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814B1 -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814B1
KR101277814B1 KR1020130009930A KR20130009930A KR101277814B1 KR 101277814 B1 KR101277814 B1 KR 101277814B1 KR 1020130009930 A KR1020130009930 A KR 1020130009930A KR 20130009930 A KR20130009930 A KR 20130009930A KR 101277814 B1 KR101277814 B1 KR 10127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irtight
air
check valve
out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서영순
Original Assignee
서영순
이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순, 이경일 filed Critical 서영순
Priority to KR102013000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접속수단을 개선하여 컨넥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관련 부품수를 줄여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면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우수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어어커플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접속수단은, 아웃바디의 외측에 컨넥터에 형성되는 스톱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아웃바디의 내경과 관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핀홀과, 상기 아웃바디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걸림턱에 걸림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핀홀을 통하여 아웃바디 내경으로 노출되는 작동핀과, 상기 걸림턱 후방으로 작동핀이 핀홀과 연접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작동면과, 상기 작동핀의 후방과 아웃바디 외경 후방에 형성하는 환턱 사이에 개재하여 작동핀을 항상 단속위치에 있도록 하는 단속스프링과, 상기 아웃바디의 외측에 결합하는 관체형상의 단속구와, 상기 단속구의 내경 선측에 형성하여 작동핀의 양단이 걸림되어 단속구의 후퇴에 의하여 작동핀을 해제하는 단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에어커플러 어셈블리{AIR COUPLER ASSEMBLY}
본 발명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플러에 컨넥터를 접속시 리크(Leak) 현상을 방지하면서 컨넥터의 접속성이 우수하도록 개선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에어커플러는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공구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건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바람을 이용한 청소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압축기와 연결된 공급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어 공구에 구비되는 컨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에어커플러는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선행하여 실용신안등록(제 435431 호)을 받은 바 있으며 이의 내용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에어커플러 어셈블리(30)는 축 방향으로 에어통로(1)를 형성하고 후방에 압축기로부터 인출되는 호스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2)를 가지는 인너바디(3)와 상기 인너바디(3)와 나사 결합되고 공구와 연결되는 컨넥터(4)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수단(5)을 가지는 아웃바디(6)로 구성된다.
상기 인너바디(3)의 내측단부(7)와 아웃바디(6)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8) 사이에는 압축공기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기 위한 체크밸브(10)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수단(5)은 아웃바디(6)의 외측에 컨넥터(104)에 형성되는 스톱홈(11)과 동일한 위치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는 볼홀(12)에 스톱볼(13)을 삽입한 후 관체타입의 단속구(14)를 결합하여 단속구(14)의 전,후 이동으로 스톱볼(13)이 볼홀(12)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속구(14)의 내경에 형성되는 단턱(15)과 아웃바디(6)의 외경에 형성되는 단턱(16) 사이에는 복귀스프링(17)을 개재하여 단속구(14)를 항상 단속위치에 있도록 하고, 아웃바디(6)의 끝단에는 스톱링(18)을 구비하여 단속구(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10)는 아웃바디(6)의 내경에 형성되는 단턱(8)에는 기밀패킹(20)을 개재하고, 인너바디(3)의 내경에는 밸브바디(21)와 상기 밸브바디(21)를 기밀패킹(20)과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2)을 개재하여 밸브바디(21)와 기밀패킹(20)을 항상 밀착상태로 두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20-0435431-000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는, 컨넥터를 결합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많아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것은 물론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어 대외적인 경쟁력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많은 부품 수로 인하여 조립과정에서 스톱볼과 같은 작은 부품의 누락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실제 사용할 경우 공기 공급과정에서 또는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컨넥터를 정상적으로 단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기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컨넥터를 커플러 어셈블리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아웃바디 외측에 결합된 단속구를 항상 인너바디 방향으로 밀어서 스톱볼이 후퇴할 수 있도록 만든 후 컨넥터를 삽입시킨 후 후퇴하였던 스톱볼이 컨넥터의 볼홈과 결합 되어 결합 된 컨넥터를 단속하도록 하게 된다.
그러므로 컨넥터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항상 한 손에는 컨넥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단속구를 후퇴시키는 작동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컨넥터의 접속과 해제(분리)하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컨넥터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양손으로 잡고 강하게 밀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원래의 목적인 원터치 결합과 해제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가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는 컨넥터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축 방향으로 에어통로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인너바디와, 상기 인너바디와 나사 결합되고 컨넥터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수단을 가지는 아웃바디와, 상기 인너바디와 아웃바디의 내부에 압축공기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도록 기밀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아웃바디 내경에 결합되어 컨넥터와 접속시 압축공기의 누출과 체크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컨넥터와 에어커플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리크방지구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아웃바디의 외측에 컨넥터에 형성되는 스톱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아웃바디의 내경과 관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핀홀과, 상기 아웃바디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걸림턱에 걸림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핀홀을 통하여 아웃바디 내경으로 노출되는 작동핀과, 상기 걸림턱 후방으로 작동핀이 핀홀과 연접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작동면과, 상기 작동핀의 후방과 아웃바디 외경 후방에 형성하는 환턱 사이에 개재하여 작동핀을 항상 단속위치에 있도록 하는 단속스프링과, 상기 아웃바디의 외측에 결합하는 관체형상의 단속구와, 상기 단속구의 내경 선측에 형성하여 작동핀의 양단이 걸림되어 단속구의 후퇴에 의하여 작동핀을 해제하는 단턱을 포함하여;
컨넥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관련 부품수를 줄여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면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우수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에 대하여 컨넥터의 회전이 자유로우면서 컨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공기 누출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컨넥터를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와 접속시킬 때 한 손으로도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단속구를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컨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파절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속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해제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기밀재, 체크밸브 및 리크방지구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파절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속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해제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기밀재, 체크밸브 및 리크방지구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는 축 방향으로 에어통로(101)를 형성하고 후방에 압축기로부터 인출되는 호스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102)를 가지는 인너바디(103)와 상기 인너바디(103)와 나사 결합되고 공구와 연결되는 컨넥터(104)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수단(105)을 가지는 아웃바디(106)로 구성된다.
상기 인너바디(103)의 내측단부(107)와 아웃바디(106)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108) 사이에는 압축공기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도록 기밀재(109)를 개재한 체크밸브(110)를 구비한다.
상기 컨넥터(104)와 접속하는 아웃바디(106)의 내경에는 컨넥터(104)와 접속시 압축공기의 누출과 체크밸브(11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컨넥터(104)와 에어커플러(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리크방지구(111)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수단(105)과 체크밸브(110) 및 리크방지구(111)를 개선하여 컨넥터(104)를 실질적으로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수단(105)은, 아웃바디(106)의 외측에 컨넥터(104)에 형성되는 스톱홈(112)과 동일한 위치에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13)의 중앙부는 아웃바디(106)의 내경과 관통되도록 한 핀홀(11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핀홀(114)에는 아웃바디(106)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걸림턱(113)에 걸림되는 작동핀(115)을 결합하고, 상기 작동핀(115)의 중앙부는 핀홀(114)을 통하여 아웃바디(106) 내경으로 노출되어 아웃바디(106)의 내경에 결합되는 컨넥터(104)의 스톱홈(112)에 결합되어 컨넥터(104)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113)의 후방으로는 작동핀(115)이 핀홀(114)과 연접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작동면(116)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핀(116)의 후방과 아웃바디(106) 외경 후방에 형성하는 환턱(117) 사이에는 단속스프링(118)을 개재하여 작동핀(115)이 항상 단속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바디(106)의 외측에는 관체형상의 단속구(120)를 결합하고, 상기 단속구(120)의 내경 선측에 형성되는 단턱(121)에는 작동핀(115)의 양단이 걸림되어 단속구(120)의 후퇴에 의하여 작동핀(115)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웃바디(106)의 선단에는 스톱링(122)을 구비하여 단속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113)의 형성위치는 아웃바디(106)의 180°방향에 최소 한 쌍을 형성하고 한 쌍 이상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불필요하게 많이 형성할 경우 가공과 조립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걸림턱(113)과 핀홀(114)에 결합되는 작동핀(115)의 길이(L)는 아웃바디(106)의 직경(D)과 같은 길이로 형성하여 단속구(120)의 결합과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단속스프링(118)이 걸림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110)는, 인너바디(103)의 내경에 수용되어 평상시에는 체크밸브(110)를 항상 전진시켜 기밀재(109)와 연접시켜 리크를 방지하고 컨넥터(104) 접속시에는 후퇴하여 기밀재(109)와 이탈시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130)을 후방에 가지는 밸브바디(131)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바디(131)에는 기밀재턱(132)을 형성하여 기밀재(109)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밀재턱(132)의 전방으로 기밀재(109)를 통과하여 기밀재(109)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접속되는 컨넥터(104)에 의하여 후퇴하도록 하는 개략 +형상의 피스톤(133)을 돌출시켜 기밀재(109)와 피스톤(13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133)의 선단에는 컨넥터(104)와의 접속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컨넥터(104)의 내경과 연접될 수 있도록 접속턱(134)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체크밸브(110)와 리크방지구(111)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재(109)의 내외측면 원주방향에는 아웃바디(106)와 체크밸브(1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밀림(135)을 일체로 더 형성하여 체결시 리크방지구(111)와 인너바디(103)의 가압력에 의하여 아웃바디(106)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기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밀재(109)의 내측방향 중앙부에는 아웃바디(103)의 가압력에 관계없이 체크밸브(110)의 기밀재턱(132)과 밀착될 수 있도록 기밀재턱(132) 방향으로 돌출되는 밀착엠보싱(136)을 일체로 더 형성한다.
상기 리크방지구(111)의 내경에는 접속되는 컨넥터(104)의 외경부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V씰(137)을 더 내장하고, 상기 V씰(137)에 형성되는 V홈(138)이 인너바디(103)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컨넥터(104)의 접속을 용이하도록 하면서 컨넥터(104)가 접속된 상태에서 공기의 압력이 V홈(138)으로 전달되어 인너림(139)이 내측으로 벌어지면서 컨넥터(104)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를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공급라인의 선단에 연결되고, 컨넥터(104)는 에어건과 같은 압축공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공구의 후미에 연결된 상태에서 컨넥터(104)를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와 접속 및 이탈에 의하여 압축공기의 공급과 비공급이 선택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에어커플러 어셈블리(100)에 컨넥터(104)를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체크밸브(110)는 스프링(130)이 미는 힘에 의하여 밸브바디(131)의 기밀재턱(132)이 기밀재(109)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접속수단(105)은 아웃바디(106)와 단속구(120) 사이에 개재된 단속스프링(118)이 미는 힘에 의하여 단속스프링(118)의 선단에 위치한 작동핀(115)은 걸림턱(113)에 걸림되어 있고, 작동핀(115)의 중앙부는 핀홀(114)을 통하여 아웃바디(106)의 내경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넥터(104)를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컨넥터(104)의 후미를 아웃바디(106)의 내경부로 밀어 넣으면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아웃바디(106)의 외면에 결합된 단속구(120)를 후방으로 밀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컨넥터(104)를 아웃바디(106) 내경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쉽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넥터(104)를 밀어 넣으면 컨넥터(104)의 후단부가 작동핀(115)을 밀게되고, 작동핀(115)은 컨넥터(104)가 미는 힘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걸림턱(113)에 위치하고 있던 작동핀(115)은 컨넥터(104)가 미는 힘에 의하여 걸림턱(113)의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작동면(116)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작동핀(115)의 중앙부가 핀홀(114)을 완전이 벗어나게 되면서 컨넥터(104)는 접속위치까지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컨넥터(104)에 형성된 스톱홈(112)과 핀홀(114)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후회하였던 단속스프링(11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작동핀(115)을 전진시키게 되고, 작동핀(115)은 걸림턱(113)에 정지되면서 작동핀(115)의 중앙부가 핀홀(114)을 통하여 컨넥터(104)의 스톱홈(112)에 결합되므로 접속된 컨넥터(104)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넥터(104)를 접속시킬 때에는 컨넥터(104)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쉽게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컨넥터(104)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속구(120)를 후퇴시키면 된다.
이를 살펴보면, 단속구(120)를 후퇴시키면 단속구(120)의 내경 선측에 형성된 단턱(121)에 작동핀(115)이 걸림되어 있으므로 후퇴하는 작동구(120)가 작동핀(115)을 핀홀(114)을 벗어나도록 함으로서 결국에는 작동핀(115)이 컨넥터(104)의 스톱홈(112)을 벗어나게 되므로 컨넥터(104)를 접속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넥터(104)를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위치나 방향에 관계없이 컨넥터(104)를 아웃바디(106)의 내경에 그대로 밀어서 접속시키고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속구(120)를 후퇴시키는 것만으로 쉽게 해제되고 실질적으로 한번의 터치만으로 접속과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컨넥터(104)의 접속이 있을 경우에는 컨넥터(104)의 후단부가 밸브바디(13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133)을 밀어 기밀재턱(132)과 기밀재(109)가 이격시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피스톤(133)의 선단에는 컨넥터(104)의 내경과 연접될 수 있는 접속턱(134)을 형성하기 때문에 안정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이 컨넥터(104)가 접속 및 이탈하는 과정에서의 기밀유지는, 기밀재(109)의 내외측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기밀림(135)이 아웃바디(106)의 내벽면과 밀착된 상태에 있고, 기밀재(109)의 내측방향 중앙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밀착엠보싱(136)이 체크밸브(110)의 기밀재턱(132)과 밀착되므로 인너바디(103)의 끝단부가 기밀재(109)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를 가압하더라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리크방지구(111)의 내측에는 컨넥터(104)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V씰(137)을 더 내장하여 컨넥터(104) 접속시 컨넥터(104)의 외부면을 통하여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V씰(137)에 형성되는 V홈(138)을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컨넥터(104)를 접속할 때에는 자연스럽게 접속이 이루어지고, 접속한 후에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V홈(138) 방향으로 향하게 되므로 인너림(139)이 접속된 컨넥터(104)의 외면과 밀착되게 되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컨넥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기밀유지성을 높이고 관련 부품수를 줄여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면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우수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103; 인너바디
104; 컨넥터 105; 접속수단
106; 아웃바디 110; 체크밸브
113; 걸림턱 114; 핀홀
115; 작동핀 116; 작동면
118; 단속스프링 120; 단속구
130; 스프링 131; 밸브바디
133; 피스톤 134; 접속턱
135; 기밀림 136; 밀착엠보싱
137; V씰

Claims (4)

  1. 축 방향으로 에어통로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인너바디와;
    상기 인너바디와 나사 결합되고 컨넥터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수단을 가지는 아웃바디와;
    상기 인너바디와 아웃바디의 내부에 압축공기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도록 기밀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아웃바디 내경에 결합되어 컨넥터와 접속시 압축공기의 누출과 체크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컨넥터와 에어커플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리크방지구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아웃바디의 외측에 컨넥터에 형성되는 스톱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아웃바디의 내경과 관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핀홀과;
    상기 아웃바디의 축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걸림턱에 걸림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핀홀을 통하여 아웃바디 내경으로 노출되는 작동핀과;
    상기 걸림턱 후방으로 작동핀이 핀홀과 연접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작동면과;
    상기 작동핀의 후방과 아웃바디 외경 후방에 형성하는 환턱 사이에 개재하여 작동핀을 항상 단속위치에 있도록 하는 단속스프링과;
    상기 아웃바디의 외측에 결합하는 관체형상의 단속구와;
    상기 단속구의 내경 선측에 형성하여 작동핀의 양단이 걸림되어 단속구의 후퇴에 의하여 작동핀을 해제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인너바디의 내경에 수용되어 평상시에는 체크밸브를 전진시켜 기밀재와 연접시켜 리크를 방지하고 컨넥터 접속시에는 후퇴하여 기밀재와 이탈시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을 후방에 가지고 구비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하여 기밀재와 밀착되도록 하는 기밀재턱과;
    상기 기밀재턱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밀재를 통과하여 접속되는 컨넥터에 의하여 후퇴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컨넥터의 내경과 연접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접속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재의 내외측면 원주방향에는 아웃바디와 체크밸브 방향으로 돌출되어 리크방지구와 인너바디의 가압력에 의하여 아웃바디 내벽면과 밀착되어 기밀력을 높이는 기밀림과;
    상기 기밀재의 내측방향 중앙부에는 아웃바디의 가압력에 관계없이 체크밸브의 기밀재턱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착엠보싱을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크방지구의 내경에는 컨넥터의 외경부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V씰을 더 내장하고;
    상기 V씰에 형성되는 V홈은 인너바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컨넥터의 접속을 용이하도록 하면서 컨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공기의 압력이 V홈으로 전달되어 인너림이 내측으로 벌어지면서 컨넥터와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1020130009930A 2013-01-29 2013-01-29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10127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30A KR101277814B1 (ko) 2013-01-29 2013-01-29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30A KR101277814B1 (ko) 2013-01-29 2013-01-29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814B1 true KR101277814B1 (ko) 2013-06-21

Family

ID=4886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930A KR101277814B1 (ko) 2013-01-29 2013-01-29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41B1 (ko) * 2016-06-13 2018-05-08 주식회사 엠스코 에어건 커플러 어셈블리
CN112780761A (zh) * 2019-11-04 2021-05-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阀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546Y1 (ko) 2003-03-12 2003-06-02 문진태 커플러의 원터치식 록킹구조
KR200435431Y1 (ko) 2006-08-31 2007-01-22 이경일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101011459B1 (ko) 2010-07-21 2011-01-28 박현규 에어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546Y1 (ko) 2003-03-12 2003-06-02 문진태 커플러의 원터치식 록킹구조
KR200435431Y1 (ko) 2006-08-31 2007-01-22 이경일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101011459B1 (ko) 2010-07-21 2011-01-28 박현규 에어 커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41B1 (ko) * 2016-06-13 2018-05-08 주식회사 엠스코 에어건 커플러 어셈블리
CN112780761A (zh) * 2019-11-04 2021-05-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阀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911B2 (en) Safety type quick connector
US8303000B2 (en) Quick release connector
US8807525B2 (en) Quick-release coupling
US20130037733A1 (en) Quick release connector
KR101891283B1 (ko) 압축 공기 커플링
KR101011459B1 (ko) 에어 커플러
TW201727060A (zh) 自行車泵
JP6758730B1 (ja) ソケ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管継手
KR101277814B1 (ko)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200459858Y1 (ko) 유체 이송용 커플러
CN111828761A (zh) 一种快速接头
JP3224262U (ja) 流体継手
US10941890B2 (en) Socket and pipe connector having same
CN104565640A (zh) 母接头
KR200400897Y1 (ko) 스프링클러의 송수관 연결장치
US20130291976A1 (en) Quick-release coupling
US20210033235A1 (en) Universal female connector
KR101855441B1 (ko) 에어건 커플러 어셈블리
CN214405090U (zh) 一种高压气动快装型接头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CN111853403A (zh) 一种新型快速接头
KR102475850B1 (ko)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KR200239086Y1 (ko) 에어커플러
CN217463651U (zh) 一种快拆接头
KR20210026354A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