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911A -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911A
KR20100022911A KR1020090051037A KR20090051037A KR20100022911A KR 20100022911 A KR20100022911 A KR 20100022911A KR 1020090051037 A KR1020090051037 A KR 1020090051037A KR 20090051037 A KR20090051037 A KR 20090051037A KR 20100022911 A KR20100022911 A KR 2010002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eye image
image data
left ey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150B1 (ko
Inventor
권오재
민종술
손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10161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656890B/zh
Priority to US12/535,138 priority patent/US20100045779A1/en
Publication of KR2010002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3차원 영상기기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3차원 영상기기는 OSD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3차원, OSD, 축소

Description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3D vide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S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는 방식의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안경식과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직교한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
3차원 영상은 왼쪽 눈에서 인식되는 좌안 영상과 오른쪽 눈에서 인식하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표현하게 된다.
그런데, 3차원 영상기기도 OSD 메뉴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입력되는 3차원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여 표시하는 과정에서 OSD를 기존의 방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OSD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되거나 OSD의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3차원 영상기기에서 OSD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영상기기에서 OSD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성된 OSD를 보간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삽입하는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는, 상기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OSD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depth)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크기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중 어느 하나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하였을 때 등분된 네 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 에 상기 생성된 OSD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은,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 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OSD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depth)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크기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중 어느 하나를 축소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하였을 때 등분된 네 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상기 생성된 OSD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은,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OS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 기기는,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입력된 3차원 영상에 상기 OSD를 삽입하는 OSD 삽입부; 및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이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은,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기기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OSD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된 3차원 영상에 상기 OSD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을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3차원 영상기기는,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및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구현부는,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우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을 출 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구현부는,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좌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우안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우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좌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우안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는,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상기 OSD가 생성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삽 입하는 OSD 삽입부; 및 상기 OSD가 삽입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서 OSD를 제공하는 방법은, OS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SD가 생성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OSD가 삽입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를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3차원 영상기기에서도 OSD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TV(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TV(100)는 안경(190)과 통신이 가능하다.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여 번갈아 디스플레이 하 고, 사용자는 3차원 TV(100)에서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안경(190)을 이용하여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번갈아 봄으로써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화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안경(190)으로 전송한다.
안경(190)은 3차원 TV(100)에서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3차원 TV(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 동기를 맞추어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번갈아 오픈(open)한다.
이와 같이, 도 1의 3차원 TV(100) 및 안경(19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TV(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TV(100)는 방송수신부(110), A/V 인터페이스(120), A/V 처리부(130), 음성 출력부(140), 영상 출력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70), 리모콘 수신부(180), 리모콘(185), 안경신호 송수신부(195)를 포함한다.
방송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방송수신부(11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A/V 인터페이스(12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영상을 입력받는다. 특히, A/V 인터페이스(12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A/V 인터페이스(120)는 일 예로서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을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는 3차원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3차원 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가 분류된다.
이하에서,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인터리브(interleave) 방식에 의해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브 방식의 3차원 영상 데이터는 수평 인터리브(Horizontal interleaved) 방식(810), 수직 인터리브(Vertical interleaved) 방식(820), 및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830)이 있다.
수평 인터리브 방식(810)은 화소 행 단위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수직 인터리브 방식(820)은 화소 열 단위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를 의미한다. 체커 보드 방식(830)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화소 단위 또는 복수의 화소가 포함된 정사각형의 블럭 단위로 번갈아 배치된 형태를 의미한다.
한편, 도 8b는 스플릿(split) 방식에 의해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 방식의 3차원 영상 데이터는 좌우분할(Side by side) 방식(840), 상하분할(Above-below) 방식(850)이 있다. 또한, 스플릿 방식은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Depth)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의 2D+depth 방식(860)을 더 포함한다.
좌우분할 방식(840)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포함된 형태를 의미한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840)의 3차원 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을 좌우로 분할하여,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하분할 방식(850)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포함된 형태를 의미한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850)의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은 상하로 분할되고,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2D+depth 방식(860)의 3차원 영상 데이터는 화면에 표시될 2차원 영상 데이터와 2차원 영상데이터의 각 부분들의 심도 정보를 나타내는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860)의 3차원 영상 데 이터에서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은 좌우로 분할되고,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2D+depth 방식(860)의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은 좌우로 분할되고,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가 포함된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 또는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는 2차원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그대로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2에 대해서 설명하면, A/V 처리부(130)는 방송수신부(110) 및 A/V 인터페이스(120)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 및 OSD 생성, 삽입을 수행한다.
반면,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저장부(170)에 저장하는 경우, A/V 처리부(130)는 입력된 음성과 영상을 압축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해 입력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 처리부(130)는 음성 처리부(132), 영상 처리부(134), 3차원 구현부(136),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138) 및 OSD 삽입부(139)를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132)는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32)는 처리된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부(140)에 출 력한다.
영상 처리부(134)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및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34)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데이터를 3차원 구현부(136)로 출력한다.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로 보간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차원 구현부(136)는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한다.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는 각각 전체 화면 크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영상 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3차원 구현부(136)는 분리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2배로 확대하거나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3차원 구현부(136)는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되도록 영상 출력부(150)로 출력한다.
한편, 3차원 구현부(136)는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되는 경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SD가 좌안 영상에만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여 영 상 출력부(150)로 두 개의 좌안 영상을 출력한다. 반대로, OSD가 우안 영상에만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150)로 두 개의 우안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3차원 구현부(136)는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좌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3차원 영상의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화면에 표시하면 OSD가 깜빡거리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OSD는 2차원 영상이고 이외 화면은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되면, 사용자는 OSD 메뉴에 집중하지 못하고 눈에 피로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좌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만 출력하고, 우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만 출력함으로써,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3차원 구현부(136)는 3차원 영상에 OSD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는,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되도록 영상 출력부(150)로 출력한다.
OSD 생성부(138)는 사용자에게 표시될 OSD를 생성한다. 또한, OSD 생성부(138)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 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한다.
OSD는 2차원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대로 입력된 3차원 영상에 OSD를 삽입하게 되면,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OSD가 비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9a 내지 도 9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된 경우, OSD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좌우분할 방식의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9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910)에 OSD가 삽입되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12)가 된다. 그리고,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1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좌안 영상(914)과 우안 영상(916)을 생성한다.
하지만, OSD 메뉴가 2차원에서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포함된 상태에서,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12)가 분리된다. 따라서, OSD 메뉴가 절반으로 잘려서 좌안 영상(914) 및 우안 영상(916)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914)과 우안 영상(91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좌우 방향으로 잘려서 표시된 3차원 화면(918)을 인지하게 된다.
도 9b는 상하분할 방식의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92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920)에 OSD가 삽입되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22)가 된다. 그리고,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2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좌안 영상(924)과 우안 영상(926)을 생성한다.
하지만, OSD 메뉴가 2차원에서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포함된 상태에서,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22)가 분리된다. 따라서, OSD 메뉴(menu)가 절반으로 잘려서 좌안 영상(924) 및 우안 영상(926)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924)과 우안 영상(92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상하 방향으로 잘려서 표시된 3차원 화면(928)을 인지하게 된다.
도 9c는 2D+depth 방식의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930)는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930)에 OSD가 삽입되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32)가 된다. 그리고,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32)를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로 분류하고,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934)과 우안 영상(936)을 생성한다.
하지만, OSD 메뉴가 2차원에서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포함된 상태에서, OSD 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932)가 분리된다. 따라서, OSD 메뉴 중 2차원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부분만 좌안 영상(934) 및 우안 영상(936)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934)과 우안 영상(93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절반만 표시된 3차원 화면(938)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2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3차원 영상 데이터에 그대로 삽입하면, OSD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OSD 생성부(138)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OSD 생성부(138)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OSD의 크기를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138)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 이 때, OSD의 크기가 가로방향으로 절반이 축소되면, 추후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원래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또한, OSD 생성부(138)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 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 이 때, OSD의 크기가 세로방향으로 절반이 축소되면, 추후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원래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2D+depth 방식인 경우, OSD의 크기를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 이 때, OSD의 크기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절반이 축소되면, 추후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원래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또한, OSD 생성부(138)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형태에 상관없이,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모두 축소하여, OSD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OSD의 크기가 1/4로 축소되며, 추후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원래의 크기 1/2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OSD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 축소하여 1/4로 축소하게 되면,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분할 방식인지 상하분할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없이, 생성된 OSD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OSD 생성부(138)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 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함으로써, OSD가 잘려서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3차원 구현 부(136)에 입력되기 전에 삽입한다. 따라서, 3차원 구현부(136)에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만 삽입하더라도 추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번갈아 표시되기 때문에, 3차원 영상 구현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서만 표시되더라도 사용자는 3차원 영상 화면에서 OSD가 계속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OSD 삽입부(139)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2D+depth 방식인 경우, 생성된 OSD를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OSD 삽입부(139)는 OSD 생성부(138)가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모두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하게 된다. 이에 대해, 추후,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OSD 삽입부(139)는 도 6의 경우와 같이 3차원 구현부(136)에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3차원 구현부(136)에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한 화면의 크기로 보간 또는 확대된 영상이다. 따라서, OSD 삽입부(139)가 3차원 구현부(136)에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하면, OSD는 3차원 화면에서도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음성 출력부(140)는 A/V 처리부(130)에서 전송된 음성을 스피커 등으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50)는 A/V 처리부(130)에서 전송된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출력한다. 특히, 3차원 영상의 경우, 영상 출력부(15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번갈아 화면에 출력한다.
저장부(170)는 방송수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신된 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 수신부(180)는 리모콘(185)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안경신호 송수신부(195)는 안경(190)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번갈아 오픈하기 위한 클럭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안경(190)은 수신된 클럭신호에 따라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번갈아 오픈하게 된다. 또한, 안경신호 송수신부(195)는 안경(190)으로부터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한다.
제어부(160)는 리모콘(19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3차원 TV(100)를 3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3차원 영상표시 모드는 3차원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작동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3차원 TV(100)가 3차원 영 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은 활성화되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3차원 영상기기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2차원 영상표시 모드는 3차원 TV(100)가 2차원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모드를 의미한다. 3차원 TV(100)가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비활성화되고, OSD 생성부(138)는 OSD를 원래의 크기대로 생성하게 된다.
3차원 영상표시 모드에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OSD의 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는 3차원 TV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OSD가 원래의 크기대로 유지되어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입력되는 영상은 3차원 영상 데이터이므로 OSD 이외의 화면은 3차원 영상이 입력된 형태 그대로 표시되게 된다. 하지만, OSD 표시 요청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는 OSD에 집중을 하게 되므로, 배경에 비정상적인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OSD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고하여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3차원 TV(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OSD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도 2를 참고하여, 3차원 TV(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3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에서의 OSD 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하여, OSD 제공방법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 또는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의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10). 그리고, 3차원 TV(10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S320-Y),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즉,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분할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인 경우(S330-Y), 3차원 TV(100)는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S335). 또한, 3차원 TV(100)는 가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지 않더라도,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크기로 OSD를 축소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 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S350).
한편,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인 경우(S340-Y), 3차원 TV(100)는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S345). 또한, 3차원 TV(100)는 세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지 않더라도,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크기로 OSD를 축소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S350).
한편,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의 2D+depth 방식인 경우(S360-Y), 3차원 TV(100)는 OSD 크기를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S363).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OSD를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한다(S366).
그리고, 3차원 TV(100)는 이와 같은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번갈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3차원 TV(100)는 OSD의 크기를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OSD를 축소하여 생성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에도 OSD가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OSD 제공방법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에 대해,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1010)가 좌우분할 방식이므로,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OSD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이 좌안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영역에 포함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10)의 좌안 영상 데이터에 축소된 OSD를 삽입한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1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14)과 우안 영상(101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014)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14)과 우안 영상(101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1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좌안 영상(1014)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014)과 우안 영상(101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01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102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2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24)과 우안 영상(102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우안 영상(1026)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24)과 우안 영상(102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2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우안 영상(1026)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024)과 우안 영상(102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02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103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3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34)과 우안 영상(103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034) 및 우안 영상(1036)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34)과 우안 영상(103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38)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 데이터(10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가로 방향을 축소하여 생성함으로써, 3차원 화면에서 정상적인 OSD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0b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4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4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1040)가 상하분할 방식이므로,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OSD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이 좌안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0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40)의 좌안 영상 데이터에 축소된 OSD를 삽입한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4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44)과 우안 영상(104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044)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44)과 우안 영상(104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4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좌안 영상(1044)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044)과 우안 영상(104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04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105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5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54)과 우안 영상(105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우안 영상(1056)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54)과 우안 영상(105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5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우안 영상(1056)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054)과 우안 영상(105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05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106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6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64)과 우안 영상(106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064) 및 우안 영상(1066)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64)과 우안 영상(106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68)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 데이터(104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세로 방향을 축소하여 생성함으로써, 3차원 화면에서 정상적인 OSD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0c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60)가 2D+depth 방식인 경우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70)는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1070)가 2D+depth 방식이므로,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OSD는 OSD에 해당하는 영상영역이 2차원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영역에 포함되도록 축소된다.
도 10c의 경우는 가로방향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도면부호 10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1070)의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축소된 OSD를 삽입한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2차원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072)를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로 분류하고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074)과 우안 영상(107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074) 및 우안 영상(1076)에 정상적인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074)과 우안 영상(107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1078)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TV(100)는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에 정상적인 OSD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OSD 제공방법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OSD를 가로, 세로 방향 모두 절반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방법에 따르면, 일단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10). 3차원 TV(10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한다(S420). 또 한, 3차원 TV(100)는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하지 않더라도,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크기로 OSD를 축소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3차원 TV(10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한다(S430).
그리고, 3차원 TV(100)는 이와 같은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번갈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TV(100)는 가로크기 및 세로크기를 모두 축소하여 OSD를 생성함으로써,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에 OSD가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OSD 제공방법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에 대해,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3차원 영상 데이터(11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가로, 세로가 모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 터(11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1110)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한다. 하지만, OSD 삽입부(139)는 좌측 상단 영역 이외에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생성된 OSD를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11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114)과 우안 영상(111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114)에 세로 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114)과 우안 영상(111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세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표시된 3차원 화면(111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좌안 영상(1114)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114)과 우안 영상(111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118)과 같이 세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11b는 3차원 영상 데이터(112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가로, 세로가 모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12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1120)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한다. 하지만, OSD 삽입부(139)는 좌측 상단 영역 이외에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생성된 OSD를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12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좌안 영상(1124)과 우안 영상(112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좌안 영상(1124)에 가로 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안 영상(1124)과 우안 영상(1126)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가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표시된 3차원 화면(112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좌안 영상(1124)이 표시될 때만 OSD가 표시되지만, 좌안 영상(1124)과 우안 영상(1126)이 번갈아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1128)과 같이 가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인지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에 OSD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비록, 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표시되지만,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OSD를 OSD가 잘리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고하여, OSD 제공방법에 대한 세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 후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10). 그리고,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S520). 여기에서,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각각을 한 화면의 크기가 되도록 확대 또는 보간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3차원 TV(100)는 화면에 표시될 OSD를 생성한다(S530). 그리고,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S540).
즉,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3차원 TV(10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화면 크기로 확대 또는 보간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 에,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한다. 따라서, OSD를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원래의 크기로 삽입하더라도, 3차원 TV(100)는 OSD를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 후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3차원 TV(100)의 A/V 처리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V 처리부(130)는 도 2의 A/V 처리부(1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만을 설명한다.
도 2의 A/V 처리부(130)는 OSD 삽입부(139)가 영상 처리부(134)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에 OSD를 삽입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반면, 도 6의 A/V 처리부(130)는 OSD 삽입부(139)가 3차원 구현부(136)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구조를 가진 A/V 처리부(130)는 도 5의 방법을 통해 3차원 영상에 OSD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5의 세번째 실시예에 대해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OSD를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3차원 영상 데이터(12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 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1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각각 가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좌안 영상(1212) 및 우안 영상(121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1212) 및 우안 영상(121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좌안영상(1216) 및 OSD가 삽입된 우안영상(1218)이 만들어진다.
OSD가 포함된 좌안 영상(1216)과 OSD가 포함된 우안 영상(1218)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정상적인 OSD 메뉴가 표시된 3차원 화면(1219)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12b는 3차원 영상 데이터(122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2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2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 이터를 각각 세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좌안 영상(1222) 및 우안 영상(122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1222) 및 우안 영상(122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좌안영상(1226) 및 OSD가 삽입된 우안영상(1228)이 만들어진다.
OSD가 포함된 좌안 영상(1226)과 OSD가 포함된 우안 영상(1228)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정상적인 OSD 메뉴가 표시된 3차원 화면(1229)을 인지하게 된다.
도 12c는 3차원 영상 데이터(1230)가 2D+depth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30)는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30)를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로 분리하고,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도를 표현함으로써, 한 화면 크기의 좌안 영상(1232) 및 우안 영상(123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1232) 및 우안 영상(1234)에 삽 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좌안 영상(1236) 및 OSD가 삽입된 우안 영상(1238)이 만들어진다.
OSD가 포함된 좌안 영상(1236)과 OSD가 포함된 우안 영상(1238)을 3차원 TV(100)가 번갈아 표시하면, 사용자는 정상적인 OSD 메뉴가 표시된 3차원 화면(1239)을 인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TV(100)는 3차원 구현을 통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한다. 따라서,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해 OSD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고하여, OSD 제공방법에 대한 네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영상 표시모드에서 OSD가 활성화된 경우,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동작한다(S710).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3차원 TV(100)는 OSD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OSD가 활성화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OSD 표시요청 명령을 입력한 경우 등이 해당된 다.
OSD가 활성화된 경우(S720-Y), 3차원 TV(100)는 모드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한다(S730). 그리고, 3차원 TV(100)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의 OSD를 생성한다(S740). 그 후에, 3차원 TV(10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OSD를 삽입한다(S750).
그 다음, 3차원 TV(100)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표시하게 된다(S760). 3차원 TV(100)가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TV(100)는 3차원 구현부(136)를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3차원 TV(100)가 2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이를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지 않고,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함께 포함된 상태 그대로의 프레임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OSD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OSD는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7의 네번째 실시예에 대해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 OSD가 활성화되면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3차원 영상 데이터(13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OSD가 활성화된 경우,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13)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3차원 TV(100)의 모드를 3차원 영상표시 모드에서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한다.
3차원 TV(100)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13)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따라서, 3차원 화면(1316)은 도면부호 13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형태 그대로 좌우가 분할된 상태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반면, OSD는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도 13b는 3차원 영상 데이터(132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2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OSD가 활성화된 경우,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23)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3차원 TV(100)의 모드를 3차원 영상표시 모드에서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한다.
3차원 TV(100)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23)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따라서, 3차원 화면(1326)은 도면부호 13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형태 그대로 상하가 분할된 상태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반면, OSD는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도 13c는 3차원 영상 데이터(1330)가 2D+depth 방식인 경우에,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30)는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가 3차원 영상 표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OSD가 활성화된 경우,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33)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3차원 TV(100)의 모드를 3차원 영상표시 모드에서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한다.
3차원 TV(100)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1333)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따라서, 3차원 화면(1336)은 도면부호 13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형태 그대로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반면, OSD는 잘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3차원 영상은 비정상적으로 표시된다. 하지만, OSD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는 OSD에 집중하게 되어, 배경화면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여부를 신경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OSD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3, 도 4, 도 5 및 도 7의 4가지 OSD 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3차원 TV(100)가 안경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비안경식 등의 3차원 영상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안경식 이외에도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기기라면 어떤 형태의 3차원 영상기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3차원 영상기기는 3차원 TV(10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3차원 영상 데이터에 OSD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HD-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등의 미디어 플레이어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DVD 플레이어 등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3차원 영상기기에 적용되는 경우는,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 및 두번째 실시예 및 네번째 실시예를 적용하여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현하여, OSD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기기는 OSD 생성부(1410) 및 OSD 삽입부(1420)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1410)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한다. 그리고, OSD 삽입부(1420)는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차원 영상기기는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한다(S1510). 그리고,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한다(S1520).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기기는 OSD 생성부(1610), OSD 삽입부(1620) 및 3차원 구현부(1630)를 포함한다.
3차원 구현부(1630)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610)는 OSD를 생성한다. 또한, OSD 삽입부(1620)는 생성된 OSD를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차원 영상기기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 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S1710). 그리고, 3차원 영상기기는 OSD를 생성한다(S1720). 그리고, 3차원 영상기기는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한다(S1730).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OSD 생성부(1810)는 OSD를 생성한다. 그리고, OSD 삽입부(1820)는 입력된 3차원 영상에 OSD를 삽입한다. 또한, 제어부(1830)는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이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3차원 영상기기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한다(S1910). 그리고, 3차원 영상기기는 OSD를 생성한다(S1920). 그 다음, 3차원 영상기기는 입력된 3차원 영상에 OSD를 삽입한다(S1930). 그 후에, 3차원 영상기기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을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한다(S1940).
이하에서는 도 20a 내지 도 22c를 참고하여,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될 때, 3차원 구현부(136)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136)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경우,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는 3차원 영상 데이터(20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a는 도 10a와 달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2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2010)가 좌우분할 방식이므로,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OSD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이 좌안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영역에 포함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2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2010)의 좌안 영상 데이터에 축소된 OSD를 삽입한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1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좌안 영상(2014, 2016)을 생성한다.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014, 201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1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 우, 도 10a의 경우와 달리, 도 20a는 2개의 좌안 영상(2014, 201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1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영상 데이터(2010)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력되며, 2개의 좌안 영상(2014, 2016)은 120Hz의 프레임 레이트(화면 표시 주파수)로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는 OSD가 삽입된 동일한 좌안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실시 예에 있어서, 한 개의 좌안 영상(2014)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한번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부호 202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2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우안 영상(2024, 2026)을 생성한다.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우안 영상(2024, 202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2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a의 경우와 달리, 도 20a는 2개의 우안 영상(2024, 202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2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203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3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좌안 영상(2034, 2036)을 생성한다. 또한, 3차원 구현부(136)는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우안 영상(2044, 2046)을 생성할 수도 있다.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거나, 우안 영상만 두 번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034, 203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3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a의 경우와 달리, 도 20a는 2개의 좌안 영상(2034, 203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3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2개의 우안 영상(2044, 204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4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a의 경우와 달리, 도 20a는 2개의 우안 영상(2044, 204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4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 데이터(20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가로 방향을 축소하여 생성함으로써, 3차원 화면에서 정상적인 OSD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좌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고, 우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함으로써, 도 10a의 경우와 달리,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0b는 3차원 영상 데이터(205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b는 도 10b와 달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5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영상 데이터(2050)가 상하분할 방식이므로,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이 좌안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도록, OSD를 세로방향으로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20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2050)의 좌안 영상 데이터에 축소된 OSD를 삽입한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5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2개의 좌안 영상(2054, 2056)을 생성 한다.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054, 205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5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b의 경우와 달리, 도 20b는 2개의 좌안 영상(2054, 205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5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206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6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우안 영상(2064, 2066)을 생성한다.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우안 영상(2064, 206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6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b의 경우와 달리, 도 20b는 2개의 좌안 영상(2064, 206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6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2072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축소된 OSD를 좌안 영상 데 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07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좌안 영상(2074, 2076)을 생성한다. 또한, 3차원 구현부(136)는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우안 영상(2084, 2086)을 생성할 수도 있다.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에 모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 영상을 두 개 생성하거나, 우안 영상만 두 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074, 207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7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b의 경우와 달리, 도 20b는 2개의 좌안 영상(2074, 207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7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2개의 우안 영상(2084, 208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08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b의 경우와 달리, 도 20b는 2개의 우안 영상(2084, 208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088)과 같이 정상적인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 데이터(205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 OSD의 세로 방향을 축소하여 생성함으로써, 3차원 화면에서 정상적인 OSD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좌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고, 우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함으로써, 도 10b의 경우와 달리,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1a 및 도 21b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136)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생성하도록 구현된 경우,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3차원 영상 데이터(21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가로, 세로가 모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도 11a와 달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1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2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2110)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한다. 하지만, OSD 삽입부(139)는 좌측 상단 영역 이외에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 영역 중 어 느 하나에 생성된 OSD를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11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가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좌안 영상(2114, 211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좌안 영상(2114, 2116)에 세로 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114, 211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11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1a의 경우와 달리, 도 21a는 2개의 좌안 영상(2114, 211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118)과 같이 세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21b는 3차원 영상 데이터(212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가로, 세로가 모두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12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OSD 생성부(138)는 OSD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축소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2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삽입부(139)는 3차원 영상 데이터(2120)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 하였을 때 좌측 상단에 위치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생성된 OSD를 삽입한다. 하지만, OSD 삽입 부(139)는 좌측 상단 영역 이외에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생성된 OSD를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 3차원 구현부(136)는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2122)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고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의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좌안 영상(2124, 2126)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좌안 영상(2124, 2216)에는 가로 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좌안 영상(2124, 2126)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18)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1b의 경우와 달리, 도 21b는 2개의 좌안 영상(2124, 2126)이 계속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화면(2128)과 같이 가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가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에 OSD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비록, 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이 1/2로 축소된 OSD 메뉴가 표시되지만,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OSD를 OSD가 잘리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좌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하고, 우안 영상에만 OSD가 포함된 경우 3차원 구현부(136)는 우안 영상만 두 번 생성함으로써, 도 11a 또는 도 11b의 경우와 달리,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2a 내지 도 22c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136)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도록 구현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OSD를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는 3차원 영상 데이터(2210)가 좌우분할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두 개의 좌안 영상 또는 두 개의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도 12a와 달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10)는 좌-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1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를 가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좌안 영상(2212, 221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좌안 영상(2212, 221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좌안영상(2216, 221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좌안 영상(2216, 221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19)을 인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영상 데이터(2210)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력되며, 2개의 좌안 영상(2216, 2218)은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는 OSD가 삽입된 동일한 좌안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실시 예에 있어서, 한 개의 좌안 영상(2216)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한 번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1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우안 영상 데이터를 가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우안 영상(2222, 2224)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우안 영상(2222, 222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우안영상(2226, 222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우안 영상(2226, 222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29)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22b는 3차원 영상 데이터(2230)가 상하분할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두 개의 좌안 영상 또는 두 개의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도 12b와 달 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할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30)는 상-데이터 영역에 좌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하-데이터 영역에 우안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3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를 세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좌안 영상(2232, 223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좌안 영상(2232, 223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좌안 영상(2236, 223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좌안 영상(2236, 223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39)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30)를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고, 우안 영상 데이터를 세로방향으로 확대 또는 보간하여,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우안 영상(2242, 224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우안 영상(2242, 2244)에 삽입한 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우안 영상(2246, 224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우안 영상(2246, 224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49)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22c는 3차원 영상 데이터(2250)가 2D+depth 방식인 경우에, 3차원 구현으로 생성된 두 개의 좌안 영상 또는 두 개의 우안 영상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c는 도 12c와 달리 3차원 구현부(136)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depth 방식의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1230)는 좌-데이터 영역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우-데이터 영역에 심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50)를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로 분리하고,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도를 표현함으로써,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좌안 영상(2252, 2254)을 생성한다.
그리고,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좌안 영상(2252, 225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좌안 영상(2256, 225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좌안 영상(2256, 225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59)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3차원 TV(100)의 3차원 구현부(136)는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2250)를 2차원 영상 데이터와 심도 데이터로 분리하고,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심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도를 표현함으로써, 한 화면 크기의 두 개의 우안 영상(2262, 2264)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OSD 생성부(138)는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크기 그대로 OSD를 생성하고, OSD 삽입부(139)는 생성된 OSD를 두 개의 우안 영상(2262, 2264)에 삽입한다. 이 과정을 거쳐, OSD가 삽입된 두 개의 우안 영상(2266, 2268)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OSD가 포함된 2개의 우안 영상(2266, 2268)을 3차원 TV(100)가 계속 표시하면, 사용자는 OSD 메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 3차원 화면(2269)을 인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TV(100)는 3차원 구현을 통해 두 개의 좌안 영상 또는 두 개의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OSD를 삽입한다. 따라서,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해 OSD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원 구현부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에 OS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S2310). 3차원 TV(100)는 OSD 삽입부(139)에 의해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에 OS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차원 영상에 OSD가 존재하는 경우(S2310-Y),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모두에 OSD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20).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모두에 OSD 메뉴가 존재하는 경우(S2320-Y),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두번씩 생성한다(S2323),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두 개의 좌안영상 또는 우안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2326).
반면, 좌안영상 데이터에 OSD가 존재하는 경우(S2330-Y),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을 두 번씩 생성한다(S2333).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두개의 좌안 영상을 출력한다(S2336).
좌안영상 데이터에도 OS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330-N), OSD는 우안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이다(S2340). 따라서, 3차원 TV(100)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을 두 번씩 생성한다(S2343). 그리고, 3차원 TV(100)는 생성된 두개의 우안 영상을 출력한다(S234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3차원 TV(100)는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3차원 영상에 OS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310-N), 3차원 TV(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고(S2350),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출력한다(S2353). 이를 통해, OS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차원 TV(100)는 3차원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지금까지, 도 20a 내지 도 23를 참고하여,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될 때, 3차원 구현부(136)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3차원 TV(100)는 OSD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TV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TV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 또는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의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D를 가로, 세로 방향 모두 절반으로 축소하여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 후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 후에 OSD를 생성 및 삽입하는 3차원 TV의 A/V 처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모드에서 OSD가 활성화된 경우,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는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3차원 영상에 OSD가 삽입된 경우, OSD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OSD를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 OSD가 활성화되면 2차원 영상 표시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경우, 축소된 OSD를 생성 및 삽 입하여 OSD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생성하도록 구현된 경우, OSD의 가로, 세로를 모두 축소하여 생성 및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현부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두 번 생성하도록 구현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한 후에 OSD를 삽입하는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원 구현부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도록 구현된 OSD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3차원 TV 110 : 방송수신부
120 : A/V 인터페이스 130 : A/V 처리부
132 : 음성처리부 134 : 영상처리부
136 : 3차원 구현부 138 : OSD 생성부
139 : OSD 삽입부 140 : 음성 출력부
150 : 영상 출력부 160 : 제어부
170 : 저장부 180 : 리모콘 수신부
185 : 리모콘 190 : 안경
195 : 안경신호 송수신부

Claims (30)

  1.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OSD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프레임 데이터 영역의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depth) 데이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크기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부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하였을 때 등분된 네 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상기 생성된 OSD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10.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에 있어서,
    3차원 영상에 표시될 OSD를 생성하는 경우, 2차원 영상에 표시되는 OSD보다 축소된 OS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SD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 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의 영상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OSD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좌우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좌-데이터 영역 및 우-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상하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상-데이터 영역 및 하-데이터 영역에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세로방향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데이터 및 심도(depth)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OSD의 크기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축소하여 상기 OS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단계는,
    상기 OSD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축소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단계는,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영역 중 화면을 4등분하였을 때 등분된 네 영역 중 하나의 화면영역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영역에 상기 생성된 OSD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19.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기기.
  20.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OS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SD 제공방법.
  21.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 있어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입력된 3차원 영상에 상기 OSD를 삽입하는 OSD 삽입부; 및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이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기기.
  22.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의 OSD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기기가 3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OS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기기를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OSD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된 3차원 영상에 상기 OSD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OSD가 삽입된 3차원 영상을 2차원 영상표시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SD 제공방법.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및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현부는,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우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현부는,
    상기 OSD 삽입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좌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우안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우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단계는,
    좌안 영상 대신 상기 생성된 우안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29.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 있어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상기 OSD가 생성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3차원 구현부;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삽입하는 OSD 삽입부; 및
    상기 OSD가 삽입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기기.
  30.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영상기기에서 OSD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OS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SD가 생성된 경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OSD를 상기 생성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OSD가 삽입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당 1회 출력하거나 상기 3차원 영상기기의 화면 표시 주파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제공방법.
KR1020090051037A 2008-08-20 2009-06-09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KR10156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161450.8A CN101656890B (zh) 2008-08-20 2009-07-31 三维视频设备及应用到该设备的提供同屏显示的方法
US12/535,138 US20100045779A1 (en) 2008-08-20 2009-08-04 Three-dimens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on screen display appli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376 2008-08-20
KR20080081376 200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911A true KR20100022911A (ko) 2010-03-03
KR101569150B1 KR101569150B1 (ko) 2015-11-30

Family

ID=4169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37A KR101569150B1 (ko) 2008-08-20 2009-06-09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24870B2 (ko)
KR (1) KR101569150B1 (ko)
CN (1) CN101656890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68A (ko) * 2010-03-25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채널 편집윈도우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218815B1 (ko) * 2010-08-26 2013-01-21 주식회사 티스마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KR101275542B1 (ko) * 2010-04-16 2013-06-20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 화상표시장치 및 3차원 화상표시방법
WO2014042299A1 (en) * 2012-09-14 2014-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 content on 3-dimensional display
KR101435594B1 (ko) * 2010-05-3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130206A (ko) * 2017-05-29 2018-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859A (ko) * 2008-12-05 201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2940A (ko) *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방법 및 수신 시스템
JP5469911B2 (ja) * 2009-04-22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の送信方法
EP2425631B1 (en) * 2009-04-27 2015-05-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1008821A1 (en) * 2009-07-15 2011-01-20 Home Box Office, Inc. Identification of 3d format and graphics rendering on 3d displays
JP4740364B2 (ja) * 2009-09-29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三次元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38522B2 (ja) * 2009-10-14 2011-08-03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20110057629A (ko) * 2009-11-24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9491432B2 (en) * 2010-01-27 2016-11-08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output satisfying display capability of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ideo input and related method thereof
JP5526929B2 (ja) * 2010-03-30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255003A1 (en) * 2010-04-16 2011-10-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on-screen graphics in a frame-compatible 3d format
US9118896B2 (en) 2010-04-21 2015-08-25 Hitachi Maxell, Ltd. Digital contents receiver, digital contents receiving method and digital content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JP2011244218A (ja) * 2010-05-18 2011-12-01 Sony Corp 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102281452A (zh) * 2010-06-13 2011-12-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3d电视上改变菜单会聚位置的方法
KR20110139497A (ko) * 2010-06-23 201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2300105B (zh) * 2010-06-25 2013-12-2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将2d内容转换成3d内容的方法
CN102300104A (zh) * 2010-06-25 2011-12-2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3d电视机及其菜单处理的方法
JP5609336B2 (ja) 2010-07-07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画像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CN102340675B (zh) * 2010-07-14 2013-11-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2d/3d转换装置及其实现方法
CN101895706A (zh) * 2010-07-16 2010-11-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在3d模式下显示用户界面的方法
CN101917639A (zh) * 2010-07-23 2010-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生成立体图像的方法及系统
US9681117B2 (en) 2010-10-28 2017-06-13 Lg Electronics Inc.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three-dimensional broadcast signal in a mobile environment
JP2012114896A (ja) * 2010-11-04 2012-06-14 Panasonic Corp 3d撮像装置及び3d再生装置
CN102469319A (zh) * 2010-11-10 2012-05-23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三维菜单生成方法及三维显示装置
KR101285098B1 (ko) * 2010-11-19 2013-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의 화질 측정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화질 분석 방법
JP2012205285A (ja) * 2011-03-28 2012-10-22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CN102186092A (zh) * 2011-04-26 2011-09-1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在3d显示模式下实现2d菜单显示的方法、系统及显示器
JP5862112B2 (ja) * 2011-08-24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328846B1 (ko) * 2011-12-06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73344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3108295A1 (ja) * 2012-01-20 2013-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9571864B2 (en) * 2012-03-30 2017-02-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edia quality control
JP2013251593A (ja) * 2012-05-30 2013-12-1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2938846B (zh) * 2012-08-28 2016-04-0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同屏显示的立体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2932663B (zh) * 2012-10-10 2015-09-0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方法、系统及立体显示设备
US11237695B2 (en) * 2012-10-12 2022-02-01 Sling Media L.L.C. EPG menu with a projected 3D image
US9860515B2 (en) * 2012-12-11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3D content broadcasting with boundary information
US9483111B2 (en) 2013-03-14 2016-11-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viewing comfort for three-dimensional content
TWI602145B (zh) 2013-10-02 2017-10-11 國立成功大學 包裝圖框之解包裝方法、裝置及系統
KR101679122B1 (ko) * 2013-10-02 2016-11-23 내셔날 쳉쿵 유니버시티 컬러 프레임과 오리지널 심도 프레임을 패키징 및 언패키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I602144B (zh) * 2013-10-02 2017-10-11 國立成功大學 包裝彩色圖框及原始景深圖框之方法、裝置及系統
JP2015119464A (ja) * 2013-11-12 2015-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17101108A1 (en) * 2015-12-18 2017-06-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depth map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238B1 (en) * 1996-10-16 2002-11-12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KR100413870B1 (ko) 1996-10-16 2004-01-07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CN1124031C (zh) 1996-10-16 2003-10-08 汤姆森消费电子有限公司 采用场加倍产生屏幕显示消息的设备和方法
JPH1139135A (ja) * 1997-07-22 1999-02-12 Sanyo Electric Co Ltd カーソル表示装置
JP2002091643A (ja) 2000-09-12 2002-03-29 Canon Inc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JP3673217B2 (ja) * 2001-12-20 2005-07-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EP1657921A4 (en) * 2003-09-19 200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SD DISPLAY INSERT CIRCUIT
JP2005184705A (ja) * 2003-12-24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合成装置
KR100676898B1 (ko) 2005-07-08 2007-02-01 주식회사 피앤조이 3차원 영상 및 2차원 영상의 자동 변환 표시방법
KR100750670B1 (ko) 2005-09-01 2007-08-20 주식회사 피앤조이 3차원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방법
US20070136681A1 (en) * 2005-12-08 2007-06-14 Syntax Brillian Corp. On-screen display for configuring a display apparatus using graphic icons
KR20070089305A (ko)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서울테크밸리 입체영상 전송 및 재생 방법
US8487982B2 (en) * 2007-06-07 2013-07-16 Reald Inc. Stereoplexing for film and video applicatio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68A (ko) * 2010-03-25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채널 편집윈도우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275542B1 (ko) * 2010-04-16 2013-06-20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 화상표시장치 및 3차원 화상표시방법
US9204126B2 (en) 2010-04-16 2015-12-01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 menu in three-dimensional image
KR101435594B1 (ko) * 2010-05-3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930838B2 (en) 2010-05-31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218815B1 (ko) * 2010-08-26 2013-01-21 주식회사 티스마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WO2014042299A1 (en) * 2012-09-14 2014-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 content on 3-dimensional display
KR20180130206A (ko) * 2017-05-29 2018-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6890B (zh) 2015-07-15
KR101569150B1 (ko) 2015-11-30
US20100045780A1 (en) 2010-02-25
CN101656890A (zh) 2010-02-24
US9124870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150B1 (ko)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US20100045779A1 (en) Three-dimens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on screen display applied thereto
EP2456217B1 (en)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44848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観察用眼鏡、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445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US20110149052A1 (en) 3d imag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CN102802011A (zh) 双视显示方法和显示设备
KR20120020477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668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20110134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 image
US2011013422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image thereof
US20120098831A1 (en) 3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image
EP24212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on screen display (OSD) thereto
KR101768538B1 (ko) 3d 영상 화질 조정 방법, 3d 디스플레이 장치, 3d 안경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US20110310222A1 (en) Image distribu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tributing method thereof
KR101713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101620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30019273A (ko) 3d 영상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2983A (ko) 3d 영상의 입체감 조절 요소를 설정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US95479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100579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3d 영상 제공 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79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변환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6773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