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382A - 호스용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호스용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382A
KR20170119382A KR1020160047318A KR20160047318A KR20170119382A KR 20170119382 A KR20170119382 A KR 20170119382A KR 1020160047318 A KR1020160047318 A KR 1020160047318A KR 20160047318 A KR20160047318 A KR 20160047318A KR 20170119382 A KR20170119382 A KR 2017011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ase
collar
sleeve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164B1 (ko
Inventor
김화동
Original Assignee
(주)씨디씨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씨뉴매틱 filed Critical (주)씨디씨뉴매틱
Priority to KR102016004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1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Abstract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는 밸브몸체(10);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중공부(21)의 중간부위에 삽입결합되는 호스(1)의 일측단부가 걸리는 제 1 단턱(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21a)의 전방에 제 2 단턱(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턱(21b)의 전방에 제 3 단턱(21c)이 형성된 케이스(20);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과 접하여 밀폐하는 실링(30); 전방 내주연에 제 1 경사면(4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백링(40); 상기 백링(4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호스(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 크로우(50); 상기 백링(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백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칼라(60); 상기 칼라(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칼라(60)에 의해 안내되는 슬리브(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호스용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for Hose}
본 발명은 호스의 결합시 및 분리시 호스의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호스 분리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와 결합된 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스를 결합시키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다.
종래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4837호(발명의 명칭: 호스연결구)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호스연결구는 몸체를 이루어 호스(1)가 삽입되며 유체 유동통로(21)가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디(20)와, 상기 바디(20)에 일측이 구속고정되며, 그 타측으로 하여금 바디(20)에 삽입된 호스(1)의 외주를 탄성적으로 압압하여 호스(1)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절두원추형의 탄성부재(30)와, 상기 탄성부재(30)를 밀어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호스(1)를 압압하는 탄성력을 해제하여 호스(1)를 연결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20)에 소정량 축방향 이동가능하며 이탈방지되도록 삽입된 해제버튼(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연결구는 유/공압장치의 유체호스를 배관함에 있어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를 도모하고 특히, 착탈의 빈도수가 많은 곳에서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호스연결구는 탄성부재(30)가 바디(20)에 결합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바디(20)에 탄성부재(30)와 해제버튼(40)이 결합되면 탄성부재(30)와 해제버튼(40)을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이들이 서로 오조립되는 경우에는 해체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호스이탈방지부가 밸브몸체에 정위치로 결합되도록 하며, 슬리브의 조립을 원활하도록 하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조립시 분리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몸체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호스가 정위치로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제 1 중공부(11)가 형성된 밸브몸체(10);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중공부(11)와 연통되는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부(21)의 중간부위에 삽입결합되는 호스(1)의 일측단부가 걸리는 제 1 단턱(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21a)의 전방에 상기 제 1 단턱(21a)보다 직경이 큰 제 2 단턱(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턱(21b)의 전방에 상기 제 2 단턱(21b)보다 직경이 큰 제 3 단턱(21c)이 형성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제 2 단턱(21b)에 걸리도록 삽입되어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과 접하여 밀폐하는 실링(30); 상기 실링(3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단턱(21c)에 걸리도록 삽입되며 전방 내주연에 제 1 경사면(4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백링(40); 상기 백링(4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호스(1) 삽입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과 접하고 호스(1) 삽입 후 탄성복원되어 호스(1) 외주면과 접하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호스(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스(1) 삽입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로킹 크로우(50); 상기 백링(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백링(40)을 삽입하도록 하고,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상기 백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가 중공된 칼라(60); 상기 칼라(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칼라(60)에 의해 안내되며, 호스(1) 삽입을 위한 내측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로킹 크로우(50)와 접하여 상기 로킹 크로우(50)를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에 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키도록 후방 단부에 제 2 경사면(71)이 형성되고, 전방 단부에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턱(72)이 형성된 슬리브(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에는 제 1 돌기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 내주연에는 상기 제 1 돌기부(61)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칼라(60)가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돌기부 삽입홈(21d)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70)의 후방 외주연에는 제 2 돌기부(73)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60)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2 돌기부(73)가 걸려 상기 슬리브(70)가 상기 칼라(60)로부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돌기부 걸림턱(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칼라(6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1 함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6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슬리브(7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2 합입부(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0)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굴곡부위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 케이스(20a)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 케이스(2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20a)와 상기 상부 케이스(20b)는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칼라(6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1 공구삽입홀(23)이 더 형성되며, 상기 칼라(60)는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슬리브(70)를 상기 칼라(6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2 공구삽입홀(6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는 호스의 결합시 및 분리시 호스의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호스 분리시 호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로킹 크로우를 분리시켜 호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또한, 슬리브의 이동을 칼라가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오조립시 분리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분리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몸체의 토출방향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호스의 설치방향에 맞게 호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에 호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에 결합된 호스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슬리브를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에 호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에 결합된 호스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슬리브를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호스용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호스용 밸브 조립체(100)는, 밸브몸체(10), 케이스(20), 실링(30), 백링(40), 로킹 크로우(50), 칼라(60), 슬리브(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몸체(10)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제 1 중공부(11)가 형성된다.상기 밸브몸체(10)는 황동재질로 된다.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 호스(1)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20)가 결합되어 유체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중공부(11)와 연통되는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공부(21)에는 제 1 단턱(21a), 제 2 단턱(21b) 및 제 3 단턱(21c)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단턱(21a)은 상기 제 2 중공부(21)의 중간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중공부(21)에 삽입결합되는 호스(1)의 일측단부가 걸리게 된다.
상기 제 1 단턱(21a)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단턱(21a)보다 직경이 큰 제 2 단턱(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단턱(21b)에는 상기 제 2 중공부(21)에 삽입되는 상기 실링(30)의 내측 단부가 걸리게 된다.
상기 제 2 단턱(21b)의 전방에는 상기 제 2 단턱(21b)보다 직경이 큰 제 3 단턱(21c)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단턱(21c)에는 상기 제 2 중공부(21)에 삽입되는 상기 백링(40)의 내측 단부가 걸리게 된다.
상기 실링(seal ring)(30)은 상기 케이스(20)의 제 2 단턱(21b)에 걸리도록 삽입되어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과 접하여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링(back ring)(40)은 상기 실링(30)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단턱(21c)에 걸리도록 삽입되며, 전방 내주연에 제 1 경사면(4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다.
상기 로킹 크로우(locking craw)(50)는 상기 백링(4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호스(1) 삽입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과 접하고 호스(1) 삽입 후 탄성복원되어 호스(1) 외주면과 접하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호스(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스(1) 삽입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칼라(60)는 상기 백링(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백링(40)을 삽입하도록 하고,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상기 백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슬리브(7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다.
상기 칼라(60)의 삽입을 완료하면 상기 백링(40)이 상기 칼라(60)에 의해 상기 제 3 단턱(21c)에 걸리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에는 제 1 돌기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 내주연에는 상기 제 1 돌기부(61)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칼라(60)가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돌기부 삽입홈(21d)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70)는 상기 칼라(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칼라(60)에 의해 안내되며, 호스(1) 삽입을 위한 내측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로킹 크로우(50)와 접하여 상기 로킹 크로우(50)를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에 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키도록 후방 단부에 제 2 경사면(71)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70)는 전방 단부에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턱(7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70)의 후방 외주연에는 제 2 돌기부(73)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60)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2 돌기부(73)가 걸려 상기 슬리브(70)가 상기 칼라(60)로부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돌기부 걸림턱(6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에 상기 칼라(6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칼라(60)에 상기 슬리브(7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제 1 함입부(22)와 제 2 합입부(63)를 채택한다.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칼라(6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1 함입부(22)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칼라(6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슬리브(7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2 합입부(63)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0)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0)는 도 5에서와 같이 굴곡부위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 케이스(20a)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 케이스(2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20a)와 상기 상부 케이스(20b)는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20)가 하부 케이스(20a)와 상부 케이스(20b)로 이루어지고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되면 호스의 설치방향에 맞게 상기 상부 케이스(20b)를 회전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밸브용 조립체의 조립시 오조립되게 되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상기 칼라(6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 1 공구삽입홀(23)을 채택하고, 상기 칼라(60)로부터 상기 슬리브(7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 2 공구삽입홀(64)을 채택한다(도 4 참조).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칼라(6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1 공구삽입홀(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공구삽입홀(23)에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을 압입하게 되면 상기 칼라(6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공구삽입홀(23)은 상기 케이스(2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칼라(60)는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슬리브(70)를 상기 칼라(6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2 공구삽입홀(6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공구삽입홀(64)에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을 압입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70)를 상기 칼라(60)로부터 분리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공구삽입홀(64)은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슬리브(70)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귀스프링(7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스프링(75)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칼라(60)의 외측 단부와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한턱(72)의 내측과 접하여 호스(1) 삽입후 상기 슬리브(7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귀스프링(75)에 의해 호스(1) 삽입후에 상기 슬리브(70)의 제 2 경사면(71)이 상기 로킹 크로우(50)로부터 후퇴되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로킹 크로우(50)가 신속하게 복원되어 상기 호스(1)의 외주연과 접하게 됨으로써 호스(1)가 로킹 크로우(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조립시 분리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분리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호스 밸브용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한다.
먼저,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에 실링(30)을 삽입하고 실링(30)의 내측 단부가 케이스(20)의 제 2 단턱(21b)에 걸리도록 한다.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에 백링(40)을 삽입하고 백링(40)의 내측 단부가 케이스(20)의 제 3 단턱(21c)에 걸리도록 한다.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에 로킹 크로우(50)를 삽입하고 상기 백링(40)의 외측 단부에 접하도록 한다.
칼라(60)를 삽입하여 케이스(20)에 고정되도록 하여 백링(40) 및 로킹 크로우(5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칼라(60)에 슬리브(70)를 삽입하여 슬리브(70)가 칼라(6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호스 밸브용 조립체는 조립이 완료되어 도 1의 상태가 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리브(70) 내부에 호스(1)를 삽입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호스(1)의 단부가 케이스(20)의 제 1 단턱(21a)에 걸리도록 한다.
호스(1) 삽입시에는 상기 로킹 크로우(50)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과 접하게 되므로 호스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호스(1) 삽입 후에는 로킹 크로우(50)가 탄성복원되어 호스(1) 외주면과 접하게 되므로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호스(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호스(1) 분리시에는 상기 슬리브(70)를 칼라(60)의 내부로 밀어 넣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브(70)의 제 2 경사면(71)이 상기 로킹 크로우(50)와 접하여 상기 로킹 크로우(50)를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에 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로킹 크로우(50)가 상기 호스(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므로 호스(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호스 결합시에 호스가 정위치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구성은 두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는 누름스위치(80)와 표시등(미도시됨)의 구성을 채택한다.
상기 누름스위치(8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0)의 제 1 단턱(21a)과 제 2 단턱(21b)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연에 구비된다. 상기 누름스위치(80)는 제 2 단턱(21b)과 근접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스위치(80)는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표시등(미도시됨)은 상기 케이스(20)의 외측에 구비되며 호스(1)의 외주연에 의한 상기 누름스위치(80)의 누름에 의해 호스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삽입된 호스(1)가 상기 실링(30)을 통과하게 되어 누수가 방지되게 되므로 호스(1)가 정위치로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는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공(25)과, 누수확인링(90)의 구성을 채택한다.
상기 관통공(25)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20)의 제 1 단턱(21a)과 제 2 단턱(21b)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연에는 상기 케이스(20)를 외주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수확인링(90)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공(25) 부위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25)과 연통되는 연통공(9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정위치로의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 누수확인링(90)을 회전시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공(25)과 연통공(91)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하여 누수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스(1)의 정위치로의 삽입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삽입된 호스(1)가 상기 실링(30)을 통과하게 되어 관통공(25) 후부로 위치하게 되면 호스(1)의 외주연과 케이스(20)의 내주연이 접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공(25)과 연통공(91)이 일치되도록 하더라도 누수량이 거의 없게 되므로 호스(1)가 정위치로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삽입된 호스(1)가 관통공(25) 전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관통공(25)과 연통공(91)이 일치되도록 하게 되면 누수량이 많게 되므로 호스(1)가 정위치로 삽입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경우에는 호스(1)를 케이스(20) 내부로 더 삽입하여 호스(1)를 정위치시키면 된다.
누수의 확인이 끝나면 상기 누수확인링(90)을 회전시켜 상기 관통공(25)과 연통공(91)이 서로 어긋나도록 한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호스 10 : 밸브몸체
11 : 제 1 중공부 20 : 케이스
21 : 제 2 중공부 21a: 제 1 단턱
21b: 제 2 단턱 21c: 제 3 단턱
21d: 제 1 돌기부 삽입홈 22 : 제 1 함입부
23 : 제 1 공구삽입홀 30 : 실링
40 : 백링 41 : 제 1 경사면
50 : 로킹 크로우 60 : 칼라
61 : 제 1 돌기부 62 : 제 2 돌기부 걸림턱
63 : 제 2 합입부 64 : 제 2 공구삽입홀
70 : 슬리브 71 : 제 2 경사면
72 : 제한턱 73 : 제 2 돌기부
100: 호스용 밸브 조립체

Claims (9)

  1.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제 1 중공부(11)가 형성된 밸브몸체(10);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중공부(11)와 연통되는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부(21)의 중간부위에 삽입결합되는 호스(1)의 일측단부가 걸리는 제 1 단턱(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21a)의 전방에 상기 제 1 단턱(21a)보다 직경이 큰 제 2 단턱(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턱(21b)의 전방에 상기 제 2 단턱(21b)보다 직경이 큰 제 3 단턱(21c)이 형성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제 2 단턱(21b)에 걸리도록 삽입되어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과 접하여 밀폐하는 실링(30);
    상기 실링(3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단턱(21c)에 걸리도록 삽입되며 전방 내주연에 제 1 경사면(4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백링(40);
    상기 백링(4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호스(1) 삽입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과 접하고 호스(1) 삽입 후 탄성복원되어 호스(1) 외주면과 접하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호스(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스(1) 삽입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로킹 크로우(50);
    상기 백링(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백링(40)을 삽입하도록 하고,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상기 백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가 중공된 칼라(60);
    상기 칼라(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칼라(60)에 의해 안내되며, 호스(1) 삽입을 위한 내측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로킹 크로우(50)와 접하여 상기 로킹 크로우(50)를 상기 백링(40)의 제 1 경사면(41)에 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키도록 후방 단부에 제 2 경사면(71)이 형성되고, 전방 단부에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턱(72)이 형성된 슬리브(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칼라(60)의 외측 단부와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한턱(72)의 내측과 접하여 호스(1) 삽입후 상기 슬리브(7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7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에는 제 1 돌기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제 2 중공부(21) 내주연에는 상기 제 1 돌기부(61)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칼라(60)가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돌기부 삽입홈(21d)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70)의 후방 외주연에는 제 2 돌기부(73)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60)의 내주연에는 상기 제 2 돌기부(73)가 걸려 상기 슬리브(70)가 상기 칼라(60)로부터 호스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돌기부 걸림턱(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칼라(6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1 함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60)의 전방 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슬리브(7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제 2 합입부(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굴곡부위를 중심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하부 케이스(20a)와 유체가 배출되는 상부 케이스(2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20a)와 상기 상부 케이스(20b)는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칼라(6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칼라(60)를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1 공구삽입홀(23)이 더 형성되며,
    상기 칼라(60)는 상기 슬리브(70)의 외주연을 압입하여 상기 슬리브(70)를 상기 칼라(6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 2 공구삽입홀(6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제 1 단턱(21a)과 제 2 단턱(21b)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연에 구비되어 삽입된 호스(1)의 외주연에 의해 눌러지는 누름스위치(80)와,
    상기 케이스(20)의 외측에 구비되며 호스(1)의 외주연에 의한 상기 누름스위치(80)의 누름에 의해 호스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제 1 단턱(21a)과 제 2 단턱(21b)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연에는 상기 케이스(20)를 외주연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5) 부위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25)과 연통되는 연통공(91)이 형성되고, 호스(1)가 정위치로의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통공(25)과 연통공(91)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하여 누수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스(1)의 정위치로의 삽입을 확인하는 누수확인링(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밸브용 조립체.
KR1020160047318A 2016-04-19 2016-04-19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185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18A KR101858164B1 (ko) 2016-04-19 2016-04-19 호스용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18A KR101858164B1 (ko) 2016-04-19 2016-04-19 호스용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82A true KR20170119382A (ko) 2017-10-27
KR101858164B1 KR101858164B1 (ko) 2018-05-15

Family

ID=6030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318A KR101858164B1 (ko) 2016-04-19 2016-04-19 호스용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58B1 (ko) * 2023-06-01 2023-11-09 주식회사 삼성이앤지 색채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13B1 (ko) 2018-10-24 2020-02-07 안규찬 각도 가변형 밸브
KR102297906B1 (ko) * 2021-01-29 2021-09-03 한호철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87A (ja) * 2000-01-12 2001-07-17 Toyox Co Ltd 開閉弁付き管継ぎ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58B1 (ko) * 2023-06-01 2023-11-09 주식회사 삼성이앤지 색채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164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8196606B2 (en) Coupling member for pipe coupling
TWI463089B (zh) 內孔耦接元件及包含此元件之快速耦接器
US20170227153A1 (en) Lock mechanism of tubular body
US6890004B2 (en) Coupler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1891283B1 (ko) 압축 공기 커플링
EP3705768B1 (en) Pipe joint
JPH08178143A (ja) 目視接続確認可能なクイック・コネクタ継手
KR20170075659A (ko) 퀵 커넥터용 소켓 요소와 소켓 요소를 구비하는 퀵 커넥터
JP5417589B2 (ja) 管継手
JP4887168B2 (ja) 管継手
KR20030028702A (ko) 커플러
RU2644603C2 (ru) Жидкостная муфта
KR101704782B1 (ko) 원터치 호스 결합을 위한 밸브 조립체
US10648601B2 (en) Quick connect system for a fluid coupling
KR101940993B1 (ko) 분리방지 기능을 구비한 에어 커플러
JP2005308139A (ja) 管継手構造
CN219549884U (zh) 一种快速安装的液体管路接头
JP4972422B2 (ja) 管継手
KR200351506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2003254486A (ja) 管継手構造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JP2002243082A (ja) 配管の嵌合検知装置
JP5581097B2 (ja) 封印具、及び継手連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