 그의 구속 위치에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브러시 부착부가 손잡이 상에 바르게 안착되지 않으면 칫솔 구동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특히 회전식 구동 샤프트로 인한 상해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속 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고, 원칙적으로 제어 기술 또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구속 수단을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속 수단의 기계적 구성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구속 수단은 유리하게는, 구속편의 비잠금 위치에서 손잡이의 구동 샤프트와 맞물리도록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구동 샤프트 상으로 가압될 수 있는 구속편 상의 맞물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구속 수단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 및 손잡이 상의 상기 구속편 상에서 편평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위치에서의 더 양호한 유지를 달성하기 위해, 편평 영역들은 또한 상보적이고 오목하고 볼록하게, 예를 들어 약간 V 형상으로 그리고 약간 부풀어 오르게 이에 대해 상보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속편이 그의 편평 영역에서 구동 샤프트의 대응하는 편평 영역 상으로 가압될 때, 구동 샤프트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상기 편평 영역들은 유리하게는 재킷 표면 상에 위치된다. 부착부의 결합 상태의 함수로서 구속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손잡이 목부 상에서, 손잡이는 강제식 및/또는 마찰식 잠금, 구속, 또는 제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동 샤프트와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를 갖는 구속편을 가질 수 있고, 구속편은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속편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칫솔 손잡이의 파지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가압되어, 브러시 부착부가 손잡이 상에 위치되지 않을 때, 구속편은 부착부가 방해 받지 않고 부착될 수 있으며 구동 샤프트가 저지되거나 구속되는, 손잡이에 대해 한정된 위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목부는 손잡이의 하우징과 단일편으로 설계된다.
손잡이 목부 상의 구속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과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횡방향 이동에 의해 작동하고,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은 유리하게는 구속 수단의 작동을 일으키고 횡방향 이동은 유리하게는 잠금을 일으킨다. 유리하게는, 칫솔 손잡이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속편을 갖고, 상기 구속편은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이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구속 수단의 맞물림부의 횡방향 이동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장착 및/또는 설계된다.
여기서, 축방향 작동 이동은 유리하게는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부착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부착부의 부착 또는 제거는 말하자면, 손잡이 상의 구속 수단의, 부착 또는 제거 이동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이동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 따르면, 부착부는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는 그의 연결편이 손잡이 목부 상으로의 연결편의 배치 중에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축방향 후방 밀림을 위한 맞닿음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부 상의 상기 맞닿음 표면은 유리하게는, 부착부와 칫솔 손잡이가 함께 위치되면 칫솔 손잡이의 구속편을 맞닿음 표면이 포획하여 구속편을 칫솔 손잡이의 파지부를 향해 축방향 후방 활주시켜서 말하자면 부착부가 부착될 때 잠금이 자동으로 발생하는 방식으로, 손잡이 상의 구속편에 형상 및 위치가 정합된다.
잠금을 생성하는 구속 수단의 맞물림부의 횡방향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확장 메커니즘이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목부와 칫솔 손잡이의 구속편 사이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전술한 맞물림부는 상기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 시에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파지부로부터 멀리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당겨진다. 유리하게는, 구속편 자체는 대응하는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상기 확장 메커니즘에 의해 내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맞물림부는 구속편 상에 바로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서 단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메커니즘은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방향 이동은 한 쌍의 비스듬한 표면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편은 손잡이 목부 상에 제공된 비스듬한 표면 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구속편은 파지부로부터 멀리 후방으로 활주될 때 내측으로 가압된다.
확장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이 없으면 구속편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그 반대도 가능한 강제 가이드로서 설계된다. 그러므로, 확장 메커니즘은 구속편의 외측 이동이 대응하는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보장될 뿐만 아니라 내측 이동도 대향하는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보장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구속편은 유리한 실시예에서 일 단부에서 손잡이 목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에서 구속편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로드를 갖는 로드 가이드에 의해 손잡이 목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선회 축은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원칙적으로, 맞물림부의 영역 내에서 원하는 확장을 달성하기 위해 맞물림부의 영역 내에서 단지 하나의 로드에만 구속편을 연결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여기서, 구속편은 맞물림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된 세그먼트 상에서, 손잡이 목부 상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2단식 구성이 생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구속편은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에 의해, 서로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 손잡이 목부 상의 적어도 2개의 로드에 연결되어, 구속편은 본질적으로 회전 성분이 없이 평행한 방식으로 로드에 의해 미리 결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는 손잡이의 종방향으로의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이에 대해 횡방향인 교차 이동 성분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한 선회 로드 가이드에 대해 대안적으로, 구속편은 활주 가이드에 의해 또한 확장될 수 있고, 구속편은 유리하게는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이 방사상 이동으로 강제 변환되는 방식으로 활주 가이드에 의해 강제로 안내된다. 유리하게는, 강제 안내는 양 방향으로 주어지고, 즉 구속편이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구속편은 외측으로 가압되고, 이동이 반대 방향일 때, 그는 내측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활주 가이드는 예를 들어, 유리하게는 구속편을 대향 측면들 상에서 활주식으로 안내하는 채널 가이드,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dovetail) 채널 가이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활주 가이드는 유리하게는, 바람직하게는 구속편 내의 가이드 슬롯 링크와 손잡이 목부 상의 안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노우즈(nose)를 갖는 활주 블록 가이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구속편은 말하자면, 활주 블록 가이드에 의해 소정의 경로를 따라 확장될 수 있는 활주 블록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이드 슬롯 링크는 구속편이 가이드 돌출부와 맞물리는 손잡이 목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확장 이동의 크기 및 거리는 활주 블록 가이드의 기울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활주 블록 가이드는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가이드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상이한 확장 이동이 구속편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발생한다. 특히, 활주 블록 가이드는 약간의 기울기만을 갖거나, 유리하게는 본질적으로 기울기가 없이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지는 시작 및 단부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더 큰 기울기를 갖는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세그먼트 내에서, 약간만 기울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은 가이드 세그먼트들이 구속편을 본질적으로 축방향 힘이 없이 각각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원하는 확장 이동은 더 많이 기울어진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이 달성되면, 활주 블록 가이드는 말하자면 평탄부 상에서 이동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위치가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작 및 단부 세그먼트는 상기 중심 세그먼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질 수 있어서, 단부 위치로의 이동 중에, 말하자면 구속편의 약간의 과도한 가압이 발생하고, 구속편은 각각의 단부 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활주 가이드 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속편에 대해 대안적으로, 축방향 작동 이동 성분을 회전 이동을 거쳐 횡방향 이동 성분과 조합시키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구속편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구속편은 칫솔의 종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선회 축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손잡이 목부 상에 장착되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캠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캠은 구동 샤프트를 그의 구속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그와 맞물리고, 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 샤프트를 해제한다.
유리하게는, 구속 수단은 동시에 손잡이 목부 상에서의 부착부의 강제식 및/또는 마찰식 잠금을 위한 결합 장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2중 기능은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종방향 및 그에 대해 횡방향인 이동을 통해 손잡이 목부 상에서 부착부의 연결편과 맞물릴 수 있는 결합편을 구속편이 동시에 형성하므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는 구속편의 위치는 동시에 결합편의 잠금 위치를 형성할 수 있고, 즉 구속편은 구동 샤프트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있을 때 부착부를 잠근다.
여기서, 구속편은 특히 그의 방사상으로 외측에 위치된 측면 상에서, 예를 들어 부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연결편 또는 결합편의 내측 재킷 표면 상에 제공된 외향 리세스 내로 이동될 수 있는 맞물림 돌출부 형태의 맞물림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탄성 스냅 연결이 또한 구속편과 부착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마찰식 잠금이, 예를 들어 구속편의 외측면이 부착부의 내측 재킷 표면에 대해 가압되므로, 구속편과 부착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구속 수단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부를 부착하는 축방향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될 때 부착부의 연결편 상에 제공된 맞닿음 표면을 포획하는 포획 세그먼트가 손잡이 상의 구속편 상에 제공되어, 맞닿음 표면은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 상으로 가압될 때, 포획 세그먼트 및 이와 함께 구속편을 칫솔 손잡이의 파지부 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손잡이의 종방향 또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맞닿음 표면들이 손잡이 상의 구속편 및 부착부의 연결편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쌍의 부재들은 그들의 위치 및 배향에 있어서,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 상으로 위치될 때 맞닿음 표면들이 강제로 맞물리도록 이동하고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원하는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정합된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서로 포획하는 맞닿음 표면들은 손잡이 상의 구속편에 대한 축방향 작동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손잡이 상의 구속편으로부터 제공되는 횡방향 이동도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손잡이 상의 구속편 또는 그의 맞닿음 표면은 부착부 상의 맞닿음 표면 상에서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포획하며 구속편의 축방향 작동을 발생시키는 손잡이 및 부착부 상의 세그먼트들은 말하자면, 부착부가 축방향으로 밀릴 때 서로에 대해 활주하는 한 쌍의 활주 표면을 형성한다.
역으로, 부착부가 칫솔 손잡이로부터 제거될 때 구속편의 자동 분리를 발생시키고, 구속편을 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전술한 방식으로 손잡이 또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활주를 허용하여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구속편의 잠금 해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한 쌍의 활주 표면을 형성하는 구동 표면 쌍이 부착부 및 손잡이 상의 구속부 상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2개의 구동 표면들은 구속편의 비구속 위치에서, 서로 중첩하고 서로 맞닿지만, 구속편의 구속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횡방향으로, 즉 손잡이 또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맞춰지고 정합된다. 바꾸어 말하면, 부착부가 제거될 때, 상기 구동 표면들은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축방향 이동의 종료부를 향해 최후에 맞물림으로부터 이탈되어, 부착부의 완전한 제거를 가능케 한다.
부착부 상의 맞닿음 표면은 유리하게는 손잡이 상의 구속편이 진입할 수 있는 리세스의 모서리에 바로 접하여 위치된다. 특히, 상기 맞닿음 표면은 리세스 모서리 표면 내로 동일 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동시에 후자의 리세스 모서리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맞닿음 표면은 부착부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부착부의 튜브형 부착편 내에 가장 깊이 위치된 리세스의 모서리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브러시 부착부의 제거 중에 구속편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 표면은 한편으로 부착부 상에 제공된 리세스의 리세스 모서리 표면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손잡이 상의 구속편 상의 스냅 돌출부의 모서리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맞닿음 및 구동 표면들은 또한 손잡이 목부 상으로의 부착부의 스냅 연결을 위해 제공된 스냅 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스냅 요소는 또한 유리하게는 상기 맞닿음 및 구동 표면들의 부착에 독립적이다. 특히, 이러한 스냅 요소는, 부착부가 칫솔 손잡이 상으로 밀릴 때 손잡이 목부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여 완전 부착 위치에 도달되면 손잡이 상의 스냅 외형부 상으로 스냅 결합하는 스냅 후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 목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그러한 스냅 후크에 대해 대안적으로, 손잡이 목부의 외측 재킷 표면 위에서 이동하고 그에 제공된 스냅 외형부 및/또는 그에서 연장되는 구속편 상에 스냅 결합하는 스냅 후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냅 후크는 유리하게는, 특히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고 종축이 유리하게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프링 클립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클립은 그의 자유 단부에서, 예를 들어 돌출 스냅 노우즈 또는 오목 스냅 리세스 형태의 적합한 스냅 외형부를 갖는다.
그러한 스냅 요소는 손잡이 목부 상에 부착부를 추가로 고정시키고, 이는 특히 구속 수단이 예비 장력 장치에 의해 손잡이의 파지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예비 장력을 받으면 예비 장력이 스냅 연결에 의해 보상될 수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으로 확실한 스냅 연결을 가능케 하고 다른 한편으로 브러시 부착부가 제거될 때 스냅 연결의 용이한 분리를 가능케 하기 위해, 스냅 요소 상에, 예를 들어 스냅 후크 및/또는 구속편 상에, 쐐기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브러시 부착부의 제거 중에 구속편이 손잡이 목부에 대한 전술한 작동을 겪을 때 스냅 연결을 분리하는 비스듬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스냅 후크 형태의 스냅 요소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냅 외형부는 또한 구속편이 그가 구동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스냅 결합하는 부착부의 연결편 내의 윈도우형 리세스로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 한 쌍의 스냅 외형부가, 바람직하게는 구속편이 전술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의 연결편의 윈도우형 리세스 내로 이동할 때 구속편의 측면들 상의 상보적인 스냅 외형부, 특히 구속편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된 한 쌍의 스냅 만입부와 맞물리도록 이동하는 스냅 돌출부 형태로, 특히 연결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끼워 맞춤 표면들 상에 오염물이 있을 때에도 칫솔 손잡이 상으로의 부착부의 정밀한 끼워 맞춤에 의한 부착 및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가 칫솔 손잡이의 손잡이 목부 및/또는 부착부의 연결편 상에 제공되고, 그 안으로 먼지 입자, 부스러기 등이 말하자면, 2개의 칫솔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위치될 때 활주할 수 있어서, 결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는 여기서 특히 손잡이 목부 및 부착부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끼워 맞춤 표면들 상에, 특히 손잡이 목부의 외측 재킷 표면 및 부착부의 연결편의 내측 재킷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러한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는 또한 칫솔 손잡이 및/또는 부착부의 구속편 상에 그리고/또는 그 위에 제공된 맞물림부 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결합 과정은 방해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확장 가능한 구속편의 외부 표면 및/또는 이와 맞물릴 수 있는 부착부의 내부 표면이 그러한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를 구비할 수 있어서, 구속편의 확장이 방해 받지 않는다.
상기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는 표면 리브 형태, 특히 칫솔의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본질적으로 채널형인 리셉터클 만입부를 갖는 종방향 리브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청구의 범위에서의 설명에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보호 대상을 단독으로, 하위 조합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이러한 그리고 추가의 특징들은 청구의 범위로부터, 그리고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은 브러시 부착부 및 손잡이의 일 부분을 도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일 부분의 평면도.
도 2는 2부분 구성을 갖는 손잡이 목부를 도시하며, 그 위에 구속편이 그의 비구속 위치에 구비된, 도 1의 선 C-C를 따른 칫솔의 종단면도.
도 3은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를 도시하는, 도 1의 선 B-B를 따른 칫솔의 종단면도.
도 4는 손잡이 목부 상으로 부착될 때의 브러시 부착부의 연결편을 도시하며, 손잡이 상의 구속편이 여전히 그의 구속 위치에 있는, 상기 도면들의 칫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구속편이 브러시 부착부의 연결편 내의 맞닿음 표면에 도달하여 작동되기 직전의 위치에서의 브러시 부착부의 부착을 도시하는, 도 4와 유사한, 상기 도면들의 칫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칫솔 손잡이 상으로의 브러시 부착부의 추가의 부착 중에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추가의 위치들을 도시하는, 도 4 및 도 5와 유사한, 칫솔의 일 부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칫솔 손잡이 상으로의 브러시 부착부의 추가의 부착 중에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추가의 위치들을 도시하는, 도 4 및 도 5와 유사한, 칫솔의 일 부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칫솔 손잡이 상으로의 브러시 부착부의 추가의 부착 중에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추가의 위치들을 도시하는, 도 4 및 도 5와 유사한, 칫솔의 일 부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9는, 브러시 부착부의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서의 손잡이 상의 구속편의 비구속 단부 위치를 도시하는, 도 4 내지 도 8과 유사한, 칫솔의 일 부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0은 구속편이 활주 블록 가이드에 의해 확장될 수 있고, 상기 구속편은 그의 연장된 비구속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와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1은 구속편이 그가 구동 샤프트를 구속하는 후퇴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도 10의 칫솔의 종단면도.
도 12는 단지 하나의 가이드 핀에 의해 슬롯 링크 내에서 안내되는 활주 블록으로서 설계된 구속편이 제공되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샤프트가 잠긴 위치를 도시하는, 도 10 및 도 11과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3은 활주 블록이 그의 비구속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도 12의 칫솔의 종단면도.
도 14는 브러시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에 대한 스냅 연결을 이루기 위한 스프링 클립으로서 설계된 스냅 후크를 갖고 상기 후크는 동시에 활주 블록 가이드 내에서 안내되는 구속편을 작동시키기 위한 램을 형성하고 상기 구속편은 그가 구동 샤프트를 잠그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스냅 후크는 스냅 결합되지 않은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 및 도 11과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5는 상기 스냅 후크가 스냅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구속편이 그의 비구속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도 14의 칫솔의 종단면도.
도 16은 스냅 후크가 손잡이 목부의 외측 주연부 위에서 이동하고 외측 주연부 상에서 스냅 결합하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와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7은 브러시 부착부 상에 제공된 스냅 후크가 손잡이 목부의 외측 주연부 위에서 이동하고 도 17에 따른 상기 구속편이 그의 확장된 비구속 위치에 있을 때 구동 샤프트를 잠그기 위해 외측으로 확장된 구속편과 스냅 결합하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도 16과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8은 구속편과 스냅 결합하는 스냅 후크에 추가하여 구속편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그의 부착 위치에 유지하는 압력 또는 저지편이 브러시 부착부의 연결편 상에 제공되는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도 17과 유사한, 칫솔의 종단면도.
도 19는 구속편이 구동 샤프트의 구속을 위해 도브테일 채널 가이드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스프링 장치에 의해 그의 구속 위치로 예비 장력이 가해진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면들과 유사한, 칫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0은 구속편이 구동 샤프트의 구속을 위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캠 형태로 설계된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면들과 유사한, 칫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1은 브러시 부착부와의 스냅 연결을 이루기 위해 칫솔 손잡이의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 스냅 외형부를 갖는 활주 블록 가이드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구속편의 측면도.
도 22는 구속편 상에서의 스냅 외형부의 만입부형 형상을 도시하고 부착부 상에서 그와 협동하는 스냅 외형부를 도시하는, 구속편의 상기 스냅 외형부의 영역 내의 칫솔의 단면도.
도면에 도시된 칫솔(1)은 손잡이(2)와, 브러시 부착부(3) 형태로 이에 연결되는 부착 부품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손잡이(2)는 공지된 방식으로, 구동 모터 및 예를 들어 축전기 형태의 에너지 공급 장치가 그 안에 위치되고, 작동 스위치가 구동부를 켜고 끄기 위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2)의 전방 단부 상에서, 손잡이(2)의 하우징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도면에서, 전방 단부에서 돌출하고 스터브 형상이며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자유 단부를 향해 약간의 원추형 테이퍼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는 연결편 형태로 설계된 손잡이 목부(4)를 형성한다. 회전 오실레이팅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5)가 상기 손잡이 목부(4)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브러시 부착부(3)는,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강모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강모 영역 축에 대해 회전 오실레이팅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강모 영역을 갖는 작동 헤드(6)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헤드(6)는, 전체적으로 튜브 형상이며 칫솔 손잡이(2)의 손잡이 목부(4) 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연결편(7)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튜브형 연결편(7) 내부에서, 브러시 부착부(3)는 손잡이 상의 구동 샤프트(5)에 회전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샤프트(8)를 갖는다.
브러시 부착부(3)를 손잡이(2)에 체결하기 위해, 결합 슬리브 또는 결합 링 형태의 결합 삽입물(9)이 튜브형 연결편(7) 내에 또는 그 위에 제공되고, 이는 축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고정식으로 안착되도록 튜브형 연결편(7) 내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다. 개략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결합 슬리브(9)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약간 원추형으로 설계되어, 결합 슬리브(9)는 손잡이 목부(4) 상으로 축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이에 의해 브러시 부착부의 손잡이(2)로의 대체로 간극이 없는 체결이 달성될 수 있다. 덮개식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편(7)은 결합 삽입물(9)과 구조적으로 조합하여, 즉 단일편으로 설계된다.
도 2 및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형 및/또는 대략 하프 쉘(half-shell)형인 구속편(13)이 칫솔 손잡이(2)의 손잡이 목부(4) 상에 제공되어, 한편으로 구동 샤프트(5)를 저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23)을 형성하고, 동시에 브러시 부착부 상의 결합 삽입물(9)과 잠겨 맞물릴 수 있는 손잡이 상의 결합 장치(10)의 결합편을 형성한다. 여기서, 스터브형 손잡이 목부(4)는, 말하자면, 2개의 부분, 실제 손잡이 목부(4)를 형성하는 손잡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연결된 본체부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5)를 구속하는 초기 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손잡이 목부(4)의 외형부를 연장하고 이와 함께 튜브형 연결편(7)이 부착될 수 있는 연결 스터브를 형성하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속 및 결합편(13)으로 분할된다.
대칭 평면이 손잡이(2)의 종방향(12)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상의 구속 및 결합편(13)은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에 의해 손잡이 목부(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이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고 일 단부에서 손잡이 목부(4)에 그리고 타 단부에서 구속편(13)에 연결된 2개의 선회 가능한 로드(15, 16)를 포함한다. "2개"의 로드(15, 16)는 또한, 구동 샤프트(5)의 좌우 측에 각각 배열되고 각각의 공통 선회 축 쌍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로드 쌍일 수 있어서, 구속편(13)은 로드에 대한 횡방향 경사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4 내지 도 9의 비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편(13)은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에 의해, 소위 초기 위치를 형성하는 손잡이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구동 샤프트(5)를 저지하는 전방 단부 위치로부터, 브러시 부착부가 손잡이 목부 상에 잠기는 제2 단부 위치 내로 손잡이(2)를 향해 후방으로 선회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는 구속편(13)을 전방 단부 위치로부터 후방 단부 위치로 이동될 때 칫솔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확장 메커니즘(14)을 형성하여, 도 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부 위치에서, 구속편(13)은 도 4에 도시된 전방의 제1 단부 위치에서보다 방사상으로 더욱 외측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브러시 부착부(3)의 결합 삽입물(9)의 직경은 유리하게는 구속편(13)의 확장 이동과 정합하도록 맞춰져서, 평행사변형 가이드 로드(17) 상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약간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구속편(13) 상의 약간의 방사상 압력에 의한 빈틈없이 안착된 끼워 맞춤이 브러시 부착부(3)를 잠그는 구속편(13)의 위치 주위의 영역 내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는 칫솔 손잡이(2) 상에 안정되게 유지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 상의 결합 삽입물(9)은 그의 내측 재킷 표면 상에서, 결합 삽입물(9) 내의 윈도우 형태의 외향 리세스(25)를 포함하고, 그 안으로 구속편(13) 상의 방사상 돌출 스냅 노우즈(18)가 정밀하게 끼워 맞춰져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냅 노우즈(18)는 맞물림부(11)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손잡이 상의 결합 장치(10)가 브러시 부착부(3)를 손잡이 목부(4) 상에 잠근다.
결합 삽입물(9) 상에서, 방사상 내측 돌출 작동 돌출부(28)가 유리하게는 상기 리세스(25) 주변에 제공되고;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으로 부착될 때, 상기 작동 돌출부는 구속편(3)을 구동하고, 이를 그의 잠금 위치로 가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돌출부(28)는 부착 방향으로 전술한 리세스(25) 후방에 배열되고, 방사상으로 볼 때, 그는 결합 삽입물(9)의, 부착 방향으로 리세스(25)의 전방에 배열된, 세그먼트(29)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한다(도 4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돌출부(28)는 리세스(25)에 직접 연결되어,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작동 돌출부(28) 상의 맞닿음 표면(20)은 리세스 모서리 표면 내로 동일 평면으로 진행한다(도 4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의 기능이 생성된다. 즉,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으로 부착될 때, 먼저 구속편(13)은 구동 샤프트(5)를 저지하는, 내측으로 이동된 그의 단부 위치에 유지된다. 리세스(25)까지의 삽입 영역 내에서, 결합 삽입물(9)은 방사상으로 보았을 때, 구속편(13)의 후퇴된 비잠금 위치에서 스냅 노우즈(18)의 방사상 치수보다 더 큰 간극을 갖는다(도 4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스냅 노우즈(18)가 리세스(25)의 영역 내에 놓이게 될 때까지 구속편(13) 위에서 밀릴 수 있다. 그러나, 브러시 부착부(3)를 계속해서 밀면,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연장하는, 구속편(13)의 전방 단부 상의 맞닿음 표면(20)은 결합 삽입물(9)의 작동 돌출부(28) 상의 맞닿음 표면(26)에 대해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잡이 목부의 추가 부착 중에, 구속편(13)은, 말하자면, 고정 유지되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된다. 스냅 노우즈(18)는 대응하여 리세스(25) 내로 이동한다. 브러시 부착부(3)가 완전히 부착되면,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의 로드(15, 16)의 도 8에 도시된 직교 위치가 유리하게는 지나치게 되어,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의 사점이 과도하게 가압된다. 완전히 잠긴 위치에서, 로드(15, 16)는 손잡이(2)를 향해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다(도 9 참조).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구속편(13)은 구동 샤프트(5)를 구속하는 그의 위치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선회된다. 여기서, 결합 삽입물(9) 상에 제공된 구동 표면(27)이 구속편(13) 상에 제공된 구동 표면(21)을 구동하여, 구속편(13)을 축방향으로 구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편(13)의 구동 표면(21)은 스냅 노우즈(18)의 후방면에 의해 형성되고,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본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한다. 결합 삽입물(9) 상에서, 구동 표면(27)은 리세스(25)의 모서리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편(13)은 유리하게는 브러시 부착부(3)의 부착 및 탈착 중에 칫솔 구동부의 원치 않는 활성화를 자동으로 방지하는 제어 장치(22) 또는 그의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구속편(13)은 그의 내측면 상에, 구동 샤프트(5)의 재킷 표면 상의 편평 영역(31)과 협동하는 편평 영역(24)을 갖는다. 도 4 및 도 9의 비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편(13)의 구속 위치에서, 그의 편평 영역(24)은 구동 샤프트(5)의 편평 영역(31) 상에 안착되어, 구동 샤프트는 회전할 수 없다. 대조적으로, 구속편(13)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구동 샤프트(8)는 해제된다(도 9 참조).
구동 샤프트(5)의 상기 구속은 구동 샤프트가 구속될 때 구동 모터를 끄는 여행 안전 및/또는 배터리 보호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적합한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장치(22)는 구속편(13)이 구동 샤프트(5)를 구속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모터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32)이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5)가 구속될 때, 모터 전류가 그의 정상 수준 위로 상승하여, 소정의 모터 전류 임계치가 초과될 때, 이는 구동 샤프트(5)의 구속과, 그에 따라, 제거된 부착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 장치(22)의 꺼짐 장치(33)는 이러한 경우에, 구동 모터에 대한 손상 또는 배터리의 원치 않는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모터를 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편(13)을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메커니즘(14)은 또한 전술한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 대신에, 활주 블록 가이드(34) 형태의 활주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서, 여기서, 구속편(13)은 종방향 채널로서 형성되고 단차식으로 각도를 이룬 2개의 가이드 채널 형태의 가이드 슬롯 링크(35)를 포함하고, 그 안으로 가이드 채널의 폭에 대략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2개의 가이드 핀(36)이 맞물려서, 구속편(13)의 본질적으로 간극이 없는 활주 안내를 달성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2개의 가이드 채널 대신에, 구속편(13)의 추가의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관련하여 하나의 가이드 채널만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선택적으로 가능하여, 확장 중에, 이러한 구속편은 선회 이동을 추가로 겪을 것이다. 그러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2개의 가이드 핀(36)을 갖는 활주 블록 가이드가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가이드 슬롯 링크(35)는 손잡이 종방향(12)에 대해 상이하게 기울어진 가이드 세그먼트(37, 38, 39)를 포함할 수 있어서, 구속편(13)의 행정 또는 확장 이동은 복수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덜 기울어진 가이드 단부 세그먼트(37, 38) 내로 개방되는 더 예각으로 기울어진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39)가 제공된다(도 10 참조). 상기 가이드 단부 세그먼트(37, 38)는 여기서 유리하게는 손잡이 종방향(12)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상기 가이드 핀(36)이 이러한 가이드 단부 세그먼트(37, 38)의 영역 내에 배열될 때, 구속편(13)의 행정 이동이 발생하지 않고, 구속편은 각각의 확장 수준에서 축방향 힘이 없이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단부 세그먼트(37, 38)는 또한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39)의 기울기에 비해 반대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질 수 있어서, 약간의 과도한 압력이 단부 위치들이 접근될 때 발생한다.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39)의 기울기는 여기서 유리하게는 결합 장치(10)의 특정한 특징, 특히 부착 이동의 길이 및 손잡이 목부의 직경과, 구동 샤프트(5)의 편평 영역의 크기에 정합되고, 도 10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대략 45°내지 80°범위 내의 기울기 각도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확장 메커니즘(14)의 구성 이외에, 도 10 및 도 11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 본질적으로 대응하여, 이와 관련하여, 이전 설명이 참조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된다.
기능과 관련해서도,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전 도면들의 실시예에 본질적으로 대응한다. 즉,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으로 가압될 때, 먼저 구속편(1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이동된 그의 비잠금 단부 위치에 유지된다. 결합 삽입물(9)은 리세스(25)까지의 그의 삽입 영역 내에서, 방사상으로 볼 때, 구속편(13)의 스냅 노우즈(18)의 방사상 치수보다 더 큰 간극을 갖는다(도 11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는 그의 스냅 노우즈(18)가 리세스(25)의 영역 내에 놓이게 될 때까지 구속편(13) 위에서 밀릴 수 있다. 그러나, 브러시 부착부(3)를 계속해서 밀면, 구속편(13)의 단부 표면 상에 제공되어 손잡이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닿음 표면(20)이 결합 삽입물(9)의 작동 돌출부(28) 상의 맞닿음 표면(26)에 대해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가 추가로 부착됨에 따라, 구속편(13)은 축방향으로 구동되어, 구속편(13)이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구속편(13)은 기울어진 중심 가이드 세그먼트(39)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되어, 구속편(13)의 스냅 노우즈(18)는 브러시 부착부(3)의 윈도우형 리세스(25) 내로 진입한다(도 10 참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구속편(13)을 구동하는 브러시 부착부(3)의 작동 돌출부(28)는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서 손잡이 목부(4) 상에 스냅 결합하여 이러한 정도로 스냅 장치, 예를 들어 스냅 후크를 형성하는 스프링 클립 형태로 설계된다. 특히, 손잡이 목부(4) 내부로 이동될 때, 스냅 후크는 먼저 스프링력 하에서 방사상으로 멀리 이동할 수 있고, 손잡이 목부 외형부 위로 활주할 수 있다. 단부 위치에 도달되면, 스냅 후크는 스프링력 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언더컷 리세스 내로 스냅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기서 스프링 후크는 손잡이 목부(4) 상에 제공된 스냅 리세스 내로 진입하는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냅 노우즈(40)를 구비한다(도 10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위치에서의 브러시 부착부(3)의 추가의 보유가 달성된다.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구속편(13)은 반대 방향으로 다시 그의 내측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결합 삽입물(9) 상에 제공된 구동 표면(27)이 구속편(13) 상에 제공된 구동 표면(21)과 그에 따른 구속편(13)을 축방향으로 구동한다. 동시에, 스냅 후크(28)는 그의 스냅 노우즈(40) 상의 경사부에 의해 스냅 해제된다(도 10 참조). 제거가 계속됨에 따라, 구속편(13)은 브러시 부착부(3)의 내측 외형부가 구속편(13)의 스냅 노우즈(18) 위로 당겨질 수 있도록 멀리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한다(도 11 참조). 동시에, 여기서 구속편(13)의 내측 편평 영역(24)은 구동 샤프트(5)의 편평 영역(31) 상에 안착되고, 그에 의해 구동 샤프트가 저지된다.
유리하게는,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41)가 칫솔 손잡이 및 부착부의 끼워 맞춤 표면 상에 제공되어, 그 안으로 먼지 입자, 오염물 입자 등이 말하자면 활주할 수 있어서, 결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특히, 종방향 채널로서 형성된 리브(42)가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42)로서 구속편(13)의 외부 표면 및/또는 손잡이 목부(4)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도 10 및 도 11과 유사한 실시예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르면 구속편(13)은 또한 활주 블록으로서 설계된다.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편(13)은 여기서 또한 상기 구속편(13)의 축방향 이동을 횡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안내된다. 여기서, 구속편(13) 내에,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칫솔 종축에 대해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다양한 가이드 세그먼트(37, 38, 39)를 포함하는 단차형 종방향 채널 형태로 설계된 활주 블록 가이드(35)가 또한 제공된다. 그러나,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 링크(35)를 갖는 구속편(13)은 단지 하나의 가이드 핀(36)에 의해서만 안내된다.
그러나, 상기 구속편(13)의 경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속편(13)은, 부착부(3)를 향해 배향되고 브러시 부착부(3) 상의 압력편(46) 상의 맞닿음 표면(20)과 협동하는 맞닿음 표면(26)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내부에, 브러시 부착부(3)의 손잡이 목부(4) 상으로의 부착 중에, 상기 손잡이 목부(4)로 진입하는 돌출 압력편(46)이 제공된다. 손잡이(2)를 향해 배향된 맞닿음 표면(26)은 구속편(13)의 맞닿음 표면(20) 상에 안착된다. 브러시 부착부(3)가 추가로 부착됨에 따라, 상기 압력편(46)은 상기 구속편(13)을 후방으로 밀어서, 구속편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블록 가이드(34)에 의해 구동 샤프트(3)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편(13)은 구동 샤프트(3) 상의 그의 구속 위치 내로 구속편(13)에 예비 장력을 가하고, 상기 맞닿음 표면(20, 26)의 쌍이 브러시 부착부(3)의 압력편(46)에 의해 후방 밀리는 중에 서로에 대해 조밀하게 위치되도록 보장하는 압력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장치(47)에 의해 하중을 받아서, 상기 구속편(13)이 단지 하나의 가이드 핀(36)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배향을 취하게 한다.
도 12 및 도 13의 비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편(13)은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의 부착 중에 활주 블록 가이드(34)에 의해 구동 샤프트(5)로부터 들어 올려져서, 구동 샤프트(5)가 해제된다.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상기 스프링 장치(47)는 구속편(13)을, 도 12에 도시되고 구동 샤프트(5)가 저지되는, 그의 구속 초기 위치 내로 다시 강제 이동시킨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되었고, 그러한 정도로 이전 설명이 참조된다. 도 14 및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안내되는 구속편(13)은,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내부에서 손잡이(2)를 향해 돌출하고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으로 부착될 때 상기 연결편(13)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그의 위치 및 형상이 상기 구속편(13)에 정합되는, 브러시 부착부(3) 상의 스냅 후크(44)로서 설계된 스냅 요소(43)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스냅 요소(43)는 그의 전방 단부 상에서, 구속편(13)의 맞닿음 표면(20)에 대해 이동하는 맞닿음 표면(26)을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방식으로, 이는 브러시 부착부(3)가 부착될 때 구속편(13)이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후방 및 외측으로 밀리게 하여, 한편으로 구동 샤프트(5)가 해제되고 다른 한편으로 구속편(13)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맞물림부(11)가, 상기 맞물림부(11)가 연결편(7) 내의 윈도우형 리세스(25) 내로 이동함으로, 브러시 부착부(3)를 손잡이 목부(4) 상으로 잠근다(도 15 참조).
또한, 브러시 부착부(3)는 스냅 요소(43)에 의해 손잡이 목부(4) 상에 잠긴다. 도 1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스프링 클립 형태로 설계된 상기 스냅 요소(43)는 손잡이 목부(4) 내부로 이동하여, 스냅 요소(43)는 먼저 그의 돌출 스냅 노우즈(40)와 함께 손잡이 목부(4)의 내측 재킷 표면 상에 위치된 외형부 위에서 활주한다. 브러시 부착부(3)가 그의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냅 요소(43)는 손잡이 목부(4)의 상기 스냅 외형부(48)의 언더컷 내로 스프링력 하에서 이동되고, 이는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에 잠기게 한다. 도 1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냅 노우즈(40) 및 스냅 외형부(48) 상에서 서로 맞물리는 스냅 표면들은 부착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직교하게 배향되어, 견고한 스냅 결합이 보장된다.
그러나, 손잡이(2)로부터 브러시 부착부(3)의 분리를 가능케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경사 표면(49 또는 50)이 상기 스냅 요소(43) 및/또는 구속 편(13) 상에 제공되어, 부착부의 제거 중에, 스냅 요소에 대해 가압되는 구속편(13)은 스냅 후크(44)가 손잡이 상의 스냅 외형부(48)로부터 스냅 해제되게 하는 쐐기 효과를 스냅 후크(44) 상에 가한다. 상기 구속편(13)은,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2)로부터 제거될 때, 구동 표면(21) 및 리세스(25) 상의 그에 대응하는 구동 표면(27)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속편(13)은 여기서 도 15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장치에 의해 구동 샤프트(5)를 구속하는 위치로 전술한 방식으로 예비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브러시 부착부(3)의 손잡이(2) 상에서의 스냅 결합은 스프링 장치의 예비 장력을, 이러한 힘이 브러시 부착부(3)의 손잡이(2)로부터의 원치 않는 활주 이탈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상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도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브러시 부착부(3)와 손잡이(2) 사이의 스냅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14 및 도 15에 따른 전술한 실시예와 일치하는 정도까지, 그의 설명이 참조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되었다. 도 14 및 도 15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16에 따른 칫솔에서, 스냅 후크(44)를 포함하는 스냅 요소(43)가 외측 주연부로부터 손잡이 목부(4)와 함께 스냅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냅 후크(44)는, 연결편(7)의 내측 주연부 상에서 연장하고 본질적으로 이러한 주연부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연장시키는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스프링 클립 형태로 설계되고, 스냅 요소(43)는 연결편(7)의 종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특히, 상기 스냅 후크(44)는 연결편(7) 내부의 결합 삽입물(9)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브러시 부착부(3)의 부착 중에, 상기 스냅 후크(44)는 먼저 손잡이 목부(4)의 외측 외형부 위에서 활주하고, 스냅 노우즈(40)는 상기 스냅 후크(44)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하게 한다.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스냅 후크(44)는 리세스 또는 개구 형태로 설계된 손잡이 목부(4) 상의 언더컷 스냅 외형부(48) 내로 스냅 결합된다.
브러시 부착부(3)의 제거 중에 스냅 연결의 분리를 가능케 하기 위해, 스냅 노우즈(40) 및/또는 손잡이 상의 스냅 외형부(48)는, 예를 들어 볼형 돌출부 및 그에 정합된 시트의 형태로, 적합한 방식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한 쌍의 비스듬한 표면(49, 50)이 스냅 후크(40) 및 구속편(13) 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브러시 부착부(3)의 제거 중에, 한편으로 구속편(13)을 방사상 내측으로 가압하고 다른 한편으로 스냅 후크(44)를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하는 쐐기 효과를 가할 수 있다.
도 17은 활주 블록 가이드(34) 내에서 안내되는 구속편(13)을 갖는 칫솔(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도, 스냅 후크(44) 형태의 스냅 요소(43)가 칫솔(1)의 손잡이(2) 상에서 브러시 부착부(3)의 스냅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도 16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냅 후크(44)는 또한 연결편(7)의 내측 주연부 상에 제공되고, 스냅 후크(44)는 브러시 부착부(3)의 종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도 16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상기 스냅 후크(44)는, 구속편이 구동 샤프트(5)를 구속하지 않는 그의 외측 확장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 목부(4) 자체가 아닌 구속편(13)과 잠긴다(도 17 참조). 전술한 방식으로, 구속편(13)은 동시에 브러시 부착부(3)를 손잡이 목부(4) 상에 유지하는 결합편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구속편(13)은 그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한 맞물림부(11)와 함께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내의 리세스(25) 내로 이동한다. 여기서, 구속편(13) 상에서 이러한 정도로 언더컷된 스냅 외형부(48)와 함께 스냅 결합하는 상기 스냅 후크(44)는 상기 리세스(25)의 영역 내에서 연장한다.
브러시 부착부(3)가 손잡이 목부(4) 상으로 부착될 때, 한편으로 구속편(13)은 활주 블록 가이드(34)에 의해 전술한 방식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스냅 후크(44)는, 이러한 구속편이 브러시 부착부 상의 리세스(25) 내로 이동하자 마자, 구속편(13)의 방사상 외측으로 배열된 후방부 위로 활주한다. 브러시 부착부(3)의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 도달되면, 스냅 후크(44)는 다시 방사상 내측으로 스냅 결합하여, 스냅 노우즈(40)는 그와 협동하는, 구속편(13) 상의 스냅 외형부(48) 내로 떨어진다.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스냅 후크(44)의 상기 스냅 연결은 구속편(13)이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정도로, 스냅 노우즈(40) 및 스냅 외형부(48) 상의 스냅 표면들의 쌍은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구속편(13)을 구동하는 전술한 구동 표면(21, 27)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도 17에 따른 실시예는 이전 도면들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이러한 정도로 그의 설명이 참조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도 1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스프링 장치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구속편(13)의 예비 장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력편(46)이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내부에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압력편은 전방에서 구속편(13) 상에 맞닿는다(도 18 참조). 브러시 부착부(3)의 완전히 부착된 위치에서, 상기 구속편(1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7) 또는 결합 삽입물(9)의 내측 주연부 상에 제공된 스냅 후크(44)와 함께 유사하게 스냅 결합된다.
도 19는 구동 샤프트(5)를 구속 또는 저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23)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게, 여기서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편(13)이 손잡이 목부(4) 상에 구비되고, 이는 구속편(13)의 축방향 이동이 동시에 방사상 방향으로의 횡방향 이동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활주 가이드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구속편(13)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브테일 채널 가이드로서 형성된 채널 가이드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롯 링크형 가이드 채널은 여기서 손잡이 목부 상에 설계되고, 구속편(13)은 유리하게는 대향 측면들 상의 대응하는 도브테일 채널들 내에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19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채널은 손잡이(2)의 종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져서, 구속편(13)이 파지 영역을 향해 후방으로 밀릴 때, 구속편(13)은 구동 샤프트(5)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도 19에 도시된 구속 위치에서, 상기 구속편(13)은 구동 샤프트(5)의 편평 영역 상에 전술한 방식으로 안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저지한다.
여기서, 구속편(13)은 압력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장치(47)에 의해 그의 구속 위치로 축방향 예비 장력이 인가된다. 브러시 부착부(3)의 부착 중에 구동 샤프트(5)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맞닿음 표면(26)을 갖는 전방 돌출 램(ram)이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상에 구비되고, 상기 표면은 구속편을 후방으로 밀기 위해 구속편(13) 상의 유사하게 전방에 위치된 맞닿음 표면(20)에 대항하여 이동한다(도 19 참조).
도 20은 구속편(13)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에 따르면 구속편(13)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캠 형태로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편(13)은 횡축(51)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대략 손잡이 목부(4)의 벽 영역 내에 장착되어, 캠형 구속편(13)은 그가 상기 구동 샤프트(5)와 맞물려 있는 구속 위치와 그가 상기 구동 샤프트(5)와 맞물리지 않은 비구속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선회될 수 있다.
구속편(13) 및 그의 선회 베어링은 여기서, 구속 위치에서 구동 샤프트(5)를 저지하는 구속편(13)의 맞물림 세그먼트가 구동 샤프트(5)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놓이는 방식으로 설계 및 배열되고, 즉 구속편(13)의 선회 축 및 구동 샤프트(5) 상의 맞물림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이 구동 샤프트(5)의 종축에 대해 대략 직교하게 놓인다(도 20 참조). 여기서, 구속편(13)은 압력 스프링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스프링 장치(47)에 의해 상기 구속 위치로 예비 장력이 인가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여기서 구속 요소(13)는 브러시 부착부(3)의 부착 중에 그의 비구속 위치로 자동으로 이르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맞닿음 표면(26)을 갖는 램이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상에 제공되고, 상기 맞닿음 표면은 미는 동안 캠형 구속편(13)에 대해 가압하여 (도 20 참조), 구속편(13)이 스프링 장치(39)의 변형에 의해 후방으로 선회하여 구동 샤프트(3)로부터 멀리 선회하게 한다.
브러시 부착부(3)가 다시 제거될 때, 상기 스프링 장치(39)는 구속편(13)을 다시 그의 구속 위치로 가압한다.
물론, 도 20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러시 부착부(3)와 손잡이(2) 사이의 스냅 연결은 또한 전술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구속편(13)과 브러시 부착부(3) 사이의 스냅 연결 가능성의 추가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은,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본질적으로 대응하고 활주 블록 가이드(34)에 의해 전술한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구속편(13)을 도시한다. 여기서, 스냅 외형부(53)가 구속편(13)의 맞물림부(11) 상에 제공되고, 구속편은 브러시 부착부를 손잡이 목부 상에 잠그기 위해 브러시 부착부(3)의 전술한 윈도우형 리세스(25) 내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냅 외형부는 칫솔의 종축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편(13)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된 2개의 스냅 만입부가 제공되고, 이는 웰(well)형 만입부의 방식으로 설계된다.
대향 측면들 상의 이러한 스냅 외형부에 의해, 구속편(13)은 그가 구동 샤프트(5)를 해제하는 브러시 부착부(3) 상의 그의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될 때 잠길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브러시 부착부는 상기 윈도우형 리세스(25)의 영역 내에서, 스냅 돌출부(54) 형태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또한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 2개의 스냅 외형부를 갖는다(도 22 참조). 상기 스냅 외형부(54)들은 여기서, 구속편(13)이 상기 스냅 돌출부(54)들 사이로 진입할 때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게 탄성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냅 외형부(54)는 구속편(13)의 측면 위에서, 이에 제공된 스냅 만입부(53) 내로 떨어질 수 있을 때까지, 활주할 수 있다.
브러시 부착부는 스냅 외형부(53, 54)에 의한 이러한 스냅 연결에 의해 손잡이 목부(4) 상에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구속편(13)의 스프링 예비 장력이 또한 제거될 수 있고, 이는 구속편(13)의 스냅 연결이 구속편을 그의 소위 연장 위치에 유지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구속편(13)의 스냅 연결은 또한 손잡이 목부(4)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22에 도시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스냅 돌출부(54)들은 브러시 부착부(3)의 연결편(7) 상에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손잡이 목부(4)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구속편(13)은 그가 구동 샤프트(5)를 해제하는 그의 연장 위치로 스냅 결합되어, 스프링 예비 장력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럼에도, 선택적으로 브러시 부착부(3)의 손잡이 목부(4) 상에서의 잠금이 여기서도 또한 달성될 수 있고, 이는 구속편(13)의 맞물림부(11)가 이러한 경우에, 말하자면 손잡이 목부(4) 내의 윈도우를 통해서 그리고 또한 브러시 부착부(3)의 윈도우를 통해 진입 또는 돌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전동 칫솔
3: 브러시 부착부
10: 결합 장치
13: 구속편
22: 제어 장치
23: 구속 수단
32: 검출 수단
33: 꺼짐 장치

Claims (49)

  1. 브러시 부착부(3) 등과 같은 부착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10)와, 부착부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열 부분(5)을 갖는 전동 칫솔(1)의 칫솔 손잡이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구속 수단이 구동열 부분(5)을 구속, 저지 및/또는 제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전자식인 꺼짐 장치(33)가, 구속 수단의 맞물림 위치의 함수로서, 그리고/또는 구동열 부분(5)이 구속될 때, 구동 모터를 끄기 위해 구비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꺼짐 장치(33)는 모터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32)을 갖고, 소정의 모터 전류를 초과하면 구동 모터를 끄기 위한 꺼짐 수단을 갖는 칫솔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22)가, 결합 장치의 위치의 함수로서 구속 수단(23)의 맞물림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구속 수단(23)에 할당되고, 제어 장치는 유리하게는 구속 수단(23)이 부착부가 연결될 때 분리되고 부착부가 탈착될 때 구속 위치에 있도록 설계되는 칫솔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 수단(23)은 구속되는 구동열 부분(5)과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52)를 갖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속편(13)을 갖는 칫솔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맞물림부(52)는 구속편(13)에 견고하고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구속편(13)과 단일편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칫솔 손잡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구속편(13)은, 구동열 부분(5)과 맞물릴 수 있고 형상이 상기 부분에 정합되는 맞물림 표면을 갖는 칫솔 손잡이.
  8. 제7항에 있어서, 편평 영역이 구속편(13)의 재킷 표면 상에 제공되어, 손잡이(2)의 구동 샤프트의 재킷 표면 상에 유사하게 제공된 편평 영역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칫솔 손잡이.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편(13)은 손잡이의 종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칫솔 손잡이.
  10. 제9항에 있어서, 구속편은 구속편(13)의 축방향 이동이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인 맞물림부(52)의 횡방향 이동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장착 및/또는 설계되는 칫솔 손잡이.
  11. 제10항에 있어서, 확장 메커니즘(14)이 손잡이 목부(4)와 맞물림부(52) 사이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맞물림부(52)는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구속편(13)의 축방향 이동이 있을 때 구동열 부분(5)을 향해 내측으로 확장될 수 있는 칫솔 손잡이.
  12. 제11항에 있어서, 확장 메커니즘(14)은 구속편(13)의 축방향 이동이 없으면 구속편(13)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그 반대도 가능한 강제 가이드로서 설계되는 칫솔 손잡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확장 메커니즘(14)은 구속편(13)을 위한 활주 가이드, 바람직하게는 활주 블록 가이드(3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가이드 세그먼트(39)를 갖는 칫솔 손잡이.
  14. 제13항에 있어서, 활주 가이드는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가이드 세그먼트(37, 38, 39)를 갖고, 2개의 가이드 단부 세그먼트(37, 38)는 바람직하게는 그들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중심 세그먼트(39)보다 덜 기울어지는 칫솔 손잡이.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확장 메커니즘(14)은, 일 단부에서 손잡이 목부(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에서 구속편(1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15)를 갖는 칫솔 손잡이.
  16. 제15항에 있어서, 구속편(13)은 서로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 적어도 2개의 로드(15, 16)를 갖는 평행사변형 로드 가이드(17)에 의해 손잡이 목부(4)에 연결되는 칫솔 손잡이.
  17.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편(13)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캠으로서 설계된 칫솔 손잡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 장력 장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장치가 구속편을 그의 구속 위치로 예비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 구속편(13)에 할당되는 칫솔 손잡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편(13)은, 형상 및 위치에 있어서 부착부 상의 대응편에 정합되어 손잡이 목부(4) 상으로의 부착부의 부착 중에 부착부 상의 상기 대응편을 포획하고 구속편(13)을 그의 분리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포획 세그먼트(19)를 갖는 칫솔 손잡이.
  20. 제19항에 있어서, 포획 세그먼트(19)는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닿음 표면(20)을 갖는 칫솔 손잡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동 표면(21) 형태의 맞물림 외형부가 부착부의 손잡이 목부(4)로부터의 제거 중에 구속편(13)의 축방향 후방 이동을 위해 구속편(13) 상에 구비되고, 상기 외형부는, 손잡이 목부(4)를 향해 내측으로, 손잡이의 종방향(12)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구속편(13)의 이동 중에 상기 맞물림 외형부가 부착부로부터 맞물림에서 이탈하도록 치수가 결정되는 칫솔 손잡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 수단(23)은, 칫솔 손잡이의 손잡이 목부(4) 상에서의 부착부(3)의 강제식 및/또는 마찰식 잠금을 위한 결합 장치(10)를 형성하고 구동열 부분(5)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부착부(3)를 손잡이 목부(4) 상에 강제식 및/또는 마찰식 끼워 맞춤으로 잠그는 칫솔 손잡이.
  23. 제22항에 있어서, 구속 수단(23)의 구속편(13)은, 형상이 부착부의 대응편에 정합되는 스냅 외형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스냅 노즈(18)를 갖는 맞물림부(11)를 갖는 결합 장치(10)의 결합편을 형성하는 칫솔 손잡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 수단(23)은, 구동열 부분(5)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손잡이 목부(4) 및/또는 부착부 상에 스냅 결합하기 위한 스냅 외형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 스냅 만입부(53)를 갖는 칫솔 손잡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편은 결합 장치(10)의 비잠금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목부 외형부를 대략 연속적으로 연장시키는, 손잡이 목부 외형부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바람직하게는 리브형인 쉘 부분을 형성하는 칫솔 손잡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 목부(4)는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41)를 갖는 칫솔 손잡이.
  27. 제26항에 있어서,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41)는 부착부(3)의 끼워 맞춤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끼워 맞춤 표면의 리브(42)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채널 형태로 설계되는 칫솔 손잡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 목부(4)는 부착부(3) 상에 제공된 스냅 요소(43), 특히 스냅 후크(44)와 스냅 결합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배열된 스냅 외형부를 갖는 칫솔 손잡이.
  29. 작동 헤드(6)와 작동 헤드(6)에 연결되고 손잡이 목부(4) 상으로 위치될 수 있는 튜브형 연결편(7)을 갖는,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칫솔 손잡이를 위한 부착부, 특히 브러시 부착부에 있어서, 연결편(7)은 연결편(7)이 손잡이 목부(4) 상으로 위치될 때 손잡이 상의 구속편(13)을 축방향 후방으로 밀기 위한 맞닿음 표면(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부.
  30. 제29항에 있어서, 연결편(7)은 손잡이 목부(4) 상에서의 연결편(7)의 강제식 및/또는 마찰식 잠금을 위한 결합부(9)를 갖고, 상기 결합부는 내측 재킷 표면 상에서, 손잡이의 구속편(13)의 맞물림부(11)가 진입할 수 있는 외향 리세스(25)를 갖는 부착부.
  31. 제30항에 있어서, 리세스(25)는 윈도우형 스냅 만입부를 형성하는 부착부.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맞닿음 표면(26)은 부착부의 종방향으로 리세스(25)에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부착부.
  33. 제32항에 있어서, 맞닿음 표면(26)은 리세스 모서리 표면 내로 동일 평면 방식으로 진행하고, 그리고/또는 리세스(25)를 제한하는 모서리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부착부.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표면(27)이 연결편(7)이 손잡이 목부(4)로부터 제거될 때 손잡이 상의 구속편(13)의 축방향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부착부.
  35. 제34항에 있어서, 구동 표면(27)은 부착부의 종방향으로 리세스(25)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특히 리세스(25)를 제한하는 리세스 모서리 표면을 형성하는 부착부.
  36. 제35항에 있어서, 맞닿음 표면(26) 및 구동 표면(27)은 리세스(25)의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모서리들 상에 구비되는 부착부.
  37. 제29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7)은 손잡이 목부(4) 및/또는 구속 수단(23) 상의 스냅 외형부와 맞물릴 수 있는 스냅 요소(43)를 갖는 부착부.
  38. 제37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칫솔 손잡이(2)의 손잡이 목부(4)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스냅 후크(44)를 갖는 부착부.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손잡이 목부(4)의 외측면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스냅 후크(44)를 갖는 부착부.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칫솔 손잡이의 구속 수단(23)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는 부착부.
  41. 제40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칫솔 손잡이 목부(4)로부터 부착부의 축방향 제거 중에, 손잡이 상의 구속편(13)의 축방향 후방 밀림을 위한 맞닿음 표면(26)을 갖고, 그리고/또는 손잡이 상의 구속편(13)의 축방향 구동을 위한 구동 표면(27)을 갖는 부착부.
  42. 제2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부착부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프링 클립을 형성하는 부착부.
  43.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냅 요소(43)는 위치 및/또는 형상에 있어서 손잡이 상의 구속편(13)에 정합되는 바람직하게는 스냅 해제 경사부(45) 형태의 스냅 해제 외형부를 갖는 부착부.
  44. 제2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7)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구동열 부분(5)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칫솔 손잡이의 구속편(13)과의 스냅 연결을 위해 방사상 방향으로 언더컷된 스냅 외형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스냅 돌출부(54)를 갖는 부착부.
  45. 제2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7)은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를 갖는 부착부.
  46. 제45항에 있어서, 오염물 리셉터클 만입부는 칫솔 손잡이 목부(4)의 끼워 맞춤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끼워 맞춤 표면의 리브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채널 형태로 설계되는 부착부.
  47. 제29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7)의 결합부(9)는 연결편(7)으로부터 분리된 결합 삽입물, 예를 들어 결합 링 또는 결합 슬리브를 갖는 부착부.
  48. 제29항 내지 제46항에 있어서, 결합부(9)는 연결편(7) 내에 단일편으로 설계되는 부착부.
  4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칫솔 손잡이 및 제29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부를 갖는 칫솔.
KR1020107000703A 2007-06-28 2008-06-20 칫솔 KR20100024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9973A DE102007029973A1 (de) 2007-06-28 2007-06-28 Zahnbürste
DE102007029973.9 2007-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485A true KR20100024485A (ko) 2010-03-05

Family

ID=397685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328A KR20100024497A (ko) 2007-06-28 2008-06-20 칫솔
KR1020107000703A KR20100024485A (ko) 2007-06-28 2008-06-20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328A KR20100024497A (ko) 2007-06-28 2008-06-20 칫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100162501A1 (ko)
EP (2) EP2166979A2 (ko)
JP (2) JP2010531176A (ko)
KR (2) KR20100024497A (ko)
CN (2) CN101715327A (ko)
AU (2) AU2008267405A1 (ko)
BR (1) BRPI0813245A2 (ko)
CA (2) CA2690548A1 (ko)
DE (1) DE102007029973A1 (ko)
RU (2) RU2009143986A (ko)
TW (2) TW200916058A (ko)
WO (2) WO2009000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9973A1 (de) * 2007-06-28 2009-01-08 Braun Gmbh Zahnbürste
CN101676052B (zh) * 2008-09-19 2013-10-30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带力度感应装置的电钻
DE102009037324A1 (de) 2009-08-14 2011-02-17 Jeanette Ludwig-Zeiler Aufsatzbürstenhalter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PL2335643T3 (pl) * 2009-12-16 2016-06-30 Braun Gmbh Część do czyszczenia jamy ustnej urządzenia do czyszczenia jamy ustnej oraz urządzenie do czyszczenia jamy ustnej
TR201815789T4 (tr) * 2013-10-25 2019-01-21 Koninklijke Philips Nv Bir elektrikli diş fırçası tutma yeri için eklenti ve eklemenin yöntemi.
EP2881080A1 (en) * 2013-12-04 2015-06-10 Braun GmbH A toothbrush handle part of an electric toothbrush
JP6612791B2 (ja) * 2014-07-02 2019-11-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自動式歯ブラシのためのシャフト
BR112018009117A8 (pt) 2016-08-03 2019-02-26 Koninklijke Philips Nv conjunto de trem de acionamento para um dispositivo de cuidados pessoais e dispositivo de cuidados pessoais
EP3300688B1 (en) 2016-09-28 2019-08-07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300686B1 (en) * 2016-09-28 2019-08-28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300689B1 (en) 2016-09-28 2019-08-07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300685B1 (en) 2016-09-28 2019-10-30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300687B1 (en) 2016-09-28 2019-04-24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US11517411B2 (en) * 2017-08-30 2022-12-06 Nortman D. Scott Arbitrary motion toothbrush
USD893881S1 (en) 2017-11-17 2020-08-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apparatus
USD858997S1 (en) 2017-11-17 2019-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Tracking module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D858105S1 (en) 2017-11-17 2019-09-0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0388A (en) * 1921-06-11 1922-06-20 Edward F Schworm Rotary toothbrush
US2259797A (en) * 1938-12-08 1941-10-21 Maurice M Cohen Manicuring tool holder
US2911660A (en) * 1957-09-16 1959-11-10 Klemas Seymour Power tooth brush
US3034376A (en) * 1958-02-14 1962-05-15 Gonzalez Reinaldo Multi-purpose power-driven hand tool
DE1204187B (de) * 1962-04-28 1965-11-04 Otto Huebner Angetriebene Zahnbuerste
US3195537A (en) * 1962-09-25 1965-07-20 John V Blasi Power driven tooth cleaner and gum stimulator
US3220039A (en) * 1963-07-30 1965-11-30 Dayton Motor-driven tooth brush
US3699952A (en) * 1971-02-03 1972-10-24 Sunbeam Corp Skin treating appliance
CH535042A (de) * 1971-02-26 1973-03-31 Woog Inst Rech Steckvorrichtung an einem insbesondere zur Körperpflege dienenden Handgerät zur Befestigung auswechselbarer Behandlungsinstrumente
US3927435A (en) * 1972-12-20 1975-12-23 Prod Associes Sa Toothbrush stem attachment
US3848336A (en) * 1973-07-02 1974-11-19 J Copeland Dental instrument
US3939599A (en) * 1973-07-12 1976-02-24 D & H Industries, Inc. Polishing device
DE2430921A1 (de) 1974-06-27 1976-01-08 Metzenauer & Jung Gmbh Auf einem stab oder dgl. laengsverschiebbare und in beliebiger position festspannbare feststellvorrichtung
US4156620A (en) * 1974-07-18 1979-05-29 Clemens George S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eeth
US4291547A (en) * 1978-04-10 1981-09-29 Hughes Aircraft Company Screw compressor-expander cryogenic system
JPS55123075A (en) * 1979-03-15 1980-09-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ose contained electric wire
US4391547A (en) 1981-11-27 1983-07-05 Dresser Industries, Inc. Quick release downhole motor coupling
DE3510909A1 (de) 1985-03-26 1986-10-09 Fritz Alfons 7869 Schönau Rueb Zahnbuerste mit auswechselbarem borstenteil
US4827550A (en) * 1985-06-10 1989-05-09 Dental Research Corporation Removable head mechanism for automatic cleaning device
US4820152A (en) 1987-04-21 1989-04-11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Single multi-function handpiece for dental instruments
FR2618322A1 (fr) 1987-07-23 1989-01-27 Creps Georges Support d'instrument dentaire integrant des moyens simplifies d'entree et de sortie de donnees connectables a un systeme informatique
US4811445A (en) * 1988-01-25 1989-03-14 Lagieski Daniel P Oral hygiene system
US4827552A (en) * 1988-03-14 1989-05-09 Better Health Concepts, Inc. Rotary electric toothbrush
JPH0642661Y2 (ja) * 1988-06-14 1994-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GB2220845B (en) * 1988-07-14 1992-08-05 Si Hoe Kok Soon Electric toothbrush
DE3830649A1 (de) * 1988-09-09 1990-03-15 Gimelli & Co Ag Elektrische zahnbuerste
DE3936714A1 (de) 1989-11-05 1991-05-08 Guenter Petz Munddusche mit einer durch einen elektromotor antreibbaren fluessigkeitspumpe
DE3937853A1 (de) * 1989-11-14 1991-05-16 Braun Ag Elektrische zahnbuerste mit loesbarem buerstenteil
EP0435329A3 (en) 1989-12-29 1991-09-11 Staar Development Company -S.A. Tooth brush system
DE4012413A1 (de) 1990-04-19 1991-10-24 Schaiper Heinrich Elektrische zahnbuerste mit regelkreis zur sollwertsteuerung von andruckkraft in abhaengigkeit zur auflageflaeche des borstenfeldes a.d. zae.
DE9016226U1 (ko) * 1990-11-29 1991-02-14 Rowenta-Werke Gmbh, 6050 Offenbach, De
GB9211338D0 (en) * 1992-05-28 1992-07-15 Ausworld Consultants Limited Toothbrush
JPH0793892B2 (ja) * 1992-08-31 1995-10-11 株式会社精工舎 電動歯ブラシ
US5337435A (en) * 1992-09-18 1994-08-16 Krasner Janet H Automatic toothbrush
DE4234764C2 (de) 1992-10-15 1994-08-18 Jovica Vukosavljevic Einrastverbindung für eine teilbare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DE9304184U1 (ko) * 1993-03-20 1993-05-27 Rowenta-Werke Gmbh, 6050 Offenbach, De
US5365627A (en) * 1993-07-22 1994-11-22 Les Produits Associes. Lpa-Broxo S.A. Stem brush with automatic insertion system
US5561881A (en) 1994-03-22 1996-10-08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ic toothbrush
DE19506129A1 (de) 1995-02-22 1996-08-29 Gimelli & Co Ag Zahnbürste
DE19508932A1 (de) 1995-03-13 1996-09-19 Finalpina Ag Elektrische Zahnbürste
US5625916A (en) * 1995-05-24 1997-05-06 Mcdougall; Greg Toothbrush
JPH099516A (ja) * 1995-06-21 1997-01-10 Kyushu Hitachi Maxell Ltd 小型電気機器
US5812065A (en) * 1995-08-14 1998-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of a circuit using an energy field
JPH09122362A (ja) * 1995-10-30 1997-05-13 Tec Corp 回転式電気かみそり
US5943723A (en) * 1995-11-25 1999-08-31 Braun Aktiengesellschaft Electric toothbrush
DE19545324A1 (de) 1995-12-05 1997-06-12 Olaf Starke Zahnbürste
US6163258A (en) * 1997-06-19 2000-12-19 Elliot Rudell Toy that provides an indication when an end user consumes a consumable substance
DE19628574A1 (de) 1996-07-16 1997-03-27 Michael Steinl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Zahnputzzeiten
CH691658A5 (de) 1997-01-16 2001-09-14 Buerstenfabrik Ebnat Kappel Ag Zahnbürste.
DE19717334C1 (de) 1997-04-24 1998-07-09 Braun Ag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GB9710467D0 (en) * 1997-05-21 1997-07-16 Starpoint Electrics Ltd Switch assemblies
DE19745876A1 (de) * 1997-10-17 1999-04-22 Braun Ag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US6067937A (en) * 1997-11-11 2000-05-30 Boschert; Jeffrey D. Mobile aquarium
US6177870B1 (en) * 1999-01-13 2001-01-23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Resonant EAS marker with sideband generator
DE29913406U1 (de) * 1999-07-31 1999-11-25 Rowenta Werke Gmbh Zubehörträger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DE19942156A1 (de) * 1999-09-03 2001-03-08 Hilti Ag Umschalteinrichtung für multifunktionale handgeführte Werkzeugmaschinen
DE29915858U1 (de) 1999-09-09 2000-01-05 Gerhards Matthias Zahnputzanimations- und Kontrollcenter
DE10026513A1 (de) 2000-05-27 2001-05-10 Zeki Koese Zahnbürste
DE50006709D1 (de) 1999-10-30 2004-07-08 Prophydental Gmbh Zahnbürste
CN1610667A (zh) * 1999-11-27 2005-04-27 同和药品工业株式会社 新型3-硝基吡啶衍生物和含有该衍生物的药物组合物
US6536068B1 (en) 1999-12-29 2003-03-25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ing technique monitoring
JP4193089B2 (ja) * 2000-02-09 2008-12-10 株式会社安川電機 ケーブル保護バネ、ケーブル保護バネの固定方法およびケーブル保護バネを備えたロボット
US7086111B2 (en) * 2001-03-16 2006-08-08 Braun Gmbh Electric dental cleaning device
DE10135257A1 (de) 2000-08-01 2002-02-28 Heiko Gros Hygienische Geräte mit optischer oder akustischer Anzeige des mechanischen Anpressdruckes vorzugsweise Zahnbürsten
US6734795B2 (en) 2000-08-14 2004-05-11 William Raymond Price Location of lost dentures using RF transponders
DE10045067A1 (de) 2000-09-12 2002-04-04 Axel Klug System zur Unterstützung bei der Durchführung von Pflegemaßnahmen im Dentalbereich
DE10045353A1 (de) 2000-09-14 2002-03-28 Ilse A K Kann Zahnbürste mit Zeitgeber
FR2832298B1 (fr) 2000-09-20 2004-02-20 Audians Dispositif de brossage de dents
DE10101163A1 (de) 2001-01-12 2002-07-18 Meike Spiess Zahnbürste, die die Putzrichtung und die Zeit zwischen dem Zähneputzen überwacht
US6590763B2 (en) * 2001-02-13 2003-07-08 Shimano Inc. Weatherproof switch assembly
WO2002071970A1 (de) * 2001-03-14 2002-09-19 Brau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ahnreinigung
DE10112601A1 (de) * 2001-03-14 2002-09-19 Braun Gmbh Vorrichtung zur Zahnreinigung
ATE476937T1 (de) * 2001-03-14 2010-08-15 Braun Gmbh Vorrichtung zur zahnreinigung
DE10159395B4 (de) * 2001-12-04 2010-11-11 Braun Gmbh Vorrichtung zur Zahnreinigung
US6581234B2 (en) * 2001-04-02 2003-06-24 Jin Po Lee Dental brush unit comprising gear connections
US6836917B2 (en) * 2001-05-07 2005-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placeable head electric toothbrush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for
US20020196113A1 (en) * 2001-05-16 2002-12-26 Jeffrey Rudd Non-contact ignition switch
US6792640B2 (en) * 2001-06-29 2004-09-21 Homedics, Inc. Automatic electric toothbrush
US6952855B2 (en) * 2001-06-29 2005-10-11 Homedics, Inc. Automatic electric toothbrush
CN2528406Y (zh) * 2002-02-01 2003-01-01 何长武 电动牙刷
US6954961B2 (en) * 2002-05-03 2005-10-18 Homedics, Inc. Light emitting toothbrush
US6636135B1 (en) * 2002-06-07 2003-10-21 Christopher J. Vetter Reed switch control for a garbage disposal
US7887559B2 (en) * 2002-08-08 2011-02-15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cutting accessory with encapsulated RFID chip
US6750747B2 (en) * 2002-08-29 2004-06-15 Ljm Associates, Inc. Proximity safety switch suitable for use in a hair dryer for disabling operation
JP3894082B2 (ja) * 2002-09-25 2007-03-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4218413B2 (ja) * 2003-05-16 2009-02-0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振動、ローリング駆動両用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US20050053895A1 (en) * 2003-09-09 2005-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ttention: Chief Patent Counsel Illuminated electric toothbrushes emitting high luminous intensity toothbrush
DE10352993A1 (de) 2003-11-13 2005-06-16 Braun Gmbh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US8317424B2 (en) * 2004-06-03 2012-11-27 The Gillette Company Oral care device
US20050271531A1 (en) * 2004-06-03 2005-12-08 Brown William R Jr Oral care device
US20050272001A1 (en) * 2004-06-03 2005-12-08 Blain Christopher C Oral care device
US7562121B2 (en) * 2004-08-04 2009-07-14 Kimberco, Inc. Computer-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ssessing the orientation, awareness and responses of a person with reduced capacity
KR20060023068A (ko) * 2004-09-08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청소방법
US7422582B2 (en) * 2004-09-29 2008-09-09 Stryker Corporation Control console to which powered surgical handpieces are connected, the consol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energize more than one and less than all of the handpieces
AU2005311629A1 (en) * 2004-12-02 2006-06-08 Smith & Nephew,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GB2435189B (en) * 2004-12-17 2010-06-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Saw and Blade with Operational Communication
DE102006060132A1 (de) * 2006-12-18 2008-06-19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Aufsatzteil hierfür
DE102006060133A1 (de) * 2006-12-18 2008-06-19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Aufsatzteil hierfür
DE102006060134A1 (de) * 2006-12-18 2008-06-19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Aufsatzteil hierfür
DE102007029973A1 (de) * 2007-06-28 2009-01-08 Braun Gmbh Zahnbür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7935A1 (de) 2010-03-03
CA2690548A1 (en) 2008-12-31
JP2010531176A (ja) 2010-09-24
US20100170051A1 (en) 2010-07-08
CN101711136A (zh) 2010-05-19
TW200916058A (en) 2009-04-16
AU2008267406A1 (en) 2008-12-31
US8256055B2 (en) 2012-09-04
WO2009000467A1 (de) 2008-12-31
JP2010531177A (ja) 2010-09-24
EP2166979A2 (de) 2010-03-31
US20100162501A1 (en) 2010-07-01
BRPI0813245A2 (pt) 2014-12-23
CN101715327A (zh) 2010-05-26
CA2690566A1 (en) 2008-12-31
AU2008267405A1 (en) 2008-12-31
DE102007029973A1 (de) 2009-01-08
WO2009000468A2 (de) 2008-12-31
RU2009143986A (ru) 2011-08-10
KR20100024497A (ko) 2010-03-05
WO2009000468A3 (de) 2009-02-19
RU2009146898A (ru) 2011-08-10
TW200911206A (en)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485A (ko) 칫솔
CA2727572C (en) Electric toothbrush
KR20090096697A (ko) 칫솔 및 칫솔용 부착물
JP529019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付属品
WO2005121567A1 (ja) プラグ/ソケットアセンブリ
JP4787682B2 (ja) 継手及びこの継手に用いるソケット
CA2160289C (en) An electric vacuum cleaner
BR102015004478B1 (pt) elemento de conexão fluídica macho e conector compreendendo um tal elemento e um elemento de acoplamento fêmea
US11723498B2 (en)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HU227015B1 (en) Plug-in vacuum cleaner hose arrangement
CN211248549U (zh) 电动工具
KR101482009B1 (ko) 공구 척 및 이를 구비한 핸드피스
US20150150663A1 (en) Toothbrush handle part of an electric toothbrush
KR20230157897A (ko) 바닥 청소 기계용 흡입 발부 어셈블리
KR100636534B1 (ko) 수납식 롤링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50003924U (ko) 에어커플러
JP2500315Y2 (ja)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020146400A (ja) 注射器用の補助具
KR20160002322U (ko) 에어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