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906B1 -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906B1
KR102297906B1 KR1020210013258A KR20210013258A KR102297906B1 KR 102297906 B1 KR102297906 B1 KR 102297906B1 KR 1020210013258 A KR1020210013258 A KR 1020210013258A KR 20210013258 A KR20210013258 A KR 20210013258A KR 102297906 B1 KR102297906 B1 KR 10229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nnector
stepped portion
flexible body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철
Original Assignee
한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철 filed Critical 한호철
Priority to KR102021001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뉼, 곡물, 정제(tablet), 각종 분진이나 분말 등이 이송되는 파이프라인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파이프들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면서 강한 결속력으로 완전한 기밀 상태를 유지시켜 튜브를 이용해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는, 일측의 파이프라인 결합단부와, 타측의 장착단부를 구비한 커넥터; 상기 장착단부에 내삽되는 결속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바디; 상기 결속단부를 상기 장착단부의 내면에 밀착시켜 결합되게 하는 탄성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TUBE CONNECTOR FOR PIPE}
본 발명은 그래뉼, 곡물, 정제(tablet), 각종 분진이나 분말 등이 이송되는 파이프라인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파이프들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면서 강한 결속력으로 완전한 기밀 상태를 유지시켜 튜브를 이용해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라인으로 대표되는 배관은 일반적으로 각 종류의 유체, 그래뉼, 곡물, 정제(tablet), 각종 분진이나 분말 등을 이송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소정 사이즈의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용도의 조인트관도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을 설계, 설치함에 있어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 문제, 기관 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배관, 즉 파이프라인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보호하고,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파이프라인의 연결부에 신축민 진동에 대응하는 조인트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조인트에 있어, 이송대상물의 정상 이송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면서, 온도나 압력, 진동 등에 의한 형상 변화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튜브형 조인트관이 있다.
종래의 튜브형 조인트관은 튜브의 양단부에 클램프를 채워 조임으로써, 파이프라인을 튜브로 연결하는 방식인데, 클램프 체결만으로는 파이프라인과 튜브 사이의 간극을 완전하게 메워서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튜브의 연결부 틈새로 이송대상물이 자주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그래뉼, 곡물, 정제(tablet), 각종 분진이나 분말 등의 고체형 이송대상물은 고압의 풍압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주기적으로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확인 및 보강해주지 않으면 클램프의 체결력이 저하됨에 따라 이송대상물이 튜브 외부로 쉽게 누설되어 파이프 및 현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없는데, 종래의 튜브형 조인트관의 경우 작업자기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현장에서는 이송대상물의 일부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이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이를 그냥 방치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클램프를 이용한 튜브형 조인트관은 볼트 체결이 필수적인 바, 튜브 설치 및 교체 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튜브형 조인트관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10-2020-0132087호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면서 강한 결속력으로 완전한 기밀 상태를 유지시켜 튜브를 이용해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는,
일측의 파이프라인 결합단부와, 타측의 장착단부를 구비한 커넥터;
상기 장착단부에 내삽되는 결속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바디;
상기 결속단부를 상기 장착단부의 내면에 밀착시켜 결합되게 하는 탄성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는,
상기 탄성 복원수단은 상기 결속단부에 매립되어 장착되면서 둘레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단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내측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바디는 상기 결속단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단턱부에 맞물려서 걸리는 외측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는,
플렉시블 바디가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형상 유지가 되게 하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플렉시블 바디와 커넥터 간의 결속력 및 기밀성을 확보하여, 파이프 연결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면서 강한 결속력으로 완전한 기밀 상태를 유지시켜 튜브를 이용해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탄성링으로 플렉시블 바디의 결속단부에 탄성 복원력을 형성해 원형의 형상을 강제 유지시켜 결합 안전성 및 기밀성이 매우 뛰어남은 물론,
상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로 결속단부를 가압해 구부릴 수 있게 하여 커넥터와 플렉시브 바디의 탈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상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바디가 상호 걸림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 후 플렉시블 바디가 커넥터에서 빠지지 않음과 동시에, 필요시에만 플렉시블 바디를 커넥터에서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바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파이프라인 결합단부(11)와, 타측의 장착단부(12)를 구비한 커넥터(10);
상기 장착단부(12)에 내삽되는 결속단부(21)를 갖는 플렉시블 바디(20);
상기 결속단부(21)를 상기 장착단부(12)의 내면에 밀착시켜 결합되게 하는 탄성 복원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는 일단부가 파이프라인(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플렉시블 바디(20)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으로, 도면과 같이 플랫형 결합단부(11)의 경우 파이프라인의 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랜지 타입의 결합단부를 통해 파이프라인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넥터(10)는 파이프라인의 재질에 맞는 각종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내측 단턱부(13a)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단턱부(13a)는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의 외주면에 걸림 구조로 맞물려서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가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측 단턱부(13a)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장착부와, 상기 내측 단턱부(13a)를 구비한 체결링(13)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링(13)은 일측면이 개구된 'ㄷ'자 단면을 갖는 링으로써, 상기 장착단부(12)가 끼움 결합됨에 따라 두께 차로 인해 상기 내측 단턱부(13a)가 상기 커넥터(1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링(13)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연질의 가요성 소재로 성형되어 추가적인 기밀성을 확보하며, 상기 커넥터(10)와는 접착 또는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압공(12a)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공(12a)은 상기 커넥터(10)에서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를 빼내어 분리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 복원수단(30)의 탄성링(32)이 중첩되는 부위의 중앙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압공(12a)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서 가압하면 상기 장착단부(12) 내측의 결속단부(21) 및 탄성링(32)이 구부려지면서 형상 변위가 이루어져, 플렉시블 바디(20)를 커넥터(10)에서 쉽게 빼내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 연질의 가요성 소재로 성형된 얇은 두께의 원통형 튜브로써, 파이프들 사이를 하나의 유료로 연결함과 동시에 플렉시블 특성을 통해 파이프라인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압력 등을 흡수, 해소하면서 기밀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바디(20)는 상기 결속단부(21)의 외경이 상기 장착단부(12)의 내경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성형되어,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구비된 결속단부(21)가 상기 장착단부(12)의 내측으로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며, 삽입 장착 후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 사이의 결속력 및 기밀성은 상기 탄성 복원수단(30) 및 각 단턱부(13a)(21a)의 맞물림 구조로 확보한다.
아울러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는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맞물려서 걸리는 외측 단턱부(21a)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단턱부(21a)는 상기 체결링(13)의 내측 단턱부(13a)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이 플렉시블 바디(20)의 중단부 돌출되는 형태로 두껍게 성형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탄성 복원수단(30)을 통해 상기 외측 단턱부(21a)를 상기 내측 단턱부(13a) 안쪽으로 억지 끼움한 후 플렉시블 바디(20)를 끼움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외측 단턱부(21a)가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걸려서 길이방향으로 플렉시블 바디(20)가 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수단(30)은 상기 결속단부(21)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 사이의 결속력 및 기밀성을 확보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결속단부(21)에 매립되어 장착되면서 둘레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성링(3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링(32)은 스테인리스(SUS) 등 가요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얇은 띠(strip) 형상의 링으로써, 외측 팽창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져, 상기 결속단부(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결속단부(21)가 원형으로 형상 복원되게 강제한다.
이러한 탄성링(32)은 상기 결속단부(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결속단부(21)가 원형 형상을 강제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상기 결속단부(21)가 구부려진 후 외력이 해소되었을 때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결속단부(21)가 다시 원형의 형상으로 복원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링(32)을 포함한 탄성 복원수단(30)은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24)이 상기 장착단부(12)의 내주면에 상시 밀착되게 하여, 상기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팽창 압력으로 인한 마찰 저항으로 상기 결속단부(21)가 상기 장착단부(12)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링(32)의 장착 및 고정을 위해, 상기 탄성 복원수단(30)은 상기 탄성링(32)의 내주면을 덮으면서 상기 결속단부(21)와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링(31)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링(31)은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와 같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 연질의 가요성 소재로 성형된 얇은 띠(strip) 형상의 링으로써, 다만 상기 커버링(31)은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조건으로 사출 성형되어, 일정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탄성링(32)과 함께 상기 결속단부(21)가 원형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32)의 장착 및 커버링(31)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속단부(21)의 내주면에는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링(31)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제1 장착홈(22), 상기 제1 장착홈(22)의 내주면에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32)이 장착되는 제2 장착홈(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장착홈(22)은 상기 제2 장착홈(23)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1 장착홈(22)의 중앙부에 상기 제2 장착홈(23)이 위치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는 상기 결속단부(21)의 내주면에 상기 제1, 제2 장착홈(22)(23)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32)을 상기 제2 장착홈(23)에 끼워서 장착한 후, 상기 탄성링(32)이 장착된 결속단부(21)의 제1 장착홈(22)에 상기 커버링(31)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하면, 상기 커버링(31)이 상기 결속단부(2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링(32)을 덮어서 상기 탄성링(3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의 성형 시 상기 탄성링(32)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사출과 동시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링(32)은 상기 결속단부(21)의 내부에 매립, 장착되어 분리나 이탈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커버링(31)을 통한 상기 탄성링(32)의 완전 밀봉으로 탄성링(32)이 외부 요인(공기, 수분 등)과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결속단부(21)에 반영구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단부(11)를 파이프에 결합해 상기 커넥터(10)를 먼저 설치한 후,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의 결속단부(21)를 구부려서 상기 장착단부(12)에 억지 끼움하면 상기 결속단부(21)가 형상 복원되면서 상기 장착단부(12)와의 마찰력 발생 및 걸림 구조를 통해 상기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가 쉽고 안전하게 결합되면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가압공(12a)으로 상기 장착단부(12) 내측의 결속단부(21)를 쉽게 구부릴 수 있어, 상기 커넥터(10)에 대한 상기 플렉시블 바디(20)의 탈부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10) 및 플렉시블 바디(20)는 각 단턱부(13a)(21a)의 걸림 구조로 서로 빠지지 않는데, 최초 설치 시 플렉시블 바디(20)의 과삽입이나 설치 후 진동 등의 영향으로 상기 외측 단턱부(21a)가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완전하게 맞물리지 못하고 안쪽으로 밀릴 경우, 상기 탄성링(32)이 틀어짐에 따라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외측 단턱부(21a)가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완전하게 맞물려서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커넥터(10)에 대하여 상기 플렉시블 바디(20)가 회전하지 않게 하는 맞춤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맞춤수단은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가압공(12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합홈(21b), 소정 길이의 와이어(실)(23a)로 상기 결합홈(21b)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공(12a)으로 끼워져 상기 결합홈(21b)에 결합되는 걸림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21b)은 상기 가압공(12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 직경을 가지면서 소정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3)는 상기 가압공(12a)(결합홈(21b))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가압공(12a)과 결합홈(21b) 전체의 깊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걸림부재(23)는 최소한 상기 결속단부(21)의 구간 길이보다 긴 와이어(23a)에 의해 상기 결합홈(21b)의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맞춤수단을 이용한 커넥터(10)와 플렉시블 바디(20)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를 상기 커넥터(10)에 결합할 때, 먼저 상기 걸림부재(23)를 상기 가압공(12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서 통과시킨 후, 상기 결속단부(21)를 구부려서 상기 장착단부(1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단부(21)가 탄성 복원되면, 작업자가 상기 걸림부재(23)를 통해 와이어(23a)를 잡아당긴다.
상기 와이어(23a)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결합홈(21b)의 최초 삽입 방향(위치) 및 결속단부(21)의 삽입 깊이에 상관없이, 상기 결합홈(21b)이 상기 가압공(12a)과 동일선 상으로 맞춰지게 회전 및/또는 이동하면서 상기 결속단부(21)가 상기 장착단부(12)에 밀착되어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23)를 상기 가압공(12a)에 억지 끼움하여 상기 결합홈(21b)에 결합하면, 걸림부재(23)의 걸림 구조로 인해 상기 결속단부(21)는 상기 장착단부(12)의 둘레방향은 물론 길이방향으로의 전후 이동이 불가능해지며,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는 외측 단턱부(21a)가 내측 단턱부(13a)에 완전하게 맞춰진 상태로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 후 진동 등으로 인한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커넥터 11 : 결합단부
12 : 장착단부 13 : 체결링
13a : 내측 단턱부 20 : 플렉시블 바디
21 : 결속단부 21a : 외측 단턱부
22 : 제1 장착홈 23 : 제2 장착홈
30 : 탄성 복원수단 31 : 커버링
32 : 탄성링

Claims (4)

  1. 일측의 파이프라인 결합단부(11)와, 타측의 장착단부(12)를 구비한 커넥터(10);
    상기 장착단부(12)의 내측으로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는 결속단부(21)를 갖는 플렉시블 바디(20);
    상기 결속단부(21)를 상기 장착단부(12)의 내면에 밀착시켜 결합되게 하는 탄성 복원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단부(21)의 내주면에는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장착홈(22)과, 상기 제1 장착홈(22)의 내주면에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장착홈(23)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복원수단(30)은 상기 제2 장착홈(23)에 장착되면서 둘레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성링(32)과, 상기 제1 장착홈(22)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링(32)의 내주면을 덮으면서 상기 결속단부(21)와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링(31)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링(32)은 가요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얇은 띠(strip) 형상의 링으로써, 외측 팽창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압공(1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내측 단턱부(13a)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바디(20)는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맞물려서 걸리는 외측 단턱부(21a)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장착단부(12)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장착부와, 상기 내측 단턱부(13a)를 구비한 체결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단턱부(21a)가 상기 내측 단턱부(13a)에 완전하게 맞물려서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커넥터(10)에 대하여 상기 플렉시블 바디(20)가 회전하지 않게 하는 맞춤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맞춤수단은 상기 결속단부(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가압공(12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합홈(21b), 소정 길이의 와이어(23a)로 상기 결합홈(21b)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공(12a)으로 끼워져 상기 결합홈(21b)에 결합되는 걸림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KR1020210013258A 2021-01-29 2021-01-29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KR10229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58A KR102297906B1 (ko) 2021-01-29 2021-01-29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58A KR102297906B1 (ko) 2021-01-29 2021-01-29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906B1 true KR102297906B1 (ko) 2021-09-03

Family

ID=7778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58A KR102297906B1 (ko) 2021-01-29 2021-01-29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10Y1 (ko) 2021-12-09 2022-08-02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파이프 조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095A (ja) * 1989-01-31 1990-08-13 Nkk Corp 管継手及び管補修部材
JPH02309087A (ja) * 1989-05-24 1990-12-25 Tokai Rubber Ind Ltd 管接続部材
JPH10231981A (ja) * 1997-02-19 1998-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部材接続方法とそれに用いる継手
KR101858164B1 (ko) * 2016-04-19 2018-05-15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095A (ja) * 1989-01-31 1990-08-13 Nkk Corp 管継手及び管補修部材
JPH02309087A (ja) * 1989-05-24 1990-12-25 Tokai Rubber Ind Ltd 管接続部材
JPH10231981A (ja) * 1997-02-19 1998-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部材接続方法とそれに用いる継手
KR101858164B1 (ko) * 2016-04-19 2018-05-15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10Y1 (ko) 2021-12-09 2022-08-02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파이프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2845B1 (en) Pipe joint
US7073796B2 (en) Metal packing
US20080029971A1 (en) Seal ring and method
JP4263454B2 (ja) 差込式管継手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JP2007198585A (ja) 樹脂管用ワンタッチ継手
KR20170055475A (ko) 커플링 및 시일
KR102297906B1 (ko) 퀵 커넥팅 타입의 파이프 조인트용 튜브 어셈블리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US20040155464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US20030025329A1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KR102110742B1 (ko)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CN112204289A (zh) 用于制作连接管道的装配设备
EP1650485A2 (en) Coupling assembly with connection indicator
KR102035976B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1773751B1 (ko) 파이프 연결소켓
JP6792483B2 (ja) 配管継手及び樹脂チューブ組立体
JP4140931B2 (ja) 差込み式管継手
CN113939682B (zh) 管连接部的脱离防止构造
CN210510591U (zh) 不锈钢波纹管多密封快插型接头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13235Y1 (ko) 관압착부재 및 이를 탑재한 관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