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139B1 -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139B1
KR101841139B1 KR1020170054122A KR20170054122A KR101841139B1 KR 101841139 B1 KR101841139 B1 KR 101841139B1 KR 1020170054122 A KR1020170054122 A KR 1020170054122A KR 20170054122 A KR20170054122 A KR 20170054122A KR 101841139 B1 KR101841139 B1 KR 10184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unit
raw materials
colo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7005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01N2021/1776Colour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광물, 해산물, 합성수지 등의 원료를 공급시키면서 원료의 색채로부터 양품 및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원료의 판별결과에 따라 원료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선별작업의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원료를 효율적으로 선별함을 제공하도록,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하되 하측 경사방향을 향해 원료를 안내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검사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검사영역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비전카메라로 원료의 색채를 촬영하여 원료의 양품 여부를 판별하는 색채검사부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 대응하여 하부에 설치되고 원료의 양품 및 불량, 불량의 정도에 따라 각각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배출챔버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서 원료의 낙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배출챔버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토록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분사유닛을 구성하는 멀티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선별부에는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분사유닛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토록 제어하는 선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Raw Material Multi Color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이나 광물, 해산물, 합성수지 등의 원료를 공급시키면서 원료의 색채로부터 양품 및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원료의 판별결과에 따라 원료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선별작업의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원료를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한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물이나 광물, 해산물, 합성수지 등과 같은 원료를 상품화함에는 본연의 원료에서 정상적인 색상을 갖는 양품과 이물질이나 흑색 또는 갈색 등으로 변색된 불량품으로 원료를 선별하고 있으며, 원료의 색채를 통해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처리할 수 있는 원료의 색채선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원료 색채선별장치의 선별방식에 따른 선별절차를 살펴보면, 해당 원료를 선별가능한 영역으로 공급하면서 원료의 이미지 촬영에 따른 색채를 확인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별한 다음 양품의 원료와 불량품의 원료를 서로 구분하여 선별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원료의 색채 선별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74168호(2001.08.04.)에는 벨트에 의하여 이송된 피 입상물에 광선을 조사하여 선별물을 투과 또는 반사된 광선을 검지하고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불량제거 공기분사노즐을 작동시켜 이색입자를 제거하는 벨트식 잡곡 색채선별기에서, 광원 및 CCD카메라를 벨트 단부 끝 부분에 구성하고, 피 선별물과 대비되는 백그라운드를 원통형의 봉상 부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백그라운드를 잡곡 색채선별기의 작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선별물의 분진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잡곡 색채선별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색채선별기의 경우에는 원료의 공급위치를 기준으로 상측에서만 촬영한 후 불량 유무를 판별하기 때문에 촬영방향에서 벗어난 원료의 이면에 부분적으로 변색된 불량품을 선별할 수 없어 선별정확성이 떨어지며 원료의 출하상품에 대한 상품의 품질이 낮아짐과 동시에 선별작업의 신뢰도가 매우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색채선별기는 원료의 선별작업이 단순히 양품과 불량품으로만 극히 한정한 채 원료를 선별하기 때문에 원료 중 아주 미미한 오염도를 갖는 원료의 경우에도 양품 또는 불량품 중 하나로 무분별하게 선별되며, 불량원료의 선별을 위해 에어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에어의 분사영역 내 위치한 양품의 원료가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불량품으로 선별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함에 따라 원료선별의 작업효율이나 선별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미미한 오염도를 갖는 원료가 양품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의 가치를 낮추게 된다는 단점과 함께 불량품에 포함될 경우 수율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4168호(2001.0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의 전후를 일괄적으로 색채 검사하면서 양품 및 불량, 불량 정도에 따라 배출경로를 구분한 채 원료를 일률적으로 선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선별력 및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부분변색 원료의 명확한 선별과 함께 원료를 향한 에어 분사시 간접적인 영향에서 야기되는 선별오류를 방지하여 작업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는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하되 하측 경사방향을 향해 원료를 안내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검사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검사영역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비전카메라로 원료의 색채를 촬영하여 원료의 양품 여부를 판별하는 색채검사부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 대응하여 하부에 설치되고 원료의 양품 및 불량, 불량의 정도에 따라 각각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배출챔버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서 원료의 낙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배출챔버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토록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분사유닛을 구성하는 멀티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선별부에는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분사유닛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토록 제어하는 선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배출챔버는 원료 중 양품판별된 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1선별배출로와, 원료 중 불량판별된 원료나 이물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선별배출로와, 불량판별된 원료 중에서 부분적인 불량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3선별배출로를 구비한다.
상기 선별제어수단에서는 상기 색채검사부로부터 양품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에 미분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색채검사부로부터 불량품임을 알리되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 모두에서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에 일반적인 에어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 중 어느 하나에서만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에 미량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에 의하면 원료의 전/후면을 일괄적으로 검사하면서 원료의 양품 및 불량품은 물론 부분변색에 따른 불량품을 서로 구분배출토록 선별하므로, 원료의 선별가능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선별작업의 효율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부분변색 원료에 따른 명확한 선별을 도모함과 동시에 불량원료를 향한 에어 분사력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양품의 원료가 불량선별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부분불량에 따른 재선별을 도모하여 원료출하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킴은 물론 원료의 등급에 따른 활용으로 원료의 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선별배출챔버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선별배출챔버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하되 하측 경사방향을 향해 원료를 안내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검사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검사영역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비전카메라로 원료의 색채를 촬영하여 원료의 양품 여부를 판별하는 색채검사부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 대응하여 하부에 설치되고 원료의 양품 및 불량, 불량의 정도에 따라 각각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배출챔버와, 상기 색채검사부의 검사영역에서 원료의 낙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배출챔버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토록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분사유닛을 구성하는 멀티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선별부에는 상기 색채검사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분사유닛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토록 제어하는 선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원료는 농수산물이나 광물, 해산물, 합성수지 등의 원료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공급부(10)와, 색채검사부(20)와, 멀티선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공급부(10)는 외부로부터 어느 한 가지 유형의 원료를 공급받아서 상기 색채검사부(20)를 향해 개개의 원료를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료공급부(10)는 내부에 일정량의 원료를 수용가능하게 구비되며 한쪽 하단에 토출구(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는 원료탱크(11)와, 상기 원료탱크(11)로부터 토출된 원료를 상기 색채검사부(20)를 향해 자유 낙하할 수 있게 안내하는 원료슈트(13)로 구성한다.
상기 원료탱크(11)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폭 방향으로 넓게 배출되는 원료를 지지하여 상기 원료슈트(13)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원료슈트(13)를 향해 이동하는 원료를 전체 면으로 고르게 펼쳐줄 수 있는 진동판(15)을 구비한다.
상기 원료슈트(1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원료탱크(11)의 위치에서 상기 색채검사부(20)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되 원료가 경사방향으로 구름 낙하할 수 있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원료슈트(13)는 상기 원료탱크(11)의 진동판(15)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진 구조를 이루되 상기 진동판(15)을 기준으로 상기 원료슈트(13)의 경사각도가 예각(45~70°)을 이루도록 형성하므로, 진동판(15)을 통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쪽 경사방향으로 원료를 안내하여 원활한 원료이송은 물론 별도의 낙하 이물질에 따른 색채검사부(20)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색채검사부(20)는 상기 원료공급부(10)로부터 낙하하는 원료를 이미지 촬영하여 원료의 양품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색채검사부(20)는 상기 원료공급부(10)의 하단 즉 상기 원료슈트(13)에 따른 원료의 최종 낙하지점에 대응하여 원료의 색채검사가 이루어지는 검사영역(A)을 형성하고, 상기 검사영역(A)의 전후로 원료를 검사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색채검사부(20)는 상기 검사영역(A)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검사영역(A)에 진입한 원료 전체를 일괄적으로 검사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색채검사부(20)는 상기 검사영역(A)의 전후로 배치되되 상기 원료공급부(10)의 원료슈트(13)를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므로, 상기 원료슈트(13)를 거쳐 진입한 원료과의 촬상 거리 및 각도가 전후로 일치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색채검사부(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의 이미지 촬상을 위한 비전카메라(21)와, 상기 검사영역(A)을 향해 조명하는 복수 개의 조명램프(23)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조명램프(23)는 형광램프나 LED램프 또는 적외선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검사영역(A) 내 진입한 원료를 조명함에 따라 원료를 조명하에 촬상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비전카메라(21)는 일반적인 CCD카메라 및 적외선카메라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전카메라(21)는 원료의 유형선택에 따라 상기 검사영역(A)과의 촬상거리를 조절하여 촬상 초점을 자동보정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색채검사부(20)의 비전카메라(21)는 각각 크기가 다른 원료에 맞춰 최적의 판별력을 도모할 수 있게 촬상 초점을 자동보정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색채검사부(20)에서는 상기 비전카메라(21)로부터 촬상된 이미지의 색채를 기준이미지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원료의 양품 연부를 판별하고, 상기 멀티선별부(30)에 판별결과에 따른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면,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에서 판별한 결과 모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멀티선별부(30)에 양품임을 알리는 판별신호를 인가하고,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 중 어느 하나에서 이상으로 판별된 경우에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를 인가하되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 모두 이상으로 판별된 경우의 신호와는 서로 구분된 판별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멀티선별부(30)는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원료를 선별하여 구분된 경로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멀티선별부(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의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배출챔버(31)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A)에서 원료를 향해 에어를 분사시키는 선별분사유닛(33)으로 구성한다.
상기 선별배출챔버(31)는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A)에 대응하여 하부에 설치되고, 원료의 양품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선별배출챔버(31)는 원료의 양품 및 불량을 기본적으로 구분하여 배출가능한 배출경로를 형성하되 불량품 중에서도 불량의 정도 즉 완전불량 및 부분불량에 따라 서로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선별배출챔버(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중 양품판별된 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1선별배출로(31a)와, 원료 중 불량판별된 원료나 이물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선별배출로(31b)와, 불량판별된 원료 중에서 부분적인 불량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3선별배출로(31c)를 형성한다.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는 상기 원료공급부(10)의 원료슈트(13)로부터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A)을 거쳐 자연히 낙하하는 낙하지점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양품의 원료를 배출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 및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는 모두 불량품의 원료를 배출시키되 원료의 불량 정도에 따라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는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는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와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의 사이에 형성한다.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에는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 및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의 사이에서 부분불량의 원료가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되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향한 불량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 분사력이 미치는 주변영역 내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양품의 원료가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불량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양품의 원료가 완전불량 경로인 제2선별배출로(31b)로 배출되어 불량처리됨을 방지한 채 별도의 재선별과정을 거치기 위한 제3선별배출로(31c)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별배출챔버(3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 및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 사이의 격벽(W)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 및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 중 어느 하나의 배출경로를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차폐수단(37)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폐수단(37)은 상기 선별배출챔버(31) 내 격벽(W)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회전구동하되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 완전불량인 경우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차폐하도록 기울어져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향한 원료의 배출을 안내하며,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 부분불량인 경우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차폐하도록 기울어져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향한 원료의 배출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선별배출챔버(31)에 차폐수단(37)을 구성하게 되면, 원료의 보다 확실한 선별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A)에서 원료의 낙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배출챔버(31)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토록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은 원료 중 불량판별된 원료를 향하여 에어분사하므로 상기 선별배출챔버(31) 중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 또는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시킨다.
상기 멀티선별부(30)에는 불량판별된 원료일 때만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선별제어수단(35)을 구비한다.
상기 선별제어수단(3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신호를 수신가능하되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토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향하여 원료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향하여 원료가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토록 제어한다.
상기 선별제어수단(35)에서는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을 향해 3가지 유형의 제어신호를 구분하여 인가하되 에어 미분사신호 및 에어 분사신호, 에어 미량분사신호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선별제어수단(35)에서는 상기 색채검사부(20)로부터 양품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미분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색채검사부(20)로부터 불량품임을 알리되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 모두에서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일반적인 에어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미량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멀티선별부(30)에는 선별대상인 원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로부터 원료의 종류(예를 들면, 농수산물이나 광물, 해산물, 합성수지 등)를 입력하면 상기 멀티선별부(30)의 선별제어수단(35)에서 자동으로 에어분사량을 조절하여 원료를 향한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 분사세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므로, 다양한 원료별로 효율적인 선별작업을 도모하며 무게가 다른 원료에 대응하여 선별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에 의하면, 원료의 전/후면을 일괄적으로 검사하면서 원료의 양품 및 불량품은 물론 부분변색에 따른 불량품을 서로 구분배출토록 선별하므로, 원료의 선별가능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선별작업의 효율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부분변색 원료에 따른 명확한 선별을 도모함과 동시에 불량원료를 향한 에어 분사력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양품의 원료가 불량선별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부분불량에 따른 재선별을 도모하여 원료출하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킴은 물론 원료의 등급에 따른 활용으로 원료의 수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원료공급부 11 : 원료탱크 13 : 원료슈트
20 : 색채검사부 21 : 비전카메라 23 : 조명램프
30 : 멀티선별부 31 : 선별배출챔버 31a : 제1선별배출로
31b : 제2선별배출로 31c : 제3선별배출로 33 : 선별분사유닛
35 : 선별제어수단 37 : 차폐수단

Claims (3)

  1.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하되 하측 경사방향을 향해 원료를 안내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원료공급부(10)와;
    상기 원료공급부(10)의 하단에 대응하여 검사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검사영역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비전카메라(21)로 원료의 색채를 촬영하여 원료의 양품 여부를 판별하는 색채검사부(20)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에 대응하여 하부에 설치되고 원료의 양품 및 불량, 불량의 정도에 따라 각각 구분된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배출챔버(31)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검사영역에서 원료의 낙하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배출챔버(31)를 향해 원료를 선별배출토록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분사유닛(33)을 구성하는 멀티선별부(30)와;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선별부(30)의 선별분사유닛(33)의 에어분사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선별제어수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전카메라(21)는 원료의 유형에 따라 각각 크기가 다른 원료에 맞춰 촬상 초점을 자동보정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선별배출챔버(31)는 원료 중 양품판별된 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1선별배출로(31a)와, 원료 중 불량판별된 원료나 이물질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선별배출로(31b)와,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와 제2선별배출로(31b) 사이에 불량판별된 원료 중에서 부분적인 불량원료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3선별배출로(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 및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 사이의 격벽(W)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에 따라 회전구동하되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 완전불량인 경우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차폐하도록 기울어져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향한 원료의 배출을 안내하며, 상기 색채검사부(20)의 판별결과 부분불량인 경우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를 차폐하도록 기울어져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를 향한 원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차폐수단(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제어수단(35)은 상기 색채검사부(20)로부터 양품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미분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선별배출로(31a)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색채검사부(20)로부터 불량품임을 알리되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 모두에서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일반적인 에어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선별배출로(31b)로 배출되도록 하며, 전후로 배치된 상기 색채검사부(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불량임을 알리는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별분사유닛(33)에 미량분사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3선별배출로(31c)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분사유닛(33)은 선별대상인 원료의 무게에 따라 에어 분사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원료의 선별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료 멀티 색체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4122A 2017-04-27 2017-04-27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KR10184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22A KR101841139B1 (ko) 2017-04-27 2017-04-27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22A KR101841139B1 (ko) 2017-04-27 2017-04-27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139B1 true KR101841139B1 (ko) 2018-03-22

Family

ID=619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122A KR101841139B1 (ko) 2017-04-27 2017-04-27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1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198A (ja) * 2006-03-31 2009-09-10 トーマス バレリオ、 細かい非鉄金属及び絶縁電線断片を分類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25209B1 (ko) *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198A (ja) * 2006-03-31 2009-09-10 トーマス バレリオ、 細かい非鉄金属及び絶縁電線断片を分類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25209B1 (ko) *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50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ly sorting bulk material
KR100293582B1 (ko) 곡립색채선별장치
KR101083293B1 (ko) 나사 선별 장비
JP2010042326A (ja) 光学式穀粒選別装置
KR101998910B1 (ko) 광학식 입상물 선별기
US5538142A (en) Sorting apparatus
JP5846348B2 (ja) 光学式選別機
KR101317104B1 (ko) 입상체 선별 장치
JP4915129B2 (ja) 色彩選別機
KR20150119398A (ko) 광학식 입상물 선별기
JP6084214B2 (ja) 交互側方照明型検査装置
JP7151089B2 (ja) 光学式選別機
RU24031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по цвету
WO2020116096A1 (ja) 光学式選別機
WO2013069736A1 (ja) 粒状体検査装置
JP4851856B2 (ja) 粒状体選別装置
RU834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по цвету
KR101841139B1 (ko)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KR100934901B1 (ko)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JP4338284B2 (ja) 粉粒体検査装置
JPH1190345A (ja) 粒状体の検査装置
KR101919748B1 (ko) 품위판정유닛이 구비된 색채선별장치
US20230001454A1 (en) Optical sorter
JPH1157628A (ja) 粒状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JP2005186053A (ja) 粒状物色彩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