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58B1 - 색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색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58B1
KR102600458B1 KR1020230070750A KR20230070750A KR102600458B1 KR 102600458 B1 KR102600458 B1 KR 102600458B1 KR 1020230070750 A KR1020230070750 A KR 1020230070750A KR 20230070750 A KR20230070750 A KR 20230070750A KR 102600458 B1 KR102600458 B1 KR 10260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se
color
hole
air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주
맹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이앤지
Priority to KR102023007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는, 호퍼로부터 선별대상 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피더; 상기 선별대상 원료가 상기 피더로부터 복수의 레인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형성된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선별대상 원료의 낱알 별로 색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색채감지부; 및 상기 색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불량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양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된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레인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에어밸브;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에어밸브로부터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에어를 원료의 낙하 흐름 중에 불량품에 분사시킬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와 상기 복수의 노즐을 연결하는 공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가 직접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압챔버가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인렛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아웃렛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루홀이 형성된, 에어탱크; 및 일단은 상기 스루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 호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색채 선별장치{COLOR SORTER MACHINE}
본 발명은 곡류 등의 색채를 검출하여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색채 선별장치 또는 색채 분류장치(이하에서는 색채 선별장치로 칭한다)는 쌀, 밀, 콩, 옥수수, 커피 등을 포함하는 곡류 또는 플라스틱, 유리 또는 소금 가공물 등의 비곡류의 색채를 기준으로 원하는 양품을 분류하는 장치이다. 선별대상 곡물이 선별장치에 공급되면 장치는 흘러내리는 곡물의 색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변색 또는 착색미 및 이물 등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불순물은 분류장치의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장치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색채 선별장치는 곡물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품질과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채 선별장치는 사용되는 센서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인 곡물의 색채 선별장치로서 CCD 분류기와 NIR 분류기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CCD 분류기는 곡물의 RGB 색상을 이미지로 감지하여 선별한다. NIR 분류기는 곡물 등의 반사되는 빛에 포함된 물질 고유의 근적외선 파장을 분석하여 원료와 다른 이물질을 선별한다.
낱알의 색상이나 형태가 감지되고 양품과 다른 색상이나 형태임이 판별되면 이젝터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젝터는 공압에 의하여 초당 수백에서 수천 회의 속도를 갖는 공압밸브와 노즐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때 공압을 제공하는 탱크와 에어밸브 및 노즐의 연결구조는 응답속도와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수 또는 이에 따른 비용 면에서 경쟁력을 좌우하기도 한다.
* 관련 선행기술
KR 10-1303661 B1 (2013.08.29 등록)
KR 10-2011-0034171 A (2011.04.05 공개)
KR 10-0804415 B1 (2008.02.12 등록)
KR 20-0207866 Y1 (2000.10.11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색채선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불량품을 제거하기 위해 이젝터를 구성하기 위한 공압 부품을 개선함으로써 노즐에 이르는 공압호스의 길이와 부품의 수를 줄이고 응답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조립과정을 간소화하여 및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는, 호퍼로부터 선별대상 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피더; 상기 선별대상 원료가 상기 피더로부터 복수의 레인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형성된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선별대상 원료의 낱알 별로 색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색채감지부; 및 상기 색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불량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양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된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레인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에어밸브;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에어밸브로부터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에어를 원료의 낙하 흐름 중에 불량품에 분사시킬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와 상기 복수의 노즐을 연결하는 공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가 직접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압챔버가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인렛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아웃렛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루홀이 형성된, 에어탱크; 및 일단은 상기 스루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 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루홀은 상기 에어밸브가 부착된 면의 반대쪽 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루홀의 내주면에 상기 에어호스의 외주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에어호스가 상기 스루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루홀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호스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스루홀은 상기 에어탱크의 연장방향을 따라 2열로 대칭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스루홀은 상기 에어탱크의 상기 챔버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루홀의 개구에는 삽입된 상기 에어호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에어호스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도록 호스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수용홈의 내주면에 상기 호스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호스를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탱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에어탱크에 대한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탱크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색채 선별장치에 의하면, 에어탱크에 에어밸브를 직접 부착시키는 한편, 에어탱크에 형성된 복수의 스루홀에 노즐과 연결된 에어호스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에어탱크에 호스를 통하여 에어밸브를 연결하고 다시 에어밸브의 아웃렛을 노즐과 연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에어호스의 사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압 제어의 응답성과 정확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에어호스를 줄임에 따라 부품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이젝터 유닛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노즐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에어탱크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에어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에어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호스고정부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젝터 유닛을 비교대상 이젝터 유닛과 대비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색채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게 정의되어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색채 선별장치(100)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퍼(120), 호퍼(120)의 하부에 배치된 피더(130), 피더(130)를 통하여 준비된 선별대상 원료를 흘러내리도록 설치되는 슈트(140), 슈트(140)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원료의 낙하흐름(10)에 대하여 낱알 별로 색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색채감지부(150) 및 색채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불량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양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된 이젝터 유닛(200)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중 선별대상 원료를 공급하는 피더(130)와 선별대상 원료가 피더(130)로부터 복수의 레인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형성되는 슈트(140)나 그에 포함된 열선 및 색채감지부(150)는 알려져 있는 구성이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상 생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색채 선별장치(100)를 통하여 선별될 수 있는 대상물은 쌀, 밀, 콩,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여, 커피 또는 플라스틱이나 다른 그레인 형태의 물품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곡물이 대상인 경우, 곡물의 품종, 크기, 모양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맞는 색채감지부(150)에 포함된 CCD 분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색채감지부(150)는 곡물의 크기가 작을 경우를 위하여 NIR 분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곡물의 모양이 불규칙할 경우 CCD 분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이젝터 유닛(200)은 복수의 에어밸브(210, 211), 복수의 노즐(220) 및 공압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에어밸브(210, 211)는 슈트(140)의 복수의 레인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개별적으로(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노즐(220)은 에어밸브(210, 211)로부터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에어를 원료의 낙하흐름(10) 중에 불량품 낱알(30)에 분사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노즐(220)을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노즐공(221)은 레인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배열을 이룬 형태로 구비된다.
복수의 에어밸브(210, 211)와 복수의 노즐(220)은 공압제공부(230)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공압제공부(230)는 에어탱크(240)과 복수의 에어호스(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노즐(22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이들 도면과 같이, 에어탱크(240)는 노즐(220)과 유사하게 복수의 레인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루홀(243)을 포함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원료의 낙하흐름(10)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에어탱크(240)는, 도 6과 같은 대략 사각 단면을 갖는 빔 형태로서, 내부에 챔버(241)가 형성되어 있고, 챔버(241)의 양측에 에어밸브(210, 211)가 부착되는 면과 그 반대쪽 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스루홀(243)이 에어탱크(2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천공된 형태이다. 이러한 에어탱크(24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압출 또는 캐스팅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에어탱크(240)의 양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이드캡에 의하여 밀봉 조립되며, 사이드캡의 조립을 위한 체결홀(247)이 형성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에어탱크(240, 240', 24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기본 길이를 갖는 에어탱크 뿐만 아니라 이의 2배, 3배, 4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탱크(240)의 하면에는 좌우에 각각 에어밸브가 부착되기 위한 구조로서, 걸쇠부(245)가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2와 같이, 에어탱크(24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대칭 형태로 에어밸브(210)와 에어밸브(211)가 후크(215)에 의하여 걸쇠부(245)에 체결되는 형태로 부착된다. 에어밸브(210, 211)로서는 알려져 있는 부품이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에어밸브(210, 211)에 포함된 인렛(212)은 에어탱크(240)의 인렛연결홀(242)에 맞추어지며, 아웃렛(212)은 스루홀(243)에 맞추어진다. 이때, 각각의 에어밸브(210, 211)에 포함된 인렛(212)은 대응하는 인렛연결홀(242)에 맞추어지고, 복수의 인렛연결홀(242)은 공통되는 하나의 챔버(241)와 연결된다. 즉, 에어밸브(210, 211)는 챔버(241)에 형성된 공통된 공압을 전달받는다.
스루홀(243)은, 도 6과 같이, 챔버(241)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243)의 하단은 에어밸브(210, 211)의 아웃렛(212)에 연결되기 위한 아웃렛 포트(246)를 이루며, 스루홀(243)의 상부는 에어호스(250)가 삽입되기 위한 깊은 홀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스루홀(243)은 내주면이 에어호스(250)의 외주면이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고, 이에 의해 에어호스(250)를 스루홀(243)에 밀어 넣어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에어호스(250)가 스루홀(243)에 기밀 상태로 연결된다. 스루홀(243)의 내부에는 에어호스(250)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244)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44)는 에어호스(250)의 조립과정에서 스토퍼(244)가 있는 곳까지 에어호스(250)를 밀어 넣어줌으로써 동일한 조립상태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도 8은 이러한 에어탱크(240)의 구조에 에어밸브(211) 및 에어호스(25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다. 즉, 에어밸브(211)의 후크(215)와 에어탱크(240)의 걸쇠부(245) 사이의 간이한 스냅핏 체결 조립을 통하여 인렛(212)과 아웃렛(213)은 대응하는 인렛연결홀(244) 및 아웃렛 포트(246)에 맞추어져 공압이 연결되고 있다. 에어호스(250)는 삽입구간(251) 만큼 스루홀(243)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에어밸브(211)로부터의 공압을 거의 직접 전달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에어호스(250)가 스루홀(243)에 삽입된 후에는 호스고정부(260)를 에어탱크(240)에 결합시킴으로써 에어호스(250)의 기밀이 누설되거나 스루홀(24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호스고정부(260)를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호스고정부(260)는 복수의 에어호스(250)를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에어탱크(24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체 형상으로서 호스고정부(260)는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호스고정부(260)는 각각의 에어호스(250)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도록 배열된 호스수용홈(261)을 포함하고 있다. 호스수용홈(261)은 에어호스(250)가 스루홀(2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추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대략 반원형으로 개방된 형태를 띄고 있다. 이때, 호스수용홈(261)의 내주면에는 실질적으로 에어호스(250)가 스루홀(243)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호스(250)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누름돌기(262)가 형성될 수 있다. 호스고정부(260)를 에어탱크(240)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 또는 스크루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호스고정부(260)는 에어탱크(240)에 대한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체결홀(2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젝터 유닛(a)을 비교대상 이젝터 유닛(b)과 대비하여 보인 도면이다. (a)와 같이 앞서 설명된 에어밸브(210, 211)는 에어탱크(240)에 직접 부착되어 있고, 에어밸브(210, 211)의 아웃렛은 짧은 각각의 공압호스(250)를 통하여 노즐(2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탱크(240)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지지판(20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반면, (b)의 경우, 에어탱크(340)가 하부의 프레임(301)에 설치되어 있고, 에어탱크(340)에 별도로 마련된 피팅(355)을 통하여 에어밸브(310, 311)의 인렛과 연결된 추가적인 호스(353, 354)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다시 에어밸브(310, 311)의 아웃렛과 연결된 호스(350)에 의하여 노즐(320)과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호스(353, 354) 및 피팅(355)의 추가적인 소요가 있다는 점은 (a)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호스(353, 354) 및 길어진 길이는 그만큼 압축성 기체인 공기의 이동 경로도 길어지게 하여 응답속도와 정확도에 있어서 유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수십 ~ 수백 개에 이르는 에어밸브(310, 311)가 호스(350)에 매달린 형태로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관리에 있어서도 불편할 수 있다. (a)와 같이 지지판(201)의 상단에서 에어밸브(210, 211)가 직접 부착된 상태의 에어탱크(240)와 노즐(220)과 연결되는 짧은 공압호스(250)만을 사용하는 방식은 부품수를 절감하면서 제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기밀의 유지와 관리 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색채선별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원료의 낙하흐름 20: 양품 낱알
30: 불량품 낱알 100: 색채선별장치
110: 프레임 120: 호퍼
130: 피더 140: 슈트
150: 색채감지부 170: 양품수집부
180: 불량수집부 200: 이젝터 유닛
210, 211: 에어밸브 220: 노즐
230: 공압제공부 240: 에어탱크
241: 챔버 242: 인렛연결홀
243: 스루홀 244: 스토퍼
245: 걸쇠부 247: 체결홀
250: 에어호스 251: 삽입구간
260: 호스고정판 261: 호스수용홈
262: 누름돌기부 263: 체결홀

Claims (12)

  1. 호퍼로부터 선별대상 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피더;
    상기 선별대상 원료가 상기 피더로부터 복수의 레인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형성된 슈트;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선별대상 원료의 낱알 별로 색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색채감지부; 및
    상기 색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불량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양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된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레인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에어밸브;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에어밸브로부터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에어를 원료의 낙하 흐름 중에 불량품에 분사시킬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와 상기 복수의 노즐을 연결하는 공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가 직접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압챔버가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인렛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밸브의 아웃렛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루홀이 형성된, 에어탱크; 및
    일단은 상기 스루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루홀은 상기 에어밸브가 부착된 면의 반대쪽 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루홀의 개구에는 삽입된 상기 에어호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에어호스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도록 호스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수용홈의 내주면에 상기 호스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가 형성된, 색채 선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의 내주면에 상기 에어호스의 외주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에어호스가 상기 스루홀에 삽입된, 색채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호스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색채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루홀은 상기 에어탱크의 연장방향을 따라 2열로 대칭 형태로 배열된, 색채 선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루홀은 상기 에어탱크의 상기 공압챔버 외측에 배치된, 색채 선별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호스를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탱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색채 선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색채 선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는 상기 에어탱크에 대한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체결홀을 갖는, 색채 선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된, 색채 선별장치.
KR1020230070750A 2023-06-01 2023-06-01 색채 선별장치 KR10260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750A KR102600458B1 (ko) 2023-06-01 2023-06-01 색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750A KR102600458B1 (ko) 2023-06-01 2023-06-01 색채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458B1 true KR102600458B1 (ko) 2023-11-09

Family

ID=8874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750A KR102600458B1 (ko) 2023-06-01 2023-06-01 색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937A (ja) * 2003-06-02 2004-1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100925209B1 (ko) *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KR20170119382A (ko) * 2016-04-19 2017-10-27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2223868B1 (ko) * 2020-07-02 2021-03-05 중문테크 주식회사 소방호스용 절곡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937A (ja) * 2003-06-02 2004-1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100925209B1 (ko) *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KR20170119382A (ko) * 2016-04-19 2017-10-27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102223868B1 (ko) * 2020-07-02 2021-03-05 중문테크 주식회사 소방호스용 절곡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2107B2 (en) Nozzle device and system for sorting objects
KR960011097B1 (ko) 미립품위 판별장치
US6089794A (en) Vacuum loading system
KR20130029407A (ko) 색채 선별기의 이젝터 시스템
US5692622A (en) Process for the recognition and filtering out of differently colored foreign bodies in fibre processing lines
KR102600458B1 (ko) 색채 선별장치
KR100925209B1 (ko)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US20060219612A1 (en) Multiport ejector for use with sorter
US7261382B2 (en) Reservoir tank for vehicle brake system
CN211463969U (zh) 新鲜带皮莲子色选机
CN108216778A (zh) 一种食品包装塑料瓶套标蒸汽收缩机
KR102188047B1 (ko) 채혈관용 시약 분무노즐
AU2021102101A4 (en) Sorting arrangement
US7259843B2 (en) Foreign matter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EP4063031A1 (en) Optical sorter
TR2022004785U5 (tr) Ayirma düzeneği̇
KR102063972B1 (ko) 선별 정확도가 향상된 색채선별기
JPS602114B2 (ja) 色彩選別装置
US11780613B2 (en) Tablet inspection system manufacturing module with individual rejection method and verification of rejection
CN216661506U (zh) 一种滴管橡胶头自动上料机构
TR2022004570U5 (tr) Nozül şeri̇di̇
JP2001009384A (ja) 粒状物の色彩選別装置
EP4005676A1 (en) Paddy rice differentiating device
KR101841139B1 (ko)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CN111760809A (zh) 一种稻米色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