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475A -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475A
KR20110113475A KR1020100032885A KR20100032885A KR20110113475A KR 20110113475 A KR20110113475 A KR 20110113475A KR 1020100032885 A KR1020100032885 A KR 1020100032885A KR 20100032885 A KR20100032885 A KR 20100032885A KR 20110113475 A KR20110113475 A KR 2011011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image
stereoscopic image
thumbnail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화
이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475A/ko
Publication of KR2011011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영상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부; 시간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입체영상 썸네일을 생성하는 3D포맷 생성부; 영상재생 요청 신호 및 프로그램의 썸네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코더부 및 상기 3D포맷 생성부에 해당 신호를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사용자 선호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들의 썸네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썸네일을 방송 출력 포맷에 따라 2D 또는 3D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A method for displaying a program information and stereo scopic mage playing devi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 방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차원(2 dimensions; 2D) 디스플레이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3차
원(3 dimensions; 3D) 또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3차원 디스플레이는 이미 존재하였으나 3차원 콘텐츠 자체가 양적으로 부족하였고 질적으로도 양질의 3차원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술 부재로 시장성이 떨어졌었다.
하지만, 최근 문화 영역 등에서 평면적인 2차원 콘텐츠에 비해 사실감과 입체감 등의 전달에 유리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제작이 활성화되면서, 그를 시청하기 위한 3차원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과 기술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과 기술의 증가는 향후 가정에서 쉽고 편안하게 3차원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3차원 콘텐츠를 현실감있는 영상을 접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2D화상과 3D화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포맷의 화상 데이터가 동시에 취급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의 화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일반적인 방송 영상에 대한 3D영상에 대한 기술적인 구성만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입체영상에 부응하는 방송정보에 대한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영상에 따라 해당 방송 정보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출력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방송의 부가정보를 출력하도록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영상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부; 시간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입체영상 썸네일을 생성하는 3D포맷 생성부; 영상재생 요청 신호 및 프로그램의 썸네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코더부 및 상기 3D포맷 생성부에 해당 신호를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사용자 선호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들의 썸네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썸네일을 방송 출력 포맷에 따라 2D 또는 3D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영상재생장치에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조합하여 생성된 입체영상으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재생 중 선호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호프로그램의 방송 출력 포맷에 따라 상기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을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영상을 출력하게 되는 경우 해당 영상출력 정보에 부응하도록 방송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입체영상의 전송 포맷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정보 출력 동작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방송정보 출력에 따른 썸네일 처리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 디스플레이 시 화면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선호프로그램 썸네일 디스플레이 시 상기 썸네일 정렬을 위한 동작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입체영상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데이터 수신부(105)에서는 공중파 또는 디스크오 같은 저장매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트랜스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또는 패킷화 스트림(Packetized Stream)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공중파 또는 디스크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으로 포맷되어 있다.
특히 MPEG-2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처리방법으로서 DVD(Digital Verstiale Disk)와 같은 저장매체,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의 디지털 TV방송, 저장장치, 그리고 네트워크상의 동영상 전송 등 여러분야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TS/PS 분석부(110)로 전달된다. TS/PS분석부(11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 재생을 원하는 패킷을 걸러내는 필터링과 파싱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엘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한다.
TS/PS분석부(110)에서 출력된 엘러멘터리 스트리은 해당 코덱에 적합한 디코더부(115)에서 디코딩되어 영상 프레임을 출력한다. 디코더부(115)에서는 오디오 정보에 대한 디코딩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다시점 비디오 코덱(Multiview Video Codec; MVC)을 이용하는 입체영상 재생장치에서는, 디코더 부(115)의 출력부분에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그 전까지 하나의 스트림으로 전달되던 영상 데이터가 좌/우 영상으로 분리되어 이미지 강화부(120)로 전달된다. 이때, 좌 영상과 우 영상 간에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된다.
이후, 영상 프레임은 이미지 강화부(120)에서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또는 이미지 보강 처리 등이 수행된다.이차원 영상 재생장치에서는, 이미지 강화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들이 전송데이터 생성부(140)로 전달되고, 필요한 경우 타 영상과 오버레이 되거나 TV 등 영상을 표시할 장치로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재포맷팅 된다.
이후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HDMI)와 같은 전송부(145)에서 영상 데이터를 TV 등 영상을 표시할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재생 장치가 TV와 일체형인 경우는 전송부(145)를 통하지 않고 표시부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입체영상재생장치에서는 이미지 강화부(120) 이후에 풀다운(pull-down처리(125)가 이루어진 후 3D포맷 생성부(130)로 전달되어 3D용 영상포맷으로 생성된다. 이후 전송 데이터 생성부(140)에 의해 3D포맷 영상 데이터는 TV등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장치로 전송 가능한 형태로 처리된 후 전송부(145)를 통해 전송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체영상재생장치의 메모리부(150)에 선호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정보에 해당 프로그램의 썸네일 정보를 2D 또는 3D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3D영상 신호 포맷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의 썸네일을 3D포맷 생성부(130)에서 3D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3D포맷 생성부(130)는 3D썸네일을 생성하는 3D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는 입력버튼, 리모콘, 네트워크 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장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는 디코더부(15)에 대한 재생, 정지 및 배속 동작의 제어, 전송 데이터 생성부(140)에 대한 전송 데이터 해상도와 인터페이스 모드 제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를 통해 입력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썸네일 영상을 다양한 정렬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방송신호에서 프로그램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썸네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이력 정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입체영상재생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디스플레이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의 전송포맷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입체 영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체 영상에는 두 개의 시점을 고려하는 스테레오(또는 스테레오스코픽)영상, 세 개의 시점 이상을 고려하는 다시점 영상 등이 있다.
스테레오 영상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1쌍의 좌우영상을 말한다. 다시점 영상은 일정한 거리나 각도를 갖는 3개 이상의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3개 이상의 영상을 말한다.
스테레오 영상의 전송 포맷에는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과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에 대해 언급하기로 한다.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에는 도 2(a)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도 2(b)의 탑/다운(top/down), 도 2(c)의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도 2(d)의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도 2(e)의 체커 보드(checker board) 등이 있다.
도 2(a)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sub sampling)하고, 샘플링한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좌측과 우측에 위치시켜 하나의 스테레오 영상을 만드는 경우이다.
도 2(b)의 탑/다운 포맷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 시켜 하나의 스테레오 영상을 만드는 경우이다.
도 2(c)의 인터레이스드 포맷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영상(L)의 화소와 우영상(R)의 화소가 라인마다 교대로 위치시켜 스테레오 영상을 만들거나, 또는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영상(L)의 화소와 우영상(R)의 화소가 한 화소씩 교대로 위치시켜 스테레오 영상을 만드는 경우이다.
도 2(d)의 프레임 시퀀셜 포맷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서브 샘플링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영상을 하나의 프레임(frame)으로 하여 순차로 번갈아 위치시켜 스테레오 영상을 만드는 경우이다.
도 2(e)의 체커 보드 포맷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각각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영상(L)의 화소와 우영상(R)의 화소가 한 화소씩 교대로 위치시켜 스테레오 영상을 만드는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썸네일을 생성하는 경우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중 일부의 영상을 추출하여 입체 영상 썸네일로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 디스플레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프로그램 이후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방송정보는 사용자로부터 기 등록된 선호채널에 대한 정보 및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외에 제1프로그램 이후에 방송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및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입체영상재생장치는 데이터 수신부(105)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3D포맷 생성부(130)를 통해 3D영상으로 제1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모드를 수행한다.(305단계) 상기 제1프로그램 재생모드 수행중 상기 제1프로그램이 종료시점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에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1프로그램의 종료 시간이 N분 전인지를 판단한다.(310단계) 상기 판단결과 제1프로그램의 종료가 기준 시간 이내로 남아있진 않으나. 사용자로부터 선호 프로그램 목록 또는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요청신호가 입력되면(315단계) 현재 출력되는 제1 프로그램의 출력 상태정보를 확인한다.(320단계)
현재 출력중인 방송 영상의 포맷이 3D 입체영상인 경우 기 저장된 선호프로그램 목록 또는 다음 방송할 프로그램에 대한 목록을 3D 입체영상 썸네일로 디스플레이한다.(330단계) 반면 상기 방송 영상의 포맷인 2D영상인 경우(335단계) 기 저장된 선호프로그램 목록에 대한 썸네일을 2D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중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소정 시간 전에 다음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받은 선호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각 선호프로그램의 방송 출력 상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방송이 출력되는 포맷이 2D 인지 또는 3D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포맷으로 썸네일을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썸네일 디스플레이의 형태
및 디스플레이 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디스플레이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방송정보 출력에 따른 썸네일 처리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 디스플레이 시 화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선호프로그램 썸네일 디스플레이 시 상기 썸네일 정렬을 위한 동작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소정 시간 전에 선호프로그램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선호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제1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방송되는 선호프로그램의 방송차례로 해당 썸네일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410단계) 즉, 제1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선호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잔여신간을 확인한다.(405단계) 상기 잔여시간이 적게 남은 방송 시간이 우선인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도 5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현재 방송되는 화면(500)에 같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510)하며, 상기 잔여 시간에 따라 해당 썸네일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410단계) 예를 들어 방송시간이 우선인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은 다른 썸네일에 비해 사이즈 또는 선명도를 부각되도록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선호프로그램 목록은 도 5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별도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도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1프로그램이 방송이 종료되거나, 종료되기 소정 시간 전에 선호프로그램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6에서도 역시 상기 제1프로그램의 영상(600)의 소정 위치 또는 오버랩되도록 디스플레이(620)될 수 있다.
상기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 정보 출력 포맷에 따라 해당 썸네일 역시 2D 또는 3D등 의 포맷으로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포함하여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6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선호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썸네일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아이콘(6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610)에 대한 입력은 사용자 입력 처리부(155)를 통해 리모콘 또는 터치 패널의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선호프로그램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중 선호프로그램 정렬키(610)의 입력이 확인되면(415단계) 상기 입력된 키의 횟수 또는 입력된 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620)을 소정 기준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된 키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시청한 횟수(420단계) , 예약 녹화 프로그램 순(422단계), 시청률 순에 따라(424단계) 또는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순서에 따라(426단계) 해당 썸네일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선호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는 중 도 7의 화면 예시도에서와 같이 정렬키(610) 중 어느 하나의 키(601)가 입력되면 해당 키의 정렬 규칙에 따라 도 7의 화면예시도 700과 같이 썸네일을 정렬 또는 해당 썸네일을 추출, 부각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렬 키의 신호는 각 아이콘에 따라 또는 아이콘의 입력 횟수 등에 따라 해당 썸네일을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105 : 데이터 수신부 110 : TS/PS분석부
115 : 디코더부 120 : 이미지 강화부
125 : Pull Down 130 : 3D포맷 생성부
135 : 제어부 140 : 전송 데이터 생성부
145 : 전송부 150 : 메모리부
155 : 사용자 입력처리부

Claims (8)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입력받아 입체여앙을 형성하는 입체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영상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부;
    시간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입체영상 썸네일을 생성하는 3D포맷 생성부;
    영상재생 요청 신호 및 프로그램의 썸네일 영상 디스플레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코더부 및 상기 3D포맷 생성부에 해당 신호를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사용자 선호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들의 썸네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썸네일을 방송 출력 포맷에 따라 2D 또는 3D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프로그램의 종료시간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N시간 전에 선호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호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준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기 등록된 선호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이력정보 및 방송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선호프로그램에 대한 출력 포맷에 따라 2D 또는 3D로 썸네일을 저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재생장치.
  6.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영상재생장치에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조합하여 생성된 입체영상으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재생 중 선호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호프로그램의 방송 출력 포맷에 따라 상기 선호프로그램의 썸네일을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재생 중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소정시간 전에 상기 선호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 요청에 따른 기준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00032885A 2010-04-09 2010-04-09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KR20110113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885A KR20110113475A (ko) 2010-04-09 2010-04-09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885A KR20110113475A (ko) 2010-04-09 2010-04-09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475A true KR20110113475A (ko) 2011-10-17

Family

ID=450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885A KR20110113475A (ko) 2010-04-09 2010-04-09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4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57B2 (en) 3D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electing 3D mode for 3D image
EP23803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overlaying 3d graphics over 3d video
US87604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870272B2 (ja) 映像処理装置
US8830301B2 (en) Stereoscopic image reproduction method in case of pause mode and stereoscopic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using same
US91853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PIP image
WO2012017643A1 (ja) 符号化方法、表示装置、及び復号方法
US20080303832A1 (en) Method of generating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convertible stereoscopic image bit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ame
CN104137558B (zh) 用于显示三维图像的数字广播接收方法及其接收设备
US8780186B2 (en) Stereoscopic image reproduction method in quick search mode and stereoscopic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using same
US20110018979A1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output device, and transmitter
US84162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20098944A1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US20120281073A1 (en) Customization of 3DTV User Interface Position
KR101674688B1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입체영상 재생 방법
US20130266287A1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JP2011199388A (ja) 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13475A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방송정보 표시 방법
US20110261170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US20130047186A1 (en) Method to Enable Proper Representation of Scaled 3D Video
KR101659623B1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20017127A (ko) 입체영상 재생 장치 및 입체영상 재생 방법
JP5422597B2 (ja) 三次元映像処理装置
JP201106136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20076625A (ko)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