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86Y1 - 에어커플러 - Google Patents

에어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86Y1
KR200239086Y1 KR2020010001931U KR20010001931U KR200239086Y1 KR 200239086 Y1 KR200239086 Y1 KR 200239086Y1 KR 2020010001931 U KR2020010001931 U KR 2020010001931U KR 20010001931 U KR20010001931 U KR 20010001931U KR 200239086 Y1 KR200239086 Y1 KR 200239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air
connector
tube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최철호
Original Assignee
이종원
최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최철호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2020010001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86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호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에어커플러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구성을 개량하여 에어의 누출의 방지하며, 가이드관의 구성도 개량하여 충격에 의해 연결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구성을 보면, 에어커플러에 있어서, 커플러본체(1)의 내부작용관체(10) 선단부의 연결구삽입부(11)에는 입구측 내면에 밀폐돌부(13)를 구성하고 그 안쪽으로는 구멍의 직경이 줄어들게 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한 패킹(12)을 삽입하고,
커플러본체(1)의 입구측의 가이드관체(20)는 입구측 직경을 외부작용관(30)과 같은 직경으로 하면서 측면으로부터 체결용홈(21)을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의 구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개량함으로써 연결구(2)의 선단부에서 발생하던 에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었고, 사용도중 연결구(2)가 커플러본체(1)로 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게 되는 등, 에어커플러의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커플러{An air coupler}
본 고안은 에어호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의 구성을 개량하여 에어의 누출을 방지하고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에어를 사용하는 기계류나 공구류 등에 호스를 이용하여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서는, 에어를 공급하는 쪽과 공급받는 쪽의 각 호스의 끝단에 에어커플러를 연결하여 공급이 필요시에는 커플러를 연결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커플러를 분리하여 둔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에어커플러는 커플러본체에 연결구를 삽입시 연결구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에어의 누출이 많았던 것으로, 종래에는 연결구의 선단이 삽입되는 부분의 구멍내부에 원형단면을 가진 링을 삽입하여 링이 연결구의 선단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구가 측방향으로 약간만 움직이기만 해도 링과 연결구와의 사이에 밀폐성이 떨어지고, 따라서 에어의 누출이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커플러는 연결구의 제거를 위해 외부의 작용관을 구성함으로써 작용관을 후진시키면 연결구가 분리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작용관의 선단부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완전히 노출된 것이어서 커플러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땅에 떨어뜨리거나 물체에 살짝 부딪혀 작용관이 뒤로 밀리기만 하면 연결구가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커플러본체의 선단부 내부에 구성되는 가이드관을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이 어렵게 구성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구성을 개량하여 에어의 누출의 방지하며, 가이드관의 구성도 개량하여 충격에 의해 연결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커플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이드관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커플러본체
10:내부작용관체 11:연결구삽입부
12:패킹 13:밀폐돌부
14:경사면
20:가이드관체 21:체결용홈
30:외부작용관 40:본체관
본 고안이 개선하려고 하는 에어커플러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을 살펴보면, 연결할 두개의 호스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커플러본체 및 연결구로 구성이 되며, 커플러본체는 호스를 연결하는 본체관, 그 내부에서 전후진 작용을 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내부작용관, 연결구를 삽입하였을 때 고정시키는 기능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의 외부작용관, 각 부품의 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관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작용을 살펴보면, 연결구를 커플러본체의 가이드관체를 통하여 내부작용관 선단에 삽입을 하면 내부작용관이 밀려들어 가면서 내부작용관 안쪽에 구성되는 밸브기능을 하는 부분이 개방이 되므로 공기의 흐름이 이어지는 것이고, 이때 외부작용관이 입구측으로 돌출되면서 연결구가 커플러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작용을 중지할 때는 외부작용관을 후진시키면 걸린상태가 해제되면서의 연결구가 커플러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고, 이때 내부작용관 안쪽의 밸브가 잠금작용을 하여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이다.이러한 형태의 에어커플러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플러본체(1)의 내부작용관체(10) 선단부에 구성되는 연결구삽입부(11)에 패킹(12)을 삽입하되, 입구측 내면에 밀폐돌부(13)를 구성하고 그 안쪽으로는 구멍의 직경이 줄어들게 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커플러본체(1)의 입구측의 가이드관체(20)는 입구측 직경을 외부작용관(30)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하면서 측면으로부터 2개소 이상의 체결용홈(21)을 구성하였는데, 이는 커플러본체(1)를 조립하거나 분해하기 위하여 가이드관체(20)를 본체관(40)에 나사결합 또는 해제시킬 때 체결용홈(21)에 꼭맞게 삽입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립이나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2는 연결구, 3은 호스연결용 관체부, 4,4'는 스프링, 5는 록킹 볼, 6은 통공, 7,7'는 호스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커플러본체(1)에 연결구(2)를 결합하게 되면, 연결구(2)의 선단이 패킹(12)의 경사면(14)에 밀착이 되면서 1차적인 밀폐가 이루어지고 그 조금 후단의 연결구(2) 외면을 밀폐돌부(13)가 감싸게 되므로 2차적인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구(2)가 어느정도 움직임이 있더라도 틈새가 생기는 경우 없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관체(20)의 선단부 직경이 외부작용관(30)의 직경과 같은 크기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외부작용관(30)이 밀려들어가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연결구(2)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분리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용홈(21)을 구성하였으므로 커플러본체(1)의 조립 및 분해, 즉 나사로 결합되는 가이드관체(20)와 본체관(40)을 조립 및 분해할때 체결용홈(21)에 꼭맞게 삽입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가이드관체(20)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커플러의 구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개량함으로써 연결구(2)의 선단부에서 발생하던 에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었고, 사용도중 연결구(2)가 커플러본체(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게 되는 등, 에어커플러의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결할 두개의 호스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커플러본체 및 연결구로 구성이 되며, 커플러본체는 호스를 연결하는 본체관, 그 내부에서 전후진 작용을 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내부작용관, 연결구를 삽입하였을 때 고정시키는 기능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의 외부작용관, 각 부품의 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관체 등으로 구성되는 에어커플러에 있어서,
    커플러본체(1)의 내부작용관체(10) 선단부의 연결구삽입부(11)에는 입구측 내면에 밀폐돌부(13)가 구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구멍의 직경이 줄어들게 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한 패킹(12)을 삽입하고, 커플러본체(1) 입구측의 가이드관체(20)는 입구측 직경을 외부작용관(30)의 직경과 같은 크기로 하면서 측면으로부터 2개소 이상의 체결용홈(2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플러.
KR2020010001931U 2001-01-27 2001-01-27 에어커플러 KR200239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31U KR200239086Y1 (ko) 2001-01-27 2001-01-27 에어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31U KR200239086Y1 (ko) 2001-01-27 2001-01-27 에어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086Y1 true KR200239086Y1 (ko) 2001-09-25

Family

ID=7309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931U KR200239086Y1 (ko) 2001-01-27 2001-01-27 에어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59B1 (ko) 2010-07-21 2011-01-28 박현규 에어 커플러
KR200458162Y1 (ko) 2011-11-10 2012-01-20 임두승 에어호스용 커플러
KR101582440B1 (ko) 2015-05-07 2016-01-06 이경일 에어기기 및 에어공구용 유니버셜 커플러
KR102485867B1 (ko) * 2022-10-13 2023-01-09 (주)씨티코리아 퀵 커플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59B1 (ko) 2010-07-21 2011-01-28 박현규 에어 커플러
WO2012011647A1 (ko) * 2010-07-21 2012-01-26 Park Hyun Gyu 에어 커플러
KR200458162Y1 (ko) 2011-11-10 2012-01-20 임두승 에어호스용 커플러
KR101582440B1 (ko) 2015-05-07 2016-01-06 이경일 에어기기 및 에어공구용 유니버셜 커플러
KR102485867B1 (ko) * 2022-10-13 2023-01-09 (주)씨티코리아 퀵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572B1 (en) Valve-coupling device for an inflation device
KR200267995Y1 (ko) 파이프 연결구조
US7926783B1 (en) Safety type quick release connector
JPH02225898A (ja) 加圧流体回路用自動結合器
ES2355964T3 (es) Conector rápido para aplicaciones de alta presión.
KR100508273B1 (ko) 압축 기체 캐니스터와 패스닝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AU2002212435A1 (en)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means for instantaneous connection of a pipe end to a member and means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BR0205885A (pt) Luva de suporte para uso em um acoplamento de tubos e corpo de acoplamento
KR200239086Y1 (ko) 에어커플러
EP0839298B1 (en) Hose coupling
KR100517032B1 (ko) 가스호스 연결 구조물
KR101855441B1 (ko) 에어건 커플러 어셈블리
KR20030081046A (ko) 압축 가스 피스톤 구동 네일링과 연료 카트리지를 위한커플링
JPH0726636Y2 (ja) 流体配管用ソケット
KR101277814B1 (ko)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KR200404438Y1 (ko) 관이음 구조
KR100364861B1 (ko) 접속부 기밀구조를 가진 진공 청소기용 호스
KR100324547B1 (ko) 퀵타입 커플링
KR200239087Y1 (ko) 에어커플러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KR200344245Y1 (ko) 슬라이드 밸브 커플러
KR200253832Y1 (ko) 커플러용 에어 역류방지 첵크밸브
JP2005195065A (ja) パイプ連結具
JPH0632880U (ja) 離脱防止管継手用ゴム輪
KR200261401Y1 (ko)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KR930006019Y1 (ko) 에어호스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