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01Y1 -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01Y1
KR200261401Y1 KR2020010031843U KR20010031843U KR200261401Y1 KR 200261401 Y1 KR200261401 Y1 KR 200261401Y1 KR 2020010031843 U KR2020010031843 U KR 2020010031843U KR 20010031843 U KR20010031843 U KR 20010031843U KR 200261401 Y1 KR200261401 Y1 KR 200261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pening
outer body
coupling
clos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이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창 filed Critical 이기창
Priority to KR2020010031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01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써, 각종 유체라인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소직경과 대직경이 연통되어 대략 티(T)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소직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대직경부내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 링으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A INTERNAL COUPLING OF PIPE ARRANGEMENT-JUNCTURE}
본 고안은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유체라인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배관에서 각종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부품으로는 엘보우(Elbow), 유니온(Union), 티(Tee), 부싱(Bushing), 니플(Nipple) 등의 고정형과 캐프 커플러(Cap Coupler), 셀프 실 커플링(Self Seal Coupling) 등의 탈착형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수시로 탈, 부착이 없이 고정 연결하는 분야에서는 고정형을, 수시로 탈, 부착하여야 하는 작업분야에서는 탈착형 연결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을 첨부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단면도이며,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기계몸체(1)의 일면부의 'T'자 형상 오목홈의 암나사산에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의해 부싱(2)이 결합되고, 상기 부싱(2)의 타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는 양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니플(3)의 일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기계몸체(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상기 기계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니플(3)의 타단부에는 일단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4)의 수연결구(4b)가 결합되는 바, 상기 수연결구(4b)의 타단부에 암연결구(4a)가 삽입되면, 상기 암연결구(4a)의 내측 선단에 다수개 형성된 로킹볼(4c)이 상기 수연결구(4b)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d)에 로킹됨과 동시에 상기 암,수연결구(4a,4b)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개폐부재(4f,4e)가 상호 접촉되면서 상기 수연결구(4b)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암,수연결구(4a,4b)에 각각 구비된 압축 스프링(4h,4g)이 압축되며,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폐쇄상태의 유로가 상기 개폐부재(4f,4e)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암,수연결구(4a,4b)내로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연결구(4b)로부터 상기 암연결구(4a)를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4f,4e)가 각각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유체가 누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기계몸체(1)의 일부면에 형성된 'T'자 형상의 오목홈에 부싱(2)이 내장되어 결합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부싱(2)의 타단부에 니플(3)이 결합된 후, 상기 니플(3)의 타단부에 수연결구(4b)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계몸체(1)에 형성된 'T'자 형상의 오목홈에 상기 수연결구(4b)를 내장된 상태로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계몸체(1)에 형성된 'T'자 형상의 오목홈에 상기 수연결구(4b)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싱(2)과 니플(3)을 사용해야만 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연결구(4b)가 상기 니플(3)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계몸체(1)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기계몸체(1)의 외부에 커버를 조립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4)을 상기 기계몸체(1)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수시로 분리하며 작업해야 하므로 결국은 커플링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4)을 상기 기계몸체(1)에 고정한 상태로 커버를 조립할 수 있는 작업분야에서도 상기 기계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수연결구(4b)가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타격되어 파손될 위험이 매우 크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싱과 니플 등의 매개체를 제거하여 부품감소에 따른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가격이 다운됨은 물론, 기계몸체에 형성된 오목홈에 연결구를 직접 결합시켜 내장될 수 있도록 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계몸체에 형성된 오목홈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내장형으로 설치함으로써, 간섭 없이 기계몸체의 외부에 커버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한 타격으로부터 커플링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단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탈착형 셀프 실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암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수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도.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40,70 : 암연결구 11,41,71,81 : 제1 외부몸체
12,42,72 : 제1 오링 13,43,73 : 제1 개폐볼
14,44,74 : 제1 압축스프링 15,45,75 : 제1 스크류
16,46,76 : 압착오링 17,47,77 : 지지패킹
20,50,80 : 수연결구 21 : 제2 외부몸체
22,51,83 : 슬리브 23,84 : 슬리브 링
24,52,85 : 제2 오링 25,53,86 : 제2 개폐볼
26,54,87 : 제2 압축스프링 27,55,88 : 제2 스크류
28,56,89 : 니플 82 : 몸체결합오링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특징은,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소직경과 대직경이 연통되어 대략 티(T)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소직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대직경부내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 링으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일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고정홈의 내측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고정홈의 내측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소직경과 대직경이 연통되어 대략 티(T)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소직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대직경부내에 위치하여 외주상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 링과, 상기 제2 외부몸체의 내부 선단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암연결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몸체결합오링으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암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수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암연결구(10)와, 수연결구(20)로구성되는 바, 상기 암연결구(10)의 일단부가 기계몸체(30)에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되어 내장되고, 상기 수연결구(20)가 상기 암연결구(10)에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암연결구(10)는 제1 외부몸체(11)와, 제1 오링(12)과, 제1 개폐볼(13)과, 제1 압축스프링(14)과, 제1 스크류(15)와, 압착오링(16)과, 지지패킹(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외부몸체(1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반대로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부의 내주면에는 제1 요홈(11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어서, 타단부의 내주면 중앙에는 제2 요홈(11b)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통상의 육각 볼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오링(12)은 상기 제1 외부몸체(11) 중앙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홈(11a)에 삽착되고, 상기 제1 개폐볼(13)은 상기 제1 오링(12)의 내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1 압축스프링(14)은 전면부가 상기 제1 개폐볼(13)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스크류(15)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14)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제1 외부몸체(11)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착오링(16)은 상기 제1 외부몸체(11) 타단부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제2 요홈(11b)에 삽착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패킹(17)이 삽착된다.
한편, 상기 수연결구(20)는 제2 외부몸체(21)와, 슬리브(22)와, 슬리브 링(23)과, 제2 오링(24)과, 제2 개폐볼(25)과, 제2 압축스프링(26)과, 제2 스크류(27)와, 니플(28)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외부몸체(2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부면은 통상의 육각볼트 머리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일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1 돌출부(21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22)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제2 돌출부(22a)가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제3 요홈(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면 일단부의 돌출부에는 제4 요홈(22c)이 형성되고, 중앙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제2 외부몸체(21) 일단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21)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 링(23)은 상기 슬리브(22)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3 요홈(22b)에 일부분이 삽착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21)의 내주면 타단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a)의 상면에 놓여 걸리게 된다.
상기 제2 오링(24)은 상기 슬리브(22)의 내주면 일단부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4 요홈(22c)에 삽착되고, 상기 제2 개폐볼(25)은 상기 제2 오링(24)의 내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26)은 전면부가 상기 제2 개폐볼(25)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스크류(27)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26)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슬리브(22)의 내주면 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니플(28)은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제3 돌출부(28a)가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슬리브(22)의 내주면 타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유체배관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유체배관과 연결된 수연결구(20)를 이동하여 슬리브(22)를 암연결구(10)의 일측 개구부에 삽입하여 제1 외부몸체(11)의 암나사산과 제2 외부몸체(21)의 수나사산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연결구(10)의 제1 개폐볼(13)과, 상기 수연결구(20)의 제2 개폐볼(25)이 상호 밀려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암연결구(10)로부터 상기 수연결구(20)를 분리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암연결구(10)의 제1 개폐볼(13)과 상기 수연결구(20)의 제2 개폐볼(25)이 각각 제1 압축스프링(14)과 제2 압축스프링(26)의 인장력에 의해 제1 오링(12)과 제2 오링(24)에 안착됨에 따라 유체가 누유되지 않으면서 유로가 폐쇄된다.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은 크게 암연결구(40)와, 수연결구(50)로 구성되는 바, 상기 암연결구(40)의 일단부가 기계몸체(60)에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되어 내장되고, 상기 수연결구(50)가 상기 암연결구(40)에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암연결구(40)는 제1 외부몸체(41)와, 제1 오링(42)과, 제1 개폐볼(43)과, 제1 압축스프링(44)과, 제1 스크류(45)와, 압착오링(46)과, 지지패킹(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외부몸체(4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일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면의 일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의 요철부에는 제1 요홈(41a)이 형성된다.
또한, 내주면의 타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2 요홈(4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오링(42)은 상기 제1 외부몸체(41) 중앙부의 내주면 요철부에 형성된 제1 요홈(41a)에 삽착되고, 상기 제1 개폐볼(43)은 상기 제1 오링(42)의 내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1 압축스프링(44)은 전면부가 상기 제1 개폐볼(43)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스크류(45)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44)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제1 외부몸체(41)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착오링(46)은 상기 제1 외부몸체(41) 타단부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제2 요홈(41b)에 삽착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패킹(47)이 삽착된다.
한편, 상기 수연결구(50)는 슬리브(51)와, 제2 오링(52)과, 제2 개폐볼(53)과, 제2 압축스프링(54)과, 제2 스크류(55)와, 니플(56)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5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일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1 돌출부(5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는 제3 요홈(51b)이 형성되고, 중앙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오링(52)은 상기 슬리브(51)의 내주면 일단부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3 요홈(51b)에 삽착되고, 상기 제2 개폐볼(53)은 상기 제2 오링(52)의 내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54)은 전면부가 상기 제2 개폐볼(53)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스크류(55)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54)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슬리브(51)의 내주면 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니플(56)은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제2 돌출부(56a)가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슬리브(51)의 내주면 타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유체배관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유체배관과 연결된 슬리브(51)를 이동하여 암연결구(10)의 일측 개구부에 삽입하여 제1 외부몸체(41)의 암나사산과 상기 슬리브(51)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연결구(10)의 제1 개폐볼(43)과, 상기 슬리브(51)의 제2 개폐볼(53)이 상호 밀려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암연결구(10)로부터 상기 슬리브(51)를 분리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암연결구(10)의 제1 개폐볼(43)과 상기 슬리브(51)의 제2 개폐볼(53)이 각각 제1 압축스프링(44)과 제2 압축스프링(54)의 인장력에 의해 제1 오링(42)과 제2 오링(52)에 안착됨에 따라 유체가 누유되지 않으면서 유로가 폐쇄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이 기계몸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크게 암연결구(70)와, 수연결구(80)로 구성되는 바, 상기 암연결구(70)의 일단부가 기계몸체(90)에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되어 내장되고, 상기 수연결구(80)가 상기 암연결구(70)에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암연결구(70)는 제1 외부몸체(71)와, 제1 오링(72)과, 제1 개폐볼(73)과, 제1 압축스프링(74)과, 제1 스크류(75)와, 압착오링(76)과, 지지패킹(7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외부몸체(7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주면의 일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의 돌출부에는 제1 요홈(71a)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2 요홈(7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의 일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3 요홈(7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오링(72)은 상기 제1 외부몸체(71) 중앙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홈(71a)에 삽착되고, 상기 제1 개폐볼(73)은 상기 제1 오링(72)의 내부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1 압축스프링(74)은 전면부가 상기 제1 개폐볼(73)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스크류(75)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74)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제1 외부몸체(71)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착오링(76)은 상기 제1 외부몸체(71) 타단부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제2 요홈(71b)에 삽착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패킹(77)이 삽착된다.
한편, 상기 수연결구(80)는 제2 외부몸체(81)와, 몸체결합오링(82)과, 슬리브(83)와, 슬리브 링(84)과, 제2 오링(85)과, 제2 개폐볼(86)과, 제2 압축스프링(87)과, 제2 스크류(88)와, 니플(89)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외부몸체(81)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부면은 통상의 육각볼트 머리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일단부에는 제4 요홈(81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1 돌출부(81b)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결합오링(82)은 상기 제2 외부몸체(81)의 내주면 일단부에 형성된 제4 요홈(81a)에 삽입되어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슬리브(83)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제2 돌출부(83a)가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제5 요홈(83b)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면 일단부의 돌출부에는 제6 요홈(83c)이 형성되고, 중앙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제2 외부몸체(81) 일단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81)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 링(84)은 상기 슬리브(83)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5 요홈(83b)에 일부분이 삽착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81)의 내주면 타단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81b)의 상면에 놓여 걸리게 된다.
상기 제2 오링(85)은 상기 슬리브(83)의 내주면 일단부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6 요홈(83c)에 삽착되고, 상기 제2 개폐볼(86)은 상기 제2 오링(85)의 내부면에안착됨과 동시에 전면부가 일부 돌출된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87)은 전면부가 상기 제2 개폐볼(86)의 후면부에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스크류(88)는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내부면은 육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87)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상기 슬리브(83)의 내주면 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니플(89)은 양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써,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제3 돌출부(89a)가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슬리브(83)의 내주면 타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유체배관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유체배관과 연결된 수연결구(80)를 이동하여 슬리브(83)를 암연결구(70)의 일측 개구부에 삽입하여 제1 외부몸체(7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3 요홈(71c)에 제2 외부몸체(81)의 내주면 일단부에 형성된 제4 요홈(81a)에 삽입되어 내부로 돌출된 몸체결합오링(82)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연결구(70)의 제1 개폐볼(73)과, 상기 수연결구(80)의 제2 개폐볼(86)이 상호 밀려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암연결구(70)로부터 상기 수연결구(80)를 분리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암연결구(70)의 제1 개폐볼(73)과 상기 수연결구(80)의 제2 개폐볼(86)이 각각 제1 압축스프링(74)과 제2 압축스프링(87)의 인장력에 의해 제1 오링(72)과 제2 오링(85)에 안착됨에 따라 유체가 누유되지 않으면서 유로가 폐쇄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에 의하면, 기계몸체에 형성된 오목홈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직접 내장형으로 설치함으로써, 부품감소에 따른 조립공수의 감소와 가격이 다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몸체에 형성된 오목홈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내장형으로 설치함으로써, 간섭 없이 기계몸체의 외부에 커버를 조립할 수 있고,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한 타격으로부터 커플링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소직경과 대직경이 연통되어 대략 티(T)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소직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대직경부내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 링으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3.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일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고정홈의 내측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고정홈의 내측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플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5. 홀딩기의 고정홈에 지지된 암연결구에 수연결구를 결합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소직경과 대직경이 연통되어 대략 티(T)자 형상을 이룰 경우, 상기 암연결구는 상기 소직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대직경부내에 위치하여 외주상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 단차진 원통형상의 제1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볼과, 상기 제1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스크류로 구성된 암연결구;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측으로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 개폐볼과 대항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볼과, 상기 제2 개폐볼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슬리브의 일단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니플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상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슬리브 링과, 상기 제2 외부몸체의 내부 선단에 형성된 홈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암연결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몸체결합오링으로 구성된 수연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몸체의 개방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압착오링을 지지하는 지지패킹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KR2020010031843U 2001-10-18 2001-10-18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KR200261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43U KR200261401Y1 (ko) 2001-10-18 2001-10-18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43U KR200261401Y1 (ko) 2001-10-18 2001-10-18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01Y1 true KR200261401Y1 (ko) 2002-01-23

Family

ID=7311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43U KR200261401Y1 (ko) 2001-10-18 2001-10-18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2B1 (ko) * 2006-05-11 2007-05-25 박강훈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CN117489882A (zh) * 2024-01-03 2024-02-02 蠡县虓志燃气有限公司 一种天燃气管道用防护加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2B1 (ko) * 2006-05-11 2007-05-25 박강훈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CN117489882A (zh) * 2024-01-03 2024-02-02 蠡县虓志燃气有限公司 一种天燃气管道用防护加固装置
CN117489882B (zh) * 2024-01-03 2024-03-08 蠡县虓志燃气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用防护加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046A (en) Connector for metal ribbed pipe
US5050841A (en) Quick coupling including spherical valve
US20030057701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US20080048440A1 (en) Direct port connection for tubes
PT1321242E (pt) Conector de cartuxo de gás comprimido a aparelho de fixação
KR200261401Y1 (ko) 배관 이음매 내장형 커플링
KR100930864B1 (ko) 농업용 호스 꼬임방지구
KR200310891Y1 (ko) 동력분무기용 호스의 꼬임 방지장치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61850Y1 (ko) 원터치식 공압 튜브 연결용 커넥터
JPS6332475Y2 (ko)
CN210525139U (zh) 机械手工具连接器及机械手工具连接器用密封圈
CN214579609U (zh) 空调管路接头及空调管路系统
CN217559312U (zh) 快插接头
JPH0239113Y2 (ko)
CN216430814U (zh) 一种万向气动接头
CN110608335B (zh) 流体接头及流体接头组件
CN218761953U (zh) 销钉自动锁紧的管接头
CN217502977U (zh) 管线联接件
KR200211151Y1 (ko) 셀프실 커플링
CN215721558U (zh) 一种快插双作用一体式接头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09986Y1 (ko) 세탁기용 급수홀더의 결합구조
JPH11336962A (ja) ユニオン継手
JPH02345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