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87A -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 Google Patents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87A
KR20100019387A KR1020090072840A KR20090072840A KR20100019387A KR 20100019387 A KR20100019387 A KR 20100019387A KR 1020090072840 A KR1020090072840 A KR 1020090072840A KR 20090072840 A KR20090072840 A KR 20090072840A KR 20100019387 A KR20100019387 A KR 20100019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onnector body
post
latching position
disp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621B1 (ko
Inventor
짐 케린
리차드 엠. 페페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1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라인에 사용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커넥터 본체의 수형 수용단부로부터 신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커넥터 본체의 수형 수용단부를 통해 보어내로 신장되는 수형 부재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한다.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리테이너는 수형 부재가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만, 커넥터 본체에 대해 언래칭 위치로부터 래칭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는 리테이너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며,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만 리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보어, 래칭, 핑거, 로킹 융기부, 포스트

Description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본 발명은 2008년 8월 7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087,024호의 장점을 청구하며, 상기 미국 가특허출원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인 태브 검정부(verification)가 구비된 잉여 리테이너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 및 기타 다른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암형 커넥터 본체에 수용되어 밀봉가능하게 유지되는 수형 부재를 포함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2개의 부품이나 도관들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므로써 이러한 두 부품들 사이에 유체 라인을 설정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사용하면 밀봉 및 고정된 유체 라인이 최소한의 시간 및 경비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수형 부재 및 암형 커넥터를 고정하는데는 많은 방법 및 메카니즘이 존재하고 있다. 한가지 형태의 유지 메카니즘은 커넥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삽입된 리테이너의 사용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을 통해 신장되는 비임은 수형부재 업셋과 튜브의 후퇴를 방지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후향면 사이에서 인접하여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종종 "편자" 리테이너로 불리운다. 이러한 형태의 커플링의 실시예는 미국특허 제6,846,021호 및 제7,390,0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2래치 또는 잉여 래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래치는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부가적 안정성을 제공하며 또한 조립 처리과정중 완전한 연결을 확인시켜준다.
미국특허 제7,390,025호에는 편자 형태의 리테이너 및 잉여 래치/검정기(verifier)를 갖는 다양한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의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2006년 4월 26일에 출원되어(출원번호: 제11/411,504호) 2008년 1월 10일에 공개된 미국특허 제2008/0007053호에 개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래칭 위치에서 상기 잉여 래치/검정기가 의도하지 않은 튜브 해제를 방지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잉여 래치/검정기는 주 리테이너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커넥터 본체에서 튜브의 수형 부재를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은 관련의 튜브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잉여 래치/검정기가 그 래칭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그 신장된 위치는 상기 튜브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는 물리적 표시 및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잉여 래치 또는 리테이너의 적절한 삽입에 대한 시각적 확인 및 촉각적 확인을 제공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이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상기 잉여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커넥터 커플링이 완전히 래칭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장치의 위치는 시각적 확인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튜브-본체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튜브가 완전히 삽입되었고 주 리테이너 및 잉여 리테이너가 그 래칭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촉각적 인식을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카니즘은 오직 튜브의 완전한 연결시에만 커플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분리가능 요소를 제공한다는 부가적 기능을 사용한다. 상기 분리가능 요소는 적절히 완전한 연결의 물리적 표시자(indicator)이다. 이것은 다수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차량 조립과정에서도 유용하다. 제거된 분리가능 요소의 카운트(count)는 모든 커플링이 적절히 이루어졌음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유체 라인 시스템과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단단한 튜브와 기타 다른 유체 이송 부품들, 특히 가요성 호스 사이는 해제가능한 연결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커플링은 가압되거나 가압되지 않은 유체 통로의 단단한 요소의 연결과 같은 유체 기밀(그러나 해제가능한) 연결이 요구되는 곳에서 다양한 용도를 갖는다. 실시예는 자동차 연료분배 시스템 또는 자동차 공 조시스템을 포함한다.
도1은 유체 라인에서 분리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도시하고 있다. 커플링(110)은 원통형의 암형 커넥터 본체(112)와, 수형 부재(114)와, 잉여 래치/검정기 부재 또는 리테이너(118)와,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11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커넥터 본체와 수형 부재는 주 리테이너 부재(116)에 의해 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잉여 리테이너 부재(118)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주 래칭 메카니즘일 수도 있다.
사용시, 암형 커넥터 본체(112)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부인 튜빙 또는 호스(도시않음)에 연결된다. 암형 커넥터 본체(112) 및 수형 부재(114)는 유체 라인에서 영구적인(그러나, 분리가능한)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재(114)는 단단한 튜브(1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것은 개방된 튜브 단부로부터 설정의 거리에 방사방향 접촉면(191)을 형성하는, 방사방향으로 확장된 업셋(190)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는 커넥터 본체(1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112)는 중공이며,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벽(120)을 포함한다. 본체 외부는 본 발명으로부터의 일탈없이 그 어떤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를 위해 보통의 형상인, 그 단부 사이에 90°굴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커넥터 본체(112)는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성형된 다. 커넥터 본체는 분리성형된 리테이너 하우징이 부착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 특허출원 제11/528,084호(공개번호 2007/02360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벽(120)의 내측면은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의 입구 개구(127)로부터 호스 연결 단부(130)까지 관통 보어(126)를 형성한다. "축방향" 및 "축방향으로" 라는 용어는 본체 벽(120)을 따른 길이방향을 의미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측방향", "측방향으로", "횡단방향", "횡단방향으로" 라는 용어는 본체 벽(120)의 길이방향 영역과 직교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커넥터 본체(112)의 보어(126)는 커넥터 본체(112)를 통해 완전히 신장된다. 커넥터 본체(112)의 벽(120)의 직경 변화는 관통 보어(126)를,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에서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을 포함하는 별개의 섹션으로 분할한다. "후향" 이라는 용어는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로부터 호스 연결 단부(130)를 향한 축방향으로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사용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전향" 이라는 용어는 호스 연결 단부(130)로부터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를 향한 축방향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은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전향 림(140)에 의해 형성된다. 전향 림(140)은 관통 보어(126)로 개방된 간극 또는 공간(139)에 의해 후향 림(14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림(140, 142)은 아치형 상부 유지부재(144)와, 2개의 측부 유지부재(146)와, 2개의 중앙 유지부재(150)와, 2개의 바닥 유지부재(154)에 의해 연결된다.
간결함을 위하여, 신속 커넥터 커플링(110)은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에 배치된 길이방향 칫수로 도시되었으며; "상부", "바닥", "측부" 라는 용어는 커넥터 본체(112)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부" 형태는 주 리테이너(116)와 연관되어 있으며, "바닥" 형태는 잉여 리테이너(118)와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시 커넥터 커플링(110)은 수평면 및 수직면과 관계없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안착될 수 있으며, "상부" 및 "바닥"은 오직 도시된 바로 설명된다.
상부 유지부재(144)와 2개의 측부 유지부재(146) 사이의 공간(139)은 한쌍의 상부 슬롯(158)을 형성한다. 상부 슬롯(158)은 주 리테이너(116)의 레그를 수용하여 이를 커넥터 본체(112)에 횡단방향으로 배치한다. 또한, 상기 공간(139)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측부 슬롯(162)을 형성한다. 한쌍의 포물선 형태의 본체 포스트(152)는 각각의 측부 슬롯(162)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포물선형 포스트는 이를 언래칭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잉여 리테이너(118)의 요소들과 협력한다. 바닥 슬롯(166)은 잉여 리테이너(118)의 비임(219)(도3에 도시)을 수용 및 배치하는 안내 슬롯(161)에 안내된다.
로킹 융기부(172)는 각각의 바닥 유지부재(154)로부터 각각의 측부 슬롯(162)에 측방향으로 신장된다. 상기 로킹 융기부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잉여 리테이너의 부분과 결합된다.
바닥 유지부재(154)의 바닥 벽면(165)은 림(140, 142) 사이에서 외측으로 대면한다. 도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은 방사방향 내측으로 바닥 면(169)에 수렴하는 경사벽(168)이 구비된 보어(167)을 포함한다. 상기 보어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잉여 리테이너 부재(118)의 분리가능한 표시부재 또는 견인 링(119)과 협력하는 원뿔형 수용자를 형성한다.
도1에는 "편자" 형태의 주 리테이너(116)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처럼 탄성의 굴곡가능한 물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140, 142) 사이에서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상부를 통해 횡단방향으로 신장되는 상기 주 리테이너(116)는 커넥터 본체(1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은 전향면(202) 및 후향면(204)이 구비된 한쌍의 신장된 평행 레그(196)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196)는 횡단부재(198)에 결합되어 이로부터 신장된다. 상기 횡단부재(198)는 레그(196) 사이에 수형 부재의 원통형 튜브(115)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제공한다. 횡단부재(198)를 갖는 레그(196)의 배치는 레그(196)의 외측 팽창을 허용하여, 커넥터 본체(112)에 대한 수형 부재(114)의 삽입 및 해제를 허용한다.
각각의 레그(196)는 횡단부재(198)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형성되는 래치(206)를 포함한다. 주 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본체(11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206)는 주 리테이너(116)를 커넥터 본체(112)에 대해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중앙의 유지부재(150)와 접촉한다.
리드 영역(210)은 레그(196)의 전향면(202)에 형성된다. 상기 영역(210)은 각각의 레그의 전향면(202)으로부터 방사방향 내측 및 축방향 후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되며, 커넥터 본체(112)로의 삽입시 수형 부재(114)의 안내 및 중심잡기를 도 와준다. 레그(196)의 후향면(204)은 완전히 삽입후 수형 부재(114)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업셋(190)의 방사방향 표면(191)과 접촉하는 접촉면으로서 작용한다.
잉여 리테이너(118)는 바닥 슬롯(166) 및 측부 슬롯(162)의 내부에 배치되어, 커넥터 본체(1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은 방사방향 내측의 위치(또는 래칭 위치)와 방사방향 외측의 위치(또는 언래칭 위치) 사이에서 관통 보어(126)를 향해 또한 관통 보어로부터 바닥 유지부재(156)에 대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방향으로 본체(112)로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18)는 방사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을 갖는 연결부재(224)를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부재로부터 리테이너 비임(219)과, 연결부재(224)로부터 상향으로 또한 리테이너 비임(219)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쌍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굴곡되는 탄성 핑거(222)가 신장된다. 커넥터 본체(112)에 조립되었을 때, 내측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은 바닥 유지부재(154)의 바닥 벽면(165) 위에 놓이며, 리테이너 비임(219)은 측부 슬롯(162)에 안착된 핑거(222) 및 바닥 슬롯(166)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다.
잉여 리테이너(118)의 각각의 핑거(222)는 그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의 인식 태브(242)에서 종료되는 신장 비임(223)을 포함한다. 각각의 신장 비임(223)의 로킹 엣지(258)는 리테이너(118)가 언래칭 위치에 있을 때, 포물선형 형상의 중앙 본체 포스트(152)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은 보어(126)에 완전히 삽입된 수형 부재(114)가 없는 래칭 위치로의 리테이너(118)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인식 태브(242)는 수형 부재(114)가 삽입되어 로킹 엣지(258)를 포물선형 본체 포스트(152)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업셋(190)의 존재를 검출한다. 신장 비임(223)의 인식 태브(242)는 포물선형 중앙 본체 포스트(152)를 자유롭게 통과하므로써, 리테이너(118)가 그 래칭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핑거(222)는 측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후크(230)와 안착 영역(232)을 형성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래칭 위치에서 리테이너(118)를 커넥터 본체(112)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바닥 유지부재(154)에 의해 형성된 로킹 융기부(172)는 안착 영역(232)에 안착된다.
후크(230)의 안착 영역(232)과 연결부재(224)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핑거(222)의 내측면은 램프형 표면 형태의 천이 표면과, 다른쪽 핑거를 향해 확장된 로킹 너브(236)와, 유지 영역(237)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 영역(232)은 로킹 융기부(172) 사이의 거리 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램프형 표면(234)은 서로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로킹 너브(236)에서 커넥터 본체 바닥 유지부재(154)의 로킹 융기부(172)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측방향으로 확장된 로킹 너브(236) 사이의 거리는 로킹 융기부(172)의 측방향 외측 엣지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다. 2개의 핑거의 유지 영역(237) 사이의 거리는 로킹 융기부(172) 사이의 거리 보다 다소 크거나 거의 동일하다.
리테이너(118)의 언래칭 위치에서, 로킹 융기부(172)는 안착 영역(232)에 배치된다. 리테이너(118)를 그 래칭 위치 또는 내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관통 보어(126)를 향해 가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형 표면(234)은 바닥 유지부재의 로킹 융기부(172)와 접촉하며, 로킹 너브(236)가 로킹 융기부(172)를 초월하도록 레그를 측방향으로 벌린다. 로킹 융기부(172)는 유지 영역(237)과 정렬되며, 상기 로킹 융기부(172)는 연결부재(224) 사이에 포획되고, 로킹 너브(236)는 그 내향 위치 또는 로킹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리테이너(118)를 유지한다.
리테이너(118)의 리테이너 비임(219)은 안내 슬롯(161)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비임은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리테이너(118)의 운동을 안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은 리테이너(118)의 내향 위치 또는 래칭 위치에서 그 자유단부(220)가 튜브(115)와 밀착되어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비임은 수형 부재(114)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래칭 위치에서 업셋(190)의 표면(191)에 대해 접촉 상태로 안착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리테이너(118)는 주 리테이너(11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도 수형 부재(114)를 관통 보어(126)의 내부에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비임(219)은 유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용도에서, 상기 비임(219)은 업셋(190)의 표면(191)과 방사방향으로 충분히 접촉하기 위해 관통 보어(126)내로 신장되지 않는 길이를 가짐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임(219)은 리테이너(118)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안내부로서만 작용한다.
도5 내지 도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18)의 연결부재(224)는 연결부재(224)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멍 또는 개구(240)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240)는 바닥 유지부재(154)의 바닥 벽면(165)에 제공된 원뿔형 보 어(167)와 정렬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개구(240)는 내측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에 인접한 원통형 부분(241)을 포함하며, 바닥 유지부재(154)에서 경사벽(168)에 의해 형성된 원뿔형 보어(167)의 최대 직경 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개구(240)의 나머지는 원통형 부분(241)으로부터 분기되는 원뿔형 표면(243)에 의해 형성된다.
리테이너(118)는 견인 링(119) 형태의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포함한다. 견인 링(119)은 베이스(404)와, 중앙 파지 개구를 형성하는 링 부분(40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링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표면상에 성형된 또 다른 촉각 정보(320)를 갖는 단단한 성형 태그(319)일 수도 있다.
한쌍의 포스트(408)는 링 부분(406)과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404)로부터 신장된다. 상기 포스트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그 중앙은 연결부재(224)의 개구(240)의 중앙과 유지부재(154)의 바닥 벽면(165)의 중앙 보어(167)와 정렬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포스트(408)의 자유단부는 연결부재(224)에서 구멍(240)의 원통형 부분(241) 보다 큰 베이스 직경을 갖는 경사진 노브(410)를 형성한다. 상기 자유단부는 노브(410)의 길이 보다 길고 각각의 포스트의 노브 부분으로 하여금 방사방향 압축시 서로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변형되게 하는 슬롯(412)을 포함한다.
상기 노브(410)는 연결부재(224)의 두께를 약간 초과하는 거리에서 베이 스(404)로부터 이격된 방사방향 래치면(414)을 포함한다. 연결부재(224)에 부착된 표시 요소(119)에 의해, 래치면(414)은 표시 요소(119)를 리테이너(118)에 해제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과 접촉한다. 노브(410)는 베이스(404)로부터 자유단부(415)로의 방향으로 원뿔형태로 경사진다. 각각의 포스트(408)의 원뿔형 표면(416)은 바닥 유지부재(154)의 바닥 벽면(165)에서 보어(167)의 경사벽(168)의 각도 보다 다소 큰 각도로 형성된다. 래치면(414)과 자유단부(415) 사이의 노브의 축방향 길이는 바닥면(169)으로의 보어(167)의 깊이 보다 길다. 로킹 노브(410)가 보어(16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경사벽(168)은 분기된 노브 부분을 가압하여, 슬롯(412)의 폭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밀폐는 래치면(414)에서 노브(410) 주위의 외주가 충분히 감소될 수 있게 하여, 노브(410)로 하여금 연결부재(224)의 구멍(240)의 원통형 부분(241)에 인입될 수 있게 한다. 래치면(414)은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과 더 이상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포스트(408)는 연결부재로부터 후퇴한다. 분기된 원뿔형 표면(243)은 개구(240)로부터 노브(410)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도3 내지 도5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119)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명확함을 기하기 위해, 주 리테이너(116)는 도시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점유하는 위치는 상부 슬롯(158)에 배치된 레그(196)와, 아치형 상부 유지부재(144) 위에 놓인 횡단부재(198)와, 중앙 유지부재(150)와 결합된 래치(206) 이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리테이너(118)의 리테이너 비임(219)은 주 리테이너(116)가 없어도 커넥터 본체(112)에 대한 수형 부재(114)의 해제가능한 래치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도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채택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리테이너(118)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안내만 제공하는 비임(219) 등과 같은 비임을 포함한다.
도3 내지 도6에 있어서, 리테이너(118)는 연결부재(224)에 부착된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119)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118)는 언래칭 위치에 있다. 포스트(408)는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 위에 놓인 래치면(414)을 갖는 개구(240)에 배치되어, 표소 요소(119)를 리테이너(118)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한다. 포스트(408)의 원뿔형 표면(416)은 바닥 유지부재(254)의 바닥 벽면(165)에서 보어(167)의 경사벽(168)과 정렬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3에 도시된 위치에서, 튜브(115)는 관통 보어(126)의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체 포스트 엣지(258)는 리테이너(118)를 언래칭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포물선형 본체 포스트(152)와 접촉한다.
바닥 유지부재(154)의 로킹 융기부(172)는 탄성 핑거(222)의 램프형 표면(234)에 의해 형성된 안착 영역(232)에 안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리테이너 비임(219)이 관통 보어(126)로 신장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4는 로킹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118)를 도시하고 있다. 수형 부재(114)는 보어(126)를 통해 본체(112)에 삽입된다. 수형 부재(114)의 삽입시, 신장 비임(223)의 인식 태브(242)는 업셋(190)과 접촉하여, 본체 포스트 엣지(258)로 하여 금 포물선형 포스트(15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태브가 포스트(152)를 지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리테이너(118)는 래칭 위치로 이동한다. 로킹 융기부(172)는 핑거(222)에 의해 형성된 유지 영역(237)에 배치된다. 리테이너 비임(219)의 자유단부(220)는 튜브(115)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은 비임(219)의 접합면을 업셋(190)의 방사방향 접합면(191)과 접합상태로 배치하므로써 수형 부재(114)를 관통 보어(126)에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관통 보어(126)내로 충분히 신장된다.
포스트(408)의 자유단부(415)는 바닥 유지부재(154)의 바닥벽(165)의 보어(167)내에서 상기 경사벽(168)과 접촉한다. 노브(410)는 경사벽(168)과 원뿔형 표면(416)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압축된다. 포스트(408)의 자유단부는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이 바닥 벽면(165)와 접촉하기 전에, 바닥 유지부재(154)의 보어(167)의 바닥면(169)과 접촉한다. 내향 운동은 래치면(414)에 인접한 노브(410)의 단부로 하여금 연결부재(224)의 개구(240)의 원통형 부분(241)에 인입되게 하여,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으로부터 래치면을 분리시킨다. 포스트(408)의 탄성과 노브의 원뿔형 표면(416)은 포스트와 표시 요소(119)를 연결부재(224)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기 위해, 개구(240)의 분기된 원뿔형 표면(243)과 상호작용한다. 링 부분(406)은 수동으로 파지되며, 표시 요소(119)는 리테이너(118)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119)가 우발적으로 연결부재(224)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재부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노브(410)는 개구(240)에 간단히 삽입되어, 래치면(414)이 연결부재(224)의 내향으로 대면하는 표면(227)을 초월할 때까지 상기 개구내로 가압된다. 한쌍의 포스트(408)가 도시되었지만,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119)를 연결부재(224)와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단일 개구(240)와 협력하는 단일 포스트(408)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서술된 공보와 특허출원서 및 특허를 포함하는 모든 참고문헌은 각각의 참고문헌이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것으로 개별적으로 및 특별히 서술되었을 경우 동일한 정도로 참조인용되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특히 하기 청구범위의 서술에서) "하나" 및 "상기" 등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내용상 특별히 표시하거나 또는 명확하게 부정하지 않는한 단일 또는 다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함유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제한적이지 않은 용어(즉,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로 해석되어야 한다. 서술된 모든 방법들은 발명의 내용상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적절한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과 같은")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양호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명세서내의 용어는 발명의 실행에 기본적인 것으로서 청구하지 않은 요소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본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적의 모드를 포함하여 서술되었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 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채택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전개사시도.
도2는 잉여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된 분리가능 요소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사시도.
도3은 잉여 리테이너의 언래칭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명확함을 위해 주 래치가 제거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단면도.
도4는 잉여 리테이너의 래칭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명확함을 위해 주 래치가 제거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단면도.
도5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본체와 잉여 리테이너 및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언래칭 위치의 잉여 리테이너를 갖는 도3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확대도상의 부분단면도.
도6은 래칭 위치에 잉여 리테이너의 배치시 표시 요소의 분리를 허용하기 위하여 부품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도시한, 도3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확대도상의 부분단면도.
도7은 잉여 리테이너의 래칭 위치를 도시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확대도상의 부분단면도.
도8은 변형된 형태의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의 사시도.

Claims (22)

  1. 유체 라인에 사용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의 수형 수용단부로부터 신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수형 부재를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커넥터 본체의 수형 수용단부를 통해 상기 보어내로 신장되는 수형 부재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수형 부재가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만,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언래칭 위치로부터 래칭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는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영역과,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융기부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킹 융기부는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유지 영역과 결합하므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2개의 핑거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2개의 로킹 융기부와; 상기 리테이너상에 형성되어 2개의 핑거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가 신장되는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상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형성되고, 리테이너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개구 주위에서 연결부재의 일부와 결합하는 방사방향 래치면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핑거 각각은 유지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로킹 융기부는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핑거를 포획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는 그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리테이너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그 단부에 2개의 노브와, 상기 2개의 노브 사이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노브는 상기 개구내로의 포스트 삽입중 서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와 정렬되는 경사벽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원뿔형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노 브의 단부에는 원뿔형 표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벽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노브의 원뿔형 표면과 결합되며; 상기 경사벽과 적어도 하나의 노브 사이의 결합은 방사방향 래치면이 연결부재의 부분과 분리되어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상기 리테이너의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변형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브를 슬롯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원뿔형 형태의 경사진 입구부와, 상기 원뿔형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통형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입구부는 개구내로의 포스트 삽입중 노브를 상기 개구의 외주로부터 멀리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는 리테이너가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될 때 리테이너와 접촉하는 베이스를 갖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주 리테이너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주 리테이너는 로킹 위치와 상기 레그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이격된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원통형의 밀봉면과, 상기 밀봉면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는 수형 부재의 환형 업셋이 리테이너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검정 태브와 접촉하여 배치될 때,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슬롯에서 미끄럼가능한 리테이너 비임과, 상기 검정 태브를 적어도 하나의 핑거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 비임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비임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업셋의 일부와 결합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1. 제1유체 라인과 제2유체 라인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서, 상기 제1유체 라인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커넥터 본체의 제1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라인은 한쪽 단부에 원통형 밀봉면을 형성하는 관형 수형 부재와, 상기 원통형 밀봉면에 인접한 방사방향으로 신장되는 업셋을 포함하며; 상기 제2라인은 원통형 밀봉면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에 형성되어 수형 수용단부로부터 신장되는 관통 보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2개의 로킹 융기부와,
    상기 제2유체 라인을 커넥터 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주 리테이너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부 리테이너와,
    상기 부 리테이너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커넥터 본체의 수형 수용단부를 통해 상기 보어내로 신장되는 수형 부재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 리테이너는 로킹 위치와 레그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부 리테이너는 관련의 검정 태브와 유지 영역을 각각 갖는 이격된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업셋이 상기 검정 태브와 접촉하였을 때만 래칭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2개의 유지 영역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융기부를 포획하며;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는 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 리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 리테이너에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핑거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가 신장되는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상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형성되 고, 상기 부 리테이너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개구 주위에서 연결부재의 일부와 결합하는 방사방향 래치면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스트는 그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부 리테이너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와 정렬되는 상태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경사벽을 갖는 원뿔형 보어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원뿔형 보어는 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경사벽은 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노브와 결합하며; 상기 경사벽과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사이의 결합은 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방사방향 래치면이 연결부재의 부분과 분리되어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상기 부 리테이너의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변형시키고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는 부 리테이너가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될 때 상기 부 리테이너와 접촉하는 베이스를 갖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 리테이너는 제2유체 라인의 업셋이 상기 검정 태브 사이에 배치될 때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슬롯에서 미끄럼가능한 리테이너 비임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비임은 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업셋의 일부와 결합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7. 원통형 밀봉면에 인접한 환형 업셋을 형성하는 수형 부재와 수용 보어를 갖는 커넥터 본체 사이의 유체 연결부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갖는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단계와,
    수형 부재를 수용 보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 보어와 상기 수형 부재의 원통형 밀봉면 사이에 방사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업셋이 리테이너의 검정 태브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형 부재가 보어내에서 완전히 안착된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수형 부재를 보어내로 가압하는 단계와,
    수형 부재가 완전히 안착된 위치에 있을 때만 상기 리테이너를 래칭 위치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리테이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수형 부재를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검정 태브를 형성하는 신장부를 각각 갖는 이격된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수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 완전하게 안착된 위치에 있을 때,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제거되고 언래칭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연결될 때, 상기 리테이너를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와의 결합은, 상기 리테이너의 연결부재를 통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의 베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브를 상기 노브가 개구의 외주로부터 멀리 가압되는 위치로 편향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브를, 상기 노브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단부에 형성된 방사방향 래치가 상기 개구의 외주와 오버랩되는 위치로, 탄력 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단계는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와 정렬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경사벽을 갖는 원뿔형 보어를 제공하는 단계와; 리테이너를 언래칭 위치로부터 래칭 위치로 가압하므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상기 경사벽과 결합하는 단계와;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방사방향 래치면이 연결부재의 부분과 분리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연결부재와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상기 포스트를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가능한 표시 요소를 리테이너로부터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수형 부재를 보어내에 유지하기 위해, 주 리테이너를 커넥터 본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주 리테이너는 로킹 위치와 레그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이격된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수형 부재의 환형 업셋이 검정 태브들 사이에 배치될 때만, 상기 언래칭 위치와 래칭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슬롯에서 미끄럼가능한 리테이너 비임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커넥터 본체의 보어로부터 수형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업셋을 리테이너 비임과 결합하므로써, 상기 리테이너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유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부 검정 방법.
KR1020090072840A 2008-08-07 2009-08-07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594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02408P 2008-08-07 2008-08-07
US61/087,024 2008-08-07
US12/534,418 US8240716B2 (en) 2008-08-07 2009-08-03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US12/534,418 2009-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87A true KR20100019387A (ko) 2010-02-18
KR101594621B1 KR101594621B1 (ko) 2016-02-16

Family

ID=4150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840A KR101594621B1 (ko) 2008-08-07 2009-08-07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40716B2 (ko)
JP (1) JP5464940B2 (ko)
KR (1) KR101594621B1 (ko)
CN (1) CN101644368B (ko)
BR (1) BRPI0903433A2 (ko)
DE (1) DE102009036526A1 (ko)
FR (1) FR29348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10A (ko) * 2016-06-17 2019-01-28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퀵 커넥터
KR20200130744A (ko) * 2018-05-31 2020-11-19 한일튜브 주식회사 퀵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JP5518522B2 (ja) * 2010-02-23 2014-06-11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ITMI20100502A1 (it) * 2010-03-26 2011-09-27 Sirai Elettromeccanica S R L Dispositivo di collegamento per impianti idraulici o pneumatici
CN103354884B (zh) * 2010-05-04 2015-09-16 诺玛美国控股有限责任公司 快速连接器组件
US8297659B2 (en) * 2011-02-22 2012-10-3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CN103620289B (zh) * 2011-06-16 2016-10-26 株式会社东乡制作所 配管用连接器
JP5715700B2 (ja) * 2011-08-29 2015-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JP5797547B2 (ja) * 2011-12-27 2015-10-21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MX2016016659A (es) 2014-06-19 2017-05-15 Nat Res Council Canada Tintas moleculares.
CN104295836B (zh) * 2014-11-06 2016-03-02 重庆溯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管路系统带防错、确认功能的快换接头
US10422459B2 (en) *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FR3044382B1 (fr) * 2015-11-30 2017-12-0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CN105822865A (zh) * 2016-05-19 2016-08-03 苏州优斯曼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连接结构
US10006577B2 (en) 2016-07-15 2018-06-26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Permanent quick connector and assembly therewith
KR102199268B1 (ko) 2016-07-29 2021-01-06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DE102016009168A1 (de) * 2016-07-29 2018-02-01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erbinder
US10569644B2 (en) * 2016-10-27 2020-02-25 Yachiyo Industry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integrated component of fuel tank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D859618S1 (en)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US10865922B2 (en) 2017-10-05 2020-12-15 Novares Us Engine Components, Inc. Anti-tamper permanent quick connect coupling device
CN110220056B (zh) * 2018-03-02 2021-04-27 A.雷蒙德公司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JP6722714B2 (ja) * 2018-04-26 2020-07-15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3086721B1 (fr) * 2018-09-28 2020-11-20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pour un circuit de fluide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8220534A1 (de) * 2018-11-29 2020-06-04 Zf Friedrichshafen Ag Öldrainage
EP3736481B1 (en)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CN113785152A (zh) * 2019-05-14 2021-12-10 欧梯克纽约股份有限公司 连接验证器
AT522804B1 (de) * 2019-09-03 2021-02-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CN211624293U (zh) * 2019-12-27 2020-10-02 厦门方特卫浴有限公司 一种龙头结构
EP3879158B1 (de) 2020-03-12 2024-02-28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verbinder mit einem indikator
DE102020204825A1 (de) * 2020-04-16 2021-10-21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zur Verbindung von Fluidleitungen
US20230258290A1 (en) * 2020-10-26 2023-08-17 Oetiker Ny, Inc. Fluid connection assembly
CN113483179B (zh) * 2021-07-05 2022-06-17 重庆溯联塑胶股份有限公司 防错双锁止快速连接器
CN114110279B (zh) * 2021-11-05 2023-05-16 重庆溯联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冷却管路连接装置校验卡套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782A (ja) * 2002-05-23 2003-12-03 Tokai Rubber Ind Ltd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30095265A (ko) * 2002-06-04 2003-12-1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JP2004251319A (ja) * 2003-02-18 2004-09-09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
JP2005106241A (ja) * 2003-10-01 2005-04-21 Togo Seisakusho Corp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555A (en)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JPH10231980A (ja) * 1997-02-20 1998-09-02 Tokai Rubber Ind Ltd コネクタ組立体
CA2251520C (en) * 1997-10-31 2003-12-30 Atsushi Ohta Pipe connector connection checking assembly
JP3988180B2 (ja) * 2002-02-28 2007-10-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EP1359361B1 (de) 2002-05-04 2005-10-05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US7390025B2 (en)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806213B2 (en) * 2004-12-17 2010-10-05 Tokai Rubber Industries, Ltd. Piping structure for transporting a fuel
CN1789068A (zh) * 2004-12-17 2006-06-21 东海橡胶工业株式会社 用于输送燃料的管道结构、适用在该管道结构中的用于输送燃料的树脂管及其生产方法
US7484774B2 (en)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N1908496B (zh) * 2005-06-15 2012-09-05 Ti集团车辆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快速连接器的拉动接头检验器组件
US7497477B2 (en) * 2005-06-15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ull tab verifier assembly for quick connectors
SE529111C2 (sv) * 2005-09-30 2007-05-02 Itw Sverige Ab Kopplingsanordning för sammankoppling av rörformade segment samt kopplingssystem innefattande kopplingsanordning
US7497480B2 (en) * 2006-04-07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Hybrid quick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782A (ja) * 2002-05-23 2003-12-03 Tokai Rubber Ind Ltd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30095265A (ko) * 2002-06-04 2003-12-18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JP2004251319A (ja) * 2003-02-18 2004-09-09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
JP2005106241A (ja) * 2003-10-01 2005-04-21 Togo Seisakusho Corp 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10A (ko) * 2016-06-17 2019-01-28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퀵 커넥터
KR20200130744A (ko) * 2018-05-31 2020-11-19 한일튜브 주식회사 퀵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36526A1 (de) 2010-02-11
FR2934882A1 (fr) 2010-02-12
JP2010038365A (ja) 2010-02-18
US20100032937A1 (en) 2010-02-11
CN101644368B (zh) 2014-07-09
CN101644368A (zh) 2010-02-10
KR101594621B1 (ko) 2016-02-16
BRPI0903433A2 (pt) 2010-06-22
US8240716B2 (en) 2012-08-14
JP5464940B2 (ja)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387A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153635B1 (ko)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US7128347B2 (en)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KR101715636B1 (ko) 프로파일 리드-인을 갖는 유체 커넥터 래치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US10816121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JP2005291497A5 (ko)
KR101360518B1 (ko)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KR20140092260A (ko) 퀵 커넥터
JP2006349176A5 (ko)
EP1719944B2 (en) A quick connector
EP4008946B1 (en) A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US20050236833A1 (en) Tube lock quick connector
BRPI0602311B1 (pt) Acoplamento de conector rápido e método de uso do mesmo
KR200497939Y1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CN118049551A (zh) 带导向部件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