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168B1 -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168B1
KR101686168B1 KR1020100060194A KR20100060194A KR101686168B1 KR 101686168 B1 KR101686168 B1 KR 101686168B1 KR 1020100060194 A KR1020100060194 A KR 1020100060194A KR 20100060194 A KR20100060194 A KR 20100060194A KR 101686168 B1 KR101686168 B1 KR 10168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ereoscopic
disparity
moving pictur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109A (ko
Inventor
천승문
최병호
신화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아이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아이,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to EP11798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87812A4/en
Priority to JP2013516491A priority patent/JP5629825B2/ja
Priority to PCT/KR2011/002983 priority patent/WO2011162474A2/ko
Priority to CN2011800407258A priority patent/CN103081478A/zh
Priority to US13/805,855 priority patent/US20130093843A1/en
Publication of KR2011010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Abstract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은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좌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를 구한다. 그리고 구한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생체 안정된 정보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Description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Method for constituting stereoscopic moving picture file}
본 발명은 동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stereoscopic moving picture file)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안식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이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이라고 한다)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각각 획득한 1쌍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말한다. 좌영상과 우영상은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한 것이지만, 시점(viewpoint)이 다르기 때문에 피사체의 표면 특성이나 광원의 위치 등에 따라서 이미지 정보에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동일 피사체에 대한 좌영상과 우영상의 이미지 정보의 차이를 디스패러티(disparity)라고 한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일반적으로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 획득한 한 쌍의 영상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모노스코픽 영상(monoscopic image)에 소정의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한 한 쌍의 좌우 영상도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입체감을 부여하는데 이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716142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방법"과 한국등록특허 제962696호, "부호화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 파일의 구성방법"에는,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정의함에 있어서 기존의 영상 코덱을 사용하는 것을 기초로 부호화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 파일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대한 파일 포맷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위 한국등록특허에서는 모노스코픽(2D) 영상과 스테레오스코픽(3D) 영상 간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부가 정보에 대한 정의와 함께 이 정보들을 담을 수 있는 파일 포맷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위 한국등록특허들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은 ISO/IEC 23000-11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포맷(Stereoscopic Video Application Format)이라는 MPEG의 국제 표준에 반영되었다.
최근 3D 영화가 크게 흥행에 성공함과 동시에 텔레비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3D를 지원하는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콘텐츠 시장에서는 전술한 국제 표준의 내용을 반영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압축, 저장, 전송, 및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화면의 해상도도 완전 해상도(full HD(High Definition)), 즉 1920x1080까지 다양한 해상도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파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형태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이나 프레임 시퀀셜 (frame sequential) 방식 등과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영상의 생체 안정성(image safety)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상의 생체 안정성이란 텔레비전, 비디오, 비디오 게임, 인터넷 등의 영상 매체를 통해서 보여지는 동영상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건강 면에서의 생체 영향으로부터 많은 사람들, 특히 영향을 받기 쉬운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강한 빛에 반응해 몸이 놀라 발작을 일으키는 증상인 광 감수성 발작(PSS)을 방지한다든지, 영상의 급격하고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하여 영상 멀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 등이 영상의 생체 안정성과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등을 시청할 때 좌우 영상의 불일치나 과도한 입체감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시각 피로 등도 영상의 생체 안정성과 관련된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 자체는 물론이고, 획득된 영상에서 나타나는 화질의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좌우 영상에 왜곡이 생길 수가 있다. 그리고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좌우 영상 간에는 기본적으로 불일치가 존재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좌우 영상의 왜곡과 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람은 시각적인 피로도가 생기게 된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과도한 깊이감을 부여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인간이 느끼는 입체감의 시각적 피로도가 증가할 수가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에 의하여 초래되는 이러한 시각적인 피로도는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입체 영화나 3D 텔레비전 등과 같은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와 관련된 제반 산업이 성장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와 관련된 제반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으로 인하여 인간이 받는 영향, 예컨대 시각적 피로도 등을 최소화하거나 개인적으로 적합한 수준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는 이와 관련하여 그 필요성은 인정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하나의 과제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람이 입체 영상에 의하여 초래되는 시각적 피로도로 인하여 건강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보다 많은 사람이 개인적인 취향이나 건강에 맞도록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은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좌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를 구하는 단계, 상기 디스패러티 정보와 상기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안정된 정보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는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와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는 전체 동영상에서 프레임 단위로 좌우 영상에서 디스패러티가 나타나는 블록 또는 픽셀의 개수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블록 또는 픽셀 개수의 프레임 사이의 변화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는 전체 동영상에서 프레임 단위로 블록 또는 픽셀 단위의 디스패러티값의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이용하여 구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또는 상기 평균값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깊이 정보는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깊이 영역 정보와 깊이 크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과 관련하여, 시각적 피로도를 포함한 생체 안정성 관련 문제들은 치명적인 문제로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다. 그러나 이에 대한 표준이나 기준안이 없어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이나 이를 방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에 대한 유통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생체 안정성 정보를 포함시켜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또한 이를 저장, 재생, 유통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시청자의 피로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좌우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획득된 좌영상과 우영상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방법의 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전술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포함시키는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포맷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후술하는 내용들은 모노스코픽 영상과는 구별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에 고유한 특성들의 일부이다.
도 1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좌우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좌영상과 우영상은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예는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것인데, 이와는 달리 모노스코픽 영상을 이용하여 한 쌍의 좌우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경우에,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는 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피사체라고 하더라도 획득된 좌영상과 우영상에는 영상 정보(예컨대, 휘도나 색차,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피사체의 깊이 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영상과 비교해서 좌영상은 피사체의 좌측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보이는데 반하여, 좌영상과 비교하여 우영상은 피사체의 우측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좌영상과 우영상의 차이는 픽셀 단위 또는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예컨대, MxN 블록)의 휘도(평균)값과 색차(평균)값 등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는 획득된 좌영상과 우영상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방법의 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좌영상과 우영상을 하나의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좌영상의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수직 라인과 우영상의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수직 라인을 번갈아 배치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한다. 도 2의 (나)와 같이 배열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배리어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될 경우에 시청자들에게 좌영상의 수직 라인들은 왼쪽 눈에만 보이도록 하고 우영상의 수직 라인들은 오른쪽 눈에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를 참조하면, 좌영상과 우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번갈에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 타입(frame sequential type)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한다. 프레임 시퀀셜 타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화되어 60Hz 이상, 예컨대 120Hz의 주파수로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을 번갈아 스크린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안경을 착용하여 감상할 수 있는데, 현재 널리 적용되고 있는 3D 텔레비전이나 입체 영화 등을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분석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disparity information)와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구한다(10).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이나 알고리즘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은 물론 장래에 개발되는 어떠한 종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단위로 좌영상과 우영상을 비교하여, 각 프레임에서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영상 필터의 사이즈와 필터 용량의 크기, SAD(Sum Absolute Difference) 블록의 크기, 디스패러티의 최소값, 디스패러티의 수(픽셀 단위 또는 블록 단위), 기준영상 문턱값(threshold) 등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기준으로 하여, 각 프레임에서의 디스패러티 정보, 예컨대 휘도 디스패러티와 색차 디스패러티를 추출해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 단위의 디스패러티 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패러티 정보는 좌우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차 차이와 관련된 정보를 가리킨다. 영상 분석을 통해서 디스패러티 정보는 프레임 단위로 구하거나 추출할 수 있지만, 하나의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경우에는 아주 많은 프레임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므로, 각 프레임의 디스패러티 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패러티 정보는 인간적 시각적 피로도 등과 같은 생체 안정성과 관련이 있는데, 좌우 영상의 디스패러티가 크거나 또는 시간/공간에 따른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시각적 피로도와 같은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 즉 한 쌍의 좌우 영상에서 일정한 크기(예컨대, NxM 블록(여기서, N과 M은 각각 1이상의 정수이다))의 블록 단위로 디스패러티가 발생하는 블록의 개수를 해당 프레임에서의 디스패러티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NxM 블록에서의 N과 M이 모두 1이면 디스패러티가 발생하는 블록의 개수(이하,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라 한다)가 픽셀 단위로 구해지게 된다. 이렇게 구해진 프레임 당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는 프레임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이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하는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당 평균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나 및/또는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우 영상의 휘도나 색차의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이 넓게 존재하거나 또는 영역의 넓이가 프레임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생기는 경우(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영상 멀미나 시각적 피로도 등을 경험하기가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예컨대, 평균 디스패러티 블록 개수나 또는 디스패러터 블록 개수의 변화율 등)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패러티의 크기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패러티의 크기란 블록(또는 픽셀) 단위로 휘도 또는 색차가 어느 정도로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디스패러티의 크기와 관련된다. 하나의 프레임에서 디스패러티의 크기는 블록(또는 픽셀)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한 프레임에서의 디스패러티 크기는 해당 프레인 내에서의 디스패러티값의 최대값, 최소값, 및/또는 평균값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서 디스패러티의 크기는 이러한 각 프레임에서의 디스패러티 크기의 최대값, 평균값 또는 변화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파일 전체에서 디스패러티 크기의 최대값이나 평균값이 크면, 좌우 영상에서 색차나 휘도의 차이가 평균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차이가 크면 클수록 시청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 멀미나 시각적 피로도를 경험하기가 쉽다. 따라서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프레임별 디스패러티 크기의 최대값이나 평균값의 평균값 또는 변화율 등)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 및/또는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를 이용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패러티 정보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영상의 디스패러티와 관련된 다른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패러티 정보를 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부연하여 설명하면, 디스패러티 정보는 좌영상과 우영상의 불일치 영역이나 크기를 한 프레임씩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체 동영상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불일치 영역(픽셀 또는 NxN블럭단위)의 양으로 한 프레임에서 최대값과 평균값을 정한다.
2) 불일치 영역(픽셀 또는 NxN블럭단위)의 크기로 한 프레임에서 최대값과 평균값을 정한다.
3) 한프레임에서 불일치 영역으로 획득된 양과 크기의 최대값과 평균값을 전체 동영상에서 최대값과 평균값으로 정하여 파라메터 정보(디스패러티 정보)로 표시한다.
4) 프레임간의 불일치 영역의 변화량(픽셀 또는 NxN 블록단위)에 대한 최대값과 평균값으로 전체 동영상의 디스패러티 정보로 표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정보들은 스테레오영상(좌영상과 우영상)을 가지고 간단히 프로그래밍한 S/W로 추출이 가능하며, 위의 정보들은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생체 안정성 등급 등을 판단하는 기준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깊이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깊이 정보는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가리킨다.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결국,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피사체가 자신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와 관련된다. 그리고 이것은 좌우 영상에서의 디스패러티와도 관련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피사체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화면이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시청자는 더 많은 시각적 피로도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깊이 정보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생체 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정보이다.
디스패러티 정보와 마찬가지로, 깊이 정보도 영상 분석을 통해서 프레임 단위로 구하거나 추출하거나 또는 디스패러티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하나의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경우에는 아주 많은 프레임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정보도 각 프레임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다만,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이 그래픽 파일인 경우에는 해당 그래픽 파일의 제작 과정에서 깊이 정보는 얻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깊이 정보를 구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 즉 한 쌍의 좌우 영상에서 깊이 정보는 최단 거리의 피사체와 최장 거리의 피사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특정 위치의 피사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시청자가 현실적으로 깊이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의 실제값도 함께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깊이 정보의 값이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에 따라서 피사체가 앞으로 돌추해 보이거나 거꾸로 먼 거리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프레임에서 깊이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시각적 피로도 등과 같은 생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앞으로 돌출된 피사체가 프레임 전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좁은 영역에서 돌출된 피사체가 있는 경우에 비하여 시각적 피로도는 물론 어지럼증과 같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 깊이감이 기준 이상인 영역이 한 프레임에서 20%냐 70%냐에 따라서 시청자가 느끼는 어지럼증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영역 정보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깊이 맵의 크기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깊이 맵의 크기란 블록 단위로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낸다. 하나의 프레임에서 깊이 맵의 크기는 블록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한 프레임에서의 깊이 맵의 크기는 깊이의 최대값, 최소값, 및/또는 평균값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서 깊이 맵의 크기는 이러한 각 프레임에서의 깊이 맵 크기의 최대값, 최소값이나 평균값의 평균값 또는 변화율,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프레임에서의 깊이 맵의 최대값이나 평균값이 크거나 또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크면, 상대적으로 거리 차이가 많이 있는 피사체가 하나의 프레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차이가 크면 클수록 시청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 멀미나 시각적 피로도를 경험하기가 쉽다. 따라서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크기 정보(프레임별 깊이 맵 크기의 최대값이나 평균값의 평균값, 변화율,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등)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크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깊이 영역 정보 및/또는 깊이 크기 정보를 이용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깊이 정보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깊이 정보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깊이 맵 또는 깊이감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패러티 정보를 이용하거나 그래픽 데이타에서 추출한 깊이 정보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정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영상 전체에 대하여 최대값과 평균값을 추출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는 동영상 전체의 대표값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패러티의 최대값과 최소값, 평균값, 디스패러티가 발생하는 단위 블록(또는 픽셀)의 개수, 깊이 정보 맵을 통해 얻어낼 수 있는 최대값, 최소값,평균값, 영역의 크기 비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패러티 정보나 깊이 정보의 프레임간의 변화량도 파라메터의 요소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패러티 크기나 깊이가 값이 크다고 하더라도, 프레임의 변화에 따라서 계속 동일한 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생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수도 있는데 반하여, 아주 짧은 시간에 같은 영역(픽셀 또는 블록 단위)에서 디스패러티 값이나 깊이에 변화가 많다면, 상대적으로 생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0에서 구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설정한다(20). 본 명세서에 비록 '생체 안정성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은 것이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생체 안정성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된다면, 다른 적절한 용어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생체 안정성 정보는 특정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분석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 및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러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데이터로 나타내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생체 안정성 정보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등급 정보(예컨대, 품질 안정성과 관련된 클래스 정보)로 구분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생체 안정성과 관련된 점수로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고 설정된 생체 안정성 정보는 부호화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 또는 삽입시킨다(30). 생체 안정성 정보가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나 횟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파일 헤더와 같은 위치에 1회만 삽입되거나 또는 프레임 헤더에 여러 번 삽입되거나 또는 소정의 간격(5분 또는 10분)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파일의 프레임 헤더 등에 주기적으로 삽입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생체 안정성 정보는, 입체감, 생체 안정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해당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안정성 정보로서 시청자들에게 미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시청자가 원하는 정도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입체감 등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영상 특성을 분석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초래되는 시각적 피로도나 영상 멀미 등과 같은 생체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구하고, 구해진 정보를 해당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부가 데이터로서 함께 포함시킨다.
그리고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품질 안정과 관련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및 분배, 재생 등과 관련하여 전술한 이슈를 포함하여 다른 이슈들도 부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질의 왜곡현상을 보정하기 위해 일정한 특성을 가진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에 추가하는 것, 인간의 시각적 피로도에 대한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의 안정성을 위해 파일포맷의 메타데이터에 관련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하고 추가하는 것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과 관련하여 이러한 기준이 없는 관계로 제작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컨텐츠가 좌우 영상의 불일치와 여러 가지 좌우영상의 왜곡된 영상 등으로 인한 1차적으로 화질이 왜곡되는 현상이 있고, 깊이 정보 등의 과도한 깊이감을 줌으로서 인간이 느끼는 입체감의 시각적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이에 필요한 기준을 정립하여 일반 시청자들이 스테레오스코픽(3D) 컨텐츠를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구성요소를 파일 포맷에 적용함으로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2개의 좌, 우 양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을 하여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인간의 시각적 피로도에 대한 기준과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획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화질의 왜곡현상을 보정하고 또한 보정의 기준을 정할 필요성도 있다. 전술한 시각적 피로도에 대한 구성 요소와 함께, 스테레오스코픽 화질의 보정에 대한 구성요소도 파일의 메타데이타로서 정의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메타데이터 들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안정성과 화질 재현의 효과를 최대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물론 다른 정보를 포함시켜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게 되며, 장시간 시청을 요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와 단시간 시청에서 입체감을 실감있게 감상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가 등급별로 나누어져서 정의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이용하는 시청자가 참조로 하거나 및/또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재생(필요한 경우에는 시청자가 원하는 수준의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재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포함시키는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사용된 클래스 정보는 전술한 생체 안정성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가)는 스테레오스코픽 클래스 헤더가 시스템 헤더 뒤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의 (나)는 스테레오스코픽 클래스 헤더가 시스템 헤더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4의 (다)는 스테레오스코픽 클래스 헤더가 영상코덱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4의 (라)스테레오스코픽 클래스 헤더가 영상코덱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포맷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로서, 도 5의 (가)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등급별로 클래스 1, 2, 3 또는 그 이상으로 분류해 놓은 파일 헤더의 일례이며, 도 5의 (나)는 (가)의 각각의 클래스에서 정의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과 관련된 구성요소 분류 1단계 그림이다. 그리고 도 5의 (다)는 (나)의 구성요소에서 추가로 분류하여 정의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과 관련된 구성요소 분류 2단계 그림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은 생체 안정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생체 안정성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은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에 대한 인간의 시각적 피로도와 좌우영상을 가지고,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재구성할 때, 발생하는 화질의 왜곡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아주 단기간의 시청시간, 예를 들면 20초에서 수분정도의 광고 등 비교적 입체감을 아주 실감나게 하기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예를 들어, "클래스 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30분에서 3시간가량의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는 비교적 입체감이 뛰어나나 깊이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서 대다수의 시청자가 순간적인 시각적 피로도가 존재하지만 별 무리 없이 시청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예를 들어, "클래스 2"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방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시각적 특성이 매우 다양한 계층에 이르기까지 시각적 피로도을 많이 느끼지 못하도록 입체감을 줄이고 시청자의 시각적 안정성을 보호함으로써 하루종일 스테레오스코픽 방송을 시청하여도 시청자가 불쾌감이나 어지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예를 들어, "클래식 3"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2D영상으로 3D영상으로 변환한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클래스 4"로 정의하고, 이와 다른 다양한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에 대하여 다양한 분류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인간의 시각적 피로도를 고려함과 아울러서 필요한 경우에는 화질의 왜곡현상을 보정하거나 또는 입체감을 부여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시청하는 일반인에 대하여 생체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다 우수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분류된 정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분류된 정보에 대한 기준치를 인간의 시청 시간 등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데 생체 안정성 정보를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입체 영상의 생체 안정성에는 다른 파라메타들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복수의 클래스 중의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파라메타들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영상에서 얻어질 수 있는 깊이 정보와 디스패러티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은 전술한 것과 같다. 이외에도, 밝기 정보, 색차정보, 초점 정보, 영상크기대비 최소시청거리정보, 컨버전스 방식(평행정렬 스테레오 카메라, 교차정렬 스테레오카메라)정보, 주 피사체와 배경과의 시차의 허용범위, 시청공간의 조명과 음향의 정보, 디스플레이로부터 시청자가 보는 좌우 상하시청각도및 상하 높이정보, 디스플레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 허용범위정보,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율(refresh rate) 정보, 자막깨짐의 크기 정보, 물체의 경계값에 대한 오차허용 정보, 시청연령제한의 정보, 시청자가 난시나 사시를 가진 경우에 대하여 경고정보, 시청자의 좌우 시력의 차이 정보, 수렴, 조절 불일치의 허용범위(수직오차, 회전오차, 크기오차) 등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 뿐만 아니라 시청환경의 조도도 시각적 피로도에 영향을 미친다. 2D영화에 비해 3D영화는 조도가 어두울 수 있는데 주변의 환경의 밝기에 따라서 피로도가 가중되기도 한다.
위에 열거한 내용은 구성요소의 종류에 따라 또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자체에 대한 구성요소를 제1 구성요소로 분류할 수 있고, 시청거리나 주변 시청공간의 조도 등 시청환경에 대한 구성요소를 제2 구성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구성요소는 시청자의 연령제한 등 시청자특성에 대한 구성요소로 분류한다. 다른 기능을 추가하여 제4구성요소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영상자체에 구성요소들도 보다 세분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그룹의 구성요소로는 영상의 시각적 피로도와 직접 연관된 깊이 정보나 디스패러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두 번째 그룹의 구성요소로 스테레오스코픽 화질영상의 왜곡과 관련된 정보, 자막깨짐의 왜곡정보, 물체경계값의 오차정보 등으로 추가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세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로도 확장할 수가 있다.
위에서 분류한 클래스 구성요소를 어떠한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지 대하여 살펴보면, 깊이 정보나 디스패러티 정보 등의 거리정보를 가지고 특정표시값인 인덱스(Index)를 부여하여 실제 거리값을 기록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1~10정도의 구분되는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아니면 2개이상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1개의 인덱스로 구성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과 관련하여, 시각적 피로도를 포함한 생체 안정성 관련 문제들은 치명적인 문제로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다. 그러나 이에 대한 표준이나 기준안이 없어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이나 이를 방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에 대한 유통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생체 안정성 정보를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킴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분류하고 유통시킬 수 있으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클래스로 분류하여 획득 및 저장, 유통 및 방송함으로서 시청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시청자의 피로감을 최대한 줄이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 방식에 비해 적은 비트율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입체형 컨텐츠를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컨텐츠 제작자 뿐만 아니라 유통자에게 명확한 분류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관련 시장이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L : 좌영상 또는 좌측 카메라
R : 우영상 또는 우측 카메라

Claims (5)

  1.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좌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를 구하는 단계;
    상기 디스패러티 정보와 상기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영상 매체를 통해서 보여지는 동영상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건강 면에서의 생체 영향을 보이는, 생체 안정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안정된 정보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는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와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하며,
    상기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는 전체 동영상에서 프레임 단위로 좌우 영상에서 디스패러티가 나타나는 블록 또는 픽셀의 개수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블록 또는 픽셀 개수의 프레임 사이의 변화율과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좌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와 깊이 정보를 구하는 단계;
    상기 디스패러티 정보와 상기 깊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에 대한, 영상 매체를 통해서 보여지는 동영상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건강 면에서의 생체 영향을 보이는, 생체 안정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안정된 정보를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디스패러티 정보는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디스패러티 영역 정보와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하며,
    상기 디스패러티 크기 정보는 전체 동영상에서 프레임 단위로 블록 또는 픽셀 단위의 디스패러티값의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이용하여 구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또는 상기 평균값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깊이 정보는 동영상 파일 전체에 대한 깊이 영역 정보와 깊이 크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KR1020100060194A 2010-03-10 2010-06-24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KR10168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798309.8A EP2587812A4 (en) 2010-06-24 2011-04-25 METHOD FOR CONFIGURING A STEREOSCOPIC FILE WITH MOVING IMAGES
JP2013516491A JP5629825B2 (ja) 2010-06-24 2011-04-25 ステレオスコピック動画ファイルの構成方法
PCT/KR2011/002983 WO2011162474A2 (ko) 2010-06-24 2011-04-25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CN2011800407258A CN103081478A (zh) 2010-06-24 2011-04-25 用于配置立体运动图片文件的方法
US13/805,855 US20130093843A1 (en) 2010-03-10 2011-04-25 Method for configuring stereoscopic moving picture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1411 2010-03-10
KR1020100021411 201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09A KR20110102109A (ko) 2011-09-16
KR101686168B1 true KR101686168B1 (ko) 2016-12-22

Family

ID=4495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94A KR101686168B1 (ko) 2010-03-10 2010-06-24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93843A1 (ko)
KR (1) KR101686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156A (ko) * 2013-04-02 201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성이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3차원 그래픽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응용 개발 환경
CN104154898B (zh) * 2014-04-24 2016-06-08 深圳大学 一种主动测距方法及系统
JP2016031439A (ja) * 2014-07-28 2016-03-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US9805662B2 (en) * 2015-03-23 2017-10-31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backlight power saving technology
KR102442594B1 (ko) * 2016-06-23 2022-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기를 구비한 스테레오 매칭 시스템에서의 코스트 볼륨 연산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2041A1 (en) * 2007-11-29 2009-06-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method,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medium, stereoscopic video reproducing method,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video 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998B2 (en) * 2009-02-13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JP5249149B2 (ja) * 2009-07-17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立体画像出力装置及び方法、並びに立体画像記録出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2041A1 (en) * 2007-11-29 2009-06-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method,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medium, stereoscopic video reproducing method, stereoscopic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video 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09A (ko) 2011-09-16
US20130093843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0276B2 (ja) 3d画像及びグラフィカル・データの結合
JP4730120B2 (ja) 映像データ処理装置、映像再生装置、映像データ処理方法、映像再生方法、これら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EP2332340B1 (en) A method of processing parallax information comprised in a signal
Tam et al. Psychovisual aspects of viewing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CN102186023B (zh) 一种双目立体字幕处理方法
US20140085435A1 (en) Automatic conversion of a stereoscopic image in order to allow a simultaneous stereoscopic and monoscopic display of said image
US20130083160A1 (en) Method for decoding 2d-compatible stereoscopic video flows
Winkler et al. Stereo/multiview picture quality: Overview and recent advances
Moorthy et al. A survey on 3D quality of experience and 3D quality assessment
KR101686168B1 (ko) 스트레오스코픽 동영상 파일의 구성 방법
TWI511525B (zh) 用於產生、傳送及接收立體影像之方法,以及其相關裝置
Aflaki et al. Simultaneous 2D and 3D perception for stereoscopic displays based on polarized or active shutter glasses
JP5629825B2 (ja) ステレオスコピック動画ファイルの構成方法
KR101674688B1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입체영상 재생 방법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Winkler et al. Stereoscopic image quality compendium
KR101433082B1 (ko)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의 중간 정도 느낌을 주는 영상 변환 및 재생 방법
EP2547109A1 (en) Automatic conversion in a 2D/3D compatible mode
Kara et al. The couch, the sofa, and everything in between: discussion on the use case scenarios for light field video streaming services
Salman et al. Overview: 3D Video from capture to Display
Xing Towards Reliable Stereoscopic 3D Quality Evaluation: Subjective Assessment and Objective Metrics
CN111684517B (zh) 观看者调节的立体图像显示
Um et 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disparity-based asymmetrical filtering on stereoscopic video
Robitza 3d vision: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Series Features of three-dimensional television video systems for broad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