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924U - 에어커플러 - Google Patents

에어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924U
KR20150003924U KR2020150006666U KR20150006666U KR20150003924U KR 20150003924 U KR20150003924 U KR 20150003924U KR 2020150006666 U KR2020150006666 U KR 2020150006666U KR 20150006666 U KR20150006666 U KR 20150006666U KR 20150003924 U KR20150003924 U KR 201500039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se
plug
ai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언수
Original Assignee
박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언수 filed Critical 박언수
Priority to KR2020150006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924U/ko
Publication of KR20150003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9Combination of a quick-acting type coupling and a conventional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Air Coupler)에 관한 것으로, 자동식 에어커플러의 소켓 부분에 잠금수단을 구성하여 소켓과 플러그가 사용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소켓 후단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와 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소켓 내주면에 형성되는 패킹실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확실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커플러{AIR COUPLER}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Air Couple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커플러의 소켓 부분에 잠금수단을 구성하여 소켓과 플러그가 사용 도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소켓 후단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와 코일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소켓의 패킹실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 간에 확실한(확고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기계류나 공구류(이하 '공압기구'라 한다)는 에어호스를 이용하여 공기압축기(콤퓨레셔)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호스 중간에는 플러그와 소켓으로 구성된 에어 커플러(Air Coupler)가 설치되어 공압기구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와 소켓이 연결되면 공압기구로 압축공기가 전달되고, 플러그와 소켓이 분리되면 소켓에 설치되는 밸브에 의해 압축공기가 차단된다.
상기 에어커플러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사용 중 에어커플러 부분이 작업장의 바닥에 끌리거나, 작업장의 사물에 걸리는 등의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플러그와 소켓이 분리되면서 불특정 위치로 순간 이동하여 충돌 및 충격을 주게 되므로 안전사고로 이어질 뿐 아니라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플러그의 결합 스크로크는 5.2㎜ 전후로 비교적 길게 구성하여 소켓에 설치된 슬리브의 이동으로 인한 소켓과 플러그의 분리사고를 방지하고 있으나 결합 스크로크가 길어서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할 때 많은 힘이 소요되며,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할 때 슬리브를 이동시키게 되나 슬리브 표면에 손(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분의 크기가 작고 마찰력이 또한 작아 슬리브를 이동시키기에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 ~ 도 4와 같이 에어커플러(1)를 구성하는 소켓(2)의 몸체(3) 부분에 잠금핀(4)을 고정하고, 소켓(2) 외주에 설치되어 스프링(5)으로 탄지되는 슬리브(6) 부분에 걸림홈(7)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핀(4)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커플러(1)를 사용하는 도중에 소켓(2)에 결합된 플러그(8)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유체 및 기체 연결용 커플러"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1383호(2013. 8. 19. 공개)로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에어커플러(1)는, 플러그(8)와 소켓(2)을 결합할 때 스프링(5)으로 탄지되는 슬리브(6)를 도 2의 B방향으로 이동시켜(밀어서 이동시켜) 복수의 볼(9)이 외향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소켓(2)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0)에 플러그(8)를 결합시킨 다음 B방향으로 이동되었던 슬리브(6)를 도 2의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리브(6)의 가압부(11)에 의해 복수의 볼(9)이 결합공(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러그(6)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홈(12)에 결합되어 플러그(8)와 소켓(2)의 결합이 달성되는 구성의 수동방식으로 사용이 불편하다. 물론 상기 플러그(8)와 소켓(2) 부분에 에어호스(도시안됨)가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플러그(8)가 소켓(2)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의 C방향(또는 D방향)으로 슬리브(6)를 회전시켜 걸림홈(7)이 잠금핀(4)을 지나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조정하면 슬리브(6)의 이동(도 2의 B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잠금이 달성되므로 사용 중인 플러그(8)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는 있으나, 도 1과 같이 걸림홈(7)이 플러그(8)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형 구조이고 스프링(5)과 스프링실(13)이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중에 각종 이물질(14), 이를테면, 먼지, 모래, 흙을 포함한 작은 크기의 돌이 등이 작업장의 각종 수분 및/또는 오일과 같이 묻어 스프링실(13)로 유입되므로, 슬리브(6)와 스프링(5)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 이물질(14) 들이 스프링실(13)로 유입되어 슬리브(6)가 제대로 이동하지 않는 문제뿐 아니라, 부품들을 산화시켜 수명이 단축되며, 상기 잠금핀(4) 주변에도 이물질(14)들이 달라붙어 슬리브(6)의 후방 이동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슬리브(6)에 형성된 걸림홈(7)이 잠금핀(4)으로 진입할 때 방해되므로 잠금해제가 어렵거나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5와 같이 종래 에어커플러는, 소켓(2) 후단에 설치(결합)되는 호스결합부(15)에 형성되는 경사턱(16) 부분에 에어호스(17)의 단부가 억지결합되며, 호스결합부(15)에 체결되는 고정구(18)의 압지면(19)에 의해 에어호스(17)가 경사턱(16) 부분에 견고하게 밀착 및 압지되면서 분리가 방지되며, 에어호스(17)의 일단에는 코일스프링(20)이 결합되어 에어호스(17)의 꺽임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0)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고정구(18)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21)에 단순 체결되는 구조여서 사용 중 외압 작용이나 작업장의 바닥에 끌리는 등의 원인에 의해 코일스프링(20)이 체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풀리면서 고정구(18)로부터 쉽게 이완 및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에어커플러는 플러그에 밀착하여 기밀(氣密)을 유지하는 패킹(21)이 소켓(2)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압축공기에 견딜 수 있는 구성이 아니어서 기밀이 파괴되면서 수명이 짧은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8326호(발명의 명칭: 공압식 안전 커플러, 2011. 2. 2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1383호(발명의 명칭: 유체 및 기체 연결용 커플러, 2013. 8. 19. 공개)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의 소켓 부분에 잠금수단을 구성하여 소켓과 플러그의 사용 중 분리가 방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켓 후단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와 코일스프링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패킹실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확실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 상기 소켓의 슬리브 부분에 후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소정 폭의 걸림돌부, 상기 소켓의 몸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가 수용되는 개방형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와 걸림홈은 2쌍 ~ 6쌍 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 상기 소켓 후단에 형성되는 호스결합부, 상기 호스결합부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 상기 에어호스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의 선단부,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가압 지지하여 에어호스와 코일스프링의 분리를 방지하는 호스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패킹실, 상기 패킹실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확실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소켓에 구성되는 잠금수단에 의해 사용중인 에어커플러의 플러그와 소켓 분리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슬리브에 형성되는 걸림돌부는 슬리브 후단으로 돌출되고, 소켓의 몸체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홈은 개방형 구조여서 사용중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아 동작불량이 방지되고, 산화 및 수명단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소켓의 몸체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홈은 개방형 구조여서 사용중 이물질 등이 유입되더라도 걸림돌부의 후진(후방) 이동에 의해 걸림홈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슬리브의 동작불량이나 각종 부품의 산화 및 수명단축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호스결합부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는 호스결합부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 지지되면서 에어호스 및 코일스프링의 분리가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플러그의 결합 스크로크를 보다 짧은 약 2.9㎜전후로 형성 함으로써 결합 길이가 짧아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가 신속 간편하며, 먼지나 이물질이 근본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걸림돌부와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2쌍 ~ 6쌍의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소켓과 플러그를 신속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정해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분리가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자동 결합방식이므로 소켓과 플러그를 그냥 눌러서 조립할 수 있으며, 소켓을 잡은 상태에서 소켓이나 슬리브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일부가 패킹실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면서 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확실한(또는 완고한, 또는 견고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종래 에어커플러의 소켓 부분 단면도.
도 2 : 종래 에어커플러의 소켓과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도 3 : 종래 에어커플러의 소켓과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 : 종래 에어커플러의 잠금 상태 평면도.
도 5 : 종래 에어커플러의 호스결합부 부분 단면도.
도 6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평면도.
도 7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결합 상태 평면도.
도 8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잠금 상태 평면도.
도 9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0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 11 :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의 호스결합부 부분 단면도.
도 12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패킹 부분 단면도.
도 13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패킹 부분 단면도.
도 14 : 본 고안 도 12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5 : 본 고안 도 13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6 : 본 고안에서 소켓과 플러그가 결합 되기 전의 단면도.
도 17 : 본 고안에서 소켓과 플러그가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18 : 본 고안에서 잠금수단을 2개로 구성한 참고도.
도 19 : 본 고안에서 잠금수단을 6개로 구성한 참고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6 ~ 도 17은 본 고안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자동식 에어커플러(30)의 도면으로, 에어커플러(30)의 소켓(31) 부분에 잠금수단(32)을 구성하여 소켓(31)과 플러그(33)가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소켓(31) 후단의 호스결합부(34)에 억지 결합되는 에어호스(35)는 코일스프링(36)에 의해 가압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35)와 코일스프링(36)의 분리를 방지하고, 소켓(31) 내주면에 형성되는 패킹실(63)은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64)의 변형부(64c)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공간(65)(66)을 형성함으로써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의 확실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수단(32)은, 소켓(31) 외주에 설치되는 슬리브(42)의 후단 부분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소정 폭(W1)의 걸림돌부(43)와, 소켓(31)의 돌출형 정지부(44)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43)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소정 폭(W2)의 개방형 걸림홈(45)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소정 폭(W3)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수단(32)을 구성하는 걸림돌부(43)와 걸림홈(45)은 2쌍 ~ 6쌍으로 구성되며, 소켓(31)과 플러그(33)를 분리시킬 때 잠금수단(32)이 많을수록 분리시간이 단축된다. 즉, 소켓(31), 또는 슬리브(42), 또는 소켓(31)과 슬리브(42)를 회전시켜 분리시킬 때 잠금수단(32)이 2쌍으로 구성된 도 18의 경우 최대 180°에 가깝도록 회전시켜야 하지만, 잠금수단(32)이 6쌍으로 구성된 도 19의 경우 60°이하로 회전시키면 되므로 소켓(31)과 플러그(33)의 분리시간이 보다 단축된다.
상기 걸림돌부(43)는 슬리브(4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같이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리브(42)는 스프링실(54)에 설치되는 스프링(55)에 의해 전방(플러그(33) 방향)으로 탄지된다.
상기 걸림돌부(43)의 폭(W1)은 걸림홈(45)에 충분히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45)의 폭보다 조금 작은 편이며, 걸림돌부(43)의 모서리 부분은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걸림홈(45)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 에어커플러(30)는 자동 결합방식의 자동 에어커플러이므로 소켓(31)의 결합공(62)에 플러그(33)를 끼운 다음 소켓(31)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 6, 도 16과 같이 쉽게 결합된다. 이를테면, 도 6과 같이 잠금수단(32)을 구성하는 걸림돌부(43)와 걸림홈(45)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켓(31)의 입구에 위치하는 결합공(62)에 플러그(33)를 끼운 다음 플러그(33)를 F 방향으로 밀어주면 스프링실(71)의 스프링(72)에 의해 탄지되고 있던 지지링(59)과 밸브 본체(61)가 후진하게 되고, 스프링(55)에 의해 탄지되고 있던 슬리브(42)가 도 7의 E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복수의 볼(58)을 안쪽방향(결합공(62)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볼(58)은 플러그(33)의 결합홈(49)으로 진입하여 걸림되므로 도 16과 같이 플러그(33)와 소켓(31)의 결합이 달성되고, 복수의 패킹(64)(70)(73)에 의해 에어 유출이나 에어 누출이 방지된다. 특히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는 후술하는 패킹(64)과 수용공간(65)(66)에 의해 확실한 기밀(氣密)이 유지된다.
또한 잠금수단(32)을 구성하는 걸림돌부(43)는 도 6과 같이 슬리브(42)의 전진에 의해 걸림홈(45)으로부터 이탈하여 슬리브(42)를 시계방향(G 방향)이나 반시계방형(H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슬리브(42)를 반시계방향(H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리브(42)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걸림돌부(43)가 걸림홈(45)으로 결합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8과 같이 걸림돌부(43)가 정지부(44)에 걸림되고 슬리브(42)의 후진 이동이 방지되므로 잠금수단(32)의 잠금이 달성된다.
따라서 에어커플러(30)를 사용 중 외압 등에 의해 플러그(33)와 소켓(31)이 분리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물질이나 각종 수분 및/또는 오일 등이 걸림돌부(43)나 스프링실(54) 등으로 유입되거나 부착되지 않아 동작불량 및 산화 등이 방지되고, 아울러 수명 단축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43)는 슬리브(42)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소켓(31)의 정지부(44) 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홈(45)은 전면과 전/후방으로 완전 개방된 개방형 구조이고, 도 16, 도 17과 같이 슬리브(42)의 스프링실(54)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사용중에 먼지, 모래, 흙을 포함한 작은 크기의 돌과 같은 이물질과 작업장의 각종 수분 및/또는 오일 등이 걸림돌부(43) 및 그 주변과 스프링실(54)로 유입되지 않아 잠금수단(32)의 원활한 잠금 및 잠금해제가 달성된다.
또한, 에어커플러(30)를 사용중에 개방형 걸림홈(45)으로 먼지, 모래, 흙을 포함한 작은 크기의 돌과 같은 이물질과 작업장의 각종 수분 및/또는 오일 등이 일부 유입되더라도, 잠금수단(32)을 잠금시킬 때 후방 이동하면서 수용되는 걸림돌부(43)에 의해 걸림홈(45)으로 유입되었던 이물질을 포함한 수분 및/또는 오일 등이 개방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제거되므로 잠금수단(32)의 원활한 잠금 및 잠금해제가 달성되며, 슬리브의 동작불량이나 각종 부품의 산화 및 수명단축 등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에어호스(35)를 통하여 소켓(3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호스결합부(34)의 통공(53) → 밸브 본체(61)의 유입공(75) → 밸브 본체(61)의 중공 (67) → 플러그(33)의 중공 → 플러그(33)에 결합된 에어호스를 거쳐 공압기구로 전달된다.
본 고안 에어커플러(30)는 자동 결합방식의 자동 에어커플러이므로, 소켓(31)과 플러그(33)를 분리시키는 경우,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리브(42)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소켓(31)과 플러그(33)가 신속 간편하게 분리된다.
예컨대, 도 6과 같이 잠금수단(32)을 구성하는 걸림돌부(43)와 걸림홈(45)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켓(31)의 외주에 설치된 슬리브(42)를 도 7의 F 방향으로 밀어주면 걸림돌부(43)가 걸림홈(45)으로 들어가 수용되면서 잠금수단(3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또한 복수의 볼(58)을 안쪽방향(결합공(62) 방향)으로 밀어 주고 있던 슬리브(42)의 가압부(42a)가 슬리브(42)를 따라 F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볼(58)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스프링(72)에 의해 탄지되고 있던 지지링(59)과 밸브 본체(61)가 전진하면서 플러그(33)를 소켓(31)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도 7, 도 17과 같이 소켓(31)과 플러그(33)가 간편하게 분리된다.
또한 F 방향으로 밀었던 슬리브(42) 가압력을 제거하더라도 도 17과 같이 바깥방향(결합공(6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볼(58)에 의해 전진(E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므로 도 7과 같이 잠금수단(32)이 잠금된 상태로 유지되고, 에어호스(35)를 통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밸브 본체(61)의 역지 작용(체크밸브 기능)에 의해 에어 누출이나 에어 유출이 방지된다.
도 11은 본 고안 다른 실시 예로 고시한 호스결합부(34) 부분 단면도로, 호스결합부(34)의 후단부에 형성된 경사면(34a)에 에어호스(35)의 단부를 억지 결합하고, 호스고정구(77)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79)에 코일스프링(36)을 체결 고정하고, 호스고정구(77)의 선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78)를 상기 호스결합부(34)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시켜, 호스고정구(77)에 체결 고정된 코일스프링(36)의 선단부(36a)가 경사면(34a)에 억지결합된 에어호스(35)의 외주면을 가압시켜 경사면(34a)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에어호스(35)의 분리가 방지될 뿐 아니라, 코일스프링(36)의 분리도 방지된다. 즉, 상기 에어호스(35)와 코일스프링(36)은 호스고정구(77)와 경사면(34a) 사이에 밀착되어 확실한 결합이 유지되므로 분리가 방지된다. (80)은 호스결합부(34)의 경사면(34a)을 지나서 결합된 에어호스(35)의 단부(35a)를 지지하는 호스지지부이다.
도 12, 도 13은 밸브 본체(61)의 선단에 형성되는 패킹실(63) 일측에 수용공간(65)(66)을 형성하여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64c)가 각각 수용되게 함으로써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 확실한(또는 완고한, 또는 견고한) 기밀(氣密)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패킹실(63) 일측에 플러그(33) 방향으로 개방된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65)을 형성한 것이고, 도 13은 패킹실(63) 일측에 플러그(33) 단턱이 형성된 폐쇄형 수용공간(66)을 소정 크기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의 틈(X)을 통하여 패킹실(63)로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패킹(64)의 홈(64a)으로 고압이 인가되면 패킹(64)의 변형부(64c)가 수용공간(65)(66)으로 각각 유입되면서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 확실한(또는 완고한, 또는 견고한) 기밀(氣密)이 유지된다.
도 14는, 도 12의 수용공간(65)으로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64c)가 수용되면서 패킹(64)의 내주면이 플러그(33)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 확실한(또는 완고한, 또는 견고한) 기밀(氣密)이 달성된다.
도 15는, 도 13의 수용공간(66)으로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변형되는 패킹의 변형부(64c)가 수용되면서 패킹(64)의 내주면이 플러그(33)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 확실한(또는 완고한, 또는 견고한) 기밀(氣密)이 달성된다.
본 고안에서 슬리브(42) 외주면에 요입홈(47)이 형성되어 슬리브(42)를 도 7의 F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플러그(33)의 결합 스크로크, 이를테면, 플러그(33)의 경사부(51)와 평면부(52)의 합산 길이가 약 2.9㎜ 전후로 형성함으로써 소켓(31)에 결합되는 길이가 종래 5.2㎜ 보다 짧아 소켓(31)과 플러그(33)의 결합 및 분리가 신속 간편하며, 먼지나 이물질이 근본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미 설명부호 (46)은 스프링(55)을 지지하고 슬리브(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이고, (48)은 공압기구와 연결되는 에어호스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이고, (68)은 밸브 본체(61) 외부에 결합되는 밸브 이동체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30)--에어커플러 (31)--소켓
(32)--잠금수단 (33)--플러그
(34)--호스결합부 (34a)--경사면
(35)--에어호스 (36)--코일스프링
(36a)--선단부 (42)--슬리브
(42a)--가압부 (43)--걸림돌부
(44)--정지부 (45)--걸림홈
(49)--결합홈 (53)--통공
(54)(71)--스프링실 (55)(72)--스프링
(58)--볼 (59)--지지링
(61)--밸브 본체 (64)(70)(73)--패킹
(64c)--패킹 변형부 (65)(66)--수용공간
(67)--중공 (75)--유입공
(77)--호스고정구 (78)(79)--나사부
(X)--틈

Claims (2)

  1. 소켓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걸림홈과, 슬리브 후단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에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의 폭보다 작은 폭의 걸림돌부로 구성되어 소켓과 플러그의 사용 중 분리가 방지되는 공지의 에어커플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45)은 소켓(31)의 돌출형 정지부(44)에 형성하되, 전면과 전/후방으로 완전 개방되어 걸림홈(45)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걸림돌부(43)의 후방 이동에 의해 개방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2.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와, 상기 소켓 후단에 형성되는 호스결합부에 에어호스가 억지 결합되는 공지의 에어커플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결합부(34) 후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34a)에 에어호스(35)의 단부가 억지 결합되고, 호스고정구(77)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79)에 코일스프링(36)이 체결 고정되고, 호스고정구(77)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78)를 상기 호스결합부(34)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시켜, 호스고정구(77)에 체결 고정되는 코일스프링(36)의 선단부(36a)가 경사면(34a)에 억지결합되는 에어호스(35)의 외주면을 가압시켜 경사면(34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호스(35)와 코일스프링(36)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소켓(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패킹실(63) 일측에 패킹(64)의 변형부(64c)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5)(66)을 형성하여 패킹(65)의 변형부(64c)가 수용공간(65)(66)으로 수용되면서 패킹(64)의 내주면이 플러그(33)에 밀착되어 소켓(31)과 플러그(33) 사이에 확실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KR2020150006666U 2015-10-12 2015-10-12 에어커플러 KR201500039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66U KR20150003924U (ko) 2015-10-12 2015-10-12 에어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66U KR20150003924U (ko) 2015-10-12 2015-10-12 에어커플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61U Division KR20150002450U (ko) 2013-12-16 2013-12-16 에어커플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598U Division KR20160002322U (ko) 2016-06-24 2016-06-24 에어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24U true KR20150003924U (ko) 2015-10-27

Family

ID=5443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666U KR20150003924U (ko) 2015-10-12 2015-10-12 에어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9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40A (ko) 2016-09-09 2018-03-19 최상희 에어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40A (ko) 2016-09-09 2018-03-19 최상희 에어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809B1 (ko) 2개의 압축된 가스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신속 커플링
JP5394460B2 (ja) 流体継手
TWI463089B (zh) 內孔耦接元件及包含此元件之快速耦接器
ES2355964T3 (es) Conector rápido para aplicaciones de alta presión.
ES2716656T3 (es) Elemento hembra de conector rápido y conector rápido que comprende un tal elemento hembra
KR101011459B1 (ko) 에어 커플러
WO2009107790A1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JP5905954B2 (ja) 圧縮空気カップリング
CN109477604A (zh) 连接器
EP3705768B1 (en) Pipe joint
WO2018077196A1 (zh) 连接器
WO2009150738A1 (ja) 管継手
KR20110004978U (ko)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KR20150002450U (ko) 에어커플러
KR20150003924U (ko) 에어커플러
JP5417589B2 (ja) 管継手
KR20160002322U (ko) 에어커플러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1277814B1 (ko)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101441548B1 (ko) 유압 호스의 커플링 결합체
ES2769951T3 (es) Unión rápida desconectable para tuberías
JP6300688B2 (ja) 雌型管継手部材
JP2009174673A (ja) ワンタッチカプラ
CN114174709B (zh) 紧凑且可拆卸的流体连接装置
KR200410072Y1 (ko) 안전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