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265A -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265A
KR20030095265A KR10-2003-0036134A KR20030036134A KR20030095265A KR 20030095265 A KR20030095265 A KR 20030095265A KR 20030036134 A KR20030036134 A KR 20030036134A KR 20030095265 A KR20030095265 A KR 2003009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pipe
stopp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223B1 (ko
Inventor
마사시 후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3009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이 하나의 파이프에 결합되고, 한쪽 단부의 외주변부 상에서 환형 돌출부를 갖는 다른 파이프가 결합될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인접한 초기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푸시-인(push-in) 위치로 이동되는 스톱퍼와, 초기 위치 및 삽입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스톱퍼가 푸쉬-인 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면 삽입될 수 없게 된다.

Description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Connector with check func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연료,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를 위한 파이프 연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파이프 연결이 완전히 이루어 졌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퀵 커넥터(quick connector)라 불리는 커넥터가 차량 등의 연료 공급장치의 파이프 연결부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커넥터에 따른면, 연결될 하나의 파이프는 그 단부의 외측 주변부 상에 환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한편, 연결될 다른 파이프는 원통형에 가까운 하우징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환형 돌출부가 하우징 내에 장착된 리테이너라 불리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므로써, 상기 파이프가 원-터치 작업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게이트형 삽입편을 갖는 리터이너를 사용하는 다른 퀵 커넥터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후,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편이 상기 환형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삽입된다.
상술된 퀵 커넥터는 파이핑 작업이 쉽고 빠르게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커넥터의 미미한 시야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상기 환형 돌출부가 완전히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파이핑 작업에서의 실수로 인해 상기 연결부가 불완전한 상태에서 유체가 흐르게 되면, 연결부가 분리되어 유체의 누수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일본특허 출원 제10-141567호에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한정된 부분과 반경방향으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 마주하게 제공되는 한쌍의 윈도우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리테이너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윈도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한쌍의 클로(claw)를 갖는다. 상기 클로들은 개방된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축방향의 내측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져, 상기 파이프가 내부로 도입될 때, 상기 환형 돌출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경사 내면상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경사 내면과,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환형 돌출부 상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므로써, 상기 파이프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부분에서 멈춰지게 되므로써 축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는 축방향 제한부와 탄성 변형에 의해 직경의 확장이 가능한 C-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확인부재가 일방향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상기 축을 향해 외측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제공된다. 상기 C-형상 부재는 결합을 통해 상기 윈도우부의 엣지에 정지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가 내측으로 완전히 도입되어 결합이 완료될 때, 상기 C-형상 부재는 클로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므로써, 상기 확인부재가 제거되어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서 1: JP-A-10-141567
상기 확인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는,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와 결합된 하우징 내로 도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확인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므로써 연결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가 커넥터와의 결합 해제로 인해 분리되어 재연결되는 경우, 확인부재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상기 결합상태를 더 이상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확인부재는 재연결시 하우징에 다시 제공되어 부착될 수 도 있지만, 이러한 작업은 실제적 필요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지루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가 연결된 후, 커넥터의 미미한 시야를 통해 연결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가 분리되었다가 재연결된 경우에도 외부에서 단번에 상기 연결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를 위한 파이프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이프들 중의 하나는 한쪽 단부의 외주변부 상에서 환형 돌출부를 가지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들 중의 다른 파이프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인접한 초기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푸시-인(push-in) 위치로 이동되는 스톱퍼와; 초기 위치 및 삽입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및 스톱퍼는 각기 제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스톱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를 제한하여, 상기 스톱퍼가 푸시-인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상기 스톱퍼가 푸시-인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90도 각도의 일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향하여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된 상부 개개부 내로 삽입되는 록킹편을 가지며, 상기 록킹편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와 탄력적으로 치합되는 치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삽입될 때, 상기 치합편은 상기 환형 돌출부와 맞대여 탄력적으로 개방되는 상태로 상기 환형 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치합편이 환형 돌출부와 치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킨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은 삽입방향으로 끝단부에서 기방되고, 상기 록킹편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대략 반원형의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의 치합편은 상기 록킹편의 끝단부의 개방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톱퍼는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돌출편을 가지며, 상기 돌출편들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리터이너의 측벽이 하우징의 측벽을 덮도록 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은, 상기 스톱퍼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편의 돌출부와 치합되는 삽입 제한부를 포함한다. .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의 내주변부 상에서 필라형(pillar-shaped)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형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2상부 개구부를 통해 록킹 편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록킹편에 대해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이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필라형 돌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외주변부에 맞대여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거의 삽입되었으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필라형 돌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에 맞대여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라형 돌출부와 록킹편 사이의 간극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에서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및 스톱퍼 중의 한 곳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돌출된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개구부의 측면상의 엣지부에 있는 그 상부벽에서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의 내주변부 상에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치부 내로 삽입되어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에 맞대여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은 멈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록킹편이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 내로 삽입된 후,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부 엣지부와 치합되어 상기 록킹편의 치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커버벽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이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간극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커버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은 상기 커버벽으로 덮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되는 리테이너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을 덮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엣지부와 맞대이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 상에서 노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공구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전단면도, 도 3b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평단면도;
도 4a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그 전면도, 도 4c는 후면도;
도 5a는 상기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c는 도 4b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5d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 전단면도;
도 6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상기 스톱퍼의 전면도, 도 6c는 상기 스톱퍼의 저면도, 도 6d는 상기 스톱퍼의 후면도, 도 6E는 도 6b의 선 E-E를 따른 단면도, 도 6f는 도 6b의 선 F-F를 따른 단면도, 도 6g는 상기 스톱퍼의 사시도;
도 7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상기 리테이너의 전면도, 도 7c는 상기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7d는 상기 리테이너의 좌측면도;
도 8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도 7b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 도 8c는 도 7b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 도 8d는 도 7b의 선 D-D를 따른 단면도;
도 9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선 X-X를 따른 단면도;
도 10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더욱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선 X'-X'를 따른 단면도;
도 11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선 Y-Y를 따른 단면도;
도 12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상기 리테이너를 삽입하므로써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선 Y'-Y'를 따른 단면도;
도 13은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상기 리터이너를 그 내부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사시도;
도 15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상기 리테이너를 삽입하므로써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7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17b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 도 17c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 도 17d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도;
도 18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 17d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18b는 도 17b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 도 18c는 도 17b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
도 19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b는 상기 스톱퍼의 전면도, 도 19c는 상기 스톱퍼의 저면도, 도 19d는 상기 스톱퍼의 후면도, 도 19e는 상기 도 19b의 선 H-H에 따른 단면도, 도 19f는 도 19b의 선 I-I에 따른 단면도;
도 20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전면도, 도 20b는 상기 리테이너의 후면도, 도 20c는 상기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20d는 상기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20e는 도 20b의 선 D-D를 따른 단면도;
도 21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도 20c의 선 G-G를 따른 단면도, 도 21b는 도 20c의 선 E-E를 따른 단면도, 도 21c는 도 20c의 선 F-F를 따른 단면도;
도 22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2의 선 K-K를 따른 단면도, 도 23b는 도 22의 선 J-J를 따른 단면도;
도 24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할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4의 선 M-M을 따른 단면도, 도 25b는 도 24의 선 L-L을 따른 단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캡을 나타내는 전면도, 도 26b는 상기 캡의 측면도, 도 26c는 상기 캡의 사시도;
도 27a는 상기 캡이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b는 도 27a의 선 N-N을 따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9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29b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 도 29c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 도 29d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도;
도 30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 29d의 선 O-O를 따른 단면도, 도 30b는 도 29b의 선 P-P를 따른 단면도, 도 30c는 도 29b의 선 Q-Q를 따른 단면도, 도 30d는 도 29b의 선 P'-P'를 따른 단면도;
도 31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전면도, 도 31b는 상기 리테이너의 후면도, 도 31c는 상기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31d는 상기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31e는 도 31b의 선 U-U를 따른 단면도;
도 32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도 31c의 선 T-T를 따른 단면도, 도 32b는 도 31c의 선 S-S를 따른 단면도, 도 32c는 도 31c의 선 R-R에 따른 단면도;
도 33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평편도, 도 33b는 상기 스톱퍼의 전면도, 도 33c는 상기 스톱퍼의 저면도, 도 33d는 상기 스톱퍼의 후면도, 도 33e는 도 33b의 선 V-V를 따른 단면도, 도 33f는 도 33b의 선 W-W를 따른 단면도;
도 34a는 상기 스톱퍼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b는 상기 스톱퍼가 하우징을 통해 거의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c는 상기 스톱퍼를 점검 기능을 갖는 상태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삽입시키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스톱퍼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시킬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6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시킬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6b는 도 36a의 선 Z-Z를 따른 단면도;
도 37은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시킬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시킬 때,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8b는 도 38a의 선 Z'-Z'를 따른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0a는 리테이너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0b는 상기 리테이너가 공구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1은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2는 상기 커버부재가 부착된 상태의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3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3b는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도, 도 43c는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도, 도 43d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도, 도 43e는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도;
도 44a는 본 발명의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리터이너가 거의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4b는 상기 리터이너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5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6a는 점검 기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6b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 도 46c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 도 46d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도, 도 46e는 도 46b의 선 W'-W'를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가 도1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점검 기능을 가진 커넥터(connector)가 한쌍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하나의 파이프(400)는 그 단부 외주에 환형 돌출부(40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호스나 튜브처럼 연결되는 다른 파이프(미도시)는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또한, 점검 기능을 가진 커넥터는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스톱퍼(200)는 미리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리테이너(300)는 하우징(100)에 조립된다. 연결된 파이프(400)의 단부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 리테이너(300)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리테이너(300)는 그것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환형 돌출부(401)와 맞물리고 연결이 완료된다.
하우징(100)의 구조는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100)의 일단은 예를 들면 호스나 튜브처럼 연결된 다른 파이프(미도시)가 외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연결된 니플(101)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타단은 연결된 파이프(400)의 일단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통해 개구부(102)를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외측 직경은 니플(nipple:101)로부터 개구부(102)로 접근하는제1직경 확대부(103), 제2직경 확대부(104) 및 제3직경 확대부(105)의 3단계로 확대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경은 외경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경 확대부(103)의 내경은 파이프(400)가 그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400)의 단부에 맞는 크기이다. 제2직경 확대부(104)의 내경은 스톱퍼(200)가 그 안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200)의 끝 단부에 맞는 크기이다. 2개의 실링(106)은 환형 스페이서(107)를 통해 제2직경 확대부(104)의 내주에 배치된다.
하나의 상부벽(108), 2개의 측벽(109), 및 하부벽(110)이 제3직경 확대부(105)에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111)은 스톱퍼(200)의 치합 편(engaging piece; 201)이 안으로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하부벽(110)의 내주에 형성된다. 또한, 스톱퍼 홀들(116)은 리테이너(300)의 록킹편(locking piece; 301)의 끝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롯(111)의 양측에 다소 먼 위치에 형성된다. 단지 하나의 스토핑 홀(116)이 도2에 도시되었을지라도 하나의 스토핑 홀(116)은 슬롯(111)의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다.
각 측벽들(109)은 스톱퍼(200)의 한쌍의 돌출 편들(202)이 고정되도록 측벽 개구(112)가 형성된다. 상부벽(108)에는, 리테이너(300)의 록킹편(301)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부벽 제1개구(113), 리테이너(300)의 필라형(pillar-shaped) 돌기(302)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벽 제2개구(114) 및 스톱퍼(200)의 탄성 클로(claw)가 함께 맞물리도록 슬릿형상을 가진 상부벽 제3개구(115)가 형성된다.
또한, 각 측벽(109)에는 돌기(304)(도8(b) 및 도13 참조)가 그 하단부에 리테이너(300)의 양 측벽(312)의 내주에 형성되도록 외측에 상부 슬라이딩 위치 홀딩 슬롯(holding slot; 117)과 하부 슬라이딩 위치 홀딩 슬롯(118)을 형성한다. 또한, 돌출 스트립(119)(도14 및 도 15 참조)은 측벽 개구(112)에 대해 파이프 삽입 방향으로 다소 떨진 위치에 형성되고, 스톱퍼(200)의 각 돌출 편(202)의 단부에 형성된 치합 슬롯(204)과 맞물린다.
또한, 플레이트형 프로텍터(plate-shaped protector; 120, 121)는 리테이너(300)가 스테핑 스톤(stepping stone) 등에 의해 직접 가격될 때, 리테이너(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 측벽(109)과 하부벽(110) 사이의 접경부에 형성된다.
각 측벽(109)의 측벽 개구(112)에 형성된 벽부(109a)는 상하부 슬라이딩 위치 홀딩 슬롯들(117, 118)에 형성된 벽부(109b)에 비해 폭방향으로 좁고, 그 결과 각각은 하기에 기술될 리테이너(300)가 쉽게 슬라이드되도록 안내하는 형상이다. 또한, 하기에 기술될 리테이너(300)의 슬릿들(305: 도 2참조)에 고정된 2개의 클로(112)가 하우징(100)의 개구부(102)의 단부 표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하우징(100) 내에 미리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된 스톱퍼(200)는 특히 도2, 도6 및 도9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스톱퍼(200)는 하우징(100)의 제1직경 확대부(103)의 내주에 맞는 환형부(205)를 포함한다. 또한, 환형부(205)는 실링들(10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와준다.
파이프(400)의 환형 돌출부(401)에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치합편(201)과 하우징(100)의 각 측벽(109)에 측벽 개구(112)를 통해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편(202)은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향해 환형부(205)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텅 편(tongue piece; 206)도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향해 환형부(205)로부터 연장된다. 텅 편(206)은 치합 편(201)에 반대 위치에 형성된다. 탄성 클로(203)는 텅 편(206)의 림(rim) 내에 U자형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한정된다. 탄성 클로(203)는 스톱퍼(200)가 푸쉬-인(push-in) 위치로 이동할 때 하우징(100)의 상부벽 제3개구(115)의 내주에 맞물린다.
치합편(201)은 축방향으로 환형부로부터 연장되고, 이후 외경 방향으로 벤딩되며, 다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치합 클로(207)는 치합 편(201)의 끝 단에 형성된다. 치합 클로(207) 앞 부분에는 치합 클로(207)와 벤딩부 사이에 제공된 오목부(concave)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파이프(400)가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통해 삽입될 때, 환형 돌출부(401)는 치합 편(201)을 가압하여 연장하도록 치합 클로(207)에 대해 접하도록 그런 방식으로 배열된다. 환형 돌출부(401)는 치합 클로(207)를 타고 넘을 때, 환형 돌출부(401)는 오목부(208)에 맞물린다.
환형부(205)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돌출 편(202)은 어떤 거리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이후 하우징(100)의 각 측벽(109)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돌출 편(202)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측벽 개구(112) 내로 각각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부분(210)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으로 접혀진다. 또한, 돌출 편(202)의 각각은 가이드 플레이트(211)를 포함하고, 가이드 플레이트(211)는 측벽 개구(112) 내로 고정되는 동안 축방향 내로 슬라이드되도록 플레이트 부분(210)을 안내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형 부분(210)보다 베이스부에 더 근접한 측면에 상응하는 측벽개구(112)의 내주에 대해 접한다.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10a)는 개구부(102)에 근접한 단부의 플레이트형 부분(210)에 설치된다. 돌기(210a)는 초기위치에서 하기에 기술될 리테이너(300)와 맞물리고, 그 구조는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의 각 측벽(109)에 형성된 돌출 스트립(119)에 맞물리는 치합 슬롯(204)은 개구부(10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단부 내측의 플레이트형 부분(210)에 설치된다.
스톱퍼(200)는 하우징(100)의 제1직경 확대부(103)의 내주 내부로 삽입된 환형부(205), 하우징(100)의 하부벽(110) 내에 슬롯(111) 내부로 삽입되는 치합 편(201), 및 내면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측벽 개구(112)에 고정된 돌출 편(202)의 플레이트형 부분(210)과 함께 미리 하우징(100) 내면에 부착된다.
리테이너(300)는, 특히 도1, 2, 7, 8, 9 및 13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리테이너(300)는 상부벽(310), 양측벽(312), 및 전방벽(313)을 포함한다.
상부벽(310)은 하우징(100)의 상부벽(108)에 맞는 곡선 표면을 가진 곡선형이다. 하우징(100)의 상부벽 제1개구(113) 내부로 삽입되는 록킹 편(301)은 그 내주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편(301)은 2개의 벽 부분(312a)으로부터 다소 이격된 플레이트형 내에 연장되고, 하부 에지부(edge portion)의 반원형(semi-circular shape) 내에 절단된 노치부(notch portion)를 포함한다. 노치부(301a)는 파이프(400)의 외주에 맞고, 반원형보다 다소 길게 호를 형성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치부(301a)는 내경 길이가 중앙에 대해 100∼120도의 각도를 가지는 그러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 형상은 록킹 편(301)이 클릭킹(clicking) 응답과 함께 파이프(400)에 맞아 떨어지게 하고, 가능한 한 넓은 범위로 환형 돌출부(401)와 맞물리게 한다.
또한, 돌출 방향으로 록킹 편(301)의 2개의 각 측단부(301b)는 외측으로 개방된 정밀한 직경부를 형성하고, 게다가 그 끝단은 돌출 형을 형성한다. 외측으로 개방된 정밀한 직경부로서 각 측단부(301b)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400)는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각 측단부(301b)의 끝단은 록킹 편(301)이 삽입될 때 하우징(100)의 하부벽(110) 내의 스토핑 홀들(116) 내부로 각각 삽입되고, 거기에서 각 측단부(301b)는 파이프(400)의 환형 돌출부(401)에 대해 치합력을 강화하도록 상부와 하부에서 록킹 편(301)을 지지한다.
또한, 필라형 돌기(302)는 록킹 편(301)에 대해 하우징(100)의 개구부(102) 측의 리테이너(300)의 상부벽(310)의 내벽에 배치된다. 필라형 돌기(302)와 록킹 편(301) 사이에 거리는 환형 돌출부(401)의 두께보다 작다. 필라형 돌기(302)는 하우징(100)의 상부벽 제2개구(114)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고, 그 돌출단부는 리테이너(300)가 완전히 삽입되는 동안 파이프(400)의 외주에 대해 접하도록 배열된다.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312)은 하우징(100)의 대응 측벽(109)의 벽부(109a)에 대해 접하는 오목한 벽부(312a)와, 하우징(100)의 대응 측벽(109)의 벽부(109b)에 대해 접하는 돌출 벽부(312b)를 포함한다.
각 벽부(312a)는 리테이너(300)가 손가락 사이에 유지될때, 후크로 사용되는미끄럼 방지 돌기(315)가 형성된다. 스톱퍼(200)의 대응 플레이트형 부분(210)의 돌기(210a; 도2 및 6 참조)와 맞물리는 스텝부(316; 도13 참조)는 벽부(312a)의 내측 하부 에지부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스톱퍼(20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300)의 스텝부(316)는 리테이너(300)가 밀려들어가지 않도록(도9 및 10 참조) 스톱퍼(200)의 돌기와 맞물린다. 스톱퍼(200)의 돌기(210a)와 리테이너(300)의 스텝부(316)는 함께 본 발명의 삽입 억제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스토핑 슬롯(316a; 도 7(b) 및 도13 참조)은 벽부(312a) 측의 각 스텝부(316) 내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스톱퍼(20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될 때 스톱퍼(200)의 돌기(210a)가 스토핑 슬롯(316a)과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초기 위치에 스톱퍼(200)를 유지시키는 그런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한, 각 벽부(312b)는, 분리 방식으로 하우징(100)의 대응 측벽(109)의 벽부(109b)에 형성된 상, 하부 슬라이딩부 유지 슬롯(117, 118)에 맞물리는 돌기(304)를 내측 하부 에지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돌기(304)는 리테이너(300)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갈 때 상부 슬라이딩 위치 유지 슬롯(117)과 맞물린다. 다른 한편으로는, 돌기(304)는 리테이너(300)가 삽입될 때 하부 슬라이딩 위치 유지 슬롯(118)에 맞물린다.
리테이너(300)의 전방 벽(313)은 얇은 플레이트형으로 상부 벽(310)으로부터 연장된 벽에 형성되고, 그 결과 전방 벽(313)은 하우징(100)의 개구부(102)의 단부 표면을 덮을 수 있다. 전방 벽(313)은 좌우측 한쌍의 슬릿(320)에 의해 중심 플레이트부(321)와 2개의 측면 플레이트부(322)로 나뉜다.
각 측판부(322)는 슬릿(305)을 가지며, 이 슬릿에 하우징(100)의 개구부(102)의 단부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클로(claw, 122)가 끼워진다. 클로(122)는 소정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활주하여 슬릿(305)에 끼워져, 리테이너(300)가 활주하도록 안내한다.
파이프의 외주에 접하는 호형 노치(323)는 중앙판부(321)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필라형 돌출부(324)가 양측에서 각각 중앙판부(321)의 말단부들에 제공된다(도 8a, 도 8b 및 도 13 참조). 돌기들(324)의 내측 및 필라형 돌출부(302)의 하단은 파이프(40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파이프(400)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때와 환형 돌출부(401)이 돌기들(324) 및 필라형 돌출부(302)의 아래에 위치할 때, 리테이너(300)는 완전히 삽입될 수 없다.
여기서, 잠금편(301)은 하우징(100)의 상측벽 제 1 구멍(113)으로 삽입되고, 필라형 돌출부(302)는 상측벽 제 2 구멍(114)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측벽들(312)의 벽부들(312a)은 하우징(100)의 측벽들(109)의 벽부들(109a)을 따라 위치되며, 측벽들(312)의 벽부들(312b)은 하우징(100)의 측벽들(109)의 벽부들(109b)을 따라 위치된다. 또한, 전측벽(313)의 중앙판부(321)는 탄성적으로 들어올려져, 돌기들(324)은 하우징(100)의 개구부들(102)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전측벽(313)은 하우징(100)의 개구부(102) 앞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300)는 하우징(100)에 조립된다.
상측벽(310)의 한 쌍의 구멍(326)과 중앙판부(321)의 구멍(325)은 몰딩시 다이커팅(die-cutting)에 사용하기 위한 홀(hole)들이다.
이제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우징(100)의 니플(101)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호스나 튜브와 같은, 연결될 다른 파이프 에 결합된다. 그리고 나서, 연결될 파이프(40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통해 삽입된다. 파이프(400)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호스나 튜브에 연결될 수 있다.
우선, 파이프(4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리테이너(300)는 하우징(100)에 대해 상방으로 당겨져 리테이너(300)의 돌기들(304)은 하우징(100)의 상부 활주위치 홀딩슬롯(117)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00)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고, 스톱퍼(200)의 돌출편(202)의 돌기들(210a)은 리테이너(300)의 단차부들(step poertion, 316)의 멈춤 슬롯들(stopping slot, 316a)에 걸린다. 또한, 리테이너(300)의 단차부들(316)이 스톱퍼(200)의 돌출편들(202)의 돌기들(210a) 근처에 걸리기 때문에, 리테이너(300)는 삽입될 수 없다. 또한,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들(312)의 단차부들(316)이 스톱퍼(200)의 돌출편들(202)에 걸리기 때문에, 리테이너(300)는 기울지 않을 것이며, 이는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리테이너(300)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400)의 끝단부는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통해 삽입되고 나서, 스톱퍼(200)의 환형부(205)를 관통하고, 제 2 확경부(diameter-enlarging portion, 104)의 내주에 위치된 씰링들(106) 및 스페이서(107)를 관통하여, 제 1확경부(103)의 내주로 삽입된다.
도 10 및 도 14는 파이프(400)가 반쯤 삽입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한다. 파이프(400)가 삽입될 때, 환형 돌기부(401)는 스톱퍼(200)의 걸림편(201)의 클로(207)에 접한다. 이에 응하여, 걸림편(201)은 탄성적으로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환형 돌기부(401)는 클로(207)를 넘어가서 요부(208)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환형 돌기부(401)는 요부(208)의 최내측벽에 접하고, 스톱퍼(200)에 걸린다. 이러한 이유로, 파이프(400)가 더 삽입되면, 스톱퍼(200)의 돌출편(202)의 돌기들(210a)과 리테이너(300)의 단차부(316)의 멈춤 슬롯(316a) 간의 걸림은 해제되고, 그에 따라 스톱퍼(200)는 환형돌기부(401)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나, 리테이너(300)의 단차부(316)가 여전히 스톱퍼(200)의 돌출편들(202)의 돌기둘(210a) 근처에 걸리는 반면 파이프(400)는 반쯤 삽입되기 때문에, 리테이너(300)는 삽입될 수 없다.
스톱퍼(200)가 움직이고 돌출편들(202)의 돌기들(210a)이 리테이너(300)의 단차부(316)로부터 이탈할 때, 적어도 하나의 잠금편(301), 필라형 돌출부들(302), 및 리테이너(300)의 돌기들(324)은 작업자가 리테이너(300)를 삽입하려고 할 때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에 접하고, 이는 리테이너(30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리테이너(300)가 불완전하게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작업자는 결합이 완료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400)가 제 1 확경부(103)의 내측단에 도달할 때까지 파이프(400)의 끝단부가 완전히 가압될 때, 스톱퍼(200)가 푸쉬-인(push-in) 위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스톱퍼(200)의 돌출편들(202)의 걸림 슬롯들(204)은 하우징(100)의 각 측벽들(109)에 형성된 돌출 스트립들(119)에 걸리고, 스톱퍼(200)의 텅편(tongue piece, 206)의 탄성 클로(203)는 하우징의 상측벽 제 3 구멍(115)의 내주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스톱퍼(200)의 돌출편들(202)의 돌기들(210a)는 리테이너(300)의 단차부(316)로부터 완전히 멀어지고, 이에 따라 돌기들(210a) 근처와 단차부(316)의 걸림은 해제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300)을 하우징(100)으로 눌러서 삽입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는 리테이너(300)가 상술한 상태에서 눌러져 하우징(100)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0)는 리테이너(300)의 잠금편(301)의 노치부(301a)로 끼워지고 잠금편(301)의 각 측단부(301b)의 끝단들은 하우징(100)의 바닥(110)의 멈춤홀들(116)로 삽입되는 한편, 잠금편(301)은 리테이너(300)의 상측벽(310)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우징의 바닥(110)에 결합되는 하단으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파이프(400)를 잡아당길 때,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잠금편(301)에 걸려 파이프(400)가 리테이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파이프(400)의 끝단부는 씰링들(106)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측벽과 밀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파이프(400)는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하우징(100)에연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 또는 튜브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400)가 하우징(100)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리테이너(300)가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리테이너(300)가 삽입되는 동안 파이프(400)와 하우징(10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결합이 불완전할 경우 리테이너(300)는 절대로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육안으로 리테이너(300)가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만을 간단하게 관찰하는 것에 의해 결합의 완료를 검사할 수 있다.
결합된 커넥터가 제거되고 재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100)으로부터 상방으로 리테이너(300)를 당기는 것에 의해 삽입은 해제되고, 파이프(400)는 이 상태에서 당겨진다. 그러면, 스톱퍼(200)는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에 끼워진 걸림편(201)을 통해 파이프(400)와 함께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향해 움직이고, 도 9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재결합 할 때, 리테이너(300)의 삽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톱퍼(200)에 의해 제한되어, 리테이너(300)는 파이프(400)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삽입될 수 없다. 그러므로, 외측으로부터 육안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불완전한 결합을 검사할 수 있다.
어떠한 이유로 스톱퍼가 푸쉬-인 위치로 움직이고 리테이너(300)가 삽입될 때, 파이프(400)의 단부는 내측으로 도입되기 위해 리테이너(300)의 전측벽(313)의 노치(323)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노치(323)에 의해 걸리므로, 파이프(400)는 삽입될 수 없고 환형 돌기부(401)는 외측에서 유지되며, 이에 근거하여 작업자는 결합이 불완전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파이프(400)가 리테이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리테이너(300)의 잠금편(301)에 걸리는 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스톱퍼(200)를 구비하여, 리테이너(300)는 파이프(400)가 완전히 삽입될 때만 삽입되는 것에 의해 결합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데만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톱퍼(200) 자체에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구조에 대하여, 공지의 급속 커넥터에 사용되는 잠금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JP-A-2002-213671에 개시된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6 내지 도 25르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30)가 파이프(40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개구부(102)측 가장자리에서 하우징(100)의 상측벽에 형성된다.
대응하게,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30)로 삽입되고 하우징(100)으로 연장할 돌기부(330)가 리테이너(300)의 상측벽(310) 내주에 형성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30)는 두 개의 측부(330a)와 중앙부(330b)를 가진다. 각각의 측부(330a)는 파이프(400)의 외주에 맞도록 하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돌기(330)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측부(330a)의 하단은 환형 돌기부(401)와 간섭하고, 이에 따라돌기부(330)는 삽입 위치로 리테이너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도록 기능한다.
잠금편(301)은 개구부(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기부(3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절단된 노치부(301a)가 잠금편(301)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또한, 멈춤부(301c)가 잠금편(301)의 각 측단부(301b) 외측에 형성된다. 잠금편(301)이 하우징(100)의 제 1 개구부(113)로 삽입될 때 멈춤부(301c)는 제 1 개구부(113)의 내측 림부(inner rim portion)에 결리고, 그에 따라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슬릿형 통공(335)이 돌기부(330)와 잠금편(301) 사이의 상측벽(310)에 형성된다. 돌기부(330)와 잠금편(301) 사이의 간격은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의 두께보다 작아, 환형 돌기부(401)는 그 간격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개구부(102)측 및 (파이프(400)가 불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편(301)을 넘어가기 전의 위치에 위치될 때, 돌기부(330) 또는 잠금편(301)은 환형 돌기부(401)과 간섭되고, 이는 리테이너(300)가 삽입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통공(335)과 관련하여, 하우징(100)은 노치(130)에 인접하고 상측벽(108)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돌출편(135)을 포함한다. 리테이너(300)가 삽입 위치로 움직일 때, 돌출편(135)는 리테이너(300)의 통공(335)를 통해 돌출하여,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거나 돌출된 상태가 손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리테이너(300)가 삽입 위치로 움직여 연결이 완료된 것을 육안으로 또는 돌출편(135)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손접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부(138)가 하우징(100)의 제 2 확경부(104)와 제 3 확경부(105)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13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하는 플랜지부(139)가 하우징(100) 바닥의 림에 형성된다. 플랜지부들(138, 139)은 리테이너(300)의 한쪽 단부면 및 바닥면에 접하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30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한 외형은 차이가 있지만, 다른 부분들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대체로 같다. 도 22 및 도 23는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24 및 도 25는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편(135)은 하우징(100)에 제공된다. 하우징(100)으로 파이프(400)를 완전히 삽입하고 리테이너(30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연결이 완료되어 리테이너(300)의 잠금편(301)이 환형 돌기부(401)에 걸릴 때, 돌출편(135)은 리테이너(300)의 통공(335)를 통해 돌출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이 완료된 것은 육안으로 또는 손접촉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멈춤부(301c)rk 리테이너(300)의 잠금편(301)에 제공되어, 잠금부(301)가 하우징(100)의 제 1 개구부(113)로 삽입될 때 멈춤부(301c)가 제 1 개구부(113)에 걸리는 것에 의해 이탈은 방지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300)의 이탈 방지 구조를 단순화하고 이탈 방지 기능을 보증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우징(100), 스톱퍼(200), 및 리테이너(300)의 구조에 있어서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예를 들어 배달시와 같이, 커넥터가 사용전에 취급될 때 삽입 위치로의 리테이너(30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캡(500)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캡(500)은 파이프(400)와 같은 두께의 작은지름 원통부(501)와, 파이프(400)의 환형 돌출부(401)와 같은 두께의 중간지름 원통부(502), 및 하우징(100)의 개구부(102) 안에 삽입되지 않을만큼 충분하게 큰 두께의 큰지름 원통부(503)를 포함한다. 작은지름 원통부(501)의 끝단은 반구면을 형성하며 막혀있다.
제품이 배달될 때, 캡(500)의 작은지름 원통부(501)는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를 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작은지름 원통부(501)는 제 1 확경부(101)의 내주로 삽입되고, 중간지름 원통부(502)는 제 3 확경부(105)의 내주로 삽입되며, 큰지름 원통부(503)는 확장된 직경의 단차부에서 하우징(100)의 개구부(102)의 가장자리에 접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초기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로 리테이너(300)를 움직이려고 할 때, 리테이너(300)의 멈춤편(301) 또는 돌기부(330)는 중간지름 원통부(502)에 접하고, 이에 따라 리테이너(300)의 삽입을 제한한다.
결론적으로, 리테이너(300)가 삽입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커넥터가 사용될 때, 작업자는 단지 캡(500)을 뽑기만 하면 되고, 대신 연결될 파이프(400)의 단부를 삽입하며, 이는 연결 작업을 촉진한다. 또한, 하우징(100)으로의 먼지의 진입이 캡(5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먼지와 같은 것들의부착으로 인해 씰링들(106)의 기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에를 설명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기본적으로, 제 4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나; 리테이너(300)의 통공(335)에 삽입될 부재에 차이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8,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335)에 삽입될 돌출편(220)이 스톱퍼(200)의 상부 걸림편(201)에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제 1 개구부(113)는 돌출편(220)이 삽입되는 노치부(113a)를 가진다. 분할벽(140)은 제 1 개구부(113)와 리테이너(300)의 돌기부(330)가 삽입되는 노치부(130) 사이에서 한정된다. 스톱퍼(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00)는 하우징(100)의 개구부(102)로 삽입되는 반면 리테이너(300)는 부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스톱퍼(200)의 돌출편(220)은 분할벽(140)에 의해 걸린다. 그러나,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201)과 돌출편(220)을 휘는 것에 의해, 돌출편(220)은 분할벽(140) 아래로 가서 제 1 개구부(113)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단 돌출편(220)이 제 1 개구부(113)에 삽입되면, 돌출편(220)은 그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노치부(113a)에 위치된다.
도 35 및 도 36은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초기 위치에 있는상태를 도시하며, 도 37 및 도 38은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리테이너(300)의 단차부(316)가 스톱퍼(200)의 판상부(210) 단부들에 걸리기 때문에 리테이너(300)는 삽입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0)가 삽입된다. 그러나,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가 멈춤편(301) 위치를 지나갈때까지 돌출부(330) 또는 멈춤편(301)이 환형 돌기부(401)에 접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리테이너(300)를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리테이너(300)는 삽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스톱퍼(200)의 돌출편(220)은 리테이너(3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식별되지 않는다.
파이프(40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는 스톱퍼(200)의 걸림편(201)의 요부(208)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스톱퍼(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대응하여, 돌출편(220)은 리테이너(300)의 통공(335) 바로 아래에서 움직인다. 또한, 스톱퍼(200)의 판상부들(210)은 리테이너(300)의 단차부들(316)로부터 이탈되는 한편, 파이프(400)의 환형 돌기부(401)는 멈춤편(301)을 넘어 내측부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300)는 삽입도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리테이너(300)가 삽입될 때, 멈춤편(301)은 환형 돌기부(401)의 개구부(102)측으로 옴으로써, 환형 돌기부(401)이 리테이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스톱퍼(200)의 돌출편(220)은 통공(335)을 통해리테이너(300)의 외주 상에 돌출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외부로부터 돌출편(220)을 시각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연결의 완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돌출편(220)이 보이지 않도록 케넥터가 협소 국부 내에 삽입될 때, 작업자는 손으로 만져서 돌출편(220)이 돌출해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리테이너(300)의 천장벽(310)을 만짐으로써 연결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스톱퍼(200)의 색상으로부터 리테이너(300)의 색상을 바꾸어줌으로써, 예를 들어 리테이너(300)에 검정과 같은 어두운 색상을 주고 스톱퍼(200)에 흰색과 같은 밝은 색상을 줌으로써, 돌출편(220)이 돌출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는 이제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실상 동일한 부분은 위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기본적으로, 이 실시예는 노치부(141)가 하우징(100)의 제2 대경부(104)와 제3 대경부(105)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138)의 정점 부근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네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대경 요부(340)는 플랜지부(138)에 접하고 노치부(141)에 대향하는 에지부의 내주연 상의 일 부분에서 리테이너(300)에 제공된다.
파이프(400)는 리테이너(300)를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로부터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편(301)으로 파이프(400)의 환상 돌출부(401)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연결이 완전하게 되는 상태에서 장치의 수리 등의 이유가 제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슬롯형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410)의 팁 단부플랜지부(138)의 노치부(141)를 통해 리테이너(300)의 대경 요부(340)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슬롯형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410)의 팁 단부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통해 리테이너(300)를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스터퍼편(301)은 스톱퍼편(301)과 환상 돌출부(401)의 사이에 접촉이 해제되면서 파이프(400)의 외주연으로부터 물러가게 된다. 이때, 파이프(4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이제 도 41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실상 동일한 부분은 상기 각 실시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덮개부재(600)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덮개부재(600)는 삽입 지점으로 이동된 리테이너(300)로 하우징(100)에 조립되고, 그로부터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을 덮게 된다.
덮개부재(600)는 하우징(100)의 제2 대경부의 외주연에 맞춰지는 C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홀더(601)와, 홀더(601)에 연속 제공된 박스형 커버(602)를 포함한다. 커버(602)는 상부면과 홀더(604)의 표면에서 개방되고, 홀더(601)의 대응측 상의 벽부(603)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U 형상의 노치(604)를 가진다. 또한, 두 측벽(605)이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312)을 덮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 내에 파이프(400)를 삽입하고리테이너(300)를 삽입함으로써 연결이 완료된 후, 덮개부재(600)는 제2 대경부(104)의 외주연에 홀더(601)를 끼워 맞춤으로써 하우징(100)에 부착된다. 이때,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은 덮개부재(600)로 덮어지는데, 덮개부재(600)는 어떠한 것이 리테이너(300)를 직접 고정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로, 리테이너(300)는 상방향으로 끌어올릴 수 없는데, 예를 들어 리테이너(300)가 모터자전거에서 냉각수나 연료를 위한 관이음용으로 사용될 때, 리테이너(300)를 부적절하게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 인해 제3 부분에서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이제 도 44 내지 도 46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실상 동일한 부분은 상기 각 실시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덮개벽(151)은 삽입될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312)에 대해 충분히 큰 공극(150)을 유지하면서 하우징(100)의 각 측벽과 거의 수평하게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덮개벽(151)은 플랜지의 형상으로 하우징(100)의 바닥벽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고, 이어서 각각의 측벽(109)과 거의 수평되게 직립하여 서 있다. 공극(150)은 삽입될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에 대해 충분히 큰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리테이너(300)가 하우징(100) 안으로 삽입될 때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312)은 덮개벽(151)으로 덮어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 안으로 파이프(400)를 삽입하고 리테이너(300)를 삽입하여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리테이너(300)는 상방향으로 끌어올려질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제6 실시예와 같이 리테이너(300)를 부적절하게 끌어올림으로써 제3 부분에서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테이너(300)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려 파이프(400)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상술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0)는 하우징(100)의 플랜지부(138)의 노치부(141)를 통해 슬롯형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상방향으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제3 부분에 의해 부적절하게 이루어지는 행동을 막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서, 리테이너(300)의 각 측벽(312)은 손으로 신속히 잡을 수 없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리테이너(30))는 단지 공구의 사용을 통해서만 상방으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측벽(312)은 평면, 또는 천장벽(310)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평면일 수 있다.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외부로부터, 배관작업에서 확인이 확실히 쉬운 시각적인 검사를 통해 리테이너의 삽입이 완전한지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커넥터의 사용을 통한 결합의 완료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의 사용을 통한 결합이 해제되고 커넥터가 다시 사용될 때일지라도, 리테이너를 삽입하여 결합이 확실한 방법으로 완료되었는지를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유체를 위한 파이프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이프들 중의 하나는 한쪽 단부의 외주변부 상에서 환형 돌출부를 가지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들 중의 다른 파이프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인접한 초기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푸시-인(push-in) 위치로 이동되는 스톱퍼와;
    초기 위치 및 삽입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및 스톱퍼는 각기 제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스톱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를 제한하여,
    상기 스톱퍼가 푸시-인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상기 스톱퍼가 푸시-인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90도 각도의 일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향하여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된 상부 개개부 내로 삽입되는 록킹편을 가지며, 상기 록킹편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와 탄력적으로 치합되는 치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삽입될 때, 상기 치합편은 상기 환형 돌출부와 맞대여 탄력적으로 개방되는 상태로 상기 환형 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치합편이 환형 돌출부와 치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은 삽입방향으로 끝단부에서 기방되고,
    상기 록킹편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대략 반원형의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의 치합편은 상기 록킹편의 끝단부의 개방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돌출편을 가지며,
    상기 돌출편들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리터이너의 측벽이 하우징의 측벽을 덮도록 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은, 상기 스톱퍼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편의 돌출부와 치합되는 삽입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의 내주변부 상에서 필라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형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2상부 개구부를 통해 록킹 편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록킹편에 대해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이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필라형 돌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외주변부에 맞대여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거의 삽입되었으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필라형 돌출부의 하단부는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에 맞대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형 돌출부와 록킹편 사이의 간극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에서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및 스톱퍼 중의 한 곳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개구부의 측면상의 엣지부에 있는 그 상부벽에서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그 상부벽의 내주변부 상에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치부 내로 삽입되어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하나의 파이프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나의 파이프의 환형 돌출부에 맞대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록킹편은 멈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록킹편이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 내로 삽입된 후,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부 엣지부와 치합되어 상기 록킹편의 치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벽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이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간극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커버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리테이너의 측벽은 상기 커버벽으로 덮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되는 리테이너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리테이너의 측벽을 덮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엣지부와 맞대이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 상에서 노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리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공구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20030036134A 2002-06-04 2003-06-04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KR100758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2841 2002-06-04
JPJP-P-2002-00162841 2002-06-04
JP2003061799A JP4234467B2 (ja) 2002-06-04 2003-03-07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JPJP-P-2003-00061799 2003-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65A true KR20030095265A (ko) 2003-12-18
KR100758223B1 KR100758223B1 (ko) 2007-09-12

Family

ID=2955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134A KR100758223B1 (ko) 2002-06-04 2003-06-04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27303B2 (ko)
EP (1) EP1369634B1 (ko)
JP (1) JP4234467B2 (ko)
KR (1) KR100758223B1 (ko)
DE (1) DE60304248T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387A (ko) * 2008-08-07 2010-02-18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429368B1 (ko) * 2009-10-28 2014-08-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커넥터
KR101462680B1 (ko) * 2006-10-06 2014-11-17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급속 커넥터 커플링
KR20190027935A (ko) * 2016-07-29 2019-03-15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커넥터
KR20200130744A (ko) * 2018-05-31 2020-11-19 한일튜브 주식회사 퀵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871B2 (en) * 2002-03-11 2005-05-17 Cummins-Allison Corp. Sensor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coins of varied composition, thickness, and diameter
US8113547B2 (en) 2002-03-22 2012-02-14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nap mount fluid quick connector
US7029036B2 (en) 2004-03-09 2006-04-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US6866303B2 (en)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JP4198487B2 (ja) * 2003-02-20 2008-12-17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塵キャップ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055869B2 (en) 2004-01-27 2006-06-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7390025B2 (en) *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20050236833A1 (en) * 2004-04-23 2005-10-27 Poirier David M Tube lock quick connector
JP4663254B2 (ja) * 2004-05-25 2011-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04062887B3 (de) * 2004-12-27 2005-10-13 A. Raymond & Cie Kupplung
US7484774B2 (en)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497480B2 (en) * 2006-04-07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Hybrid quick connector
JP4734179B2 (ja) * 2006-05-31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配管構造
DE102006047267B4 (de) 2006-10-04 2010-02-04 A. Raymond Et Cie Kupplungsteil für eine Fluidleitungskupplung
DE112008000308B4 (de) 2007-01-31 2024-02-01 Togo Seisakusyo Corp. Rohrverbindungen
JP4954752B2 (ja) * 2007-03-02 2012-06-2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07032324B4 (de) * 2007-07-11 2012-10-31 A. Raymond Et Cie Fluidleitungskupplung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JP2010270867A (ja) * 2009-05-22 2010-12-02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KR101028253B1 (ko) * 2009-09-29 2011-04-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US9523454B2 (en) * 2009-10-21 2016-12-20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Anti-rotation gripper ring
US9506592B2 (en) 2009-10-21 2016-11-29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494268B2 (en) * 2009-10-21 2016-11-15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464743B2 (en) * 2009-10-21 2016-10-11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Bias release cartridge
WO2012043024A1 (ja) 2010-09-30 2012-04-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5815272B2 (ja) * 2011-04-22 2015-11-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EP2722574B1 (en) * 2011-06-16 2017-08-30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connector
JP5787441B2 (ja) * 2011-08-02 2015-09-3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配管用コネクタ
KR101693894B1 (ko) * 2011-12-0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DE102012013305B4 (de) * 2012-07-04 2016-09-08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Kupplung mit Fehlmontageschutz
US9411110B2 (en) * 2013-02-06 2016-08-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optic connector cover and fiber optic assembly including same
JP5497225B1 (ja) * 2013-04-16 2014-05-21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JP5497223B1 (ja) * 2013-04-16 2014-05-21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JP5497224B1 (ja) * 2013-04-16 2014-05-21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JP6131120B2 (ja) * 2013-06-19 2017-05-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JP5674879B2 (ja) * 2013-08-05 2015-02-25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6347438B2 (ja) * 2013-09-02 2018-06-27 株式会社ニチリン コネクタ
CA2929371C (en) * 2013-12-02 2020-12-0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DE102014109319A1 (de) * 2014-07-03 2016-01-07 Illinois Tool Works Inc. Kappe für eine Schnellverbinderkupplung
DE102016109051A1 (de) * 2015-10-21 2017-04-27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FR3044382B1 (fr) * 2015-11-30 2017-12-0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KR102199268B1 (ko) 2016-07-29 2021-01-06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JP6894815B2 (ja) * 2017-09-22 2021-06-3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パイプ用コネクタ
US10612707B2 (en)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DE102017129324B4 (de) * 2017-12-08 2022-10-27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schlussvorrichtung
US11199281B2 (en) *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US11137094B2 (en) * 2018-04-23 2021-10-05 Reliance World Wide Corporation Clip end device
US11560967B2 (en) 2018-09-04 2023-01-24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Rotation-resistant push-on conduit coupling cartridge
EP3736481B1 (en)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DE102019129542A1 (de) * 2019-10-31 2021-05-06 Norma Germany Gmbh Schnellverbinder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verbesserter Dichtringarretierung
US11578828B2 (en) * 2020-12-03 2023-02-1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1497A (en) * 1980-10-29 1986-07-22 Proprietary Technology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FR2514855A1 (fr) * 1981-10-20 1983-04-22 Staubli Sa Ets Perfectionnements aux raccords rapides pour la jonction amovible des canalisations
US5219188A (en) * 1991-01-09 1993-06-1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incomplete connection of pipes
US5152555A (en) *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US5275443A (en) * 1992-09-15 1994-01-04 Itt Corporation Sliding collar quick connect
US5401063A (en) *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US5405175A (en) * 1993-09-24 1995-04-11 Siemens Automotive L.P. Clip attachment of fuel tube to fuel rail
FR2717883B1 (fr) * 1994-03-04 1996-06-14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et étanche pour conduites tubulaires.
FR2740197B1 (fr) * 1995-10-20 1997-12-26 Yto Coupleur rapide a desaccouplement a deux phases
JP3491798B2 (ja) * 1996-11-08 2004-01-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63077A (en) *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JP4462671B2 (ja)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80B1 (ko) * 2006-10-06 2014-11-17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급속 커넥터 커플링
KR20100019387A (ko) * 2008-08-07 2010-02-18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429368B1 (ko) * 2009-10-28 2014-08-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커넥터
US9127797B2 (en) 2009-10-28 2015-09-08 Nifco Inc. Connector
KR20190027935A (ko) * 2016-07-29 2019-03-15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커넥터
KR20200130744A (ko) * 2018-05-31 2020-11-19 한일튜브 주식회사 퀵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9634A1 (en) 2003-12-10
DE60304248T2 (de) 2006-08-31
EP1369634B1 (en) 2006-03-29
JP2004060884A (ja) 2004-02-26
DE60304248D1 (de) 2006-05-18
KR100758223B1 (ko) 2007-09-12
US7527303B2 (en) 2009-05-05
JP4234467B2 (ja) 2009-03-04
US20040036283A1 (en)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23B1 (ko) 점검 기능을 갖는 커넥터
RU2413121C2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контроля
US10670175B2 (en) Plug connector for fluid lines, comprising an inner adapter sleeve
CA2548974C (en) Quick-connect coupling
EP1154190B1 (en) Apparatus relating to tube couplings
JP543598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の解除器具
CN110220056B (zh)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CN109477604A (zh) 连接器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EP2224158A1 (en) Coupling completion confirmation mechanism
JP2009534610A (ja) 流体パイプカップリング
KR102199268B1 (ko)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EP2584243B1 (en) Connector
JPWO2008093627A1 (ja) 管継手
WO2020135553A1 (zh) 快速连接器
EP4008946B1 (en) A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JP4798373B2 (ja) 接続確認チェッカー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80070728A (ko) 커플링
JP4330415B2 (ja) 管継手
US10826222B2 (en) Connector
US10900599B2 (en) Quick connector coupling
JP3677681B2 (ja) コネクタ
JP2018165544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7178003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652165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