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978U -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978U
KR20110004978U KR2020090014737U KR20090014737U KR20110004978U KR 20110004978 U KR20110004978 U KR 20110004978U KR 2020090014737 U KR2020090014737 U KR 2020090014737U KR 20090014737 U KR20090014737 U KR 20090014737U KR 20110004978 U KR20110004978 U KR 201100049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lug
coupled
coupler
so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978U/ko
Publication of KR20110004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커플러에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해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켜 놓거나 뒤로 후퇴시키지 않고, 슬리브가 탄력적으로 전진해 있는 상태에서 슬리브의 이동없이 슬리브 바디에 플러그를 바로 끼워서 접속되게 함으로서 플러그를 록킹함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시키고, 퀵 커플러의 사용시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없이 빠르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켓 바디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소켓 바디에 플러그가 접속되면 밸브가 개폐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원터치식 퀵 커플러에 있어서, 내측부에 슬리브 바디 체결부가 형성되는 소켓 바디와; 상기 소켓 바디의 내측부에 형성된 슬리브 바디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체결부가 몸체에 외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는 플러그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우측단부 외주면에 스톱링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삽입 설치되는 록킹볼을 구비하는 슬리브 바디와; 일측부가 상기 소켓 바디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에 상기 플러그를 끼워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를 후퇴시키지 않고 플러그를 끼움으로서 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커플러에 플러그를 간단하게 끼우는 동작으로 불필요한 슬리브의 이동이 없어지므로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킬 필요가 없고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의 진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위급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가 향상되며 커플러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늘어붙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동작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관리 및 유지 보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커플러, 퀵 커플러, 하이브리드, 소켓 바디, 슬리브 바디, 슬리브, 장공, 록킹볼, 록킹홈, 슬리브 스프링, 슬리브 와셔, 볼 와셔 스프링, 볼 와셔, 스톱링, 록킹볼 결합부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A HYBRID QUICK COUPLER}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커플러에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해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켜 놓거나 뒤로 후퇴시키지 않고, 슬리브가 탄력적으로 전진해 있는 상태에서 슬리브의 이동없이 슬리브 바디에 플러그를 바로 끼워서 접속되게 함으로서 플러그를 록킹함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시키고, 퀵 커플러의 사용시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키는 불필요한 동작없이 빠르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퀵 커플러(QUICK COULPLER)란 연결구를 말하는 것으로 호스 또는 파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물, 기름, 가스, 에어 등의 유체를 원거리로 이동시킬 때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또는 호스와 파치프 간의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플링 수단이다.
이러한 퀵 커플러는 별도의 조립공구 없이 호스와 호스, 파이프와 파이프 등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유압 설비에 사용되는 배관의 연결 및 에어 설비에 연결되는 에어관의 연결 및 가스 설비에 사용되는 가스관의 연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그 신속한 결합성 때문에 등반용 장비의 일종인 비너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소방용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퀵 커플러는 크게 소켓과,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와, 유압, 가스, 에어 등으로 연결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는 커플러 몸체와, 상기 커플러 몸체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플러그를 고정하도록 커플러 몸체에 내삽된 록킹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퀵 커플러는 먼저, 커플러의 일측부에 소켓이 끼워지고 타측부에는 플러그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커플러 몸체의 외측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힘을 가하여 뒤로 후퇴시키고 상기 록킹볼이 자유롭게 상하 유동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제 한후, 플러그를 상기 커플러 몸체에 밀어서 끼워 넣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러그는 커플러 몸체에 끼워짐과 동시에 록킹볼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록킹볼은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록킹홈에 안착된다.
이후, 강제로 후퇴된 슬리브가 탄력적으로 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전진하여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볼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가 록킹볼을 압압하고 상기 록킹볼은 상기 플러그를 압압하여 상기 플러그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는 커플러 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반발하여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종래의 퀵 커플러는 플러그를 끼워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커플러를 잡음과 동시에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슬리브를 잡아서 힘을 가하여 뒤로 후퇴시키고 이와 동시에, 다른 한손에 잡고 있던 플러그를 커플러에 끼우고 상기 슬리브를 놓아주어서 스프링의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하여 상기 플러그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퀵 커플러는 항상 슬리브를 후퇴시키고 플러그를 끼워서 고정해야 했으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그 문제점을 개선한 고안이 실용신안 제 1997-28727호로 출원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 1997-28727호에 공개된 고안은 작업자가 커플러를 잡고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키지 않고 바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미리 후퇴시켜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고 있다가 플러그를 바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미리 후퇴되어 있던 슬리브가 플러그가 끼워짐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전진하여 플러그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안은 커플러에 플러그를 바로 접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접속의 용이함이 있었으나 유압, 가스, 에어 등을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각종 용접작업 및 그라인딩 작업 등의 작업시에 발생하는 먼지, 버어, 각종 이물질 등이 상기 커플러의 결합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미리 후퇴된 슬리브와 커플러 몸체 또는 커플러 몸체와 외부로 노출된 록킹볼 사이의 틈 사이로 투입되어 슬리브의 이동을 방해하여 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이물질이 쌓여서 록킹볼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서 커플러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별도의 커플러를 청소하거나 관리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현장에서의 여러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종래의 전진된 슬리브와 후퇴된 슬리브의 동작상태를 병용하고 또한 소방 및 등산 장비에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슬리브의 이동없이 플러그를 빠르게 접속고정할 수 있도록 작동이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를 고안하여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기 커플러에 결합된 슬리브가 접속을 위하여 미리 후퇴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고 종래의 커플러와 결합되는 정상적인 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후퇴없이 플러그를 바로 접속함으로서 밸브를 개방하고 플러그를 록킹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슬리브의 이동없이 바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접속 연결이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결합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속도를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커플러의 보관 및 유지관리와 내구성을 향상시ㅋ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소켓 바디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소켓 바디에 플러그가 접속되면 밸브가 개폐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원터치식 퀵 커플러에 있어서, 내측부에 슬리브 바디 체결부(16)가 형성되는 소켓 바디(102)와; 상기 소켓 바디(102)의 내측부에 형 성된 슬리브 바디 체결부(16)와 결합되도록 체결부(34)가 몸체(32)에 외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플러그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부(38)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40)이 형성되고, 몸체(32)의 우측단부 외주면에 스톱링 고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40)에 삽입 설치되는 록킹볼(30)을 구비하는 슬리브 바디(104)와; 일측부가 상기 소켓 바디(102)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106)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 상기 플러그(20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106)를 후퇴시키지 않고 플러그(200)를 끼움으로서 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커플러에 플러그를 간단하게 끼우는 동작으로 불필요한 슬리브의 이동이 없어지므로 슬리브를 뒤로 후퇴시킬 필요가 없고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의 진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위급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가 향상되며 커플러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늘어붙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동작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관리 및 유지 보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소켓 바디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소켓 바디에 플러그가 접속되면 밸브가 개폐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원터치식 퀵 커플러에 있어서,
내측부에 슬리브 바디 체결부(16)가 형성되는 소켓 바디(102)와;
상기 소켓 바디(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슬리브 바디 체결부(16)와 결합되도록 체결부(34)가 몸체(32)에 외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플러그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부(38)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40)이 형성되고, 몸체(32)의 우측단부 외주면에 스톱링 고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40)에 삽입 설치되는 록킹볼(30)을 구비하는 슬리브 바디(104)와;
일측부가 상기 소켓 바디(102)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106)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 상기 플러그(20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106)를 후퇴시키지 않고 플러그(200)를 끼움으로서 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켓 바디(102)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 스프링(20)과,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의 우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106)의 내측부에 끼워져서 결합 지지되는 슬리브 와셔(22)와,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끼워지고 상기 소켓 바디(102)와 상기 슬리브 바디(104)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볼 볼 와셔 스프 링(24) 및 볼 와셔(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스톱링 고정홈(42)에 상기 슬리브(10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링(28)이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100)는 소켓이 끼워지는 소켓 바디(102)와, 상기 소켓 바디(102)의 전면-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에 끼워져서 체결 설치되는 슬리브 바디(104)와,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결합 설치되는 슬리브(10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동심축 중앙부에는 플러그(200)가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소켓 바디(102)의 내측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 스 프링(110)을 구비한 밸브(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108)는 가스, 에어 등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함과 동시에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상기 소켓 바디(102)의 몸체(10)의 좌측 내측부에는 미도시된 소켓이 체결 고정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간부에는 밸브 스프링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스프링 결합부(14)의 우측부에는 슬리브 바디 결합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 바디(102)의 몸체(10)의 우측부 외주면에는 고정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 스프링 결합부(14)에는 원추형상의 밸브 스프링(110)이 끼워지고 상기 밸브 스프링(110)의 좌측단부가 상기 밸브 스프링 결합부(14)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밸브 스프링 고정턱(15)에 막혀서 일측방향, 바람직하기로는 도면상의 우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탄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밸브 스프링 결합부(14)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기 밸브 스프링(110)의 타단부는 - 즉, 우측단부는 상기 밸브(108)의 좌측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밸브(108)를 탄력적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108)는 상기 플러그(200)가 소켓 바디(102)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플러그(200)의 좌측단부가 상기 밸브(108)의 우측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밸브(108)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주고 이때 상기 밸브 스프링(110)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이동되고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108)가 개방된다.
상기 밸브(108)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체는 상기 중앙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따라 밸브(108)를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이후, 플러그(200)를 제거하면 상기 밸브(108)은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 바디(102)의 우측단부에는 고정턱(18)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고정턱(18)에는 슬리브 스프링(20)이 끼워져서 좌우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은 소켓 바디(102)에 체결 설치되는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의 우측부에는 슬리브 와셔(22)가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와셔(22)는 후술되는 상기 슬리브(106)의 고정턱(48)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10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소켓 바디(100)의 고정턱(18)과 상기 슬리브(106)의 고정턱(48)사이에 결합된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이 탄력적으로 탄발 작용하여 슬리브(106)를 복귀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는 볼 와셔 스프링(24)이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의 우측부에는 볼 와셔(26)가 결합되어 잇으며, 이때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은 상기 슬리브 와셔(22)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구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 와셔(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부-즉, 좌측단부는 상기 소켓 바디(102) 고정턱(18)의 우측면부에 접촉 지지되어 탄발 작용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의 우측부에는 볼 와셔(26)가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볼 와셔(26)는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이 탄력적으로 작용하도록 우측부를 고정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우측단부 외주면에는 스톱링(28)이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는 복수개의 록킹볼(30)이 삽입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몸체(32)의 좌측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 바디 체결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단부 내측부에는 밸브(108)의 오링(109)이 결합되는 오링 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 내측부에는 플러그 결합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결합부(38)의 상하좌우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2)의 우측단부 외주면에는 스톱링 고정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장공(40)에는 록킹볼(30)이 각각 대응하여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볼 와셔(26)는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우측부에는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장공(40)에 삽입된 록킹볼(3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볼 와셔(26)에 의해 록킹볼(30)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의 좌측단부는 상기 소켓 바디(102) 고정턱(18)의 우측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의 우측단부는 상기 볼 와셔(26)의 좌측부에 밀착되어져서 고정되며, 상기 볼 와셔(26)는 상기 록킹 볼(30)이 상기 장공(40)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탄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는 상기 슬리브(106)가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슬리브(106)의 몸체(44)의 좌측단 내측부에는 슬리브 와셔 결합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와셔 결합부(46)의 우측단에는 상기 슬리브 와셔(22)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턱(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106)의 몸체(44)의 우측단 내측부에는 자유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와셔 결합부(46)와 상기 자유홈(51) 사이에는 록킹볼 결합부(47)와, 록킹 결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유홈(51)에는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우측 외주면에 고정결합되는 스톱링(28)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록킹볼 결합부(47)에는 상기 플러그(200)가 끼워질 때 상기 록킹볼(30)이 밀리면서 진입한 후,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결합부(50)는 상기 플러그(200)가 끼워져서 고정될때 상기 록킹볼(3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 결합부(50)와 플러그(200)의 록킹홈(56)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 결합되는 플러그(200)는 몸체(52)의 전부에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부가 형성된 원추형상의 결합돌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54)에는 록킹볼(30)이 안착 고정되는 록킹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200)가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 끼워질 때, 상기 플러그(200)에 형성된 결합돌부(54)에 의해 상기 록킹볼(30)이 밀려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상기 볼 와셔(26)를 밀면서 들어가며 상기 볼 와셔(26)는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을 탄압하고 상기 플러그(200)의 결합돌부(54)에 의해 밀려들어가는 록킹볼(30)은 슬리브(106)의 슬리브 와셔 결합부(46)에 위치하고 상기 장공(40)을 따라 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록킹볼 결합부(47)에 위치하였다고 상기 플러그(200)가 계속 전진함에 따라 상기 록킹볼(30)이 상기 플러그(200)에 형성된 록킹홈(56)에 안착되고 상기 슬리브(106)에 형성된 록킹 결합부(50)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200)가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러그(200)가 끼워지면 상기 록킹볼(3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리브(106)의 록킹 결합부(50)를 좌측방향으로 벗어나게 되고 상기 볼 와셔(26)와 슬리브 와셔(22)를 밀어서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과 슬리브 스프링(20)을 좌측방향으로 탄압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록킹볼(30)이 상기 록킹볼 결합부(47)로 이동 전진하였다가 다시 볼 와셔 스프링(24)에 의해 밀려나면서 상기 플러그(200)의 록킹홈(56)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볼(30)은 슬리브 스프링(20)을 탄압 전진하면서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장공(40) 내에서 좌우 상하로 잠시동안 자유로운 유동상태가 되어 록킹볼 결합부(47)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밸브(108)와 상기 플러그(200)가 맞닿아서 유체가 흐르도록 통로가 개폐되면 상기 록킹볼(30)이 상기 결합돌부(54)를 타고 넘어가서 록킹홈(56)에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볼(30)이 록킹홈(56)에 안착되면 상기 볼 와셔 스프링(24)도 탄발 작용하여 상기 볼 와셔(26)를 우측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볼 와셔(26)가 상기 록킹볼(30)을 밀어서 장공(40)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볼(30)이 록킹홈(56)에 안착되면 상기 슬리브(106)의 록킹 결합부(50)가 상기 록킹볼(30)을 눌러줌으로서 상기 플러그(200)가 상기 커플러(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플러는(100)는 본 고안의 목적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브(106)를 한손으로 후퇴시키지 않고도 상기 플러그(200)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고 숙련된 경험자에 의해 상기 슬리브(106)를 뒤로 후퇴시킨 후, 상기 플러그(200)를 끼울 수 있도록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플러(100)를 한 손으로 잡고, 가스, 에어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200)를 상기 커플러(100)에 끼우면 상기 플러그(200)가 끼워짐과 동시에 슬리브 바디(104)의 내측에 설치된 록킹볼(30)이 결합돌부(56)에 의해 밀리면서 장공(40)을 따라 약간 후퇴하고 상기 록킹볼(30)이 록킹볼 결합부(47)에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 스프링(20) 및 볼 와셔 스프링(24)의 탄발력에 의해 밀려났다가 상기 플러그(200)가 밸브(108)를 개폐하게 되면 상기 결합돌 부(54)를 타고 넘어가서 록킹홈(56)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슬리브(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록킹 결합부(50)가 상기 록킹볼(30)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상기 플러그(200)가 상기 커플러(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 퀵 커플러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에는 본원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100)의 소켓 바디(102)의 몸체(11) 후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13)가 형성된 구성이고, 도 9는 소켓 바디(102)의 몸체(17)에 호스 결합부(19)가 형성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바디 몸체 12 : 체결부
14 : 밸브 스프링 결합부 16 : 체결부
15,18 : 고정턱 20 : 슬리브 스프링
22 : 슬리브 와셔 24 : 볼 와셔 스프링
26 : 볼 와셔 28 : 스톱링
30 : 록킹볼 32 : 슬리브 바디 몸체
34 : 체결부 36 : 오링 결합부
38 : 플러그 결합부 40 : 장공
42 : 스톱링 고정홈 44 : 슬리브 몸체
46 : 결합부 47 : 록킹볼 결합부
48 : 고정턱 50 : 록킹 결합부
54 : 결합돌부 56 : 록킹홈
100 :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102 : 소켓 바디
104 : 슬리브 바디 106 : 슬리브
108 : 밸브 110 : 밸브 스프링
200,202 : 플러그

Claims (3)

  1. 소켓 바디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소켓 바디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소켓 바디에 플러그가 접속되면 밸브가 개폐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원터치식 퀵 커플러에 있어서,
    내측부에 슬리브 바디 체결부(16)가 형성되는 소켓 바디(102)와;
    상기 소켓 바디(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슬리브 바디 체결부(16)와 결합되도록 체결부(34)가 몸체(32)에 외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플러그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결합부(38)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장공(40)이 형성되고, 몸체(32)의 우측단부 외주면에 스톱링 고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40)에 삽입 설치되는 록킹볼(30)을 구비하는 슬리브 바디(104)와;
    일측부가 상기 소켓 바디(102)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106)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104)에 상기 플러그(20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106)를 후퇴시키지 않고 플러그(200)를 끼움으로서 록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바디(102)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슬리브 스프링(20)과, 상기 슬리브 스프링(20)의 우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106)의 내측부에 끼워져서 결합 지지되는 슬리브 와셔(22)와,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외측부에 끼워지고 상기 소켓 바디(102)와 상기 슬리브 바디(104)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볼 볼 와셔 스프링(24) 및 볼 와셔(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104)의 스톱링 고정홈(42)에 상기 슬리브(10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링(28)이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KR2020090014737U 2009-11-12 2009-11-12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KR201100049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37U KR20110004978U (ko) 2009-11-12 2009-11-12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37U KR20110004978U (ko) 2009-11-12 2009-11-12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78U true KR20110004978U (ko) 2011-05-18

Family

ID=4929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737U KR20110004978U (ko) 2009-11-12 2009-11-12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978U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9Y1 (ko) * 2012-11-09 2013-02-15 서한호 에어 커플러
KR101313286B1 (ko) * 2013-02-27 2013-09-30 신동규 원터치 방식의 도어 오픈용 소방기구
KR101504016B1 (ko) * 2013-07-10 2015-03-18 이동수 케이블용 원터치 커넥터
CN108879209A (zh) * 2017-09-05 2018-11-23 武汉市联华飞创科技有限公司 一种快插自锁射频连接器
KR20210026354A (ko) 2019-08-30 2021-03-10 김유라 원터치 고압 커넥터
CN113606227A (zh) * 2021-07-12 2021-11-05 玉环松辽管业有限公司 高压自锁拉闸杆快速连接件
KR2022008230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제이티 푸시풀 리셉터클
KR20220002717U (ko) * 2021-05-10 2022-11-17 (주) 라투스 알에프 커넥터
KR102485867B1 (ko) * 2022-10-13 2023-01-09 (주)씨티코리아 퀵 커플러
KR20230135273A (ko) 2022-03-16 2023-09-25 최현용 잠금 래치가 구비된 로우-스필 커플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9Y1 (ko) * 2012-11-09 2013-02-15 서한호 에어 커플러
KR101313286B1 (ko) * 2013-02-27 2013-09-30 신동규 원터치 방식의 도어 오픈용 소방기구
KR101504016B1 (ko) * 2013-07-10 2015-03-18 이동수 케이블용 원터치 커넥터
CN108879209A (zh) * 2017-09-05 2018-11-23 武汉市联华飞创科技有限公司 一种快插自锁射频连接器
KR20210026354A (ko) 2019-08-30 2021-03-10 김유라 원터치 고압 커넥터
KR2022008230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제이티 푸시풀 리셉터클
KR20220002717U (ko) * 2021-05-10 2022-11-17 (주) 라투스 알에프 커넥터
CN113606227A (zh) * 2021-07-12 2021-11-05 玉环松辽管业有限公司 高压自锁拉闸杆快速连接件
KR20230135273A (ko) 2022-03-16 2023-09-25 최현용 잠금 래치가 구비된 로우-스필 커플러
KR102485867B1 (ko) * 2022-10-13 2023-01-09 (주)씨티코리아 퀵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978U (ko)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US5284582A (en) Fast connection joint of fitting outlet
US4025049A (en) Hose coupling
US2135222A (en) Coupling
JP2009508072A (ja) 二つの管を組立てる安全迅速連結器
WO2018109777A1 (en) A coupling device
KR101891283B1 (ko) 압축 공기 커플링
HUT76957A (hu) Kombinált sűrítettlevegős szerszám
JP2017500519A (ja) 正面環状シールを有する流体搬送平坦面カプラー
US20140265316A1 (en) Locking catch and latch for quick connect hydraulic coupler
KR101085452B1 (ko) 급수 개폐 장치
US2648548A (en) Valved pipe coupling
TWM587240U (zh) 通用型按壓式快速接頭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KR20170119382A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1296914B1 (ko) 무부하 퀵 커플러
JP5132992B2 (ja) 管継手
JP3678477B2 (ja) 複数の配管継手の接続装置
CN210661837U (zh) 一种液压快速连接装置及桩腿平台系统
JP2004052867A (ja) 緊急離脱用管継手
US20070252101A1 (en) Safety plug
KR200410072Y1 (ko) 안전 커플러
CA2617762A1 (en) Connector for flexible and semi-rigid pipings
US761950A (en) Hose-coupling.
JPS63488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