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815B1 -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 Google Patents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815B1
KR101218815B1 KR1020100083094A KR20100083094A KR101218815B1 KR 101218815 B1 KR101218815 B1 KR 101218815B1 KR 1020100083094 A KR1020100083094 A KR 1020100083094A KR 20100083094 A KR20100083094 A KR 20100083094A KR 101218815 B1 KR101218815 B1 KR 101218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interface object
image
display method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716A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스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to KR102010008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8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서 3D영상 처리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GUI 화면을 보정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EPG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참조하여 재생할 영상의 표시방식을 판단한 뒤, 판단결과에 따라 재생할 영상이 3D방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EPG 정보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UI를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서, 셋탑박스가 수신한 3D 영상 콘텐츠의 재생시,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UI를 왜곡없이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3D user interface processing method and set-top bo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서 3D영상 처리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GUI 화면을 보정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2D 영상 콘텐츠와는 달리 3D 입체 영상 콘텐츠는 인간의 특성인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한 것으로서, 전술한 양안시차는 인간이 동일 물체를 볼 때 우안과 좌안을 통해 서로 다른 영상을 보는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2가지의 영상을 뇌에서 하나의 입체영상으로 인지하는 특성을 말한다.
도 1은 인간의 양안시차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3D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지된 3D 입체영상 구성방식으로는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 나란히 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구성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방식과, 전술한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을 상하로 배열하여 영상을 구성하는 탑-버텀(top-bottom) 방식과, 수평 또는 수직라인으로 하나의 행 또는 열씩 교대로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을 섞어 하나의 스트림으로 구성하는 수평비월주사 (horizontal interlaced scanning) 방식 및 수직비월주사(vertical interlaced scanning)방식과, 각 영상(R,L)을 바둑판의 모자이크 형태로 섞는 체커-보드(checker-board pattern) 방식 등이 있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구성된 동영상을 보는 시청자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동시에 인지함으로서 특정 영상 콘텐츠를 3D방식으로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3D 영상수신 및 재생을 위한 셋탑박스(settop box)는 영상 처리시 하나의 화면에 3D 영상이외에도 시청자를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사용자 메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객체를 표시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셋탑박스는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재생을 위한 영상이외에도 EPG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EPG 정보를 표시장치에 제공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UI객체를 통해 셋탑박스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송 채널 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기타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는 영상이외에도 사용자의 입력이나 이벤트 등의 정보가 발생되면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는 기존의 2D 영상 콘텐츠 뿐만 아니라, 3D 영상 콘텐츠의 재생시에도 동일하게 제공하며, 3D 영상 콘텐츠는 2D 영상 콘텐츠와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어 동일 화면상에 동시에 재생시에는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3D 영상과 동시에 표시되는 UI 객체의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방식의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에 의해 실제 구현되는 화면은 (a)와 같이 2D 방식인 UI가 3D 영상내에서 일측에만 표시되며, 시청자가 실제 시청하는 경우, (b)와 같이 양쪽으로 늘어진 형태로 왜곡되어 인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서 3D 영상 처리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UI객체의 왜곡을 보정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D 영상 재생시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UI객체의 입체감을 구현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a) EP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EPG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할 영상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판단결과, 상기 영상이 3D방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3D 컴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폭을 w, 2D 표시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2)의 X,Y 좌표값을 x,y, 3D 표시방식의 좌안용 및 우안용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각각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3)을 각각 (X1,Y1), (X2, Y2)라 할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입체정도(Depth n)는 이하의 수학식 1,
Depth n, X1 = x/2 - n
X2 = w/2 + x/2 + n
(단, n은 0을 포함하는 정수, w,x 는 0보다 큰 자연수)
을 만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상기 n값이 1보다 클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커지고, 상기 n값이 1보다 작을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단계 (c)는, 3D 폰트엔진을 통해 변환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의 가로폭을 1/2 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표시방식은,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방식, 탑-버텀(top-bottom)방식, 수평비월주사(horizontal inderlaced scanning)방식, 수직비월주사방식(vertical interaced scanning) 방식 또는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한 셋탑박스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영상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조 및 필터링하여, 영상과 EPG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분석모듈; 상기 EPG 정보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표시방식을 판단하여 3D방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경 및 제공하는 UI처리모듈; 및, 상기 영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재생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UI 처리모듈은, 상기 EPG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할 영상신호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EPG 분석부; 상기 EPG 분석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3D 컴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API 호출부; 및, 상기 API 호출부가 변환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상기 영상처리모듈에 제공하는 UI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API 호출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3D 컴포넌트의 API를 제공하는 시스템 모듈을 더 포함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폭을 w, 2D 표시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2)의 X,Y 좌표값을 x,y, 3D 표시방식의 좌안용 및 우안용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각각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3)을 각각 (X1,Y1), (X2, Y2)라 할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입체정도(Depth n)는 이하의 수학식 1,
Depth n, X1 = x/2 - n
X2 = w/2 + x/2 + n
(단, n은 0을 포함하는 정수, w,x 는 0보다 큰 자연수)
을 만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상기 n값이 1보다 클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커지고, 상기 n값이 1보다 작을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시스템 모듈은, 상기 API 호출부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변환시, 2D 텍스트 폰트보다 가로폭이 1/2배인 3D 텍스트 폰트를 상기 API 호출부에 제공하는 폰트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EPG 정보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UI를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서, 셋탑박스가 수신한 3D 영상 콘텐츠의 재생시,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UI 객체를 왜곡없이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D 영상 뿐만 아니라 UI 객체에도 입체감을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의 양안시차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3D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3D 영상과 동시에 표시되는 UI 객체의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셋탑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3D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3D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의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정도 및 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요소간 신호의 흐름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셋탑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셋탑박스는, 콘텐츠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종 양방향 영상 콘텐츠 및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210)과, 수신한 영상 콘텐츠 및 관련 데이터를 복조 및 필터링하는 데이터 처리모듈(220)과, 복조 및 필터링된 영상 콘텐츠 및, UI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재생하는 영상처리모듈(230)과,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표시방식의 UI를 제공하는 UI 처리모듈(250)과, 셋탑박스 장치 전체를 제어 및 운용하는 시스템 모듈(270)을 포함한다.
먼저, 전술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상의 콘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2D 또는 3D 방식의 영상 및 음성신호 등 각종 방송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공급받아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의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압축 및 다중화하고 송출을 위해 패킷화하는 압축 다중화 시스템과,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리턴패스 시스템과, 영상 및 음성신호의 불법 유출을 막기 위한 보안시스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3D방식 영상 콘텐츠의 제공을 위해,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을 각각 인코딩하고 다중화하여 전송스트림(TS) 형태로 변조하여 각 셋탑박스(200)에 제공하여야 하며, 각 셋탑박스(200)는 전송스트림(TS)에 포함된 PMT 신호를 참조하여 이를 복조 및 필터링과정을 거치고 이를 디코딩하여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셋탑박스(200)는 각 서비스 가입자에게 배포되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양방향 콘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콘텐츠의 표시방식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기기이다. 이를 위해, 셋탑박스(200)는 전술한, 통신모듈(210), 데이터 처리모듈(220), 영상처리모듈(230), UI처리모듈(250) 및 시스템 모듈(270)로 구성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각 모듈 중 일부는 시스템 모듈(27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셋탑박스(200)의 통신모듈(2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정보통신망을 통해 양방향 영상 콘텐츠, EPG 정보 및 기타 서비스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또한, 이러한 통신모듈(210)은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장치, 예컨대 리모트 콘트롤러와 무선연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통신모듈이 수신한 영상 콘텐츠, EPG 정보 및 기타 서비스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복조 및 필터링하여 각 데이터를 분류하고, EPG 정보를 UI 처리모듈(250)의 EPG분석부(252)에 제공하며, 영상 콘텐츠를 영상처리모듈(23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영상처리모듈(230)은 데이터 처리모듈(220)이 복조 및 필터링한 영상 콘텐츠를 해당 포맷에 대응하는 코덱을 통해 디코딩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처리모듈(220)은 통상의 AVI, MPEG2, MPEG4, WMV, H.264 및 DIVX 등의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 파일을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UI 처리모듈(250)은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표시방식의 UI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복조 및 필터링한 콘텐츠 관련 데이터 중, 특히 EPG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UI 처리모듈(250)에 제공하고, UI 처리모듈(250)은 이 EPG 정보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이 2D 또는 3D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 판단한다. 이후 판단결과에 따라 영상 콘텐츠가 3D 방식인 경우, UI 처리모듈(250)은 통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2D 방식의 UI를 시스템 모듈(270)에 탑재되는 3D UI 컨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UI를 3D방식으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D 변환된 UI객체를 영상처리모듈(23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표시한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UI처리모듈(250)은 EPG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해당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EPG 분석부(252)와, EPG 분석부(252)의 판단결과에 따라, UI 컴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UI객체의 표시방식을 변환하는 API 호출부(255)와, API 호출부(255)에 의해 변환된 UI객체를 영상처리모듈(230)에 제공하는 UI제공부(258)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200)는 장치 전체를 제어 및 운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모듈(270)을 포함하며, 이러한 시스템 모듈(270)은 통상적인 오퍼레이팅 시스템(OS)(272), 미들웨어(274), 2D UI 컴포넌트(276) 및, 3D UI 컴포넌트(278)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스템 모듈(270)은 2D 텍스트 폰트보다 가로폭이 1/2배인 3D 텍스트 폰트를 제공하는 폰트엔진(font engin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폰트엔진은 API 호출부에 의해 UI 객체의 변환시 UI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를 3D 방식에 적합한 폰트로 대체하도록 지원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처리방법을 이용하는 셋탑박스는 3D방식 영상 콘텐츠 재생시,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에 대응하여 UI객체를 변환함으로서 왜곡없는 정상적인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EPG 정보 수신단계(S310), 표시방법 판단단계(S320), 3D 컴포넌트 호출 및 변환단계(S325) 및 UI객체 제공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EPG 정보 수신단계(S310)는, UI 제공모듈의 EPG 분석부가 셋탑박스가 수신하고 복조 및 필터링한 EPG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이다.
표시방법 판단단계(S320)는, EPG 분석부가 제공된 EPG 정보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재생할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현재 재생할 영상 콘텐츠가 2D 방식으로 판단되면 API 호출부(255)는 기존 설정된 2D UI객체를 호출하고, 또한 해당 영상 콘텐츠가 3D 방식으로 판단되면 3D UI 콤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기존 설정된 2D UI객체를 3D 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25).
이후의 UI 객체 제공단계(S330)는, UI 제공부가 S320 단계 또는 S325 단계에 따라 호출된 2D 또는 3D방식 UI객체를 영상처리모듈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기존의 UI객체는 통상적으로 2D 방식의 텍스트형태이나, 3D 방식으로 변환시, 텍스트에 입체감을 주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UI 객체의 텍스트를 처리하는 폰트 엔진은 시스템 모듈의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내장되거나 UI객체 컴포넌트에 포함되며, UI 객체의 3D 변환시에 전술한 폰트엔진은 해당 텍스트를 3D 방식의 폰트로 대체한다. 전술한 3D 방식의 폰트는 기존의 정방형 2D 방식의 폰트와 스타일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가로폭이 2D 방식의 1/2 배이다.
도 6 및 도 7은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의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정도 및 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스크린을 기준(depth 0)으로 시청자가 인지하는 UI 객체의 가까워지거나(positive) 멀어지는(negative) 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입체정도(depth)에 따라, 시청자는 'depth n(n은 정수)'의 'n'값이 클수록 UI 객체가 가깝게 느끼며, 또한 'n'값이 작을 수록 시청자는 UI 객체가 멀게 느끼게 된다.
일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의 폭을 w, 변환전 2D UI객체를 이루는 하나의 점(V2)의 X,Y 좌표값이 각각 x,y라고 하고, 이에 대응한 변환후 좌안용 및 우안용 3D UI객체를 각각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3)을 각각 (X1,Y1), (X2, Y2)라 할 때,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Figure 112010055315712-pat00001
(단, n은 0을 포함하는 정수, w,x 는 0보다 큰 자연수)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라, 설정자는 'n'값을 조절하여 UI의 원하는 입체정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에 따라 왜곡없는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으며, 3D UI객체의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이루는 전체 구성요소간 신호의 흐름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요소간 신호의 흐름에 따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시스템(100)이 서비스 가입자의 셋탑박스에 영상 콘텐츠 및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면, 해당 셋탑박스의 통신모듈(210)이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모듈(220)에 제공한다(S401).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제공받은 영상 콘텐츠 및 관련 데이터를 복조 및 필터링하여 추출된 EPG 정보를 UI 처리모듈(250)의 EPG 분석부(252)에 제공하고(S410), 복조 및 필터링된 영상을 영상 제공모듈(230)에 제공한다(S415).
이에 따라, 영상제공모듈(23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타 영상표시 시기가 도래하면 영상을 재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이를 표시한다(S417). 또한, EPG 분석부(252)는 제공받은 EPG 정보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영상 콘텐츠의 표시방식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API 호출부(255)에 제공한다(S422). API 호출부(255)는 S422 단계의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시스템 모듈(270)의 2D 또는 3D UI 컴포넌트 API를 호출하고(S425), 시스템 모듈(270)은 API 호출결과를 제공한다(S427).
이후, API 호출결과를 제공받은 API 호출부(255)는 호출결과에 따른 UI객체를 UI제공부(258)에 영상처리모듈(230)로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UI제공부(258)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타 UI표시 시기가 도래하면, API 호출부(255)의 2D 또는 3D UI객체를 영상처리모듈(230)에 제공한다. 영상처리모듈(230)은 UI객체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화면상에 UI 객체를 표시하도록 한다.
전술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콘텐츠 제공시스템  200 : 셋탑박스
210 : 통신모듈 220 : 데이터 처리모듈
230 : 영상처리모듈 250 : UI 처리모듈
252 : EPG 분석부 255 : API 호출부
258 : UI 제공부 270 : 시스템모듈
272 : OS 274 : 미들웨어
276 : 2D UI 컴포넌트 278 : 3D UI 컴포넌트
30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9)

  1.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에 있어서,
    (a) EP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EPG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할 영상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판단결과, 상기 영상이 3D 방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3D 컴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폭을 w, 2D 표시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2)의 X,Y 좌표값을 x,y, 3D 표시방식의 좌안용 및 우안용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각각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3)을 각각 (X1,Y1), (X2, Y2)라 할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입체정도(Depth n)는 이하의 수학식 1,
    Depth n, X1 = x/2 - n
    X2 = w/2 + x/2 + n
    (단, n은 0을 포함하는 정수, w,x 는 0보다 큰 자연수)
    을 만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상기 n값이 1보다 클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커지고, 상기 n값이 1보다 작을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작아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3D 폰트엔진을 통해 변환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의 가로폭을 1/2 배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방식은,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방식, 탑-버텀(top-bottom)방식, 수평비월주사(horizontal inderlaced scanning)방식, 수직비월주사방식(vertical interaced scanning) 방식 또는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기재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한 셋탑박스로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영상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조 및 필터링하여, 영상과 EPG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분석모듈;
    상기 EPG 정보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표시방식을 판단하여 3D방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경 및 제공하는 UI처리모듈; 및,
    상기 영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재생하는 영상처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UI 처리모듈은,
    상기 EPG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할 영상신호의 표시방식을 판단하는 EPG 분석부;
    상기 EPG 분석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3D 컴포넌트의 API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3D 표시방식으로 변환하는 API 호출부; 및,
    상기 API 호출부가 변환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상기 영상처리모듈에 제공하는 UI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API 호출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3D 컴포넌트의 API를 제공하는 시스템 모듈
    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폭을 w, 2D 표시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2)의 X,Y 좌표값을 x,y, 3D 표시방식의 좌안용 및 우안용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각각 이루는 임의의 하나의 점(V3)을 각각 (X1,Y1), (X2, Y2)라 할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입체정도(Depth n)는 이하의 수학식 1,
    Depth n, X1 = x/2 - n
    X2 = w/2 + x/2 + n
    (단, n은 0을 포함하는 정수, w,x 는 0보다 큰 자연수)
    을 만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상기 n값이 1보다 클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커지고, 상기 n값이 1보다 작을수록 사용자 방향으로 작아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한 셋탑박스.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모듈은,
    상기 API 호출부에 의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변환시, 2D 텍스트 폰트보다 가로폭이 1/2배인 3D 텍스트 폰트를 상기 API 호출부에 제공하는 폰트엔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을 이용한 셋탑박스.

KR1020100083094A 2010-08-26 2010-08-26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KR101218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94A KR101218815B1 (ko) 2010-08-26 2010-08-26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94A KR101218815B1 (ko) 2010-08-26 2010-08-26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16A KR20120019716A (ko) 2012-03-07
KR101218815B1 true KR101218815B1 (ko) 2013-01-21

Family

ID=4612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094A KR101218815B1 (ko) 2010-08-26 2010-08-26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876A (ko) * 2015-05-08 2016-11-16 최해용 3d용 스마트폰 케이스 및 3d영상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31A (ko) *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비디오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22911A (ko) * 2008-08-20 201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31A (ko) *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비디오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22911A (ko) * 2008-08-20 201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16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948B1 (en) Stereoscopic video and audio recording method, stereoscopic video and audio reproducing method
CN102918847B (zh) 显示图像的方法和设备
CN105812771B (zh) 数字接收器以及在数字接收器中处理字幕数据的方法
US20100026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code and decode stereoscopic video data
EP2559257B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rebuilding a stereoscopic-compatible video stream and related coding and decoding devices
JP5870272B2 (ja) 映像処理装置
US9578298B2 (en) Method for decoding 2D-compatible stereoscopic video flows
TW201105105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over a video interface and for compositing 3D video and 3D overlays
KR20240007097A (ko) 동영상 전송 장치 및 동영상 재생 장치
US2013022940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JP5390016B2 (ja) 映像処理装置
KR101686168B1 (ko)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US20120162365A1 (en) Receiver
CN102413350A (zh) 蓝光3d视频处理方法
KR101218815B1 (ko)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셋탑박스
US9872008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transmission device,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for displaying text or graphics positioned over 3D video at varying depths/degrees
JP2012100181A (ja) 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1674688B1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입체영상 재생 방법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659623B1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Noor Multi-view with salient depth video via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technique
KR20110113475A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